KR100453985B1 -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985B1
KR100453985B1 KR10-2002-0005691A KR20020005691A KR100453985B1 KR 100453985 B1 KR100453985 B1 KR 100453985B1 KR 20020005691 A KR20020005691 A KR 20020005691A KR 100453985 B1 KR100453985 B1 KR 10045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guard rail
bolt
rail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191A (ko
Inventor
이기승
김기훈
이인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2-000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9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몸체의 네 모서리 부위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PC 침목의 상면부에 안치되는 상판부재; 그 하단부가 L자형으로 절곡 제작되며, 상판부재의 볼트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L자형 절곡부에 의해 PC 침목의 하면부를 침목의 외부에서 걸침식으로 고정하는 볼트부재; 그 몸체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공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걸림턱부에 의해 가드레일의 하단 측부를 고정하는 게이지 블럭; 및 게이지 블럭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게이지 블럭을 압착하여 상기 가드레일이 침목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PC 침목에 체결 볼트 구멍이나 기타 손상을 가함없이 체결할 수 있고, 신설선이나 개량 공사구간에 있어서 횡저항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유도상 교량상의 안전 가드 레일 설치로 교량상에서 열차 탈선 사고시 열차의 추락과 같은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guard rail for PCT}
본 발명은 PCT(prestressed concrete tie)용 가드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선로의 유도상 교량구간의 가드레일을 안전하게 체결함으로써, 교량상 열차 탈선사고시 열차 추락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유도상 교량의 궤도 횡저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PCT용 가드 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선로인 경우 곡선 반경이 200미터 이하에서의 곡선구간, 철도청 선로인 경우 곡선 반경이 300미터 이하에서의 곡선구간, 급구배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 또는 축제가 높아서 열차가 탈선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인정되는 개소, 곡선과 종곡선이 중복되는 개소에는 열차의 탈선방지를 위하여 탈선방지 안전 가드레일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기본 레일에 대한 안전 가드레일을 설치시 플랜지 웨이(flange way)의 폭은 80mm, 기본 레일에 대해 안전 가드레일은 10mm 높이를 유지하도록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 상에 베이스 플레이트(2)를 나사스파이크(3)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 레일(4)을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 형상의 클립(5)의 일단부를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시킨 후, 기본 레일(4)의 내외측부를 압착 고정시킨다.
이때, 기본 레일(4) 내측으로 탈선방지용 안전 가드레일(7)을 소정 간격(L)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안전 가드레일(7)의 내외측은 목침목(1)에 햄머 등에 의해 타설되는 소정 형상의 스파이크(8)에 의해 목침목(1)상에 직접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탈선방지용 안전 가드레일(7)을 설치하는 경우, 기본 레일(4)과 동일한 별도의 안전 가드레일(7)을 사용함에 따라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기본 레일(4)에 대한 안전 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 간격(L)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과, 중량의 안전가드레일(7)의 설치로 인해 이를 취급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안전 가드레일(7)을 콘크리트 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과, 궤도의 정정작업시 별도의 대형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 가드레일(7)을 철거후에 작업을 해야 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 상에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스파이크(3)를 각각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레일(4)과 이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탈선방지용 안전 가드레일(7)을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 소정 간격(L1)을 유지하도록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 형상의 클립(5)의 일단부를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한 후, 기본 레일(4)과 안전 가드레일(7)의 내외측부를 각각 압착 고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 또한, 목침목(1)에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2)를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기본 레일(4)에 대한 안전 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 간격(L1)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과, 안전 가드레일(7)을 콘크리트 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 상에 기본 레일(4)과 이의 내측으로 탈선방지용 안전 가드레일(7)이 소정 간격(L2)을 유지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를 소정 형상의 나사스파이크(3)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 레일(4)과 안전 가드레일(7)을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 형상의 클립(5)의 일단부를 레일(4,7)과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한 후, 기본 레일(4)과 안전 가드레일(7)의 외측부를 압착 고정시킨다.
이때, 기본 레일(4)의 내측부와 안전 가드레일(7)이 접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에 홈(9)을 형성하며, 홈(9)에 소정 형상의 누름쇠(10)를 결합시킨 다음, 클립(5)을 이용하여 기본 레일(4)과 안전 가드레일(7)의 내측부를 압착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방식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9)에 누름쇠(10)를 결합시켜 기본 레일(4) 및 안전 가드레일(7)을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안전 가드레일(7)을 콘크리트 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과, 기본 레일(4)에 대한 안전 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 간격(L2)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창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침목에서의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높이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급곡선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가 PC 침목의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부분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상판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게이지 블럭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가 PC 침목의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레일 고정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침목 고정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목침목 2...베이스 플레이트
3...나사스파이크 4...기본 레일
5...클립 6...홈
7...안전 가드레일 8...스파이크
9...홈 10...누름쇠
401,901...PC 침목 402,902...기본 레일
403,903...가드레일 410...상판부재
420...볼트부재 421...방진재
430...게이지 블럭 440...너트
450...방진 패드 910...레일 고정부재
911...가드레인 안치부 912...침목 안착부
920...침목 고정부재 921...보강판 부재
930...코일 스프링 940,950...방진 패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몸체의 네 모서리 부위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PC 침목에의 안정된 안착을 위하여 복수개소의 안착용 턱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PC 침목의 상면부에 안치되는 상판부재;그 하단부가 L자형으로 절곡 제작되며, 상기 상판부재의 볼트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L자형 절곡부에 의해 PC 침목의 하면부를 침목의 외부에서 걸침식으로 고정하는 볼트부재;그 몸체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공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걸림턱부에 의해 가드레일의 하단 측부를 고정하는 게이지 블럭;상기 게이지 블럭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게이지 블럭을 압착하여 상기 가드레일이 침목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상기 상판부재의 안착용 턱부 구역의 하면과 침목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의 상면부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 및
상기 볼트부재의 L자형 절곡부의 침목 접촉부위에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력의 완화를 위한 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그 양단에 클립걸이부재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가드레일 안치부와, 가드레일 안치부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가드레일 안치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PC 침목의 상반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캡형으로 절곡 형성된 침목안착부로 이루어진 레일 고정부재;그 양단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침목안착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PC 침목의 하반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컵형으로 절곡 형성된 침목 고정부재;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가드레일 안치부의 클립걸이부재에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PC 침목의 상면부와 레일 고정부재의 하면부 사이 및 PC 침목의 하면부와 침목 고정부재의 상면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 상면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PC 침목의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부분 발췌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상판부재(410), 볼트부재(420), 게이지 블럭(430) 및 너트(4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재(410)는 직사각형 형태의 강판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 몸체의 네 모서리 부위에는 볼트 체결공(410h)이 각각 형성되며, PC 침목(401)의 상면부에 안치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부재(410)의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410h)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부재(410)의 하면에는 PC 침목(401)에의 안정된 안착을 위하여 복수개소의 안착용 턱부 (410t)가 마련된다. 또한, 안착용 턱부(410t) 구역내의 상판부재(410)의 하면과 침목(401)의 상면 사이에는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401)의 상면부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4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볼트부재(420)는 그 하단부가 L자형으로 절곡 제작되며, 상기 상판부재 (410)의 볼트 체결공(410h)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L자형 절곡부에 의해 PC 침목 (401)의 하면부를 침목의 외부에서 걸침식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볼트부재(420)는 유도상 안전 가드레일 체결장치의 고정볼트 풀림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너트(440)의 체결부를 제외한 몸체의 나머지 부분을 사각기둥형으로 제작한다. 또한, 볼트부재(420)의 L자형 절곡부의 침목 접촉부위에는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력의 완화를 위해 방진재(421)가 더 취부된다.
상기 게이지 블럭(430)의 몸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체결공 (430h)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부(430t)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공(430h)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걸림턱부(430t)에 의해 가드레일(403)의 하단 측부를 고정한다.
상기 너트(440)는 상기 게이지 블럭(43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볼트부재 (420)의 상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게이지 블럭(430)을 압착하여 상기 가드레일 (403)이 PC 침목(40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너트 (440)를 체결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사각 와셔(442)와 스프링 와셔(441)를 차례로 게이지 블럭(430) 위에 먼저 적층하여 체결한 후, 마지막으로 너트(440)를 체결한다. 도 4 및 도 6에서 참조 번호 402는 기본 레일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주로 기존 선로 구간의 가드레일에 채용되어 가드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따라서 교량상 열차 탈선사고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PC 침목의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 선에 따른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레일 고정부재(910), 침목 고정부재(920) 및 코일 스프링(9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레일 고정부재(9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클립걸이부재(911c)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가드레일 안치부(911)와, 그 가드레일 안치부 (911)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가드레일 안치부(911)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는 볼트 체결공(912h)이 각각 형성되고, PC 침목(901)의 상반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캡형으로 절곡 형성된 침목 안착부(9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목 고정부재(9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볼트 체결공(920h)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레일 고정부재(910)의 침목안착부(912)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PC 침목(901)의 하반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컵형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 침목 고정부재(920)의 양측면에는 횡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판 부재(921)가 각각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PC 침목(901)의 상면부와 레일 고정부재(910)의 하면부 사이 및 PC 침목(901)의 하면부와 침목 고정부재(920)의 상면부 사이에는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901)의 상면부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940)(950)가 각각 더 마련된다. 여기서, 특히 PC 침목(901)의 상면부와 레일 고정부재(910)의 하면부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 패드(940)는 충격 완화기능과 침목의 기울기 보완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서,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그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930)은 상기 레일 고정부재(910)의 가드레일 안치부(911)의 클립걸이부재(911c)에 설치되어 가드레일(903)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한다. 도 9에서 참조 번호 902는 기본 레일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신설 선로 구간이나 개량 공사 구간에 주로 채용되며, 가드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교량상 열차 탈선사고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는 기존 PC 침목에 체결 볼트 구멍이나 기타 손상을 가함없이 체결할 수 있고, 체결구의 측면에 횡저항력 증대를 위한 보강판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신설선이나 개량 공사구간에 있어서 횡저항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각 볼트의 체결로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가드레일의 체결에 따라 도상의 횡저항력을 증대할 수 있으며, 유도상 교량상의 안전 가드 레일 설치로 교량상에서 열차 탈선 사고시 열차의 추락과 같은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몸체의 네 모서리 부위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PC 침목에의 안정된 안착을 위하여 복수개소의 안착용 턱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PC 침목의 상면부에 안치되는 상판부재;
    그 하단부가 L자형으로 절곡 제작되며, 상기 상판부재의 볼트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L자형 절곡부에 의해 PC 침목의 하면부를 침목의 외부에서 걸침식으로 고정하는 볼트부재;
    그 몸체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공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걸림턱부에 의해 가드레일의 하단 측부를 고정하는 게이지 블럭;
    상기 게이지 블럭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게이지 블럭을 압착하여 상기 가드레일이 침목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
    상기 상판부재의 안착용 턱부 구역의 하면과 침목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의 상면부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 및
    상기 볼트부재의 L자형 절곡부의 침목 접촉부위에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력의 완화를 위한 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그 양단에 클립걸이부재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가드레일 안치부와, 가드레일 안치부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가드레일 안치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PC 침목의 상반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캡형으로 절곡 형성된 침목안착부로 이루어진 레일 고정부재;
    그 양단에는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침목안착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PC 침목의 하반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컵형으로 절곡 형성된 침목 고정부재;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가드레일 안치부의 클립걸이부재에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PC 침목의 상면부와 레일 고정부재의 하면부 사이 및 PC 침목의 하면부와 침목 고정부재의 상면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철구조물과 콘크리트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한편 침목 상면의 기울기를 보완하기 위한 방진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T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2-0005691A 2002-01-31 2002-01-31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KR10045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691A KR100453985B1 (ko) 2002-01-31 2002-01-31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691A KR100453985B1 (ko) 2002-01-31 2002-01-31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123U Division KR200281054Y1 (ko) 2002-01-31 2002-01-31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191A KR20030065191A (ko) 2003-08-06
KR100453985B1 true KR100453985B1 (ko) 2004-10-20

Family

ID=3222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691A KR100453985B1 (ko) 2002-01-31 2002-01-31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52479B1 (es) * 2012-02-21 2015-05-07 Prefabricaciones Y Contratas, S.A.U. (Precon, S.A.U.) Traviesa de ancho mixto con sujeciones simétricas para los carriles
KR102101169B1 (ko) * 2018-01-31 2020-04-16 영중산업 주식회사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11U (ko) * 1997-03-17 1998-11-05 김도연 콘크리트 곡선철로 주행, 안전레일의 좌굴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11U (ko) * 1997-03-17 1998-11-05 김도연 콘크리트 곡선철로 주행, 안전레일의 좌굴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191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452B2 (en) Guard rail apparatus for guiding derailed wheels
JP2001107301A (ja) 鉄道レールの防振装置
KR100453985B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CN210561483U (zh) 一种与有挡肩混凝土轨枕配套使用的轨道扣件
KR200281054Y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US4119271A (en) Rail bracing system
KR20140000963U (ko) 레일체결장치
JP3859220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JP4832797B2 (ja) 安全レール装置
KR20020090845A (ko) 궤도 방진장치
KR100349055B1 (ko)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JPH04126901U (ja) レール締結装置
KR200410831Y1 (ko) 스프링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100383578B1 (ko) 철도 레일 방진장치
KR200312651Y1 (ko) 철도 궤도 방진 방음 체결장치용 와셔 볼트
JP3851826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200168731Y1 (ko)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CN216566591U (zh) 一种铁路轨道固定装置
KR200236034Y1 (ko) 철도선로의 침목 횡 저항력 증강 장치
KR200319313Y1 (ko) 차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 고정장치
CN219586467U (zh) 道岔区带轨撑减振扣件
CN215800710U (zh) 一种减振扣件系统
KR200220002Y1 (ko) 철도 교량침목용 베이스플레이트
JP2879050B2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KR200333749Y1 (ko) 교량상 레일 활동형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