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71B1 -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71B1
KR950006871B1 KR1019900001110A KR900001110A KR950006871B1 KR 950006871 B1 KR950006871 B1 KR 950006871B1 KR 1019900001110 A KR1019900001110 A KR 1019900001110A KR 900001110 A KR900001110 A KR 900001110A KR 950006871 B1 KR950006871 B1 KR 95000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weight
adhesive composition
vinyl pyridine
copolym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36A (ko
Inventor
히로시 히사끼
오사무 모리
모또후미 오야마
Original Assignee
닛뽕제온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사와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제온 가부시끼가이샤, 다끼사와 다께시 filed Critical 닛뽕제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섬유와 고무의 복합 재료는 자동차 타이밍 벨트, 폴리 리브 벨트, 콘베이어 벨트, 호스 및 격판에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 재료용 고무로서 종래에는 내유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NBR)을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이 고무가 내열성을 가짐으로써 자동차 중량 감소를 위한 기관실 크기 감소 및 소음 조정을 위한 기관실 용접 밀폐에 대처할 것이 요구되어 왔고, 이제 높은 내열성 및 내유성을 갖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를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로 처리한 나일론 섬유, 레이온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의 복합 재료는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면, 생성되는 벨트 제품은 제조 즉시 충분한 접착력(초기 접착력)을 갖지만, 섬유 전처리 조건 또는 라텍스에 담근후의 섬유 처리 온도에 따라, 고온에서 사용한 후의 접착력(내열성 접착력)은 재생될 수 없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처리하는 것은 공업상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초기 접착력 및 내열성 접착력이 모두 높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복합 재료를 수득할 목적으로 열심히 연구하여, 상기 목적을 특수한 라텍스로 주로 구성된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특수한 방법으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1)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AR)로 처리하고, (2)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 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B)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BR)로 더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 및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및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복합 재료를 제공한다.
라텍스(A)를 구성하는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는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접착성의 견지에서 바람직하게는 25∼6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 및 40∼75중량%의 공액 디엔 단위 함량을 갖는다. 또한, 공중합체는 다른 단위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다른 단량체 단위를 4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라텍스(A)의 합성시 사용할 수 있는 공액 디엔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예로서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할로겐-치환 부타디엔과 같은 지방족 공액 디엔이 포함된다. 공액 디엔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2-비닐 피리딘은 라텍스(A)의 합성용 비닐 피리딘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3-비닐 피리딘, 4-비닐 피리딘, 2-메틸-5-비닐 피리딘 및 5-에틸-2-비닐 피리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 치환될 수 있다.
공액 디엔 및 비닐 피리딘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이소프로필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4-t-부틸스티렌, 5-t-부틸-2-메틸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플루오로스티렌 및 히드록시메틸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산 및 부텐-트리카르복실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에틸 아타코네이트, 부틸 푸마레이트 및 부틸 말레에이트와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 술포에틸아크릴산 나트륨, 술포프로필메타크릴산 나트륨 및 아크릴 아미드 프로판 술폰산과 같은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의 염 ; 및 에틸렌, 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지방족 비닐 화합물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유제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타 방법 역시 사용 될 수 있다. 중합시 단량체 첨가 방법에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다. 사용되는 단량체를 모두 한번에 중합 용기로 첨가하여 한 단계로 중합할 수 있다. 약간의 단량체를 중합하고, 나머지 단량체를 한번에 첨가하여 중합을 계속하는 것(이단계 중합)도 가능하다. 또한, 약간의 단량체를 중합한 후, 나머지 단량체를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라텍스(A)는 유제-중합 방법으로 직접 제조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수득한 공중합체의 유기 용매 용액을 제조한 후 용액을 상전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라텍스(B)를 구성하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는 120이하, 초기 접착력의 견지에서 바람직하게는 10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공중합체 고무는 10∼60중량%의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 단위 함량을 갖는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는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중합체로서 직접 수득할 수 있다. 또는 더 큰 비율의 공액 디엔을 사용함으로써 수득한 더 큰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함유 공중합체 고무를 수소화시켜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공중합체 고무를 수득할 수 있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의 예로서는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공액/디엔 공중합체 고무의 공액 디엔 단위를 수소화시켜 수득한 공중합체 ;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공액 디엔/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삼중합체 및 이들 고무의 공액 디엔 단위를 수소화시켜 수득한 생성물 ; 및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공중합체 고무가 포함된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의 제조용,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은 니트릴기 및 중합할 수 있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그 특정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이 포함된다.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과 공중합할 수 있는 공단량체의 예로는 공액 디엔 및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포함된다.
이들은 라텍스(A)의 제조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공액 디엔일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이타코네이트, 부틸 푸마레이트, 부틸 말레에이트, 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에톡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 (메트)아크릴아미드 ;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에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치환(메트)아크릴아미드 ; 시아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시아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6-시아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시아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시아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플루오로에틸 비닐 에테르와 같은 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 및 비닐 피리딘이 포함된다.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공중합체 고무는 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단위의 일부가 비닐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1,4-헥사디엔과 같은 비공액 디엔 단위에 의해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중합하는데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공중합체 고무의 수소화 반응 역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의 특정 예로서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이소프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및 이소프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의 수소 첨가 생성물 ; 부타디엔/메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부타디엔/아크릴산/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및 이들의 수소 첨가 생성물 ; 부타디엔/에틸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 부틸 아크릴레이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비닐 노르보르넨/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가 포함된다.
라텍스(B)는 용액-중합에 방법에 의해 수득한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를 후속 수소 첨가 반응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통상적인 상전화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유제 중합 방법 또는 상전화 방법에 의해 수득한 높은 요오드가의 니트릴기-함유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를 수소 첨가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전화 방법은 예컨대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제248879/1988호에 기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이 손상되지 않는한, 접착제 조성물(AR) 및/또는 (BR)의 라텍스의 일부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 변형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 변형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 및 천연 고무 라텍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는 통상적인 것(예컨대,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제142635/1980호에 기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종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해온 2,6-비스(2,4-디히드록시페닐메틸)-4-클로로페놀, 이소시아네이트,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틸렌우레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 조성물(AR)은 라텍스(A)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접착제 조성물(BR)은 라텍스(B)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접착제 조성물(AR) 또는 (BR)에서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은 라텍스(A) 또는 (B)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0∼180중량부(건조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될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ㅏ. 예컨대, 상기 섬유는 일본국 특허 공보 제50184/1982호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섬유는 얀(yarn), 코드(cord), 연속 필라멘트 또는 직물(fabric)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또한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먼저 접착제 조성물(AR)로 처리한 후, 접착제 조성물(BR)로 처리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접착제 조성물(AR) 및 (BR)로 처리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고, 공지된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중합체 라텍스 접착제 조성물로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하기와 같다 :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먼저 접착제 조성물(AR)에 담그고, 임의로 건조시킨 후, 열처리한다. 가열 조건에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다.
가열은 접착제 조성물을 반응시켜 침수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접착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하에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열 온도는 약 140∼약 250℃이고, 가열 시간은 수 분이다.
이어서, 섬유를 접착제 조성물(BR)에 담그고, 임의로 건조시킨 후, 열처리한다. 열처리 조건은 접착제 조성물(AR)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침수시키기 전에, 섬유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용액 또는 에폭시 화합물 분산액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에 담근 후, 건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이 경우의 건조 온도가 접착제 조성물에 담근후에 사용된 건조 온도보다 낮은 것이다.
섬유상에 흡수되는 접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에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중량에 대해 통상적으로 2∼20중량%,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이다. 접착제 조성물(BR)의 고형분의 양에 대한 접착제 조성물(AR)의 고형분의 양의 비는 어떠한 제한도 없으나, 통상적으로는 50 : 50∼80 : 20이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고무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본 발명에서 수득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가황에 의해 상기 고무에 결합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 복합 재료에서, 가황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결합되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는 라텍스(B)에서 사용한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고무를 가황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고, 가황에 의해 고무를 섬유에 결합시킬때 종래 사용한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가황제 및 충진제와 같은 화합제를 고무와 섞어 제조한 고무 화합물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끼워 넣은 후, 고무 화합물을 가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가황은 통상적으로 120∼180℃에서 0.5∼10MPa 압력하에 1∼120분으로 수행한다.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재료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및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수득한 종래의 복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초기 접착력을 가지고, 고온에서 오랫동안 사용후에도 고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재료는 타이밍 벨트, 폴리리브 벨트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으로 한다.
[라텍스(A)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오토클레이브를 각각 10부의 표 1에 기재된 단량체 혼합물, 150부의 물, 0.1부의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테트라나트륨, 5부의 라우릴 황산나트륨, 0.5부의 탄산수소나트륨, 0.5부의 t-도데실메르캅탄 및 0.3부의 과황산 칼륨으로 채우고, 교반하에 60℃에서 반응시킨다. 전환율이 95%에 이르면, 0.05부의 히드로퀴논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다. 압력을 감소시키고, 반응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라텍스 A-1∼A-6을 수득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 1에 지시된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라텍스C-1 및 C-2를 수득한다.
[표 1]
Figure kpo00001
[라텍스(B)의 제조]
유제 중합에 의해 수득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NBR, 결합된 아크릴로니트릴 양37%)를 메틸 이소부틸케톤중에 용해시키고, 그 부타디엔 부분을 팔라듐-탄소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시켜 요오드가 80을 갖는 수소화 NBR을 수득한다. 60부의 수소화 NBR을 메틸에틸케톤의 50부피양% 및 시클로헥산 50부피양%의 혼합물 540중에 용해시킨다. 균일 혼합기(도꾸슈 기까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공 M형)에 의한 교반하에 올레산 칼륨의 15% 수용액의 32부를 수산화 칼륨을 사용하여 pH 11.5로 조정하고, 600부의 물을 가한 후, 혼합물을 10분간 분당 12,000회전(rpm)으로 교반시켜 유제를 형성한다. 유제를 증기 제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증발기에 의해 농축시켜 약 30%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라텍스를 수득한다. 이어서, 원심 분리기(고꾸산 엔-신끼 가부시끼가이샤제 H251형)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0,000rpm으로 16분간 원심분리시켜 40%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라텍스 B-1을 수득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40%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라텍스 B-2를 요오드가 28을 갖는 수소화 NBR로부터 제조한다.
또한, 약 30%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NBR 라텍스(NBR의 요오드가 248, 결합된 아크릴로니트릴 37%)를 유제 중합에 의해 제조한다. 이 라텍스는 라텍스 D-1로 명명한다.
[접착제 조성물(AR)의 제조]
16.6부의 레조르시놀, 14.6부의 포름알데히드 37% 수용액 및 1.3부의 수산화나트륨을 333.5부의 물중에서 용해시키고,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에 반응시킨다. 100부의 라텍스(A)를 생성된 용액에 가하고, 2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에 반응시킨다. 이어서, 80부의 볼카본드 E(불낙스 주식회사제)를 가하고, 수용액의 고형분 농도를 20%로 조정하여 라텍스(A)에 대응하는 접착제 조성물(AR)을 수득한다.
[접착제 조성물(BR)의 제조]
11부의 레조르시놀, 16.2부의 포름알데히드 37% 수용액 및 0.3부의 수산화 나트륨을 238.5부의 물중에 용해시키고, 2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에 반응시킨다. 100부의 라텍스(B), 22.6부의 암모니아수(14% 농도) 및 47.9부의 물을 생성된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에 반응시켜 라텍스(B)에 대응하는 접착제 조성물(BR)을 수득한다.
[결합용 고무 화합물의 제조]
표 2에 나타난 배합법에 따라,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및 배합제를 롤상에서 혼련하여 한장이 약 2.5mm의 두께를 갖는 형태로 고무 화합물을 제조한다.
[표 2]
Figure kpo00002
(* 1) : 닛뽕 제온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으로 요오드가 28 및 결합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36%를 갖는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코드(cord)(구조 1100d/2×3)를 라텍스 A-4를 사용함으로써 수득한 접착제 조성물 AR-4로 시험 단일 코드 침액기에 의해 각각 처리시킨 후 245℃에서 1분간 열처리한다. 이어서, 생성된 코드를 접착제 조성물 BR-1에 침지시킨 다음, 245℃에서 1분간 열처리한다.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표 2의 배합법에 따라 제조한 고무 화합물에 끼워 넣어 매몰 길이가 8mm가 되도록 한다. 고무 화합물을 150℃에서 5MPa 압력하에 30분간 압축 경화하여 섬유-고무 복합 재료를 수득한다.
복합 재료의 초기 접착력은 ASTM-D-2630에 따라 코드 박리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측정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복합 재료를 공기 오븐내에서 120℃에서 168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코드 박리 시험을 수행시켜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2).
[비교예 1 및 2]
접착제 조성물 AR-4에 의한 침액처리 또는 접착제 조성물 BR-1에 의한 침액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재료를 제조한다. 복합 재료의 초기 접착력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1 및 3).
[표 3]
Figure kpo00003
표 3에서 수득한 결과는 접착제 조성물(AR) 및 (BR)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초기 접착력 및 우수한 내열성 접착력을 갖는 복합 재료를 수득하지만, 접착제 조성물(AR) 또는 (BR)중 하나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사용할 경우는 조악한 초기 접착력 또는 조악한 내열성 접착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라텍스 A-1, A-2, A-5 및 A-6으로부터 각각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 AR-1, AR-2, AR-5 및 AR-6 및 라텍스 B-1으로부터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 BR-1을 각각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침액처리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코드로부터 복합 재료를 수득하고, 고무 화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2의 배합법에 따라 제조한다. 생성된 복합 재료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드 박리 시험을 수행하여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5∼8).
[비교예 3 및 4]
라텍스 C-1 또는 C-2를 라텍스 A-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재료를 제조하고,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4 및 9).
[표 4]
Figure kpo00004
표 4에서 나타난 결과는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라텍스로부터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사용한 경우는 우수한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갖는 복합 재료를 수득하지만, 20중량% 미만 또는 70중량%를 초과하는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라텍스(C-1)으로부터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는 단지 조악한 내열성 접착력만을 갖는 복합 재료가 생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접착제 조성물 AR-3 및 접착제 조성물 BR-1, 또는 접착제 조성물 AR-4 및 접착제 조성물 BR-2를 사용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침액처리한다. 이어서, 이들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코드 및 표 2에 나타낸 배합법에 따라 제조된 고무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재료를 제조한다. 복합 재료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드 박리 시험을 수행하여 그들의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10 및 11).
[비교예 5]
라텍스 D-1을 라텍스 B-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재료를 제조한다. 복합 재료의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진행 번호 12).
[표 5]
Figure kpo00005
표 5에서 나타난 결과는 접착제 조성물(AR) 및 (BR)로 처리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코드를 사용할 경우는 우수한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갖는 복합 재료를 수득하지만 접착제 조성물(BR) 대신에 120이상의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 함유 공중합체 고무의 라텍스 D-1으로부터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는 조악한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갖는 복합 재료가 생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6]
폴리에스테르 코드 처리시, 접착제 조성물에 침액시킨 후, 코드의 열처리를 230℃에서 수행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 및 내열성 접착력을 측정한다.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는 우수한 결과를 수득한다.
폴리에스테르 코드의 열처리 온도가 230℃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섬유-고무 복합 재료를 상기와 동일한 시험을 수행한다. 양호한 재현성과 함께 양호한 초기 접착력을 갖지만, 내열성 접착력은 크게 변화하므로 어떠한 재현성도 관찰되지 않는다.

Claims (11)

  1. (1)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AR)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처리하고, (2)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B)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BR)로 더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가 25∼6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및 40∼75중량%의 공액 디엔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 라텍스의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가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30∼80중량%의 공액 디엔 단위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기타 단량체 단위 0∼40중량%로 구성된 공중합체 라텍스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타 단량체가 스티렌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B)의 공중합체 고무가 10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B)가 10∼60중량%의 알파, 베타-불포화 니트릴 단위를 갖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인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 수지 조성물중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건조 중량)이 라텍스(A)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0∼180중량부이고, 접착제 조성물(BR)중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건조 중량)이 라텍스(B)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0∼180중량부인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처리하여 섬유상에 흡수된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의 총량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2∼20중량%가 되도록 하는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BR)의 고형분에 대한 접착제 조성물(AR)의 고형분의 중량비가 50 : 50∼80 : 20인 처리 방법.
  10.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AR)로 처리되고, 이어서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B)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BR)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11. 20∼70중량%의 비닐 피리딘 단위 함량을 갖는 비닐 피리딘/공액 디엔 공중합체 라텍스(A)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AR)로 처리되고, 이어서 120이하의 요오드가를 갖는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 라텍스(B) 및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BR)로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KR1019900001110A 1989-01-31 1990-01-3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KR950006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1998A JP2627554B2 (ja) 1989-01-31 1989-01-31 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繊維とニトリル基含有高飽和共重合体ゴムとの接着方法
JP21998/89 1989-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36A KR900011936A (ko) 1990-08-02
KR950006871B1 true KR950006871B1 (ko) 1995-06-23

Family

ID=1207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110A KR950006871B1 (ko) 1989-01-31 1990-01-3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2397A (ko)
EP (1) EP0381457B1 (ko)
JP (1) JP2627554B2 (ko)
KR (1) KR950006871B1 (ko)
DE (1) DE690097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464B2 (ja) * 1990-01-30 1998-05-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繊維―ゴム複合体の製造方法
JP3496292B2 (ja) * 1994-09-30 2004-02-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ニトリル基含有高飽和共重合体ゴムと繊維との複合体
JP3754132B2 (ja) 1996-07-09 2006-03-0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ゴム補強用繊維処理剤、補強用繊維、およびゴム補強物
JP4668788B2 (ja) 2003-06-09 2011-04-13 株式会社カネカ 変性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EP2325237A1 (de) 2009-11-19 2011-05-25 LANXESS Deutschland GmbH Feinteilige stabile Suspensionen funktionalisierter, ganz oder teilweise hydrierter Nitrilkautschuke
CN107850095A (zh) * 2015-07-14 2018-03-27 株式会社普利司通 流体压致动器
EP3387931B1 (de) 2017-04-10 2020-07-15 ARLANXEO Deutschland GmbH Vulkanisierbare zusammensetzung enthaltend hxnbr-latex und polyfunktionales epoxi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78102A (en) * 1955-02-25 1957-07-03 Styrene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hesive compositions and polymeric products for usetherein
US3051594A (en) * 1958-06-28 1962-08-28 Canadian Ind Polymethylene terephthalate fiber coated with polymerized triallyl cyanurate
US3240649A (en) * 1960-11-21 1966-03-15 Burlington Industries Inc Bonding neoprene to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US3190764A (en) * 1961-06-28 1965-06-22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of bonding a rubbery composition to a reinforcing element
US3222238A (en) * 1962-05-22 1965-12-07 Du Pont Process for bonding rubber to linear condensation polyester structures
DE1288062B (ko) * 1963-06-17 1969-01-30
US3868985A (en) * 1971-03-10 1975-03-04 Firestone Tire & Rubber Co Process of adhering polyester textile material to rubber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US4016119A (en) * 1975-01-22 1977-04-05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Lignin sulfonate for glass cord adhesives
US4255486A (en) * 1979-10-11 1981-03-10 Marion Darrah Methods and means for improvings resin bonds between substrates, and materials therefor and products therefrom
US4285756A (en) * 1980-07-07 1981-08-25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Adhesion of polyamide or polyester cords to EPDM rubber
US4405746A (en) * 1981-02-27 1983-09-20 Ppg Industries, Inc. Aqueous, adhesive coating composition with a non-self-crosslinkable elastomer for use with filamentary materials
US4409055A (en) * 1981-12-17 1983-10-11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Adhesion of rubber to aramid cords
JPS6013869A (ja) * 1983-07-05 1985-01-24 Nippon Zeon Co Ltd ゴムと繊維の接着剤組成物
JPH0742448B2 (ja) * 1985-03-12 1995-05-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配合物と繊維との接着方法
US5017639A (en) * 1987-03-31 1991-05-21 Nippon Zeon Co., Ltd. Adhesive for bonding rubber to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9784D1 (de) 1994-07-21
EP0381457B1 (en) 1994-06-15
EP0381457A3 (en) 1990-12-27
DE69009784T2 (de) 1994-09-22
JPH02264076A (ja) 1990-10-26
KR900011936A (ko) 1990-08-02
EP0381457A2 (en) 1990-08-08
JP2627554B2 (ja) 1997-07-09
US5122397A (en)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1550B2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ゴムと繊維との複合体
JP3601544B2 (ja) 接着剤組成物及びゴムと繊維との複合体
EP3124512B1 (en) Highly saturated nitrile rubber latex and adhesive composition
JP2011038119A (ja) ゴム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から得られる加硫された複合材料
KR950006871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니트릴기-함유 고포화 공중합체 고무로 구성된 복합 재료
KR960006169B1 (ko) 섬유-고무 복합체의 제조방법
JPS61207442A (ja) ゴム配合物と繊維との接着方法
JP3266976B2 (ja) ゴムと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及びゴムと繊維との複合体
CN1050725A (zh) 改进的粘合剂胶乳
JP2004292637A (ja) 接着性ゴム組成物
WO1999025784A1 (fr) Adhesif, composite comprenant un caoutchouc et une toile, et courroie crantee
JP2529582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ゴムとの接着方法
JPH02229273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繊維とニトリル基含有高飽和共重合体ゴムとの接着方法
JP2694464B2 (ja)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接着剤組成物
JPS6126629A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組成物
JPH0196224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ゴムとの接着方法
JPH0291135A (ja) ニトリル基含有高飽和重合体ゴムラテックス及び該重合体ゴムとポリエステル繊維との接着剤
JPH078918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ゴムとの接着方法
JPH07107109B2 (ja)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接着剤組成物
JPS62149982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ゴムとの接着方法
JPH02264077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繊維とゴムとの接着方法
JPH03220373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該方法で処理した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該ポリエステル繊維とニトリル基含有高飽和共重合体ゴムとの複合体
JPH0441580A (ja) ゴムとガラス繊維コードとの接着剤組成物ならびに該接着剤組成物にて被覆されたゴム補強用ガラス繊維コード
JPH0647666B2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