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43B1 - 축커플링 - Google Patents

축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43B1
KR950000043B1 KR1019920701302A KR920701302A KR950000043B1 KR 950000043 B1 KR950000043 B1 KR 950000043B1 KR 1019920701302 A KR1019920701302 A KR 1019920701302A KR 920701302 A KR920701302 A KR 920701302A KR 950000043 B1 KR950000043 B1 KR 95000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nd
end portion
drive shaft
driven shaft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4030A (ko
Inventor
사다토모 쿠리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케이세븐
사다토모 쿠리바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3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52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4860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72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63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820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7035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8202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케이세븐, 사다토모 쿠리바야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케이세븐
Publication of KR92070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radial displacement, e.g. Oldham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축커플링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의한 축커플링이 제 1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그 조립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그 일부생략정면도.
제 4 도는 그 중앙종단면도.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을 적용한 예를 예시한 개략설명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2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각각 조립상태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
제 9 도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오크전달부재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토오크전달부재의 보강판의 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3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12 도는 토오크전달부재 부분의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4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14 도는 그 토오크전달부재요소의 사시도.
제 15 도는 제 4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16 도는 그 토오크전달부재요소의 사시도.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모두 토오크전달부재요소의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 1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5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20 도는 그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축커플링, 특히 구동축측과 종동축측사이의 편심, 편각 및 축방향 이동에 대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고, 큰 회전력을 원활하게 또한 저손실로 전달할 수가 있으며, 보수가 간단한 축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각종 회전토오크 전달기구에 있어서, 2개의 회전축의 단부들이 커플링에 의해 접속된다. 예를 들면, 모우터의 출력회전축과 펌프의 입력회전축이 커플링에 의해 접된다. 이 경우, 모우터의 출력회전축과 펌프의 입력회전축이 충분히 정렬하도록 주의깊게 모우터 및 펌프의 설치를 행하는 것은 상당한 노력(努力)을 요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정렬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서 설치를 행해도, 양쪽의 회전축 사이에는 얼마간의 편심이나 편각이 남으며, 또한 모우터나 펌프에는 작동시에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을 커플링부분에서 흡수하기 위해서, 종래, 커플링으로서 플렉시블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렉시블커플링으로서는,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의 가소성부재를 사용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플렉시블커플링으로는,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이 생길 때에 2개의 회전축간의 상대적 변위의 흡수가 가소성 부재의 변형만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의 허용범위를 크게 하기 우해서는, 가소성부재의 변형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가소성부재로서 연성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큰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에는 특히, 평형상태가 변화할때의 과도기에 있어서의 회전력전달이 양호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가소성 부재의 변형에 에너지가 소비되고, 토오크전달의 효율도 저하된다.
또한,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에 대처가능한 커플링으로서 오울덤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오울덤 커플링은, 구동축측부재와 종동축측부재의 사이에 토오크전달부재를 배치하여, 이 토오크전달부재와 구동축측부재를 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제 1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또한 토오크전달부재와 종동축측부재를 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 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한 것으로, 이들의 슬라이드는 각각 한 개의 홈내에 1개의 슬라이드부재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오울덤커플링은, 토오크전달을 위한 슬라이드부의 면적이 비교적 적고 비교적 적은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오울덤커플링은, 상기 홈과 슬라이드부재 모두가 금속이기 때문에, 이들 간에 항상 윤활유가 존재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어, 보수가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오울덤커플링에는, 예를들면, 부하가 급격하게 변화했을 경우와 같이 평형상태가 급격히 변화할때에는 과대한 응력이 걸린다고 하는 난점이 있으며, 또한 구동축측과 종동축측사이에 진동이 전달되기 쉽다고 하는 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오울덤커플링과 상기 플렉시블커플링을 접속해서 사용하는 일도 있지만, 이것으로는 크기가 커짐과 동시에 고코스트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구동축측과 종동축측사이의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에 대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가 있어, 큰 토오크를 원활하게 또한 저손실로 전달할 수가 있으며, 보수가 간단한 축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 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 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플라스틱제의 일체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상기 제 2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인접하는 제 1슬라이드부재들 사이와 인접하는 제 2슬라이드부재들 사이에 위치하고 또 상기 토오크전달부재를 통하여 뻗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속된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들과 상기 제 2슬라이드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축단부 및 종동축단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1의 홈 또는 상기 제 2의 홈을 가진 착탈가능한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구동축단부의 부착부재는 제거시에 구동축단부 기체부에 대해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종동축단부의 부착부재는 제거시에 종동축 단부기체부에 대해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형태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단부 또는 종동축단부에는, 회전중심주위의 상기 부착부재와 기체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형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방향과 상기 제 2의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형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 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 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보강판의 양면측에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제 1의 슬라이드부재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양면측의 플라스틱재료가 상기 보강판의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개재해서 연속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 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금속성기재에 그의 적어도 제 1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과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에 플라스틱 재료로된 피복을 실시해서 된 것이며,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 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과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의 제 1의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은 모두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 및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반경방향의 분할선의 의해 4개이상의 짝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각부분이 적어도 1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와 적어도 1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방향과 상기 제 2의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4개의 부분으로 부할되어 있고, 상기 분할선의 방향이 상기 제 1의 방향 및 상기 제 2의 방향에 대해 각도 45도 만큼 편향된 방향인 형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복수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요소는 적어도 1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와 적어도 1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 및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 모두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오크전달 요소의 각 요소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 모두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강판의 양면측에 플라스틱으로된 제 1의 슬라이드 부재와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토오크전달부재나, 상기 금속성기재에 그의 적어도 제 1의 슬라이드부재와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에 플라스틱재료로된 피복을 실시해서된 토오크전달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강판 또는 금속성기재를 인서어트로서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해서 인서어트성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의 토오크전달부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최선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1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제 2 도는 그 조립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제 3 도는 그의 일부생략정면도이며, 그리고 제 4 도는 그 중앙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2)는 구동축의 단부이고, (2')는 구동축의 회전중심이며, 그리고 (3)은 구동축의 단부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다. 또한 (4)는 종동축의 단부이고, (4')는 종동축의 회전중심이며, 그리고 (5)는 종동축의 단부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다. 구동축의 단부(2) 및 종동축의 단부 (4)는 플랜지부 (3) 및 (5)가 서로 대향하고 또한 회전중심(2') 및 (4')가 Z방향으로 서로 정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의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측의 단면은, 상기 구동축회전중심(2')과 직교하는 면(X-Y면)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측의 단면은, 상기 종동축회전중심(4')와 직교하는 면(X-Y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플랜지부(3) 및 (5)는 금속제, 예를 들면, 철제이다.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에는, 상기 Z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에 3개의 홈(10a), (10b) 및 (10c)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에는, 상기 Z방향 및 Y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X방향에 3개의 제 2의 홈(12a),(12b) 및 (1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의 단면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이다.
플랜지부(3) 및 (5)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14)은 3개의 제 1슬라이드부재(16a), (16b), (16c)와 3개의 제 2슬라이드 부재(18a), (18b), (18c)를 접합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6a), (16b), (16c) 및 (16c)는 각각 상기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의 홈(10a), (10b), (10c)내에 끼워맞춤되어 있어, 이들 홈내에서 Y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재(18a), (18b) 및 (18c)는 각각 상기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홈(12a), (12b) 및 (12c)내에 끼워맞춤되어 있어, 이들 홈내에서 X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슬라이드부재(16b) 및 슬라이드부재(18b)에는 모두 돌기(15)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돌기가 각각 구동축측의 홈(10b)의 바닥부 및 종동축측의 홈(12b)의 바닥부에 접촉하게 되어 구동축단부(2)와 종동축단부(4)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Z방향의 이동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토오크전달부재(14)는 플라스틱재료제의 일체물로 되어 있다. 플라스틱재료로서는, 구동축단부플랜지부(3) 및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금속재료에 대해 적당한 미끄럼성을 가지며, 또한 적당한 강도를 가지고, 또한 적당한 가소성(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수지 또는 폴리아미드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달부재(14)의 플라스틱재료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특히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의 홈(10)의 측면 및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홈(12)의 측면과의 접촉시 계속해서 윤활작용을 한다. 전달부재(14)는, 예를들면, 플라스틱 재료의 블록을 절삭가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축단부(2)가 회전하면, 그 토오크는 전달부재(14)의 슬라이드부재(16a)∼(16c) 및 슬라이드부재(18a)∼(18c)를 개재해서 전달되어, 종동축단부(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달부재(14)의 슬라이드부재(6a)∼(16c) 및 슬라이드부재(18a)∼(18c)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변형이 허용된다.
상기 구동축회전중심(2')의 종동축회전중심(4')에 편심이 생겼을 경우에는, 주로 홈(10a)∼(10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6a)∼(16c)의 슬라이드이동 및 홈(12a)∼(12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8a)∼(18c)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회전중심(2')과 종동축회전중심(4')에 편각이 생겼을 경우에는, 홈(10a)∼(10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6a)∼(16c)의 슬라이드이동 및 요동(구동축회전중심(2')방향의 불균등이동 ; 즉 X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과 홈(12a)∼(12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8a)∼(18c)의 슬라이드이동 및 요동(종동축회전중심(4')방향의 불균이등이동 ; 즉 Y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단부(2)와 종동축단부(4)의 축방향의 상대이동의 경우에는, 홈(10a)∼(10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6a)∼(16c)의 Z방향의 평행이동 및 홈(12a)∼(12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8a)∼(18c)의 Z방향의 평행이동에 의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
실제로는, 상기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이 복합해서 발생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동작의 복합된 동작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오크전달부재(14)는 어느정도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변형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의 크기는 실질상 어느정도의 범위내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작에 의해 전달부재(14)의 슬라이드부재(16a)∼(16c) 및 슬라이드부재(18a)∼(18c)가 홈(10), (12)로부터 이탈하거나 이 전달부재(14)의 각부가 허용한도를 넘어서 변형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달부재(14)의 약간의 변형, 홈(10a)∼(10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6c)∼(16d)의 이동 및 홈(12a)∼(12c)내에서의 슬라이드부재(18a)∼(18c)의 이동이라고하는 3종류의 변형,변위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각 변형,변위가 적더라도 종합적으로 소망의 크기의 변형,변위가 얻어지며, 이리해서 평형상태 변화시의 과도기에서의 토오크의 전달이 특히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 전달부재(14)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을 감쇄시켜, 이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효과도 양호하다.
이상과 같은 본실시예의 축커플링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된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플랙시블커플링과 같은 가요성부재의 변형만에 의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에너지손실은 적고, 토오크전달의 효율은 양호하다.
또한, 토오크전달부재(14)가 제 1슬라이드부재 및 제 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복수개 가지고 있어, 제 1의 홈 및 제 2의 홈과 큰면적으로 접촉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오울덤(Oldham)커플링은, 본 실시예의 제 1슬라이드부재가 하나(16b)만) 또한 제 2슬라이드부재가 하나((18b)만)의 경우에 상당하지만, 도시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슬라이드부재 및 제 2슬라이드부재가 각각 3개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형의 커플링과 비교해서, 동일외경의 경우에 큰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4)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동축측과 종동축측과의 사이의 진동전달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급격한 부하변동시등의 회전력전달을 원활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4)가 구동축단부플랜지부(3) 및 종동축단부 플랜지부(5)와의 슬라이드부에 의해 자기윤활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윤활유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보수가 간단하다.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략설명도이다. 모우터(M)의 회전축(M')에 본 발명 축커플링(C)의 구동축단부(2)가 부착되어 있고(회전축(M')이 구동축이 된다). 피구동기기인 펌프(P)의 입력회전축(P')에 축커플링(C)의 종동축단부(4)가 부착되어 있다(회전축 (P')가 종동축이 된다). 축커플링(C)을 부착할 때에는 모우터(M)을 설치고정하고, 이 모우터의 출력회전축(M')에 대해 축커플링(c)의 구동축단부(2)를 접속고정하여,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부재(14)의 양측의 돌기(15)가 구동축단부 플랜지부(3)의 홈바닥부에 접촉하고 또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홈바닥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펌프(P)를 서서히 축커플링(C)에 접근시켜서, 펌프의 입력회전축(P')을 축커플링(c)의 종동축단부(4)에 접합고정시킨다. 또한, 이때, 구동축과 종동축과의 편심제거, 편각제거 및 축방향 위치조정을 엄밀히 행할 필요는 없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제 7 도 및 제 8 도는 각각 그 조립상태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축단부플랜지부(5)는 기체부(基體部)(5')와 판상의 부착부재(6)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착부재(6)는 나사에 의해 기체부(5')에 부착되어 있다. 기체부(5')에는 X방향의 걸어맞춤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X방향의 걸어맞춤돌기(8)가 상기 부착부재(6)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홈(7) 및 걸어맞춤돌기(8)가 상대 회전방지수단의 기능을 한다. 즉, 부착부재(6)와 기체부(5')와의 종동축회전중심(4') 주위의 상대회전은, 나사에 의해서만 아니라 실질상 상기 걸어맞춤홈(7)과 상기 걸어맞춤돌기(8)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도 저지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재(6)의 구동축단부 플랜지부(3)측의 면에는 X방향의 제 2의 홈(1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와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사이에, 토오크 전달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는, 구동축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1의 홈(10)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제 1슬라이드부재(16)를 가지고 있으며, 종동축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2의 홈(12)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제 2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리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기능이 발휘된다.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전체 및 이 축커플링의 구성부재의 일부는 토오크전달기구에 대한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다. 즉, 예를들면, 보수시에는,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기체부(5')로부터 부착부재(6)를 X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 부착부재(6)는 전달부재(4)에 대해서 X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우선 부착부재(6)를 X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달부재(14)를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에 대해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리해서, 중앙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해서 또한 구동축단부(2) 및 종동축단부(4)를 각각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해서, 소모되어 교환해야할 부품을 제거하여, 신규부품을 사용해서 상기 제거와 역공정으로 부착을 행함으로써, 축커플링에 의해 접속되는 구동축측기구와 종동축측기구의 양쪽을 전부이동시키는 일이 없이 신속하게 보수를 행할 수가 있어, 가동정지시간은 극히 짧아진다. 보수시이외의 초기부착 및 축커플링의 최종적제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 9 도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오크전달부재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오크전달부재(14)는 보강판(14a)과 플라스틱 재료부(14b)로 이루어지고, 이 플라스틱재료부(14b)에 있어서, 구동축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1의 홈(10)의 측면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측면을 가진 복수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16)를 가지고 있으며, 종동축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2의 홈(12)의 측면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측면을 가진 복수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18)를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재료부(14b)로서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전달부재(14)의 플라스틱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판(14a)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달부재(14)의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큰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며, 수명이 길어진다.
본 실시예의 토오크전달부재(14)는 인서어트모울딩(insert molding)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금속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티일제의 보강판(14a)을 인서어트로서 사용해서, 이것을 목적으로 하는 형상의 금형내에 세트해서,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아세탈수지를 주입한다. 그결과,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14a)의 양면측에 플라스틱재료부(14b)로 이루어진 제 1의 슬라이드부재(16a)∼(16c)와 제 2의 슬라이드부재(18a)∼(18c)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토오크전달부재(14)가 얻어진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보강판(14a)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라스틱재료는 주입시에 보강판(14a)의 절결부나 중앙개구부에 유통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을 개재해서 양면측의 플라스틱 재료부(14b)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어트성형을 행함으로써, 성형후의 플라스틱재료의 수축에 의한 제 1의 슬라이드부재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형상변화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양호한 효율에서의 양산이 가능하게 되어, 저코스트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강판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한 경우에는 수축에 의한 변형이 커지게되어, 양호한 것을 얻을 수 없다.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구동축단부플랜지부(3)는 기체부(3a)에 원판상부재(3b)를 나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게 되며, 종동축단부플랜지부(5)는 기체부(5a)에 원판상부재(5b)를 나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원판상부재(3b)에 X방향의 6개의 제 1의 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판상부재(5b)에 Y방향의 6개의 제 2의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단부플랜지부(3)과 종동축단부플렌지(5)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14)는 4개의 균등한 크기의 부분(21), (23), (25) 및 (27)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부분은, 구동축단부(3) 및 종동축단부(5)와 같은 정도의 크기의 원반상부재를 넷으로 분할한 것같은 형태이며, 그 분할선의 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대해서 각도 45도만큼 기울어져 있다. 전달부재부분(21)은, 구동축측에 상기 제 1의 홈(10)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제 1슬라이드 부재(21a)를 가지고 있으며, 종동축측에 상기 제 2의 홈(12)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21b)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달부재부분(23), (25) 및 (27)은, 구동축측에 상기 제 1의 홈(10)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제 1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종동축측에 상기 제 2의 홈(12)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달부재부분(21), (23), (25) 및 (27)은 각각, 제 1슬라이드부재가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10)내에서 슬라이드이동함으로써 구동축단부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으며, 제 2슬라이드부재가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12)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종동축단부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제 12 도에는, 전달부재부분(27)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분(27)은 금속제기재(基材)(17)에 플라스틱재료제 피복재(19)가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즉 그의 제 1슬라이드부재 및 제 2슬라이드부재가 각각 제 1의 홈(10) 및 제 2의 홈(12)과 접촉하는 부분에 플라스틱재료제 피복이 실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축측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X방향이며, 종동축측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Y방향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21), (23), (25), (27)로서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즉, 부분(21)은 부분(27)을 Z방향에 관하여 축대칭의 위치에 배치한 것에 상당하고, 또 다른 2개의 부분(23), (25)는 부분 (27)을 Z방향에 관해 전도(顚倒)시켜 소정위치에 배치한 것에 상당한다. 이리해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달부재부분으로서 1종류만 작성하면 되어서, 부품의 종류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피복재(19)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료로서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전달부재(14)의 플라스틱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은, 금속제기재(17)를 인서어트로서 금형내에 수용하여 플라스틱재료를 인젝션(injection)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인서어트성형)해서 피복재(19)를 부착해서 얻어진 전달부재부분(21),(23),(25) 및 (27)을, 다시 제 11 도에 도시된 다른 구성부재와 함께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한, 전달부재부분은 미리 합체(合體)시킨 형태의 것을 제작해두어, 그것을 넷으로 분할함으로써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축단부(2)가 회전하면, 그 토오크는 구동축단부플랜지부(3)의 제 1의 홈(10)으로부터 4개의 토오크전달부재부분(21), (23), (25) 및 (27)을 개재해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제 2의 홈(12)으로 전달되어, 종동축단부(4)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단부(2)와 종동축단부(4) 사이에 편심, 편각 또는 축방향이동이 생겼을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해서 전달부재부분(21), (23), (25) 및 (27)과 구동축단부와의 상대이동 및 이들 전달부재부분과 종동축단부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리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4)는 금속성기재(17)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어, 큰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가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각 부분에 있어서 온도변화에 의한 기재와 피복재와의 팽창수축량의 변화가 적어, 그 때문에 변형발생이 적고 파손의 위험도 적다.
또한, 본 실시예는, 축커플링전체 또는 이 축커플링의 구성부재중 일부의 토오크 전달기구에 대한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다. 즉, 예를 들면, 보수시에는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구동축단부플랜지부의 기체부(3a) 및 종동축단부플랜지부의 기체부(5a)로부터 원판상부재(3b), (5b)를 각각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판상부재(3b), (5b)중 한쪽을 이와 같이해서 제거하여, 그후 전달부재를 Y방향 또는 X방향으로 이동시켜 꺼낼 수가 있으며, 또한 원판상부재(3b), (5b)중의 상기 한편측의 기체부(3a),(5b) 및 원판상부재(3b), (5b)중의 다른 편측의 기체부(5a), (3a)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손모되어서 교환해야될 부재를 제거하고 신규부재를 사용해서 상기 제거와 역공정으로 부착을 행하므로써, 축커플링에 의해 접속되는 구동축기기와 종동축기기를 전부 이동시키는 일없이 신속하게 보수를 행할 수 있어, 가동정지시간이 극히 짧아진다. 보수시이외의 초기부착 및 축커플링의 최종적제거의 경우도 전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축측의 부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전달부재 부분(21), (23), (25) 및 (27)을 전부사용함으로써, 구동력전달면을 충분히 넓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양호하게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종동축측의 부하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4개의 전달부재부분(21), (23), (25) 및 (27)중 대향위치관계에 있는 2개(예를들면, (21)과 (27), 또는 (23)과 (25))만을 사용하고 다른 2개는 제거함으로써 전달부재의 중량을 경감하고, 이리해서 구동축측의 구동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의 분할선의 방향을 제 1슬라이드부재의 방향 및 제 2슬라이드부재의 방향과 45도 치우치게하고 있지만, 이 분할선의 방향을 제 1슬라이드 부재의 방향 및 제 2슬라이드부재의 방향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전달부재부분의 수는 4개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4개이상의 짝수개로 하면 된다. 일부의 전달부재부분의 제거는, 종동축측의 부하를 감안하고, 또 가능하면 대칭성이 유지되도록 고려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4)는, 복수개의 플라스틱제요소(20)로 이루어진다. 이 요소(20)은 제 14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Y면내의 기판부(20a)의 한쪽면에 2개의 중공상돌기부(20b)를 형성하고 또 다른쪽면에 2개의 중공상돌기부(2c)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측의 2개의 돌기부(20b)는 X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제 1의 슬라이드부재(16)을 형성하고, 종동축측의 2개의 돌기부(20c)는 Y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제 2의 슬라이드부재(18)를 형성하고 있다.
제 1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달부재(14)는, 12개의 요소(20)를 기판부(20a)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병렬하게 되어 있다. 전(全) 요소(20)의 돌기부(20b)에 의해, 상기 구동축단부(2)의 복수개의 제 1의 홈(10)의 측면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측면을 가진 복수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16)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요소(20)의 동기부(20c)에 의해, 상기 종동축단부(4)의 복수개의 제 2의 홈(12)의 측면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측면을 가진 복수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부재(14)의 각요소(20)의 플라스틱재료로서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전달부재(14)의 전달부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형상의 다수의 요소(20)로 이루어진 전달부재(14)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손모된 요소(20)만을 적절히 교환함으로써, 전달부재(14)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전달해야할 토오크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하는 요소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가 있다. 예를들면, 구동축단부 및 종동축단부로서 대경(大徑)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해서, 제 13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도 더 많은 요소를 사용해서 대경의 전달부재를 구성할 수가 있다.
제 15 도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도에 있어서, 상기 제 13 도에 있어서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토오크전달부재(14)를, 상기 요소(20)외에 4모서리부의 요소(20')도 사용해서 구성하고 있다. 이 요소(20')는, 제 16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부(20a')의 양면에 각각 1개의 중공상돌기부(20b'), (20c')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제 1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기 (20b')와 돌기(20b)를 포함해서 제 1슬라이드부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20c')와 돌기(20c)를 포함해서 제 2슬라이드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토오크전달에 극히 유효한 4모서리부도 이용해서 토오크를 전달하기 때문에, 전달효율이 더욱 양호하다.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각각 상기 전달부재요소(20), (2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변형예에서는, 기판(20a), (20a')는 금속제 예를들면 알루미늄제이며, 돌기부(20b), (20c), (20b') 및 (20c')는 상기 기판부(20a), (20a')의 금속 재료와 일체적인 돌기의 측면에 플라스틱피복을 실시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의해, 요소(20), (20')의 강도는 충분히 증가된다. 따라서, 제 1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소(20)의 각측의 돌기부는 한 개의 가늘고 긴 형상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측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구동축단부측 및 종동축단부측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축커플링의 제 5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제 20 도는 그 조립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동축단부(2)와 종동축단부(4)와의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는, 구동축측의 복수개의 제 1의 홈(10)과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제 1슬라이드부재(30)를 가지고 있으며, 종동축측의 복수개의 제 2의 홈(12)와 각각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제 2슬라이드부재(32)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의 홈(10)과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30)와의 사이에는, 토오크전달시의 완충 및 슬라이드 원활화를 위한 플라스틱재료제의 제 1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각 제 1의 홈(10)과 개략 동일한 크기)가 개재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의 홈(12)과 상기 제 2슬라이드부재(32)의 사이에는, 토오크전달시의 완충 및 슬라이드원활화를 위한 플라스틱재료제의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각 제 2의 홈(12)과 개략 동일한 크기)가 개재하게 되어 있다. 이들 완충슬라이드부재의 플라스틱재료로서는, 상기 제 1의 실시예의 전달부재(14)의 플라스틱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완충슬라이드부재는 단면이 U자형상이다.
더욱이, 상기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으로서,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것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랜지부(3)의 외주에는 링(38)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이 링의 내면에 의해 상기 제 1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의 단면의 일부를 걸어서 이 제 1의 완충 슬라이드부재가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플랜지부(5)의 외주에는 링(4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이 링의 내면에 의해 상기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의 단면의 일부를 걸어서 이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완충슬라이드부재(34)를 플랜지부(3)의 홈(10)내에 고정하고 상기 완충슬라이드부재(36)를 플랜지부(5)의 홈(12)내에 고정함으로써(즉, 홈(10), (12)를 플라스틱재료로 피복함으로써), 상기 링(38), (40)을 생략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피복은, 상기 제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할 수가 있다.
이리해서, 전달부재(14)는, 제 1슬라이드부재(30)가 구동축측의 제 1의 홈(10) 내에서 제 1의 완층슬라이드부재(34)를 개재해서 구동축단부에 대해 Y방향 및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고, 제 2슬라이드부재(32)가 종동축측의 제 2의 홈(12)내에서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를 개재해서 종동축단부에 대해 X방향 및 Z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다.
즉, 구동축단부(2), 제 1의 홈(10), 제 1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 및 링(38)의 세트와 종동축단부(4), 제 2의 홈(12),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 및 링(40)의 세트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을 회전중심(2'), (4')의 주위에 각도 90도 치우치게 배치함으로써 제 19도와 같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축단부(2)가 회전하면, 그 토오크는 구동축단부플랜지부(3)로부터 제 1의 홈(10)내에 수용된 제 1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를 개재해서 토오크전달부재(14)에 전달되며, 다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의 제 2의 홈(12)내에 수용된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를 개재해서 종동축단부플랜지부(5)로 전달되어, 종동축단부(4)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단부(2)와 종동축단부(4) 사이에 편심, 편각 또는 축방향이동이 생겼을 경우에는, 전달부재(14)와 구동축단부(2)와의 상대이동 및 이 전달부재(14)와 종동축단부(4)와 상대이동에 의해,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단부 및 종동축단부에 대해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을 개재해서 전달부재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토오크가 급변할때에도 진동의 발생이 적어서, 구동축단부, 종동축단부 및 전달부재의 소모는 실질상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같은 기능이 발휘된다. 본 실시예는 대형화에 유리하다. 즉, 전달부재(14)가 다수의 제 1슬라이드부재(30) 및 제 2슬라이드부재(32)를 가지고 있어 큰 접촉면적으로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재료제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슬라이드부재의 크기를 각각 각 제 1의 홈(10) 및 각 제 2의 홈(12)의 크기보다 약간 짧게 하여 둠으로써, 구동축단부플랜지부(3), 종동축단부플랜지부(5) 및 전달부재(14)와의 사이에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상대적 치수변화가 발생해도,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은 길이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신장가능하며 또한 폭방향의 상대적 치수변화는 작기 때문에, 이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이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토오크전달에 대한 악영향은 극히 적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은, 제 19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축커플링은 보수가 간단하다. 즉, 예를들면, 링(38), (40)을 제거함으로써, 제 1의 완충슬라이드부재(34) 및 제 2의 완충슬라이드부재(36)를 슬라이드시켜서 꺼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단부 및 종동축단부를 이동시키는 일이 없이, 손모된 완충슬라이드부재(34), (36)을 적절히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를 위한 장치가동정지시간은 극히 짧아도 된다.
더욱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구동축단부에 제 1이 홈의 형성되어 있고 토오크 전달부재에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동축단부에 제 1의 슬라이드부재를 형성하고 토오크전달부재에 제 1의 홈을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종동축단부에 제 2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전달부재에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동축단부에 제 2의 슬라이드부재를 형성하고 토오크전달부재에 제 2의 홈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커플링은 소경(小徑)(예를들면, 직경 20mm정도)의 것으로부터 대경(예를들면, 직경 600mm정도)의 것까지 제조가능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측과 종동축측과의 사이의 편심, 편각 및 축방향이동에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어, 큰 회전력을 원활하게 또한 저손실로 전달할 수가 있으며, 보수가 간단한 축커플링이 제공된다.

Claims (10)

  1.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플라스틱제의 일체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상기 제 2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인접하는 제 1슬라이드부재들 사이와 인접하는 제 2슬라이드부재들 사이에 위치하고 또 상기 토오크전달부재를 통하여 뻗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속된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들과 같이 제 2슬라이드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단부 및 종동축단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1의 홈 또는 상기 제 2의 홈을 가진 착탈가능한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구동축단부의 부착부재는 제거시에 구동축단부기체부에 대해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종동축단부의 부착부재는 제거시에 종동축단부기체부에 대해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축커플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단부 또는 종동축단부에는, 회전중심의 주위의 상기 부착부재와 기체부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축커플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제 2의 방향이 직교하는 축커플링.
  5.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보강판의 양면측에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제 1의 슬라이드부재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양면측의 플라스틱재료가 상기 보강판의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개재해서 연속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
  6.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 전달부재가, 금속성기재에 그의 적어도 제 1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과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에 플라스틱재료로된 피복을 실시해서 된 것이며,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과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
  7.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 전달부재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은 모두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 및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반경방향의 분할선에 의해 4개이상의 짝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각부분이 적어도 1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와 적어도 1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
  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상기 제 2의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할선의 방향이 상기 제 1의 방향 및 상기 제 2의 방향에 대해 각도 45도만큼 편향된 축계수.
  9.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가 대향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와 종동축단부 사이에는 토오크전달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단부에는 구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1의 방향의 제 1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단부에는 종동축회전중심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에 제 2의 방향의 제 2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제 2의 슬라이드부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크전달부재가 복수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요소는 적어도 1개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와 적어도 1개의 제 2의 슬라이드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축단부의 제 1의 홈의 측면 및 상기 종동축단부의 제 2의 홈의 측면 모두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오크전달요소의 각요소의 제 1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 및 제 2의 슬라이드부재의 측면 모두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
  10. 상기 청구의 제 5 항 또는 청구의 범위 제 6항에 기재한 축커플링을 구성하는 토오크 전달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강판 또는 금속성기재를 인서어트로서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해서 인서어트성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커플링의 토오크 전달부재의 제조방법.
KR1019920701302A 1990-10-03 1992-06-03 축커플링 KR950000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3772A JPH04145230A (ja) 1990-10-03 1990-10-03 軸継手
JP90-263772 1990-10-03
JP3048607A JPH04272512A (ja) 1991-02-22 1991-02-22 軸継手
JP91-48607 1991-02-22
JP91-63731 1991-03-06
JP3063731A JPH04282025A (ja) 1991-03-06 1991-03-06 軸継手
JP91-70356 1991-03-12
JP3070356A JPH04282026A (ja) 1991-03-12 1991-03-12 軸継手
PCT/JP1991/000612 WO1992006311A1 (fr) 1990-10-03 1991-05-08 Accouplement d'arb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030A KR920704030A (ko) 1992-12-19
KR950000043B1 true KR950000043B1 (ko) 1995-01-07

Family

ID=2746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302A KR950000043B1 (ko) 1990-10-03 1992-06-03 축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67903A (ko)
EP (1) EP0502217B1 (ko)
KR (1) KR950000043B1 (ko)
AU (1) AU651587B2 (ko)
CA (1) CA2069431A1 (ko)
DE (1) DE69123720T2 (ko)
WO (1) WO1992006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676B2 (ja) * 1992-07-09 1997-04-02 株式会社ケイセブン 軸継手
US5421780A (en) * 1993-06-22 1995-06-06 Vukovic; Ivan Joint assembly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component displacement
US5900685A (en) * 1996-02-06 1999-05-04 Light & Sound Design, Ltd. Anti-noise system for a moving object
DE19909931A1 (de) * 1999-03-06 2000-09-07 Luk Automobiltech Gmbh & Co Kg 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drehbeweglicher Wellenenden
US6190264B1 (en) 1999-04-21 2001-02-20 Bi Technologies Corporation Low-hysteresis coupling for angular-position and torque sensor
JP2001080529A (ja) 1999-07-15 2001-03-27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及び動力伝達継手
JP2002234643A (ja) * 2000-12-04 2002-08-23 Fuji Photo Film Co Ltd ロール材移載方法、移載装置および供給台車
JP3707072B2 (ja) * 2001-01-05 2005-10-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US6517439B1 (en) 2001-09-19 2003-02-11 Maytag Corporation U-joint construction
JP2004245269A (ja) * 2003-02-12 2004-09-02 Fanuc Ltd 電動機の継手
DE102004046527A1 (de) * 2004-09-23 2006-03-30 Mahle Filtersysteme Gmbh Kupplung zur Drehmomentübertragung
US20060105844A1 (en) * 2004-11-17 2006-05-18 Sweet Roger L Flexible drive adapter
TWI315765B (en) * 2007-05-16 2009-10-11 Avision Inc Separable shaft coupler and transmission device using the same
TW201229398A (en) * 2011-01-04 2012-07-16 Hon Hai Prec Ind Co Ltd Actuating mechanism
US8951130B2 (en) 2011-03-25 2015-02-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exible shaft assemblies
RU2460910C1 (ru) * 2011-04-11 2012-09-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И.И. Ползунова" (АлтГТУ) Крестовая муфта
RU2476737C1 (ru) * 2011-09-13 2013-0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И.И. Ползунова" (АлтГТУ) Крестовая муфта
WO2014022765A1 (en) * 2012-08-03 2014-02-06 Lord Corporation Coupling and mud motor transmission
DE102015110089A1 (de) 2014-06-27 2015-12-31 Magna Closures Inc. Elektromechanische Strebe mit integrierter Flexkupplung und Schlupfvorrichtung und zugehörige Kupplungs-/Kopplungs-Anordnung
WO2016186657A1 (en) * 2015-05-19 2016-11-2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stant-velocity joint with surface contact forks
DE102015212435A1 (de) * 2015-07-02 2017-01-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Oldhamkupplung
DE102016220854B4 (de) * 2016-10-24 2018-07-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stellvorrichtung
JP6774851B2 (ja) * 2016-11-16 2020-10-28 株式会社ミツトヨ 回転伝達装置
EP3372858A1 (de) * 2017-03-07 2018-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Kupplungselemente mit schwingungsdämpfung
CN107322843B (zh) * 2017-08-31 2023-10-03 重庆鲜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简易联轴器制造设备
CN108506358A (zh) * 2018-04-09 2018-09-07 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传动连接装置
MX2022000509A (es) * 2019-07-12 2022-02-10 R H Sheppard Co Inc Arbol de direccion acoplado.
CN110657083A (zh) * 2019-08-16 2020-01-07 泰州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变排量压缩机的驱动盘
US11391383B2 (en) * 2020-06-24 2022-07-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Drive key for rotating equipment accommodating center line misalignment while minimizing hysteresis
CN116964345A (zh) 2021-04-12 2023-10-27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具有电机、减速器和布置在电机与减速器之间的适配器壳体的驱动装置
CN114542615A (zh) * 2022-02-09 2022-05-27 苏州伟创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联轴器及旋转驱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6901C (ko) *
US1182904A (en) * 1914-12-08 1916-05-16 William P B Hamilton Flexible shaft-coupling.
US1182905A (en) * 1914-12-08 1916-05-16 William P B Hamilton Flexible shaft-coupling.
US2011147A (en) * 1929-04-18 1935-08-13 Otto K Haselau Shaft connecting mechanism
US1948708A (en) * 1933-03-09 1934-02-27 John R Grundy Flexible coupling
US2076752A (en) * 1935-07-01 1937-04-13 George H Thomas Flexible coupling
US2417436A (en) * 1942-09-03 1947-03-18 Efrem N Natkins Flexible drive coupling
DE907004C (de) * 1950-06-30 1954-03-18 Siemens Ag Oldham-Kupplung
DE913117C (de) * 1950-06-30 1954-06-08 Siemens Ag Oldham-Kupplung
DE938814C (de) * 1952-03-27 1956-02-09 Albrecht Dipl-Ing Maurer Bewegliche Kupplung nach Art einer Oldhamschen Kupplung
FR1113888A (fr) * 1954-10-26 1956-04-05 American Flexible Coupling Com Accouplement d'arbres
US2892328A (en) * 1958-06-23 1959-06-30 Burroughs Corp Coupling
USRE27068E (en) * 1970-01-26 1971-02-23 Slip spline assembly
JPS4814980Y1 (ko) * 1970-09-24 1973-04-25
DE2232723A1 (de) * 1972-07-04 1974-01-24 Vulkan Kupplung Getriebe Kreuzscheibenkupplung
DE7918999U1 (de) * 1979-07-03 1979-10-04 Sueddeutsche Kue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Kupplungselement
JPS57114032A (en) * 1980-12-29 1982-07-15 Hiroshi Teramachi Torque transfer type bearing block
US4464142A (en) * 1983-02-03 1984-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Ignition distributor shaft coupler
GB2141520B (en) * 1983-06-08 1986-08-28 Xerox Corp Drive shaft connector
JPS6275133A (ja) * 1985-09-30 1987-04-07 Honda Motor Co Ltd 回転部材の連結装置
US4661085A (en) * 1985-09-09 1987-04-28 Philips Home Products, Inc. Lost motion clutch assembly
JPS62176522A (ja) * 1986-01-27 1987-08-03 Yutaka Giken:Kk 触媒担体用ガスシ−ル装着方法
JPH0449374Y2 (ko) * 1986-04-28 1992-11-20
JPS62176522U (ko) * 1986-04-28 1987-11-10
JPS62176521A (ja) * 1987-01-22 1987-08-03 Ebara Infilco Co Ltd 悪臭ガスの脱臭方法
JPH0833173B2 (ja) * 1987-02-09 1996-03-29 信二 小又 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3720T2 (de) 1997-07-10
DE69123720D1 (de) 1997-01-30
KR920704030A (ko) 1992-12-19
EP0502217B1 (en) 1996-12-18
US5267903A (en) 1993-12-07
AU651587B2 (en) 1994-07-28
EP0502217A1 (en) 1992-09-09
WO1992006311A1 (fr) 1992-04-16
CA2069431A1 (en) 1992-04-04
EP0502217A4 (en) 1993-11-24
AU7774191A (en)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043B1 (ko) 축커플링
US10036869B2 (en) Monolithic lens mount
KR101544277B1 (ko) 가요성 샤프트 커플링 및 그 제조 방법
GB2041494A (en) Flexible couplings
KR100449613B1 (ko) 반사경 유닛
US11906027B2 (en) Light-weight g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gear train, and robot
WO2021012199A1 (en) Robo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EP1364137B1 (en) Flexible driving ring belt
EP0218377B1 (en) Flexible couplings
US5439421A (en) Structure comprising shaft and outer member having improved play-preventing sleeve
CN115789118A (zh) 一种分体式弹性联轴器、传动机构及设备
CN109780072B (zh) 驱动器及其一体式联轴器
JP3664088B2 (ja) 組立式伝動vベルト
CA2458034C (en) Compliant spacer
CN116044971B (zh) 一种高精度滚珠丝杠传动装置及组装方法
JPH04312212A (ja) 軸継手、及びそれに用いる回転力伝達部材の製造方法
US6398418B1 (en) Shaft having thermal expansion, thermal pre-load yielding and dynamic pre-load adjusting systems
WO2024127640A1 (ja) 往復ポンプ用の継手装置
EP3822502B1 (en) Chain belt retainer and linear moving apparatus
JPH04272512A (ja) 軸継手
EP1445495B1 (en) Engineered flexure component
RU2290587C1 (ru) Зенитная установка
JPH0317085Y2 (ko)
JPH11315846A (ja) 偏心軸継手
JPH0341248A (ja) ボールねじの予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