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24Y1 -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24Y1
KR940000024Y1 KR2019930016953U KR930016953U KR940000024Y1 KR 940000024 Y1 KR940000024 Y1 KR 940000024Y1 KR 2019930016953 U KR2019930016953 U KR 2019930016953U KR 930016953 U KR930016953 U KR 930016953U KR 940000024 Y1 KR940000024 Y1 KR 940000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elf
storage
goods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찌로오 우에다
요시로오 이리에
도요가즈 호시
모도조오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오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오 다께시 filed Critical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장치의 배치를 도시한 외관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응답기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질문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응답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질문기가 실행하는 제어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응답기(20A), (20B)가 실행하는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8a도 내지 제8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입출고 및 재고의 서로 연관된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장치 10 : 단말장치
10-2 : 질문기 20 : 응답기
본 고안은 물품의 반송 및 입출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창고에 반송되어온 제품 또는 상품을 보관하는 방법으로서는 상품이나 제품을 자동적으로 소정의 격납선반에 반송하는 자동입체 창고를 이용하는 방법, 조작자가 반송기구를 이용하여 빈 장소에 격납하는 방법, 창고의 바닥에 단순히 쌓아올리는 소위 야적하는 방법 등이 알려졌다.
자동입체창고는 공간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점에서 우수하며, 격납선반에 대하여 분배된 번지에 대응시켜 격납내용 또는 격납개수 등의 서로 연관된 재고정보도 컴퓨터시스템에 기억시킬 수 있으며, 입출고에 따라서 기억내용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재고관리 정보처리를 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한편 자동입체 창고는 그 성질상 넓은 건조스페이스를 필요로하여 창고전체가 고정적인 구조물로 되어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격납선반의 배치 또는 스페이스, 그리고 반송장치의 반송경로가 미리 정하여지기 때문에 물품의 입출고 변화에 의하여 격납하는 상품의 크기나 형상이 변화하였을 경우 등에서도 격납하는 상품에 따라서 자동입체 창고를 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와같이 종래의 자동입체창고에서는 물품의 입출고 변화에 대한 탄력성이나 유연성이 결여되어 건설에 장기간이 요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사람의 손을 거치는 고정선반이나 야적에 의한 상품의 격납방법은 건설원가가 저렴하며 격납위치도 비교적 자유로운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입출고의 관리나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점에 결점이 있다. 즉,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관리대장과 선반카드가 채용되어 있으며, 재고정보를 대장에 날짜정보와 함께 기입하는 동시에 각 선반에 상품의 종류, 개수를 기입한 선반카드를 격납선반 등에 부착하여 두고 입, 출고시에 선반카드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 격납방법에서는 상품을 입출고 할 때마다 선반카드에 기록하여야만 하고, 관리대장이 장부인 점에서 재고정보를 확실하게 기록하여 두기 위한 기록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특히 결산에 따른 재고조사시에 관리대장과 선반카드와의 정합(整合)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결점이 있다.
또, 물품의 반송은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기구에 의하여 조작자가 하며, 이때 반송기구에 컴퓨터시스템에서 격납선반의 번지정보가 무선 등에 의하여 전송되어 조작자가 그 정보에 의거하여 격납선반의 물품격납 및 출고를 하게 하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방법에 있어서도 반송기구에 조작안내가 표시되어 있을 뿐이며, 잘못조작에 의하여 격납선반의 다른 선반 번지로의 격납 또는 출고가 되었어도 컴퓨터시스템은 동작을 계속하므로 컴퓨터시스템의 기억내용과 실제 창고내의 재고상태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시스템의 기억내용을 프린트아우트하여 격납선반과의 대조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에 있어서는 재고정보의 갱신, 제조원가, 조작성등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이 없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결점을 제거하여 물품의 입출고시스템에서의 입, 출고정보 및 재고정보를 정확도가 높고 확실하게 정보처리장치에 기억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입출고 변화에 대하여 탄력성이나 유연성에 우수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정보의 보존성이 우수한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물품을 격납하는 1개 이상의 격납선반과, 이 격납선반에 물품을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물품반송장치에 배치되어 무선에 의해 교신을 행하는 송수신 회로를 갖는 단말장치와, 물품에 관한 정보 및 격납선반의 선반번지 정보를 격납하여 상기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로부터의 호출에 의해 물품에 관한 정보 및 격납선반의 선반번지 정보를 비접촉으로 리이드(read) 및 라이트(write) 가능한 기억 장치를 내장하는 응답기와, 물품 반송장치의 단말장치 사이에서 물품의 입출고에 관한 정보를 무선 교신 및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며, 기억장치를 내장하는 응답기를 물품 또는 이 물품을 재치하는 반송대 및 격납선반에 부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물품을 재치하는 반송대 및 물품을 격납하는 격납선반에 예를들면 RAM을 이용한 기억장치가 배치되며, 반송대에 배치된 기억장치에는 물품에 관계되는 정보가 창고에 입고하기 이전에 라이트되어 있으며, 물품반송장치에 의하여 창고내를 반송중에 이 물품반송 장치에 배치된 단말장치로부터 반송대에 배치된 기억장치의 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장치는 입고정보로서 소정의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동시에 반송대의 격납선반의 선반번지 정보를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이 선반번지정보에 의거하여 물품반송장치를 해당하는 격납선반의 선반번지에 이송시켜 반송대를 선반에 반입한다. 이때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로부터 격납선반에 배치한 기억장치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이 단말장치에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지시된 선반번지정보와 리이드아우트 된 선반번지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시킨다.
이것으로 정보처리장치의 기억수단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억된 물품에 관계되는 정보와 실제 창고의 격납선반의 소정선반번지에 반입된 물품이 일치하므로, 관리대장인 정보처리장치에서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내용과 격납선반에 반입된 물품과의 일치정확도가 높아진다.
창고에서 물품을 반출할때에는,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호출하여 출고에 관한 정보을 단말장치에서 수신한다. 출고에 관한 정보에는 물품의 종류, 개수등과 격납선반으로부터 반출할 선반번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의거하여 물품 반송장치를 지시된 선반번지까지 이송시킨다. 여기서 다시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로부터 격납선반에 배치한 기억장치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단말장치에서 선반번지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출고에 관한 정보와 반출되는 물품과의 일치성이 확인되면 물품의 반출이 행하여 진다.
또, 재고조사를 할 때에는 단말장치로부터 격납선반에 배치된 기억장치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정보처리장치에서 이 선반번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에 관계되는 정보를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단말장치에서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물품에 관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격납선반 위치에서 현물과의 대조를 하게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재고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입출고나 재고에 관한 통계처리 또는 기타 이용자가 원하는 연산처리를 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중앙장치이다.
중앙장치(1)에 있어서, 1-1은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회로이다. 송수신회로(1-1)는 후에 설명하는 단말장치(10)와 통신을 하고, 팰리트(pallet) 및 격납선반에 설치한 응답기(20)로부터 보내지는 재고정보등을 단말장치(10)을 중계하여 수신하는 동시에 중앙장치(1)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1-2는 컴퓨터 본체이며, 송수신회로(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외부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표시장치(1-4)에 표시시킨다.
1-3은 컴퓨터본체(1-2)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오드이다.
이와같은 중앙장치(1)는 창고나 사무소내에 설치되어 있다.
10은 중앙장치(1)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단말장치이며, 포오크리프트 등의 물품반송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말장치(10)에 있어서, 10-1은 중앙장치(1)의 송수신회로(1-1)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 송수신회로이다.
10-2는 본 고안에 따른 것으로, 물품정보의 라이트 및 리이트아우트를 후에 설명하는 응답기(20)에 대하여 하는 질문기이며, 키보오드(10-3)로부터의 지시압력에 따라서 응답기(20)에 대하여 동작지시를 하며, 예를들면 응답기(20)로부터 전파에 의하여 송신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한다.
이 수신된 입, 출고정보나 물품정보는 송수신회로(10-1)를 개재하여 중앙장치(1)로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장치(10)와 중앙장치(1)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것 및 그 장치구성은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질문기(10-2)는 키보드(10-3)의 조작 또는 중앙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응답기(20)를 호출하여 응답기(20)에 기억된 정보를 수신 및 갱신한다. 이와같은 단말장치(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오크리프트 등의 물품반송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송수신회로(10-1)를 포오크리프트의 천정에 설치하며, 운전석의 조작패널 근처에 키보드(10-3) 및 표시기(10-4)를 배치하고 있다.
또, 질문기(10-2)는 응답기(20)와 교신가능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제1도의 응답기(20)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응답기(20)는 각각 질문기(10-2)와의 사이에서 전파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응답기(20) 중에서 응답기(20A)는 그 위에 물품을 재치하여 반송하는 팰리트(40)에 설치된다. 응답기(20B)는 격납선반(30)에 배치되어 있다. 응답기(20A)에는 입출고시에 그 팰리트(40)위에 재치된 물품의 종류, 개수, 제조년월일, 입고년월일 등의 물품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응답기(20A)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식별정보)를 미리 기억시키고 있다. 응답기(20B)는 팰리트(40)를 수납하는 격납선반(30)에 대하여 분배된 선반번지 및 응답기(20B)의 식별을 위한 ID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설명에 앞서 질문기(10-2)를 가진 단말장치(10) 및 응답기(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1도의 질문기(10-2)를 가진 단말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10-2A는 전체의 동작제어를 관장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이며, 리이드온메모리(ROM)(10-2B)에 격납된 제어순서를 실행한다. 10-2C는 CPU(10-2A)에 대한 입출력정보 및 입출고정보 또는 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랜덤억세스메모리(RAM)이다.
10-2D는 CPU(10-2A)의 지시에 의거하여 응답기(20)에 대해서 각종 정보를 송신하는 제1송신 회로이다. 제1송신회로(10-2D)에는 공지의 무선에 의한 송신회로를 이용하면 좋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특정의 응답기로부터의 송신정보만을 수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송신회로의 교신 가능한 범위를 응답기(20)의 배치간격 이내에 설정하거나 수신방향을 한정하면 좋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다수의 응답기와 교신할 경우에는 소망에 따라서 제1송신회로의 교신범위를 정하면 좋다.
제1송신회로(10-2D)는 송신정보로서 특정의 응답기(20)에 대한 ID정보 또는 기억내용의 리이드아우트 지시, 송신한 정보의 기억지시등의 호출신호를 송신한다.
10-2E는 응답기(2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하여 CPU(10-2A)에 대하여 출력하는 제1수신회로이다. 위에 설명한 각 기기는 공통버스(bus)에 접속되며, 다시 이 공통버스에 송수신회로(10-1), 키보오드(10-3), 표시장치(10-4)가 접속되어 응답기(20) 및 중앙장치(1)로부터의 수신정보나 키보오드(10-3)로부터의 입력정보가 표시장치(10-4)에 표시가능하게 되어있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응답기(20)의 회로구성을 도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20-1은 CPU이며, ROM(20-3)에 격납된 제어순서를 실행하여 질문기(10-2)와 정보를 주고받는다.
20-2는 CPU(20-1)에 의해 기억내용이 리이드, 라이트 되는 RAM이며, 이 RAM(20-2)에는 배터리에 의하여 그 기억내용이 백업(back up)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RAM을 이용하고 있으나, 불휘발성이며 기억내용이 라이트변환 가능한 메모리이면 이용할 수 있다.
RAM(20-2)는 일반정보를 기억하는 제1영역과, 응답기(20A)와 응답기(20B)를 식별하는 ID 정보를 기억하는 제2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일반정보는 응답기(20A)의 경우에는 격납상품 혹은 입출고, 물품에 관한 정보, 예를들면 종류, 개수 기타 입, 출고 정보이며, 응답기(20B)의 경우에는 선반번지정보이다.
20-4는 RAM(20-2)로부터 리이드아우트된 일반정보, ID 정보를 전파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회로이다.
20-5는 2개의 주파수대를 가진 수신회로이며, 그 1개는 질문기(10-2)와의 일반정보 교신용에 사용하고, 또 다른 주파수대는 ID 정보의 갱신시에 새로운 ID정보의 교신용으로 사용된다. 새로운 ID 정보의 전송에 있어서, 일반정보용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작자로부터의 잘못된 지시 또는 혼신(混信)에 의거한 응답기(20)의 ID 정보의 소실 또는 변경을 방지하고 있다.
제6도는 제2도의 질문기(10-2)가 실행하는 제어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며, 제7a도, 제7b도는 응답기(20A), (20B)가 실행하는 제어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들의 제어순서는, 응답기(20A)가 설치된 팰리트(40)에 재치된 물품을 포오크리프트에 의하여 창고에 입고하는 경우를 도시하며, 여기서 포오크 리프트에 반송되는 팰리트(40)에 설치된 응답기(20A)에는 팰리트(40)위체 재치된 물품의 일반정보가 무선으로 비접촉상태에서 라이트되어 있는 것이며, 응답기(20A)에는 미리 ID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제6도,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한 제어순서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창고내의 격납선반(30)이나 팰리트(40)에 설치된 응답기(20A), (20B)는 질문기(10-2)에서의 작업지시가 없을때도, 제7a도, 제7b도의 스텝(S31), (S51)에서 질문기(10-2)로부터의 호출을 대기한다.
조작자가 포오크리프트에 의하여 물품을 재치한 팰리트(40)를 창고내에 반송하여 온후, 조작자가 단말장치(10)의 키보오드(10-3)(제1도 참조)의 소정키를 조작하면 질문기(10-2)는 스텝(S1)에수 입고 작업지시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S2)에 의하여 포오크 리프트에 재치된 팰리트(40)의 응답기(20A)에 대한 호출명령을 출력하여 제4도의 제1송신 회로(10-2D)에서 호출신호를 송신한다. 응답기(20A)는 제5도에 도시한 수신회로(20-5)에 의하여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7a도에 도시한 스텝(S31), (S32)의 폐루프로부터 빠져나와 스텝(S33)으로 진입한다.
스텝(S33)에서는 호출신호중 ID 정보와 응답기(20A)의 RAM(20-2)(제5도 참조)에 등록된 ID 정보와 비교하여 자기의 호출인 것을 확인한다. 응답기(20A)는 다음 스텝(S34)에 진입하여 호출신호중 리이드 아우트 명령에 의하여 스텝(S36)에서 입고물품의 종류, 개수, 입고 년월일, 제조년월일 등의 일반정보와 ID 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송신회로(제5도참조)에서 송신한다. 이와같이하여 응답기(20A)에서 송신된 정보는 질문기(20-2)의 제1수신회로(10-2E)(제4도참조)에 의하여 수신되며, 질문기(10-2)에서는 스텝(S3)의 폐루프를 빠져나와 스텝(S4)에서 정보를 리이드인 한 다음 스텝(S5)에서 송수신회로(10-1)(제4도 참조)를 개재하여 중앙장치(1)로 전송한다. 이것으로서 중앙장치(1)는 팰리트(40)가 격납될 격납선반(30)의 격납위치를 판단하여 중앙장치(1)에서 단말장치(10)에 입고물품의 격납선반(30)의 선반번지를 송신한다. 즉, 중앙장치(1)의 컴퓨터본체(1-2)…송수신회로(1-1)…단말장치(10)의 송수신회로(10-1)…질문기(10-2)의 경로로 중앙장치(1)로부터의 선반번지 정보가 전송된다. 질문기(10-2)는 선반번지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6)을 빠져나와 스텝(S7)에서 이 선반번지를 질문기(10-2)내의 RAM(10-2C)에 일시 기억시키고(스텝 S7), 그리고 이 선반번지를 스텝(S8)에서 표시장치(10-4)에 제8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한다.
다음, 단말장치(10)의 표시장치(10-4)에 제8a도에서와 같이 표시된 내용에 따라 조작자가 포오크리프트에 의하여 팰리트(40) 및 입고물품을 지정된 격납선반(30)까지 반송하여 소정의 선반번지를 팰리트(40)를 이송시킨다. 이때 조작자는 단말장치(10)의 키보오드(10-3)의 소정키를 조작하여 격납선반(30)에 배치된 응답기(20B)에 호출명령을 출력한다(스텝 S9). 이것으로 응답기(20B)에서는 제7b도의 스텝(S51), (S52)의 폐루프를 빠져나와 스텝(S53)에서 ID 정보의 확인을 한다. 응답기(20B)에서 스텝(S51), (S52)의 폐루프를 빠져나와 스텝(S53)에서 ID 정보의 확인을 한다. 응답기(20B)에서 스텝(S53)에 의하여 ID 정보가 확인되면 스텝(S54)에 진입하여 RAM(20-2)에 기억된 선반번지 정보를 리이드아우트하여 송신한다. 이 응답기(20B)로부터 송신된 선반번지정보는 단말장치(10)의 질문기(10-2)에 의하여 수신된다. 질문기(10-2)는 선반번지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10)으로부터 빠져나와 스텝(S11)에서 질문기(10-2)의 RAM(10-2C)에 일시기억되어 있는 선반번지와 비교한다. 스텝(S11)의 일치, 불일치상태는 스텝(S12), (S13)에 의하여 각각 표시장치(10-4)(제2도 참조)에 표시하여 조작자에 확인시켜, 불일치의 경우는 스텝(S9)으로 귀환하고, 일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종료한다.
또한 응답기(20B)로부터의 선반번지정보와 중앙장치(1)로부터 지시된 선반번지가 불일치일 경우에 조작자의 판단에 의하여 키보드(10-3)를 조작하여 응답기(20B)의 선반번지정보를 중앙장치(1)에 송신하여 중앙장치(1)의 선반번지를 수정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순서로 팰리트(40)위에 재치된 물품은 격납선반(30)에 수납되며, 중앙장치(1)에는 격납선반(30)의 각 선반번지와 그 선반번지의 수납된 물품에 관한 입출고정보가 라이트된다.
또한 제7a도에 있어서, 스텝(S35), (S37)은 응답기(20A)로의 일반정보를 라이트한 것이나, 이것은 팰리트(40)에 물품이 재치되어 창고에 반입되기 이전에 다른 라이트 수단에 의하여 라이트되는 순서이다.
다음 격납선반(30)으로부터 물품을 출고할 때에는, 포오크리프트위에 단말장치(10)의 키보오드(10-3)를 조작하여 중앙장치(1)를 호출하여 출고정보의 요구를 한다. 이에 의거하여 중앙장치(1)로부터 포오크리프트위에 단말장치(10)로 제8b도에서와 같이 출고될 물품코오드, 격납선반번지, 개수, 출고일등의 출고정보가 송신되어 표시장치(10-4)에 표시된다.
또, 제8c도에서와 같이 포오크리프트가 출고할 물품의 종류나 포오크리프트가 이동하지 않으면 않될 선반을 나타내는 나머지 선반수를 표시하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조작자는 이 표시에 의거하여 포오크리프트를 지정된 격납선반(30)의 선반번지에 이동시킨다. 여기서 다시 단말장치(10)의 질문기(10-2)에서 격납선반(30)에 배치한 응답기(20B)로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응답기(20B)로부터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인, 단말장치(10)내에서 선반번호정보가 출고정보로 지정된 선반번지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가 "일치"의 경우에는 단말장치(10)의 표시장치(10-4)로 확인하여 팰리트(40)와 동시에 지정물품을 포오크 리프트로 반출한다. "불일치"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잘못조작한 것이므로 포오크 리프트를 이동시켜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한다. 포오크리프트에 의한 반출이 종료하면 단말장치(10)에서 중앙장치(1)에 출고실적으로 출고정보가 송신되며, 이것으로 중앙장치(1)는 재고를 확인한다.
그리고 다음에 선반의 재고조사를 할 때에는 포오크리프트를 이동시켜 질문기(10-2)를 격납선반(30)의 1개 선반에 대치시킨후 단말장치(10)의 키보오드(10-3)의 소정키를 조작하여 질문기(10-2)로부터 응답기(20B)로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응답기(20B)에서 발신되는 선반번지정보를 질문기(10-2)에 리이드인 한다. 질문기(10-2)에 리이드 인된 선반번지정보는 단말장치(10)에서 중앙장치(1)로 송신된다. 중앙장치(1)에서는 그 선반번지정보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선반번지의 일반정보를 검색하여 그 일반정보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 이 일반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10)는 표시장치(10-4)에 일반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장치(10-4)의 표시내용에 의거하여 조작자는 선반번지에 수납되어 있는 팰리트(40) 위의 물품을 조사하여 장부로서의 중앙장치(1)에 기억시킨 일반정보와 현물을 조사한다. 조사결과는 단말장치(10)로부터 중앙장치(1)로 송신되어 중앙장치(1)에서 프린트아우트하는 것에 의하여 선반재고조사의 상황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 출고정보, 재고정보가 중앙장치(1)측의 기억장치에만 기억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대장등에 기록시킨 입, 출고정보, 재고정보가 오염, 좀, 습기등으로 판독할 수 없게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며 입출고, 재고정보의 보존성을 높인다.
그리고 또한 질문기(10-2)를 개재하지 않고는 입출고, 재고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입출고, 재고정보를 기밀로 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며, 응답기(20A), (20B)의 기억정보에 대한 부정수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단말기(10)를 포오크리프트등의 물품반송장치에 탑재하여 중앙장치(1)와 응답기(20) 사이에서의 교신정보를 중계하는 기능을 단말기(10)에 가지게 하였으므로, 조작자는 종래에서와 같이 중앙장치(1)와 격납선반사이를 왕복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응용형태 또는 이용형태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1)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장치(10)를 물품 반송장치에 탑재하고 있으나 단말장치(10)를 휴대가능한 크기로 일체로 구성하여 조작자가 단말장치(10)를 소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반송장치 각각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5)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장치(1), 단말장치(10)에 의하여 정보처리의 분산처리를 하고 있으나, 창고규모가 작은 경우등에는 중앙장치(1)와 단말장치(10)를 일체화하여 물품 반송장치에 탑재하여도 좋다.
(6) 물품반송장치에 의한 상품의 반송이 자동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예에서 조작자가 단말장치(10)에 대하여 하는 입력조작을 중앙장치(1)에서 자동 입력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물품을 재치한 반송대를 물품반송장치에 의하여 창고내에서 반송중에 그 반송대에 배치된 기억장치의 물품에 관한 정보를 물품반송장치에 배치한 단말장치로 리이드 아우트하여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처리장치에 입고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에서 반입할 선반번지정보를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이 선반번지정보에 의거하여 물품반송장치를 해당하는 선반번지에 이송시켜 반송대를 선반에 대치시켰을 때 단말장치가 격납선반에 배치된 기억장치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 아우트하여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선반번지정보와 비교하여 정보처리장치의 기억내용과 격납선반에 반입되는 물품의 일치성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정보처리장치의 기억내용과 격납선반에 반입된 물품의 일치정확성이 향상된다. 또 출고할때에는 선반번지정보를 포함한 출고정보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단말장치로 전송되며, 격납선반으로부터 반송대를 반출할때에도 단말장치에 의하여 격납 선반의 선반번지정보를 리이드아우트하여 비교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정보처리장치의 기억내용과 격납선반에 수납되어 있어 물품이 완전하게 일치하여 물품반송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잘못 조작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재고조사를 할 때 현물을 파악할 수 있는 격납선반의 위치에서 격납선반의 번지를 정보처리장치에 입력할 때,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에 의하여 선반에 부착한 기억장치로부터 그곳에 기억되어 있는 선반번지를 리이드하여 그대로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작자에 의한 선반번지의 입력조작(키보오드에 의한 데이터 입력조작)이 필요없게 되므로 입력에러의 발생을 거의 없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물품을 격납하는 1이상의 격납선반(30)과, 이 격납선반(30)에 물품을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해 물품 반송장치에 배치되어 무선에 의한 교신을 행하는 송수신회로(10-1)를 갖는 단말장치(10)와, 물품에 관한 정보 및 격납선반(30)의 선반번지 정보를 격납하여 상기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10)로부터의 호출에 의해 물질에 관한 정보 및 격납선반의 선반번지 정보를 비접촉으로 리이드 및 라이트 가능한 기억장치(20-2)를 내장하는 응답기(20)와, 상기 물품반송장치의 단말장치(10)와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입출고에 관한 정보를 무선교신 및 처리를 행하는 중앙장치(1)를 구비하며, 상기 기억장치(20-2)를 내장하는 응답기(20)를 상기 물품 또는 이 물품을 재치하여 반송하는 팰리트(40) 및 상기 격납선반(30)에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KR2019930016953U 1988-03-26 1993-08-30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KR9400000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79388 1988-03-26
JP88-72793 1988-03-26
JP14977188A JPH0720762B2 (ja) 1988-03-26 1988-06-17 物流設備
JP88-149771 1988-06-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24A Division KR890014347A (ko) 1988-03-26 1989-03-24 물적유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24Y1 true KR940000024Y1 (ko) 1994-01-05

Family

ID=264139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24A KR890014347A (ko) 1988-03-26 1989-03-24 물적유통시스템
KR2019930016953U KR940000024Y1 (ko) 1988-03-26 1993-08-30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24A KR890014347A (ko) 1988-03-26 1989-03-24 물적유통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6996A (ko)
JP (1) JPH0720762B2 (ko)
KR (2) KR8900143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5725A (en) 1987-11-24 1989-08-08 Fernandez Emilio A Microprocessor based simulated book
US5113349A (en) * 1988-03-26 1992-05-12 Fuji Electric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removing and distributing articles of manufacture
JPH0784245B2 (ja) * 1988-07-12 1995-09-13 富士電機株式会社 物流設備
JPH0281898A (ja) * 1988-09-13 1990-03-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
JPH0281899A (ja) * 1988-09-13 1990-03-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
JPH0678122B2 (ja) * 1988-09-28 1994-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荷役作業管理装置
JPH0741963B2 (ja) * 1988-12-09 1995-05-10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荷役車両用在庫管理方法
JPH02185350A (ja) * 1989-01-12 1990-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ーク加工装置
US5113351A (en) * 1989-03-29 1992-05-12 Delphi Technology, Inc. Automated, interactive vending system for products which must be processed
US6614768B1 (en) 1989-04-28 2003-09-02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mobility and address resolution in a wireless premises based network
JPH0679926B2 (ja) * 1989-05-30 1994-10-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の荷物情報管理システム
JPH0684203B2 (ja) * 1989-05-30 1994-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の保管位置管理システム
US5157687A (en) * 1989-06-29 1992-10-20 Symbol Technologies, Inc. Packet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H0372509U (ko) * 1989-11-07 1991-07-22
JPH0382399U (ko) * 1989-12-13 1991-08-22
JPH0730638Y2 (ja) * 1989-12-29 1995-07-12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オーダーピッキングリフトトラック
US6028532A (en) * 1990-03-15 2000-02-22 Fujitsu Limited Automatic product conveying system
US6359872B1 (en) * 1997-10-28 2002-03-19 Intermec Ip Corp. Wireless personal local area network
US6654378B1 (en) 1992-03-18 2003-11-25 Broadcom Corp. Transac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portable data terminal and mobile customer service station
US6749122B1 (en) * 1990-05-25 2004-06-15 Broadcom Corporation Multi-level hierarchial radio-frequency system communication system
US6006100A (en) * 1990-05-25 1999-12-21 Norand Corporation Multi-level, hierarchical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JP2503097B2 (ja) * 1990-06-22 1996-06-05 株式会社三電舎 作業車両によるパレット管理システム
ES2060255T5 (es) * 1990-07-10 1998-02-01 Daifuku Kk Sistema de mando para un equipo automatico de almacenamiento.
FR2678540B1 (fr) * 1991-07-05 1997-01-17 Eric Courtin Procede et systeme d'aide a la distribution et au choix de pieces pour l'assemblage d'objets sur une chaine de montage industrielle.
EP0564065A3 (en) * 1992-01-07 1993-12-22 James Salvatore Bianco Control means and method with mobile source inputs
US5260694A (en) * 1992-01-10 1993-11-09 Ndc Automation, Inc. Automatic article tracking system for manually operated delivery system
SE516570C2 (sv) * 1992-02-14 2002-01-29 Combitech Traffic Syst Ab System för överföring av information medelst mikrovågor, samt kommunikationsenhet
US5379229A (en) * 1992-06-18 1995-01-03 Communications Test Design, In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050040961A1 (en) * 1995-04-11 2005-02-24 Tuttle John R. RF identification system with restricted range
JP2803505B2 (ja) * 1992-12-17 1998-09-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物品位置管理システム
JP3211526B2 (ja) * 1993-12-21 2001-09-25 富士通株式会社 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7885242B2 (en) 1993-12-23 2011-02-08 Broadcom Corp. Enhanced mobility and address resolution in a wireless premises based network
JP3344850B2 (ja) * 1993-12-28 2002-11-18 株式会社リコー 部品供給装置
US6256615B1 (en) * 1994-11-10 2001-07-03 Ncr Corporation Method of assigning electronic shelf labels to price lookup file items
US5510984A (en) * 1994-11-28 1996-04-23 Board Of Regents-Univ. Of Nebraska Automated guided vehicle enunciator system
JPH08244919A (ja) * 1995-03-15 1996-09-24 Fujitsu Ltd 物品払い出し処理装置
US5798693A (en) * 1995-06-07 1998-08-25 Engellenner; Thomas J. Electronic locating systems
US5933354A (en) * 1995-10-13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physical distribution pallets
US5893132A (en) * 1995-12-14 1999-04-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 book for reading using an electronic book
US5959568A (en) * 1996-06-26 1999-09-28 Par Goverment Systems Corporation Measuring distance
US6169987B1 (en) * 1997-03-25 2001-01-02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automate equipment placement at remote sites
US6952705B2 (en) 1997-03-25 2005-10-04 Mci, Inc.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that utilize a hierarchical conceptual framework to model an environment containing a collection of items
US6420961B1 (en) * 1998-05-14 2002-07-16 Micron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terfacing devices, communication methods, methods of interfacing with an interrogator, and methods of operating an interrogator
US6714121B1 (en) * 1999-08-09 2004-03-30 Micron Technology, Inc. RFID material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2120909A (ja) * 2000-10-16 2002-04-23 Meidensha Corp 在庫管理システム
US6600418B2 (en) * 2000-12-12 2003-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bject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US20060112052A1 (en) * 2001-11-29 2006-05-25 Jeanblanc Anne H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knowledge documents
WO2003063103A1 (en) 2002-01-18 2003-07-3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onitoring and tracking of assets by utiliz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6774783B1 (en) * 2003-02-14 2004-08-10 Xerox Corporation Operation ready signal light device
US20040160332A1 (en) * 2003-02-15 2004-08-19 Ads Specialists, Inc. Improved Method for Stock Retrieval
JP2004277062A (ja) * 2003-03-14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人搬送車を用いた倉庫システム、入出庫方法
WO2004104941A2 (en) * 2003-05-13 2004-12-02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Indust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system
DE102004002434A1 (de) * 2004-01-08 2005-08-04 Universität Stuttgart Verpackungssystem und -verfahren für den automatisierbaren Transport, die automatisierbare Handhabung und die Lagerung von Stückgut über eine Logistikkette
WO2005110896A1 (ja) * 2004-05-14 2005-11-24 Ajinomoto Co., Inc. 倉庫管理システム
TW200621600A (en) * 2004-12-02 2006-07-01 Murata Machinery Ltd Automatic warehouse
US20070005377A1 (en) * 2005-06-22 2007-01-04 Muskoka, L.L.C. Grocery depot warehouse
US7336177B2 (en) * 2005-08-25 2008-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FI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dividual articles
DE202005015095U1 (de) 2005-09-24 2006-01-19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ystem zur Erkennung und Verwaltung von Paletten
DE102006010292A1 (de) * 2006-03-03 2007-09-06 Jungheinrich Ag Flurförderzeug mit einem Bordcomputer
US20080212303A1 (en) * 2007-03-02 2008-09-04 Warren Farnworth Device for reducing or preventing exchange of information
JP5158431B2 (ja) * 2008-07-11 2013-03-06 株式会社ダイフク 在庫管理システム
DE102008043433A1 (de) * 2008-11-04 2010-05-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laden eines Laderaums mit einem Transportfahrzeug
WO2012103002A2 (en) * 2011-01-24 2012-08-02 Sky-Trax, Inc. Inferential load tracking
WO2015018452A1 (en) 2013-08-09 2015-0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indicating a path to a target object comprised by a plurality of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395A (en) * 1983-04-21 1989-05-02 Intelli-Tech Corporation Manufacturing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R2547520B1 (fr) * 1983-06-17 1985-10-11 Prodel Maurice Installation modulaire pour l'assemblage et/ou l'usinage de pieces, avec dispositifs claviers-afficheurs a chaque poste
JPS60140151A (ja) * 1983-12-27 1985-07-25 Shimadzu Corp 細管式等速電気泳動分析装置
US4673932A (en) * 1983-12-29 1987-06-16 Revlon, Inc. Rapid inventory data acquistion system
JPS60140151U (ja) * 1984-02-22 1985-09-17 花王株式会社 倉庫用入出庫情報処理装置
US4669047A (en) * 1984-03-20 1987-05-26 Clark Equipment Company Automated parts supply system
EP0203687B1 (en) * 1985-04-04 1989-07-19 Sekisui Jushi Kabushiki Kaisha Inquiry system for detecting a selected object
DE3515698A1 (de) * 1985-05-02 1986-11-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euersystem fuer mobile transporteinheiten auf transportstrassen
JPS62186624A (ja) * 1986-02-12 1987-08-15 Sekisui Jushi Co Ltd 移動体を備えた検索システム
JPS62247457A (ja) * 1986-04-18 1987-10-28 Nippon Yusoki Co Ltd 無線式在庫管理システム
US4786229A (en) * 1986-04-30 1988-11-22 Henderson Thomas R Document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JPS638103A (ja) * 1986-06-27 1988-01-13 Toshiba Corp 自動倉庫の在庫管理装置
JPS6322408A (ja) * 1986-07-15 1988-01-29 Toshiba Corp 自動倉庫の入出庫部品情報管理装置
JPS6371005A (ja) * 1986-09-12 1988-03-31 Okura Yusoki Co Ltd ピツキング装置
JPS63212606A (ja) * 1987-03-02 1988-09-05 Daifuku Co Ltd 物品搬送設備
JPH01214504A (ja) * 1988-02-18 1989-08-28 Mitsui Zosen Syst Giken Kk コンテナ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47A (ko) 1989-10-23
JPH0720762B2 (ja) 1995-03-08
US5006996A (en) 1991-04-09
JPH01317904A (ja) 198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024Y1 (ko)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EP1818285B1 (en) Automatic warehouse
EP1818286A1 (en) Storing system
KR920704233A (ko) 물품의 저장, 수송 및 처리시스템
JP2001287809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50031889A (ko) 픽킹 컨테이너 상의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및 주문이행자에 대한 픽리스트의 표시
JP2008521736A (ja) 発送設備における品物追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11223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管理モジュール
KR930007747B1 (ko) 물류설비
JPH0336199A (ja) 物品格納設備
KR20200069847A (ko) 물류 관리 시스템
JP2003146414A (ja) 返品入庫システム
JP2005350232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H01220610A (ja) ピッキング作業支援装置
KR20220150523A (ko) Rfid가 부착된 물류관리시스템
JP2697087B2 (ja) 荷役情報管理システム
JPH02311979A (ja) パレット上の物品情報記憶装置
JP2008285250A (ja) Idタグを用いた荷物管理システム
JPH02163202A (ja) 無線式在庫管理システム
EP1764729A1 (en) Equipment for handling article picking operations
JPS638103A (ja) 自動倉庫の在庫管理装置
JPH0873009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2746324B2 (ja) 物流設備
JPH0741119A (ja) ピッキング装置
US20240077851A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