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99B1 - 덮개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덮개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99B1
KR930006999B1 KR1019900008240A KR900008240A KR930006999B1 KR 930006999 B1 KR930006999 B1 KR 930006999B1 KR 1019900008240 A KR1019900008240 A KR 1019900008240A KR 900008240 A KR900008240 A KR 900008240A KR 930006999 B1 KR930006999 B1 KR 93000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using
opening
link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05A (ko
Inventor
마사 노리 누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91000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45C13/345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with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rad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5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6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 E05Y2201/266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E05Y2999/00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덮개체의 개폐장치
제1도∼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종단면도.
제2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종단면도.
제4도는 덮개체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확대도.
제6, 7도는 요부단면도.
제8, 9도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링크기구의 각 사시도.
제10∼제1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0도는 정면도.
제11도는 측면도.
제12도는 종단면도.
제13도는 다른 일부의 종단면도.
제14도는 덮개체의 횡단면도.
제15도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측면도.
제16도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7,18도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링크기구의 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트인구멍부 3 : 하우징
4 : 덮개체 5a, 6a : 제1링크부재
5b, 6b : 제2링크부재 7, 8 : 링크기구
18 : 로크수단으로서의 영구자석 25 : 탄발수단으로서의 스프링
29 : 제동수단으로서의 회전댐퍼
본 발명은 덮개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자동차의 센터 콘솔박스 등에 사용하거나, 운전석과 조수석측에서부터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개폐장치로서는 도어구멍이나, 창구멍 등의 문을 두 방향으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들어 일본국 공기실용공보(공개번호 ; 실개소 56-22273호), 동(공개번호 ; 동(실개소 56-140669호), 동(실개소 56-174681호), 동(실개소 59-62287호), 동(실개소 ; 58-27473호), 동(실개소 58-37375호), 동(실개소 61-22878호) 또한, 본 출원인은 네방향으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덮개체의 개폐장치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실용신안출원(출원번호 ; 실원소 63-102047호)].
그러나, 종래의 개폐장치는 어느 것도 문이나, 덮개체에 힌지축을 출입시키기 위한 기구를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문이나 덮개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대형화 되었으며, 또한 그 두께가 두꺼워져서 중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이면서 박형인 덮개체를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교적 소형이면서 박형인 덮개체에 적합한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그 내용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특허청구범위 1항에 기재한 덮개체의 개폐장치는 하우징(3)과 덮개체(4)의 사이에 이 덮개체의 개폐방향의 양측으로 트인구멍부(2)를 찝어서 걸치고 일단부를 하우징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타단부를 덮개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1링크부재(5a, 6a)와, 이 제1링크부재와 서로 대향하고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와 같은 측의 일단부를 덮개체에, 타단부를 하우징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제2링크부재(5b, 6b)로 된 기구(7, 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특히 청구범위 2항에 기재한 덮개체의 개폐장치는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제1, 제2링크부재(5a,5b,6a,6b)를 개별적으로 걸어 붙일 수 있는 로크수단(예를들면 영구자석 18)을 형성한 것이고, 특허청구범위 3항에 기재한 덮개체의 개폐장치는 하우징(3)과 덮개체(4) 사이에, 덮개체를 개폐 2방향으로 각각 탄지하는 2개의 탄발수단(예를들면 완만히 감아진 스프링 25)을 형성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 4항에 기재한 개폐장치는 하우징(3)과 덮개체(4) 사이에, 2개의 탄설수단(25), (25)의 탄설력을 개개로 감쇄하는 2개의 제동수단(예를들면 댐퍼(29)을 형성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1항에 기재한 장치는, 제1, 제2링크부재(5a, 5b, 6a, 6b)로 하우징(3)과 덮개체(4) 사이에 형성할 수가 있다.
특허청구범위 2항의 장치는 로크수단(18)에 의하여 덮개체(4)를 닫힌 위치로 로크할 수 있을뿐 아니라 개방시는 제1, 2링크부재(5a, 5b, 6a, 6b)를 택일적으로 작동시킬 수가 있으며, 특허청구범위 3항의 장치는, 로크수단(18)의 해제조작으로 2개의 탄설수단(25), (25)이 개별적으로 작동하고 덮개체(4)는 개폐 2방향중 어느 일방으로 각각 자동적으로 열린다.
특허청구범위 4항의 장치는, 2개의 제동수단(2)(29)이 개별적으로 작동하고 덮개체 작동하고 덮개체(4)는 개폐 2방향으로 각각 정숙하게 또 천천히 열린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도면중 (1)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 콘솔박스(Center Console Bax)를 표시하며, 이 콘솔박스(1)는 상면에 방형(方形)의 트인구멍부(2)를 갖는 중공 하우징(3)과, 이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트인구멍부(2)의 마주한 양측, 여기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좌우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덮개체(4)로 되며, 상기 하우징(3)과 덮개체(4)는 각각 프라스틱 성형품이다.
상기 하우징(3)과 덮개체(4)사이에는 제4, 5도에서와 같이 이 덮개체(4)의 개폐방향의 양측, 여기서는 좌우로 트인구멍부(2)를 끼워 덮어지고 일단부를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타단부를 덮개체(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1링크부재(5a, 6a)와, 이 제1링크부재(5a, 6a)와 마주 대향하고, 제1링크부재(5a, 6a)의 일단부와 같은 측의 일단부를 덮개체(4)에, 타단부를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2링크부재(5b, 6b)로 된 링크기구(7, 8)을 설치한다.
상기 링크기구(7, 8)는 하우징(3)의 트인구멍부(2)를 물어서 전후로 대향한 하우징(3)의 앞 측벽(9)의 위 가장자리를 따른 앞측 링크기구(7)와, 하우징(3)의 후측 측벽(10)의 위 가장자리를 따른 후측 링크기구(8)로 구성한다.
그리고 덮개체(4)에는 제4, 7도에서와 같이 하면 개방한 중공케이스상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각 링크기구(7)(8)가 각각 아래에서 끼울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덮개체(4)의 앞 가장자리부(1)의 내측면에 안쪽을 향한 전방리브(12)와, 뒤 가장자리부(13)의 내측면에 대향한 후방리브(14)를 형성한다.
먼저, 앞측 링크기구(7)에 대해 설명하면, 하우징(3)의 앞측 측벽(9) 좌우 양단부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위 가장자리로부터 위로 뻗은 1쌍의 축받이편(15)(15)을 형성하여 각 축받이편(15)의 상단부에는 제1, 2링크부재(5a, 5b)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각 고정축(16a, 16b)을 앞측 측벽(9)의 두께 방향으로 축설한다.
제1, 2링크부재(5a, 5b)는 금속재로, 그 전길이는 1쌍의 고정축(16a, 16b)의 간격보다 약간 길게 이 고정축(16a, 16b)의 축 방향의 양측에 약간 떨어져 대향시킨다.
덮개체(4)의 앞 가장자리부(11)와 대향한 제1링크부재(5a)는, 그를 향하여 우측단부를, 같은 측이 고정축(16a)에 축 설치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좌우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b)의 축선상으로 떨어져 위치한 가동축(17a)에 의하여 앞 가장자리부(11)의 내면에 축 설치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5)a와 고정축(16a, 16b)를 찝어서 상대향한 제2링크부재(5b)는 그를 향하여 좌측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b)에 축 설치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우축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a)의 축선상으로 떨어져 위치한 가동축(17b)에 의하여 앞 가장자리부(11)에 대향 전방리브(12)의 대향면에 축 설치한다.
그리고 하우징(3)의 앞측 측벽(9)의 대체로 중앙에는 제6, 7에서와 같이 제1, 2링크부재(5a,6a)의 바로 아래에 금속재의 링크부재(5b, 5b)를 빨아들이는 로크부재로서의 영구자석(18)을 매설상태로 고정한다. 또 하우징(3)의 좌우측벽(19, 20) 외면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그 대체로 중앙상부에 덮개체(4)의 아래 가장자리에 손가락이 아래로부터 걸리도록 얕게 파인 안내홈(21)을 형성한다.
한편, 덮개체(4)의 좌우 가장자리부(22,23)에는 제5도에서와 같이 덮개체(4)가 열릴 때에 이 가장자리부(22, 23)가 축받이편(15)이 닿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그 하단에서 ㄱ자형의 도려낸부(24)를 형성한다.
상기 후측 링크기구(8)의 재1, 2링크부재(6a, 6b)는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앞측 링크기구(7)가 제1, 2링크부재(5a, 5b)와 하우징(3)의 트인구멍부(2)를 찝어서 동일 배치관계에 있다. 즉 덮개체(4)의 후방리브(14)와 대향한 제1링크부재(6a)는 그를 향하여 우측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c)에 축 설치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좌측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d)의 축선상으로 떨어져 위치한 가동축(17c)에 의하여 뒤 가장자리부(13)에 대향한 후방리브(14)의 대향면에 축 설치한다. 또 상기 제1링크부재(6a)와 고정축(16c, 16d)를 찝어서 상대향한 제2링크부재(6b)는, 그를 향하여 좌측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d)에 축 설치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우측 단부를, 같은 측의 고정축(16c)의 축선상으로 떨어져 위치한 가동축(17d)에 의하여 뒤 가장자리부(13)의 내면에 축 설치한다.
따라서, 앞측 링크기구(7)의 제1링크부재(5a)와 후측 링크기구(8)의 제1링크부재(6a)는, 앞측 링크기구(7)의 제2링크부재(5b)와 후측 링크기구(8)의 제2링크부재(6b)가 동일축 지지관계에 있고 각각은 조를 이룬다.
그리고, 조립된 상태의 콘솔박스(1)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격판에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콘솔박스(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서 닫힌 상태의 덮개체(4)를 열때에는 열고 싶은 측으로부터 하우징(3)의 좌우측벽(19, 20)에 있고, 얕게 파여진 안내홈(21)에 손가락을 따라 넣고, 손가락을 덮개체(4)의 아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여 위로 들어올리면 된다. 예를들면, 덮개체(4)의 좌측의 좌측 가장자리부(22)를 들어올리면, 제8도에서와 같이 제1링크부재(5a, 6a)는 개방 방향전방에 위치한 고정축(11a, 16c)을 지지점으로 덮개체(4)와 일체로 상측으로 선회하고 우측으로 열린다. 이때, 제2링크부재(5b, 6b)는 개방방향의 바로 앞단부가 하우징(3)의 고정축(16b, 16d)에 축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회할 수 없고, 영구자석(18)에 흡착된 그대로 기운상태를 유지한다. 또 영구자석(18)에 의하여 덮개체(4)를 열 때에, 제2링크부재(5b, 6b)가 제1링크부재(5a, 6a)와 동시에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덮개체(4)가 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4)의 최대 개방위치는 덮개체(4)의 외면이 하우징(3)의 우측벽(20)의 위 가장자리에 닿음으로써 규제한다(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참조). 그리고 덮개체(4)를 닫으면, 제1링크부재(5a, 6a)는 고정축(16a, 16c)을 지지점으로 덮개체(4)와 일체로 아래로 선회하고, 덮개체(4)의 아래 가장자리가 하우징(3)의 트인구멍 위 가장자리에 맞닿은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되고, 제1링크부재(5a,6a)가 영구자석(18)에 흡착된다(제1, 6, 7도).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진동등으로, 덮개체(4)가 불시에 열리는 사례는 없게 된다.
또, 덮개체(4)를 반대측의 우측으로부터 열면, 제9도에서와 같이 제2링크부재(5b, 6b)가 고정축(16b, 16d)을 지지점으로, 덮개체(4)와 일체로 상측으로 선회하여 좌우로 열리고, 이때 제1링크부재(5a, 6a)는 선회하지 않는다. 그리고, 닫힐때에는, 제2링크부재(5b, 6b)는 같이 고정축(16b, 16d)를 지지점으로 덮개체(4)와, 일체로 아래로 선회하여 닫힌다.
또, 도면에 표시한 콘솔박스(1)를 90도 회전시켜 부착하면, 앞자리와 뒷자리 좌석에서 덮개체(4)를 개폐할 수도 있다.
제10∼18도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덮개체(4)의 자동개방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방장치는, 덮개체(4)를 개방 2방향으로 각각 탄설한 2개의 탄설수단과 양 탄설수단의 탄설력을 각각 쇠퇴하는 제동수단과, 양 탄설수단의 탄설력에 저항하여 덮개체(4)를 닫힌 위치로 로크함과 동시에 해제조작으로 덮개체(4)의 일방향의 개방을 가능한 로크수단으로 된다.
다음에, 앞측 링크기부(7)에 관련한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탄설수단에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완만히 감아진 스프링(25)을 사용한다.
먼저, 하우징(3)의 앞측 측벽(3)의 내면에는 암(26)의 일단부를 선회측에 의하여 축 설치하고, 이 선회축(27)을 지지점으로 암(26)이 상측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그 타단 자유단부에 의해 덮개체(4)의 전방리브(12)의 아래 가장자리에서 밀어올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만형 권 스프링(25)은 암(26)의 선회축(27)을 통하여 그 일단을 암(26)에, 타단을 휘인상태로, 상측 측벽(9)에 고정한 걸어붙임편(28)에 걸어서 완만히 감아진 스프링(25)의 복원력으로 암(26)을 지지점에 상측으로 선회하도록 탄설한다.
상기 제동수단에는, 오일등의 점성저항을 이용한 회전댐퍼(Damper)(29)를 사용하고, 상기 암(26)에 선회축(27)을 중심으로 한 섹터기어(30)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 섹터기어(30)의 외주의 외치(30')에 맞물릴 기어(31)을 고정한 회전댐퍼(29)를 하우징(3)의 앞측 측벽(9)의 내면에 고정한다. 또, 상기 로크수단은 제2링크부재(5b)의 가동측(17b)를 전방리브(12)를 관통시켜서 덮개체(4)의 내부에 가로로 돌출시킨 연장축부(17')와, 이 연장축부(17b')에 옆에서 걸리는 후크부(32a)를 가지며, 하우징(3)의 우측벽(20)에 개설한 창부(33)를 통하여 출입하는 푸쉬보턴(32)과, 이 보턴(32)을 스라이드 기능아래 지지하고, 상기 우측벽(20)에서 하우징(3)내부에 돌출한 베이스(34)와, 이 베이스(34)와 보턴(32) 사이에서 압축하여 보턴(32)을 항상 창부(33)에서 하우징(3)의 밖을 향하여 탄지하는 코일스프링(35)과, 상기 보턴(32)의 후크부(32a)에 마주하고, 이 후크부(32a) 사이에서 제2링크부재(5b)의 연장축부(17b') 양측에서 찝는 "ㄴ"자형 단면의 대향편(36)으로 구성한다.
한편, 후측 링크기구(8)의 개방장치는, 상기한 앞측 링크기구(7)의 것과, 하우징(3)의 트인구멍부(2)를 찝어서 대칭으로 배치하고, 암(26)을 덮개체(4)의 후방리브(14)의 아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어 완만형 권스프링(25)의 복원력으로 덮개체(4)가 우측위로 열리게 한다. 또 푸쉬보턴(32)은 하우징(3)의 좌측 측벽(19)을 관통시켜서 향한 좌측으로 설치하고, 그 훅크부(32a)에 의해 제1링크부재(6a)이 가동축(17c)의 연장축부(17c')를 걸어붙인다. 또 앞측 링크기구(7)의 것과 같은 구성부분에 대하여 같은 부호를 표시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조립상태의 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닫힌 상태의 덮개체(4)를 여는 데는, 열고싶은 측에서 하우징(3)의 좌우측벽(19, 20)에 설치한 푸쉬보턴(32)을 누르면 된다.
예를들면 하우징(3)의 좌측벽(19)에 설치한 푸쉬보턴(32)은, 코일스프링(35)의 복원력에 대향하여 누르면 이 보턴(32)은 후퇴하고, 그 후크부(32a)는 대향편(36)으로부터 격리하고 제1링크부재(6a)의 가동축(17c)의 연장축부(17c')를 석방한다.
이로서 덮개체(4)는 그 후방리브(14)가 완만형 권 스프링(25)의 복원력으로 상측으로 선회하는 암(26)의 자유단부에 의해 아래에서 밀어 올려져서 제1링크부재(5a, 6a)가 고정축(16a, 16c)를 지지점으로 상측에 회동하고 덮개체(4)는 우측위로 열린다(제17도). 이때 암(26)의 섹터기어(30)가 변위하여 그것에 맞물릴 회전댐퍼(29)의 기어(31)가 회전하여 회전댐퍼(29)내의 오일의 점상저항에 의해 완만형 권 스프링(25)에 의한 암(26)의 선회력을 감쇄시킨다.
따라서 푸쉬보턴(32)을 누르면, 덮개체(4)는 정숙하게 또 천천히 열린다.
한편, 덮개체(4)를 덮개체(4)를 완만형 권 스프링(25)의 탄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누르면 된다. 덮개체(4)를 아래로 누르면, 제1링크부재(5a, 6a)는 각 고정축(16a, 16c)을 지지점으로 하측으로 회동하고, 닫힘 직전에 그 가동축(17c)의 연장축부(17c')는 하우징의 대향편(36)과 이 대향편(36)에 코일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압점하고 있는 푸쉬보턴(32)의 후크부(32a) 사이에, 상측에서 뚫고 들어가 푸쉬보턴(32)을 코일스프링(35)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일단, 후퇴하는 것으로, 후크부(32a)와 대향편(36)의 간격내에 끼워진다(제12도).
이로인해 덮개체(4)는 완만형 권 스프링(25)에 축적한 복원력에 저항하여 닫힘 위치에 토크한다. 또 덮개체(4)를 닫을 때에는, 회전댐퍼(29)에 의한 제동력이 작동하나, 회전댐퍼(29)와 암(26) 사이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거나, 일방향성의 댐퍼를 사용하는 것으로 덮개체를 닫는 방향에는, 제동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한편 하우징(3)의 우측벽(20)이 설치한 푸쉬보턴(32)을 압압조작한 경우에도, 같이하여 덮개체(4)는 정숙하고 또 천천히 좌우로 열린다(제18도).
또,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센터 콘설박스(1)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자동차 기타 서랍 등의 덮개나 문짝에 이용해도 되고 또 자동차 이외의 가구나 사무용품이나 전기 기기의 덮개나 문짝에 이용해도 된다.
또 상측으로 여는 덮개체(4)를 예로 하였으나, 하우징(3)의 트인구멍부(2)가 옆으로 개방하고 있으면 덮개체 조우 옆으로나, 상하방향으로 열도록 해도 되며, 트린구멍부(2)가 하향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아래로 열리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후로 링크기구(7, 8)를 1쌍 설치했으나, 링크기구는 한쪽만 설치해도 된다. 또 로크수단도, 도시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덮개체(4)의 누름조작으로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덮개체(4)가 되돌아오는 이른바 부상대치 등을 사용해도 되며, 이 경우 외부조작 보턴(32)을 생략할 수가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의 탄설수단도 완만한 권 스프링(25)에 한하지 않고 스프링이나 태엽 등을 사용해도 되며, 또 탄설수단에 의해 링크부재 혹은 덮개체(4)를 직접 회전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암(26)은 생략할 수가 있고, 또 암(26)은 덮개체(4)의 각 리브(12, 14)에 대해 각각 작용시켰으나, 링크기구(7, 8)에 대하여 작용시켜도 된다.
다시, 제동수단(29)으로서 회전식 오일댐퍼를 사용하였으나, 회전식이면 카바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회전식에 한하지 않고, 피스톤 실린더형의 에어, 오일, 가스주입식 댐퍼 등을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특허청구범위 1항의 장치는 제1, 2링크부재를 하우징과 덮개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덮개체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어 비교적 소형의 제품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 2항의 장치는, 로크수단에 의해 덮개체를 닫힌 위치에 로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2링크부재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고, 특허청구범위 3항의 장치는, 덮개체를 개폐 1방향으로 각각 자동적으로 열리게 할 수가 있고, 특허청구범위 4항의 장치는 덮개체를 개폐 2방향으로 각각 정숙하게 또 천천히 열게 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트인구멍부(2)를 가진 하우징(3)과, 이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축 지지하고 상기 트인구멍부의 상대향한 양측에서 각각 개폐가능한 덮개체(4)로 된 덮개체(4)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 상기 하우징(3)과 덮개체(4)의 사이에는, 이 덮개체(4)의 개폐방향 양측으로 트인구멍부(2)를 찝어 펼치고 일단부는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타단부를 덮개체(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1링크부재(5a)(6a)와 ; 이 제1링크부재(5a)(6a)와 서로 대향하고 제1링크부재 일단부와 같은 측의 일단부를 덮개체(4)에, 타단부를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2링크부재(5b)(6b)로 된 링크기구(7)(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3)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는 제1, 2링크부재(5a)(6a)(5b)(6b)를 개별적으로 걸어 붙여지게 로크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의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3)과 덮개체(4) 사이에는 덮개체(4)을 개폐 2방향으로 각각 탄설한 2개의 탄발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의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3)과 덮개체(4) 사이에는 2개의 탄설수단의 탄지력을 개개로 감쇄하는 2개의 제동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의 개폐장치.
KR1019900008240A 1989-06-05 1990-06-04 덮개체의 개폐장치 KR930006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1252 1989-06-05
JP1141252A JP2789223B2 (ja) 1989-06-05 1989-06-05 蓋体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05A KR910001205A (ko) 1991-01-30
KR930006999B1 true KR930006999B1 (ko) 1993-07-26

Family

ID=1528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40A KR930006999B1 (ko) 1989-06-05 1990-06-04 덮개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67625A (ko)
JP (1) JP2789223B2 (ko)
KR (1) KR930006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647A (en) * 1991-03-29 1993-03-23 Raytheon Company Clothes dryer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reversing mounting side
FR2680312B1 (fr) * 1991-08-14 1994-11-04 Moulinex Sa Appareil de cuisson tel que, par exemple, une friteuse.
US5441167A (en) * 1992-12-21 1995-08-15 Toyoda Gosei Co., Ltd. Storage area and hinge structure
US5361927A (en) * 1993-06-28 1994-11-08 Max Display Fixtures & Woodworks Damped hinge mounting mechanism
DE4340083C2 (de) * 1993-11-24 1996-05-23 Huwil Werke Gmbh Schließvorrichtung für Koffer, insbesondere Dachkoffer für Kraftfahrzeuge
DE4401558A1 (de) * 1994-01-20 1995-07-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für einen Gepäckraum eines Kraftfahrzeugs
JP2955813B2 (ja) * 1994-01-21 1999-10-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オイルダンパを用いた鍵盤蓋開閉装置
JPH08184237A (ja) * 1994-12-28 1996-07-16 Nifco Inc 回動蓋のロック機構
JP3314903B2 (ja) * 1995-07-04 2002-08-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DE59510988D1 (de) * 1995-10-06 2005-03-17 Impex Patrick Wyss Moenchaltor Teil für eine zweiteilige Box, Box aus solchen Teilen und Satz solcher Teile
US6142333A (en) * 1996-05-31 2000-11-07 Piolax Inc. Bi-directional lid opening apparatus
US5713498A (en) * 1996-06-14 1998-02-03 Cucci; Charles A. Roof top cargo container
DE19646645C2 (de) * 1996-11-12 1999-11-04 Daimler Chrysler Ag Behälter
US6336567B1 (en) * 1997-06-13 2002-01-08 Kakizaki Manufacturing Co., Ltd. Magnetic secured container closure with release by movement of magnetic member
US6003716A (en) * 1997-09-05 1999-12-21 Ford Motor Company Dual opening console
US6116674A (en) * 1997-09-05 2000-09-12 Ford Motor Company Removable console for use with a vehicle
US6399882B1 (en) 1998-10-02 2002-06-0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ual-hinged door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US6374089B1 (en) * 1999-03-18 2002-04-16 Ericsson Inc. Rotary damper
US6250729B1 (en) 1999-09-27 2001-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ual opening sliding console for use with a vehicle
FR2816563B1 (fr) * 2000-11-14 2003-02-28 Sai Automotive Allibert Ind Console centrale de vehicule automobile
WO2002087987A1 (en) * 2001-04-30 2002-11-07 Southco, Inc. Ambidextrose console lid
US6752444B2 (en) * 2001-05-28 2004-06-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installation apparatus for moving body
AR030763A1 (es) 2001-09-19 2003-09-03 Amilcar Felix Sosa Dispositivo autoportante para abisagrar hacia lados opuestos
DE10151704C2 (de) * 2001-10-19 2003-10-23 Draexlmaier Lisa Gmbh Deckelöffnungsmechanismus und Fahrzeugmittelkonsole
US6761388B2 (en) 2002-01-08 2004-07-13 Plastech Engineered Products Console system having a double-hinged lid
US6921118B2 (en) * 2002-04-22 2005-07-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liding and nesting console system
US7152897B2 (en) * 2002-04-22 2006-12-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rticle attachment system
US6981606B2 (en) * 2002-04-24 2006-01-03 Simplehuman Llc Trash can assembly
DE10228399A1 (de) * 2002-06-25 2004-01-15 Daimlerchrysler Ag Staufach für ein Fahrzeug
JP4030371B2 (ja) * 2002-07-10 2008-01-09 株式会社栄商会 眼鏡ケース
EP1536981B1 (en) * 2002-09-12 2007-07-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oor console
DE102004025655B3 (de) * 2004-05-26 2005-10-27 Lisa Dräxlmaier GmbH Klapp-Deckel eines Gehäuses
DE502005010657D1 (de) * 2004-10-05 2011-01-20 Faurecia Innenraum Sys Gmbh Deckelöffnungs-mechanismus
FR2877900B1 (fr) * 2004-11-12 2007-01-12 Plasthom S A Sa Bac de rangement a ouverture assiste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4530826B2 (ja) * 2004-12-07 2010-08-2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荷箱における開閉蓋の開閉支持装置
US20060278643A1 (en) * 2005-06-10 2006-12-14 Chin-Fu Chiou Garbage can
US20070034635A1 (en) * 2005-08-15 2007-02-15 Chin-Fu Chiou Garbage can
DE102005057402B4 (de) * 2005-11-30 2007-08-0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Öffnungs-Mechanismus zur Öffnung eines Deckels von zwei gegenüberliegenden Seiten
JP4772541B2 (ja) * 2006-03-14 2011-09-14 株式会社ニフコ 両開きリッド装置及び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779821B2 (ja) * 2006-06-22 2011-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収納箱
JP4898476B2 (ja) * 2007-02-05 2012-03-1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リッド開閉機構
US7810862B2 (en) * 2007-02-14 2010-10-12 89908,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US7748762B2 (en) * 2007-09-19 2010-07-06 Honda Motor Co., Ltd. Vehicle console assembly
US20090174206A1 (en) * 2008-01-04 2009-07-09 Daniel Roger Vander Sluis Multi-positional lid for a vehicle console
JP5471703B2 (ja) * 2009-09-28 2014-04-16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
KR101119598B1 (ko) * 2010-03-05 2012-02-22 곽삼율 스크린 인쇄판 보호구
US8888025B2 (en) * 2010-03-09 2014-11-18 Buyers Products Company Truck-mounted material spreader
JP5364047B2 (ja) * 2010-06-18 2013-12-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ヒンジ装置
US8191953B2 (en) 2010-07-02 2012-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8573552B2 (en) * 2010-09-29 2013-11-05 Lear Corporatio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KR101237167B1 (ko) * 2011-05-19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물품수납박스
US8360269B1 (en) * 2011-07-09 2013-01-29 General Jack Technology Ltd. Communication box
JP5880240B2 (ja) * 2012-04-16 2016-03-08 豊田合成株式会社 両開き収納ボックス
DE112012006568T5 (de) * 2012-06-20 2015-03-12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Zum Öffnen in zwei verschiedene Richtungen eingerichtete Aufbewahrungsvorrichtung
US20140090634A1 (en) * 2012-09-28 2014-04-03 Fan Li Reduce impact by barbecue smoke
US9302628B2 (en) * 2013-04-02 2016-04-05 Lund Motion Products,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EP2796248A1 (en) * 2013-04-25 2014-10-29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Toolbox lid
US20140375196A1 (en) * 2013-06-22 2014-12-25 Cisco Technology, Inc. Dual Hinge Mechanism For A Bezel Of A Computer Housing
CN104590070B (zh) * 2013-10-30 2017-01-1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多向开启扶手和车辆
DE102013019389A1 (de) 2013-11-18 2015-05-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schließbare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von Gegenständen in einem Fahrzeug
DE102013112998B4 (de) * 2013-11-25 2021-10-21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Deckel eines Windschutzes einer Präzisionswaage sowie Windschutz für eine Präzisionswaage
US20160114732A1 (en) * 2014-10-22 2016-04-28 Toyoda Gosei Co., Ltd. Dual swing container device
EP3088243B1 (en) * 2015-04-28 2021-07-21 Volvo Car Corporation Arm rest for a vehicle seat
EP3088253B1 (en) * 2015-04-28 2022-01-05 Volvo Car Corporation Arm rest for a vehicle seat
EP3458306B1 (en) * 2016-05-18 2020-12-16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US10344513B2 (en) 2017-08-18 2019-07-09 Shanghai Yang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US20190093405A1 (en) * 2017-09-22 2019-03-28 Steven Cohen Dual-Opening Cabinet Door
WO2019134926A1 (de) * 2018-01-05 2019-07-11 Buerck Moritz Haushaltsgerät mit beidseitig angeschlagener tür
IT201800003129A1 (it) * 2018-02-28 2019-08-28 Tyche 3 Srl Sistema di apertura e chiusura meccanico per una valigetta
JP6848929B2 (ja) * 2018-04-17 2021-03-24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7240342B2 (ja) * 2020-02-04 2023-03-15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及び、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113602201B (zh) * 2021-08-30 2023-02-14 宁波井上华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方便取物的新型中央通道电动翻转扶手
CN115027340A (zh) * 2021-09-14 2022-09-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杯托及车辆
CN114987344A (zh) * 2022-06-07 2022-09-0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内部部件
DE102022123204B4 (de) 2022-09-12 2024-03-21 Lisa Dräxlmaier GmbH Klappeinheit für eine Klapp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lapp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3987A (en) * 1915-12-13 1916-11-07 Keyes Davis Company Inc Receptacle-cover.
US1384254A (en) * 1919-08-13 1921-07-12 Wilbert C Hagley Lid-operating device
US2124349A (en) * 1936-04-15 1938-07-19 Herbster George Door operating device
JPS5622273A (en) * 1979-07-31 1981-03-02 Nec Corp Magnetic tape retrieval unit
JPS56140669A (en) * 1980-04-04 1981-11-04 Fujikura Ltd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EP0053577A1 (de) * 1980-12-03 1982-06-09 Felix Kappler Einrichtung zum selbsttätigen Verschliessen eines Aufbewahrungsbehälters
DE3125496C2 (de) * 1981-06-29 1983-12-29 Wipf AG Verpackungen, 8404 Volketswil Überdruckventil zur Entlüftung von Verpackungen
JPS609757B2 (ja) * 1981-07-16 1985-03-12 三共株式会社 経口用セフアロスポリン化合物
JPS5827473A (ja) * 1981-08-10 1983-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信号出力装置
JPS58199981A (ja) * 1982-05-13 198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扉装置
JPS6122878A (ja) * 1984-02-25 1986-01-31 大橋 信子 ゲ−トインゴルフの新方式構造
IT207194Z2 (it) * 1986-05-15 1987-12-14 Campanini Giorgio Valigetta o valigia trasformabile.
JPS63146081U (ko) * 1987-03-14 1988-09-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05A (ko) 1991-01-30
US5067625A (en) 1991-11-26
JP2789223B2 (ja) 1998-08-20
JPH037636A (ja) 199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999B1 (ko) 덮개체의 개폐장치
US6012747A (en) Locking device
EP0985581A2 (en) Coat hook for vehicles
US4818003A (en)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n automotive vehicle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JPS6221107B2 (ko)
JPH04119078U (ja) 可動部材の往復可動装置
US5829851A (en) Floating gear damper
JP6656090B2 (ja) 車両用内装装置
US5944369A (en) Door handle release mechanism
JP3608184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0539005Y2 (ko)
JP3664518B2 (ja) 跳ね上げドア用のヒンジ
JP3609135B2 (ja) 車載用機器の扉開閉機構
JPH0719883Y2 (ja) アームレスト
KR10051029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2507036Y2 (ja) 車両用ボックスの開閉構造
KR100448079B1 (ko) 자동차용 리어선반 자동 개폐 장치
KR100925941B1 (ko)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KR200160490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JP2008189262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蓋部開閉アシスト機構
JPS6117868Y2 (ko)
JPH0667191U (ja) 自動車の物入れ装置
KR970001478Y1 (ko) 컵 홀더
JPH03130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