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24Y1 - 팔걸이의 로킹기구 - Google Patents

팔걸이의 로킹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24Y1
KR950004424Y1 KR2019880014907U KR880014907U KR950004424Y1 KR 950004424 Y1 KR950004424 Y1 KR 950004424Y1 KR 2019880014907 U KR2019880014907 U KR 2019880014907U KR 880014907 U KR880014907 U KR 880014907U KR 950004424 Y1 KR950004424 Y1 KR 950004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lot
stopper pin
locking mechanism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532U (ko
Inventor
신이찌 도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가와가미 다끼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064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40540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가와가미 다끼시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Priority to KR2019880014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424Y1/ko
Publication of KR900006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팔걸이의 로킹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로킹기구에 의해 시트(seat)상에 설치된 팔걸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것과 동일한 팔걸이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시트 등받이의 측벽과 팔걸이 사이에 배치된 본 고안에 따른 로킹기구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킹기구의 일부인 아아치형의 슬로트를 가진 베이스판의 사시도.
제5도는 팔걸이에 고정된 로킹기구의 일부인 스토퍼핀을 도시하는 팔걸이의 사시도.
제6도는 스토퍼핀과 여기에 부착된 탄성부재의 사시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아아치형의 슬로트를 따라 스토퍼핀이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받이 2 : 팔걸이
4 : 스토퍼핀 6 : 아아치형슬로트
8 : 탄성수단 62 : 상부돌출부
62' : 하부돌출부 6a,6b :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
6b,6b' : 제1 및 제2좁은공간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측벽상에 설치된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걸이를 사용하는 위치에서는 팔걸이를 대체로 수평으로 유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팔걸이를 적립형으로 유지하는 로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있어서, 시트의 측면에 설치된 팔걸이는 여러가지 상이한 종류의 로킹기구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팔걸이에 대해 지금까지 제안되어온 로킹기구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조작에 있어서도 간단하지가 않았다. 예를들면, 일본공개공보 제57-160415호 및 미국특허 제3,807,799호에 의하여 각각 두가지의 대표적인 팔걸이의 로킹기구가 공지되었다.
전자에 해당하는 일본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로킹기구는 등받이에 설치된 디스크형 로크판과, 팔걸이에 고정된 디스크형 스토펀판으로 구성되었고, 상기 로크판은 한쌍의 돌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토퍼판은 원형의 열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구멍들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를 조작하여 로크판을 스토퍼판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로부터 후퇴시킴으로서, 로크판의 돌편들은 스토퍼판의 복수개 구멍들중 해당하는 하나와 결합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스토퍼판의 구멍들에 대히 돌편들을 결합키거나 분리시킴으로서, 팔걸이의 위치조정을 위해 팔걸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의 조작절차에 있어서, 팔걸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원하는 사용위치에서 레버를 수동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그 위치에 팔걸이를 잠그기 위해서는 다시 또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매우 성가신 일이 되는 것이다. 또, 그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을 필요로한다.
상기 미국특허에 해당하는 후자의 선행기술에 있어서, 여기에 발표된 팔걸이 로킹기구는 등받이에 고정된 브래킷, 브래킷에 뚫린 정4각형구멍, 팔걸이의 회전축, 회전축상에 고정된 정4각형판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태에서, 상기 정4각형판을 상기 정4각형 구멍에 맞춤으로서, 팔걸이를 잠글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팔걸이를 수평사용위치 또는 비사용 직립 위치에 잡아줄 수 있게 되며, 한편 상기 정4각형판을 상기 구멍으로부터 분리하면, 그 잠금을 해제하여, 팔걸이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과 잠금해제 동작에 있어서는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해 도움을 받게되며, 특히 잠금해제 조작에 있어서는, 등받이로부터 팔걸이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정4각형판을 구멍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수반하다. 그 결과, 이 선행기술은 구조상 충분히 단순하지 않으며, 성가신 조작상의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팔걸이의 로킹기구는 많은 부품을 요하며 조립원가가 높고 조작효율을 개선할 점이 많다는 점등에 있어서 결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단점들을 고려하여, 구조상 아주 단순하고, 부품수가 아주 적고, 조작하기에도 쉬운 개선된 팔걸이의 로킹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팔걸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 아아이형의슬로트가 놓여있는 원의 중심이 상기축상에 동축형으로 위치하게끔 등받이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아아치형슬로트,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의 하부끝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로크수단, 팔걸이 상에 돌출되어 고정된 스토퍼핀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펀핀은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아아치형 슬로트내에 접동가능하게 삽입된다.
팔걸이가 수평사용 위치로 회전하였을때에는 스토퍼핀은 아아치형 슬로트를 따라 이동하여 하부로크수단에 도달하며, 이때 스토퍼핀의 탄성부재는 하부로크수단내에 확고하게 수용되거난 잡혀있어서, 팔걸이는 수평 사용위치에 유지된다. 반대로 팔걸이를 비사용직립위치 또는 수직위치로 회동시킬때에는, 팔걸이를 상향 회전시켜서, 탄성부재가 하부로크수단으로부터 튀어나오게 하며, 스토퍼핀의 탄성부재가 상부로크수단에 안전하게 잡히게 될때까지 상기 회전을 계속시키며, 이것에 의해 팔걸이를 비사용직립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부품수는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그 구조는 예외적으로 단순하며, 이로인하여, 부품제조와 조립상의 원가를 절감하는데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핀의 탄성주재는 잠금수단 및 잠금해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때문에 단순히 팔걸이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전술한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팔걸이를 잠금상태로부터 해제하거나 잠금상태로 복귀시키는 또하나의 단계를 필요로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팔걸이 자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잠금/잠금해제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극히 쉽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는 팔걸이(2)가 등받이(1)의 측벽(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2)는 비사용시에는 직립위치 또는 수직위치에 유지되고 있으며, 그 몸체는 등받이(1)의 측벽(1a)상에 겹쳐 있으나, 팔걸이(2)를 화살표 방향으로 하향회전시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수평사용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등받이(1)의 측벽(1a)과 팔걸이(2)와의 사이에는 로킹기구(A)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기구(A)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등받이(1)의 측벽(1a)에는 나사(51, 51)에 의해 베이스판(5)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베이스판(5)은 그와 일체로 구성된 축(7)을 구비하며 축(7)은 베이스판(5)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팔걸이(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서 팔걸이(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서 팔걸이(2)가 축(7)의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있다. 아아치형슬로트(6)는 베이스판(5)에 형성되되, 축(7)의 앞쪽에 위치하며, 이 아아치형 슬로트(6)가 놓여있는 원의 중심은 축(7)과 동축관계로 위치한다. 아아치형 슬로트(6)의 상부끝에는 상부로크개구(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아치형 슬로트(6)의 하부끝에는 하부로크개구(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핀(4)은 팔걸이(2)의 내벽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돌출하며, 아아치형 슬로트(6)를 통하여 접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부 및 하부로크개구(6a, 6a')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되며, 그 배열은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즉, 전자의 하부에는 아아치형 슬로트(6)의 상부끝과 소통하는 개방형소통부가 있으며, 한편 후자의 상부에는 역시 슬로트(6)의 하부끝과 소통하는 개방형 소통부가 있다. 상기 상부로크개구(6a)와 아아치형슬로트(6)의 상부끝 사이에 있는 소통점에는 제1좁은 공간(6b)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크개구(6a')와 아아치형 슬로트(6)의 하부끝사이에 있는 소통점에는 제2좁은공간(6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아아치형 슬로트(6)는 폭(W1)을 가지며, 제1 및 제2 좁은공간(6b,6b')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폭(W1)보다 더 작은 폭(W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좁은공간(6b, 6b')의 폭(W2)은 스토퍼핀(4)의 두게(W3)(제6도참조)와 튜브형 탄성부재(8)의 2중두께를 합한 규격과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스토퍼핀(4)과 튜브형 탄성부재(8)가 제1 및 제2 좁은공간(6b, 6b')들을 각각 통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핀(4)은 탄성부재(8)에 의해 둘러싸이고 측별(41, 42)들 사이에 한정되는 상기 두께(W3)를 가지며, 4각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의 단면은 환형으로 되어있다. 가급적 튜브형 탄성부재(8)는 고무나 연성의 합성수지재료로 만든는 것이 좋다.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아이치형슬로트(6)와 상부 및 하부로크개구(6a,6a')에는 이들의 각 내부 주변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부시부재(61)가 덮여 있다. 부시부재(61)는 상기 제1좁은공간(6b)에 해당하는 지점에 한쌍의 간격진 대향한 상부돌출부(62, 62)를 구비하며, 또 상기 제2좁은공간(6b')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한쌍의 간격진 대향한 하부돌출부(62', 62')를 구비한다.
부시부재(61)는 아아치형 슬로트(6)내의 반복적인 접동 및 탄성변형 의해 발생하는 튜브형 탄성부재(8)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및 하부로크개구(6a, 6a')는 내경을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구(6a, 6a')의 내경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폭(W1)보다 작거나 그와 같게 해야한다.
이렇게하여 스토퍼핀(4)은 아아치형 슬로트(6)를 통과하고, 튜브형 탄성부재(8)는 부시부재(61)와 마찰식으로 접동가능한 접촉을 하게된다. 여기서 특기할 것은 스토퍼핀(4)을 둘러싸는 튜브형 탄성부재(8)의 외경은 상부및 하부로크개구(6a, 6a')의 내경보다 더 크게 되어 있는데, 이것은 튜브형 탄성부재(8)가 로크개구(6a, 6a')들중의 하나속으로 들어갔을때 탄성부재(8)가 개구속에서 탄력적으로 팽창하여서 그것이 안전한 방식으로 로크개구(6a,6a')들중의 하나에 의해 임시로 잡혀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팔걸이(2)의 내부측벽에는 회전구멍(3)이 형성되며, 이 구멍내에 축(7)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팔걸이(2)는 축(7)을 중심으로하여 등받이(1)의 측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튜브형 탄성부재(8)내에 부착된 스토퍼핀(4)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팔걸이(2)가 수평으로 위치하는 이유로 인하여 팔걸이(2)의 내부 측벽상의 회전구멍(3)의 앞쪽지점에, 그리고 팔걸이(2)의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와관련하여 여기서 이해해야할 점은 이와같은 수평위치로 된 상태의 팔걸이(2)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수평사용위치이며, 따라서,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스토퍼핀(4)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하부로크개구(6a')에 걸린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팔걸이(2)가 수평사용 위치쪽으로 하향 회전하거나 비사용직립위치 쪽으로 상향 회전할때에는 스토퍼핀(4)은 상부로크개구(6a)로 부터 하부로크개구(6a')로 또는 그 반대로 아아치형 슬로트(6)를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스토퍼핀(4)의 4각형 단면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팔걸이(2)가 수직방향 회전을 할때에는 스토퍼핀(4)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원호의 트랙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하 제7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면, 팔걸이(2)가 제1도에서와 같이 비사용 직립위치에 있을때에는 두개의 상부돌출부(62,62) 및 부시부재(61)의 해당부분의 내부 주변 가장자리에 작용하는, 튜브형 탄성부재(8)의 탄성확장력으로 인하여 스토퍼핀(4)은 상부 로크개구(6a)에 안전하게 걸려있는 상태에 있으며, 제7도에 도시한 그곳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핀(4)이 상부 로크개구(6a)내에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팔걸이(2)는 등받이(1)의 측벽(1a)을 따라 비사용직립위치, 즉 수직위치에서 로크된다.
다음에, 비사용직립위치의 잠금 상태로부터 팔걸이(2)를 해제하기를 원할때에는 튜브형 탄성부재(8)의 확장력을 극복할만한 힘으로서, 팔걸이(2)를 하향으로 회전시킨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튜브형 탄성부재(8)의 양쪽은 스토퍼핀(4)의 각 측벽(41, 42)위에 있는 부위가 눌려져 대체로 타원형이 된 상태에서, 스토퍼핀(4)은 두개의 대향한 상부돌출부(62, 62)들 사이에 형성된 제1좁은공간(6b)내로 이동해 들어간다. 스토퍼핀(4)이 4각형단면을 가지고 있고, 튜브형 탄성부재(8)가 타원형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팔걸이(2)가 더욱 하향회전함에 따라 스토퍼핀(4)과 튜브형 탄성부재(8)는 제1좁은 공간(6b)을 통과하여 슬로트(6)내로 이동해 들어간다. 타원형으로 변형된 튜브형 탄성부재(8)는 슬로트(6)내에 들어가면, 곧 그 본래의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팔걸이(2)가 계속 하향 회전함에 따하,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터퍼핀(4) 및 튜브형 탄성부재(8)는 아아치형 슬로트(6)를 따라 적절한 마찰저항을 받으면서 접동식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하여 팔걸이(2)가 갑자기 빠른 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고, 전술한 잠금해제 단계가 있은 직후에 팔걸이의 점진적인 회전이 발생한다.
그후, 스토퍼핀(4)과 튜브형 탄성부재(8)는 제2 좁은공간(6b')에 도달하며, 그리고는 곧 튜브형 탄성부재(8)의 탄성확장력을 극복할만한 힘을 가하여 팔걸이(2)를 더욱 하향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두 요소(4, 8)들이 제2좁은공간(6b')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8)의 측면은 비슷한 타원형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곧 상기 두 요소(4, 8)들은 하부 로크개구(6a')에 안전하게 받아들여지고, 이렇게하여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팔걸이(2)는 수평사용위치에서 로크된다.
이러한 수평사용위치의 잠금 상태로부터 팔걸이(2)를 해제하여 비사용 직립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팔걸이 회전절차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8)의 확장력을 극복하면서 팔걸이(2)를 상향회전시킨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고안에 의한 로킹기구의 주된 부품들은 단순히 아아치형의 슬로트(6), 한쌍의 상부 및 하부로크개구(6a, 6a')스토퍼핀(4) 및 튜브형 탄성부재(8)로 구성되어 극히 단순화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부품제조와 조립작업의 측면에서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하게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팔걸이(2)의 잠금과 잠금해제는 단순히 팔걸이(2) 자체를 상향 및 하향 회전시킴으로서 각각 이루어 지기 때문에 현재의 잠금상태로부터 팔걸이(2)를 해제시키고 그후의 잠금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모든 선행기술에서 볼수 있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또 하나의 유리한 특징으로서는 스토퍼핀(4)은 아아치형 슬로트(6)의 내부 주변 가장자리와 항상 마찰 접동식으로 접촉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스토퍼핀(4)은 유격(遊隔)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로트(6)를 따라 접동하기 때문에 비사용 직립위치와 수평사용 위치 사이에서 팔걸이(2)가 수직방향 회전이동을 할때에 생길 수 있는 팔걸이(2)의 요동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이상과 같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첨부된 등록청구의 범위와 그 정신에서 이탈함이 없이 여러가지 수정과, 교체와 첨가를 구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비사용 직립위치와 수평사용위치와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동할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1)의 측벽(1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팔걸이의 로킹기구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등받이(1)의 측벽(1a)에 제공된 축(7), 상기 축(7)의 전방에 배치되고 그의 원의 중심이 상기 축(7)과 동축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등받이(1)의 측벽(1a)에 형성된 아아치형 슬로트(6),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의 상부끝과 하부끝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끝 및 하부끝과 부분개방소통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로크수단(6a,6a'), 상기 상부 로크수단(6a)과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의 상부끝과의 사이에서 제1좁은공간(6b)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상부돌출부(62), 상기 하부 로크수단(6a')과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의 하부끝과의 사이에서 제2좁은공간(6b')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하부돌출부(62'),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를 통해 접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팔걸이(2)에 제공된 스토퍼핀(4), 및 상기 스토퍼핀(4)을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의 어느 하나에 단단히 걸리게 하도록 상기 스토퍼핀(4)상에 장착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수단(8)을 구비하며, 상기 팔걸이(2)가 수평사용위치로 하향회전할때, 상기 스토퍼핀(4)과 상기 탄성수단(8)은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를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좁은공간(6b')에서 상기 탄성수단(8)이 탄성변형된 다음 상기 탄성수단(8)의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상기 하부 로크수단(6a')내에 단단하게 걸리게되며, 상기 팔걸이(2)가 비사용직립위치로 상향회전할때, 상기 스토퍼핀(4)과 상기 탄성수단(8)은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를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1좁은공간(6b)에서 상기 탄성수단(8)이 탄성변형된 다음 상기 탄성수단(8)의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상기 상부로크수단(6a)내에 단단하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핀(4)은 4각형단면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4각형단면이 상기 아아치형슬로트(6)의 종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팔걸이(2)의 수직방향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핀(4)이 아아치형슬로트(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8)은 환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핀(4)을 중심으로 단단하게 부착된 튜브형 탄성부재(8)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는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 및 상기 제1 및 제2좁은공간(6b,6b')의 각각의 내부주변 가장자리와 마찰 접동식으로 접촉할 수 있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 및 상기 제1 및 제2좁은 공간(6b,6b')의 각각의 내부주변 가장자리는 부시부재(61)로 덮여있고,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는 상기 부시부재(61)와 접동식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좁은공간(6b,6b')의 각각은 상기 스토퍼핀(4)의 두께와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의 두께를 합한 두께에 의해 얻어지는 규격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의 두께는 이것이 제1 및 제2좁은공간(6b,6b')의 각각에서 변형될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은 직경이 서로 동일하며,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의 폭보다 직경이 더 작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 6a,6a')의 각각의 내경보다도 칫수가 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아치형 슬로트(6),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 및 상기 제1 및 제2좁은공간(6b,6b')은 상기 등받이(1)의 측벽(1a)에 고정된 베이스판(5)상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탄성부재(8)는 고무 및 합성수지재료의 하나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로크수단(6a,6a')은 각각 원형의 상부 및 하부 로크개구(6a,6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의 로킹기구.
KR2019880014907U 1987-07-01 1988-09-08 팔걸이의 로킹기구 KR950004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907U KR950004424Y1 (ko) 1987-07-01 1988-09-08 팔걸이의 로킹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03064 1987-07-01
JP10306487U JPH0440540Y2 (ko) 1987-07-04 1987-07-04
KR2019880014907U KR950004424Y1 (ko) 1987-07-01 1988-09-08 팔걸이의 로킹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532U KR900006532U (ko) 1990-04-02
KR950004424Y1 true KR950004424Y1 (ko) 1995-06-01

Family

ID=1927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907U KR950004424Y1 (ko) 1987-07-01 1988-09-08 팔걸이의 로킹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4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83B1 (ko) * 2006-03-17 2007-06-22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83B1 (ko) * 2006-03-17 2007-06-22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532U (ko) 199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8840A (en) Locking mechanism for armrest
JP4434394B2 (ja) 旋回型チャイルドシート
US6520579B2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KR0155397B1 (ko) 의자
JP3633890B2 (ja) 背当て部の傾斜調節のための係止金具
JPH0867192A (ja) 車両用シートのセーフティロック機構
JPH11196969A (ja) 乗物シート用ヒンジ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乗物シート
US7611205B2 (en) Safety seat assembly
JP200513789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950004424Y1 (ko) 팔걸이의 로킹기구
US6942294B2 (en) Child car seat
JP200230196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H1028623A (ja) 押しボタン遠隔制御装置
KR100401663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CN112498196A (zh) 一种安全座椅
KR100488574B1 (ko) 유아용좌석장치
JP4450308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0135338A (ja)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0136629Y1 (ko) 캠코더의 카세트하우징 록킹장치
KR100199617B1 (ko) 자동차의 시트 체결구조
JPH0154214B2 (ko)
CN218651051U (zh) 一种扶手旋转锁定调节装置
KR100287589B1 (ko) 전후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JP3050380B2 (ja) 操作軸の支持構造並びに同構造を採用する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651662B1 (ko)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