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783B1 -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83B1
KR100731783B1 KR1020060025058A KR20060025058A KR100731783B1 KR 100731783 B1 KR100731783 B1 KR 100731783B1 KR 1020060025058 A KR1020060025058 A KR 1020060025058A KR 20060025058 A KR20060025058 A KR 20060025058A KR 100731783 B1 KR100731783 B1 KR 10073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member
armrest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원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to KR102006002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의 힌지부와 이 힌지부에 힌지되는 힌지부재중 어느 한편에 힌지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를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할뿐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A hinge structure of an armrest for a motor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힌지부재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및 하부힌지부재가 동시에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힌지단부와 마찰돌기가 접촉되는 과정을 측면에서 보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힌지부재의 회동시 힌지단부와 마찰돌기가 접촉되는 과정을 측면에서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힌지부
112,124,134 : 힌지공 113 : 걸림부
114,125 : 제1,2마찰돌기 115,127 : 경사면
117 : 슬롯 120,130 : 하부/상부힌지부재
121,131 : 하부/상부장착부 122,132 : 하부/상부아암
123,133 : 힌지단부 126,136 : 돌출단
128,138,139 : 홈 140 : 스프링
150 : 힌지축 152 : 와셔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가 간단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수납하는 콘솔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콘솔박스에는 커버 역할을 하는 동시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경첩 및 회동축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힌지를 통하여 콘솔박스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실용신안등록 제20-0394998호에서는 상기한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의 일예가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구조는 콘솔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 측면에 가이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로어힌지부재와,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암레스트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타측은 로어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를 회동시키는 어퍼힌지부재와, 상기 어퍼힌지부재를 로어힌지부재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로어힌지부재와 어퍼힌지부재 사이에 고정된 이음방지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이음방지부재의 상부에 어퍼힌지부재의 회동 시 마찰을 통하여 이 어퍼힌지부재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가 경사지게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를 개방하기 위한 어퍼힌지부재의 회동이 이음방지부재에 형성된 댐퍼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감속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뒷자리에 착좌한 승객이 급격하게 개방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특허등록공보 제0482442호에서는 2단식 개폐구조를 갖는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에 대해 제시되어 있는바, 제1장착판과, 제1장착판의 양측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회전체와, 제1회전체의 하단끝 외측면에 부착된 제1고정기어를 포함하는 제1몸체; 제2장착판과, 제2장착판의 양측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2회전체와, 제2회전체의 하단끝 내측면에 부착된 제2고정기어를 포함하는 제2몸체; 제1몸체의 제1회전체 및 제2몸체의 제2회전체의 하단, 제1고정기어 및 제2고정기어에 동축을 이루며 삽입되는 힌지축; 힌지축에 삽입되어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스프링; 제1고정기어 및 제2고정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제1회 전기어 및 제2회전기어가 상면에 형성된 지지판으로 구성하여서, 제1몸체의 제1장착판을 암레스트의 후부 저면에 장착하고, 제2몸체의 제2장착판을 1단 트레이의 후부 저면에 장착하며, 지지판을 2단 트레이의 후부 공간에 장착하여서 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기어 댐핑력을 이용하여 암레스트의 개폐시 발생하던 소음을 없애는 동시에 부드러운 개폐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힌지 포인트를 한 곳으로 설정하여 기존의 2단 힌지 어셈블리보다 설치공간의 절약과 함께 암레스트를 슬림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경량화와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구조는 로어힌지부재와 어퍼힌지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이음방지부재의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어퍼힌지부재와의 마찰로 인하여 댐퍼부의 마모가 발생되어 이음방지부재의 기능히 현저히 저하되고, 이로 인해 암레스트의 개방시 지지력이 떨어지게 되는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어힌지부재와 어퍼힌지부재 사이에 플라스틱 재질의 이음방지부재를 적용하여 암레스트 커버의 개방 지지력을 구현하는 구조는 암레스트가 2단식으로 개폐되는 구조에는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이 암레스트 힌지 구조는 로어힌지부재와 어퍼힌지부재 사이에 별도의 이음방지부재를 적용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되고 작업상 공수가 많이 들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 적은 베이스플레이트의 힌지부와 이 힌지부에 힌지되는 힌지부재중 어느 한편에 힌지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를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힌지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힌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힌지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힌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힌지부재; 상기 하부힌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힌지부재;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힌지부재 및 상부힌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과, 상기 하부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는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일측 힌지부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힌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타측 힌지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부재에 지지되되, 상기 타측 힌지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안내되는 슬롯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재, 그리고 상기 하부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힌지부재 사이에는 이음 방지용 와셔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후술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콘솔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암레스트 커버가 상부 암레스트 커버 및 하부 암레스트 커버로 이루어진 2단식 개폐 구조이고, 제2실시예는 1개의 암레스트 커버로 이루어진 1단식 개폐 구조를 설명하게 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한 쌍의 힌지부(111)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힌지부(11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150)과, 상기 힌지축(150)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힌지부재(120)와,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150)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힌지부재(130)와, 상기 힌지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힌지부재(120) 및 상부힌지부재(1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콘솔박스(미도시)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좌,우 양측에는 하부힌지부재(120) 및 상부힌지부재(130)가 힌지되는 힌지부(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11)에는 힌지축(150)이 삽입되는 힌지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힌지부재(120)는 하부 암레스트 커버(미도시)에 장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하부장착부(121)와, 상기 하부장착부(121)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하부아암(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아암(122)의 말단의 힌지단부(123)에는 힌지축(150)이 삽입되는 힌지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단부(123)의 내측면에는 상기 힌지부(111)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단(126)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힌지단부(123)는 상기 힌지부(111)에 힌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126)의 돌출 폭만큼 상기 힌지부(111)로부터 이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힌지부재(130)는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크기면에서 상기 하부힌지부재(120)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힌지부재(130)는 상부 암레스트 커버(미도시)에 장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상부장착부(131)와, 상기 상부장착부(131)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상부아암(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아암(132)의 말단의 힌지단부(133)에는 힌지축(150)이 삽입되는 힌지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단부(133)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단(136)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상부아암(132)의 힌지단부(133)는 상기 하부아암(122)의 힌지단부(123)와 함께 힌지부(111)에 힌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136)의 돌출 폭만큼 이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힌지부(111)의 외측면에는 하부힌지부재(120)의 회동시 그 힌지단부(123)에 형성된 돌출단(126)과 마찰되며 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제1마찰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마찰돌기(114)는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115)을 가지며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측으로 마주하도록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바, 상기한 제1마찰돌기(11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작시 알루미늄 합급재로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힌지부재(120)가 회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마찰돌기(114)와 상기 힌지단부(123)의 돌출단(126)이 거의 접촉되지 않아야 하고, 상기 하부힌지부재(120)가 회동하여 상부로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제1마찰돌기(114)와 상기 돌출단(126)과의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아암(122)의 힌지단부(123)에 형성된 돌출단(126)의 형상을 납작한 타원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초기상태(하부 암레스트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타원형 돌출단(126)의 단변측 부분이 상기 제1마찰돌기(114)를 향하도록 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회동시(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 상태)에는 상기 돌출단(126)의 장변측 부분이 상기 제1마찰돌기(114)와 접촉하여 마찰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마찰돌기(114)는 상기한 구조와 같이 힌지부(111)에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힌지부(111)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힌지부(111)와 마주보는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 내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타원형 돌출단(126)은 힌지부(111)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마찰돌기(114)와 대향하는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 외측면에는 상부힌지부재(130)의 회동시 그 힌지단부(133)의 돌출단(136)과 마찰되며 상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제2마찰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마찰돌기(125)는 상기 제1마찰돌기(114)의 형태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는바, 상부힌지부재(1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127)을 가지며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측으로 마주하도록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한 제2마찰돌기(125)는 상기 제1마찰돌기(114)와 마찬가지로 하부 힌지부재(120)의 제작시 알루미늄 합금재로 다이케스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에 형성된 돌출단(136)의 형태는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에 형성된 돌출단(126) 형태와 같이 납작한 타원형태로 형성하게 되고,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의 초기상태에는 상기 타원형 돌출단부(136)의 단변측 부분이 상기 제2마찰돌기(125)를 향하도록 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의 회동시에는 상기 돌출단(136)의 장변측 부분이 상기 제2마찰돌기(125)와 접촉하여 마찰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마찰돌기(125)는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아암(122)의 힌지단부(123)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힌지단부(123)와 마주보는 상부힌지부재(130)의 힌지단부(133) 내측면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타원형 돌출단(136)은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140)은 힌지축(150)의 외주부에 끼워지는 코일부(141)와, 상기 코일부(141)의 중앙에 연결된 지지부(142)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코일부(141)가 힌지축(150)의 외주부상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42)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걸림부(113)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코일부(141)의 좌,우측 단부(143)(144)는 각각 상기 상부힌지부재(130) 및 하부힌지부재(120)에 걸려 지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힌지축(150)은 금속재질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중앙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부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부시의 외주면상에 상기 스프링(140)의 코일부(141)가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140)의 코일부(141)와 접촉하게 되는 힌지축(150)의 샤프트 부위에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시를 결합함으로써, 상,하부힌지부재(130)(120)의 회동시 금속재로 이루어진 스프링(140)과 샤프트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음(異音)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코일부(141)의 우측 단부(144)는 우측 힌지부(111)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우측 힌지단부(123)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128)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코일부(141)의 좌측 단부(143)는 좌측 힌지부(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의 좌측 힌지단부(133) 내측면에 형성된 홈(138)에 끼워져 지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코일부(141)의 좌측 단부(143)가 관통되는 상기 좌측 힌지부(111)에는 상기 상부힌지부재(130)의 회동시 상기 좌측 단부(143)가 안내되는 슬롯(117)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상기 하부힌지부재(120) 또는 상부힌지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는데, 평상시 상기 하부힌지부재(120) 및 상부힌지부재(130)는 아래로 내려진 상태가 되고, 콘솔박스에 록킹되어 있던 하부 암레스트 커버 또는 상부 암레스트 커버가 사용자에 의해 록킹 해제될 경우 상기 하부힌지부재(120) 또는 상부힌지부재(130)가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져 암레스트 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141)의 우측 단부(144)는 우측 힌지부(111)의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우측 힌지부(111)의 외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일부(141)의 좌측 단부(143)는 상기 좌측 힌지부(111)의 슬롯(117) 내면에 닿지않게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슬롯(117)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150)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측에는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120)(130)의 회동시 하부아암(122) 또는 상부아암(132)이 걸리게 되는 스토퍼(1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스토퍼(118)는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120)(13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하부 및 상부 암레스트 커버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시 상부힌지부재(13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시 하부힌지부재(12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6은 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각 힌지단부의 돌출단과 마찰돌기가 접촉되는 과정을 측면에서 보인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힌지부재의 회동시 힌지단부와 마찰돌기가 접촉되는 과정을 측면에서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부 암레스트 커버의 록킹을 해제하여 오픈시킬 경우, 상부 암레스트 커버에 고정된 상부힌지부재(130)가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힌지단부(133)에 형성된 타원형 돌출단(136)의 장변측이 하부힌지부재(120)에 형성된 제2마찰돌기(125)와 접촉하여 경사면(127)을 타고 회동됨으로써 면접촉에 의한 밀착력이 증가되면서 꽉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부 암레스트 커버가 오픈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자중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 닫히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록킹을 해제하여 오픈시킬 경우에는 하부 암레스트 커버에 고정된 하부힌지부재(120)가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상부힌지부재(130)와 함께 회동되면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힌지단부(123)에 형성된 타원형 돌출단(126)의 장변측이 힌지부(111)에 형성된 제1마찰돌기(114)와 접촉하여 경사면(115)을 타고 회동됨으로써 면접촉에 의한 밀착력 증가에 의해 꽉 끼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암레스트 커버가 오픈된 상태에서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 닫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의 힌지부에 힌지되는 힌지부재가 하나로 구성된 1단식 힌지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8에서 보이는 암레스트 힌지 형태는 전술된 도 2의 암레스트 힌지 형태에서 하부힌지부재(120) 부분이 생략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명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구조는 한 쌍의 힌지부(111)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힌지부(11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150)과, 상기 힌지축(150)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부재(130)와, 상기 힌지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1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40)은 코일부(141)가 힌지축(150)의 외주부상에 감겨진 상태에서 지지부(142)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걸림부(113)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코일부(141)의 좌,우측 단부(143)(144)는 각각 힌지부재(130)의 좌,우측 힌지단부(133)에 걸려 지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코일부(141)의 좌측 단부(143)는 전술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측 힌지부(111)의 슬롯(117)을 관통한 상태에서 힌지부재(130)의 좌측 힌지단부(133) 내측면에 형성된 홈(138)에 끼워져 지지되고, 우측 단부(144)는 우측 힌지부(111)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130)의 우측 힌지단부(133)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139)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재(130)는 콘솔박스에 록킹되어 있던 암레스트 커버가 사용자에 의해 록킹 해제될 경우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져 암레스트 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140)에 의한 힌지부재(130) 지지구조는 상기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코일부(141)의 좌,우측 단부(143)(144)를 지지부(142)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 단부(143)(144) 가 각각 힌지부(111)의 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힌지부재(130)의 양측 힌지단부(133)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슬롯(117)을 양쪽 힌지부(111)에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슬롯(117)을 관통한 좌,우측 단부(143)(144)가 상기 힌지단부(133)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실시예는 상,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금속재 구조물 상호 간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별도의 이음방지수단이 추가 구성으로 채용된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힌지부(111)와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 그리고 상기 하부힌지부재(120)의 힌지단부(123)와 상부힌지부재(130)의 힌지단부(133) 사이에 각각 이음 방지용 와셔(미도시)가 개재되어 힌지축(150)상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이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도 3에서 보여지는 구성에 있어서 힌지단부(123)(133)에 형성된 각 돌출단(126)(136)이 이음 방지용 와셔로 대체된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이음 방지용 와셔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가 아니라면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능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 방지용 와셔의 형상은 전술된 돌출단(126)(136)의 외형과 같이 타원형상의 판 중앙에 힌지축(150)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통상의 와셔 형상과 같이 원형 판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형태가 적용될 수 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120)(130)의 각 힌지단부(123)(133)의 외형 형태를 전술된 제1실시예의 돌출단(126)(136)과 같이 타원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120)(130)의 회동시 상기 각 힌지단부(123)(133)의 장변측 부분이 제1,2마찰돌기(114)(125)와 접촉하여 마찰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의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상,하부힌지부재(130)(120)의 회동시 상기 합성수지재의 이음 방지용 와셔를 통해 상기 각 부재의 회전 접촉부위에서 금속마찰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의 힌지부와 하부힌지부재, 또는 하부힌지부재와 상부힌지부재의 접촉면상에 상기 각 힌지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마찰돌기를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상,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오픈시 상기 마찰돌기에 의한 접촉력에 의해 적절한 오픈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 암레스트 커버의 반복적인 개폐작용에도 플라스틱 와셔를 채용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플라스틱 와셔를 적용한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구조 타입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상,하 2개로 암레스트 커버로 구성된 2단 계폐 방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플라스틱 와셔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제품 제작에 따른 비용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의 코일부와 접촉하게 되는 힌지축의 샤프트 부위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시를 결합함으로써, 상,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금속재로 이루어진 스프링과 샤프트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부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측에 상,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하부아암 또는 상부아암이 걸리게 되는 스토퍼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하부 힌지부재의 회동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걸려 상부 및 하부 암레스트 커버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힌지부와 하부힌지부재, 그리고 하부힌지부재와 상부힌지부재 사이에 이음 방지용 와셔를 설치함으로써 상,하부힌지부재의 회동시 상기 이음 방지용 와셔를 통해 상기 각 부재의 회전 접촉부위에서 금속마찰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한 쌍의 힌지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힌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
  2. 한 쌍의 힌지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힌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힌지부재;
    상기 하부힌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힌지부재;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힌지부재 및 상부힌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과, 상기 하부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는 상기 하부 및 상부힌지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마찰돌기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일측 힌지부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힌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타측 힌지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부재에 지지되되, 상기 타측 힌지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안내되는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재, 그리고 상기 하부힌지부재와 상기 상부힌지부재 사이에는 이음 방지용 와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 구조.
KR1020060025058A 2006-03-17 2006-03-17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073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58A KR100731783B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58A KR100731783B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783B1 true KR100731783B1 (ko) 2007-06-22

Family

ID=3837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58A KR100731783B1 (ko) 2006-03-17 2006-03-17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363646B1 (ko) 2012-11-21 2014-02-14 현대다이모스(주) 암레스트의 힌지 장치
KR101424939B1 (ko) * 2013-11-26 2014-08-01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424Y1 (ko) * 1987-07-01 1995-06-01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팔걸이의 로킹기구
KR20010047370A (ko) * 1999-11-19 2001-06-15 정해창 암레스트 회전장치
JP2002067767A (ja) * 2000-08-31 2002-03-08 Araco Corp リヤシート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40094485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424Y1 (ko) * 1987-07-01 1995-06-01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팔걸이의 로킹기구
KR20010047370A (ko) * 1999-11-19 2001-06-15 정해창 암레스트 회전장치
JP2002067767A (ja) * 2000-08-31 2002-03-08 Araco Corp リヤシート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40094485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363646B1 (ko) 2012-11-21 2014-02-14 현대다이모스(주) 암레스트의 힌지 장치
KR101424939B1 (ko) * 2013-11-26 2014-08-01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442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1264953B1 (ko) 차량용 손잡이
JP3542343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5430575B2 (ja) 2軸ヒンジ機構
JP2007526052A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JP4157657B2 (ja) 開閉体のヒンジ
KR100731783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JP2006232262A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コンソール
KR100867707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1939381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WO2020100474A1 (ja) 巻取式シェード装置
JP4283465B2 (ja) 格納式フック装置
KR100883745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N214835591U (zh) 盖体铰链机构及汽车扶手箱
JPH0319838Y2 (ko)
KR20180001566U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2766539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610535B2 (ja) 回転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143989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KR20060006458A (ko)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N213359740U (zh) 电动尾门、摆臂装置及连接机构
CN212447802U (zh) 汽车、电动尾门及摆臂装置
JPH0755929Y2 (ja) 外れ止め付きフック
KR102389459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