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375B1 -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375B1
KR100510375B1 KR10-2003-0028273A KR20030028273A KR100510375B1 KR 100510375 B1 KR100510375 B1 KR 100510375B1 KR 20030028273 A KR20030028273 A KR 20030028273A KR 100510375 B1 KR100510375 B1 KR 10051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oupled
hinge member
guide ra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485A (ko
Inventor
최기환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10-2003-002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3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에는 힌지구멍(12)이 형성된 로어힌지부재(10)와, 상기 힌지구멍(12)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가이드레일(22)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상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압착부(23)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부재(20)와, 상기 로어힌지부재(10)에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홈(32)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32)에는 가이드공(33)이 형성되어 암레스트(2)의 저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30)와, 상기 고정홈(32)에 일면이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가이드레일(22)에 밀착되어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로어힌지부재의 일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22)에 형성된 압착부(23)에 밀착되어 그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40)와, 상기 어퍼힌지부재(30)를 로어힌지부재(10)의 일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31)에 결합된 탄성부재(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의 양 단부는 압착부(23)를 벗어난 캡부재(40)를 가압하여 가이드레일(22)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공(33)에 삽입되어 상기 캡부재(4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콘솔박스(1)의 상부를 덮고 있던 암레스트(2)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이 압착부(23)에 의해 밀착된 캡부재(40)의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리어시트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는 암레스트(2)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방된 암레스트(2)가 일정각도 이하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가이드공(33)에 삽입된 탄성부재(50)의 일단이 캡부재(40)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마찰저항이 발생되도록 가이드레일(22)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콘솔박스(1)에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고 있던 승객의 신체 일부분이 암레스트(2)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Hinge Structure of Arm Res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개폐속도를 완화시켜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콘솔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사람이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않았을 때 팔은 어깨에 힘을 뺀 상태에서 팔의 아래부위를 약간 받쳐주는 자세가 가장 편안한 자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암레스트의 상부에 승원이 팔이 올려놓게 되면, 장기간 운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암레스트는 경첩 및 회동축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힌지를 통하여 콘솔박스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을 통하여 콘솔박스를 개방시켜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간편하게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는 암레스트의 무게를 감안하여 설계되어 부드러운 개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정각도 이하에서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급격하게 닫히게 되어 있어 승원의 신체 일부분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형의 물품을 콘솔박스에 수납하기 위하여 암레스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 후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를 덮기 위하여 암레스트를 놓게 되면, 이 암레스트는 자중에 의해 대략 45도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콘솔박스에 물품을 수납하고 있던 사용자가 미처 손을 빼지 않게 되면, 떨어지는 암레스트와 부딪쳐 심각한 부상을 당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암레스트의 개방이 코일스프링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탄성부재에 의해 암레스트가 급격하게 개방될 경우 이를 예상치 못한 뒷자리의 승원이 부상당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암레스트는 콘솔박스의 상부와 맞닿는 과정에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불러올 수 있으며, 이는 곧,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되어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암레스트의 개폐속도를 완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솔박스의 상부를 덮고 있는 암레스트의 개방속도를 완화시켜 리어시트에 착좌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된 암레스트가 일정각도 이하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솔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힌지구멍이 형성된 로어힌지부재와;
상기 힌지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가이드레일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압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로어힌지부재에 샤프트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홈이 파여지게 형성되어 암레스트의 저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와;
상기 고정홈에 일면이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가이드레일에 밀착되어 어퍼힌지부재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로어힌지부재의 일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압착부에 밀착되어 그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와;
상기 어퍼힌지부재를 로어힌지부재의 일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의 양 단부는 압착부를 벗어난 캡부재를 가압하여 가이드레일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캡부재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저면에 어퍼힌지부재가 결합된 암레스트의 개폐속도를 상기 어퍼힌지부재의 측면 양측 고정홈에 결합된 캡부재의 마찰저항을 통하여 감속시키게 되므로, 이 암레스트의 개폐에 의해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암레스트의 개폐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콘솔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로어힌지부재에는 일면에 압착부를 갖는 가이드레일이 파여지게 형성된 스토퍼부재가 결합되고, 암레스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어퍼힌지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압착부에 의해 상기 어퍼힌지부재와 밀착되어 그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어퍼힌지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면이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스토퍼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밀착된 캡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압착부에 의해 어퍼힌지부재와 가이드레일에 밀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어퍼힌지부재의 회동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캡부재가 가이드공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일단에 의해 어퍼힌지부재와 가이드레일에 밀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개폐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나사 및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통하여 고정되는 로어힌지부재(1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에는 후술될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구멍(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로어힌지부재(10)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부(11)의 내측면에는 상기 힌지구멍(12)과 동일한 위치로 관통구멍(21)이 뚫어지게 형성되고, 일면에는 가이드레일(22)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상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압착부(23)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부재(2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11)에는 다수의 체결구멍(11a)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2)이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부재(20)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체결구멍(11a)과 동일한 위치로 다수의 후크부(24)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4)를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체결구멍(11a)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토퍼부재(20)가 가이드부(11)에 결합되게 되어 본 발명을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스토퍼부재(20)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스토퍼부재(20)가 가이드부(11)에 결합된 로어힌지부재(10)에는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어퍼힌지부재(30)는 양 측면에 각각 고정홈(32)이 파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2)에는 가이드공(3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단은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콘솔박스(1)의 상부를 덮고 있는 암레스트(2)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어퍼힌지부재(30)에는 고정홈(32)에 일면이 밀착되고, 다른 일면은 스토퍼부재(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2)에 밀착되어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22)에 형성된 압착부(23)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캡부재(40)가 양 측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30)가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이 캡부재(40)가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레일의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토퍼부재(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2)에 캡부재(40)가 걸리지 않고,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일단이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타단이 폐쇄되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캡부재(40)가 어퍼힌지부재(30)를 따라 회동 중 가이드레일(22)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2)에는 보스(34)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동될 경우 결합된 캡부재(40)가 압착부(23)의 밀착력에 의해 고정홈(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캡부재(40)가 양 측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30)를 로어힌지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샤프트(31)에는 탄성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50)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어퍼힌지부재(30)를 로어힌지부재(10)의 일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31)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중심부는 연결고리(51)를 통하여 로어힌지부재(10)에 형성된 걸림턱(10a)에 단속되게 되며, 양 단부는 고정홈(32)에 결합된 캡부재(40)를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33)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0)가 결합되는 샤프트(31)에 합성수지재인 부쉬(31a)가 결합되게 되면, 상기 샤프트(31)가 탄성부재(5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마찰음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쉬(31a)가 결합된 샤프트(31)의 양 단부에 와셔(31b)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31)가 로어힌지부재(10)에 형성된 힌지구멍(1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일단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이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어퍼힌지부재(30)가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콘솔박스(1)의 상부에 고정된 암레스트(2)의 고정력을 상기 콘솔박스(1)의 내부에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해제하게 되면, 상기 암레스트(2)는 어퍼힌지부재(30)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압축되고 있는 탄성부재(5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콘솔박스(1)의 일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2)를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30)가 탄성부재의 차체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로어힌지부재(10)의 회동될 경우 그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홈(32)에 결합되어 있던 캡부재(40)는 가이드레일(22)을 따라 회동되면서 서서히 압착부(23)에 의해 일면 및 다른 일면이 각각 어퍼힌지부재(30)와 로어힌지부재(10)의 측면과 밀착되게 된다.
즉, 이러한 밀착에 의해 발생되는 캡부재(40)의 마찰저항을 통하여 상기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게 되어 암레스트(2)가 탄성부재(5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개방될 경우 그 속도를 완화시켜 리어시트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고 있는 암레스트(2)와 부딪쳐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마찰저항을 통해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40)의 외주면 양측에 일단이 고정홈(32)과 접촉되는 날개부(41)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캡부재(40)의 압착정도에 따라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이 날개부(41)에 의해 그 회동속도를 더욱 감속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승객이 편한 자세를 취하기 위하여 개방된 암레스트(2)를 밀게 되면, 이 암레스트(2)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면서 콘솔박스(1)의 상부를 덮개되는데, 이 경우 캡부재(40)가 압착부(23)를 벗어남에 따라 생기는 간격의 발생은 가이드공(33)에 삽입된 탄성부재(50)의 일단을 통하여 그 밀착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공(33)에 삽입된 탄성부재(50)의 일단은 캡부재(40)가 압착부(23)에 의해 고정홈(32)과 밀착될 경우 상기 캡부재(40)의 내측면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되는데,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에 의해 캡부재(40)가 상기 압착부(23)를 벗어나게 될 경우 차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캡부재(40)를 가압하게 되어 가이드레일(22)에 캡부재(40)를 밀착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캡부재(40)는 가이드공(33)에 삽입된 탄성부재(50)의 일단을 통하여 가이드레일(22)과의 밀착상태가 유지되게 되므로, 이 캡부재(40)가 양 측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30)의 하강속도는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레스트(2)의 개폐에 따른 어퍼힌지부재(30)의 회동이 측면 양측 고정홈(32)에 결합된 캡부재(40)에서 발생된 마찰저항에 의해 그 속도가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암레스트(2)의 개폐속도가 완화되어 이 암레스트(2)의 개폐에 의해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가 설치되는 콘솔박스의 암레스트는 예로서,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및 시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등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암레스트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의 회동이 캡부재가 압착부에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리어시트에 착좌한 승객이 개방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암레스트가 일정각도 이하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탄성부재의 일단이 압착부를 벗어난 캡부재를 외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콘솔박스에 소형의 물품을 수납하고 있던 승객의 손부위가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솔박스 2 - 암레스트
10 - 로어힌지부재 11 - 가이드부
12 - 힌지구멍 20 - 스토퍼부재
21 - 관통구멍 22 - 가이드레일
23 - 압착부 30 - 어퍼힌지부재
31 - 샤프트 32 - 고정홈
33 - 가이드공 40 - 캡부재
50 - 탄성부재

Claims (4)

  1. 콘솔박스(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에는 힌지구멍(12)이 형성된 로어힌지부재(10)와;
    상기 힌지구멍(12)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가이드레일(22)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상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압착부(23)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부재(20)와;
    상기 로어힌지부재(10)에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홈(32)이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32)에는 가이드공(33)이 형성되어 암레스트(2)의 저면에 결합된 어퍼힌지부재(30)와;
    상기 고정홈(32)에 일면이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가이드레일(22)에 밀착되어 어퍼힌지부재(30)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로어힌지부재(10)의 일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22)에 형성된 압착부(23)에 밀착되어 그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캡부재(40)와;
    상기 어퍼힌지부재(30)를 로어힌지부재(10)의 일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31)에 결합된 탄성부재(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의 양 단부는 압착부(23)를 벗어난 캡부재(40)를 가압하여 가이드레일(22)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공(33)에 삽입되어 상기 캡부재(40)의 내측면과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40)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고정홈(32)과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날개부(41)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40)가 결합되는 고정홈(32)에는 보스(34)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에는 탄성부재(50)와 샤프트(31)가 직접적으로 마찰되지 않도록 부쉬(31a)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2003-0028273A 2003-05-02 2003-05-02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051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73A KR100510375B1 (ko) 2003-05-02 2003-05-02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73A KR100510375B1 (ko) 2003-05-02 2003-05-02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485A KR20040094485A (ko) 2004-11-10
KR100510375B1 true KR100510375B1 (ko) 2005-08-24

Family

ID=3737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273A KR100510375B1 (ko) 2003-05-02 2003-05-02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100883745B1 (ko) * 2007-10-22 2009-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0986391B1 (ko) 2008-08-14 2010-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 레스트 힌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83B1 (ko) * 2006-03-17 2007-06-22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0867707B1 (ko) * 2007-11-13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1636135B1 (ko) * 2014-07-24 2016-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KR101866305B1 (ko) * 2016-10-10 2018-06-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KR101905486B1 (ko) * 2016-10-10 2018-10-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KR102440678B1 (ko) * 2016-12-22 202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CN106740326B (zh) * 2017-01-17 2022-11-01 苏州富强金属制品有限公司 汽车用的扶手铰链结构
KR102340086B1 (ko) * 2020-09-23 2021-1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100883745B1 (ko) * 2007-10-22 2009-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0986391B1 (ko) 2008-08-14 2010-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 레스트 힌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485A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375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1694017B1 (ko) 차량용 접이식 테이블 어셈블리
US10137840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20180073027A (ko)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KR200394998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JP4244464B2 (ja) 二段収納容器
KR100682247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락킹구조
US20220297514A1 (en) Vehicular door device
CN213322908U (zh) 一种扶手箱及包括其的汽车
KR100401663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JP2006182149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324016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KR100552716B1 (ko) 후방 암레스트 잠금장치
JP3584184B2 (ja) 収納ボックス
KR0131118Y1 (ko) 콘솔박스의 아암레스트 쿠션장치
CN113829998A (zh) 储物盒
JPS5921083Y2 (ja) グラブボツクス
KR100596617B1 (ko) 승용기기의 안전벨트 구조
JPS5923636Y2 (ja) 車両用小物入れ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JPH0637010Y2 (ja) 自動車の小物入れ収納ボックス構造
KR100546933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슬라이드구조
KR100569371B1 (ko) 자동차용 콘솔의 구조
KR101363646B1 (ko) 암레스트의 힌지 장치
KR20230131655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테이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