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998Y1 -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998Y1
KR200394998Y1 KR20-2005-0009540U KR20050009540U KR200394998Y1 KR 200394998 Y1 KR200394998 Y1 KR 200394998Y1 KR 20050009540 U KR20050009540 U KR 20050009540U KR 200394998 Y1 KR200394998 Y1 KR 200394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armrest
upper hinge
low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구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20-2005-0009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로어힌지부재(10)와, 상기 콘솔박스(1)의 상부를 개폐하는 암레스트(2)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타측은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2)를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20)와, 상기 어퍼힌지부재(20)를 로어힌지부재(10)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체(31)와, 상기 로어힌지부재(10)와 어퍼힌지부재(20) 사이에 고정된 이음방지부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이음방지부재(40)의 상부에 어퍼힌지부재(20)의 회동 시 마찰을 통하여 이 어퍼힌지부재(20)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42)가 경사지게 돌출된다.
따라서, 암레스트(2)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20)의 회동이 이음방지부재(40)에 형성된 댐퍼부(42)의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이 급격하게 개방되는 암레스트(2)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A Hinge Structure of an Armrest for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완화시켜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콘솔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사람이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않았을 때 팔은 어깨에 힘을 뺀 상태에서 팔의 아래부위를 약간 받쳐주는 자세가 가장 편안한 자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암레스트의 상부에 승원이 팔이 올려놓게 되면, 장기간 운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암레스트는 경첩 및 회동축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힌지를 통하여 콘솔박스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을 통하여 콘솔박스를 개방시켜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간편하게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는 암레스트의 무게를 감안하여 설계되어 부드러운 개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암레스트의 개방이 코일스프링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탄성부재에 의해 암레스트가 급격하게 개방될 경우 이를 예상치 못한 뒷자리의 승객이 부상당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완화시켜 안전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솔박스의 상부를 덮고 있는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완화시켜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안전성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솔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로어힌지부재와;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암레스트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타측은 로어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를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와;
상기 어퍼힌지부재를 로어힌지부재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로어힌지부재와 어퍼힌지부재 사이에 고정된 이음방지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이음방지부재의 상부에 어퍼힌지부재의 회동 시 마찰을 통하여 이 어퍼힌지부재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가 경사지게 돌출 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암레스트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의 회동이 이음방지부재에 형성된 댐퍼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본 고안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어퍼힌지부재의 측면에 이음방지부재가 샤프트를 통하여 축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어퍼힌지부재와 로어힌지부재 사이에 댐퍼부를 갖는 이음방지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나사 및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통하여 고정되는 로어힌지부재(1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에는 후술될 어퍼힌지부재(20)가 샤프트(30)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구멍(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30)를 통하여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힌지부재(20)는 일측에 상기 로어힌지부재(10)에 축 결합되는 어퍼암(21)이 관통구멍(22)을 갖고 연장되게 형성되어 축 결합되고, 타측은 콘솔박스(1)의 상부를 덮고 있는 암레스트(2)의 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힌지부재(20)가 샤프트(30)를 중심으로 로어힌지부재(10)의 상부방향을 향해 회동되는 것으로 콘솔박스(1)의 상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암레스트(2)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어퍼힌지부재(20)를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샤프트(30)의 양 단부에는 와셔(30a)가 체결되어 힌지구멍(12)과 관통구멍(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기 샤프트(30)가 로어힌지부재(10)에 형성된 힌지구멍(1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일단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퍼힌지부재(20)와 로어힌지부재(10)를 축 결합시키는 샤프트(30)에는 콘솔박스(1)에 락킹되어 있던 암레스트(2)가 승객에 의해 락킹 해제될 경우 상기 암레스트(2)를 자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체(31)가 결합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체(31)는 중심부의 연결고리(32)가 로어힌지부재(10)에 단속된 상태로 양 단부는 샤프트(30)에 감겨진 후 어퍼힌지부재(20)의 측면 안쪽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탄성체(3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30)를 중심으로 어퍼힌지부재(20)가 상부방향을 향해 자동으로 회동됨에 따라 콘솔박스(1)에 락킹되어 있던 암레스트(2)가 승객에 의해 락킹 해제될 경우 상기 어퍼힌지부재(20)를 따라 암레스트(2)가 회동되어 콘솔박스(1)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로어힌지부재(10)의 가이드부(11)와 어퍼힌지부재(20)의 어퍼암(21) 사이에는 양측면이 각각 가이드부(11)의 안쪽면과 어퍼암(2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어퍼힌지부재(20)의 작동 시 이음발생에 의해 불필요한 소음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음방지부재(40)가 샤프트(30)를 통하여 결합된 후 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41)를 통하여 가이드부(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방지부재(40)가 로어힌지부재(10)와 어퍼힌지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상기 로어힌지부재(10)의 가이드부(11)와 어퍼힌지부재(20)의 어퍼암(21)이 직접적으로 접촉될 경우 작동 시 마찰음이 발생됨은 물론 결합공정에 따라 이음이 발생되어 불필요한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이음방지부재(40)에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체(31)를 통한 어퍼힌지부재(20)의 회동 작동 시 암레스트(2)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뒷자리의 승객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42)가 형성된다.
이는, 암레스트(2)의 개방이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31)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탄성체(31)에 의해 암레스트(2)가 급격하게 개방될 경우 이를 예상치 못한 뒷자리의 승객이 부상당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음방지부재(40)의 상부에는 어퍼힌지부재(20)의 회동 시 어퍼암(21)과의 마찰을 통하여 이 어퍼힌지부재(20)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어퍼암(21)과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찰저항부(43)가 일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댐퍼부(42)가 어퍼암(21)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콘솔박스(1)의 상부에 고정된 암레스트(2)의 락킹을 상기 콘솔박스(1)의 내부에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해제하게 되면, 상기 암레스트(2)는 탄성체(3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콘솔박스(1)의 일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2)를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20)가 탄성체(31)의 차체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30)를 중심으로 상부 방향을 향해 회동될 경우 이음방지부재(4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댐퍼부(42)에 어퍼암(21)이 상기 어퍼힌지부재(20)의 회동을 따라 상부로 회동되면서 경사진 마찰저항부(43)에 서서히 밀착되어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어퍼암(21)과 마찰저항부(43)의 밀착에 의해 발생되는 댐퍼부(42)의 마찰저항을 통하여 상기 어퍼힌지부재(20)의 개방속도를 감속시키게 되어 암레스트(2)가 탄성체(3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개방될 경우 그 속도를 완화시켜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고 있는 암레스트(2)와 부딪쳐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암레스트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의 회동이 이음방지부재에 형성된 댐퍼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전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솔박스 2 - 암레스트
10 - 로어힌지부재 20 - 어퍼힌지부재
30 - 샤프트 31 - 탄성체
40 - 이음방지부재 42 - 댐퍼부

Claims (1)

  1.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이 가이드부(11)에는 힌지구멍(12)이 관통되게 형성된 로어힌지부재(10)와;
    상기 콘솔박스(1)의 상부를 개폐하는 암레스트(2)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저면에 관통구멍(22)을 갖고 연장되게 형성된 어퍼암(21)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2)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20)와;
    상기 힌지구멍(12)과 관통구멍(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로어힌지부재(10)에 어퍼힌지부재(20)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에 감겨진 상태로 중심부의 연결고리(32)가 로어힌지부재(10)에 단속되고, 양 단부는 어퍼힌지부재(20)의 측면 안쪽에 걸려 고정되어 자체 탄성력을 통해 어퍼힌지부재(2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체(31)와;
    상기 로어힌지부재(10)의 가이드부(11)와 어퍼힌지부재(20)의 어퍼암(21) 사이에 샤프트(30)를 통해 결합되고, 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41)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11)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면이 각각 상기 가이드부(11)의 안쪽면과 어퍼암(2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어퍼힌지부재(20)의 작동 시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이음방지부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어퍼힌지부재(20)가 탄성체(31)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방지부재(40)의 상부에는 어퍼암(21)과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찰저항부(43)가 일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댐퍼부(42)가 상기 어퍼암(21)을 향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20-2005-0009540U 2005-04-07 2005-04-07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200394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540U KR200394998Y1 (ko) 2005-04-07 2005-04-07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540U KR200394998Y1 (ko) 2005-04-07 2005-04-07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998Y1 true KR20039499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540U KR200394998Y1 (ko) 2005-04-07 2005-04-07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9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07B1 (ko) * 2007-11-13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07B1 (ko) * 2007-11-13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662B2 (en)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CA2136117C (en) Inertia hinge for seatback and armrest
US10486568B2 (en) Seat assemblies including an armrest with an armrest lid and a hinge arrangement
KR100510375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20070095538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200394998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JP2007111121A (ja) 乗物用シート
JP4244464B2 (ja) 二段収納容器
KR100401663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100552716B1 (ko) 후방 암레스트 잠금장치
JP2010221844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S6076431A (ja) 回動構造物のカバ−
JPH0711951U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00401662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CN219339288U (zh) 杯托总成和车辆
KR10082973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9990024688U (ko) 자동차의 간이용 거울 수납장치
KR100596617B1 (ko) 승용기기의 안전벨트 구조
KR200343922Y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슬라이드장치
JPS6321655Y2 (ko)
JPH0332448Y2 (ko)
KR100546933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슬라이드구조
KR100346037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JPH0669006U (ja) 自動車の物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