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37B1 - 자동차의 보조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37B1
KR100346037B1 KR1020000028496A KR20000028496A KR100346037B1 KR 100346037 B1 KR100346037 B1 KR 100346037B1 KR 1020000028496 A KR1020000028496 A KR 1020000028496A KR 20000028496 A KR20000028496 A KR 20000028496A KR 100346037 B1 KR100346037 B1 KR 10034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dy
head lining
handle
bracket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206A (ko
Inventor
이호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3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보조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을 헤드 라이닝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초기 위치로의 복귀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급 커브 길의 주행 시나 측면 충돌시 탑승자와 핸들간의 부딪침에 의한 머리 부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10)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20,30)과; 양단이 브라켓(20,30)에 힌지축(50,6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핸들 본체(40)와; 핸들 본체(40)와 브라켓(20,30)간의 어느 일측 힌지축(50)에 개재되어 핸들 본체(40)를 헤드 라이닝(10) 상으로 밀착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오션 스프링(70)과; 토오션 스프링(70)에 개재된 힌지축(50)과 대향되는 힌지축(60) 상에 마련되어 헤드 라이닝(10) 상으로 복귀되는 핸들 본체(40)의 회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 핸들 {ASSIST GRIP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보조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운전자는 핸들을 잡고 있으므로, 신체의 안정이유지되는 것이지만, 조수석이나 뒷좌석의 승객은 신체의 안정을 도모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자동차에서는 사이드 도어와 인접된 헤드 라이닝상에 보조 핸들을 마련하여 승객의 신체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 핸들의 종래 구조를 보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헤드 라이닝(1)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핸들 본체(2)가 마련되며, 이 핸들 본체(2)의 양측단부에는 수평으로 체결홈(3a)이 형성된 탄성편(3)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핸들 본체(2)를 헤드 라이닝(1)상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탄성편(3)을 중심으로 어퍼 플레이트(4)와 로워 플레이트(5)가 개재되어 어퍼 플레이트(4)의 외측으로 부터 탄성편(3)의 체결홈(3a)과 로워 플레이트(5) 및 헤드 라이닝(1)을 따라 고정 스크류(S)를 관통 체결함으로써 핸들 본체(2)를 헤드 라이닝(1)상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
미설명부호(6)는 어퍼 플레이트(4)의 외측 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고정 스크류(S)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이다.
이러한 보조 핸들은, 사용자가 핸들 본체(2)를 잡게되면, 탄성편(3)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핸들 본체(2)를 놓게되면 탄성편(3)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핸들에 있어서는, 핸들 본체(2)를 잡고 놓는 동작에서탄성편(3)에 의해 핸들 본체(2)가 급속으로 복귀되면서 충돌 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특히 핸들 본체(2)의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 공간을 잠식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핸들 본체(2)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급 커브 길을 주행하거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 본체(2)에 부딪침으로써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우려가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핸들 본체를 헤드 라이닝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초기 위치로의 복귀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급 커브 길의 주행 시나 측면 충돌시 탑승자와 핸들 본체간의 부딪침에 의한 머리 부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브라켓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와 브라켓간의 어느 일측 힌지축에 개재되어 상기 핸들 본체를 헤드 라이닝 상으로 밀착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오션 스프링과; 상기 토오션 스프링에 개재된 힌지축과 대향되는 힌지축 상에 마련되어 헤드 라이닝 상으로 복귀되는 핸들 본체의 회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보조 핸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보조 핸들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헤드 라이닝 20,30 : 브라켓
31 : 끼움홈 40 : 핸들 본체
50,60 : 힌지축 70 : 토오션 스프링
80 : 감속축 81 : 구멍
82 : 걸림턱 90 : 감속부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보조 핸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 상태의 단면도로서, 헤드 라이닝(10) 상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브라켓(20,30)이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 브라켓(20,30)에는 핸들 본체(40)의 양단이 위치되어 힌지축 (50,6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이때 일측의 브라켓(20)과 핸들 본체(40)간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있는 힌지축(50) 상에는 일단이 브라켓(20)에 위치되고 타단이 핸들 본체(40)상에 위치되는 토오션 스프링(70)이 개재되는 바, 이 토오션 스프링(70)에 의해 핸들 본체 (40)는 항상 헤드 라이닝(10)을 향해 탄성 지지되어진다.
즉, 핸들 본체(40)는 탑승자가 잡아당긴 상태에서 이를 놓게 되면, 토오션 스프링(70)에 의해 헤드 라이닝(10)상에 밀착됨으로써 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토오션 스프링(70)을 통해 핸들 본체(40)에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서는, 탑승자가 잡아당긴 상태에서 놓게 되면 급속하게 복귀되어 헤드 라이닝(10)과 핸들 본체(40)간의 충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오션 스프링(70)이 개재된 측과 대향되는 타측 브라켓(30)과 핸들 본체(40)간의 힌지축(60) 결합부위에는 핸들 본체(40)의 복귀속도를 늦춰 부드럽게 헤드 라이닝(10)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감속수단이 개재된다.
이러한 감속수단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감속축(80)과 감속부쉬(90)로대별된다.
감속축(80)은, 브라켓(30)상에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구멍(8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감속축(80)이 브라켓(30)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감속축(80)의 일 측면에는 걸림턱(82)이 연장 형성되며, 대응되는 브라켓(30)에는 걸림턱(82)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홈(31)이 형성된다.
감속부쉬(90)는 힌지축(60)에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워 삽입되는 것으로서, 감속축(80)의 구멍(81)에 힌지축(60)과 함께 회전될 때 상호간에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즉, 면접촉되도록 끼워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보조 핸들은, 토오션 스프링 (70)에 의해 헤드 라이닝(10)상에 평행하게 위치된 핸들 본체(40)를 사용자 즉, 탑승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브라켓(20,30)을 중심으로 핸들 본체(40)가 회전하여 탑승자가 안정되게 신체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핸들 본체(40)를 잡아당길 때에는 핸들 본체(40)를 토오션 스프링(70)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푸쉬하는 것이기 때문에 탑승자는 매우 부드러운 느낌으로 이를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핸들 본체(40)를 놓게되면, 핸들 본체(40)는 토오션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되어 헤드 라이닝(10)상에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 본체(4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핸들 본체(40)와브라켓(30) 사이에 개재된 감속수단 즉, 감속축(80)과 감속부쉬(90)간의 면접촉에 따른 마찰에 의해 핸들 본체(40)는 급속하게 복귀되지 않고 매우 부드럽게 서서히 회전되어 헤드 라이닝(10)에 접촉된다.
따라서 급속한 복귀에 의한 충돌 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들 본체를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고 동시에 토오션 스프링에 의해 헤드 라이닝을 향해 탄성 지지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 핸들 본체가 헤드 라이닝에 평행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 본체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급커브 주행 시나 측면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 본체가 초기 위치로 복귀시 감속수단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되어 충돌 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를 채용한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더 한층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헤드 라이닝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브라켓에 힌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와 브라켓간의 어느 일측 힌지축에 개재되어 상기 핸들 본체를 헤드 라이닝 상으로 밀착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오션 스프링과; 상기 토오션 스프링에 개재된 힌지축과 대향되는 힌지축 상에 마련되어 헤드 라이닝 상으로 복귀되는 핸들 본체의 회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일측의 브라켓에 위치 고정되며 내면에 구멍이 관통 형성된 감속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채 상기 감속축의 내주면에 면접촉되어 상호간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감속부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핸들.
KR1020000028496A 2000-05-25 2000-05-25 자동차의 보조 핸들 KR10034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96A KR100346037B1 (ko) 2000-05-25 2000-05-25 자동차의 보조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96A KR100346037B1 (ko) 2000-05-25 2000-05-25 자동차의 보조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206A KR20010107206A (ko) 2001-12-07
KR100346037B1 true KR100346037B1 (ko) 2002-07-24

Family

ID=196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496A KR100346037B1 (ko) 2000-05-25 2000-05-25 자동차의 보조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206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55124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支持構造
JP2002331875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におけるリッドの開閉装置
US6276737B1 (en) Storage assembly for an overhead console
KR100346037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JP3903428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の押され防止構造
KR100399120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JP3454041B2 (ja) 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構造
JP3967451B2 (ja) 自動車用天井設置型収納装置
KR100461173B1 (ko) 차량 충돌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핸들 조립체
JP307044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ィール
KR100377146B1 (ko) 자동차의 어시스트 그립
KR100399118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JP4183055B2 (ja) 開き速度抑制構造
JP3292094B2 (ja) 自動車の内装材による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925941B1 (ko)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 개폐장치
KR200394998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JPS6321655Y2 (ko)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JP2000272428A (ja) 車両用物入れの蓋体開閉機構
KR100391313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
KR19990023759U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 고정 구조
JPH0669006U (ja) 自動車の物入れ装置
JP2000264064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開放防止装置
JPH06305365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4154841B2 (ja) 自動車のアンダ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