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62B1 -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62B1
KR940001662B1 KR1019910021863A KR910021863A KR940001662B1 KR 940001662 B1 KR940001662 B1 KR 940001662B1 KR 1019910021863 A KR1019910021863 A KR 1019910021863A KR 910021863 A KR910021863 A KR 910021863A KR 940001662 B1 KR940001662 B1 KR 94000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raw material
liquid
molded body
decorative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726A (ko
Inventor
미쯔오 모리시타
토모아끼 시바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893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32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8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71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81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675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9200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6Conditioning ceram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흐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를 얻는 공정을 표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를 얻는 공정을 표시한 개략도.
제3도는 건식프레스장치를 사용해서 성형체에 시이트재(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4도는 성형체에 시이트(8)를 붙이는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흐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8)를 성형체에 붙여서 구성한 도자기류를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흐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8)를 붙인 상감(象嵌)형상의 장식도자기류를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8)를 건식 프레스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한 도자기류의 사시도.
제8도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시이트재(8)를 붙인 도자기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말풀 2 : 물
3 : 바인더액 4 : 안료
5 : 성형재료토 6A, 6B : 장식용원료액
7 : 용기 8 : 시이트재
9 : 건식프레스장치 10 : 성형오목부
11 : 성형체 12 : 흐름무늬 도자기류
13 : 퍼늘임무늬도자기류 17 : 평탄면
본 발명은, 타일 지붕기와등의 건재를 비롯하여, 변기, 세면기등의 위생도자기, 나아가서는 식기, 장식물 기타 도자기류 점반을 대상으로 해서, 그 표면에 대리석등에서 볼수 있는 흐름무늬, 또는 복수의 색영역의 각각 눌려 찌부러진 것처럼해서 이루어진 퍼늘임무늬를 구비시킬 수 있도록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리석제처럼 보이게한 도자기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 소성전의 성형체에 듬뿍칠에 의해서 유약처리하는 순서를, 발색이 다른 복수종의 유약에 대해 각각 반복하여 이것을 소성하는 것과 같은 순서를 밟고 있었다.
즉, 소성과정에 임하는 단계에 있는 성형체에는, 발색이 다른 유약이 복수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그 소성중에 각 유약이 녹아나오면, 어떤 부분에서는 유약상호가 서로 반응한 융합색이 되고, 다른 어떤 부분에서는 각 유약단독의 발색이 나타나는 등해서 복수색이 혼재한 흐름무늬를 형성하게 되어 이것이 전체적으로 대리석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 있어서의 도자기류의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즉 유약에는 그 당초부터 여러가지의 가스가 용해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소성에 의해서 분출해서 도자기류의 무늬표면에 기공이나 끓어오르는 현상들을 발생시키기 쉬웠다. 또한 유약을 복수회에 걸쳐서 듬뿍칠하고 있는 관계상, 각 유약층의 상호간에도 공기가 말려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으며, 소성을 거치므로써 도자기류의 무늬표면에 비교적 큰 오목부분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약의 도포두께를 상당분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그 때문에 유약처리작업이 번거로와지고, 또 그 소요시간도 지연되게 되었다, 또, 각 발색의 유약상호는 소성중에 일어나는 흐름이 일방향적인 것이 되기 쉽고, 대리석조의 무늬로서의 변화가 부족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공이나 끊어오르는 현상 및 비교적 큰 오목부분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대리석조의 무늬에 한정되지 않는, 풍부한 무늬넣기의 변화를 얻을 수 있는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의 순서를 알기 쉽도록 그린 개략도이다. 먼저 도면중 최상부에 표시한 바와 같이, 녹말풀(1)등을 물(2)에 의해서 개므로써 바인더액(3)을 준비해둔다. 그리고, 도자기류의 성형체를 성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과 동질의 성형재료토(5)에 대해서 적당한 채색을 가진 안료(4)와 상기와 같이 준비한 바인더액(3)을 혼입해서 장식용 원료액(6)을 제조한다.
이 장식용원료액(6)은 그 점도가 2000센티포이즈 정도의 슬러리 형상으로 해둘 필요가 있다. 단 너무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후술하는 시이트재(8)에의 흡착시에 유지부족이 발생하고, 반대로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유지불가능이 될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 이 장식용 원료액(6)으로서는 상기 안료(4)의 채색이 다른 것에 대해서 복수종(6A, 6B)을 준비해둔다.
다음에 이들 각색의 장식용원료액(6A, 6B)을 각각에 대해 적당량씩 하나의 용기(7)내에 주입한다. 주입후에는 용기(7)에 대해서 회전이나 진동을 부여하거나, 용기(7)내의 장식용원료액(6A), (6B)을 직접적으로 가볍게 교반하거나, 압착용기의 내뿜기에 의해서 액면을 물결치게 하거나 하는 등 해서 각 단독색이 아직 잔존하는 정도의 혼합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지금, 장식용원료액(6A)으로서 다량의 배색을 사용하고, 동(6B)로서 소량의 적색을 사용했다고 하자, 이 경우, 쌍방의 색이 잘 녹아 섞여서 용기(7)내의 일부에 분홍색의 영역이 생기는 것은 상관없으나, 용기(7)내의 전체영역이 분홍색으로 물들어버려서는 무늬가 될 수 없다. 그 때문에 용기(7)내에서는 그 액면위에 있어서 배색이나 적색(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이 그대로 남아 있는 영역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색에 적색이나 분홍색의 줄무늬 내지 소용돌이 무늬가 형성되거나 분홍색 바탕에 백색이나 적색이 줄무늬 내지 소용돌이 무늬가 형성되거나 한 상태로 한다.
여기까지의 작업이 종료하면 직포, 부직포, 종이, 기타로 이루어진 흡수성을 가진다. 시이트재(8)를 상기 용기(7)내의 액면위에서 혼합상태로 되어 있는 장식용원료액(6A) 및 (6B)는 그 혼합상태가 모양 그대로 시이트재(8)에 흡착유지되는 것이 된다. 이 장식용원료액(6A) 및 (6B)가 시이트재(8)의 표면에 1㎜정도 부착하면 충분하므로, 이 시점에서 시이트재(8)를 용기내로부터 꺼낸다.
다음에 제3도에 있어서 건식프레스장치(9)에 의해 무늬넣기를 설명한다.
건식 프레스장치(9)에 의해 성형체(11)의 표면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이트재(8)의 표면에 1㎜정도의 부착두께가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이 시점에서 시이트재(8)를 용기(7)내로부터 꺼내서 건조시킨다. 건조상태는 타일성형용의 성형 재료토(5)에 요구되는 함수율, 통상은 4% 정도에 맞추도록 한다.
시이트재(8)의 장식용 원료액이 건조한 후에는, 이 시이트재(8)를 건식 프레스장치(9)의 성형오목부(10)내에 충전한다. 또 이성형오목부(10)내에는 타일 성형용 성형재료토(5)도 함께 충전한다. 이들 시이트재(8)와 성형재료토(5)는 어느쪽이 성형오목부(10)내의 상층 또는 하층에 위치되는 문제되는 것은 아니나, 시이트재(8)를 상층에 위치시킨 쪽이 작업성의 면에서 이점이 얻어지는 것 같다.
또한 시이트재(8)에 관해서는 흡착한 장식용 원료액이 반드시 성형재료토(5)와 면접촉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태에서 프레스하여 얻어진 타일 생소지를 소성한다. 또한 이 타일 생소지에는, 그 무늬표면층이 되는 쪽에 시이트재(11)가 붙은상태로 되어 있으나, 이것은 그 소성전에 박리시켜도 되고, 소성에 의해서 쇨 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4도에 있어서 시이트재(8)를 성형체(11)에 붙이는 경우를 설명한다. 시이트재(8)를 성형체(11)에 붙이는 경우에는, 이 시이트재(8)는 유지된 장식용 원료액(6A, 6B)이 적당한 건조상태로 되거나 또는 되기전에 도자기류에 있어서의 소정전의 성형체(11)에 대해서 그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인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재(8)는 성형체(11)의 4둘레 측면에까지 밀착하도록 붙일 수 있다. 또한 장식용 원료액(6A), (6B)이 함침된 시이트재(8)를 건조시키는데 있어서는 그 건조 정도가 성형체(11)자체에 요구되는 함수율, 통상은 4%정도와 동일해지도록 맞추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성형체(11)는, 그 두께나 형상, 소재에 따른 소성조건(방법이나 온도, 시간등)에 의거해서 소성한다. 또한 이 성형체(11)의 표면에 시이트재(8)가 붙은 그대로 소성해도, 이 시이트재(8)는 소성에 의해서 소실하는 것이며, 소성후의 도자기류에 아무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이트재(8)는 소성전의 성형체(11)로부터 박리해둘 수도 있다. 즉 성형체(11)에 대해서 미건조상태에 있는 시이트재(8)를 붙이면, 그후 시이트재(8)에 유지되고 있는 장식용 원료액(6A, 6B)은 서서히 성형체(11)중에 이행해가는 것이며, 곧 그 전부가 성형체(11)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는 시이트재(8)를 단독으로해서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이트재(8)를 박리한 후의 성형체(11)는, 이것을 그대로 소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성형체(11)의 장식용 원료액의 피막표면에, 무색투명 내지 착색투명의 투명계유약을 도포한 후에 소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성후의 도자기류에 얻어지는 흐름무늬에 깊은 맛이나 광택이 부가된 것이 되어, 한층 심미적이 된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흐름무늬 도자기류(12)는, 그 표면전체에 자연적, 환상적인 흐름무늬가 나타난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6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시이트재(8)에 대해서 그 외곽크기를, 얻고자 하는 장식타일의 표면 크기보다도 작게 하고 또한 그 외형상을 원형이나 별모양등의 임의형상으로 해둘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프레스에 의해서 시이트재(8)의 외주부에 타일성형용 성형재료토(5)가 충전되도록 되므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식타일 전체로서는 상감과 같이 아취를 나타낸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예는 시이트재(8)의 외형상에 변형을 가할 경우 뿐만 아니라, 큰 시이트재(8)에 대해서 적당히 마스킹을 실시하므로써, 장식용원료액에 대한 흡착가능영역을 특정해서 행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의 세부에 겹친 구성은 실시태양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다음에 제2도에 있어서, 평탄면(17)의 위에서 장식용원료액(6)을 퍼늘여서 퍼늘임무늬의 시이트재(8)를 얻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2도는 퍼늘임무늬를 얻는 방법의 순서를 알기 쉽도록 그린 개략도이다. 먼저 녹말풀(1)등을 물(2)에 의해서 개므로서 바인더액(3)을 준비해둔다. 그리고, 도자기류의 성형체를 성형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과 동질의 성형재료토(5)에 대해서 적당한 채색을 가진 안료(4)와, 상기와 같이 준비한 바인더액(3)을 혼입해서 장식용원료액(6)을 제조한다.
이 장식용 원료액(6)은, 그 점도가 2000센티포이즈 정도의 슬러리(반죽)형상으로 해둘 필요가 있다. 또 이장식용원료액(6)으로서는 상기 안료(4)의 채색이 다른 것에 대해 복수종의 장식용원료액(6A), (6B)을 준비해둔다.
다음에 책상면, 배색용팰리트면등의 적당한 평탄면(17)의 위에서 상기와 같이해서 제조한 각색(적어도 2색으로 한다) 의 장식용원료액(6A), (6B)을 각각에 대해서 적당량씩 유출한다. 그리고 평탄면(17)자체를 진동시키거나, 이 평탄면(17)위의 장식용원료액(6A), (6B)을 직접적으로 가볍게 교반하거나 혹은 압착공기의 내뿜기에 의해서 액면을 물결치게 하거나 하는 등해서 각 단독색이 아직 잔존하는 정도의 배색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지금, 장식용원료액(6A)으로서 다량의 배색을 사용하고, 동(6B)로서 소량의 적색을 사용했다고 하자, 이 경우, 쌍방의 색이 잘 녹아 섞여서 분홍색으로 물드는 영역이 생기는 것은 상관 없으나, 2색간의 전체영역이 분홍색으로 물들어버려서는 무늬가 될 수 없다. 즉, 액면위에 있어서 배색이나 적색(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이 그대로 잔존하고 있는 영역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색에 적색이나 분홍색의 줄무늬 내지 소용돌이 무늬가 형성되고나 분홍색바탕에 백색이나 적색의 줄무늬 내지 소용돌이 무늬가 형성되거나 한 상태로 한다.
여기까지의 작업이 종료하면, 직포, 부직포, 종이, 기타로 이루어진 흡수성을 가진 시이트재(8)를 , 상기 평탄면(17)위의 액면에 접면시키고, 또 이 시이트재(8)를 평탄면(17)에 향해서 압압한다.
이에 의해 평탄면(17)위의 장식용 원료액(6A), (6B)은, 그 배색상태가 전체적으로 눌러찌부러지고 또는 퍼넓혀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이 양상 그대로 시이트재(8)에 흡착유지되는 것이 된다. 이 장식용원료액(6A), (6B)이 시이트재(8)의 표면에 1㎜정도 부착한 것을 확인했으면 평탄면(17)위로부터 시이트재(8)를 들어올리는 동시에, 이 시이트재(8)에 유지된 장식용 원료액(6A), (6B)이 적당한 건조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장식용원료액(6A), (6B)의 건조정도는 성형체에 요구되는 함수율, 통상은 4% 정도와 동일해지도록 맞추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건식프레스장치(9)의 성형오목부(10)내에 상기한 시이트재(8)를 충전한다. 또 이성형오목부(10)내에는, 성형체용 성형재료토(5)도 함게 충전한다. 이들 시이트재(8)와 성형재료토(5)는, 어느쪽이 성형오목부(10)내의 상층 또는 하층에 위치되는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하여 얻어진 성형체(타일생소지등)를, 그 두께나 형상, 소재에 따른 소정 조건에 의거해서 소성한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성후에 얻어진 퍼늘임무늬 도자기류(13)는 그 상면부등에 자연적 환상적인 퍼늘임무늬가 나타난 것으로 되어 있는 극히 심미적이다.
그런데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미 성형되어 있는 소성전의 성형체(11)에 대해서는, 장식원료액(6A), (6B)을 흡착유지시킨 후의 시이트재(8)를 그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성형체(11)가 평탄형상을 한 유약처리하지 않은 타일등일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 시이트재(8)는 성형체(11)의 4둘레 측면에까지 밀착하도록 붙일수 있다. 따라서 이 성형체(11)를 소성하면,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4둘레측면을 포함한 표면전체에 자연적 환상적인 퍼늘임무늬가 형성된 퍼늘임무늬 도자기류(13)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공, 끓어오르는 현상, 오목부분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흐름 무늬나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색이 다른 장식용 원료액을 상호 배색하고 또는 압압해서 얻어지는 무늬는, 자연적 환상적인 줄무늬 내지 소용돌이 무늬가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대리석조등으로해서, 보다 진짜같은 느낌을 갖게 할수 있다. 또한 이 무늬는 복잡한 오목볼록형상을 가진 것과 같은 도자기류에 대해서도 구비시킬수 있는 것이며, 또 그 작업성은 평탄재등의 단순형상의 것에 무늬를 구비시키는 경우와 조금도 다르지 않을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장식용원료액의 색선택이나 사용수 및 배색 상황들을 변경시키는 것은 무한한 절개를 기대할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도자기류의 무늬 변화도 무한하게 확대되는 등, 수많은 뛰어난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6)

  1. 도자기류의 성형재료토에 바인더액과 안료를 혼입해서 슬러리형상으로 한 장식용원료액을 안료의 색이 다른 것을 복수색 준비하고, 각 장식용 원료액을 용기내에 주입하고, 각 단독색 또는 혼융색중 적어도 2색이 잔존하는 정도의 혼합상태로 하고, 다음에 흡수성이 있는 시이트재를 상기 용기내의 액면에 접면시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시키고, 이 시이트재를 장식용 원료액이 적당한 건조상태가 되기를 기다려서 이시이트재를 건식 프레스장치의 성형오목부내에 장진하는 동시에, 성형 재료토도 충전해서 프레스하고, 그런 다음 얻어진 타일생소지로부터 상기 시이트재를 박리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이것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타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한 상기 시이트재를 도자기류의 소성전의 성형체에 대해서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이고, 얻어진 성형체를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한 상기 시이트재를 도자기류의 소성전의 성형체에 대해서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이고, 이 시이트재에 유지되어 있는 장식용 원료액이 성형체쪽으로 이행하기를 기다려서 당해 시이트재를 성형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어진 성형체의 표면에 투명계 유약을 도포해서 이것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4. 도자기류의 성형재료토에 바인더액과 안료를 혼입해서 슬러리형상으로 한 장식용 원료액을 안료의 색이 다른 것을 복수종 준비하고, 각 장식용 원료액을 책상면, 또는 배색용 펠리트면등의 적당한 평탄면위에 유출시켜, 그 액면위를 각 단독색 또는 혼융색 중 적어도 2색이 잔존하는 정도의 배색상태로 하고, 다음에 흡수성이 있는 시이트재를 상기 평탄면위에 접면압압해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시키고, 이 시이트재의 장식용원료액이 적당한 건조상태가 되기를 기다려서, 이 시이트재를 건식 프레스장치의 성형오목부재에 장진하는 동시에, 도자기류의 성형용 성형재료토도 충전해서 프레스하고, 그런 다음 얻어진 성형체로부터 상기 시이트재를 박리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이것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한 상기 시이트재를 그 건조후 또는 건조전에 도자기류에 있어서의 소성전의 성형체에 대해서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이고, 얻어진 성형체를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장식용 원료액을 흡착한 상기 시이트재를, 소성전의 성형체에 대해서 표면형상을 따르도록 붙이는 동시에, 이 시이트재에 유지되어 있는 장식용원료액이 성형체쪽으로 이행하기를 기다려서 당해 시이트재를 성형체로부터 박리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표면에 투명계 유약을 도포해서 이것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늘임 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19910021863A 1990-11-30 1991-11-30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940001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38939 1990-11-30
JP33893990A JPH0733278B2 (ja) 1990-11-30 1990-11-30 装飾タイルの製造方法
JP3228147A JP2547132B2 (ja) 1991-05-29 1991-05-29 流れ模様を具備した焼物類の製造方法
JP91-228147 1991-05-29
JP91-228148 1991-05-29
JP3228148A JP2546752B2 (ja) 1991-05-29 1991-05-29 展延模様を具備した焼物類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726A KR920009726A (ko) 1992-06-25
KR940001662B1 true KR940001662B1 (ko) 1994-02-28

Family

ID=2733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863A KR940001662B1 (ko) 1990-11-30 1991-11-30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42638A (ko)
EP (1) EP0487978B1 (ko)
KR (1) KR940001662B1 (ko)
DE (1) DE69103385T2 (ko)
ES (1) ES20577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883B1 (ko) * 2000-08-09 2002-10-31 조태영 도자기 표면에 나무문양이 배시되게 하는 도자기의문양제조방법
CN100497264C (zh) * 2007-06-01 2009-06-10 山东茂华硅工有限公司 在陶瓷产品上形成大理石花纹的装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26A (en) * 1894-06-12 Albert l
GB190808049A (en) * 1908-04-11 1909-03-18 Thomas Ford An Improved Process of and Means for the Decoration of Pottery, Earthenware, China and similar Ware.
US1931667A (en) * 1931-02-26 1933-10-24 Emil C Loetscher Process for reproducing marbleized surfaces on composite building materials
FR741224A (ko) * 1931-07-25 1933-02-08
DE2114706A1 (en) * 1971-03-22 1972-09-28 Keramische Ind Bedarfs Kg Paul Combined ceramic compacting and glaze application - - using carrier mounted glaze
US4294635A (en) * 1976-08-27 1981-10-13 Hurley Jr Donald C Process for making glazed ceramic ware
JPS6233606A (ja) * 1985-08-07 1987-02-1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複合模様を有する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74108A (ja) * 1986-01-28 1987-07-3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象嵌状装飾面を備えた窯業品の製造方法
JPS62178305A (ja) * 1986-02-03 1987-08-0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象嵌状装飾面を備えた窯業品の製造方法
JPS62182177A (ja) * 1986-02-06 1987-08-1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タイル絵付方法
JPS62182176A (ja) * 1986-02-06 1987-08-1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立体模様を備えた窯業品の製造方法
JPS62270303A (ja) * 1986-04-18 1987-11-2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不定形斑紋模様を備えた素地の製造方法
JPS62292687A (ja) * 1986-06-10 1987-12-19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グラデ−シヨン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JPS6322609A (ja) * 1986-07-16 1988-01-3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鋸刃面状タイルにおけるランダム凹凸表面模様の形成方法
JPS63188004A (ja) * 1987-01-30 1988-08-03 本谷 義博 陶磁器における凹凸模様形成方法
JPS63209804A (ja) * 1987-02-26 1988-08-31 株式会社イナックス 長尺セラミツクパネルの装飾方法
JPH01247109A (ja) * 1988-03-29 1989-10-03 Inax Corp 模様を有する磨きタイルの製造方法
DE3813851A1 (de) * 1988-04-23 1989-11-02 Dasag Deutsche Naturasphalt Gm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s farbdekors in form von ungleichmaessig verteilten flecken unterschiedlicher farbintensitaet (flammung) auf und in die vorsatzschicht einer zweischichtigen platte
JPH01297212A (ja) * 1988-05-25 1989-11-30 Inax Corp 陶磁器板の加飾方法
JPH0620734B2 (ja) * 1989-08-19 1994-03-2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象嵌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3385D1 (de) 1994-09-15
ES2057717T3 (es) 1994-10-16
DE69103385T2 (de) 1994-12-15
KR920009726A (ko) 1992-06-25
EP0487978A1 (en) 1992-06-03
EP0487978B1 (en) 1994-08-10
US5242638A (en) 199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662B1 (ko) 흐름무늬 또는 퍼늘임무늬를 구비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US3634179A (en) Ceramic sanitary ware resembling natural stone or marble
EP0414149B1 (en) Pattern-inlaid ceramic til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547132B2 (ja) 流れ模様を具備した焼物類の製造方法
CN1052710C (zh) 多彩胎体高温釉下彩卫生洁具陶瓷及其制造工艺
JP2546752B2 (ja) 展延模様を具備した焼物類の製造方法
US5609804A (en) Process for decorating ceramic tiles
KR970001049B1 (ko) 다색상과 다중문양을 함유한 도자기 및 토기질의 생활용기구 타일제조법
KR101569971B1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US785534A (en) Decorated articles of ceramic or vetrified ware.
JP5244057B2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JP2880137B2 (ja) 焼物の製造方法
JP2987486B2 (ja) レリーフ模様付き陶磁器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並びに陶磁器製品
WO2000030994A1 (fr) Porcelaine coloree a aspect granule obtenue par injection et son procede d'obtention
KR200235090Y1 (ko) 도자칠보
JPH04209741A (ja) 装飾タイルの製造方法
CN102848457B (zh) 一种泥浆制坯花纹成型机及泥浆制坯花纹成型方法
JPH02178099A (ja) 骨灰磁器デザイン透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48063A (ja) 建材の加飾方法
KR20000049662A (ko) 판체로된 자연물의 장식부재가 외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도자(陶瓷) 제품
JPS5923256B2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710524B2 (ja) 紋様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27817B1 (ko) 도자기의 무늬 형성방법
KR200221003Y1 (ko) 판체로된 자연물의 장식부재가 외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도자(陶瓷) 제품
KR200305586Y1 (ko) 도자재 등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