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569B1 - 화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569B1
KR960011569B1 KR1019910007518A KR910007518A KR960011569B1 KR 960011569 B1 KR960011569 B1 KR 960011569B1 KR 1019910007518 A KR1019910007518 A KR 1019910007518A KR 910007518 A KR910007518 A KR 910007518A KR 960011569 B1 KR960011569 B1 KR 96001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sunscree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598A (ko
Inventor
알란 니콜 그레그
리차드 스코트 이안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757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15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100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장제 조성물
메톡시신남산옥틸 및 초미립 이산화티탄으로 조성된 조성물의 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도표.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에 국소(局所) 적용함으로써 햇빛으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햇빛에 의한 인체의 피부 손상은 예전부터 관찰되어 왔으며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묘안이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초고공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햇빛으로부터 나오는 유해한 자외선(UV)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i) 피부에 대한 강력한 생리 병리학적 활성이 있고 에너지가 풍부한 UV-B선(파장 290∼320nm). 이 선은 진피층 바로 위에 흡수되며, 홍반과 피부 색소의 침착의 원인이 된다.
ii) 피부(진피와 그 내부) 깊숙히 침투하는 UV-A선(파장 320∼400nm). 이 선의 에너지는 훨씬 낮고 이것으로 인한 광생물학적 영향이 훨씬 오래 지속되므로, 예를 들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
자외선의 해로운 영향을 경감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하는 분자인 특정의 유기 물질(자외선 차단제 : sunscreen)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물질 중 몇가지는 UV-A 영역 내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이 영역 내의 UV 복사선을 여과하는 반면에, 다른 것들은 UV-B 영역 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그러나, 자외선의 어떠한 파장이던 그것을 파장하기 위하여 어떠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던 간에 공통의 문제점이 상존하는데, 이것은 유해한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이들 자외선 차단제를 국소 적용하고 나면 인체에 대한 생리학적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고 믿어지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조차도 반드시 피부에 대한 적용에 근거하여 부여되는 안정성의 한계가 있는데, 이는 유해한 자외선을 중간 정도 내지 불량하게 방지하는 결과만을 초래할 수 있다. 자외선에 대한 피부의 노출을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는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무기 물질도 제안되어 왔다. 이들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입도(粒度)가 매우 작은 이산화티탄이다. 초미립(超微粒) TiO2라고 부르는 이러한 등급의 이산화티탄은 정규의 안료급(顔料級)(입도, 300nm)에 의하여 체험되는 피부의 백화(白化)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양호한 등급의 햇빛 차단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DE-A-3824999(더부츠 켐패니 피엘씨)에는, 유중수(油中水) 에멀젼 내에 평균 1차 입도가 100nm 미만인 유분산형 이산화티탄을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는 p-아미노벤조산과 그 에스테르, 메톡시신남산염, 벤조페논, 디벤조일메탄이나 살리실산염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도 역시 피부 보호를 향상시키는데 포함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 및 기타 앞선 제안에도 불구하고, UV 영역 내에서 보호 범위가 광범위하고(즉, UV-A와 UV-B 모두), 효율성이 높으며, 안정성이 충분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농도가 평상(平常) 농도보다 낮은 특정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초미립 이산화티탄을 피부의 국소용 조성물 중에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보호를 상승적(相乘的)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심한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a) 효과적인 양의 초미립 이산화티탄,
b) 효과적인 양의 메톡시신남산옥틸, 그리고
c)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매질
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 농도는 첨부 도면의 A 영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특히 UV-A와 UV-B 영역을 모두 망라하는 광범위한 파장에 걸친 자외선에 대한 심한 노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데 적당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매질 내에 편리하게 분산 또는 분배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즉 초미립 이산화티탄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즉 메톡시신남산옥틸로 이루어진 특정의 혼합물로 조성된다. 이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그 조성물에 기타 자외선 차단제, 피부에 유익한 물질 및/또는 화장품용 첨가물을 임의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산화티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초미립 이산화티탄을 함유한다.
초미립 이산화티탄은 수분산형 및 유분산형으로서 구입할 수 있는데, 어떠한 형식의 이산화티탄이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초미립 이산화티탄이라 함은 평균 입도가 100nm 미만, 좋기로는 10∼40nm, 가장 좋기로는 15∼25nm인 이산화티탄을 의미한다.
수분산형 이산화티탄이 초미립 이산화티탄인데, 그 입자는 피복되지 않거나 또는 그 입자에 대하여 친수성 표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 피복된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산화알루미늄과 규산알루미늄이 있다.
유분산형 이산화티탄도 초미립 이산화티탄인데, 그 입자는 소수성 표면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목적으로 스텐아르산알루미늄, 라우르산알루미늄 또는 스테아르산아연과 같은 금속 비누로 피복시킬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메톡시신남산옥틸을 함유하는데, 그 예로서는 베르넬 케미칼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데 파르솔(Parsol) MCX가 있다.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농도
높은 자외선 방지율(SPF, Sun Protection Factor)을 달성하기 위해 자외선 방지 조성물 내에 상이한 차단제를 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상이한 자외선 차단제는 상이한 흡광도 계수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가 반드시 동일한 자외선 차단 방지율을 나타낸다고 볼 수는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러 자외선 차단제류의 조합은 효과를 추가하게 된다고 예상되는데,
X=제1자외선 차단제 자체가 S의 SPF를 나타내는데 요하는 농도,
Y=제2자외선 차단제 자체가 S의 SPF를 나타내는데 요하는 농도
라고 할 경우, 상기 양자외선 차단제가 동일한 제형(劑型)으로 제제되며, 이때
의 농도를 함유하는 동일한 제형 역시 S의 SPF를 나타내게 된다.
첨부 도면
이러한 이론적인 예측을 시험해보기 위한 일련의 집중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보았는데, 사실상 그 일련의 실험은 메톡시신남산옥틸과 초미립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대부분의 혼합물에 대하여 행한 것으로 확립되어 있는데, 홍반에 효과적인 UV선의 이론 투과율(이는 100/SPF와 같다)과 홍반에 효과적인 UV선의 실질투과율의 차이는 1% 미만이다. 그러나, 이들 자외선 차단제의 어떤 혼합물의 이론상 예측되는 것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실질 투과율을 나타내고, 이에 의하여 예측되는 것보다 통계학적으로 아주 더 양호한 UV선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바람직한 조성물은 첨부 도면인 제1도에 있어서 A로 표시된 영역으로서 정의되는데, 도면에 있어서 세로 좌표는 조성물 중의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를 나타내며, 가로 좌표는 조성물 중의 초미립 이산화티탄의 중량%를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한 조성물은 영역 B로 정의된 것들이며,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영역 C로 정의된 것들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조성물은 영역 D로 정의된 것들이며,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은 영역 E로 정의된 것들이다.
검토에 의하면, 초미립 이산화티탄과 메톡시신남산옥틸의 배합량은 도면에 표시된 적당한 영역 내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할 때, 표시된 각 영역에 대한 초미립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 농도의 근사치는 다음과 같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 메톡시신남산옥틸을 2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인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한 후에 그 조성물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외선 차단량은 매우 낮지만, 상기 조성물 내의 메톡시신남산옥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한 후에 그 조성물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외선 차단 정도는 크다. 그러나, 조성물 중의 메톡시신남산옥틸의 농도는 인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시 그 조성물의 안정성에 대한 약간의 우려의 원인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히 높다.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매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 조성물을 피부 및/또는 모발에 사용시 이들의 분배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기타 재료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 작용하는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매질도 역시 함유한다.
물 이외에 기타 매질로서는, 액체 또는 고체 연화제, 용매, 보습제, 농후제 및 파우더를 들 수 있다. 이들 각종의 매질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1종 이상의 매질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스테아릴 알코올, 모노리시놀레산 글리세릴, 모노스테라르산 글리세릴, 밍크유, 세틸 알코올,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소부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일 알코올, 라우르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올레산 데실,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코올, 아이코사닐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팔미트산 세틸, 디메틸 폴리실옥산 등의 실리콘유, 세바크산디-n-부틸,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린, 코코아 버터, 옥수수유, 목화씨유, 올리브유, 야자핵유, 평지씨유, 잇꽃씨유, 호호바유, 달맞이꽃유, 두유, 해바라기씨유, 아보카도 오일, 참깨씨유, 코코넛유, 아라키스유, 피마자유, 아세틸화 라놀린 알코올, 바셀린, 광물유, 미리스트산 부틸,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리놀레산 이소프로필, 락트산 라우릴, 락트산 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과 같은 연화제.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디메틸 에테르, 이산화탄소, 일산화질소(nitrous oxide)와 같은 추진제.
·에틸 알코올, 염화 메틸렌, 이소판올,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테트라 히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쵸크(chalk), 활석, 백토, 카올린, 전분, 김, 콜로이드성 폴리아크릴산 규소나트륨, 테트라 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 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적으로 개질시킨 규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유기적으로 개질시킨 몬트모릴나이트 점토, 수화시킨 규산알루미늄, 훈연실리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파우더.
화장료로 허용 가능한 매질은 통상 에멀젼의 10∼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0∼99중량%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기타 화장품용 첨가제의 부재시에 그 조성물의 잔부(殘部)를 구성할 수 있다.
피부에 유익한 임의의 물질과 화장품용 첨가제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의 특히 편리한 제형은 에멀젼인데,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유화제와 함께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이 함유되므로, 사용된 유화제의 평균 친수성-친화성 값(HLB)에 크게 의존하는 유중수(油中水) 에멀젼이나 또는 수중유(水中油) 에멀젼을 제공한다.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서 1종 이상의 오일 또는 오일의 특성을 갖는 기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오일의 예로서는, 광물유와 식물성유 및 이미 본 명세서에서 연화제로서 제안된 것들과 같은 오일성 물질이 있다. 기타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로서는 실리콘유 및 폴리디메틸실옥산과 같은 휘발성 물질과 비휘발성 물질이 있다.
에멀젼을 구성할 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은 통상 조성물 부피의 90%까지, 바람직하게는 10∼80%를 구성할 수 있다.
유화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화제도 역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데, 그 선택은 일반적으로 유중수 에멀젼이 형성되는지 또는 수중유 에멀젼이 형성되는지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유중수 에멀젼이 요구될 경우, 선택되는 유화제는 통상 평균 HLB 값이 1∼6이다. 수중유 에멀젼이 요구될 경우, 선택된 유화제는 평균 HLB 값이 6 이상이다. 적당한 유화제의 예들이 표 1에 열거되어 있는데, 표 중의 유화제의 화학 명칭은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상품명의 예 및 평균 HLB 값과 함께 나타내었다.
상기 목록의 유화제는 한정시키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된 유화제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필요할 경우에는, 2종 이상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시킬 유화제 또는 그 혼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중량%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물을 최대 80부피%, 바람직하게는 5∼80부피%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 활성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분자량의 실리콘 계면 활성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역시 전술한 임의의 유화제 대신 또는 이 유화제에 더하여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계면 활성제는 디메틸 폴리실옥산과 폴리옥산에틸렌 및/또는 분자량이 10,000∼50,000이고, 다음 구조식의 폴리옥시프로필렌 측쇄와의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위 식에서, R' 및 R''기는 각각 -H, C1∼18알킬 및로부터 선택되며, a는 9내지 115의 값이고, b는 0 내지 50의 값이며, x는 133 내지 673의 값이고, y는 25 내지 0.25의 값이다.
좋기로는, 디메틸 폴리실옥산 중합체는, a는 10 내지 114의 값이고, b는 0 내지 49의 값이며, x는 388 내지 402의 값이고, y는 15 내지 0.75의 값이며, R' 및 R''기 중 하나가 라우릴이면, 다른 하나는 분자량이 1,000∼5,000인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메틸 폴리실옥산 중합체는, a는 14의 값이고, b는 13의 값이며, x는 249의 값이고, y는 1.25의 값을 갖는다.
디메틸 폴리실옥산 중합체는 휘발성 실옥산 내의 분산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편리한데, 이 분산물은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 1∼20부피% 및 휘발성 실옥산 80∼99부피%를 함유한다. 상기 분산물을 휘발성 실옥산중에 분산시킨 중합체 10부피%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폴리실옥산 중합체가 분산될 수 있는 휘발성 실옥산의 예로서는 폴리디메틸실옥산(5량체 및/또는 6량체)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리콘 계면 활성제로는 다우 코닝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DC 3225C 포뮬레이션 에이드(Formulation Aid)와 같은 시클로메티콘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이 있다. 다른 예로서는, 역시 다우 코닝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DC-Q2-5200과 같은 라우릴메티콘 코폴리올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시, 실리콘 계면 활성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에멀젼의 최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로 된다.
추가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본 발명의 에멀젼은 햇빛에 대한 과다한 노출로 인한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그 에멀젼의 잇점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톡시신남산옥틸 외에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도 역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종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UV-A 영역이나 UV-B 영역의 어느 것으로부터나 나오는 복사선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피부에 국소 적용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초미립 이산화티탄이 존재하면,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단독 사용과 관련될 수 있는 피부 손상이나 기타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위험성이 없이, 에멀젼의 총자외선 방지율을 비상(非常)하게 높은 수준까지 향상시키는데에 유기 자외선 차단 물질을 통상의 양보다 적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교적 소량의 제2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본 발명의 에멀젼에 임의로 배합시킬 수 있다.
메톡시신남산옥틸 이외에 적당한 추가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서는 필요시 표 2에 열거된 것들과 이들의 혼합물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를 함유한다.
기타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본 발명의 에멀젼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초미립 이산화티탄 외에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기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예로서는, 평균 입도가 1∼300nm인 산화 아연과, 평균 입도가 1∼300nm인 산화철, 그리고 평균 입도가 1∼100nm인 훈연 실리카와 같은 실리카가 있다.
실리카는 본 발명에 의한 에멀젼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경우, 적외선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한다.
기타의 화장품용 첨가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에 예로서는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과 같은 산화 방지제, 글리세롤, 소르비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프탈산디부틸, 젤라틴,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200-600과 같은 보습제,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 나트륨 등의 염기 및 젖산과 같은 완충제, 밀랍이나 지랍(ozokerite wax) 또는 파라핀 왁스와 같은 왁스, 알로에 베라, 수레국화꽃, 조롱나무, 양딱총나무꽃, 오이와 같은 식물의 추출물, 농후제, 활성 증강제, 착색제 및 향료가 있다. 화장품용 첨가제는 조성물의 잔부(殘部)를 구성할 수 있다.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주용도는 햇빛에 대한 심한 노출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선 케어 제품(sun care product)으로서의 용도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시, 적당한 용기나 기구로부터 소량, 예를 들어 1∼5㎖의 조성물을 덜어내어 피부의 노출된 부위에 바르고, 필요하다면 손이나 손가락 또는 적당한 고안품을 사용하여 피부에 퍼지게 하거나 또는 문질러 준다.
제품의 형상 및 포장
본 발명의 국소용 피부 및/또는 모발 처리 조성물은 점도가 4,000∼10,000mPas인 로션, 점도가 10,000∼20,000mPas인 유동성 크림 또는 점도가 20,000∼100,000mPas 또는 그 이상인 크림 등으로서 제제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그 점도와 소비자에 의한 소정의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적당한 용기에 포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션이나 유동성 크림은 병이나 롤-볼(roll-ball) 도포기 또는 추진제 작용의 에어로졸 기구 또는 손가락으로 눌러 사용하기 편한 펌프가 장착된 용기에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크림인 경우, 변형시킬 수 없는 병이나, 튜브 또는 뚜껑이 있는 단지와 같은 눌러짜는 용기에 간단히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장료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을 넣어 밀폐시킨 용기도 제공한다.
메톡시남산옥틸과 초미립 이산화티탄의 농도 측정법
상기 2종의 자외선 차단제의 최적의 농도를 측정하려면, 비교적 여러 제형의 자외선 방지율(SPF)을 측정하기 위한 정확하고 편리한 방법이 필요하다. DIN 또는 FDA 허용의 생체내 시험법을 비롯한 적당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시험관 내 방법이 특히 정확하고 편리하다. 사용된 모든 제형은 간단한 시판품인 O/W(수중유) 에멀젼 자외선 차단 기본 조성물에 근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시험관내 SPF 측정 방법에는 확산 투과율 검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퍼킨 엘머 람바 17 스펙트로포토메터를 사용하는 400nm∼290nm 사이에서의 각질층의 스캐닝 방법이 포함된다.
인체 피부 대신에 트랜스포머(Transpore) 테이프를 사용하고,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i) 테이프 조각을 0.5cm의 석영 접시 표면에 붙인다.
ii) 형광 차단 필터가 달려 있는 스펙트로포토메터의 광로(光路)내에 상기 테이프 조각이 들어 있는 석영접시를 놓는다. 이 필터는 상기 테이프의 자동 형광을 제거하고 400nm 이상의 모든 투과를 여과한다.
iii) 상기 테이프를 290∼400nm로 스캐닝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을 대조 스펙트럼으로 삼는다.
iv) 상기 테이프가 담긴 접시를 스펙트로포토메터로부터 꺼내어 검체(즉, 자외선 차단제)를 독일 DIN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1.5㎕/㎠ 정도로 도포하고 골무를 낀 손가락을 사용하여 테이프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문질러 준다.
v)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실온(20℃)에서 5분 동안 방치하여 건조되게 하고, 이어서 시료를 스펙트로포토메터 내에서 앞서와 같이 290∼400nm로 다시 스캐닝한다. 이 스펙트럼을 시험 스펙트럼으로 삼는다. 2~15분 사이의 건조 시간으로는 스펙트럼 흡광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5분의 건조 시간을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vi) 상기 대조 스펙트럼을 시험 스펙트럼에서 감하여 피검 시료인 자외선 차단제 물질의 스펙트럼 흡광도를 얻고, 이 흡광도를 투과율로 환산한다.
vii) 최종적으로, 시험관내 자외선 방지율(SPF)은 디페이(Diffey) 등에 의한 A new substrate to measure sunscreen protection factors throughout the ultra-violet spectrum in J. Soc. Cosmet. Chem. 40. 127-133(May/June 1989 : 특히 130 페이지 참조)에 기재되어 있는 투과율 측정법으로부터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다양한 제형에 대하여 정확한 SPF 값을 제공한다. 간단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제형의 SPF에 대한 자료로부터, 1∼50의 S값에 대한 전술한 식 1에 있어서의 X 및 Y값은 필요한 경우 보간법이나 외삽법을 사용하여 구한다. 그 다음, 실제 SPF 값은 식 1에 있어서 n이 0, 0.02, 0.04…1.00인 2종의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에 대하여 구한다. 다시, 보간법 또는 외삽법의 범위 내에서 비어스 법칙(Beer's law)이 준수된다는 가정하에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실질 데이타 값의 보간법 또는 외삽법에 의하여 정밀한 데이타 값을 구한다.
이어서, 단독의 자외선 차단제의 것보다 더 높은 홍반에 효과적인 UV선(100/SPF로서 정의됨)의 '실질'투과율 1.1%, 1.3%, 1.5%, 1.7% 및 1.8%를 나타내는 이들 2종의 자외선 차단제의 혼합물을 제1도에서와 같이 작도(作圖)하여 제1도에 A, B, C, D, E로 표시된 바람직한 영역, 특히 바람직한 영역, 보다 더 바람직한 영역, 가장 바람직한 영역을 정한다.
각 중량 농도가 모두 첨부 도면에 A로 표시된 범위에 속하는 초미립 이산화티탄(TiO2) 및 메톡시신남산옥틸(Parsol MXC)의 혼합물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증거
9.15%의 초미립 TiO2또는 5.97%의 Persol MCX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종래의 O/W 에멀젼으로서 조제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전술한 시험과 내 SPF법에서는 10.4의 자외선 방지율(SPF)을 나타낸다. 이는 상기 조성물의 흔히 일어나기 쉬운 홍반에 효과적인 UV선의 100/10.4 또는 9.61%를 투과시킨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9.15×0.3)%의 TiO2및 (5.97×0.7)%의 Parsol MCX를 함유하는 유사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독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제형과 동등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사실상 이것은 그 조성물의 SPF가 예상되는 것보다 낮은 홍반에 효과적인 UV선 투과율인 8.66%∼0.95%를 나타내는 11.54인 경우와 거의 같다.
9.15×0.3=2.74%의 TiO2및 5.97×0.7=4.2%의 Parsol MCX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첨부 도면에서 A로 표시되는 영역 밖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예상하지 않았던 홍반에 효과적인 UV선의 추가 흡광도 1% 미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12.6%의 TiO2또는 Parsol MCX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유사한 조성물은 시험관내 방법으로 23.8의 SPF를 나타내는데, 이는 홍반에 효과적인 UV선 투과율 4.2%(1/23.8)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0.7×12.6)%의 TiO2및 (0.3×15%)의 Parsol MCX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홍반에 효과적인 UV 투과율 2.46%만을 나타내는데, 이는 예상하지 않았던 홍반에 효과적인 UV선의 추가의 흡광도 1.74%를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은 도면에서 D로 표시되어 있는 특히 바람직한 영역 안에 포함되는데, 이는 0.7×12.6=8.82%의 TiO2및 0.3×15=4.5%의 Parsol MCX를 함유하며 매우 높은 예산하지 않았던 추가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다음 각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을 예시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예시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예시한다.

Claims (9)

  1. a)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효과적인 양의 평균 입도 100nm 미만의 이산화티탄과, (b)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효과적인 양의 메톡시신남산옥틸, 그리고 c) 지와선 차단제에 적합한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매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 농도는 첨부 도면의 C 영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심한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은 수분산형 이산화티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은 유분산형 이산화티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 농도는 첨부 도면의 D 영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 및 메톡시신남산옥틸의 중량 농도는 첨부 도면의 E 영역에 내에 있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유를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제2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19910007518A 1990-05-10 1991-05-10 화장제 조성물 KR96001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10527A GB9010527D0 (en) 1990-05-10 1990-05-10 Cosmetic composition
GB9010527.1 1990-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598A KR910019598A (ko) 1991-12-19
KR960011569B1 true KR960011569B1 (ko) 1996-08-24

Family

ID=1067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518A KR960011569B1 (ko) 1990-05-10 1991-05-10 화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215749A (ko)
EP (1) EP0456458B1 (ko)
JP (1) JPH0627064B2 (ko)
KR (1) KR960011569B1 (ko)
AT (1) ATE127334T1 (ko)
CA (1) CA2041974C (ko)
DE (1) DE69112699T2 (ko)
ES (1) ES2078444T3 (ko)
GB (2) GB9010527D0 (ko)
IN (1) IN172889B (ko)
ZA (1) ZA913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0684B1 (fr) * 1991-08-29 1993-11-1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trante comprenant un nanopigment d'oxyde metallique et un polymere filtre.
GB9126440D0 (en) * 1991-12-12 1992-02-12 Boots Co Plc Sunscreen compositions
GB9204388D0 (en) * 1992-02-29 1992-04-15 Tioxide Specialties Ltd Water-in-oil emulsions
GB9204387D0 (en) * 1992-02-29 1992-04-15 Tioxide Specialties Ltd Oil-in-water emulsions
GB9220670D0 (en) * 1992-09-30 1992-11-11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DE4342719A1 (de) * 1993-12-15 1995-06-22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O/W-Emulsionen, enthaltend Aminosäure und anorganische Pigmente
US5725844A (en) * 1993-02-11 1998-03-10 Beiersdorf Ag Waterproof cosmetic or dermatological photoprotective preparations
US5603863A (en) * 1993-03-01 1997-02-18 Tioxide Specialties Limited Water-in-oil emulsions
GB2278055B (en) * 1993-04-14 1997-02-05 Tioxide Specialties Ltd Compositions containing sunscreens
GB9307658D0 (en) * 1993-04-14 1993-06-02 Tioxide Specialties Ltd Compositions containing sunscreens
US5747012A (en) * 1993-06-11 1998-05-05 Tioxide Specialties Limited Compositions containing sunscreens
GB2279007B (en) * 1993-06-11 1997-04-02 Tioxide Specialties Ltd Compositions containing sunscreens
DE4423450C2 (de) * 1994-07-05 1997-07-24 Beiersdorf Ag Verwendung anorganischer Pigmente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welche alpha-Hydroxycarbonsäuren und/oder alpha-Ketocarbonsäuren enthalten
US7576296B2 (en) * 1995-03-14 2009-08-18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Thermal synthesis apparatus
US6821500B2 (en) 1995-03-14 2004-11-23 Bechtel Bwxt Idaho, Llc Thermal synthesis apparatus and process
US5749937A (en) * 1995-03-14 1998-05-12 Lockheed Idaho Technologies Company Fast quench reactor and method
US5601807A (en) * 1995-05-19 1997-02-11 Asaoka; Hisatoshi Ceramic type sunscreens
US5770183A (en) * 1996-08-01 1998-06-23 Linares; Francisco J. High SPF (30 and over) waterproof sunblock compositions
US5904918A (en) * 1996-11-04 1999-05-18 L'oreal S.A. Cosmetic powder composition
FR2758721B1 (fr) * 1997-01-28 1999-05-14 Inst Jeanne Piaubert Procede de photoprotection de la peau d'un etre humain et complexe synergique anti-solaire pour sa mise en oeuvre
US5800826A (en) * 1997-03-05 1998-09-01 E-L Management Corp.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damaged RNA fragments
US5961961A (en) * 1998-06-04 1999-10-05 Chesebrough-Pond's Usa Co.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DE19826840A1 (de) * 1998-06-16 1999-12-23 Merck Patent Gmbh Dispersion anorganischer UV-Filter
US6007797A (en) * 1998-08-06 1999-12-28 Ipa, Llc Disappearing color sunscreen compositions
US6217852B1 (en) * 1998-08-15 2001-04-17 Skinnovative Dermatologic Concepts, L.L.C.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having photoprotective agents
BR9804597A (pt) 1998-11-10 2000-05-30 Cosmeticos Natural Ind Com Composição cosmética sob a forma de pó.
FR2795308B1 (fr) * 1999-06-28 2001-08-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demaquillage et/ou de nettoyage de la peau sous forme d'emulsion eau-dans-huile
DE19950090A1 (de) * 1999-10-18 2001-04-19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Siliconemulgatoren
WO2001046067A1 (en) * 1999-12-21 2001-06-28 Bechtel Bwxt Idaho, Llc Hydrogen and elemental carbon production from natural gas and other hydrocarbons
KR100404398B1 (ko) * 2001-10-26 2003-11-05 엔프라니 주식회사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방법
DE10161170A1 (de) * 2001-12-13 2003-06-18 Beiersdorf Ag Lippenstift
US7354561B2 (en) * 2004-11-17 2008-04-08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hemical reactor and method for chemically converting a first material into a second material
US20060210515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Hair growth formula
US20060210514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Skin protection and moisturiz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210524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Skin care composition
US7749545B2 (en) * 2005-03-18 2010-07-06 Sakura Properties, Llc Fucoid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etary and nutritional supplements
US20060210496A1 (en) * 2005-03-18 2006-09-21 Mower Thomas E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from ultraviolet damage
US7175835B1 (en) 2005-12-23 2007-02-13 Conopco, Inc. Cosmetic emulsions with inorganic sunscreens stabiliz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KR100749891B1 (ko) * 2005-12-30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2007-04-02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8586012B2 (en) 2007-06-06 2013-11-19 Solise LLC Body wash with sunscreen system and method
US7824662B2 (en) * 2007-06-06 2010-11-02 Arizona Sunwash LLC Body wash with sunscreen
US8591821B2 (en) 2009-04-23 2013-11-26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ombustion flame-plasma hybrid reactor systems, and chemical reactant sources
US8795640B2 (en) 2011-12-22 2014-08-05 Mary Kay Inc. Lip formulation
JP5813745B2 (ja) 2013-12-26 2015-11-17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WO2019230378A1 (ja)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 資生堂 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含む化粧料用無機粒子分散液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3497A1 (de) * 1975-07-26 1977-02-10 Henselwerk Gmbh Strahlen-, licht- und sonnenschutzmittel und seine verwendung
US4119712A (en) * 1977-07-25 1978-10-10 Revlon, Inc. Makeup foundations
US4663157A (en) * 1985-02-28 1987-05-05 The Proctor & Gamble Company Sunscreen compositions
MY100306A (en) * 1985-12-18 1990-08-11 Kao Corp Anti-suntan cosmetic composition
US4699779A (en) * 1986-02-18 1987-10-13 Victor Palinczar Waterproof sunscreen compositions
US4820508A (en) * 1987-06-23 1989-04-11 Neutrogena Corporation Skin protective composition
US5028417A (en) * 1987-07-20 1991-07-02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Sunscreen compositions
GB8717662D0 (en) * 1987-07-24 1987-09-03 Boots Co Plc Sunscreen composition
LU87030A1 (fr) * 1987-10-28 1989-05-08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e nouvelles substances a titre de reflecteurs du rayonnement infrarouge,compositions cosmetique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epiderme humain contre le rayonnement infrarouge
US4917883A (en) * 1989-03-16 1990-04-17 Amway Corporation Oil in water emulsion sunscreen composition
US4917882A (en) * 1989-03-16 1990-04-17 Amway Corporation Gel-type sunscreen composition
GB8906258D0 (en) * 1989-03-18 1989-05-04 Boots Co Plc Sunscreen compositions
US5008101A (en) * 1989-12-05 1991-04-16 Dow Corning Corporation Sunscreen formulation containing a phenyl 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8444T3 (es) 1995-12-16
DE69112699T2 (de) 1996-02-08
ZA913551B (en) 1993-01-27
CA2041974A1 (en) 1991-11-11
EP0456458A3 (en) 1992-01-15
ATE127334T1 (de) 1995-09-15
IN172889B (ko) 1993-12-25
JPH04226910A (ja) 1992-08-17
GB9010527D0 (en) 1990-07-04
AU7640591A (en) 1991-11-14
GB9110189D0 (en) 1991-07-03
JPH0627064B2 (ja) 1994-04-13
CA2041974C (en) 1995-04-18
KR910019598A (ko) 1991-12-19
GB2275190A (en) 1994-08-24
EP0456458B1 (en) 1995-09-06
AU636225B2 (en) 1993-04-22
DE69112699D1 (de) 1995-10-12
EP0456458A2 (en) 1991-11-13
US5215749A (en) 199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569B1 (ko) 화장제 조성물
EP0456460B1 (en) Cosmetic composition
KR950003088B1 (ko)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EP0456459B1 (en) Cosmetic composition
RU2173981C2 (ru) Эмульсия "вода-в-масле" на основе двух специфических эмульгаторов, косметическая и/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для защиты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от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HU219127B (hu) Napvédő kozmetikai készítmények és alkalmazásuk
JPH07252123A (ja) 抗日光化粧品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RU2180212C2 (ru) Эмульсии масло-в-воде, содержащие производное 1,3,5-триазина и силикон сополиол, и их косме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AU665499B1 (en) Photoprotectiv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pecific oils and uses
ZA200600851B (en) Metal oxide formulations
JP2007161648A (ja) 微粒子酸化亜鉛分散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MXPA05006912A (es) Filtros solares.
MXPA98000420A (en) Anhydric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itanium dioxide nanopyments and hollow microspheres, flexib
US6436374B1 (en) Light-stable cosmetic formulation containing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US6146617A (en) Dispersion of inorganic UV filters
KR20060121904A (ko) 선스크린 제품용 수-중-실리콘 오일 유탁액
KR100285008B1 (ko) 티타늄산화물 안료를 함유한 화장조성물의 광청색화 감소방법, 조성물 및 그의 용도
EA024856B1 (ru) Фотостабильная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RU2359657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фильтры
JPH11349469A (ja) 紫外線防御化粧料
EA030286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