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088B1 -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088B1
KR950003088B1 KR1019900018071A KR900018071A KR950003088B1 KR 950003088 B1 KR950003088 B1 KR 950003088B1 KR 1019900018071 A KR1019900018071 A KR 1019900018071A KR 900018071 A KR900018071 A KR 900018071A KR 950003088 B1 KR950003088 B1 KR 95000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ubstituted
oil
sun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238A (ko
Inventor
이스와탄 나라야난 남부디리 마이아라
비스웨스와리아 나트라즈 콜루르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91000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본 발명은 햇빛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다 향상된 보호를 제공하는 인체의 피부 및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 화합물로서 유용한 천연 식물성 분리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햇빛에 의한 인체의 피부 손상은 오래 전부터 관찰되어 왔으며,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치료 수단이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해로운 자외선(UV), 특히 상층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햇빛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ⅰ) 피부에 대해 강력한 생리병리학적 활성이 있으며, 에너지가 풍부한 UV-B선(파장 290∼320nm). 이들은 진피층 바로 위까지 흡수되며 홍반 및 피부 착색의 원인이 된다.
(ⅱ) 피부 깊숙히(진피층 및 하부까지) 침투하는 UV-A선(파장 320∼400nm). 이들의 에너지는 훨씬 낮고 이들이 유발시키는 광생물학적 영향은 훨씬 오래 지속되므로 예를 들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
자외선 조사(照射)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하는 분자들을 갖는 특정 합성 유기 물질(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제안되어 왔다.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벤조페논 10(CTFA)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유비스타트(UVISTAT) 2211이라는 상품명으로 와드 블렌키소프(Ward Blenkinsop)로부터 구입 가능한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 벤조페논, 벤조페논 12(CTFA)로도 알려져 있으며, 사이아소브(CYASORB) UV 531이라는 상품명으로 아메리칸 사이아나미드(American Cyanamid)로부터 구입 가능한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벤조페논 2(CTFA)로도 알려져 있으며, 유비눌(UVINUL) D50이라는 상품명으로 BASF 화학회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2,2',4,4'-테트라헵톡시벤조페논, 부틸, 메톡시디벤조일 메탄(CTFA)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르솔(PARSOL) 1789라는 상품명으로 기바우단 코포레이션(Givaudan Coporation)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CTFA)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르솔 MCX라는 상품명으로 기바우단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2-에틸헥실-p-메톡시 신나메이트, 이러한 물질 중의 일부는 UV-A 범위에서 더 효과적으로 흡수되므로, 이 영역에서의 UV선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반면에, 나머지 물질들은 UV-B 범위에서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어떠한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든지 모든 파장의 자외선을 방지하는 데에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해로운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들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으로 사용한 후, 인체에 생리학적인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보이는 이들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차도 피부에 도포하는 양을 기초로 하여 부과된 안정성 한계를 반드시 가지고 있지만, 이는 유해한 자외선 조사로부터 단지 미미하거나 불충분한 보호만을 가져올 수 있다.
천연의 히드록시안트라센 폴리글리코시드가 자외선 차단제로 보고되어 있으며(Bader et al. Cosmetics & Toiletries(1981), 96(10) 67),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커피유의 사용이 프랑스 특허 제2 479 688호에 보고되어 왔다. 이와 유사하게, 대추 과일 추출물(JP 제84-227813호)과 알로에 추출물(미합중국 특허 제4,656,029호)도 역시 피부에 바르는데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로에, 프랑굴라, 센나 및 카스카라 천연 추출물도 역시 유용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보고되어 있다(Fox, Cosmetics & Toiletries(1987), 102(3), 41).
자외선 차단제로서 천연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는 이들 선행 기술 중 어느 것도 상업적 관심을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UV-A 및 UV-B의 모든 영역에 걸쳐 광범위한 스펙트럼 흡수 특성을 가지며 자외선 차단제로서 피부 또는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화장제 조성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치환 1,3-디케톤류를 발견하였다. 이들 천연 치환 1,3-디케톤류는 피부용 조성물의 합성 UV-A 및 UV-B 차단제 특히 앞서 언급한 파르솔 1789와 같은 것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과다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의 피부 또는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 대역이 250∼500nm 범위이고, 흡광 계수(∑)가 5000∼70,000인 유효량의 치환 1,3-디케톤과 이 치환 1,3-디케톤에 대하여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함유한다.
치환 1,3-디케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자외선에 대한 과다 노출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양의 치환 1,3-디케톤을 함유한다.
치환 1,3-디케톤은 통상 UV-A 및 UV-B 범위를 모두 포함하여 흡수 대역이 250∼500nm이고, 흡수 계수(∑)는 5,000∼70,000이 된다.
바람직하게, 자외선 차단제는 최소한 하나의 흡수 대역이 280∼450nm이고, 흡광 계수(∑)가 10,000∼60,000인 기본 1,3-디케톤 발색단과 적절한 조색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일군의 자외선 차단제는 호변 이성질 구조식(1) 및 (2)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벤질리딘, 치환 벤질리딘, 페닐 또는 치환 페닐기로부터 선택된다.
R1및 R2기의 바람직한 예들은 하기 구조식(3) 내지 (7)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천연 화합물의 특정예는 심황(Curcuma longa) 뿌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쿠르쿠민(curcumin) 및 폰가미아 글라브라(Pongamia glabra) 종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폰가몰(pongamol)이다.
또한, 쿠르쿠민은 디-4-히드록시-3-메톡시신나모일 메탄으로도 공지되어 있으며, 구조식(8)로 나타낸다.
또한 폰가몰은 1,3-프로판디온, 1-(4-메톡시-5-벤조후라닐)-3-페닐로도 공지되어 있으며, 구조식(9)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효과적인데, 치환 1,3-디케논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합한 천연 분리물의 농축물인 순수한 화합물, 또는 천연물의 조추출물이거나 심지어는 천연물원 그 자체 중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카란지유는 폰가몰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치환 1,3-디케톤을 0.01∼15중량% 함유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
본 발명의 조성물 피부 및/또는 모발에 그 조성물을 바를 때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그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생리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도 역시 함유한다.
물 이외의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연화제, 용매, 습윤제, 증점제 및 분말이 있다.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부형제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이러한 종류의 부형제의 각각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연화제로서, 예를 들면 스테아릴 알콜,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이트, 밍크유, 세릴알콜,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알콜,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콜, 에이코사닐 알코올, 베헤닐 알콜, 세틸 팔미테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유, 디-n-부틸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린, 코코아버터, 옥수수유, 면실유, 올리브유, 팜핵유, 평지종자유, 잇꽃종자유, 달맞이꽃유, 콩기름 해바라기 종자유, 아보카도유, 참깨종자유, 코코닛유, 낙화생유, 카스토르유,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 와세린, 광유,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데실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가 있고, 추진제로서, 예를 들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가 있고, 용매로서, 예를 들면 에틸알콜, 염화메틸렌,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테트라 히드로푸란이 있고, 분말로서, 예를 들면 백악, 활석, 풀러토, 카올린, 전분, 고무, 콜로이드 실리카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 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적으로 개질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기적으로 개질된 몬트모릴로나이트 클레이, 수환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연무실리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는 대개 조성물의 10∼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0∼99중량%를 차지하며, 기타 화장품 첨가제가 없을 때에는 그 에멀젼의 나머지를 구성한다.
임의의 피부 유용 물질 및 화장품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히 편리한 형태는 에멀젼인데, 이 경우 대개 유화제와 함께 오일 또는 유성물질이 함유되므로, 거의 사용 유화제의 평균 친수성-친유성 평형(HLB)에 따라 유중수 분산형 에멀젼 또는 수중유 분산형 에멀젼 중 어느 하나가 된다.
오일 또는 유성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오일 또는 오일 특성을 가지는 다른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오일의 예로는 광유 및 식물성 오일 및 이미 본 명세서에서 유화제로서 제안하였던 것과 같은 오일 물질이 있다. 기타 오일 또는 유성 물질로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유가 있다.
적절한 비휘발성 실리콘에는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폴리알킬실록산의 예로는 25℃에서 5 내지 100,000센티스토크의 점성도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있다. 이들 실록산들은 제너럴 일렉트릭 캄퍼니(General Electric Company)로부터 비스카실(Viscasil) 시리즈로서 또한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244, 245, 344, 345, 200/5 및 200 유체로서 시판되고 있다. 다른 예들로는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의 실리콘 7202 및 7518과 스타우퍼 케미칼(Stauffer Cheminal)의 SWS 03314가 있다.
점성도는 다우코닝 코포레이트 시험 방법 CTM004(1970.7.20)에 기재된 것처럼 유리 모세관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는 폴리디에틸실록산이 있다.
폴리알킬아릴실록산의 예로는 25℃에서의 점성도가 15 내지 65센티스토크인 폴리메틸페닐 폴리실록산이 있다. 이들 실록산들은 제너럴 일렉트릭 캄퍼니로부터 SF 1075 메틸페닐 유체로서 또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556 화장품급 유체로서 시판되고 있다.
적절한 휘발성 실리콘은 환형 및 선형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다. 환형 실록산의 규소 원자 수는 3∼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5개이다. 환형 실리콘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점성도는 일반적으로 25℃에서 10센티포이즈(cP)보다 낮다.
선형 폴리디메틸 실록산은 그 점성도가 25℃에서 5cP 미만인 것들이다. 선형 휘발성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3∼9개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며,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CH3)3Si-O-[Si(CH3)2O]mSI(CH3)3
상기 식에서, m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전술한 형태의 실리콘은 널리 구입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는 다우코닝으로부터 시판되는 244, 245, 344, 345, 200/5 및 200 유체, 유니온 카바이드로부터 시판되는 7202 및 7158, 그리고 스타우퍼 케미칼사로부터 시판되는 SWS-03314와 같은 것들이 있다.
오일 또는 유성 물질은 에멀젼을 형성시킬 목적으로 함유시키는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 조성물의 90용적%, 바람직하게는 10∼80용적%를 구성한다.
또한, 함유되는 오일 또는 유성 물질은 유화제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유화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유화제 선택에 따라 일반적으로 유중수 분산형 에멀젼이 형성되는지 아니면 수중유 분산형 에멀젼이 형성되는지를 결정한다.
유중수 분산형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평균 HLB값이 보통 1∼6이어야 한다. 수중유 분산형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평균 HLB값이 >6이어야 한다.
적절한 유화제의 예들은 표 1에 나타나 있는데, 이 표에는 유화제의 화학명은 시판되는 상품명의 예 및 평균 HLB값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표 1]
상기 목록의 유화제들은 한정시키기 위해 시도된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선택된 유화제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필요하다면 2종 이상의 유화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합되는 유화제 또는 유화제 혼합물의 양은 필요한 경우 그 조성물의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1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대개 최대 80용적%, 바람직하게는 5∼80용적%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 활성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임의의 유화제 대신에 또는 그 유화제 이외에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고분자량의 실리콘 계면 활성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측쇄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고분자량 중합체로서 분자량은 10,000∼50,000이며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진다.
상기 식에서, R' 및 R"기는 각각 -H, C1-18알킬기 및(여기서, a는 9∼115, b는 0∼50, x는 133∼673, y는 25∼0.25의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a가 10∼144, b가 0∼49, x가 388∼402, y가 15∼0.75의 값을 가지며, R' 및 R"기 중 하나는 라우릴기이고 다른 하나는 1000∼5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체는 a가 14, b가 13, x가 249, y가 1.25인 것이다.
디메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편리하게는 휘발성 실록산 중에 분산제로서 제공되며, 이 분산액은 예를 들면 중합체 1∼20용적%와 휘발성 실록산 80∼99용적%를 함유한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분산액은 휘발성 실록산 중에 분산된 중합체 10용적%로 구성된다.
폴리실록산 중합체가 분산될 수 있는 휘발성 실록산의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5량체 및/또는 6량체)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록산 계면 활성제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시판되는 DC 3225C 포뮬레이션 에이드와 같은 시클로메티콘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이다. 또 다른 것은 역시 다우 코닝으로부터 시판되는 DC Q2-5200과 같은 라우릴메티콘 코폴리올이다.
조성물 중에 존재할 경우, 실리콘 계면 활성제의 양은 보통 에멀젼의 최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이다.
임의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천연 식물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치환 1,3-디케톤 이외에, 햇빛에의 과다 노출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그 조성물의 이점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의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UV-A 영역 또는 UV-B 영역으로부터의 조사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바르는 경우 건강에 해로울 경우가 있다. 그러나, UV-A 및 UV-B 영역의 양 영역으로부터 폭넓게 보호해주는 천연의 치환 1,3-디케톤을 함유시키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통상적인 양보다 소량으로 사용하더라도 다량의 합성 유기 차단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관련될 수 있는 종류의 피부 손상이나 기타 건강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위험성이 없이 그 조성물의 총 자외선 보호 인자(SPF)를 현저히 높은 수준으로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교적 소량의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혼합시킬 수 있다.
필요한 적절한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는 표 2에 기재된 것과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표 2]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평균 입도가 <100nm인 이산화티탄(초미세 이산화티탄으로도 알려져 있음).
평균 입도가 1∼300nm인 산화아연.
평균 입도가 1∼300nm인 산화철.
평균 입도가 1∼100nm인 연무 실리카와 같은 실리카.
실리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외선 방지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유의하여야 한다.
기타 화장품 첨가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첨가제의 예로는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과 같은 산화 방지제, 글리세롤, 소르비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 폴리에틸렌 글리콜(예. PEG 200∼600)과 같은 습윤제, 락트산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염기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완충제, 밀랍, 절랍, 파라핀랍과 같은 왁스류, 치환 1,3-디케톤을 함유하는 것들 이외에 알로에 베타, 선옹초, 조롱나무, 양딱총나무꽃, 오이와 같은 식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증점제, 활성 증강제, 착색제, 및 향료가 있다. 상기 화장품 첨가제는 조성물의 잔량을 구성할 수 있다.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햇빛에의 과다 노출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예방하기 위해 인체의 피부 또는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에 위한 햇빛 방지 제품으로서 주로 의도된 것이다.
사용시, 소량, 예를 들면 1∼5ml의 조성물을 적절한 용기 또는 도포기로부터 피부 또는 모발의 노출 부위에 바르며, 필요에 따라서는 손 또는 손가락 또는 적당한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 또는 모발에 스며들도록 비비거나 문지른다.
제품 형태 및 포장
본 발명의 피부 및/또는 모발의 국소 처리 조성물은 점도가 400∼10,000mPas인 로션, 점도가 10,000∼20,000mPas인 액체 크림, 또는 점도가 20,000∼100,000mPas 또는 그 이상인 크림으로 제제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점도 및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적절한 용기 내로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션 또는 액체 크림은 병 또는 롤볼 도포기(roll-ball applicator) 또는 추진제 사용식 에어로솔 장치 또는 손가락으로 조작하기에 알맞는 펌프가 구비된 용기내에 넣어 포장될 수 있다. 조성물이 크림인 경우에는, 튜브 또는 뚜껑 달린 단지 등과 같은 변형 불가능한 병 또는 눌러짜내는 용기 내에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조성물이 들어 있는 밀폐 용기도 또한 제공한다.
자외선 보호 인자(SPF)의 시험관내 측정법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시험관내 SPF 측정법에는 확산 투광 검출기를 갖춘 퍼킨 엘머 람바 17(Perkin Elmer Lamba 17)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400nm∼290nm 사이에서 각질층의 분광 광도 측정 주사(走査)법이 포함된다.
인체 피부 대신에 기니아 피그의 각질층을 사용하고 다음 절차를 따른다.
ⅰ) 기니아 피그 각질층을 기니아 피그의 피부로부터 미세한 판상으로 하여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ⅱ) 각질층 단면을 증류수 방울을 사용하여 0.5cm 석영 큐벳의 외면에 붙여 석영 표면에 각질층이 균일하게 밀봉되도록 한다.
ⅲ) 각질층 단편이 있는 석영 큐벳을 형광 분획 필터가 구비된 분광 광도계의 광로에 놓은다. 이 필터는 각질층의 자가(自家) 형광을 제거하며, 460nm 이상의 모든 투광을 여과한다.
ⅳ) 각질층에 290∼400nm로 주사(走査)시키고, 얻은 스펙트럼을 대조용으로 한다.
ⅴ) 각질층이 있는 큐벳을 분광 광도계로부터 꺼내고, 이 각질층에 시험 물질(즉, 자외선 차단제)을 독일 DIN 방법에 따라서 1.5μl/cm2의 속도로 도포하고 골무낀 손가락을 사용하여 피부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문지른다.
ⅵ)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를 실온(25℃)에서 5분간 방치하여 건조시킨 다음, 앞에서와 같이 분광 광도계 내에서 290∼400nm로 재주사시킨다. 이 스펙트럼을 시험 스펙트럼으로 한다. 2∼15분 사이의 건조 시간에서는 스펙트럼 흡광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5분의 건조 시간을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ⅶ) 자외선 차단제 물질의 시료의 스펙트럼 흡광도는 시험 스펙트럼으로부터 대조용 스펙트럼을 감하여 얻고, 이 흡광도를 투광율로 환산한다.
ⅷ) 마지막으로 시험관내 자외선 보호 인자(SPF)는 디훼이 등(Diffey et al.)이 문헌 "A J. Soc. Cosmet. Chem. 40, 127-133(May/June 1989); 특히 130페이지 참조)에 「자외선 스펙트럼을 통과하는 자외선 보호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신규 기질」이라는 표제의 논문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투과율 측정법으로부터 계산한다.
실험
아래 실험에 의하여 시판되는 2종의 합성 자외선 차단제와 비교한 자외선 차단제인 2종의 천연 치환 1, 3-디켄톤의 효과가 확인된다.
이 실험에서는 백색 기니아 피그의 등털을 뽑는다. 24시간 후에 2cm×2cm의 구멍이 3개 있는 수지 형판을 이 동물의 등위에 밀착시키고, 그 구멍을 표시해 둔다. 알콜 중에 0.25∼2mg/cm2농도의 폰가몰 또는 쿠르쿠민 용액을 표시된 부위에 도포하였다. 그 이웃한 부분을 알콜만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그 제품을 도포한지 15분 후에 상기 형판을 등에 부착시키고 이 동물에게 15cm 거리를 두고 와탄 울트라비탈럭스(Wotan Ultravitalux) UX 램프로 6분간 조사하였다. 조사 4시간 후에 그 형판을 떼어내어 홍반을 기록하고, 5점 등급으로 등급을 정하였다. 비교용으로 표준 합성 자외선 차단제인 기바우단사의 파르솔 MCX 및 1789를 사용하였다. 이들 연구에 사용된 쿠르쿠민 및 폰가몰은 천연물로써 각각 심황의 뿌리와 카란자 종자로부터 얻은 것이었다.
쿠르쿠민과 폰가몰은 모두 기니아 피그에서 홍반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실시예]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따라 더 예시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천연의 치환 1,3-디케톤 자외선 차단제로서 폰가몰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한다. 또한, 지원자들로 이루어진 판정단을 사용하여 본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도 제공되어 있다.
스테아르산 18중량%, 수산화칼륨 0.5중량%, 글리세린 1.0중량%, 보존제 0.2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배니싱 크림 기제 조성물에 폰가몰 1.2중량% 및 0.6중량%를 혼합시켰다. 대조용 크림에는 폰가몰을 함유시키지 않았다. 1cm×1cm의 구멍이 3개 있는 수지 형판을 지원자의 팔에 대고 그 구멍을 표시하였다. 표시된 부위에 크림(5mg/cm2)을 도포하였다. 15분 후에 형판을 붙이고 15cm 떨어진 곳에서 와탄 울트라비탈럭스 UV램프(300W)로 최대 6분간(지원자의 피부색에 따라 달라짐) 조사하였다. 형판을 떼어내고 10일 동안 매일 육안으로 그을린 정도를 평가하였다. 5일만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이 실험에서 폰가몰을 함유하는 크림은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배니싱 크림 기제 조성물에 합성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혼입시켰을 경우의 천연 치환 1,3-디케톤의 사용을 예시한다.
스테아르산 18중량%, 수산화칼륨 0.5중량%, 글리세린 1중량%, 보존제 0.2중량%를 함유하는 배니싱 크림 기제에 공지된 UV B 자외선 차단제(기바우단사 제품인 파르솔 MCX)와 함께 폰가몰을 혼합하였다. 파르솔 MCX와 폰가몰의 첨가량은 각각 1.0 및 0.7%, 1.5 및 0.4%, 2.0 및 3.0%, 2.5 및 0.3%이었다. 스테아르산 18%, 수산화칼륨 0.5%, 글리세린 1.0%, 보존제 0.2%를 함유하는 배니싱 기제에 파르솔 MCX 및 파르솔 1789(기바 우단사 제품)가 함유된 크림을 또한 제제하였다. 파르솔 MCX와 파르솔 1789의 양은 각각 1.0 및 0.2%, 1.0 및 0.5%, 1.25 및 0.4%, 2.5 및 0.2%이었다.
실험 지원자들 각각의 팔을 비누 및 물로 씻은 다음 가볍게 두드려서 건조시켰다. 지원자의 팔에 1cm×1cm의 구멍이 있는 5개의 수지 형판을 대고 그 구멍을 표시하였다. 직경이 1cm인 원형의 피부 단면으로부터의 반사율을 정량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표시된 부위에서 피부로부터의 반사율을 결정하였다. 표시된 부위에 여러 가지 크림을 4mg 도포하였다. 15분 후에 형판을 부착시키고 15cm의 거리를 두고 와툰 울트라 비탈럭스 UV램프(300W)로 팔을 조사하였다. 형판을 떼어내고, 육안으로(주관적 기록) 0∼8점 등급으로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써 그을린 정도를 평가하였다. 5일만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모든 값은 여러 번의 독립적인 측정치(괄호안의 숫자)의 평균값이다.
[표 4]
상기 결과로부터, 폰가몰은 잘 알려져 있는 UV-A 자외선 차단제인 파르솔 1789와 유사한 방법으로 UV 조사의 영향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예시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크림을 예시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을 예시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예시한다.

Claims (3)

  1. ⅰ) 하기 식의 1,3-프로판디온, 1-(4-메톡시-5-벤조푸라닐)-3-페닐인 치환 1,3-디케톤의 유효량과
    ⅱ) 상기 치환 1,3-디케톤에 대하여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의 과다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의 피부 또는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3-디케톤은 조성물의 0.01∼15중량%를 구성하는 것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크림형 또는 로션형인 것인 조성물.
KR1019900018071A 1989-11-10 1990-11-09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950003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8925473A GB8925473D0 (en) 1989-11-10 1989-11-10 Sunscreen compositions
GB8925473.4 1989-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238A KR910009238A (ko) 1991-06-28
KR950003088B1 true KR950003088B1 (ko) 1995-04-01

Family

ID=1066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071A KR950003088B1 (ko) 1989-11-10 1990-11-09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152983A (ko)
EP (1) EP0431755B1 (ko)
JP (1) JPH0660092B2 (ko)
KR (1) KR950003088B1 (ko)
AT (1) ATE100705T1 (ko)
AU (1) AU628232B2 (ko)
BR (1) BR9005695A (ko)
CA (1) CA2029263C (ko)
DE (1) DE69006332T2 (ko)
DK (1) DK0431755T3 (ko)
ES (1) ES2062408T3 (ko)
GB (1) GB8925473D0 (ko)
MY (1) MY104514A (ko)
PH (1) PH27155A (ko)
ZA (1) ZA908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4317D0 (en) * 1991-07-02 1991-08-21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US5439954A (en) * 1991-10-11 1995-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bstituted phenyl-1,3-diketones as protectants against skin damage
GB9203806D0 (en) * 1992-02-21 1992-04-08 Unilever Plc Sunscreen agents
US5474762A (en) * 1992-02-21 1995-12-1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unscreen agents
US5338539A (en) * 1992-08-04 1994-08-16 3V Inc. Benzofuran derivatives useful as sunscreens
CA2142298A1 (en) * 1992-08-13 1994-03-03 George E. Deckner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s
US5662894A (en) * 1993-08-03 1997-09-02 Mcmanus; Jt Sunshield shaving compositions
GB9316901D0 (en) * 1993-08-13 1993-09-29 Unilever Plc Sunscreen agents
US5492690A (en) * 1994-03-03 1996-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nzoylacetate esters as non-sensitizing chelating photo-protectants
JPH07291846A (ja) * 1994-04-26 1995-11-07 Kanebo Ltd 皮膚化粧料
US5705146A (en) * 1995-11-28 1998-01-06 Lindquist; Niels L. Sunscre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products of a marine hydroid, and derivatives thereof
TW482681B (en) * 1996-09-06 2002-04-11 Shiseido Co Ltd Powder coated with sparingly soluble ultraviolet absorber
US5879666A (en) * 1996-10-24 1999-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US5897855A (en) * 1996-10-24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US5911976A (en) * 1996-10-24 1999-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US5874067A (en) * 1996-10-24 1999-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on the body
US5882638A (en) * 1996-10-24 1999-03-16 The Proctor & Gamble Company Methods using uncomplexed cyclodextrin solution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US5780020A (en) * 1996-10-28 1998-07-1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US5885599A (en) * 1996-10-28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s and excess moisture
US6197281B1 (en) * 1997-06-04 2001-03-06 Ernest G. Stewart Wet appliable, instant protection sunscreen and makeup and method of use
US5959012A (en) * 1997-08-11 1999-09-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yl oxirane dibenzoylresorcinol UV absorbers
US5980920A (en) * 1998-03-02 1999-11-09 Lindquist; Niels L. Antioxidant compositions
US5989528A (en) * 1998-07-30 1999-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nscreen compositions
US6290938B1 (en) 1998-07-30 2001-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nscreen compositions
US6071501A (en) * 1999-02-05 2000-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hotostable UV protection compositions
WO2000051562A1 (en) * 1999-03-03 2000-09-08 Shiseido Company, Ltd.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or and utilization thereof
US6277881B1 (en) * 1999-05-27 2001-08-2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Turmeric as an anti-irritant 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 acids or retinoids
WO2001012130A1 (en) * 1999-08-16 2001-02-22 Dung Pha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skin conditions using extracts of turmeric
EP1595527A3 (en) * 2000-03-03 2006-04-26 Australian Importers, Ltd. Micronized zinc oxide skin protector formulation
AU5002501A (en) * 2000-03-03 2001-09-17 Australian Imp Ers Ltd Micronized zinc oxide skin protector formulation
US20030228267A1 (en) * 2001-07-09 2003-12-11 Aust Duncan T. Suncreen composition wit enhanced spf and water resistant properties
JP2003028575A (ja) * 2001-07-17 2003-01-29 Kobe Steel Ltd 移動床型加熱炉および還元金属塊成物の製造方法
DE10140538A1 (de) * 2001-08-17 2003-03-06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wässrig-alkoholischen Extrakten aus Pongamia pinnata zur Herstellung vo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entzündlichen Hautzuständen und/oder zum Hautschutz bei empfindlich determinierter trockener Haut
WO2003024417A1 (en) 2001-09-18 2003-03-27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Use of guaiol for treating the skin
US7785584B2 (en) * 2003-08-13 2010-08-31 Healthpoint, Ltd. Ointment wound spray
DE102004002600A1 (de) * 2004-01-15 2005-08-04 Beiersdorf Ag Visualisierung von Sonnenschutzmitteln auf der Haut
US20060210697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Infant formula composition
US7776365B2 (en) * 2005-03-18 2010-08-17 Sakura Properties, Llc Article with skin protecting and moisturizing compound
US20060210692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Baby food composition
US7666448B2 (en) * 2005-03-18 2010-02-23 Sakura Properties, Llc Skin cleansing article
US20060210514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Skin protection and moisturiz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210688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Dehydrated sports drink powder
US20070020358A1 (en) * 2005-03-18 2007-01-25 Mower Thomas E Sports drink concentrate
US7749545B2 (en) * 2005-03-18 2010-07-06 Sakura Properties, Llc Fucoid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etary and nutritional supplements
US20060210496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from ultraviolet damage
TWI367109B (en) * 2006-01-19 2012-07-01 Mary Ka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kakadu plum extract or acai berry extract
JP5159131B2 (ja) * 2007-03-20 2013-03-06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美白剤、及び痩身剤
KR101404967B1 (ko) * 2007-07-25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광노화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 및 예방용 피부 미용 조성물
EP2490669B1 (en) * 2009-10-23 2017-01-11 Fortuderm Ltd. Triptans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US8835510B2 (en) * 2010-06-08 2014-09-16 Montefiore Medical Cente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nditions mediated by oxidative stress or electrophilic environmental toxins
US8697035B2 (en) 2010-07-14 2014-04-15 Neutrogena Corporation Skin care compositions
US8236287B2 (en) 2010-09-03 2012-08-07 Neutrogena Corporation Sunscreen compositions
CN104411368A (zh) * 2012-07-09 2015-03-1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光防护性个人护理组合物
US20140056828A1 (en) * 2012-08-21 2014-02-27 Indiran Pather Novel formulations and uses for curcuma extracts
FR3000894B1 (fr) * 2013-01-17 2015-02-20 Gilbert Lab Compositions protectrices de la degradation des acides desoxyribonucleiques des cellules de l'epiderme
FR3001150B1 (fr) 2013-01-24 2015-07-10 Jean-Noel Thorel Systeme de protection alternatif contre les uv et radicaux libres
FR3008314B1 (fr) * 2013-07-11 2015-07-31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solaire sprayable sans silicone et sans ethanol
CN103518722B (zh) * 2013-10-22 2014-10-29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17-氧甲基-7-羟基-苯-呋喃-查耳酮在制备海洋污损生物防除剂中的应用
ES2843652T3 (es) 2014-03-27 2021-07-20 Kancor Ingredients Ltd Composición de protector solar fotoestable para aplicación tópica
FR3023715B1 (fr) * 2014-07-18 2018-02-02 Innovi Booster de filtre solaire
FR3037796A1 (fr) * 2015-06-25 2016-12-30 Cosmact Compositions naturelles filtrantes antisolaires et leurs utilisations
FR3039063B1 (fr) 2015-07-22 2017-07-21 Biosynthis Sarl Procede d'enrichissement en pongamol d'huile de karanja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US20190269594A1 (en) * 2016-11-24 2019-09-05 Conopco, Inc., D/B/A Unilev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actives
JP7061766B2 (ja) * 2017-09-20 2022-05-02 学校法人同志社 Dj-1タンパク質産生促進用組成物
EP3807287A1 (en) 2018-06-15 2021-04-21 Liliana Patricia RAMIREZ RIOS Metal complexes of beta-diketones and/or polyphenols by green chemistry, preparation method thereof, sunscreen thereof, skin or hair tone concealer thereof, hair dyeing thereof and other uses thereof
KR102093201B1 (ko) * 2018-07-24 2020-03-2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5520A (en) * 1962-05-29 1966-09-27 Gen Aniline & Film Corp Methods for protecting the skin against actinic radiations
DE1492403A1 (de) * 1965-03-30 1969-12-04 Merck Ag E UV-Lichtschutzmittel fuer kosmetische Zwecke
CH595840A5 (ko) * 1974-09-24 1978-02-28 Givaudan & Cie Sa
DE2544180C2 (de) * 1975-10-03 1984-02-2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Lichtschutzmittel für kosmetische Zwecke
CH642536A5 (en) * 1978-11-13 1984-04-30 Givaudan & Cie Sa Sunscreen agents
FR2457686A1 (fr) * 1979-05-31 1980-12-26 Fabre Sa Pierre Nouveau colorant capillaire naturel et preparation cosmetique le contenant
LU82323A1 (fr) * 1980-04-02 1981-12-02 Oreal Utilisation de l'huile de cafe comme agent filtrant solair,composition et procede de protection la mettant en oeuvre
FR2506156A1 (fr) * 1981-05-20 1982-11-2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s derives hydroxyles du dibenzoylmethane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epiderme humain contre les rayons ultraviolets
US4426380A (en) * 1981-10-28 1984-01-17 Ciba-Geigy Corporation Benzofuran-2-o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LU85320A1 (fr) * 1984-04-17 1985-11-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 l'aloesine a titre d'agent de protection contre la lumiere solaire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et des cheveux
JPS61215313A (ja) * 1985-03-20 1986-09-2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S61215314A (ja) * 1985-03-20 1986-09-2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662398B2 (ja) * 1985-03-20 1994-08-17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645532B2 (ja) * 1985-03-20 1994-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645531B2 (ja) * 1985-03-20 1994-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64529B2 (ja) * 1985-03-20 1994-01-1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S61215311A (ja) * 1985-03-20 1986-09-2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S61215317A (ja) * 1985-03-20 1986-09-2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645530B2 (ja) * 1985-03-20 1994-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4847267A (en) * 1986-03-17 1989-07-11 Charles Of The Ritz Group Ltd.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US4999186A (en) * 1986-06-27 1991-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vel sunscreen agents,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unburn
JPS6448881A (en) * 1987-08-17 1989-02-23 Kao Corp Long wavelength ultraviolet absorber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US4988501A (en) * 1988-12-15 1991-01-29 Ici Americas Inc. Sunscree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1755B1 (en) 1994-01-26
EP0431755A1 (en) 1991-06-12
US5152983A (en) 1992-10-06
PH27155A (en) 1993-04-02
ES2062408T3 (es) 1994-12-16
ATE100705T1 (de) 1994-02-15
DK0431755T3 (da) 1994-05-02
CA2029263C (en) 1995-09-05
BR9005695A (pt) 1991-09-17
GB8925473D0 (en) 1989-12-28
KR910009238A (ko) 1991-06-28
DE69006332T2 (de) 1994-05-19
ZA908969B (en) 1992-07-29
DE69006332D1 (de) 1994-03-10
JPH03170416A (ja) 1991-07-24
AU6591090A (en) 1991-05-16
MY104514A (en) 1994-04-30
CA2029263A1 (en) 1991-05-11
JPH0660092B2 (ja) 1994-08-10
AU628232B2 (en) 199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088B1 (ko)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960011569B1 (ko) 화장제 조성물
EP0456460B1 (en) Cosmetic composition
US6187298B1 (en) Sunscreens having ultraspectral protection
EP0456459A2 (en) Cosmetic composition
KR100350254B1 (ko) 벤조트리아졸 작용기 및 벤조익 트리에시드 트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규소 유도체 함유 화장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269994B1 (ko) 디벤조일메탄유도체,1,3,5-트리아진유도체및벤잘말로네이트작용기함유규소유도체를함유하는조성물,및그의용도
CA2231080A1 (en) Concentrated solutions of a 1,3,5-triazine derivative sunscreen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KR100233704B1 (ko) 차단제의 상승성 혼합물 기재의 피부 및/또는 모발의 광보호용 화장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1867551A (zh) 紫外线切断效率因紫外线而增加的紫外线切断用化妆料组合物
GB2195244A (en)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ITMI962725A1 (it) Soluzioni concentrate di filtro solare derivato della 1,3,5- triazina e loro uso per la preparazione di composizioni cosmetiche
KR20070071573A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020192176A1 (en) Diesters of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JPH11292748A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ベンゾフェノン及びトリアジンの各誘導体を含む日焼け防止化粧品組成物
US5976510A (en) Cosmetic tanning and sunscreen agent
CA2030653C (en) Sunscreen formulation containing a phenyl 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
RU2138245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ы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от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х лучей, способ косметической защиты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от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агент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фотопос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ей пигменты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фотопос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ей пигменты на основе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KR100428817B1 (ko) 자외선 차단 및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H11116456A (ja) 超スペクトル保護を有する日焼け止め
JP2023539676A (ja) 微粉化メチレンビス-ベンゾトリアゾリルテトラメチルブチルフェノールを含む日焼け止め又はデイリーケア組成物
KR19990074353A (ko) 1,3,5-트리아진 유도체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성농축 용액 및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9990074355A (ko) 자외선 차단성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