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96B1 -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 Google Patents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96B1
KR950007496B1 KR1019860008681A KR860008681A KR950007496B1 KR 950007496 B1 KR950007496 B1 KR 950007496B1 KR 1019860008681 A KR1019860008681 A KR 1019860008681A KR 860008681 A KR860008681 A KR 860008681A KR 950007496 B1 KR950007496 B1 KR 95000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traffic information
information
traffic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88A (ko
Inventor
브레가스 페테르
프리츠부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크라우스 보스, 디터 비트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크라우스 보스, 디터 비트마이어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7000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2Coding or decoding of th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04H20/34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using an out-of-band subcarrier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제1도는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를 구비한 FM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제2도 및 제3도는 RDS 신호의 데이터의 구조 및 그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독립 교통안내 시스템에 사용되는 관련 테이블을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AM 수신기에서 사용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FM 수신기 12 : 안테나
14 : 수신부 16 : 스피커
18 : RDS 디코더 20 :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22 : 재생장치
본 발명은,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더욱이, 상세하게는 수신한 무선 교통 정보를 디코드하여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특히 FM 수신기에 사용되는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교통 흐름을 개선하여, 교통 안전을 향상시키시 위해서 소정의 라디오 방송국(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을 거쳐서, 기본적으로 어느 수신기와도 수신이 가능한 교통 정보를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연구가 오랜동안 행해지고 있다.
특히 운전자가 그 지역 영역을 관찰하는 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을 찾아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오늘날에는 FM 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의 실효 변조파외에 초단파 영역으로 3개의 식별 주파수를 반송시키는 자동차용 무선 정보 식별 방식(ARI 방식)(등록 상표)이 이용되고 있다.
방송국의 식별에 대해서는, 모든 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을 특징짓는 57KHz의 반송파가 사용되고 있다.
지역을 식별하기 위해서, 57KHz의 반송파는 6개의 지역 주파수(A 내지 F)중 하나에서 변조된다. 그것에 의해 관련하는 방송국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 것인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나운서 정보의 식별에는, 아나운서 정보중 57KHz의 반송파상에서 125KHz의 제2변조를 행하여 관련하는 교통정보의 식별을 행하고 있다.
상술한 3개의 식별 주파수를 검출하여 처리할려면, 수신기내에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종래의 ARI 방식에서는, 매우 염가의 ARI 디코더를 조립하는 일이 가능해져, 그것에 의해 교통 정보를 강제적으로 운전자에게 들려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경우, 자동차의 라디오에 설치된 또 하나의 수신기에 의해 방송국 및 지역 식별 신호를 거쳐서, 관할하는 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이 찾아내어진다. 아나운서 정보를 검출하므로서, 운전자가, 예컨대, 다른 프로그램이나 카셋트로부터의 음악을 듣고 있는 사이에도 교통 정보를 운전자에게 강제적으로 듣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여러 종류의 잇점에 의해, ARI 방식은 현재, 독일뿐만이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에도 도입되고, 실무상 유효한 것임이 인정되고 있다. 물론, 이 ARI 방식에 의해 모든 가능성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ARI 방식에서는, 운전자가 듣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교통 아나운서에 의해 강제적으로 차단되지 않으면 안되고, 번거롭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아진다.
또다시, 교통 정보의 양은 아나운서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서, 아나운서 시간이 길어지면, 운전자의 주의력이 산만하게 되어 버리므로 제한하지 않으면 안된다. 교통 방송을 외국어로 하는 경우, 특히 바캉스를 이용하여 해외 여행을 하는 경우 등은, 그것에 대응하여 아나운서 시간이 배가된다. 더욱이 교통 정보를 지역화하였다고 하여도, 한정된 상태 이외에서는 실행할 수가 없다.
보급하고 있는 ARI 방식외에, 운전자가 데이터를 기억한 도로 카드를 지참하는 독립 교통 안내 시스템(지도지원 안내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그 장소의 상세한 정보를 알지못해도, 운전자를 희망하는 곳으로 안내하도록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안내 시스템에 따라 행해지는 루트의 선택을 바꾸는 것이 요청되는 경우라도, 교통 정보의 전달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더욱이 예컨대 EVA(운전가 전자교통 안내 시스템)과 같은 자동 교통 안내 시스템도 있으나, 또한 도입단계이다(피. 브레거스의 전자 시가 교통 안내 시스템 1984년 제4권 E.M을 참조).
따라서, 실제로 인정되고 있는 ARI 방식은, 상술한 결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안이 없는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를 구하는 경우, 이미 널리 보급하고 있는 ARI 방식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그것과 호환성이 보증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측에 큰 비용을 드는 일 없이, ARI 방식과 호환성을 갖게 하여 이 방식을 더욱 발전시킴과 동시에 새로 개선된 교통 방식에 따라, 교통 정보를 검출처리하는 일이 가능한 무선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에 의해,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를 실은 부반송파를 복조하므로서 얻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화하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은 교통 정보의 전송에, 예컨대 이미 알려져 있는 RDS 방식(라디오. 데이터.시스템)(EBU 기술센타의 특별호「RDS의 상세」, 브류셀, 3244E, 1984년 3월호 참조)혹은 다른 디지털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제안되어 있는 RDS 방식을 사용하여 각각 교통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나타내고, RDS 방식의 데이터 자유 공간내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원리로 되어 있다.
RDS 방식은,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단파 무선 방송국을 거쳐서 57KHz의 부반송파상에 디지털 신호를 싣고 전송시키기 위해 설치가 된 것으로, 57KHz의 부반송파는 2상 부호화(바이패스.코딩)된 데이터신호에 의해 양측파대 진폭 변조된다. 이 2상 부호화 방식에 의해 반송파의 영역에는 스펙트럼선이 나타나지 않고, ARI 방식과의 호환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 57KHz의 부반송파에 실리는 공지의 지역 식별 주파수 또는 아나운서 정보 식별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RDS 방식에 기초할 필요성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화된 메모리의 어드레스 내지 코드를 전송하여, 수신기 내지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에 있어서 각 어드레스에 교통 정보의 각 구성 부분을 기억하고, 그것을 호출할 수가 있도록 하여 표시에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에 다른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으며, 예컨대 팩시미리 코드와 같은 디지털 전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다시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를, 특히 AM 변조된 신호에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AM 반송파는 디지털 교통 정보를 위상 변조하여 반송한다. 복조 후 디지털 신호는 무선 교통 정보 장치에 공급되어, 거이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도, 바람직하기로는 RDS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에 알맞다. RDS 호를 처리하는 디코더를 변경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를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조정하는 것만으로 그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통 정보를 표준화 하고, 소정의 표준 텍스트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신호 전송에 관련하여 매우 유리한 결과가 된다. 이러한 것은 표준화된 교통 정보의 구성부분에 어드레스 신호를 붙여서 디코더에 기억시키는 것이 간단히 행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송국측에서는, RDS 신호내에 디지털 어드레스 신호를 송신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즉, 교통 정보는 메모리 어드레스의 형태로 전송된다.
교통 정보 디코더내의 각 어드레스에 교통 정보를 임의의 형태로 광학 표시 가능한 문장으로서, 또는 외국어도 포함한 언어로서 기억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국제적인 도입을 간단히 할 수가 있다.
수신하여 검출된 어드레스 신호를 식별하는 것에 의해, 관련하는 메모리 내용을 예컨대 광학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교통 정보를 읽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이 교통 정보를 합성어로서 발생하는 일도 가능하다. 어느것이나, 수신하고 있는 본래의 방송 프로그램은 간섭을 받는 일이 없다. 즉,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ARI 방식과 다르며, 차단되는 일은 없다. 운전자는 보내온 교통 정보를 어느 언어로 광학적으로 보는가 또는 음향적으로 듣는가를 선택할 수가 있다.
다수의 실험 결과, 교통 정보를 어드레스 신호로서 디지털 전송하는데에 약 100비트가 필요해지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이 양은 교통 정보를 표준화 하면 지킬 수가 있고, RDS 신호를 교통 정보의 디지털 전송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RDS 방식에서는 아래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나, 각 4번째의 그룹(트랜스페어렌트 채널)만이 부분적으로 비어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 전제로 된다. 비어 있는 데이터 영역은 37비트이기 때문에, 그 그룹을 3회에 걸쳐서(3×37=111) 교통 정보를 전송시킬 수가 있다. 그 경우, 교통 정보를 표준화하고 있으므로, 비트율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된다. 실제로는 1초마다 1개의 교통 정보가 전송된다.
가능한 모든 교통 정보를 표준 정보 및 표준 덱스트로서 표준화할 수 있는 것은 역시 모든 교통 정보가 동일한 규정에 의해 구성되어 항상 동일한 개념을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는 교통 정보를 매우 양호하게 이용하는 잇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교통 정보를 문자문에 의해 (ASC 11)(정보 교환에 대한 표준 협의회)문자 형태로 전송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교통 정보의 구성부분을 교통 정보 메모리에 기억할 수가 없는 여러 종류의 문장으로 된 특수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을 한다.
제1도에 개략 도시한 FM 수신기(10)는, 통상의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RDS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교통 정보 방송국에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를 갖는다.
또다시 수신기(10)는 공지의 수신부(14)를 갖고, 스피커(16)를 거쳐서 복조된 저주파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수신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한 RDS 신호를 검출 처리하는 RDS 디코더(18)를 갖는다.
RDS 디코더(18)는, 제4도를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20)에 접속된다.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20)는, 교통 정보를 도시하는 RDS 신호에 포함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다.
수신한 교통 정보는 재생 장치(22)에 의해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표시된다. 광학 표시 장치(24)를 거쳐 교통 정보를 문자 형태로 표시하거나, 기타 다른 교통 정보를 스피커(26)를 거쳐서 음향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도, 수신한 교통 정보의 재생은 각각 수신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행하여지므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중단할 필요는 없다.
이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로 하여 RDS 장치의 데이터 전송의 구성 및 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DS 방식은 ARI 방식과 같이, 디지털 신호 내지 데이터의 전송에 57KHz의 반송파를 사용한다. 데이터 비율은 57KHz를 48로 나눈 1187.5비트/sec로 된다. 2상 부호화(바이퓨즈.코딩)에 의해 ARI 방식과의 호환성이 얻어지므로, 양 방식은 서로 상반하는 것은 아니다.
RDS 신호(28)는 각각 104비트 마다 그룹에 정리가 되어 연속된 데이터 흐름이다.
각 그룹은 각각 26비트 깅이의 4개의 블록, 블록(1), 블록(2), 블록(3), 블록(4)으로 구성되며, 1블럭은 16비트의 정보워드(30)와 10비트의 체크 워드(32)로 구성된다. 이 체크 워드에 오프셋트 워드가 부가된다.
부호화에는 단축한 보정주기 코드가 사용되고, 코드를 산출하기 위한 다항 발생기(34)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연속한 데이터 흐름을 디코드하는 경우, 소위「선두」를 찾아내기 위해서, RDS 디코더(18)내에서 소정의 방법이 사용된다. 체크 워드를 산출한 후 체크 워드에 10자리의 오프셋트 워드가 부가된다. 서로 3 내지 5의 하밍 거리만큼 다른 최대 1024 워드로 이루어진 5개의 오프세트 워드밖에는 이용이 되지 않으므로 동기와 오차 보정이 행하여진다.
RDS 방법에서는, RDS 신호(28)의 1개의 그룹의 구성은 항상 같다. 블록(1)의 정보 워드는 코드화된 형태로의 국명, 각 무선 방송국 및 프로그램을 도시한 PI 코드(프로그램 식별 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체크 워드 및 오프셋트 워드(A)가 이것에 속한다.
블록(2)은, 이 그룹이 어느 형태인가를 도시하는 4비트를 갖는다. 모든 그룹은, 블록(2), 블록(3), 블록(4)이 오프셋트 워드 B,C,D를 갖는 것으로 공통이다. 오프셋트 워드 C는, 2개의 형태로 사용된다. 2번째의 정보 워드의 비트 Bo는, 이것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RDS 방식을 디지털 신호로 한 교통 정보의 전송에 이용하는 경우, 그룹(5)이 이용된다. 이 그룹(5)은, 말하자면 트랜스페어렌트 채널을 도시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빈 영역(36)을 갖는다. 이 경우, 블록(2)의 Co에서 C4의 비트에 의해 32개의 어드레스를 전송하고, 각각에 블록(3)과 블록(4)의 16비트 길이의 워드를 배당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빈 영역(36)은 37비트로 된다. 이와 같이, 이 채널은 어드레스화된 교통 정보의 전송에 특히 적합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통 정보를 표준화할 경우에는, 그룹(5)을 최대로 3회 연속시켜서 어드레스 신호의 형태로 1개의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EBU는, RDS 방식의 각 그룹에 대해서 반복율이 다르도록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트랜스페어렌트 채널은 25%의 값으로 된다. 1초당 그룹(5)을 3회 반송하면, 상기 퍼센트에 거의 달한다. 따라서, 1개의 교통 정보에 약 100비트를 필요로 하면, 1초당 1-개의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특징은, 교통 정보를 표준화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20)에 있어서,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가장 적합하게 검출 처리하여, 교통 정보를 광학적 또는 음향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교통 정보의 표준화에 대해서는, 아래의 점을 유의해야 한다. 가급적이면 적은 말로 필요한 말을 사용할 것(주요한 것만에 한정한다). 항상 같은 개념을 사용할 것, 1개의 사실에 비슷한 표현을 피할 것, 즉 1개의 표현만을 사용할 것, 항상 동일한 동사를 사용할 것, 공적인 전문용어로 바꾸어, 국민에게 사용되고 있는 표현을 우선으로 할 것(예컨대 잘못된 운전자 대신에 이상 운전자, 교통 신호 장치 대신에 신호)교통 정보, 바람직하기로는 장소 표시와 사실 보고에 대해 늘 같은 표현법을 사용하는 것 등이다.
장소 표시에 대한 표현법(순서), 노선번호, 노선 길이 및 방향, 장소의 상황 표시이다.
또한 사실보고에 대해서는, 다음의 형식에 따라서 형성된다. 교통상황, 설명 내지 원인(장소에 의한), 권고(장소에 의한).
다음으로 몇번이고 반복되는 표시에 대한 개요를 표시한다. 이 개요는, 교통 정보, 내지 그 구성을 부분을 디코더(20)의 교통 정보 메모리에 기억할 때에 중요해진다.
반복 표시에 대한 개요
고속도로 번호 Ax, x1, x2, x3,…
국도 번호 y, y1, y2, y3,…
노선 안내명(통상 장소명) E, E1, E2, E3,…
기타의 장소명(노선이외) F, F1, F2, F3,…
분기점명(BAB에서는 AK,AD,AS) M, M1, M2, M3,…
길이 표시 및 기타 다른 것을 위한 숫자 I, I1, I2, I3,…
다음의 표는, 교통 정보의「장소표시」의 부분과, 그 보충으로서 기능을 하는「장소표시」가 없는 표준 텍스트부분을 표시한다. 아래의 표에서, 교통 정보는 3개의 종목 I, II 및 0으로 분류된다.
교통 정보의「장소표시」부분의 개요
I=A×E1방향 E2M1, M2사이
II=A×E1방향 E2
「장소표시」부분의 표준 텍스트(종별 I) 번호
| I | 1Km 정체 1
| I | 1Km 정체, 화물자동차 고장 2
| I | 사고로 인해 1Km 정체 3
| I | 사고로 인해 1Km 정체 사고현장은 정리중 4
| I | 교통량증대로 인해 1Km 정체 5
| I | 공사 현장에 의해 1Km 정체 6
| I | 1Km 정체, 우측차선 차단 7
| I | 1Km 정체의 우려 8
| I | 정체 우려 9
| I | M3에서 M4까지 정체우려 경우에 따라서는 10
E1에서 E2까지
| I | 1Km 지체 11
| I | 1Km 지체, 교통량의 증대 12
| I | 1Km 지체, 교통량 증대 및 공사현장 13
| I | 1Km 지체, 공사현장 14
| I | 1Km 지체, 공사현장 15
| I | 사고로 인해 1Km의 지체 16
| I | 정지를 수반하는 1Km의 지체 17
| I | 정지를 수반하는 1Km 지체 18
| I | 정지를 수반하는 1Km의 지체 우측차선 차단 19
| I | 정지를 수반하는 1Km의 지체 공사현장 1
| I | 접속구 M전에서 정지를 수반하는 1Km의 지체 20
| I | 접속구 M전에서 정지를 수반하는 1Km의 지체 21
| I | 대향차선 사고에 의한 1Km 지체 22
| I | 추월차선 공사에 의한 1Km의 지체 23
| I | 많은 눈에 의한 교통곤란 24
| I | 노면 적설에 의한 교통곤란 25
| I | 노면 동결로 의한 교통곤란 26
| I | 눈에 의한 교통곤란 제설차 출동 27
| I | 1Km 정체, 노면 동결 28
| I | 안개에 의한 교통곤란 시계 100m 이하 29
| I | 안개에 의한 교통곤란 시계 50m 이하 30
| I | 구조 활동에 의한 교통곤란 31
| I | 교통량 증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교통곤란 32
| I | 교통은 또다시 문제없이 통함 33
| I | 화물 자동차, 우측차선을 이용 34
「장소표시」부분의 표준 텍스트(종별 II) 번호
| I | 접속구 M전에서 정지를 수반 1Km의 지체 1
| I | 출국시 국경 통과점 E 전에서 1Km의 지체 2
| I | 출국시 F로 향하는 국경통과점 E에 있어서, 3
45분의 대기시간
| I | 출국시 F에 향하는 국경 통과점 E에 있어서, 4
1시간 이상의 대기 시간
| I | F로부터의 입국시, 국경 통과점 E에 있어서, 5
대기 시간 길다.
| I | 교통이 또다시 문제없이 통함 6
| I | 적설이 커서 교통곤란 7
| I | M전에서 구조 활동에 의한 교통곤란 8
| I | 강풍에 의해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 9
| I | 특히 다리에서, 강풍으로 사고의 10
위험성이 증대
| I | 측풍에 의한 위험, 추출주의 11
| I | 접속구 M1에서 F1까지 12 우회 U11을 12
허가하고, 거기에서 U12에서 F2까지 달려,
거기에서, 또다시 고속도로 Ax로
| I | M1과 M2간에서 폭주차가 오므로 주의 13
우측엄수, 추월금지
「장소표시」부분의 정보를 보충하는「장소표시」부분이 없는 표준 텍스트(종별 0)
표준텍스트 번호
-우회의 권유 없음 1
-E방향으로 고속도로 Ax를 달림 2
-E방향에서 M에 있어서 Ax를 떨어져, By를 달림 3
-화물자동차 우측노선을 이용 4
-고속도로에서의 고장신고 없음 5
-형상 경찰(텍스트 삽입)에 의뢰, F의 형상 경찰에 정보를 원함 6
-호출, 등록번호…의 차를 대기 F에서의…시 지급 연락주십시오 7
이와 같이 개략을 표기한 교통 정보에 의해, 통상적으로 송신되는 거의 모든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고,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에 기억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에 기억되지 않은 장소나 고유명사의 전송은 문자문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표준화를 근거로, I의 종류의 교통 정보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x E1방향 E2 M1과 M2 사이 ( I ) 3 디코드된 문장에서는, 이것은 A7(고속도로(7)), 함부르크(8) 방향(9) 하노바, 슈바룸슈테트(와), 벨크호프(사이)에서, 사고로 인한 1Km 정체를 의미하게 된다.
이같은 예를 기초로 하여, 아래에 제3도 및 하기의 코드표에 의거하여, 부호화 방법을 설명한다.
C4,C3,C2,C1,C0의 5비트로 세분화 된다. C3와 C4는 선두의 식별과 몇회째의 그룹인가의 식별(그룹 (5)가 처음으로, 2회,…등 수신되었는가 어떤가)로서 사용된다.
비트 C3,C4가「00」일 때, 교통 정보는 종별 I 임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 교통 정보가 처음으로 송신된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 반면, 즉「11」은 통보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표시하고, 또한 동일 정보의 종별이 I인 것도 표시하고 있다(종류 I,II,III의 정보는 최대(3) 그룹 길이이다). 동일하게 비트가「01」,「10」인 경우에느, 그룹 5(2) 및 그룹 5(3)이 송신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C0내지 C2의 비트는, 교통 정보의 종별 내지 구조를 표시하고,「000」이면 종별 I을,「001」는 종별 II등을 표시한다. 「111」의 코드는, 아래의 통보가 문자문 (ASC II)으로 전송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문자문의 경우, 블록(3), (4)내(각각 16비트 이용가능)에 5비트로 구성되는 3문자(3×5=15) 더하기 1비트가 전송된다. 최후의 비트는 연속 비트라 불리고, 또다시 ASC II 문자가 계속되느냐 어떠한가 표시된다.
문자문 전송의 경우, 1문자당 6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양 블록(3),(4)의 내부에는 32비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6비트로 이루어진 5문자가 전송될 수 있고, 또 상술한 연속성을 표시하는 2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여 무선 교통 디코더(20)내에서 행해지는 교통 정보의 디코드화의 흐름을 설명한다. 그런 경우, 교통 정보는 트랜스페어렌트 채널(그룹 5)을 거쳐서 전송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즉, RDS 디코더(18)는 그룹(5)의 정보 워드를 블록마다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로 이송된다.
먼저 시프트 레지스터(38)를 사용해서 블록(2)에서 비트 C4내지 C0까지의 검출이 행해진다. 비트 C0에서 C2는 종별 메모리(40)에 입력이 되고, 거기에서 교통 정보의 종별, 즉 I, II, O 혹은 ASC II인지가 검출된다. 비트 C3에서 C4는 선두 식별 메모리 (42)로 보내진다. 이 선두 식별 메모리(42)는, 앤드 게이트(44,46,48)를 거쳐서 시프트 레지스터(50,52,54)와 접속되고, 블록(3,4)와의 관련을 조정한다. 시프트 레지스터(50,52,54)로부터의 병렬 정보는 멀티플렉서(56)를 거쳐서 연속적으로 교통 정보 메모리(58)에 입력된다. 이 메모리는, 모든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의 표시, 관련번호, 장소명, 고속도로 출발점의 이름, 교차점명등을 기억하고 있다.
교통 정보 메모리(58)(ROM)는, 많은 구간을 갖고 있으며, 각 구간에 여러 종류의 교통 정보를 각 나라말로 기억하고 있으며, 이들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국명 코드 메모리(60)에 의해 RDS 신호의 블록 위치에 포함되는 PI 코드에서 국명을 검출하고, 교통 정보 메모리(58)의 관련 구간에 접속이 행해진다.
교통 정보 메모리(58)로부터의 정보는 디멀티플렉서(64)로 유도되고, 그것에 의해 광학 장치의 대응하는 표시소자를 구동한다. 예컨대 제4도에서 교통 정보가「함부르크에서 하노버로 향하는 A7의 솔더우스드와 도르프마르크 간에서 3Km의 정체」라는 정보를 표시하고 있었다면, 이것이 독일어와 영어(독일어의 장소 표시로)로 재현된다.
광학표시(24)를 행하는 경우, 문자를 이동시켜서 출력시킬 수도 있고, 또한 음성 출력을 이용하고, 교통 정보를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일도 가능하다. 표시 위치 내지 음성 출력은 통보의 종류와 구조에 관계를 하고 있으므로, 종별 메모리(40)는 그 정보를 멀티플렉서(56)만이 아니고, 문자문처리 장치(62)에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기억되지 않은 텍스트 내용을 갖는 특수한 통보를 재생할 수가 있다. 기타 교통 정보 메모리(58)는 ASC II 테이블도 갖고 있다.
가지고 있는 도로 카드에 의해 지원되는 독립 교통 안내 시스템을 교통량에 관계하여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RDS 신호의 그룹(5)의 정보를 디코드하여,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메모리(66)를 거쳐서 관련 테이블(68)을 구동시킨다. 관련 테이블(68)에서 정보가 RAM메모리(72)에 기억된다. 이 메모리(27)는 임의의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다수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ROM 메모리(66) 및 관련 테이블(68)은 대형 메모리(CD-ROM)에 기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련 테이블(68)을 도로 카드 정보도 갖는 ROM 디스크에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산회로를 설치해, 지체 길이를 충분한 대기 시간으로 환산하고, 그것을 관련하는 노선의 주행 시간에 부가해서, 독립 교통 안내 시스템을 교통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지체 길이를, 기억된 도로카드에서 도로측정을 일으키는 독립 교통 안내 시스템에 사용하기 때문에 도로 길이로 변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다시, 시계와 시간 메모리를 설치해, 새로 수신한 정보의 통보 시점을 기억하거나, 혹은 교통 정보의 경과 시간을 알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4도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가 설치된다. 이 경우 그룹(5)을 거쳐서 수신된 신호의 검출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적합하도록 행해진다.
본 발명의 디코더(20)에 관한 상술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이해된다. 공지의 RDS 방식은, 초단파 무선 방송국의 변조 스펙트럼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해지며, 그 경우, 그 전송을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평행하게 행할 수가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블록마다 배열이 되고, 교통 정보는 표준화되어, 즉 코드값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빈번히 사용되는 장소염등도 코드값에 의해 표시되고, 이와 같이 부호화된 교통 정보는 RDS 데이터 전송의「트랜스페어렌트 채널」을 거쳐서 전송된다.
1개의 교통 정보를 보내는데에 1초가 필요해진다. 즉 1분 이내에서 예컨대 50 내지 60의 교통 정보를 송신하며, 주기적으로 되풀이 할 수 있다.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20)를 구비한 수신기에서는,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평행하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고, 그 정보(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주행 루트에 관련하는 것만이)를 재생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출력을 합성어 혹은 외국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20)에 재생장치(22)와 접속가능한 정보 메모리를 설치할 수도 있고, 수신기(10)를 최초로 작동시키는 경우, 그때까지 수신되고 검출된 교통 정보를 한번에 재생할 수가 있다. 그 후는 작동후 얻어지는 새로운 교통 정보만이 재생된다.
교통 정보의 1개의 정보 영역의 개시 내지 종료를 체크 워드8C')에 의해 특징지을 수가 있고, 체크 워드(C')에 의해 특징이 지어지는 그룹은, 상기 정보 영역에 포함이 되는 정보수도 갖고, 모든 정보가 1회에 완전히 수신되었을 때만이 디코더에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정보수는, 종별(I, II, 0, ASC 11)마다 C' 그룹에 포함이 되어 있으며, 수신기에 있어서 가산하므로서 완전함을 체크한다.
또한, 입력장치와 접속된 주행 루트 메모리를 설치해, 주행 루트 입력시 그 주행 관련한 교통 정보만을 재생하도록 하여도 좋고, 정보를 주행 루트에 관련시켜, 장소 고유 혹은 주행구간 고유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교통 정보수를 검출하는 카운터, 혹은 장소 고유 또는 주행 구간 고유의 교통 정보를 검출하는 다른 카운터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주행 루트를 그것에 속하는 도로 번호에 의해, 혹은 그 주행 루트에 있는 장소명에 의해 특징짓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RDS 방식만의 이용에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는 다른 디지털 전송 시스템, 예컨대 팩시밀리 시스템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이용하면, 57KHz 부반송파의 디코더를 구비한 교통 정보 통보 장치라 칭하는 회로 장치를 수신측에 구성할 수가 있다.
교통 정보 통보 장치는, 소정의 어드레스 아래에 여러 종류의 도로 교통 정보를 기억하고, 호출할 수 있는 제1데이타 메모리를 갖고, 또한 다수의 도로 표시, 장소명 및 상황 등의 교통 정보를 소정의 어드레스 아래에 기억하고, 호출할 수가 있는 다른 데이터 메모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교통 정보 통보 장치도 단지 메모리 어드레스 내지 코드값만을 전송시킨다는 본 발명의 생각에 의거하고 있다. 수신기에서는 각 어드레스에 교통 정보의 구조 및 구성부분이 기억되어져 있다. 전송되는 어드레스의 종류에 따라,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호출이 되므로, 표시장치(22)상에 관련하는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는 예컨대 자연재해나 생명에 관한 위험성이 발생하는 경우 등의 긴급정보를 통보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 메모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제6도에는 무선 교통 정보 통보 장치를 AM 라디오 수신기에 사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99)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예컨대 오트다인 수신기로서 구성되는 방송 수신기(100)에 입력된다. 방송 수신기(100)의 중간 주파수단의 출력 단자에는, AM 복조기(101)와 위상 검파기(102)가 접속된다. AM 복조기(101)의 출력은 저주파 증폭기(103)로 유도되어, 이 증폭기에는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106)가 접속된다. 위상 검파기(102)에는 저역 통과 필터(104)가 접속되고, 그 출력 신호가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105)에 입력된다. 진폭 변조된 신호는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송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위상 검파기(102)에 의해 진폭 변조된 신호의 반송파의 위상 변조가 검파된다. 반송파 자체는, 예컨대 RDS 방식에 따라 디지털 교통 정보에 의해 변조된다. 위상 검파기의 출력에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104)를 거쳐서, 이미 상술한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105)에 입력된다. 이 경우, 동일하게 RDS 포맷을 이용할 수 있고, 동일한 디코더를 이용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컨대 신호를 매우 고속의 데이터 속도로 전송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의 데이터 속도를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정보가 디지털화 되고, 그것이 부반송파를 거쳐 반송되고, 교통 정보가 디코드되므로,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일이 없고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다. 이 교통 정보는, 소정의 개요에 따라 표준화되어, 디코더내에 기억되므로, 각 교통 정보를 나타내는 대응한 디지털 신호를 전송시키는 것만으로 끝나는 잇점이 얻어진다.

Claims (30)

  1. 디지털 신호를 갖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에서, 무선 방송 전송기의 디지털 신호는 상기 수신기의 디코더에서 디코드되고, 상기 디코드되어 평가된 디지털 신호는 사용자 정보 또는 트리거링 기능(the triggering of function)으로 사용되며, 교통 정보를 알리는 디지털 신호의 검출을 위한 수단을 갖는 무선방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교통 예고, 도로, 도심, 교차로, 지리 영역같은 여러 형태의 교통 정보가 기억되는 메모리(58,60,40,42)를 가지며, 교통 정보용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수반하는 디지털 신호 중 최소한 몇몇 신호는 어드레스 신호이며, 이들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58,60,40,42)에 대응하는 메모리 장소는 호출될 수 있으며, 이들 메모리 장소내의 교통 정보는 음향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 신호는 기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무선 방송 신호상에 중첩된 부반송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용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도록 교통 무선 정보 디코더(20)가 제공되며, 광학 표시 장치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재생 장치로서 후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용 디지털 신호를 수반하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도록 교통 무선 정보 디코더(20)가 제공되며, 합성 음성용 음향 또는 전기 스피킹 장치(26)가 교통 정보를 가청가능하게 재생하는 재생 장치로서 후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는 규격화된 표준 텍스트(I, II, 0)로 분류되며, 상기 표준 텍스트의 각 구성은 상세한 어드레스 신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호출된 메모리 장소에서, 교통 정보는 기록된 형태, 음성 또는 광학 출력을 통해 표준 텍스트로서 온-콜(on-call)로 기억될 수 있으며 재생 장치(22)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몇몇 디지털 신호는 문자문 신호(plain-text signal)(ASC II)이며, 상기 수신기(10)는 수신된 교통 정보를 광학적, 전기적 또는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문자문 처리 장치(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문자문 신호(ASC II)에 할당된 신호는 계속적으로 문자문 신호가 수반되는가 어떤가를 표시하는 연속 비트 형태로 연속 코드에 의해 수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교통 정보의 종별을 표시하는 종별 정보(I, II, 0, ASC 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최소한 4개의 다른 종별 정보(1,2,0,ASC II)가 제공되며, 표준 텍스트는 최소한 3개의 형태의 종별(I, II, 0)로 분류되고, 다른 형태의 종별(ASC II)에는 문자문으로 전송된 교통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문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의 다수 블록(2-4)을 통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 중 하나에서, 문자문(ASC 11)으로 수신된 교통 정보와 표준 텍스트 형태의 종별(I, II, 0)을 식별하는 최소한 3개의 비트가 리저브(resers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표준 텍스트는 장소 표시가 없는 표준 텍스트(0)와 장소 표시가 있는 표준 텍스트(I, II)로 분류되며, 표준 텍스트는 메모리(58)내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클럭 메모리 및 시간 메모리가 제공되며 새로 수신된 메시지의 시점을 기억하거나 또는 교통 정보의 결과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일련의 교통 정보의 시작과 종료는 체크 워드(C')에 의해 특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 수는 체크 워드(C')에 의해 특징된 그룹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모든 정보가 최소한 1번 완전히 수신되었을 때만 디코더(20)에 의한 메시지의 출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수는 체크 워드(C')를 갖은 그룹내 종별(I, II, 0, ASC II)에 포함되며, 완전한 검색은 합산에 의해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수신기(10)의 스위칭후, 수신된 모든 교통 정보는 한번 재생되고, 그후, 단지 새로운 교통 정보만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입력 장치와 접속된 주행 로트 메모리를 구비하며, 주행 루트 또는 주행 방향 입력시, 주행 루트 또는 주행 방향에 관련한 교통 정보만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주행 루트에 정보의 할당에 의해 고유 장소 또는 고유 루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수신기 메모리(58,60,40,42)는 여러나라 언어로 여러 형태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4. 제23항에 있어서, 한 수신기 메모리(60)는 국명 코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 메모리(58)는 국면 코드 메모리(60)에 의해 고유 국가로 스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6. 제25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 메모리(58)는 다수의 레벨로 존재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로 형성되며, 각 레벨에 고유 국가 교통 정보가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7. 제26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는 블록 방식으로 전송되고, 상기 교통 정보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상기 교통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되었는가 또는 교통 정보가 주기적이고 반복 정보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8. 제27항에 있어서, RDS 디코더(18)는 수신기(10)의 후단에 접속되며, 상기 디코더(18)는 교통 정보가 맨처음 전송되었다면 교통 정보의 기억 및 재생을 실행하며, 주기적으로 반복된 교통 정보의 경우 디코더는 교통 정보가 기억 및 재생되었는가를 검색하고 만약 기억 및 재생이 아직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교통 정보의 기억 및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자동 교통 제어 시스템에 접속되고, 수신된 교통 정보는 특정 메모리(66)를 통해 자동 교통 제어 시스템의 테이블(assignment table)(68)에 제공되며 자동 교통 제어 시스템의 교통 종속 효과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30. 제29항에 있어서, 특정 메모리(66) 및 할당 테이블(68)은 도로 지도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 교통 제어 시스템의 매스(mass) 기억수단상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 시스템용 수신기.
KR1019860008681A 1985-10-16 1986-10-16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KR95000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536820.9 1985-10-16
DE19853536820 DE3536820A1 (de) 1985-10-16 1985-10-16 Verkehrfunk-deco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88A KR870004588A (ko) 1987-05-11
KR950007496B1 true KR950007496B1 (ko) 1995-07-11

Family

ID=628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681A KR950007496B1 (ko) 1985-10-16 1986-10-16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1912B2 (ko)
KR (1) KR950007496B1 (ko)
DE (1) DE3536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2122T3 (de) * 1987-05-09 2004-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inrichtung für Empfang und Verarbeitung von Strassennachrichtenmeldungen
DE3734320A1 (de) * 1987-10-10 1989-04-27 Samtec Gmbh Geraet,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zum abhoeren bereits ausgestrahlter ari- bzw. rdc-meldungen
DE3810180A1 (de) * 1988-03-25 1989-10-05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aenger, insbesondere fahrzeugempfaenger
DE3810177C2 (de) * 1988-03-25 1999-06-17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insbesondere Fahrzeugempfänger
DE3810179C2 (de) * 1988-03-25 1999-07-29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insbesondere Fahrzeugempfänger
DE3820640C2 (de) * 1988-06-18 1997-04-03 Bosch Gmbh Robert Auswerteverfahren digitaler Verkehrsnachrichten
DE3820639A1 (de) * 1988-06-18 1989-12-21 Bosch Gmbh Robert Stromsparende stand-by-funktion in tmc-empfaengern
DE3820641A1 (de) * 1988-06-18 1989-1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wertung von in einem datentelegramm digital codiert empfangener verkehrsnachrichten sowie rundfunkempfaenger
DE3824309A1 (de) * 1988-07-18 1990-01-2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wertung von in einem datentelegramm digital codiert empfangener verkehrsnachrichten, sowie rundfunkempfaenger
DE3903468A1 (de) * 1989-02-06 1990-08-09 Blaupunkt Werke Gmbh Eingabe zur wiedergabe von warnmeldungen
EP0404007B1 (en) * 1989-06-19 1995-09-06 Nec Corporation Method for superimposing independently transmitted data on pager display
DE3926180A1 (de) * 1989-08-08 1991-02-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fahrtroutenselektiven wiedergabe digital codierter, von einem sender zu einem fahrzeugempfaenger uebertragener verkehrsnachrichten sowie fahrzeugempfaenger
DE3936577A1 (de) * 1989-11-03 1991-05-08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aenger, insbesondere fahrzeugempfaenger
US5131020A (en) * 1989-12-29 1992-07-14 Smartroutes Systems Limited Partnership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inually updated traffic or other information to telephonically and other communications-linked customers
US5193214A (en) * 1989-12-29 1993-03-09 Robert Bosch Gmbh Vehicular radio receiver with standard traffic problem database
US5095532A (en) * 1989-12-29 1992-03-10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selective reproduction of broadcast traffic announcements
NL9000533A (nl) * 1990-03-07 1991-10-01 Philips Nv Werkwijze voor de overdracht van radio-data-systeemsignalen met verkeersprogramma-identificatie en ontvanger voor dergelijke radio-data-systeemsignalen.
DE4008460A1 (de) * 1990-03-16 1991-09-19 Bosch Gmbh Robert Navigationssystem
DE4112828C2 (de) 1991-04-19 1999-01-28 Bosch Gmbh Robert Chipkarte für einen Rundfunkempfänger
IT1254595B (it) * 1992-06-26 1995-09-28 Securvia Italia Srl Sistema per la rice-trasmissione di informazioni tra stazioni fisse e mobili.
DE4237987B4 (de) * 1992-11-11 2004-07-22 Adam Opel Ag Elektronische Einrichtung
DE4314614C2 (de) * 1993-05-04 1997-04-24 Bosch Gmbh Robert Chipkarte und Lesegerät für eine Chipkarte
DE4344173A1 (de) * 1993-12-23 1995-06-29 Philips Patentverwaltung Bedienteil für einen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03420A1 (de) * 1995-02-03 1996-08-08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zum Empfang und zur Wiedergabe von digital codierten Verkehrsmeldungen
DE19503416A1 (de) * 1995-02-03 1996-08-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ecodierung und zur Ausgabe von empfangenen digitalen codierten Verkehrsmeldungen
DE19503417A1 (de) * 1995-02-03 1996-08-08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Sprachausgabe von digital codierten Verkehrsmeldungen
DE19510219A1 (de) * 1995-03-21 1996-09-26 Blaupunkt Werke Gmbh Verfahren zum Aufzeichnen von Verkehrsfunkmeldungen
FR2734938A1 (fr) * 1995-05-31 1996-12-06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information routiere muni d'un generateur de messages polyglotte
DE19527186A1 (de) * 1995-07-26 1997-01-30 Philips Patentverwaltung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27187A1 (de) * 1995-07-26 1997-01-30 Philips Patentverwaltung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27185A1 (de) * 1995-07-26 1997-01-30 Philips Patentverwaltung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27183A1 (de) * 1995-07-26 1997-01-30 Philips Patentverwaltung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27831A1 (de) * 1995-07-29 1997-01-30 Philips Patentverwaltung RDS-TMC-Rundfunkempfänger
DE19538453A1 (de) * 1995-10-16 1997-04-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unksignalempfänger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RDS-Dekoder für digitale Signale
JP3569393B2 (ja) * 1996-07-31 2004-09-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放送受信機
DE19642466A1 (de) * 1996-10-15 1998-04-1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Nachricht aus Texteinträgen
DE19905893A1 (de) 1999-02-11 2000-08-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 codierten Verkehrsnachrichten und Funkempfänger dazu
WO2001006477A1 (de) * 1999-07-20 2001-0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arbeitung von zustandsberichten eines systems
DE19937372A1 (de) 1999-08-12 2001-02-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nforderung und zur Verarbeitung von Verkehrsmeldungen
WO2001016914A1 (de) * 1999-08-30 2001-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arbeiten einer zustandsbeschreibung eines systems
DE10038765A1 (de) 2000-08-09 2002-0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 codierten Verkehrsnachrichten
DE10145298A1 (de) * 2001-09-14 2003-04-17 Bosch Gmbh Robert Vorrichung zum Empfangen, Aufzeichnen, Abspeichern und Wiedergeben von insbesondere auf den Straßenverkehr bezogenen Daten, Informationen und/oder Signalen und allgemeine Zusatzinformationen
US7848878B2 (en) 2003-12-27 2010-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eographic information trans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DE102004009459A1 (de) 2004-02-27 2005-09-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sgabe von textuellen Informationen mittels einer Anzeige
DE102004035983A1 (de) * 2004-07-23 2006-02-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 codierten Meldungen in Datengruppen und Empfänger
DE102005062019A1 (de) 2005-12-22 2007-06-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Codierung von Meldungen, Verfahren zur Decodierung von Meldungen und Empfänger zum Empfang und zur Auswertung von Meldungen
US7587186B2 (en) 2006-04-14 2009-09-0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the radio transmission of traffic messages and radio receiver
JP5628543B2 (ja) * 2010-03-31 2014-11-19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交通情報処理装置、交通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0581A (nl) * 1977-02-25 1978-08-29 Philips Nv Radio-omroepsysteem met kodesignalering.
JPS5420281A (en) * 1977-07-15 1979-02-15 Maakurando Denshi Kougiyou Kk Road traf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JPS54121383A (en) * 1978-03-13 1979-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Traffic information system
JPS5629798A (en) * 1979-08-18 1981-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Traffic information system
DE3400368A1 (de) * 1984-01-07 1985-07-18 Hans-J. 2112 Jesteburg Schultze Verkehrsfunk-speicherung
DE3516282A1 (de) * 1985-05-07 1986-11-13 Blaupunkt Werke Gmbh Digitaler demod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1912B2 (ja) 1996-03-04
JPS62111536A (ja) 1987-05-22
DE3536820A1 (de) 1987-04-16
DE3536820C2 (ko) 1990-01-25
KR870004588A (ko) 198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96B1 (ko) 무선 교통 정보 디코더
JP3939348B2 (ja) 車両ドライバへの情報提供装置
US5752177A (en) Radio receiver, in particular a vehicle radio receiver
US663380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US699608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ly coded traffic information and radio receiver for same
TW381386B (en) RDS-TMC broadcast receiver
US20030054804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y means of a broadcast transmitter,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by a broadcast transmitter, method for the control of a broadcast receiver and a broadcast receiver
US6434138B2 (en) Process for transmitting messages by digital sound broadcasting and receiver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EP0263253B1 (en) Method for broadcasting text messages on a sub-carrier associated with a radiophonic carrier frequency
KR20000021530A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이용한 교통정보단말기
KR100440358B1 (ko) 디지탈코딩된교통메시지의수신및재생을위한무선수신기
US6018649A (en) RDS-TMC radio receiver for processing region-specific and supra-regional road or area indications
JPH0946243A (ja) 無線放送受信機および符号化メッセージの処理モジュール
TW317675B (ko)
KR100450913B1 (ko) 디지털코딩된트래픽메세지의음성출력장치
EP0752146B1 (en) Method of and receiver for processing and reproducing a message
US5913157A (en) Receiver composing RDS-TMC message for display or voice output
JPH10326099A (ja) 音声片メモリを含むrds−tmc無線受信機
Davies et al. Standards for the 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KR100478543B1 (ko) 교통안내송신방법및그에이용되는수신기
Davies The radio system-traffic channel
JPH01276928A (ja) 放送受信機たとえば車輌受信機
JP2002064391A (ja) 多重放送受信機
JP3761599B2 (ja) 多重放送用受信装置
Suchowerskyj Vehicle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in Europe-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