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002B1 -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002B1
KR930011002B1 KR1019900002271A KR900002271A KR930011002B1 KR 930011002 B1 KR930011002 B1 KR 930011002B1 KR 1019900002271 A KR1019900002271 A KR 1019900002271A KR 900002271 A KR900002271 A KR 900002271A KR 930011002 B1 KR930011002 B1 KR 93001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tate
changing
over time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900A (ko
Inventor
마사에 간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05B13/02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in which a parameter or coefficien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
제2a 및 2b도는 동정신호를 나타내는 시간 챠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조정부에서의 동작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판정제어부에서의 동작흐름도.
제5a~5d도는 편차량과 제어량의 변화를 프로세스 상태 변화함수로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목표치 포워드 시스템(forward system)을 나타내는 부분도.
본 발명은 프로세스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서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세스 상태를 감시제어하는 적응 제어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설정치(SV)와, 플랜트와 같은 프로세스(제어대상)에서 출력되는 제어량(PV)과의 편차, 특히, 편차량(SV-PV)을 구하고 조절부에서, 이 편차량(e)에 대해서 PID(비례+적분+미분)의 조절연산수법을 사용하여 제어 정수들을 산출하여 조작량(MV)을 산출한다. 상기 조절부에서 산출된 조작량(MV)은 상기 프로세스에 공급된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공급된 조작량(MV)에 따라 동작하여 제어량(PV)을 출력한다.
상기 조절량(MV)을 구하는데 사용되는 PID 제저 정수들은 상기 조절부에 미리 세트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PID 정수들을 최적으로 산출하는 자동조정방식 또는 자가조정 방식을 사용하는 적응제어장치가 수없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적응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PID 제어 정수들의 산출부가 프로세스 감시제어부와 독립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스에 동정(同定 : identificatin)신호가 공급되면, 프로세스에서 출력되는 응답신호의 분석에 의해 프로세스의 동특성이 확인된다. PID 제어 정수들은 확인결과에 따라 산출된다. 일단 세트된 PID 제어 정수들은, 프로세스가 변경되지 않는 한은, 다시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목표치(SV)가 급변되거나, 어떤 교란에 의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어계가 발진 또는 진동되거나, 또는 편차량(e)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처음에 세트된 PID 제어 정수들을 사용하여 조작량(MV)을 구하여 프로세스에 공급한다. 그 결과, 제어계의 진동이나 발진현상이 수렴(convergence)될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제어계가 전혀 수렴되지 않을 우려가 생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계를 항상 최량으로 유지하려면, 프로세스의 상태감시와 PID제어 정수들의 조정을 서로 연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정주기동안 샘플(sample)되어 프로세스로부터 공급되는 제어량(PV)이 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위해, PID 제어 정수를 재산출하는 적응제어장치가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PID 제어 정수들의 산출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제어계 상태의 급변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적응제어장치는, 응답에러(error)에 대응하여 제어처리를 실행하지 못하며, 제어량(PV)이 목표치(SV)에 도달될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상태의 변화에 따라 PID 제어 정수를 변경할 수 있는 적응제어장치가 용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서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들을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시기간중 프로세스 상태를 나타내는 1이상의 변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변량의 경시변화와 따라 프로세스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정수변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프로세스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장치에 있어서, 감시시간중 프로세스 상태를 나타내는 1이상의 변량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변량의 경시변화에 따라 프로세스 상태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정수 변경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가산기(1,6), 감산기(2), 프로세스(3), PID 제어 정수(4), 조정부(5) 및 판정제어부(7)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서 입력된 목표치(SV)는 가산기(1)를 통해서 감산기(2)에 입력된다.
상기 감산기(2)는 프로세스(3)로부터의 제어량(PV)을 목표치(SV)에서 감산하여 그 편차량을 PIC 제어부(4)에 출력한다.
PID 제어 정수(4)는, 상기 조정부(5)에 의해 세트된 PID 제어 정수를 이용하여 PIP 연산을 행하여, 이 PID 연산으로 얻은 조작량(MV)을 가산기(6)을 통해서 프로세스(3)에 공급한다.
프로세스(3)는, 공급된 조작량(MV)에 대응하는 제어량(PV)을 출력한다.
프로세스(3)에서 출력된 제어량(PV)은 감산기(2), 조정부(5) 및 판정제어부 (7)로 입력된다.
조정부(5)는 동정신호 발생부(8), 동정부(9), 변환부(10) 및 설계부(11)로 구성된다.
동정신호 발생부(8)는, 동정신호(Vr,Vu)를 발생한다.
이 장치가 동정되는 경우, 가산기(1)로 동정신호(Vr)가 출력된다. 프로세스(3)가 동정되는 경우, 가산기(6)로 동정신호(Vu)가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3)가 동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동정신호 발생부(8)에 의해 동정신호(Vr,Vu)가 발생된 경우, M-급수 신호(제2a도)와 구형신호(제2b도)가 사용된다. 동정신호(Vr,Vu)는 목표치(SV)와 조작량(MV)에 소편차(±
Figure kpo00001
/2)를 공급한다.
상기 동정신호(Vr,Vu)의 진폭은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게 세트된다. 상기 M-급수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전주파수대역 범위에 걸쳐 프로세스등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PID 제어부(4)에 세트되는 PIC 제어 정수들은, 제3도의 흐름도에 따라 조정부(5)에 의해 산출된다.
조작판넬(도시안됨) 또는 판정제어부(7)로부터 조정부(5)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정신호 발생부(8)에 의해 발생된 동정신호(Vu)가 가산기(6)에 공급된다.
단계(A1)에서, 가산치(MVa(=MV+Mu))가 프로세스(3)에 입력되고, 이 가산기(MVa)에 응답하여 프로세스(3)에서 출력되는 제어량(PV)이, 매 목표기간마다 동정부(9)에 의해 샘플된다. 프로세스 샘플링 횟수가 목표휫수에 도달하면, 동정신호 발생부(8)로부터의 동정신호 출력이 중지된다.
단계(A2)에서, 샘플된 가산치(MVa)와 제어량(PV)에 기초하여 최소제곱법의 방법에 의해 동정부(9)가 프로세스(3)의 동특성모델을 평가한다.
단계(A3)에서, 상기 평가된 동특성 모델이 변환부(10)에 의해 한 주파수영역내의 모델로 변환된다.
단계(A4)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내로 변환된 모델에 기초해서 부분모델 정합법(타까지 시게마사, 유따까이이노, 마사에 간다 : Measurement and Control Vol. 27, No. 4, 99. 305~311, Society of Instrument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1988)에 의해 설계부(11)가 PID 제어 정수들을 산출한다.
가산기(1)에서 출력된 목표치(SV), 감산기(2)에서 출력된 편차량(e), PID 제어부(4)에서 출력된 조작량(MV) 및 프로세스(3)에서 출력된 제어량(PV)들이 판정제어부(7)에 입력된다.
상기 판정제어부는 제4도의 흐름도에 따라 프로세스(3)의 상태를 감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PID 제어부(4)와 조정부(5)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기간(To)중의 목표치(SV)변화, 편차량(e), 조작량(MV), 및 제어량(PV)를 검출하여, 그 검출결과들에 따라 프로세스(3)의 상태를 판정한다.
단계(B1)에서, 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정기간(To)중 편자량(e)이 진동하는지 점검한다.
단계(B1)에서 "예"이면, 프로세스(3)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정되어, PID 제어부(4)에 세트된 PID 제어정수가 조절된다(단계 B5). 보다 구체적으로는, PID 제어부(4)에 입력되는 편차량(e)이 일정하면, PID 제어 정수가 조절되어, PID 제어부(4)로부터 출력된 조작량(MV)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P연산에 관한 정수 즉, PID 제어 정수들의 비례강도만이 조절된다. 따라서, 제어계의 이득이 등가적으로 감소된다.
단계(B1)에서 "아니오"이면, 단계(B2)에서 편차량(e)이 제5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진하는지 점검한다.
단계(B3)에서 "예"이면, 프로세스(3)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정되어, 단계(B5)에서 전술한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B2)에서 "아니오"이면, 단계(B3)에서 편차량(e)이 제5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허용치(Th)를 초과해서 증가하는지 점검한다.
단계(B2)에서 "예"이면, 프로세스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정되어, 단계(B5)에서 전술한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B3)에서 "아니오"이면, 단계(B4)에서 제어량(PV)이 제5d도와 같이 목표치(PV)에 수렴하는가가 점검된다.
제어량(PV)이, 일정기간 경과후 목표치(SV)에 수렴할 수 없는 경우, 즉, 편차량(e)이 목표치 보다 큰 경우, 프로세스(3)가 응답 에러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즉, 프로세스(3)의 상태가 변경되어, PID 제어 정수가 비목표치가 된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B6)에서, PID 제어 매개변수들이 재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5)가 제3도에 나타난 흐름도에 따라 PID 제어 정수들을 재산출한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프로세스(3)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판정제어부(7)가 프로세스(3)의 상태를 판정한다. 또한, 조정부(5)의 동작없이 PID 제어부(4)의 PID 제어 정수들이 조절되어, 제어계의 이득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3)로부터의 응답이, 제5a, 5b 또는 5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진, 진동 또는 증가상태인 경우, 프로세스(3)는 단기간내에 안정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제5d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량(PV)이 목표치(SV)에 만족스럽게 수렴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스가 불량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상태가 변경된후 조정부(5)가 PID 제어 정수들을 재산출하여, 그 재산출된 PID 제어 정수들을 PID 제어부(4)에 세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으며, 그 판정결과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정신호(Vu)를 조작량(MV)에 가함으로써 프로세스(3)를 동정한다. 그러나, 가산기(1)에 의해 동정신호 발생부(8)로부터의 동정신호(Vr)를 목표치(SV)에 가산함으로써, 전체 제어계의 동특성을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표치 포워드형 적응제어장치에도 적응할 수 있다.

Claims (8)

  1. 감시기간중 특성변량의 경시변화를 구하기 위해 감시기간중 프로세스 상태를 나타내는 1이상의 특성변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변량의 경시변화에 따라 프로세스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경시변화가 불량응답을 나타낼때 프로세스에 공급되는 소정의 변수를 제어하도록 제어정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경시변화가 불안정상태를 나타낼때 프로세스에 공급되는 소정의 변수를 제어하도록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가 동정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프로세스로부터 출력된 제어량을 목표치에서 감산하여 편차량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편차량에 따라 조작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량에 동정신호를 가산하여 그 가산치를 프로세스에 공급하는 단계와, 샘플링기간중에 상기 가산치와 상기 가산치에 응답하여 프로세스에서 출력된 제어량을 샘플링하여 샘플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치로부터 평가된 프로세스의 특성 모델을 프로세스 제어계의 기준 모델과 정합하여 제어 정수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응답은 진동상태, 발진상태, 또는 증가상태인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소정의 변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5. 감시기간중 특성 변량의 경시변화를 구하기 위해 프로세스(3) 상태를 나타내는 1이상의 특성 변량을 검출하는 수단(7)과, 상기 검출된 변량의 경시변화에 따라 프로세스(3)의 상태를 판정하는 수단(7), 설정할 1이상의 제어정수에 따라 프로세스에 공급되는 소정의 변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수단과, 경시변화가 불량응답을 나타낼때 제어정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제어정수를 상기 프로세스 제어수단에 설정하는 제어정수 산출수단과, 경시변화가 불안정응답을 나타낼때 상기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여, 변경된 1이상의 제어정수를 포함하는 제어정수를 상기 프로세스 제어수단에 설정하는 제어정수 변경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수 산출수단은 동정신호를 발생하는 발생수단(8)과, 프로세스(3)로부터 출력된 제어량을 목표치에서 감산하여 편차량을 구하는 감산수단(2)과, 상기 편차량에 따라 조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과, 상기 조작량에 동정신호를 가산하여 그 가산치를 프로세스(3)에 공급하는 가산수단(6)과, 샘플링기간중에 상기 가산치와 상기 가산치에 응답하여 프로세스(3)에서 출력된 제어량을 샘플링하여 샘플치를 구하는 샘플링수단(9)과, 상기 샘플치로부터 평가한 프로세스(3)의 특성 모델을 프로세스 제어시스템의 기준모델가 정합하여 제어 정수들을 획득하는 획득수단(5)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응답은 진동상태, 발진상태 또는 증가상태인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들을 변경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수 변경수단은, 상기 1이상의 제어정수를 변경하여 소정의 변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특징인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 정수를 변경하는 장치.
KR1019900002271A 1989-02-23 1990-02-23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930011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492 1989-02-23
JP1043492A JP2835061B2 (ja) 1989-02-23 1989-02-23 適応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900A KR910015900A (ko) 1991-09-30
KR930011002B1 true KR930011002B1 (ko) 1993-11-19

Family

ID=1266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271A KR930011002B1 (ko) 1989-02-23 1990-02-23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3898A (ko)
EP (1) EP0384437B1 (ko)
JP (1) JP2835061B2 (ko)
KR (1) KR930011002B1 (ko)
AU (1) AU606306B2 (ko)
DE (1) DE6902091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9881A (zh) * 2013-08-30 2013-12-11 上海电力学院 控制过程调整时间可调的pid参数整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961B2 (ja) * 1988-04-07 1995-08-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オートチユーニングpid調節計
JP2882586B2 (ja) * 1989-01-13 1999-04-12 株式会社東芝 適応制御装置
JP2755644B2 (ja) * 1989-01-20 1998-05-20 株式会社東芝 制御系の設計方法及び設計支援装置
US5404366A (en) * 1989-07-14 1995-04-04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Narrow band excimer laser and wavelength detecting apparatus
US5260874A (en) * 1990-09-05 1993-11-09 The Boeing Company Aircraft flight emulation test system
US5170341A (en) * 1990-10-24 1992-12-08 Honeywell Inc. Adaptive controller in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US5229699A (en) * 1991-10-15 1993-07-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ID controller tuning
US5475291A (en) * 1992-12-10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justment device for adjusting control parameters of a servo motor and an adjustment method therefor
US5339016A (en) * 1993-01-14 1994-08-16 Mts Systems Corporation Crossover and spectral preemphasis networks for adaptive inverse control
DE4344960A1 (de) * 1993-12-30 1995-07-06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Regelung der Auflad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4424037C2 (de) * 1994-07-11 1997-11-20 Ibm Verfahren und System zur automatischen, rechnersystemgestützten Optimierung
US5818714A (en) * 1996-08-01 1998-10-06 Rosemount, Inc. Process control system with asymptotic auto-tuning
KR100255189B1 (ko) * 1996-09-25 2000-05-01 윤종용 서보제어계의 게인추정방법
DE29709588U1 (de) * 1997-06-02 1997-11-06 Ps Automation Gmbh Ges Fuer An Intelligente Steuer- und Regeleinrichtung
US6577919B1 (en) * 1999-09-16 2003-06-10 Sintokogio, Ltd. Blow molding method for superplastic material and system
JP3526022B2 (ja) * 2000-03-06 2004-05-10 株式会社安川電機 サーボ制御系の発振臨界検出方法
US6721609B1 (en) * 2000-06-14 2004-04-1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Integrated optimal model predictive control in a process control system
DE10312840B4 (de) * 2003-03-21 2016-03-2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Adaptiver Regler sowie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dessen Parametern
JP4481953B2 (ja) * 2006-04-24 2010-06-16 株式会社山武 状態判定装置および状態判定方法
CN101872164B (zh) * 2010-06-13 2012-07-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减小航天动力学系统状态敏感度的方法
CA2811367C (en) * 2010-10-01 2019-03-26 Zach System S.P.A. Process for preparing bosentan monohydrate and its intermediates
RU2461037C1 (ru) * 2011-06-14 2012-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ектроспецприбор" Адаптив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CN102393627B (zh) * 2011-10-21 2013-04-03 北京化工大学 集散系统中控制器参数的优化整定系统和方法
CN103439880B (zh) * 2013-08-30 2016-01-20 上海电力学院 基于mcp标准传递函数的pid参数整定方法
JP2018142210A (ja) * 2017-02-28 2018-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信号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426A (en) * 1971-12-20 1974-03-19 Foxboro Co Pattern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ntrol
AU528431B2 (en) * 1980-07-18 1983-04-28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Process control
US4368510A (en) * 1980-10-20 1983-01-11 Leeds & Northrup Company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for self tuning process controller
US4407013A (en) * 1980-10-20 1983-09-27 Leeds & Northrup Company Self tuning of P-I-D controller by conversion of discrete time model identification parameters
JPS58203506A (ja) * 1982-05-24 1983-11-28 Toshiba Corp サンプル値pid制御装置
US4539633A (en) * 1982-06-16 1985-09-0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PID process control apparatus
JP2563894B2 (ja) * 1982-09-25 1996-12-18 株式会社東芝 多入出力サンプル値pid制御装置
JPS59167707A (ja) * 1983-03-14 1984-09-21 Toshiba Corp サンプル値制御装置
JPS59167706A (ja) * 1983-03-14 1984-09-21 Toshiba Corp 多入出力サンプル値i−pd制御装置
JPS6069702A (ja) * 1983-09-26 1985-04-20 Toshiba Corp サンプル値プロセス制御装置
JPS6170607A (ja) * 1984-09-13 1986-04-11 Toshiba Corp プロセス制御装置
JPH071446B2 (ja) * 1985-11-12 1995-01-11 株式会社東芝 適応制御装置
JPS62210503A (ja) * 1986-03-11 1987-09-16 Yamatake Honeywell Co Ltd プロセス制御の不安定化判別およびチユ−ニング方式
US4882526A (en) * 1986-08-12 1989-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Adaptive process control system
JPS63127301A (ja) * 1986-11-17 1988-05-31 Matsushita Seiko Co Ltd Pid制御装置
JPS63138402A (ja) * 1986-12-01 1988-06-10 Toshiba Corp プロセス制御装置
JPH0766281B2 (ja) * 1987-02-04 1995-07-19 横河電機株式会社 セルフチユ−ニング調節計
US4881160A (en) * 1987-03-09 1989-11-14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Self-tuning controller
JPH07104681B2 (ja) * 1988-03-18 1995-11-13 株式会社東芝 プロセス制御装置
JPH0298701A (ja) * 1988-10-05 1990-04-11 Toshiba Corp 制御装置
JP2882586B2 (ja) * 1989-01-13 1999-04-12 株式会社東芝 適応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9881A (zh) * 2013-08-30 2013-12-11 上海电力学院 控制过程调整时间可调的pid参数整定方法
CN103439881B (zh) * 2013-08-30 2016-01-20 上海电力学院 控制过程调整时间可调的pid参数整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4437B1 (en) 1995-07-19
AU4991890A (en) 1990-09-20
JPH02222003A (ja) 1990-09-04
KR910015900A (ko) 1991-09-30
DE69020919D1 (de) 1995-08-24
JP2835061B2 (ja) 1998-12-14
DE69020919T2 (de) 1995-12-21
EP0384437A3 (en) 1991-03-06
EP0384437A2 (en) 1990-08-29
US4983898A (en) 1991-01-08
AU606306B2 (en)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002B1 (ko) 프로세스 제어시 프로세스 상태에 따라 제어정수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5124626A (en) Sinusoidal signal amplitude and phase control for an adaptive feedback control system
EP0159103B1 (en) Process control apparatus
JP4226859B2 (ja) モデルフリー型適応プロセスコントローラ
US4719561A (en) Robust control apparatus responsive against disturbance
US55351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having a control loop using feedback control
JP3633210B2 (ja) Svc装置の制御方式
JP3336520B2 (ja) Pid調節計
JPH0793002A (ja) フィードバック制御装置
JP3295920B2 (ja) 張力制御方法
KR20210024128A (ko)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6222809A (ja) 適応制御装置
JPH0713801B2 (ja) 制御装置
KR0123713B1 (ko) 퍼지 추론을 이용한 비례 미분 적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633027B2 (ja) 誘導電動機の電流制御方法
JPH02213903A (ja) 制御装置
JPH09106303A (ja) 制御系のゲイン自動決定方法
JPH04236198A (ja) 発電機多変数制御装置の適応ゲイン監視装置
JPS5941004A (ja) プロセス制御装置
JPH07319504A (ja) 制御装置
JPS63284603A (ja) プロセスプラント制御装置
JPS63192103A (ja) セルフチユ−ニング調節計
CN114924612A (zh) 磁场发生器的控制装置、试验装置以及磁场控制方法
JPH1130108A (ja) タービン制御装置
JPH08234804A (ja) 自動調節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