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16B1 -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16B1
KR930011216B1 KR1019900000230A KR900000230A KR930011216B1 KR 930011216 B1 KR930011216 B1 KR 930011216B1 KR 1019900000230 A KR1019900000230 A KR 1019900000230A KR 900000230 A KR900000230 A KR 900000230A KR 930011216 B1 KR930011216 B1 KR 93001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suspension device
arm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616A (ko
Inventor
세이타 카네이
코오지 쯔지
토시로 콘도
타카시 에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having one longitudinal arm and two parallel transversal arms, e.g. dual-link type strut suspension
    • B60G3/205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having one longitudinal arm and two parallel transversal arms, e.g. dual-link type strut suspension with the pivotal point of the longitudinal arm being on the vertical plane defined by the wheel rotation axis and the wheel ground contact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7Independent suspensions with a strut contributing to the suspension geometry by being articulated onto the wheel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자동차의 오른쪽 전륜 서스펜션장치의 평면도, 후방에서 본 입면도, 및 차체안쪽에서 본 측면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자동차의 오른쪽후륜 서스펜션장치의 평면도, 후방에서 본 입면도, 및 차체안쪽에서 본 측면도.
제7도는, 변형예 1에 의한 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사시도.
제8도는, 변형예 2에 의한 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사시도.
제9도는, 변형예 3에 의한 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사시도.
제10도, 변형예 4에 의한 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사시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1c도는, 각각 변형예 5에 의한 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평면도, 후방에서 본 입면도, 및 차체안쪽에서 본 측면도.
제12도는, 변형예 6에 의한 후륜용의 서스펜션장치의 차체안쪽에서 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륜 2 : 차륜지지부재
3 : 서스펜션장치 4 : 제1상부아암
5 : 제2상부아암 6 : 상부아암
7 : 하부아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87904호 공보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쪽에 설치되는 A형형상의 상부아암과, 아래쪽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A형형상인 하부아암에 의해서, 차륜의 지지하는 소의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가 있다. 이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차륜의 자세가 상기 상부아암과 하부아암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이므로, 이들 아암의 위치, 배치, 길이의 관계를 설정하므로서, 자동차의 발진시에 있어서의 스콧(squat)이나, 차륜이 차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였을 경우의 캠버나 스카프의 변화를 극력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중, 노면의 기복에 의해, 차륜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충격하중이 입력되나, 상기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부아암(및 하부아암)이 전후 2점에서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접합(柩着)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한 충격하중의 강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차체에 충격이 전달되기 쉽다고 하는 승차감상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의 승차감상의 결점을 완화할려면, 아암의 2점회전가능한 접합부의 탄성부시를 연(軟)하게 하여, 차륜의 전후방향의 지지강성을 작게하면되나, 이와 같이 하면, 차륜의 회전축 둘레의 지지강성도 저하하게 되어, 그 지지구조에 있어서의 고유진동수가 저하하고, 차륜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등의 진동과 공명하게 되어, 소위 브레이크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즉, 상기한 일본국 실개소 62-187904호 공보에 개시되어있는 바와 같은, 통상 구조의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승차감이나 혹은 브레이크진동의 어느하나를 희생하거나, 또는 양자를 어느정도의 선에서 만족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62-17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륜지지부재를 차륜의 림보다 위쪽으로 연장하여, 그 연장부분에 상부아암을 장착하므로서, 이 장착점과 차륜의 회전축과의 간격을 넓힌 구조(소위 하이마운트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로 해서, 작은 힘으로 상기 브레이크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서, 상부아암의 차체에의 2개의 회전가능한 접합점에 설치되는 탄성부시를 연한 것으로 해서 승차감의 개선도 도모하고, 승차감의 향상과 브레이크 진동의 방지를 양립시킨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소위 하이마운트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승차감의 향상과 브레이크 진동의 방지를 양립시킬 수는 있으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더블위시본식 서스펜션장치의 상부아암은, 차체에의 회전가능한 접합점이 전후방향으로 떨어진 2점에서 이루어지는 A형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부아암에, 차륜의 상하동에 수반되는 요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나, 차륜의 안쪽에 있어서의 림의 위쪽에는, 여러 가지부품의 배치형편 때문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일이 곤란하며, 이 때문에, 상기 일본국 실공소 62-1762호 공보의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아암의 길이를 짧게하고, 또한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것을 어쩔수 없게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아암의 길이를 짧게하면, 차륜의 상하동 스트로우크를 크게 잡을 수 없게 되거나, 큰스트로우크때에 캠버변화가 과도하게 커져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승차감의 향상과 브레이크진동의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캠버변화를 바람직한 경향의 것으로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지지부재를, 차체에 대하여 상부 아암 및 하부아암을 개재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한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부아암을, 상기 차륜지지부재에 대하여, 차체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지게 해서 설치되는 2개의 링크부재로 구성하고, 위쪽에 설치되는 링크부재에 의해서 주로 차륜지지부재의 차체 전후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아래쪽에 설치되는 링크부재에 의해서 주로 차륜지지부재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쪽에 설치되는 링크부재(이하, 제1상부 아암이라 부름)를, 차륜의 림에 있어서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아래쪽에 설치되는 링크부재(이하, 제2상부아암이라 부름)는, 차륜의 림에 있어서의 최상단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일이 바람직하다. 또, 전륜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상부아암을, 상기 하부아암의 차륜지지부재의 전후방향 변위를 규제하는 축선과 평행한 축선보다, 차체 후방쪽이 차체아래쪽으로 경사하는 축선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륜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상부아암을, 상기 하부아암의 차륜지지부재의 전후방향 변위를 규제하는 축선과 평행한 축선보다, 차체 전방쪽이 차체 아래쪽으로 경사하는 축선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쪽에 설치한 제1상부아암에 의해서, 차륜지지부재의 차체전후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제1상부아암은, 차륜의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제1상부아암의 차체에의 회전가능한 접합점에 연한 탄성부사를 사용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승차감 향상과 브레이크진동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상기 제1상부아암을, 차륜의 림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으로 배치할 때, 특히 현저해진다.
또, 아래쪽에 설치한 제2상부아암에 의해 차륜지지부재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하였으므로, 하부아암등과의 배치관계를 선택해서 설정하므로서, 캠버변화의 적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부아암을 차륜의 림 최상단부 보다 아래쪽에 배치할 때에는, 상기 림의 안쪽에는 비교적 스페이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아암의 길이를 길게할 수 있으며, 또 차체의 충격, 리바운드시의 캠버변화를 더욱더 바람직한 경향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부아암을 A형아암이 아니고, 2개의 링크로 구성하였으므로, 레이아우트에 대해서 비교적 규제가 적고, 레이아우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낮은 보니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2개의 링크에 각각 독립된 기능을 가지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캠버와 캐스터를 서로 간섭하는 일없이 독립해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륜스페이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상부아암을, 상기 하부아암의 차륜지지부재의 전후방향변위를 규제하는 축선과 평행의 축선보다, 차체후방쪽이 차체아래쪽으로 경사하는 축선상에 설치하고, 후륜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상부아암을, 상기 하부아암의 차륜지지부재의 전후방향변위를 규제하는 축선과 평행한 축선보다, 차체전방쪽이 차체아래쪽으로 경사하는 축선상에 설치하면, 이 현수기하학(suspension geometry)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제동시의 제동력에 의해, 전후륜이 노면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결과, 전방부분에 있어서의 차체를 쳐올리고, 후방부분에 있어서는, 끌어내려지는 결과가 되어, 전륜의 앤티 다이브(anti dive)나 앤티 리프트(anti lift)를 달성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발명이 실시예 1에 의한 자동차의 오른쪽 전륜서스펜션장치의 평면도, 후방에서 본 입면도, 및 차체안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차륜(1)은, 차륜지지부재(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서스펜션장치(3)을 개재해서 차체(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륜 지지부재(2)는, 상기 차륜(1)의 안쪽을 따라서, 이 차륜(1)의 림(1A)의 최상단부로보다 위쪽으로 뻗는 연장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서스펜션장치(3)은, 링크부재인 제1상부아암(4) 및 제2상부아암(5)로 이루어지는 상부아암(6)과, A형의 하부아암(7)과, 완층기(8)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A형의 하부아암(7)은, 대략차폭 방향으로 뻗고, A형의 정상부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2)의 하단부에 고무부시(9)를 개재해서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저부의 2개의 단부가, 차체의 크로스멤버(1)0에 고무부시 (11), (12)를 각각 개재해서 대략 차체전후 방향의 수평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2개의 고무부시 (11), (12)는, 자체 중심선과 평행한 축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아암 6의 제1상부아암(4)는, 상기 차륜지지부재(2)의 차체전후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2)의 상기 연장부(2a)의 상단부에 고무부시(13)을 개재해서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B)에 대해서 고무부시(14)를 개재해서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상부아암(4)는, 차륜(1)의 림(1A)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에 있어서, 차륜지지부재(2)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이 제1상부아암(4)는, 차체후방쪽이 차체아래쪽으로 경사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하부아암(7)의 차륜지지부재(2)의 차체전후의 변위를 규제하는 축선, 즉 고무부시(11), (12)를 연결하는 축선에 의해서 결정되는 차륜(1)의 회전순간 중심을 당해 차륜(1)의 후방쪽에 설정해서, 상기 차륜(1)의 제동시의 앤티다이브를 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상부아암 4의 도중에는, 터언버클(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차륜(1)의 캐스터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상부아암(5)는, 대략 차폭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차륜지지부재(2)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2)의 차륜(1)의 림(1A)의 최상단부보다 아래쪽의 부분에 고무부시(16)을 개재해서 대략 수직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의 크로스멤버(10)에 대해서 고무부시(17)을 개재해서 차체전후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2상부아암(5)의 길이는, 통상의 길이가 똑같지 않는 링크식의 더블위시본타이프의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의 상부아암의 길이와 거의 똑같으며, 상기 일본국 실공소 62-1762호의 상부아암보다는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상부아암(5)의 도중에는, 터언버클(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차륜(1)의 캠버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8)은, 코일스프링(20) 및 댐퍼(21)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하단부는, 하부아암(7)에 차체전후 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단부는 차체(B)에 회전편의가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륜지지부재(2)에는 상기 아암부재의 장착점을 규제하는, 스티어링(ste)과 이에 연결되는 로드(Rd)(타이로드에 해당함)로 이루어진 링크부재(Lin)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서스펜션장치(3)에 있어서는, 이상 설명한 구조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① 제1상부아암(4)를 차륜(1)의 림(1A)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에 설치하였으므로, 이 제1상부아암(4)의 차륜지지부재(2)의 지지점과, 차륜(1)의 회전중심과의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며, 따라서 상기 제1상부아암(4)를 차체(B)에 회전가능하게 접합하기 위한 고무부시(14)를 연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승차감 향상과 브레이크진동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② 차륜지지부재(2)의 차체전후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부재인 제1상부아암(4)가 대략 차체전후방쪽으로 뻗어있고, 한편, 차륜지지부재(2)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부재인 제2상부아암(5)이 대략 차폭방향으로 뻗어있으므로, 각각에 설치한 터언버클(15), (18)을 조절하므로서, 캐스터 조정과 캠버조정을 단독으로, 서로에 대해서 간섭하는 일없이 행할 수 있다.
③ 또, 제1상부아암(4)와 제2상부아암(5)를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하였으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설치를 할 수 있어, 레이아우트성이 향상된다.
④ 차륜지지부재(2)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부재인 제2상부아암(5)를 차륜의 림의 최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설치하였으므로, 이 부분에는 비교적 가로방향으로 공간이 있으므로, 상기 제2상부아암(5)를 비교적 길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캠버변화의 적성화(desirable camber angle change property)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자동차의 오른쪽 후륜서스펜션장치의 평면도, 후방에서 본 입면도, 및 차체내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차류(31)은, 차륜지지부재(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서스펜션장치(33)을 개재해서 차체(B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륜지지부재(32)는, 차륜(1)의 안쪽을 따라서, 이 차륜(1)의 림(31a)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으로 뻗는 연장부(32a)를 구비하고 있다. 서스펜션장치(33)은, 링크부재인 제1상부아암(34) 및 제2상부아암(35)로 이루어진 상부아암(36)과, 링크부재인 제1하부아암(37) 및 제2하부아암(38)로 이루어진 하부아암(39)와, 트레일링(trailing)링크(40)과, 완충기(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아암(39)의 제1하부아암(37) 및 제2하부아암(38)은, 대략 차폭방향으로 뻗고, 그들의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의 하단부에 고무부시(42), (43)을 각각 개재해서 대략 차체전후 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의 크로스멤버(44)에 고무부시(45), (46)을 각각 개재해서 대략 차체전후 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개의 고무부시(45), (46)은, 차체중심선과 거의 평행한 축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아암(36)의 제1상부아암(34)는, 상기 차륜지지부재(32)의 차체전후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의 상기 연장부(32a)의 상단부에 고무부시(47)을 개재해서 대략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B1)에 대해서 고무부시(48)을 개재해서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이 제1상부아암(34)는, 차륜(31)의 림(31a)의 최상단부보다 위쪽에 있어서, 레이아우트(32)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다. 또, 이 제1상부아암(34)는, 차체전방쪽이 차체아래쪽으로 경사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하부아암(39)의 차륜지지부재(32)의 차체전후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축선, 즉 고무부시(45), (46)을 연결하는 축선으로 결정되는 차륜(31)의 회전순간 중심을 당해 차륜(31)의 전방쪽에 설정해서, 이 차륜(31)의 제동시의 앤티리프트를 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상부아암(35)는, 대략 차폭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차륜지지부재(32)의 차폭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의 차륜(31)의 림(31a)의 최상단부보다 아래쪽의 부분에 고무부시(49)를 개재해서 차체전후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의 크로스멤버(44)에 대해서 고무부시(50)을 개재해서 차체전후 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2상부아암(35)의 길이는, 통상의 길이가 똑같지 않는 링크식이 더블위시 본타이프의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의 상부아암의 길이와 대략 똑같고, 상기 일본국 실공소 62-1762호의 상부아암보다는 긴 것으로 되어있다.
상기 완충기(41)은, 코일스프링(51) 및 댐퍼(52)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하단부는, 차륜지지부재(32)에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부는 차체(B1)에 회전편위가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링링크(40)은, 그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에 고무부시(53)을 개재해서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차체(B1)에 고무부시(54)를 개재해서 차폭방향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후륜용의 서스펜션장치(33)은, 특히 상부아암(36)의 상가한 구조에 의해 상술한 전륜용의 서스펜션장치(3)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효과가 있다.
[변형예 1]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해서, 전륜용 서스펜션장치(3)의 변형예인 변형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하부암마(7A)가 실시예 1과 같이 A형아암이 아니고,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링크부재(7A-1) 및 (7A-2)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1개의 링크부재(7A-2)가 링크부재(7A-!)에 접속된 트레일링타이프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의 차륜, 차륜지지부재, 상부아암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조라도 되므로, 실시예 1과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2]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해서, 전륜용 서스펜션장치(3)의 다른 변형예인 변형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하부아암(7B)가, 실시예 1과 같이 A형아암이 아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같이 차륜지지부재(2)에 접속된 2개의 링크부재(7B-1) 및 (7B-2)로 이루어져 있다. 가타의 차륜, 차륜지지부재, 상부아암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조라도 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3]
다음에, 제9도를 참조해서 전륜용 서스펜션장치(3)의 또 다른 변형예인 변형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부아암(6)의 제1상부아암(4A)가, 실시예 1 및 변형예 2와 같이 선도(Leading)라이프의 것이 아니고, 트레일링타이프의 것, 즉, 차륜지지부재(2)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상부아암(4A)는 차체전후방향 전방부분이 차체위쪽으로 경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차륜(1)의 회전순간 중심을 당해 차륜(1)의 후방쪽에 설정해서, 이 차륜의 제동시의 앤티다이브를 달성하고 있다.
[변형예 4]
다음에, 제10도를 참조해서,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후륜용서스펜션장치(33)의 변형예인 변형예 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하부아암(39)의 제2하부아암(38A)가, 실시예 2와 같이 차폭방향으로 뻗은 것이 아니라, 제1하부아암(37)에 연결된 트레일링링크로 되어 있다.
기타의 차륜, 차륜지지부재, 상부아암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조라도 되므로 실시예 2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5]
다음에, 제11(a)도, 제11(b)도 및 제11(c)도를 참조해서, 실시예 2에 의한 후륜용서스펜션장치(33)의 다른 변형예의 변형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하부아암(39A)가, 2개의 링크가 아니고, A형 아암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하부아암에 토우제어링크(55)가 접속되어 있다. 이 토우제어링크(55)는, 일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에, 타단부가 하부아암(39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차륜의 충격, 리바운드시의 토우 및 캠버의 변화가 한방향으로 되며, 즉 이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의 소위 S자를 보이지 않으므로, 제1상부아암(34)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트레일링타이프의 것이라도 되고, 또 이것과 반대로 도시한 바와 같은 선도타이프의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제1상부아암(34)를 선도타이프의 것으로 할 때에도, 차륜(31)의 순간회전중심이 차륜보다 앞에 위치를 정할 수 있게, 상기 제1상부아암의 차체전후방향의 전방쪽이 내려간 상태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기타의 차륜, 차륜지지부재, 상부아암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조라도 되므로 실시예 2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6]
다음에, 제12도를 참조하여, 실시예 2에 의한 후륜용서스펜션장치(33)의 또 다른 변형예인 변형예 6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부아암(36)의 제1상부아암(34A) 및 하부아암(39)의 제2하부아암(38A)가, 다같이 선도타이프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변형예 5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차륜(31)의 회전순간 중심이 상기 차륜의 전방쪽에 배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Claims (19)

  1. 차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위쪽으로 뻗는 연장부(2a)를 가진 차륜지지부재(2)와 ;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차륜지지부재(2)의 연장부(2a)의 상단부분에, 1개의 회전가능한 접합수단(13)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차체에 1개의 회전가능한 접합수단(14)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1개의 아암부재(4)와 ; 차량의 좌우방향이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뻗어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아암부재(4)의 회전가능한 접합부보다도 아래쪽 위치의 차륜지지부재에 1개의 회전가능한 접합수단(16)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차체에 1개의 회전가능한 접합수단(17)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1개의 아암부재(5)와 ; 그리고 상기 차륜지지부재(2)의 하단부분과 차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차륜지지부재(2)의 하단부분의, 차체에 대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움직임(변위)를 규제하는 아암부재(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a)는, 차륜의 타이어부분을 따르는 형상으로, 그 상단부분이 차량안쪽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a)의 상단부는, 차륜타이어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연장부(2a)의 상단부에 가까운 부분은, 차량바깥쪽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아암부재(4)는 그 전단부가 차륜지지부재(2)의 연장부(2a)의 상단부에, 그 후단부가 자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선도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장치는 전륜용서스펜션장치(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아암은, 차륜이 충격, 리바운드 어느 방향으로도 변위하고 있지 않는 통상상태에 있어서, 전단부가, 후단부보다도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아암부재(4)는, 그 전단부가 차체에, 그 후단부가 차륜지지부재(32)의 연장부(32a)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제1상부아암(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장치는, 후륜용 서스펜션장치(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아암(34)은, 차륜이 충격, 리바운드 어느 방향으로도 변위하고 있지 않는 통상상태에 있어서, 전단부가, 후단부보다도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아암부재(5)는, 그 내단부가 차체에, 그 외단부가 차륜을 지지하는 부위보다도 위쪽이고 또한 차륜림부(1A)보다도 아래쪽의 차륜지지부재 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아암부재(4), (5)에는, 그 아암부재의 길이를 조정가능한 수단 (15) (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7)은, 내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되는 2개의 회전가능한 접합부재(11), (12)를 개재해서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한편, 외단부가 차륜지지부재에 1개의 회전가능한 접합부재(9)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접합되는 A형아암(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각 아암부재(4), (5), (7)의 장착(회전가능한 접합)점은, 일직선상에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지지부재(2)에는, 상기 각 아암부재의 장착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차륜지지부재가 회전운동하는 움직임을 규제하는 링크부재(Lin)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Lin)는, 스티어링장치에 의해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타이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7)은, 차량좌우방향으로 뻗는 2개의 아암(37), (38)로 이루어지는 하부아암(39)와, 차량전후방향으로 뻗는 트레일링링크(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시 서스펜션장치는, 차륜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아암부재(5)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오프세트한 위치에서 상기 아암부재(4)와 반대쪽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과 댐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KR1019900000230A 1989-01-13 1990-01-10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KR930011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4873A JP2714969B2 (ja) 1989-01-13 1989-01-13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1-4873 1989-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616A KR900011616A (ko) 1990-08-01
KR930011216B1 true KR930011216B1 (ko) 1993-11-29

Family

ID=1159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230A KR930011216B1 (ko) 1989-01-13 1990-01-10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8860A (ko)
EP (1) EP0378219B1 (ko)
JP (1) JP2714969B2 (ko)
KR (1) KR930011216B1 (ko)
DE (1) DE6900354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12680T2 (de) * 1989-07-07 1995-03-23 Mazda Motor Fahrzeugaufhängungs-Befestigungseinheit.
JP2590542Y2 (ja) 1989-09-14 1999-02-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H03279009A (ja) * 1990-03-29 1991-12-10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159978B2 (ja) * 1990-03-30 2001-04-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167127B2 (ja) * 1990-03-30 2001-05-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3284404A (ja) * 1990-03-30 1991-12-16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4020547A1 (de) * 1990-06-28 1992-01-02 Porsche Ag Vorrichtung zur aktiven v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rades
JP2705300B2 (ja) * 1990-11-05 1998-0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前輪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107106U (ja) * 1991-02-28 1992-09-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H04283113A (ja) * 1991-03-08 1992-10-08 Toyota Motor Corp 操舵輪用サスペンション
JP2936781B2 (ja) * 1991-04-01 1999-08-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180180A (en) * 1991-04-24 1993-01-19 Aisin Aw Co., Ltd. Wheel supporting apparatus
JP3095819B2 (ja) * 1991-08-30 2000-10-10 マツダ株式会社 後輪操舵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0131300B1 (ko) * 1992-12-28 1998-04-21 전성원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US5507510A (en) * 1993-03-26 1996-04-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US5348334A (en) * 1993-08-06 1994-09-20 Ford Motor Company Suspens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3485276B2 (ja) * 1994-03-28 2004-01-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懸架装置
GB9514974D0 (en) * 1995-07-21 1995-09-20 Rover Group A semi-trailing arm suspension for a vehicle
US5941546A (en) * 1996-01-19 1999-08-24 Pellerin; Luc Vehicle suspension system
GB2309206B (en) * 1996-01-19 1998-03-11 Luc Pellerin Vehicle suspension system
DE19646081A1 (de) * 1996-11-08 1998-05-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inzelradaufhängung
DE19717069C2 (de) * 1997-04-23 1999-09-23 Daimler Chrysler Ag Einzelradaufhängung für gelenkte Räder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JPH11129717A (ja) * 1997-10-31 1999-05-18 Nissan Motor Co Ltd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9836440A1 (de) * 1998-08-12 2000-02-24 Daimler Chrysler Ag 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unabhängige Radaufhängung für Personenkraftwagen
DE10014878A1 (de) * 2000-03-24 2001-09-27 Volkswagen Ag Mehrlenker-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018764A1 (de) * 2000-04-15 2001-10-18 Volkswagen Ag Radaufhängung
BE1013399A3 (nl) * 2000-04-20 2001-12-04 Hool Nv Van Verbeterde voorwielophanging voor bussen en dergelijke.
US8690177B2 (en) * 2012-08-16 2014-04-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ont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KR100412683B1 (ko) * 2001-08-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JP3912180B2 (ja) * 2002-05-22 2007-05-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輪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040046336A1 (en) * 2002-08-21 2004-03-11 Jensen Eric L. Vehicle suspension system having a torsion spring assembly
KR100579258B1 (ko) * 2003-12-30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 서스펜션 장치
DE102004034580A1 (de) * 2004-07-16 2006-02-02 Dr.Ing.H.C. F. Porsche Ag Lagerung für einen Querlenker für Kraftfahrzeuge
FR2875439B1 (fr) * 2004-09-21 2007-03-02 Conception & Dev Michelin Sa Liaison au sol pour vehicule comportant une roue et une suspension integree a la roue
US8585068B2 (en) * 2006-02-01 2013-11-19 Polaris Industries Inc. Independent rear suspension system for an all terrain vehicle
JP2007216732A (ja) * 2006-02-14 2007-08-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操舵装置
US20070228683A1 (en) * 2006-03-24 2007-10-04 Andrew Ciasulli Retrofit rear independent suspension for all terrain vehicles
US7819220B2 (en) 2006-07-28 2010-10-2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SE532107C2 (sv) * 2006-11-03 2009-10-27 Swedish Advanced Automotive Bu Hjulupphängningsarrangemang och motorfordon
US7744104B2 (en) * 2007-01-26 2010-06-29 Honda Motor Co., Ltd. Suspension arm and cushion arm structure for vehicle
US8596398B2 (en) 2007-05-16 2013-12-03 Polaris Industries Inc. All terrain vehicle
JP2009090825A (ja) * 2007-10-09 2009-04-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懸架装置
JP5514808B2 (ja) * 2009-04-21 2014-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8360449B2 (en) * 2009-11-16 2013-01-29 Great Lakes Sound & Vibration, Inc. Suspension assemblies and systems for land vehicles
JP2011143837A (ja) * 2010-01-15 2011-07-28 Honda Motor Co Ltd 不整地走行車両
US8746719B2 (en) 2010-08-03 2014-06-10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8613335B2 (en) 2010-08-03 2013-12-24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8328212B1 (en) * 2011-06-28 2012-12-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suspension and method
DE102011110981B4 (de) * 2011-08-18 2022-10-06 Audi Ag Radaufhängung für die hinteren Räder von Kraftfahrzeugen
US8764039B2 (en) * 2012-04-24 2014-07-01 Artic Cat Inc. Suspension for vehicle
DE102013211458B4 (de) * 2013-06-19 2024-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abhängige Radaufhängung für die angetriebenen Räder eines Fahrzeugs
US8870206B1 (en) 2013-10-21 2014-10-28 Ronald Scott Bandy Extreme travel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GB2525901A (en) * 2014-05-08 2015-11-11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suspension
USD785513S1 (en) * 2015-03-31 2017-05-02 Austem Co., Ltd. Lower ar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07635800B (zh) 2015-05-15 2021-05-28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用途车辆
USD787985S1 (en) 2015-06-24 2017-05-30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US9649928B2 (en) 2015-06-25 2017-05-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US9884647B2 (en) 2015-12-10 2018-02-06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DE102016206220B4 (de) 2016-04-14 2023-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ter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JP6332417B2 (ja) * 2016-11-21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懸架装置
TWI678297B (zh) * 2017-10-20 2019-12-01 沃爾奇動力機電股份有限公司 獨立式後懸吊系統
US11083973B2 (en) * 2017-11-09 2021-08-10 Namero, LLC Vehicle hopping system
US20190168620A1 (en) * 2017-12-01 2019-06-06 Diverg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wheel assemblies using motor and speed reducer
US10946736B2 (en) 2018-06-05 2021-03-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US10773566B2 (en) * 2018-06-11 2020-09-15 Rivian Ip Holdings, Llc Suspension with active damping to tune caster dynamics
US20220250430A1 (en) * 2021-02-11 2022-08-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link mid-height suspension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11511581B1 (en) 2021-06-16 2022-11-29 Xtravel Suspension, Llc Susp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1487A (fr) * 1971-11-18 1973-03-16 Rca Corp Dispositif semiconducteur
DE2255679A1 (de) * 1972-11-14 1974-05-30 Daimler Benz Ag Unabhaengige aufhaengung der vorderraeder von kraftfahrzeugen
JPS529889A (en) * 1975-07-15 1977-01-25 Hitachi Ltd Cooling device for bushing
JPS5996008A (ja) * 1982-11-24 1984-06-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懸架装置
US4570968A (en) * 1982-12-06 1986-02-18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S59143706A (ja) * 1983-02-04 1984-08-17 Nissan Motor Co Ltd 独立懸架装置
EP0302226B1 (en) * 1983-09-02 1993-11-24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uspension system
JP2635546B2 (ja) * 1985-12-24 1997-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H0524563Y2 (ko) * 1986-12-16 1993-06-22
JPS63166610A (ja) * 1986-12-27 1988-07-09 Honda Motor Co Ltd 操舵輪の懸架装置
JPS63251310A (ja) * 1987-04-08 1988-10-18 Honda Motor Co Ltd 四輪操舵車
JPH0659769B2 (ja) * 1987-10-19 1994-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ダブルリンク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48860A (en) 1991-09-17
DE69003540D1 (de) 1993-11-04
DE69003540T2 (de) 1994-02-03
KR900011616A (ko) 1990-08-01
EP0378219B1 (en) 1993-09-29
JPH02185812A (ja) 1990-07-20
JP2714969B2 (ja) 1998-02-16
EP0378219A2 (en) 1990-07-18
EP0378219A3 (en) 199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216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1299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301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H1058932A (ja) 操舵輪用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KR013130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2924306B2 (ja) 車輪独立懸架装置
US5421606A (en) Steerable front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KR100462242B1 (ko) 토션 빔 서스펜션
JP3083305B2 (ja)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JPH03193513A (ja)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JP2761044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761045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5560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2514507Y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取付構造
KR0131297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2514506Y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取付構造
KR0131296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S6249203B2 (ko)
JPH01266008A (ja) 車輌用サスペンション
JP2590542Y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H03500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761054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2486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