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55B1 -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 Google Patents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55B1
KR930007455B1 KR1019880013683A KR880013683A KR930007455B1 KR 930007455 B1 KR930007455 B1 KR 930007455B1 KR 1019880013683 A KR1019880013683 A KR 1019880013683A KR 880013683 A KR880013683 A KR 880013683A KR 930007455 B1 KR930007455 B1 KR 93000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
lens
camer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113A (ko
Inventor
히로시 고마쓰자끼
미쓰오 요코다
Original Assignee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니시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니시 미노루 filed Critical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의 사시도.
제2도는 포착렌즈 구동기구의 분해사시도.
제3 (a)도와 제3 (b)도는 망원사진모드 및 광각사진모드시의 제1도 카메라의 필수부품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필름구동기구 및 렌즈 배럴구동기구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5도는 제1도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 보호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렌즈 보호장치 작동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제1도 카메라에 장착된 모터제어회로.
제8도는 제7도 모터제어회로의 엔코더에 대한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렌즈배럴 6 : 변환렌즈
8 : 셔터 42 : 렌즈보호장치
45 : 렌즈보호장치작동부재 47 : 사진모드선택부재
52 : 가역모터 55 : 엔코더
55b : 망원사진모드 선택접점 55c : 광각사진모드 선택접점
56 : 사진모드선택스위치 57 : 1-프레임 계측스위치
58 : 초기필름감기스위치 60 : 메인스위칭수단
61 : 제1메인스위치 62 : 제2메인스위치
80 : 필름되감기스위치수단 81 : 제1되감기스위치
82 : 제2되감기스위치
본 발명은 렌즈보호장치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팍렌즈(taking lens)의 초점거리를 가변시킴으로써 포착렌즈를 광각사진이나 망원사진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렌즈 보호장치를 구비한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사진을 좀더 용이하게 촬영하기 위해서, 현대의 휴대용 카메라는 자동필름 감기 및 되감기, 자동노출 자동초점등과 같은 다수의 자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러한 휴대용자동 카메라에는 초점거리를 표준사진에 적당한 약 45㎜의 비교적 짧은 초점거리와, 망원사진에 적당한 약 70㎜의 비교적 긴 초점거리 사이에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포착렌즈가 장착 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 있어서, 포착렌즈의 초점거리를 자동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모터구동기구가 제공되어 포착렌즈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포착렌즈의 초점거리를 가변시키며 필름을 감거나 되감기 위해서는 한개의 가역 전자모터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모터는 정상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시에는 포착렌즈를 전후로 이동시켜 사진모드 선택스위치가 작동하였을 경우 초점거리를 변경시키거나 필름을 이송시키 노출용 셔터해제버튼과 연동하여 1프레임(one frame; 노출시 물체가 촬영되는 필름의 한토막, 통상적으로 "1방"이라 일컫고 있음)만큼 필름을 감는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였을시에는 필름 두루마리의 모든 프레임이 노출된 후 필름을 되감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에는 마이크로컴퓨터나 논리제어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카메라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포착렌즈를 보호다도록 개폐되는 렌즈 보호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렌즈 보호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 카메라에는 렌즈 보호장치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레버나 노브와 같은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수단의 수동동작과 더불어 전기스위치가 턴온 및 오프되어 카메라의 다수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킨다.
렌즈 보호장치는 포착렌즈가 표준사진을 위해 적당하게 위치되는 카메라 동체내로 후진된 포착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폐쇄된다. 그러므로, 일단 망원사진모드가 선택되면, 전술한 레버나 노브와 같은 수단이 동작되어 사진모드 선택레버가 동작되어 포착렌즈를 카메라 동체안으로 후진시킨 직후에 렌즈보호장치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사진모드 선택레버의 선행동작 없이도 포착렌즈를 표준사진 모드로 다시 변경시키도록 동작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터는 이들 수단이 포착렌즈가 망원사진에 적당한 위치에 위치되는 동안 작동될 경우, 렌즈 보호장치가 전방으로 이동된 포착렌즈에 의해 방해를 받아 운동이 제한 될지라도 계속 회전함으로써 포착렌즈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카메라 동체안에 완전히 위치된후 렌즈 보호장치가 비로서 폐쇄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렌즈 보호장치의 동작 역시 모터 제어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컴퓨터나 논리 순차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초점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은 초점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종래의 카메라는 필름감기 및 되감기, 포착렌즈의 이동, 렌즈보호장치의 개폐, 및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나 논리 순차 제어회로수단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나 논리 순차 제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제어회로는 매우 복잡하게 되는바, 이러한 복잡한 카메라 제어회로는 카메라의 고장을 유발시킬수도 있었으며 카메라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스위치 수단을 갖는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회로를 장착시킨 초점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름감기 및 되감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스위치 수단을 갖는 간단한 회로를 장착시킨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계적 스위치수단을 갖는 간단한 제어회로에 의해 확실히 개폐되는 렌즈 보호 장치를 장착시킨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점거리 가변형 포착렌즈 시스템을 구비한 카메라는 필름을 감거나 되감으며 포착렌즈 시스템을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모드 예컨대, 망원사진모드와 광각사진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한 개의 가역모터와, 모터구동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모터 제어회로는 가역모터의 일측단자에 한 개의 스위치가 연결된 한쌍의 기계적 절환스위치와, 가역모터의 타측단자와 한쌍의 절환스위치중 다른 절환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포착렌즈 시스템이 두 개의 사진 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선택되는 필름 구동모드와 포착렌즈 시스템이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모드 사이에서 변경되도록 한 포착렌즈 시스템 구동모드 사이에서 모터 구동제어회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코더 및 모터 구동회로의 선택모드에 관계없이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진모드 선택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점거리 가변형 포착렌즈 시스템을 구비한 카메라는 필름을 감거나 되감으며 포착렌즈 시스템을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 모드 예컨대, 망원사진모드와 광각사진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한 개의 가역모터와, 외부의 보호장치 작동부재에 의해 개폐되어 포착렌즈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포착렌즈 시스템 전면에 설치한 렌즈보호장치, 및 모터 구동제어회로로 구성된다. 모터 제어회로는 가역모터의 일측단자에 하나의 스위치를 연결시킨 한쌍의 기계적 절환스위치와, 가역모터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포착렌즈 시스템이 사진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선택되는 필름 구동모드와, 포착렌즈 시스템이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 모드 사이에서 변경되도록 한 포착렌즈 시스템 구동모드 사이에서 모터 구동회로를 구동시키며 제1 및 제2사진모드를 선택하도록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및 제2사진모드선택 접점을 구비한 엔코더와, 엔코더의 제1사진모드 선택접점과 한쌍의 절환스위치중 다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 구동회로의 선택모드에 관계없이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진모드 선택스위치와, 렌즈보호장치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경우 모터에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해 제1전원스위치, 및 엔코더의 제2사진모드 선택집점 과 사진모드 선택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외부의 보호장치 작동부재가 렌즈 보호 장치를 개방시킬 경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로 구성된다.
모터는 절환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회전방향이 변경된다. 절환스위치들이 모터가 정상방향 또는 필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 있고, 포착렌즈 시스템이 두 개의 사진모드 즉, 광각사진모드 및 망원사진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을때, 엔코더는 모터제어회로를 필름감기모드 상태에 있게 한다. 노출시, 모터는 필름을 1프레임만큼 감도록 제어된다. 만약, 사진모드 선택부재를 작동시킬 경우, 모터는 회전하기 시작하여 엔코더를 작동시켜 모터와 전원간에 전원을 연결하고, 포착렌즈 시스템의 렌즈배럴을 전후로 이동시켜 그의 초점거리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진모드를 수행한다.
절환스위치가 상태를 변경시켰을 경우, 엔코더는 모터 제어회로를 필름 감기 모드로 변경시켜 모터를 역방향 또는 필름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동시에 포착렌즈 시스템이 두 개의 사진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기 때문에 모터 제어회로는 필름 되감기 방향으로 유지된다. 만약에 포착렌즈 시스템의 렌즈배럴이 렌즈보호장치가 카메라 하우징 안쪽으로 후퇴되는 광각사진모드에 있을 경우, 제1전원스위치를 오픈시키는 렌즈보호장치 작동수단을 폐쇄상태로 작동시켜 전원스위치를 턴오프시켜서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포착첸즈 시스템이 렌즈보호장치가 카메라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망원사진모드에 있고 렌즈보호장치 작동수단이 작동될 경우, 제1전원스위치는 폐쇄되는 반면 제2전원스위치는 오픈되어 모터를 전원에 접속시켜 렌즈배럴을 후진시킨다. 따라서, 렌즈배럴을 폐쇄되어 제2전원스위치를 오픈시켜 모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면중 동일참조 기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한다.
제1도에는 전면(4)에 렌즈하우징(41)이 제공된 카메라 동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점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휴대용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다. 렌즈하우징(41)에는 두 개의 보호날(43,44)로 구성된 렌즈커버 또는 렌즈보호장치(42)가 제공되는바, 보호날은 외부적으로 작동 가능한 슬라이드 노브의 형태인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에 의해 근접 및 원격되어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개폐시킨다. 카메라 동체의 전면(40)에는 하향이동 가능한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사진모드 선택부재(47)는 포착렌즈가 망원사진모드로 설정되었을시 광각사진모드를 선택하거나, 포착렌즈가 광각사진모드로 설정되었을시 망원사진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하향으로 밀려 내려간다. 미설명부호 48,49a와 49b,50과 51은 전면(40)에 형성된 뷰우파인더 윈도우, 거리계 윈도우, 내장된 전자후레쉬의 발광 윈도우, 윗면에 형성된 셔터 해제버튼을 각각 표시한다.
포착렌즈 시스템은 제2도에 그의 관련부품과 함께 상세히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렌즈하우징(41)내에 수용되는 이동가능한 렌즈배럴(1)은 주렌즈(3)를 지지하는 렌즈홀더(4)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주렌즈(3)는 적당한 축방향 위치에 위치되어 거리조절계(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검출된 물체거리에 따른 초점을 맞추는바, 거리조절계는 공지의 것일수도 있다. 이동 렌즈배럴(1)의 한측에는 고정러그(1a)가 제공되는바, 이 러그에는 이동렌즈배럴(1)이 망원사진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주렌즈(3)를 위치시키는 전방위치와, 광각사진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주렌즈(3)를 위치시키는 후방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렌즈배럴(1)을 안내하기 위해서 주렌즈(3)의 광학축(L)과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봉(2)을 미끄럼가능하게 장착한 안내 슬리이브(1b) 가 부착되어 있다. 안내봉(2)에는 스프링코일(5)이 형성되어 이동렌즈배럴(1)을 망원사진 위치로 소정의 힘을 가한다.
이동렌즈 배럴(1)의 뒤쪽에는 주렌즈(3)의 광학축(L)의 내,외측으로 이동하며 이동렌즈 배럴(1)의 전,후진 운동과 연동하여 절환기구(7)에 의해 주렌즈(3)와 축간 정렬을 하는 변환렌즈(6)가 제공된다. 절환기구(7)는 일측단부에 형성된 변환렌즈(6)를 지지하는 요동아암(7a)과 요동아암(7a)을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7b)와, 요동아암(7a)에 의해 지지된 기어(7d)로 구성된다. 스프링코일(7e) 은 요동아암(7a)에 힘을 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변환렌즈(6)를 광학축(L)으로 이동시킨다.
변환렌즈(6)의 뒤쪽에는 셔터(8)가 제공되는바, 이 셔터는 피봇(8c)에 지지된 두 개의 셔터날(8a)(8b)로 구성되는 공지의 것이다. 셔터날(8a)(8b)에는 작동슬로트의 역할을 하는 작동핀(8d)이 형성되어 셔터날을 반대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켜 셔터(8)를 개폐시킨다. 제3(a)도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렌즈배럴(1)의 뒤쪽에는 다이어프램(74)이 부착되어 있다.
주렌즈(3)와 변환렌즈(6)를 이동시켜 카메라의 사진모드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서, 주렌즈(3)를 광학축(L)을 따라 이동시킴과 동시에 변환렌즈(6)를 광학축(L)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제1변경레버(12)를 구비한 모드선택기구가 제공된다. 제1변경레버(12)는 제2변경레버(13)와 접촉하며 고정러그(1a)에 형성된 슬로트(1c)와 계합하는 핀(12d)이 형성된 일측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2변경레버(13)에는 변환렌즈(6)를 링크를 통해 광학축(L)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13d)와, 캠부(13d)에 연결되어 변환렌즈(6)를 광학축(L)으로 부터의 해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기저부(13a)가 제공된다. 제2변경레버(13)는 제1변경레버(12)와 협동하여 피봇축(13c)에 대해 회전되어 미끄럼레버(9)를 변위시켜 요동아암(7c)을 밀어 내면 기어(7d)가 회전된다.
망원사진모드와 광각사진모드 상태에 있는 카메라를 각각 표시한 제3(a)도와 제3(b)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렌즈하우징(41)안에는 이동렌즈배럴(1)이 축방향 이동을 위해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배럴(25)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하우징(41)과 고정배럴(25)사이에는 렌즈보호장치(42)가 형성되는바 이 렌즈 보호장치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착렌즈 시스템이 광각사진모드에 있을때에만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개폐하도록 한 보호날(43)(44)로 구성된다.
뒤쪽에 있는 렌즈 셔터(8)의 셔터날(8a)(8b)은 셔터지지판(26)에 설치되어, 셔터지지판(26)에 형성된 노출공(26a)을 개폐한다.
제4도는 모터의 회전력을 필름감기 및 되감기기구와, 렌즈 배럴 구동기구까지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가역모터(52)는 필름권취스풀(90)에 위치되어 있는바, 가역모터(52)의 회전력은 가역모터(52)의 모터출력기어(52a)에 결합된 기어열(91)을 통해 유성기어장치(92)의 태양기어(92a)에 전달된다. 유성기어장치(92)의 유성기어(92b)는 필름구동기어(93)의 기어(93a)와 렌즈 배럴 구동기어열(94)과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필름구동기어열(93)은 필름권취스풀(90)에 고정된 스풀기어(95)에 직접결합되며, 한방향 클러치(96)를 통해 포크부재(98)에 부착된 필름되감기기어(97)에 결합되는바, 포크부재는 필름 통 또는 카세트(99)의 스풀(99a)과 계합된다.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하향으로 밀려졌을때, 태양기어(92a)를 장착한 축에 의해 동축적으로 유지되며 회전을 위해 유성기어(92b)를 지지하는 지지부재(92c)는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회전하여 유성기어(92b)를 필름구동기어열(93)의 제1기어(93a)로 부터 해제하여 제1변경레버(12)에 형성된 슬로트에 수용되는 핀(94c)이 제공된 기어(94b)를 구비한 렌즈 배럴 구동기어열(94)의 제1기어(94a)와 맞물리게하며 래치수단(100)에 의해 기계적으로 래치된다. 이와 동시에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는 턴온되어 모터를 정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모터(52)의 회전은 필름구동기어열(93)에 전달되지 않는 대신 렌즈 배럴 구동기어열(94)에 전달된다. 이동렌즈배럴(1)이 예정위치로 이동할때 해제수단(101)은 래치수단(100)을 작동시켜 지지부재(92c)를 해제시켜서 지지부재를 스프링에 의해 복귀시킴으로써 지지부재가 필름구동기어열(93)의 제1기어(93a)와 맞물리도록 한다.
제5도와 제6도에는 렌즈보호장치(42)와 보호장치작동부재(45)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호날(43,44)은 부호(31,32)에 피봇되어 스프링(33,34)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의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폐쇄시킨다. 보호날(43)의 하측단부에는 보호날(44)에 부착된 핀(36)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훅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날(43)에는 보호장치 작동부재(45)(제6도참조)까지 연장된 핀(38)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로트(37)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날(44)의 상측단부에는 제1메인스위치(61)를 밀어내어 제5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메인스위치를 오픈시키는 노치(39)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날(43)의 슬로트(37)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핀(38)이 제공된 렌즈보호장치작동부재(45)는 우측하부에 경사진 홈(21a)이 형성된 안내공(21)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된다. 안내공(21)에는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를 하측으로 압축하기 위한 판스프링(22)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 렌즈 보호장치 작동부재(45)는 활주되어 판스프링에 의해 경사홈(21a)에 위치된다. 안내공(21)의 좌측면에는 비가동접점(62a) 과 접촉되며 폐쇄 상태시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에 의해 가동접점(62b)과 접촉되는 제2메인스위치(62)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가 개방상태로 미끄러져 경사홈(21a)에 위치되었을 경우,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의 핀(38)을 수용하는 슬로트(37)를 구비한 보호날(43)은 스프링(33)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보호날(44)은 스프링(3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보호날(43,44)은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개방한다.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가 안내공(21)의 경사홈(21a)에 유지되기 때문에, 보호날(43,44)은 스프링(33,34)에 의해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를 위로 밀면, 보호날(43,44)은 스프링(33,34)에 의해 폐쇄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렌즈보호장치 제어회로를 포함한 카메라 제어회로를 장착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회로에는 제1 및 제2메인스위치(61,62)로된 메인스위칭수단(60)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1메인스위치(61)는 렌즈보호장치(42)와 협동하는바, 렌즈보호장치(42)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턴온되고, 렌즈보호장치(42)가 완전히 폐쇄되었을때에는 턴오프된다. 한편, 제2메인스위치(62)는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와 협동하는바, 렌즈보호장치 작동부재(45)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렌즈보호장치(42)를 개방시킬 경우 턴온되어 비가동 접점(62a)에 연결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턴오프되어 접지접점(62b)에 연결된다.
가역모터(52)는 필름을 감거나 되감을 뿐만 아니라 포착렌즈 시스템을 가능한 두 개의 사진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터(52)는 제1메인스위치(61)와 필름 되감기 스위치수단(80)의 제1되감기스위치(81)를 통해 밧테리(54)에 연결되는바, 제1되감기 스위치(81)는 제1메인스위치(61)에 연결된 비가동접점(81a)과, 접지에 연결된 가동접점(81b)으로 구성된다.
필름 되감기 스위치수단(80)의 제2되감기 스위치(82)는 제1되감기 스위치(81)와 연동한다. 제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2되감기 스위치(82)는 가동접점(82a)을 통해 밧테리(54)와 연결되고, 비가동접점(82b)과 이후 기술할 1-프레임 계측 스위치(one-frame metering switch)(57)을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필름 되감기 스위치수단(80)의 제1 및 제2되감기 스위치(81,82)는 상호 연동하여 필름의 마지막번째의 이용가능한 프레임의 노출이 감지되거나, 필름 되감기 스위치 수단(80)이 임의의 시간에 필름을 되감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될 경우 가동접점(81b,82a)에 각각 접촉된다. 제1 및 제2되감기 스위치(81,82)는 평상시에는 비가동접점(81a,82b) 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모터(52)는 이동렌즈 배럴(1)이 선택된 사진모드에 따라 위치되는 축방향 위치에 대응한 접촉부재가 제공된 엔코더(55)를 통해 사진모드 선택부재(47)와 연동하는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제4도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이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는 평상시에는 제2되감기 스위치(82)에 연결된 비가동 접점(56a)에 연결되어 있다.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수동으로 작동될 때,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는 접지에 연결된 가동접점(56b)에 연결된다. 메인스위칭수단(80)에는 공지의 셧터 제어회로(71)와 내장식 전자 플래쉬 제어회로(72)가 연결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엔코더(55)는 통상의 내측 원형접점(55a), 접지에 연결된 외측 반원형 접점(55d), 반원형 접점(55d)사이에서 직경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된 망원사진모드 선택접점(55b)과 광각사진모드 선택접점(55c)를 포함한다. 내,외측 접점(55a,55d)에 접촉하는 브러쉬(55e)는 모터(52)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 배럴 구동기어열(94)과 연동한다. 망원사진모드 선택접점(55b)은 제2메인스위치(62)를 통해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에 연결되고, 광각 사진모드 선택접점(55c)은 사진모드 선택 스위치(56)에 직접 연결된다.
제2되감기 스위치(82)의 비가동접점(82b)에 연결된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는 평상시에는 공지의 프레임 계수기(frame counter)(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된 초기 필름 감기스위치(58)에 연결된 비가동 접점(57a)에 연결되어 있다. 장전된 필름중 첫번째부터 약간의 프레임이 자동적으로 감겨지도록 하는 초기 필름감기스위치(58)는 평상시에는 제1되감기 스위치(81)에 연결된 비가동 접점(58a)에 연결되어 있다.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와 초기 필름감기스위치(58)의 각각의 가동접점(57b,58b)은 접지와 연결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카메라 제어회로를 결합한 카메라에 있어서, 제3(a)도는 망원사진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카메라 제어회로의 망원사진모드 설정시, 필름되감기 스위치수단(80), 사진모드선택스위치(56), 1-프레임 계측스위치(57) 및 초기 필름 감기스위치(58)는 모두 턴오프되지만 메인스위치(60)는 턴온된다. 엔코더(55)의 브러쉬(55e)는 망원 사진모드 선택접점(55b)과 접촉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착렌즈의 이동렌즈 배럴(1)은 돌출된 망원사진위치에 있다.
망원사진모드에 있어서, 카메라가 노출이 되었을때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는 턴온되어 밧테리(54)의 전원을 제1메인스위치(61), 제1되감기 스위치(81), 엔코더(55), 제2메인스위치(62),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 제2되감기스위치(82), 및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을 통해 모터(52)에 연결시킨다. 이때 모터(52)는 정상방향 또는 필름 감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여자되어 필름을 필름권취스풀(90)에 감는다.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가 턴오프되었을 경우, 모터(52)는 밧테리(54)의 전원으로부터 단락되므로 모터(52)는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된 1-프레임의 필름이 이송된다.
망원사진모드로 설정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들)이 모두 끝난후,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동작 또는 하향으로 밀려졌을 경우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가 턴온되어 모터(52)를 밧테리(54)의 전원에 연결시킴으로써 모터(52)는 정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여자된다. 이때 이동렌즈 배럴(1)이 모터(52)와 연동하는 렌즈 배럴 구동기구를 통해 뒤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모터(52)가 약간 회전했을 경우, 엔코더(55)의 브러쉬(55e)는 망원 사진모드 선택접점(55b) 으로부터 해제되지만 외측 반원형 접점(55d)과 접촉하여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해제되고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가 턴오프되더라도 밧테리(54)의 전원으로부터 모터(52)에 대한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토록 한다. 일단 사진모드 선택부재(47)가 작동되면 모터(52)는 정상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므로 이동렌즈 배럴(1)은 뒤쪽으로 이동한다. 엔코더(55)의 브러쉬(55e)가 외측 반원형 접점(55d) 으로부터 광각 사진모드 선택접점(55c)으로 이동하는 순간, 모터(52)는 밧테리(54)의 전원으로부터 단락되어 정지되고, 이동렌즈 배럴(1)을 포착렌즈 시스템이 광각사진을 위해 적당하게 조절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는 광각사진모드로 변경된다.
카메라를 광각 사진모드에서 망원사진모드로 변경시킬 경우, 사진모드 선택부재(47)는 하향으로 작동되어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를 턴온시킨다. 이때 모터(52)가 정상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모터(52)가 정상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 순간에 엔코더(55)의 브러쉬(55e)는 회전되어 광각 사진모드 선택접점(55c)으로부터 해제되어 외측 반원형 접점(55d)과 접촉한다. 모터(52)가 정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렌즈 배럴(1)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브러쉬(55e)는 외측 반원형 접점(55d)을 지나 망원 사진모드 선택접점(55b) 으로 활주한다. 브러쉬(55e)가 망원 사진모드 선택접점(55b)에 접촉하자마자 모터(52)는 정지하고, 이동렌즈 배럴(1)은 포착렌즈 시스템이 망원사진을 위해 적당하게 조절되는 위치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는 광각사진모드에서 망원사진모드로 변경된다.
익히 알고 있는 바와같이, 카메라를 휴대하고 다닐때에 렌즈 보호장치(42)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폐쇄된다. 렌즈 보호장치(42)를 닫기 위해서는 렌즈 보호장치 작동부재(45)를 작동시킨다. 이동렌즈 배럴(1)이 렌즈하우징(41)안으로 완전히 후퇴하기 때문에, 만약 카메라가 광각 사진 모드에 있을 경우, 보호날(43,44)은 완전히 닫혀 있으므로 렌즈 보호장치(42)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완전히 폐쇄시킨다. 렌즈 보호장치(42)를 닫히도록 동작시켰을때 렌즈 보호장치 작동부재(45)는 제2메인스위치(62)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완전히 닫혔을때 보호날(43,44)은 제1메인스위치(61)를 턴오프시켜 카메라의 다수의 전자부품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카메라가 망원사진모드상태일 경우, 이동렌즈배럴(1)은 렌즈하우징(41) 외측으로 돌출하고, 보호날(43,44)은 이동렌즈 배럴(1)에 의해 방해를 받으므로 제2메인스위치(62)는 턴오프되어 접지점점(62b)과 접촉하는 한편, 제1메인스위치(61)는 턴온된다. 제2메인스위치(62)는 밧테리(54)의 전원을 모터(52)에 연결하여 모터(52)를 정상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 배럴 구동기구를 통해 이동렌즈 배럴(1)을 구동한다. 모터(52)가 약간 회전되었을 때 엔코더(55)의 브러쉬(55e)는 엔코더(55)의 망원 사진모드 선택접점(55b)로부터 해제되어 외측 반원형 접점(55d)과 접촉할지라도 모터(52)를 정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브러쉬(55e)가 광각사진모드 선택접점(55c)에 도달한 후 모터(52)는 정지한다. 모터(52)의 연속 회전 때문에 이동렌즈 배럴(1)은 뒤쪽으로 이동하여 렌즈하우징(41)안으로 후퇴함으로써 보호날(43,44)이 렌즈하우징(41)의 개구(46)를 폐쇄시키도록 닫혀진다. 렌즈 보호장치(42), 특히 보호날(44)이 완전히 닫혀진 순간에, 이것은 제1메인스위치(61)를 오픈시켜 밧테리(54)로부터 모터(5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필름 되감기 스위치수단(80)을 작동시킴으로써, 카메라내에 있는 필름 두루마리의 마지막번째 프레임이 노출된후, 필름을 자동으로 되감거나, 필름 되감기 작동부재가 동작됨으로써 필름을 수동으로 되감을 수 있다. 필름 되감기 스위치수단(80)이 작동되었을 때 제1 및 제2필름 되감기스위치(81,82)는 가동접점(81b,82a)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모터(52)는 제2필름 되감기 스위치(82),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 엔코더(55) 및 제1필름 되감기스위치(81)를 경유하여 밧테리(54)의 전원에 연결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노출된 필름을 되감기 위해 공지의 필름 되감기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동시킨다.
필름의 두루마리를 최초로 장전시킬 경우,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는 가동접점(57b)과 접촉하여 모터(52)를 정상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필름을 감기시작한다. 필름이 예정된 길이 예컨대
Figure kpo00001
프레임만큼 감겨졌을 때 초기 필름감기스위치(58)는 가동접점(58b)과 접촉한다. 모터(52)가 초기 필름감기스위치(58)를 경유하여 전원에 접속유지되고,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가 1프레임의 필름을 감을때마다 턴오프되기 때문에, 모터는 필름을 감도록 정상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그후, 필름이 예정된 프레임(예컨대 3
Figure kpo00002
프레임)만큼 감겼을 때, 초기 필름 감기스위치(58)는 턴오프된다. 그러나, 필름이 최초의 3
Figure kpo00003
프레임만큼 감기고,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가 가동접점(57b)과 접촉하기 때문에 모터(52)는 계속 회전된다. 필름이 1/2프레임만큼 더 감기는 순간 1-프레임 계측 스위치(57)는 턴오프되고 모터(52)는 정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의 필름장전은 4프레임의 필름을 연속적으로 감음으로써 끝나게 된다.
본 발명은 필름이 필름장전후에 즉시 완전히 감기며 매번의 노출시마다 1-프레임만큼 되감기는 형태의 프리 와인딩 카메라(pre-winding cameras)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엔코더(55)와 사진 모드 선택 스위치(56)는 모터(52)와 제1필름 되감기 스위치(81)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52)를 역회전시켜 필름을 권취하며 이동렌즈 배럴(1)을 이동시키며, 모터(52)를 정상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름 프레임을 찍힌 프레임만큼 간헐적으로 되감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보호장치가 없지만 초점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에 이용될 경우, 제2메인스위치(62)는 생략되며, 엔코더(55)의 망원사진모드 선택접점(55b)은 사진 모드 선택스위치(56)에 직접 연결되고, 엔코더(55)와 사진모드 선택스위치(56)는 서로 바뀔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필름 권취식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을 권취하며 포착렌즈 시스템을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한계의 가역모터와; 상기 가역모터의 일측단자에 하나의 스위치 수단을 연결시킨 한쌍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의 가역모터의 타측단자와 상기 한쌍의 스위치 수단중 다른 스위치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포착렌즈 시스템이 상기의 사진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선택되는 필름 구동모드와 상기의 포착렌즈 시스템이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모드 사이에서 변경되도록한 포착렌즈 시스템 구동모드 사이에서 모터 구동회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모터 구동회로의 선택모드에 관계없이 상기의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진모드 선택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 및 제2사진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광각 사진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 및 제2사진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망원 사진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진모드 선택스위치는 외부 작동부재에 의해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5.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필름 권취식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을 권취하며 포착렌즈 시스템을 적어도 제1 및 제2사진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한 개의 가역모터와; 외부의 보호장치 작동부재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의 포착렌즈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의 포착렌즈 시스템 전면에 설치한 렌즈보호장치와; 상기 가역모터의 일측단자에 하나의 스위치 수단을 연결시킨 한쌍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의 가역모터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포착렌즈 시스템이 상기의 사진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선택되는 필름구동모드와, 상기의 포착렌즈 시스템이 적어도 제1및 제2사진 모드 사이에서 변경되도록한 포착렌즈 시스템 구동모드사이에서 모터 구동회로를 구동시키며, 상기의 제1 및 제2사진모드를 선택하도록 상기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 및 제2사진모드 선택 접점을 구비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제1사진모드 선택접점과 상기의 한쌍의 스위치 수단중 다른 스위치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 구동회로의 선택모드에 관계없이 상기의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진모드 선택스위치와; 렌즈 보호장치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경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및 상기 엔코더의 제2사진모드 선택접점과 사진모드 선택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보호장치 작동부재가 렌즈 보호장치를 개방시킬 경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 및 제2사진모드는 광각 사진모드와 망원 사진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진모드 선택스위치는 외부작동 부재에 의해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KR1019880013683A 1987-10-20 1988-10-20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KR930007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64984 1987-10-20
JP62264984A JPH01257827A (ja) 1987-10-20 1987-10-20 可変焦点装置付カメラのバリヤ閉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113A KR890007113A (ko) 1989-06-19
KR930007455B1 true KR930007455B1 (ko) 1993-08-11

Family

ID=1741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683A KR930007455B1 (ko) 1987-10-20 1988-10-20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68590A (ko)
JP (1) JPH01257827A (ko)
KR (1) KR930007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370A (en) * 1988-05-11 1993-06-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riving mechanism of camera and friction mechanism therefor
GB2241074B (en) * 1990-02-14 1995-01-04 Asahi Optical Co Ltd Camera having motor-driven zoom lens
US5255035A (en) * 1990-06-12 1993-10-19 Konica Corporation Focusing control apparatus for a camera
US6164842A (en) * 1995-02-28 2000-12-26 Nikon Corporation Camera having a lens barrier unit opening/closing mechanism
US5842057A (en) * 1996-01-26 1998-11-24 Asahi Kogaki Kog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US5999748A (en) * 1996-01-26 1999-12-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GB2348710B (en) * 1996-01-26 2000-11-15 Asahi Optical Co Ltd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GB2309528B (en) * 1996-01-26 2000-11-22 Asahi Optical Co Ltd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432A (ja) * 1983-10-05 1985-05-04 Canon Inc 焦点距離切替式カメラ
JPH0642032B2 (ja) * 1983-10-26 1994-06-01 株式会社ニコン 防塵カバー付きカメラ
US4669848A (en) * 1983-12-07 1987-06-02 Nippon Kogaku K. K. Camera having partially retractable taking optical system
JP2585510B2 (ja) * 1985-04-12 1997-02-26 株式会社ニコン 焦点距離切換式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68590A (en) 1989-09-19
KR890007113A (ko) 1989-06-19
JPH01257827A (ja) 198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55B1 (ko) 초점거리 가변형 카메라
JPS63199332A (ja) 可変焦点カメラにおけるバリア駆動装置
GB2030714A (en) Automatic Camera Lens Cover
JP3802404B2 (ja) シャ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
JPH0449931B2 (ko)
JP2720867B2 (ja) 閃光装置内蔵カメラ
US6074107A (en) Camera system
JP2840672B2 (ja) 自動合焦カメラ
US4109259A (en) Exposure preventing shade
JP4566521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115980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4287260A (ja) カメラ
JP2654781B2 (ja) カメラ
JPH1020381A (ja) カメラ
JPH1031248A (ja) カメラ
JP2006091577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805152B2 (ja) カメラ
JPH0378734A (ja) カメラ
JP3325605B2 (ja) 一眼レフカメラ
JP2000111995A (ja) レンズ付フィルム
JPH01169441A (ja) 焦点距離切換えカメラ
JPH05257199A (ja) カメラ
JPS58196535A (ja) オ−トフオ−カス可能な35mmレンズシヤツタ−コンパクトカメラ
JPH0297927A (ja) カメラ
JPH07114058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