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941B1 -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41B1
KR100925941B1 KR1020040110754A KR20040110754A KR100925941B1 KR 100925941 B1 KR100925941 B1 KR 100925941B1 KR 1020040110754 A KR1020040110754 A KR 1020040110754A KR 20040110754 A KR20040110754 A KR 20040110754A KR 100925941 B1 KR100925941 B1 KR 10092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ray
drive gear
bracket
vehicle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776A (ko
Inventor
김홍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키지트레이(4)가 일체 장착된 샤프트(10)의 단부에 피동기어(11)를 설치하고, 이 피동기어(11)를 커버링셀프트림(20) 내측에 설치된 구동기어(40)에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기어(40)와 이 구동기어(40)의 회전핀(30)이 설치된 브라켓(23)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0)의 양단을 고정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패키지트레이(4)가 닫힐 때 비틀려졌던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테일게이트(1)를 열 때 패키지트레이(4)가 자동으로 열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패키지트레이(4)를 테일게이트(1)에 연동 개폐시키기 위해 채용되었던 로프와 중량추 등이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이들의 사용에 의해 발생되었던 구성의 조잡성으로 인한 제품 호감도 저하, 중량추에 의해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 로프의 원활하지 못한 작용에 의한 패티지트레이와 테일게이트의 작동성 저하 등의 문제가 모두 해결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a package tray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vehicle}
도 1은 종래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후방 사시도와 그 일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부인 회전핀의 정면도와 A-A선 단면도,
도 4는 샤프트 고정클립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패키지트레이, 10 : 샤프트,
11 : 피동기어, 12 : 스토퍼,
20 : 커버링셀프트림, 21 : 내측단,
22 : 외측단, 22a : 샤프트장착홀,
23 : 브라켓, 23a : 내측판,
23b : 외측판, 23b' : 스토퍼,
30 : 회전핀, 31 : 세레이션부,
32 : 스토퍼, 40 : 구동기어,
50 : 클립, 60 : 코일스프링,
61,62 : 삽입단.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일게이트를 열고 닫음에 따라 패키지트레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된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키지트레이(package tray)는 리어시트 뒤쪽 상부 즉, 리어윈드쉴드글래스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평평한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실내 공간과 트렁크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리어 스피커가 설치되거나 간단한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테일게이트(tail gate) 형식의 차량에서는 상기 패키지트레이가 테일게이트를 열고 닫음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되어 있어서, 패키지트레이 하부에 마련된 트렁크 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의 종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는 양쪽에 설치된 가스리프트(2)에 의해 잠 금장치가 해제 작동되었을 때 자동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테일게이트(1)의 양단에 로프(3)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로프(3)는 패키지트레이(4)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 구멍(4a)으로 삽입되고, 그 소정 거리 하측 단부에 중량추(5)가 달려 있다.
따라서, 테일게이트(1)가 열려지면 로프(3)가 딸려 올라가면서 중량추(5)가 구멍(4a)의 아래쪽 면에 걸리게 되어 패키지트레이(4)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열려지고, 테일게이트(1)를 닫을 때는 닫혀지는 테일게이트(1)에 의해 직접 밀리면서 패키지트레이(4)가 동시 하강하여 닫혀지게 되고, 이때 중량추(5)의 무게에 의하여 로프(3)는 다시 구멍(4a)으로 끌려 들어가서 원위치된다.
그런데, 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자동차에 있어서, 패키지트레이(4)를 여닫는데 상기와 같이 로프(3)와 중량추(5)등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자동차 구매 고객)에게 조잡하다는 느낌을 주게 되어 상품 호감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패키지트레이(4)가 닫혀진 보통의 주행상태에서 상기 중량추(5)가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는 로프(3)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주행중 트렁크 내부에서 중량추(5)가 덜그럭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였다.
특히, 트렁크에 화물을 실은 경우, 테일게이트(1)를 열 때 상기 중량추(5)가 화물들의 사이에 끼어 로프(3)가 잘 당겨지지 않음으로써 테일게이트(1)와 패키지트레이(4)가 잘 열리지 않게 되고, 또한, 테일게이트(1)를 닫을 때 로프(3)가 구멍(4a)으로 잘 내려가지 않고 중간 부분이 테일게이트(1)와 차체 사이에 끼이는 현상 이 발생하여 테일게이트(1)와 패키지트레이(4)가 잘 닫히지 않게 되는 등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프와 중량추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의 조잡함을 해소하여 상품의 호감도를 증대시키고, 또한, 실제 사용에 있어서도 중량추에 의한 덜거덕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테일게이트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패키지트레이가 원활하게 개폐될 뿐만 아니라 개폐장치의 구성 부분이 테일게이트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키지트레이의 전단에 일체로 장착되고, 양단부에 피동기어가 형성된 샤프트와; 커버링셀프트림 외측단에 형성된 샤프트장착홀 내부의 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핀에 장착되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브라켓과 구동기어에 양단이 고정되어 패키지트레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회전핀에 세레이션 결합되며, 회전핀의 세레이션부 내측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는 커버링셀프트림의 내측단에 클립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커버링셀프트림의 외측단 측면에 근접한 위치에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회전핀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되, 양단에 직각으 로 절곡성형된 삽입단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내측판과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
상기 구동기어와 브라켓 외측판에는 구동기어가 패키지트레이 열림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호 맞대어지는 사각 판재 형상의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다.
즉, 패키지트레이 자동 구동을 위한 부분 즉, 구동기어, 피동기어, 코일스프링 등이 모두 커버링셀프트림의 외측단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관이 간결해진다.
또한, 종래 로프와 중량추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던 구성의 조잡스러움, 소음, 원활하지 못한 작동 등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키지트레이(4)의 전단(차량의 앞쪽에 해당되는 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샤프트(10)의 단부쪽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부분은 도 1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R)의 뒤쪽 차체 부분으로서 커버링셀프트림(20)이라 칭하며, 이 커버링셀프트림(20)은 내측 테두리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하측의 내측단(21)과 상측의 외측단(22)━이하, 모든 내/외측의 구분은 차량의 종축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이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정하기로 한다.━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구동부는 상기 외측단(22)의 앞쪽 돌출부 내부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피동기어(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셀프트림(20)의 외측단(22) 내측 모서리에는 샤프트장착 홀(22a)이 형성되고, 이 샤프트장착홀(22a)의 내부, 보다 상세히는 커버링셀프트림(20) 외측단(22)의 앞쪽 단부 내측면에 브라켓(2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3)은 내측판(23a)과 외측판(23b)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내측판(23a)과 외측판(23b)에 형성된 구멍에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핀(30)이 브라켓(23)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핀(30)에는 구동기어(40)가 장착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핀(30)의 외주면에는 세레이션부(31)가 형성되어, 중앙 결합공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구동기어(40)가 회전핀(30)에 세레이션 결합되며, 세레이션부(31)의 일측면에는 스토퍼(32)가 형성되어, 구동기어(40)의 압입 위치를 제한해준다.
한편, 상기 샤프트(10)는 커버링셀프트림(20)의 내측단(21) 상면에 고정되는 클립(50)을 매개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클립(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단(21)에 형성된 장착공으로 삽입고정되는 삽입단(51)과, 삽입단(51) 상부의 베이스(52)와, 베이스(52) 상부의 파지부(53)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지부(53)가 양측의 둥근 탄성편(53a,53b)으로 이루어지고, 그 각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진 일반적인 형식의 샤프트 고정 클립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53a,53b)들 사이에 끼워진 샤프트(10)는 이탈이 방지되면서 일정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40)가 설치된 회전핀(30)에는 구동기어(40) 일측의 외주에 코일스프링(60)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0)은 양단이 각각 코일의 접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그 각 단부가 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성형되어 삽입단(61,62)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핀(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삽입단(61)은 브라켓(23)의 내측판(23a)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삽입단(62)는 구동기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60)은 패키지트림(4)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비틀려지지 않은 정상상태에 있도록 설치되며, 도 5는 패키지트레이(4)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60)은 시계방향으로 비틀려져 있는 상태로서 구동기어(4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40)의 외측면과 브라켓(23) 외측판(23b)의 내측면에는 구동기어(4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호 맞대어지거나 이격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스토퍼(41,23b')가 각각 형성되는데, 패키지트레이(4)가 열린 상태에서 양자는 서로 맞닿아 있게 되고, 패키지트레이(4)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시된 상태와 같이 구동기어(40)가 회전된 것에 의하여 두 스토퍼(41,23b')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0)에 있어서, 피동기어(11)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는 원판형의 스토퍼(12)가 설치되는데, 이 스토퍼(12)는 샤프트(10)가 정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링셀프트림(20)의 외측단(22) 내측면에 근접되어 샤프트(10)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패키지트레이(4)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 5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키지트레이(4)가 닫혀 있는 상태는 구동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코일스프링(60)이 시계방향으로 비틀져 있는 상태로서,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기어(40)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1)를 열면 패키지트레이(4)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므로 상기 코일스프링(60)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에 의해 구동기어(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도시된 화살표 방향), 이에 따라 구동기어(40)에 치합된 피동기어(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샤프트(10)가 동일방향으로 일체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패키지트레이(4)가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열려진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40)의 스토퍼(41)가 회전되어 브라켓(23) 외측판(23b)이 스토퍼(23b')에 맞닿음으로써 구동기어(40)를 일정 한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패키지트레이(4)를 적정 각도로 열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열려진 패키지트레이(4)는 테일게이트(1)를 닫음으로써 테일게이트(1)의 내측면에 눌려져 자연스럽게 동시에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때, 패키지트레이(4)와 일체로 상기 샤프트(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구동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열려진 상태에서 정상상태에 있던 코일스프링(60)이 시계방향으로 비틀려져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추후 테일게이트(1)를 다시 열 때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패키지트레이(4)가 열려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스프링과 기어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 개폐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 로프와 중량추를 이용하던 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먼저, 로프와 중량추 같은 조잡한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고, 작동장치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커버링셀프트림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에게 장치의 고급스러움이 강조되어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차량의 상품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차량 주행시 트렁크 공간내에서 중량추가 덜그럭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패키지트레이가 열리고 닫힘에 있어서, 중량추가 트렁크에 적재한 화물의 사이에 끼어 로프가 당겨지지 않음으로써 패키지트레이가 잘 열리지 않던 문제가 해소되었고, 패키지트레이를 닫을 때 로프가 제때에 하강하지 못하고 테일게이트와 차체의 사이에 끼임으로써 패키지트레이 뿐만 아니라 테일게이트도 원활히 닫히지 않게 되던 현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패키지트레이와 테일게이트가 원활하게 개폐 작동되므로 곧,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패키지트레이(4)의 전단에 일체로 장착되고, 양단부에 피동기어(11)가 형성된 샤프트(10)와;
    커버링셀프트림(20) 외측단(22)에 형성된 샤프트장착홀(22a) 내부의 브라켓(23)에 설치되는 회전핀(30)에 장착되어 상기 피동기어(11)에 치합된 구동기어(40)와;
    상기 브라켓(23)과 구동기어(40)에 양단이 고정되어 패키지트레이(4)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0)는 상기 회전핀(30)에 세레이션 결합되며, 회전핀(30)의 세레이션부(31) 내측부에는 스토퍼(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는 커버링셀프트림(20)의 내측단(21)에 클립(5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커버링셀프트림(20)의 외측단(22) 측면에 근접한 위치에는 스토퍼(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60)은 회전핀(30)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되, 양단에 직각으로 절곡성형된 삽입단(61,62)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3)의 내측판(23a)과 상기 구동기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각각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0)와 브라켓(23) 외측판(23b)에는 구동기어(40)가 패키지트레이(4) 열림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호 맞대어지는 사각 판재 형상의 스토퍼(41,23b')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KR1020040110754A 2004-12-22 2004-12-22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KR10092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54A KR100925941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54A KR100925941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776A KR20060071776A (ko) 2006-06-27
KR100925941B1 true KR100925941B1 (ko) 2009-11-09

Family

ID=3716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754A KR100925941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946A (zh) * 2019-09-12 2019-12-10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行李箱盖板固定装置、行李箱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36A (ja) 1982-09-16 1984-03-2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リヤパ−セルシエルフ構造
JPS61198143U (ko) 1985-05-31 1986-12-11
KR930011419B1 (ko) * 1989-07-13 1993-12-06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전위차계
JP2001063470A (ja) 1999-08-31 2001-03-1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36A (ja) 1982-09-16 1984-03-2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リヤパ−セルシエルフ構造
JPS61198143U (ko) 1985-05-31 1986-12-11
KR930011419B1 (ko) * 1989-07-13 1993-12-06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전위차계
JP2001063470A (ja) 1999-08-31 2001-03-1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776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999B1 (ko) 덮개체의 개폐장치
JP4293897B2 (ja) リッドの開閉装置
JP4125589B2 (ja) 小物入れ
KR100925941B1 (ko)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KR101585485B1 (ko) 차량의 사이드리드 구조
JPH03156083A (ja) フードのロック装置
JP3608184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10153044A (ja) 跳ね上げ式車両ドアの自動閉鎖装置
KR100195521B1 (ko) 자동차의 리어콘솔 개폐장치
JP4093005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速度緩和構造
KR100412439B1 (ko) 듀얼 댐퍼를 갖는 힌지 구조
KR101526757B1 (ko)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JPH1134747A (ja) 小物入れのロック構造
JPH0235111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KR100587931B1 (ko)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KR10051029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H07186837A (ja) 自動車用引出装置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100346037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KR200359888Y1 (ko)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JPH08213768A (ja) 車載用機器の扉開閉機構
JP3742682B2 (ja) 車輌用収納装置
JPH07291323A (ja) 蓋開閉装置
KR20230146803A (ko) 커버 팝인 타입의 차량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