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52B1 - 입체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52B1
KR950002252B1 KR1019870013559A KR870013559A KR950002252B1 KR 950002252 B1 KR950002252 B1 KR 950002252B1 KR 1019870013559 A KR1019870013559 A KR 1019870013559A KR 870013559 A KR870013559 A KR 870013559A KR 950002252 B1 KR950002252 B1 KR 95000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lifting frame
fork
elevato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416A (ko
Inventor
히로시 모리오까
Original Assignee
닛세이 빌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모리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314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12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856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87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68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8796B2/ja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빌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모리오까 filed Critical 닛세이 빌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 주차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단독식 주차장치를 도시한 측면 설명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오른쪽에서 본 측면 설명도.
제 3 도는 엘리베이터(20)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 4 도는 팰릿길이와 포오크장치(30,30)의 폭과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 5 도는 포오크장치(30)의 단면 설명도.
제 6 도는 포오크장치(30)의 신장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포오크장치(30)의 분해설명도.
제 8 도는 호움포지션(15)의 1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9,10도는 호움포지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1a,b는 선회장치(40)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설명도.
제12도는 제 9 도의 XII-XII선의 단면 설명도.
제13도는 제10도의 XIII-XIII선의 단면 설명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2동식 주차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 설명도.
제15도는 1개의 피트(16a)에 자동차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 설명도.
제16도는 승강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판단 설명도.
제 17도는 지하부만에 수용랙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좁은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다수의 자동차를 입체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에 있어서, 주차장 용지의 확보가 가격적으로 면적적으로 곤란이 많아 토지의 유효이용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그의 대책으로서 여러가지 형식의 입체 주차장치가 개발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주차장 용지가 극단적으로 좁은 경우에 적합한 형식으로서, 곤돌라식의 입체 주차장치가 많이 건설되어 있다. 곤돌라식의 입체 주차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2조의 스프로켓을 설치하고, 2연의 컨베이어체인을 상부와 하부와의 각 스프로켓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 2연의 컨베이어 체인의 사이에 자동차를 적재하는, 소위 곤돌라를 다수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부의 스프로켓을 회전구동함으로써 곤돌라를 순환시키는 것이고, 1개의 곤돌라를 출입구에 대향시켜서 자동차를 입출고할때 다른 곤돌라는 컨베이어 체인에 의해 자동차를 적재한 채로 위쪽으로 매달아 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곤돌라의 전중량과 거기에 적재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중량과의 합계가 컨베이어 체인에 부하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체인에 작용하는 장력은 과대한 것으로 되고, 다수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는 안전성으로 고려하여 과도하게 큰 설비를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자동차의 반입 및 반출의 타이밍에 따라서는 곤돌라를 순환 회동할때 상행측 또는 하행측의 한쪽에만 자동차가 편재하는 경우도 생길 수가 있어, 구동용 모우터의 출력을 큰 것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상하방향에 다단으로 수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래예와 같이 자동차의 이동장치에 과대한 부하를 주지 않고, 또 편재된 부하를 주는 일이 없는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된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구조를 설명한다.
입체 주차장치의 수용랙(10), 엘리베이터(20), 포오크장치(30) 및 호움포지션(15)을 주구성요소로 하는 것이고, 이 수용랙(10)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레벨에 한쌍의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를 수평방향으로 대면해서 설치함과 동시에 다단으로 적층하고,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의 중랑부에는 가이드 포우스트(25)에 따라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액(10)은 기둥(10a,10a…)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이고, 최상층에 기계실(12), 도중층에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 그리고 지상층 전체에 호움포지션(15)이 설치되어 있다.
기둥(10a,10a…)에는 소정의 높이마다에 1조의 수용선반(13,13)을 서로 대향해서 돌출 설치하고, 이 위헤 팰릿(P)를 얹어놓고 떼기가 자유롭게 함으로써, 각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마루면을 형성시킨다.
기계실(12)의 하부에는 프레임(1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위에 엘리베이터(20)의 구동장치(24,24)가 설비되어 있다.
구동장치(24,24)는 기계실(12)의 프레임(12a)상에 설치되어 있고, 각 구동장치(24)는 모우터(24a), 커플링(24b) 및 감속기(24c)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20)의 승강장치의 상세한 것은 제 3 도에 의해 후에 상술한다.
이 구동장치(24)에 의해 승강되는 부재는 승강프레임(21) 및 스탠드(21b)이고, 이 승강프레임(21)의 상부에는 한쌍의 포오크장치(30,30)가 설치되어서, 이 포오크장치에 의해 승강프레임(21)상의 팰릿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상세한 구조는 제5 내지 7도에 있어서 기술한다).
가이드 포우스트(25,25)는 수용랙(10)의 구성부재의 일부로서 승강프레임(21)을 사이에 끼우도록 세워 설치되고, 이 가이드 포우스트(25)의 상단은 프레임(12a)에 고정 설치된다.
호움포지션(15)에 있어서는 승강프레임(21)상에 얹어 놓은 팰릿(P)상에 자동차(C)를 탑재 또는 철거한다. 그의 구조에 대하여는 제8 내지 15도에 의해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입체 주차장치에 자동차(C)를 반입하는데 있어서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서 행한다.
우선 임의의 1개를 제외한 모든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의 각 수용선반(13,13)에 펠릿(P)을 배치함과 동시에, 호움포지션(15)에 있어서 최강하위치로 내려진 승강프레임(21)의 팰릿(P1)상에 자동차(C)를 얹어 놓는다. 계속해서, 팰릿(P)이 배치되지 않은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까지 승강프레임(21)을 엘리베이터(20)에 의해 상승시켜(제 1 도의 화살표(U1)방향), 포오크장치(30,30)상의 팰릿(P2)의 하면이 해당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수용 선반(13,1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로 되도록 해서, 엘리베이터(20)를 정지한다.
그리고,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내부로 향해서 포오크장치(30,30)를 화살표(S1)방향으로 신장해서, 또한 승강프레임(21)을 화살표(D1)방향으로 다소 하강하면, 자동차(C)를 적재한 팰릿(P3)이 수용선반(13,13)의 상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그후 포오크장치(30,30)를 단축해서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로의 자동차(C)의 격납을 완료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자동차(C)를 반입할때는 우선, 다른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서 펠릿(P)을 반출해서 이것을 호움포지션(15)에 반송한다.
즉, 상술한 자동차(C)의 격납순서와 역의 순서에 의해 수용선반(13,13)에서, 승강프레임(21)의 포오크장치(30,30)상에 팰릿(P)을 옮겨 실은후, 승강프레임(21)을, 그의 최강하위까지 하강시켜 호움포지션(15)에 있어서 자동차(C)를 탑재한다.
그러한 후, 상기의 자동차(C)의 반입순서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해서, 모든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에 자동차(C)가 수용되면서 엘리베이터(20)는 임의의 높이에서 대기한다.
이 일체 주차장치에 수용되어 있는 자동차(C)를 반출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반출하려고 하는 자동차(C)가 수용되어 있는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까지, 엘리베이터(2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포오크장치(30,30)의 상면이 그의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 격납되어 있는 팰릿(P)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20)를 정지한다.
다음에,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내부로 향해서 포오크장치(30,30)를 신장하고, 승강프레임(21)을 상승해서 자동차(C)를 적재하고 있는 팰릿(P)을, 수용선반(13,13)에서 포오크장치(30,30)로 옮겨 실은후, 포오크장치(30,30)를 단축해서 자동차(C)를 승강프레임(21)의 중앙에 옮긴다. 계속해서, 승강프레임(21)을 최하위까지 하강하여 호움포지션(15)에서 해당자동차(C)를 반출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자동차(C)를 반출할때는 상술의 자동차(C)의 격납동작에 따라서, 승강프레임(21)상의 팰릿(P)을 격납한후 상기의 반출순서를 반복하면 된다.
또, 자동차(C)의 반출에 연속하여 자동차(C)를 반입할때는 승강프레임(21)상에 있는 팰릿(P)상에 해당자동차(C)를 얹어 놓고 상술의 최초의 자동차(C)를 반입할때의 순서에 의하면 된다.
제 3 도는 엘리베이터(20)의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엘리베이터(20)는 2조의 구동장치(24,24)와 승강프레임(21)과 승강프레임(21)을 매달아 내리기 위한 체인(22,22,23,23)과 승강프레임(21)을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포우스트(25,25)로 이루어진다.
감속기(24c)의 양측면에는 2개의 출력축(24d,24d)이 양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각각에 체인 스프로켓(이하, 단지 스프로켓이라고 함)(24a,24e)이 고착되어 있다. 승강프레임(21)은 2조의 포오크장치(30,30)를 얹어 놓은 하테(21a,21a)(
Figure kpo00001
)와, 하테(21a,21a)의 양단에 세워 설치된 스탠드(21b,21b)로 이루어진다.
스탠드(21b)의 상부에는 2개의 스프로켓(21c,21c)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 포우스트(25)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승강프레임(21)이 가이드 포우스트(25)에 따라서 동요가 생기지 않은 승강이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로울러가 가이드 포우스트(25)를 상부와 하부와의 2점에 끼워두도록 설치되어 있다.
체인(22,22)은 제 3 도의 좌측 구동장치(24)의 양측면의 스프로켓(24e,24e)에 각각 걸어맞추어져서 2개가 1조로 되어 있다(동도면중, 실선으로 도시함).
제 3 도의 우측외 구동장치(24)의 스프로켓(24e,24e)에 대하여도 2개 1조의 체인(23,23)이 걸어맞춤되어 있다(파선으로 도시함).
지금, 제 3 도의 좌측의 구동장치(24)에 의해 구동되는 2개 1조의 체인(22,22)에 착안한다.
각 체인(22)은 프레임(12a)의 좌단부에 고착된 종단 스토퍼(22b)에서 밸런스 웨이트(22h)를 매달아 내리는 가동스프로켓(22a), 프레임(12a)에 축착된 고정 스프로켓(22d)을 거쳐, 감속기(24c)의 한쪽의 측의 스프로켓(24e)에 걸어맞춘후 다른 고정 스프로켓(22e)에 이른다. 단, 여기서 종단 스토퍼(22b), 가동 스프로켓(22g), 고정 스프로켓(22d,22e)은 각각 2개의 체인(22,22)의 각각에 대응해서 2개씩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밸런스 웨이트(22h)는 2개의 가동 스프로켓(22g,22g)에 공통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고정 스프로켓(22e,22e)을 거친 2개의 체인(22,22)은 그의 한쪽은 고정 스프로켓(22e)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좌측의 스탠드(21b)에 축착된 스프로켓(21c)을 거쳐 프레임(12a)의 좌측에 설치된 덴너셔너(22c)에 이르지만, 다른쪽은 프레임(12a)의 아래를 횡행해서 우측의 스탠드(21b)의 위쪽의 가이드 스프로켓(22f)을 거친후, 우측의 스탠드(21b)상의 스프로켓(21c)을 거쳐 프레임(12a)의 우측으로 설치된 다른 텐셔너(22c)에 이른다.
제 3 도의 우측의 구동장치(24)의 스프로켓(24e,24e)에 걸쳐맞추어서 구동되는 2개 1조의 체인(23,23)에 대하여도 동일하고 체인(22,22)에 대한 각 부재에 대응해서 종단 스토퍼(23b,23b), 가동 스프로켓(23g,23g), 밸런스 웨이트(23h), 고정 스프로켓(23d, 23d, 23e, 23e), 가이드 스프로켓(23f)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2조의 구동장치(24,24)는 각각 2개 1조, 계 4개의 체인(22,22,23,23)을 통해서 승강프레임(21)을 메달아내리고 있고, 그 위에, 각 구동장치(24)의 구동력은 승강프레임(21)의 좌우 양측의 스탠드(21b,21b)에 대해서 균형해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단, 체인(22,23)의 종단을 걸어맞춤하는 텐셔너(22c)는 핀(22j)을 통해서 프레임(12a)에 대하여 요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체인(22,23)의 장력 불균형을 도시하지 않은 리밋스위치에 의해 검지할 수 있는 한편, 양 구동장치(24,24)는 전기적으로 동기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21a)에는 2조의 포오크장치(30,30)가 얹혀져 있다.
포오크장치(30,30)는 승강프레임(2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즉, 승강프레임(2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고, 그위에 자동차(C)를 적재한 팰릿(P)을, 그의 상면에 지지해서 작동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포오크장치(30,30)는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내부에 신장된 상태로 엘리베이터(20)을 작동시키고, 승강프레임(21)을 승강하여도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의 수용선반(13,13)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제 4 도).
즉 한쌍의 수용선반(13,13)의 개구폭(A)은 팰릿(P)의 길이방향의 길이(B) 보다 작고, 엘리베이터(20)에 탑재하고 있는 한쌍의 포오크장치(30,30)의 최대폭(D) 보다 크게 취해져 있다.
제5 내지 7도에 있어서 포오크장치(3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각 포오크장치(30)는 수평방향 좌우에 평행 이동가능한 구조이고, 1단 포오크(31)의 2단 포오크(32)와 3단 포오크(33)로 이루어져 있고, 각 포오크(31,32,33)는 각각 대략 홈형단면의 구조체이고, 순서대로 겹쳐져 있음과 동시에 1단 포오크(31)는 승강프레임(21)에 고정된다.
2단 포오크(32)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32a,32a,32b,32b)과 이들의 홈(32a,32a,32b,32b)에 끼워 맞춤되어서 전동하는 로울러(31a,31a…,33a,33a…)를 통해서 서로 걸어맞추어져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단, 로울러(31a,31a…,33a,33a…)는 각각 1단 포오크(31)와 3단 포오크(33)와의 양측면에 있어서, 양단부에 각 1개, 중앙부에 2개 설치되어 있어 그의 스트로우크내에 있어서는 1단 포오크(31)와 2단 포오크(32)와의 걸어맞춤은 항상 적어도 편측 2개씩 합계 4개의 로울러(31a,31a…)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 똑같이 2단 포오크(32)와 3단 포오크(33)와의 걸어맞춤은 적어도 4개의 로울러(33a,33a…)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 2단 포오크(32)의 양단부에는 스프로켓(36a,37a)이 설치되어 있고, 1단 포오크(31)와 3단 포오크(33)에 설치된 지착점(36c,37c,36b,37b)과의 사이를, 2개의 체인(36,37)이 스프로켓(36a,37a)을 통해서 서로 교차하는 모양으로 팽팽하게 걸어져 있다.
1단 포오크(31)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열(34,34a,34b,34b)이 장착되어 있고, 기어(34b,34b)는 2단 포오크(32)의 하면에 고착된 랙(35)과 맞물려 있다.
지금, 상기 모우터에 의해 기어(34)를 구동할 때, 1단 포오크(31)에 대하여 2단 포오크(32)가 화살표(R1)방향으로 전진하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체인(36,37)의 한쪽이 긴장하고(제6,7도에서는 체인(36)이 긴장된다), 다른 쪽이 이완되기 때문에 2단 포오크(32)에 대해서 3단 포오크(33)로 화살표(R2)방향으로 전진하고, 결국 포오크장치(30)의 전체가 신장된다.
똑같이 기어(34)를 역전 구동하면 포오크장치(30)는 그의 길이를 축소하고, 또한 상기와 역의 방향으로 신장할 수도 있다.
단, 기어(32)는 2조의 포오크장치(30,30)에 대해서 각 1개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서 1대의 모우터에 의해 2조의 포오크장치(30,30)가 동시에 신장하고, 단축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제 8도는 호움포지션(15)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강하시킨 승강프레임(21)상으로 자동차(C)를 탑재 또는 철거하기 위한 선회장치(40)가 그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 선회장치(40)는 제11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41)가 설치되어, 리프터(41)는 베이스(41a)와 에어실린더(41b,14b)에 의해 개폐자유의 각(脚)(41c,41c…)과 천판(41d)을 구비하는 팬터그래프식의 승강기구이고, 선회장치(40)는 천판(41d)상에 얹혀져 있다.
또, 선회장치(40)는 고정프레임(40a)과 회전프레임(40b)을 조합시킨후 회전프레임(40b) 상부에 선회베이스(40c)를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프레임(40a,40b)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모우터와 기어기구에 의해 회전프레임(40b)이 회전한다.
즉, 승강프레임(21)에 평행한 수용랙(10)의 1변의 중앙부에 출입구(G)를 설치하고, 마루면(16)에는 최하위에 있는 승강프레임(21)을 수납하기 위한 피트(16b)와 자동차(C)의 입출고방향으로 향해서, 엘리베이터(20)와 직교시킨 팰릿(P)을 수납하기 위한 피트(16b)가 열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프레임(21)에 의해 호움포지션(15)으로 강하된 팰릿(P)은 리프터(4')를 상승시킴으로써 선회베이스(40c)상에 옮겨지고 선회장치(40)에 의해 90도 선회되어서 피드(16b)에 수납되고, 출입고(G)에서 입고시킨 자동차(C)를 팰릿상에 얹고 또한 선회장치(40)에 의해 팰릿(P)과 자동차(C)를 90도 선회해서 승강프레임(21)과평행인 위치에 맞추어 엘리베이터(20)를 상승시켜서 승강프레임(21)상에 팰릿(P)과 자동차(C)를 얹어 놓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20) 및 포오크장치(30)를 사용해서 수용 스페이스(11)에 팰릿(P) 및 자동차(C)를 수납한다.
제 9 도는 상기 선회장치(40)를 설치하지 않고 호움포지션을 구성하는 것이고, 엘리베이터(20)의 바로 아래에 승강프레임(21)이 최하위까지 하강했을때, 승강프레임(21)을 수납하는 개구부(18)를 설치하고 그 위에, 출입구(G)는 탑재포지션(17)의 단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탑재포지션(17)은 마루면(17a)에 팰릿(P)을 수납할 수 있는 피트(17c)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트(17c)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팰릿받이대(17b,17b…)설치하고 있다(제12도). 또, 수용액(10)의 외부의 출입구(G)의 가까운 위치에 자동차(C)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회전테이블을 구비할 수가 있다.
이 탑재포지션(17)을 사용해서 입체 주차장치에 자동차(C)를 반입하는데 있어서는 포오크장치(30,30)의 상면에 팰릿(P)을 상재해서 승강프레임(21)을 하강하고, 포오크장치(30,30)를 탑재포지션(17)으로 행해서 신장한후, 엘리베이터(20)를 최하위까지 하강하고, 팰릿(P)을 피트(17c)의 팰릿받이대(17b,17b…)에 지지시켜서 대기한다. 최초의 자동차(C)를 반입할때는 자동차(C)를 출입구(G)에서 앞방향으로 진입시켜 팰릿(P)위에 주차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20)를 다소 상승해서, 자동차(C)를 적재한 상태로 팰릿(P)을 토오크장치(30,30)상에 옮겨 실은후, 엘리베이터(20)를 일단 정지하고, 포오크장치(30,30)를 단축해서 자동차(C)를 승강프레임(21)의 중앙에 얹어 놓는다.
그후,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반입순서에 따라서, 자동차(C)를 임의의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 격납할 수가 있다.
또, 탑재포지션(17)에 대향하는 지상층의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 자동차 (C)를 반입할때는 자동차(C)는 상기의 순서에 의해 포오크장치(30,30)에 옮겨 실은후, 포오크장치(30,30)를 단축하고 또한, 이것을 반대측으로 신장하면 자동차(C)는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내에 반입되기 때문에 그대로 엘리베이터(20)를 하강하고, 자동차(C)를 해당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 격납할 수가 있다.
또 자동차(C)를 반출할 때는 우선 반출할려고 하는 자동차(C)를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중앙으로 옮겨 실은후, 엘리베이터(20)를 하강하고, 포오크장치(30,30)의 하면이 마루면(17a)에서 약간 높은 위치로 되도록 한다.
이어서, 탑재포지션(17)으로 행해서 포오크장치(30,30)를 신장하고, 또한 엘리베이터(20)를 하강시켜, 팰릿(P)을 팰릿받이대(17b,17b…)에 지지시킨후, 자동차(C)를 후퇴방향으로 발진시켜서 입체 주차장치로부터 반출한다.
또, 출입구(G)의 가까이에 회전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후퇴해서 반출한 자동차(C)를 이 위에서 방향 전환하면 된다.
제10도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랙(10)을 2개 나열해서 설치하고 연동식으로 한 주차장치의 호움포지션(15)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2가의 엘리베이터(20,20)를 설치해서 출입구(G)에서 어느 동에도 자동차(C)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호움포지션(15)에는 지상레벨(GL)과 거의 동일높이의 마루면(16)을 설치한다.
그리고 주차동(Pa)에 있어서 엘리베이터(20)의 승강프레임(21)에 평행한 수납랙(10)의 일변의 중앙부에, 출입구(G)를 설치하고 있다.
마루면(16)에는 최하강위치에 있는 승강프레임(21)을 수납하기 위한 피트(16a)와 화살료로 도시한 자동차(C)의 입출고방향으로 향해서 승강프레임(21)과 직교시킨 팰릿(P)을 두기 위한 얕은 피트(16b)가 열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호움포지션(15)의 피트(16a)의 중앙부에는 리프터(41)에 의해 승강 가능한 선회장치(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20)는 그의 최하강위치에 있어서는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21a)가 선회장치(40)를 끼우고 피트(16a)내까지 하강시킬 수가 있고, 그때 선회장치(40)는 리프터(41)를 상승시킴으로써 선회 베이스(40c)가 승강프레임(21)상의 팰릿(P)의 하면을 밀어올릴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리프터(41)를 상승시켜서 선회장치(40)를 작동시키면 승강프레임(21)의 위쪽에 있어서, 팰릿(P)을 수평면내에 선회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21a)에는 가대장치(50,50)가 장착되어 있다(제13도).
단, 가대장치(50,50)는 자동차(C)가 피트(16a)상을 주행 통과하기 위한 통과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전방측의 주차동(Pa)에 대하여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가대장치(50)는 장방형의 천판(51)의 양단부 하면에, 각 4개의 각(52,52…)을 늘어뜨려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각 각(52)의 하단에는 조절나사(52a)가 나사식으로 고정되며 그의 길이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각(52)은 하테(21a)에 고착된 파이프재(21d)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가대장치(50)는 전체로서 승강프레임(21)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의 상하 플랜지에는, 확폭용의 판재(21e,21e)가 설치되고 또, 각 (52,52…)은 4개 1조로서 연결판(52b)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천판(51)의 하면에는 보강재(51a,51a)가 고착되어 있다.
가대장치(50)의 천판(51)은 팰릿(P)과 대략 동폭의 길이와 선회장치(40)의 선회베이스(40c)와 피트(16a)와의 사이의 수평틈새(d)(제13도)를 거의 덮는데 충분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또, 각 (52,52…)의 길이는 승강프레임(21)을 최하강위치에 둘때, 천판(51)이 선회위치(40)의 선회베이스(40c)와 같이 피트(16a)의 상면에 자동차(C)의 주행가능면을 형성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천판(51)과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있고 자동차의 하중이 승강프레임(21)에 부하되는 일이 없다.
단, 각(52,52…)의 아래쪽에는 대좌(16c)를 형성해서 각 (52,52…)의 소요길이를 짧게 하고 있다.
또, 가대장치(50,50)는 승강프레임(21)을 상승시킬때는 그의 자중에 의해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천판(51)과 하테(21a)가 맞닿아 그대로 하테(21a)에 의해 매달아 올려져서 피트(16a)에서 끌어 올려지고, 승강프레임(21)과 같이 위쪽으로 반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주차동(Pa,Pb)의 각 호움포지션(15,15)은 그의 중앙부가 개폐셔터(62)에 의해 또, 좌우양측의 고정셔터(61,61)에 의해 각각 구분되어 있다(제10도). 셔터(61,61,62)는 거친 격자형상이고 자유로 투시할 수 있는 구조의 것으로 하고 또, 개폐셔터(62)는 모우터와 매달아 올리는 체인에 의해 상하로 개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동식 입체 주차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지금, 전방측의 주차동(Pa)의 임의의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에 최초의 자동차(C)를 수납하는 것을 생각한다.
우선, 주차동(Pa)에 있어서 자동차(C)를 반입하려고 하는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를 제외한 모든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11…)에 대하여, 그의 수용선반 (13,13)상에 팰릿(P)을 1매씩 배치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20)는 승강프레임(21)을 최하강위치에 내려서 승강프레임(21)이 피트(16a)내에 있도록 하고 또한 1대의 팰릿(P)을 피트(16b)내에 승강프레임(21)과 직교하도록 두고 대기한다.
그러한 후, 출입구(G)로부터 자동차(C)를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의 앞방향에서 진입시켜, 팰릿(P)위에 주차시킨다. 이때 호움포지션(15)의 마루면(16)과 팰릿(P)의 상면과는 대략 동일높이이기 때문에, 자동차(C)의 진입은 원활하고 따라서, 자동차(C)의 진입과 주차위치 결정의 조작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팰릿(P)의 상면에는 자동차(C)의 타이어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고, 또한 소정위치에 안전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해 적당히 타이어 안내홈과 위치결정용의 오목하게 들어간 것을 형성하여 둘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자동차(C)를 주차한후 운전자는 승강프레임(21)상으로 하강해서 호움포지션(15)에서 나온다.
다음에, 리프터(41)를 상승시켜 자동차(C)를 적재한 상태의 팰릿(P)의 하면이 토오크장치(30,30)의 중간부에 있어서, 선회장치(40)에 의해 밀어올려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선회장치(40)를 작동시켜서 팰릿(P)을 선회하고 팰릿(P)을 승강프레임(21)에 평행으로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소정의 자동차 수동 스페이스(11)까지 엘리베이터(20)를 사용해서 상승하고, 상술한 단동식의 경우와 같이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11)로의 자동차(C)의 반입을 완료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주차동(Pa)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반출입은 상기한 단동식의 주차장치와 같이 행하면 된다.
또 주차동(Pb)에 대한 자동차(C)의 반출입순서도 주차동(Pa)에 대한 그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단, 출입구(C)에서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에 자동차(C)를 탄 채로 들어가는 경우, 및 주차동(PL)의 호움포지션(15)에서 출입구(G)로 향해서 자동차(C)를 반출할때에는 자동차(C)는 어느때에도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의 피트(16a)상을 주행 통과하지 않으면 안되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을 자동차(C)가 주행 통과할때에는 가대장치(50,50)의 천판(51,51)과 선회장치(40)의 선회베이스(40c)를 피트(16a)를 덮는 통과수단으로서 이용한다(제13,15도).
즉 주차동(Pa)의 승강프레임(21)을 최하강위치까지 하강하면, 가대장치(50,50)는 승강프레임(21)과 같이 하강해서 피트(16a)내에 설치되고, 그의 천판(51,51)은 선회장치(40)의 선회베이스(40c)와 같이 마루면(16)과 대략 동일높이의 주행가능면을 형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주행가능면을 건너가도록 해서 자동차(C)를 주행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대(50,50)의 천판(51,51)은 승강프레임(21)의 하테(21a,21a)에서 떨어져 대좌(16c,16c)상에 자립하게 되기 때문에 주행 통과하는 자동차(C)의 중량은 승강프레임(21)에 부하되는 일없이 따라서 엘리베이터(20)의 승강 스팬이 클때도 자동차(C)의 주행 통과때에 승강프레임(21)이 바람직하지 않은 흔들림에 의한 위험은 전혀 없다.
또, 자동차(C)가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을 주행통과할때에는 양 주차동(Pa, Pb)의 호움포지션(15,15)을 간막는 개폐셔터(62)는 이것을 개방하여 두는 것으로 한다.
또, 개폐셔터(62)는 안전하기 때문에 주차동(Pb)의 호움포지션(15)내에 자동차(C)를 주차하고, 운전자가 퇴출한 후에는 폐쇄하는 것으로 한다.
또 주차동(Pa)의 호움포지션(15)을 자동차(C)가 주행 통과할때의 피트(16a)상의 통과수단으로서는 팰릿(P)을 유용 사용할수도 있다(제13도의 2점쇄선).
이때의 팰릿(P)은 그의 양단부를 얕은 피트(16b,16b)에 건너지른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 상태는 주차동(Pa)에 대한 자동차(C)의 반입에 있어서의 최초의 대기상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차동(Pa)으로의 반입동작의 개시에 쓸데없는 시간은 소요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2동의 주차동(Pa, Pb)을 전후방향으로 연설한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대로 3동 이상의 주차동을 연설할때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제16도는 호움포지션(15)을 층상의 어느 것인가의 층층(1층을 제외한 2층, 3층,…최상층)에 설정하는 경우, 혹은 호움포지션(15)을 1층에 설치해서 수용 스페이스(11)를 지상부와 지하부 또는 지하부(제17도 참조)만을 형성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호움포지션(15) 및 승강프레임(21)의 구조를 예시하는 것이다.
즉 호움포지션(15)의 마루면(16)에는 승강프레임(21)이 상하로 통과가능한 노치부(16d)를 설치함과 동시에, 승강프레임(21)의 중앙부에는 선회장치(40)를 설치한다. 이 선회장치(40)의 상부에는 일부에 노치를 설치한 원형의 선회베이스(40c)를 형성하고, 이 선회베이스(40c)상에 포오크장치(30,30)를 설치한다.
이 포오크장치(30,30) 상면은 승강프레임(21)의 고정덱(21e) 및 보조덱(21f) 보다 높이 형성된다.
또 선회장치(40)의 내부에는 기어기구와 모우터가 수납되고 선회베이스(40c)를 화살표(L1-R2)의 어느 것인가의 방향으로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호움포지션(15) 및 승강프레임(21)을 사용한 장치에 의한 자동차의 반출입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자동차를 수용 스페이스에 수납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임의로 수용 스페이스(11)에서 팰릿을 상기의 예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승강프레임(21)상에 탑재하고, 호움포지션(15)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승강프레임(21)의 정지장치는 팰릿(PR)의 저면이 마루면(16) 보다 높이되는 위치로 하고, 이 위치에서 선회장치(40)의 작동에 의해 팰릿을 약 90도 회전해서 파선위치에서 멈추고, 그리고 승강프레임(21)을 약간 하강한다. 따라서 팰릿(PL)은 마루면상에 건너지르고, 이 위에 출입구(G)에서 자동차(C)를 반입하고 팰릿(PL)상에 얹는다. 승무원은 선회베이스(40c)의 보조덱(21f) 또는 고정덱(21e)으로 하강해서 호움포지션(15)에서 퇴출한다.
또 상기 호움포지션(15)의 노치부(16d)는 팰릿(PL) 및 승강프레임(21)에 의해 덮어져 있기 때문에 보행에 대한 위험은 일체없다.
이어서 승강프레임(21)을 다소 상승시켜 포오크장치(30,30)상에 팰릿 및 자동차를 지지하고(이때 팰릿의 장변과 포오크장치(30)의 진퇴방향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선회장치(40)를 작동시켜서 팰릿(PL)을 약 90도 회전해서, 팰릿을 승강프레임(21)과 평행으로 위치시켜 상술의 실시예와 같이 해서 수용 스페이스(11)에 팰릿 및 자동차를 수용한다.
수용 스페이스에서 자동차를 반출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반입의 경우와 역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또 상기 선회장치(40)의 선회방향을 반출, 반입시에 둘레방향으로 약 90도씩 회전시키면 호움포지션(15)에 앞방향으로 반입된 자동차를 호움포지션(15)에서 앞방향으로 반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승강프레임(21) 및 호움포지션(15)을 사용하면,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부에만 수용 스페이스(11)를 형성하는 것이나, 혹은 지상부 및 지하부의 양쪽에 수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데 적용할 수가 있고, 평면적이 작은 효율적인 입체주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수용스페이스를 다단 쌓아서 이루는 수용랙의 중앙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재한 포오크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와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옮겨실음을 팰릿을 통하여 행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에 의해 팰릿에 적재된 1대씩의 자동차를 상방향으로 반송해서,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와 지상층의 호움포지션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반송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에 부하되는 중량은 전체의 자동차 수요대수에 의하지 않고 자동차 1대분의 중량에 지나지 않아 자동차 수용대수가 많은 대규모 시스템으로 되어도 엘리베이터에 걸리는 부하과 과대하게 되는 위험이었고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구동모우터의 소요출력도 적은 것으로 충분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를 반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와, 자동차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랙과는 각각 독립의 시스템이고 곤돌라방식과 같이 양기능을 공용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자동차 수용대수를 많게 할때에는 만지 수용랙의 높이를 높게 해서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수를 증가하는 것만으로 족하고, 엘리베이터 그것 자체는 그의 승강행정을 크게하는 것만으로도 아무 기본적인 개변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최적 수용 대수 규모의 것을 구축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도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동일구조의 주차탑을 연설함으로써, 소정의 수용 대수규모의 것이 간단하게 건설될 수 있고, 토지점유면적의 불필요한 것을 극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구조부재의 공용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자동차 수용대수당의 건설단가도 감소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수평방향으로 대면해서 쌍을 이루는 자동차 수용스페이스를 다단으로 적층해서 수용랙을 형성하고 이 수용액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이 엘리베이터에는 자동차 적재용의 팰릿을 상재하는 승강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에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신축자유로운 포오크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자동차 수용 스페이스에는 상기 팰릿을 지지하고 또한 포오크장치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는 수용선반을 각각 설치하고, 또 상기 승강프레임상에 상기 팰릿 및 자동차를 얹어 놓거나 또는 철거하기 위한 호움포지션을 상기 수용랙의 어느 것인가의 계층에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동의 수용액을 연달아 설치하고, 각 수용액에 각각 엘리베이터 및 호움포지션을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호움포지션은 지상계에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호움포지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바로 아래에는 리프터 부착의 선회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부에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이 구동장치와 승강프레임은 체인을 통해서 연결되고 이 승강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포우스트에 따라서 끼워지도록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포오크장치는 서로 걸어맞춤된 1단, 2단, 3단의 포오크에 의해 형성되고, 1단 포오크는 승강프레임에 고정되고, 2단 포오크는 이 2단 포오크에 맞물린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되고, 3단 포오크는 다른 포오크와의 사이에 체인을 팽팽하게 설치하고 2단의 포오크의 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이상의 호움포지션이 설치되고, 각 엘리베이터의 바로 아래에는 리프터 부착의 선회장치가 형성되고, 적어도 1개의 호움포지션에는 피트부상을 덮고 자동차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통과수단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수단은 자동차 적재용의 팰릿을 피트부에 가로질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해서 미끄러지는 움직이기 가능한 각을 설치하고, 이 각의 상부에는 자동차 통과용의 천판을 설치하고, 동시에, 승강프레임의 최하강위치에서 하단은 피트부 저면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및 천판에 의해 형성되는 가대장치를 피트부에 배치해서 통과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호움포지션은 개폐 자유로운 셔터에 의해 간막이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2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용랙을 지하부에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프레임의 중앙부에 선회장치를 설치하고, 이 선회장치상에 포오크장치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치.
KR1019870013559A 1986-12-24 1987-11-30 입체 주차장치 KR950002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14495 1986-12-24
JP??61-314495 1986-12-24
JP61314495A JPS63161267A (ja) 1986-12-24 1986-12-24 立体駐車装置
JP62-118568 1987-05-15
JP11856887A JPH0768792B2 (ja) 1987-05-15 1987-05-15 連棟形立体駐車装置
JP??62-118568 1987-05-15
JP??62-241680 1987-09-26
JP62-241680 1987-09-26
JP24168087A JPH0768796B2 (ja) 1987-09-26 1987-09-26 エレベータ式の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昇降キャリッ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416A KR890008416A (ko) 1989-07-10
KR950002252B1 true KR950002252B1 (ko) 1995-03-15

Family

ID=2731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559A KR950002252B1 (ko) 1986-12-24 1987-11-30 입체 주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6730A (ko)
KR (1) KR950002252B1 (ko)
DE (1) DE3740586C2 (ko)
FR (1) FR2609085B1 (ko)
GB (1) GB2199816B (ko)
HK (1) HK770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1800B (it) * 1988-05-04 1990-07-12 Parking Group Spa Impianto per il parcheggio di autovetture su piu'livelli
KR910004795B1 (ko) * 1988-12-27 1991-07-13 정수철 자체 입고수단을 갖는 입체형 주차장치
DE3939287C2 (de) * 1989-11-28 1996-04-25 Paulmichl Dieter Fahrzeug U An Mechanische Autoparkanlage
EP0445080A3 (en) * 1990-01-31 1992-03-04 Paravia Ascensori S.P.A. Automatic car parking
US5267822A (en) * 1990-01-31 1993-12-07 Paravia Ascensori Automatic automobile parking garage
US5118239A (en) * 1990-05-23 1992-06-02 Nissei Build Kogyo Kabushiki Kaisha Cubic parking apparatus
JP2992643B2 (ja) * 1990-05-23 1999-12-20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の位置決め固定装置
CH680812A5 (ko) * 1990-09-28 1992-11-13 Coenco Sa
DE4207446A1 (de) * 1991-03-23 1992-09-24 Neckar Stahlbautechnik Parkhaus fuer kraftfahrzeuge
JPH04338006A (ja) * 1991-05-13 1992-11-25 Daifuku Co Ltd 荷移載装置
US5292218A (en) * 1991-07-19 1994-03-08 Nkk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tor vehicle and multistory parking lot
KR970003868B1 (ko) * 1991-10-14 1997-03-22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입체주차설비
KR0128483B1 (ko) * 1991-11-05 1998-04-08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체 주차장
KR0145422B1 (ko) * 1991-11-26 1998-09-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물품승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입체 주차장
FR2685376A1 (fr) * 1991-12-23 1993-06-25 France Parking Procedes Installation de parcage de vehicules automobiles, formant garage individuel automatique en milieu urbain.
JPH062449A (ja) * 1992-06-19 1994-01-11 Nkk Corp パレットレス移載装置
KR0145430B1 (ko) * 1992-10-06 1998-09-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체 주차장
US5314285A (en) * 1993-01-13 1994-05-24 Necer International Co., Ltd. Automatic controlled multi-level storage system
DE9300492U1 (de) * 1993-01-18 1994-05-26 Stopa Anlagenbau Gmbh & Co Kg Regalbediengerät
EP0625623A1 (en) * 1993-04-22 1994-11-23 Chi Chung Tsai Parking tower
US5314284A (en) * 1993-04-23 1994-05-24 Tsai Chi Chung Parking tower with a carrier handling device on a elevator
DE4338717A1 (de) * 1993-11-12 1995-05-18 Siemag Transplan Gmbh Automatische Park- und Lager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5580206A (en) * 1994-07-29 1996-12-03 Fki Industries Inc. Storage and retrieval crane with dual drives
AT408893B (de) * 1997-03-06 2002-03-25 Ltw Lagertechnik Gmbh Einrichtung zum raumsparenden abstellen von kraftfahrzeugen
US6212832B1 (en) * 1997-05-30 2001-04-10 Zhuangmei Gao Silo structure of vehicle parking system
DE19741638A1 (de) * 1997-09-22 1999-04-01 Fraunhofer Ges Forschung System zur Einlagerung von Kraftfahrzeugen
TW448260B (en) * 1997-11-06 2001-08-01 Lg Ind Systems Co Ltd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WO2000017470A1 (fr) * 1998-09-23 2000-03-30 Heidi Industriele Venootschap N.V. Park lift
US6491488B1 (en) 2001-09-21 2002-12-10 Lawrence Vita Car parking structure
US20070071548A1 (en) * 2005-09-24 2007-03-29 Rafael Arrieta-Eskarzaga Kenerikharri multilevel system of vehicular traffic
BRPI0721339B1 (pt) * 2007-02-13 2018-02-14 WAP Wöhr Automatikparksysteme GmbH & Co KG Instalação de estacionamento para veículos a motor e processo para operação da mesma
US20090283386A1 (en) * 2008-05-15 2009-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to automatically move physical infrastructure to optimize geothermal cooling
US9574363B1 (en) * 2011-07-01 2017-02-21 Mi-Jack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chassis
US9505555B2 (en) 2011-07-01 2016-11-29 Mi-Jack Products, Inc. Chassis stacker
JP5713203B2 (ja) * 2012-03-27 2015-05-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CN105952205A (zh) * 2016-06-13 2016-09-21 宁佐洪 移动式立体车库
CN106647403A (zh) * 2016-12-27 2017-05-10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插接板扩展的立体车库控制方法
CN106647504A (zh) * 2016-12-27 2017-05-10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易扩展的立体车库控制方法
CN106597904A (zh) * 2016-12-27 2017-04-26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插接板扩展的立体车库路径规划控制方法
CN106502185A (zh) * 2016-12-27 2017-03-15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插接板扩展的立体车库路径规划控制系统
CN107191029A (zh) * 2017-06-02 2017-09-22 宁坚 可升降箱体车位构建的地下立体车库
BE1024979B1 (nl) * 2017-06-26 2018-08-29 B-Si Bvba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utomatisch parkeren van een wagen
CN107575072A (zh) * 2017-09-04 2018-01-12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公交车立体车库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8882B (ko) * 1959-11-12
DE1248904B (ko) * 1967-08-31
US1605220A (en) * 1925-06-17 1926-11-02 Cuvillier Lucien Appliance for housing and handling motor cars
DE860928C (de) * 1949-01-17 1952-12-29 Ard A 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tellen von Fahrzeugen und Stapeln von Guetern, insbesondere in Grossgaragen bzw. Lagerhaeusern
US2650728A (en) * 1950-01-26 1953-09-01 George G Goodwyn Automobile storage apparatus
US2667980A (en) * 1952-01-28 1954-02-02 Melvyn H Dawson Semiautomatic parking garage building
US2838186A (en) * 1953-07-30 1958-06-10 Speed Park Inc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US2951599A (en) * 1956-06-15 1960-09-06 Lawrence A Bogar Vehicle parking device
US2890802A (en) * 1956-07-02 1959-06-16 Speed Park Inc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US3016154A (en) * 1958-03-14 1962-01-09 Viale Garage
CH403275A (de) * 1961-09-15 1965-11-30 Suedwestfalen Ag Stahlwerke Mehrstöckige Garage
US3190467A (en) * 1962-12-26 1965-06-22 Ralph M English Automobile parking system
US3240364A (en) * 1964-02-06 1966-03-15 William S Kapnek Automobile parking installation
US3294260A (en) * 1964-09-11 1966-12-27 John W Erangos Storage system
US3249260A (en) * 1964-12-18 1966-05-03 Aerosol Res Company Actuating mechanism
US3618793A (en) * 1969-02-07 1971-11-09 Ralph W Coursey Elevator turntable-type mechanical auto parking system
FR2049554A5 (ko) * 1969-06-18 1971-03-26 Jullien Antonin
US3618798A (en) * 1970-02-09 1971-11-09 Melvin E Dreier Distributor spout for grain and silage
US3737057A (en) * 1970-06-11 1973-06-05 Cubic Corp Multi-level automatic storage and recovery system for aircraft
DE2131157A1 (de) * 1970-06-25 1971-12-30 Ct Stephanois De Rech S Mecani Abstellanlage zum Lagern von Ladegut,insbesondere zum Parken von Kraftfahrzeugen
US3710956A (en) * 1971-07-29 1973-01-16 H Meyer Vehicle packing facility with a vertically extensible mast
DE2804422A1 (de) * 1978-02-02 1979-08-09 Evertz Parkbuehne fuer fahrzeuge, insbesondere fuer mehrgeschossige parkhaeuser von personenkraftwagen
US4312623A (en) * 1979-03-15 1982-01-26 Eaton-Kenway, Inc. High through-put materials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4388033A (en) * 1981-03-16 1983-06-14 Eaton Corporation Shuttle assembly
CA1224425A (en) * 1983-05-31 1987-07-21 Keith E. Hanford Warehouse system with pan extractor mechanism
EP0198052A1 (en) * 1984-10-22 1986-10-22 BAYLON, Charles A. Storage structures
JPS61146973A (ja) * 1984-12-20 1986-07-04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移載用の櫛歯装置
JPS61151374A (ja) * 1984-12-24 1986-07-10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立体駐車場
JPS61176769A (ja) * 1985-01-30 1986-08-08 横井鋼業株式会社 駐車装置
JPS62185972A (ja) * 1986-02-12 1987-08-14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立体駐車場における自動車のタ−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28029D0 (en) 1988-01-06
DE3740586C2 (de) 1999-02-11
US4936730A (en) 1990-06-26
FR2609085A1 (fr) 1988-07-01
DE3740586A1 (de) 1988-07-07
GB2199816A (en) 1988-07-20
HK77091A (en) 1991-10-11
KR890008416A (ko) 1989-07-10
GB2199816B (en) 1991-06-05
FR2609085B1 (fr) 199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52B1 (ko) 입체 주차장치
US3860130A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KR20070063651A (ko)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 타워
EP0544990B1 (en) Multistory multicolumn storing installation
JP5206827B2 (ja) 機械式自転車駐輪設備及び方法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H04281969A (ja) 立体駐車設備のエレベータ用のキャリッジ装置
JPH0768792B2 (ja) 連棟形立体駐車装置
JPH0711670U (ja) 縦列駐車装置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JPH0756179B2 (ja) エレベータ式の立体駐車装置
JPH07252952A (ja) 立体駐車装置
RU2304207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стоянка для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JP2577647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H09256661A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H07259371A (ja) 立体駐車装置
RU22782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штучных грузов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JPH0645009Y2 (ja) 立体駐車装置のエレベータ駆動制御装置
JP2964824B2 (ja) 立体駐車設備
JPS63161266A (ja) 自動車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の水平移送装置
JP2964825B2 (ja) 立体駐車設備
JPH0742396A (ja) 立体駐車設備
JPH08135237A (ja) 立体駐車設備
JP2666675B2 (ja) 立体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