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574B1 - 유아용좌석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좌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574B1
KR100488574B1 KR1019970048224A KR19970048224A KR100488574B1 KR 100488574 B1 KR100488574 B1 KR 100488574B1 KR 1019970048224 A KR1019970048224 A KR 1019970048224A KR 19970048224 A KR19970048224 A KR 19970048224A KR 100488574 B1 KR100488574 B1 KR 10048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slide
coupl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868A (ko
Inventor
히데오 사이토
토미히사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2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Abstract

유모차나 유아용 의자 등의 유아용 좌석장치(1)에 있어서 좌석부(11)에 대한 등받이부(17)와 스텝(23)의 회동각도를 알맞게 하고, 유아의 앉은 자세를 적당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그 해결수단으로는 좌석부(11)에 대해 등받이부(17)를 회동시키면 등받이부(17)의 아래쪽에 일단측이 부착된 연동막대(39)가 스텝(23)의 등받이면을 밀어, 스텝(23)의 회동각도를 정한다. 이로써 등받이부(17), 좌석부(11) 및 스텝(23) 모두 각도를 알맞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좌석장치
본 발명은 유모차나 유아용 의자 등의 유아용 좌석장치에 관하며, 특히 앉은 유아가 다리를 올려놓기 위한 스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용 좌석장치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주로 외출시에 옥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 옥내에서 이용되는 유아용 의자와 마찬가지로 다리부에 마련된 차륜에 의해 실내를 이동할 수 있는 유아용 의자 또는 테이블 등에서 식사를 할 때 이용되는 랙 등이다.
또 이 명세서안에서 유아라 함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유아보다도 넓은 개념을 갖는 것으로서 유아용 자석장치를 필요로 하는 아이라면 신생아, 젖먹이 아기, 아동을 포함한 것으로 한다.
종래의 유아용 좌석장치는 좌석부의 뒤쪽에 등받이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앉은 유아가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벨트가 갖추어져 있다. 또 하부의 앞쪽에 스텝이 마련된 것도 존재하지만 이 스텝은 고정식으로서, 유아가 누운 상태가 아닌 일어나서 식사를 할 때의 상태에서 발이 올려진 위치에 고정하여 마련되었다.
그러나 스텝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종래의 유아용 좌석장치에 있어서는 등받이부가 세워져 유아가 일어난 상태에서 발이 불안정한 상태로 공중으로 아무렇게나 뻗을 때 적당한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었다.
또 스텝이 고정된 종래의 유아용 좌석장치에 있어서는 좌석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경사각도가 여러 가지로 바뀜에도 불구하고 스텝의 위치는 하나로 고정되어 있어 유아의 여러 자세를 알맞은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좌석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회동각도가 여러 가지로 변해도 늘 유아의 자세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는 유아용 좌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석부의 뒤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등받이부와 좌석부의 앞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텝과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스텝의 등받이면에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연동막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좌석부에 대해 등받이부가 거의 동일 평면상태로 누운 상태에서는 좌석부에 대해 스텝의 대략 L자형상의 종단면의 세로부분이 거의 동일면 상태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에 연동막대의 부착이 행해짐으로써 좌석부, 등받이부 및 스텝의 전체가 거의 수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좌석부에는 좌우로 팔거리 부분이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등받이부에는 상기 팔걸이 부분에 연속하여 좌우로 둘러싸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등받이부가 뉘인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가 세워지는 헤드레스트 연결기구가 마련되고, 스텝은 대략 L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짐으로써 등받이부가 뉘인 상태에서 유아의 주위가 팔걸이 부분, 둘러싸는 부분, 헤드레스트 및 스텝의 L자형상의 아래부분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연동막대는 전체가 ㄷ자 모양을 이루며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단측은 ㄷ자 모양의 양 선단이 L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져 등받이부의 회동공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끼워맞춰지고 스텝의 등받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타단측은 ㄷ자모양의 중앙부분이 스텝의 등받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연동막대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등받이부의 아래쪽은 좌우가 판형상으로 볼록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등받이부의 아래쪽을 받은 좌석부측은 좌우의 오목부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등받이부의 아래쪽을 받는 좌석부측은 좌우의 오목부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의 볼록의 원호형상의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좌석부에서 노출하여 이 노출된 부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에 회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좌석부의 앞쪽에 마련된 스텝은 대략 L자형상의 종단면을 이루며, 대략 L자형상의 세로부분이 치수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또한 스텝은 좌석부에 부착되어 L자형상의 상부를 구성하는 스텝본체와 스텝본체를 가이드로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뻗을 수 있으며 L자형상의 하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부분에는 스텝본체에 대해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를 저지하는 결합기구 및 이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석장치이다.
실시예 1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1 내지 도18에 있어서 설명한다.
(전체개략)
도1 내지 도7에서 전체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유아용 좌석장치(1)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이다. 다리부(3)는 좌우로 마련되고, 각각이 연결부재(5) 의해 연결되며(도2 및 도3) 전체로서 자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좌우의 다리부(3)에는 2개의 스윙막대(7)가 걸쳐져 있다. 이 스윙막대(7)는 ㄷ자형상을 이루며 ㄷ자의 벌려진 쪽을 위쪽으로 하여 배치된다. 이 스윙막대(7)에 대해 의자부(9)가 배치된다. 의자부(9)는 스윙막대(7)의 작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되어있다.
의자부(9)
다음은 의자부(9)를 도1 내지 도16에 있어서 설명한다.
좌석부(11)는 유아가 주로 엉덩이 부분을 올려놓는 좌석면(13)(도3 내지 도6)을 가지며, 이 좌석면(13)에서좌우로 연속하는 팔걸이부(15)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팔걸이부(15)에는 테이블(16)이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도2와 도3을 비교 참조). 이 좌석부(11)의 뒤쪽에 배치되는 등받이부(17)는 제1회동축(19)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등받이부(17)에는 상기 팔걸이부(15)에 연속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둘러싸는 부분(21)이 좌우로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이 둘러싸는부분(21)의 아래쪽으로 상기 제1회동축(19)이 마련되고 있다. 등받이부(17)의 앞면에는 안전벨트(22)가 마련되어 있다(도7). 좌석부(11)의 앞쪽에는 스텝(23)이 제2회동축(25)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있다. 등받이부(17)의 위쪽에는 헤드레스트(27)가 제3회동축(29)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등받이부(17)의 좌우의 둘러싸는 부분(21)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회동축(19)이 마련되는 원호형상부분(31)(도9 및 도11)은 판형상으로 볼록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형상 부분은 상기 회동축(19)의 둘레에 형성되고 있다. 이 볼록부의 원호형상부분(31)에 대응하여 좌석부(11) 측의 좌우에는 오목형상부분(33)이 형성되고(도11), 상기 볼록의 원호형상부분(31)을 받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연동기구(45)
이 볼록한 원호형상부분(31)은 좌우로 각각 존재하여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좌석부에서 노출하고 있다(도8참조). 이 노출된 부분에는 돌기부(35)(도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35)에 회동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공(37)에 대해 연동막대(39)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연동막대(39)는 전체가 ㄷ자형상을 이루며 ㄷ자의 양 선단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회동공(37)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추고 있다. 돌기부(35)가 회동하는 범위에서 오목형상부분(33)에는 옴폭패인부(41)가 형성된다. 옴폭패인부(41)의 양단이 돌기(35)에 접촉하여 좌석부(11)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 되어 있다.
연동막대(39)의 ㄷ자의 중앙변은 스텝(23)의 등받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스텝(23)의 등받이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원형단면을 갖는 홈(43)(도11)과, 홈(43)에 고착된 연동막대(39)가 탈락하지 않도록 나사로 고정되는 유지부(44)(도8)를 갖는다.
이와같이 하여 연동막대(39)를 갖는 연동기구(45)가 구성된다. 연동기구(45)의 작용에 의해 좌석부(11)에 대해 등받이부(17)가 회동하면 등받이부(17)에 부착된 연동막대(39)가 스텝(23)의 등받이면을 밀어 스텝(23)이 소정의 회동각도가 된다.
경사이동용 락 기구(53)
등받이부(17)의 경사진 상태는 지지막대(47)에 의해 지지된다(도5, 도8, 도9 및 도10). 이 지지막대(47)는 전체가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도8), ㄷ자의 양 선단이 대략 L자로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진 부분이 좌석부(11)의 구멍(49)(도5)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며 끼워맞춰진 선단은 부시넛트로 고정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부시넛트는 구멍(49) 주위에 형성된 요입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ㄷ자의 중앙부분은 등받이부(17)의 등받이면에 다단으로 마련된 결합요입부(51)에 결합한다(도10).
이 결합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등받이부(17)의 경사진 움직임 즉 경사이동을 락하는 경사이동용 락 기구(53)가 마련된다.
즉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단으로 마련된 상기 결합요입부(51)를 덮는 회동복체(55)가 등받이부(17)의 등받이면에 제4회동축(5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이 회동복체(55)는 도10중 왼쪽면이 개방된 상자모양을 이루며 회동에 의해 결합요입부(51)를 둘러싸고 덮는 상태 및 결합요입부(51)에서 떨어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회동은 회동복체(55)의 상부에 마련된 핸들부(58)(도8,도10)에 손가락을 걸어 행한다. 이 회동복체(55)의 좌우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59)이 형성되고 있다. 이 좌우의 장공(59)에 상기 지지막대(47)의 ㄷ자의 중앙부분이 관통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 하도록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회동복체(55)는 결합요입부(51)를 덮는 상태에서는 지지막대(47)는 결합요입부(51)에 끼워맞추고, 떨어진 상태에서는 결합요입부(51)에서 이탈되고 이러한 이탈로 인해 장공(59)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락레버(61)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회동복체(55)가 결합요입부(51)를 덮는 상태로 락하기 위한 락레버(61)가 회동복체(55)의 위쪽에 있어서 등받이부에 마련된다. 이 락레버(61)는 내통(63)과 외통(65)으로 이루어지고 외통(65)이 등받이부(17)에 고정되어 이 외통(65)에 대해 내통(63)이 회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내통(63)의 외측선단에는 헤드(6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헤드(67)에 의해 상기 회동복체(55)의 상단이 눌려 락이 행해진다. 이 락 및 락의 해제는 상기 헤드(67)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행해진다.
헤드레스트 연결기구(69)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7)의 회동각도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27)가 최적의 회동각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연결기구(69)가 마련된다.
즉 회동복체(55)의 장공(59)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제5회동축(71)에 연결부재(73)의 일단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73)의 타단은 헤드레스트(27)의 축(74)(도8)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17)의 회동각도가 커져 눕힌 상태가 되면 지지막대(47)는 장공(59)의 위쪽까지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73)를 민다. 밀려진 연결부재(73)는 헤드레스트(27)를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27)는 세운 상태가 되고, 누운 유아의 머리를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게 된다(도7 및 도9). 연결부재(73)는 제1스프링(75)에 의해 장공(59)을 따라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지지막대(47)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 경사이동용 락기구(53)나 헤드레스트 연결기구(69)는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고 있는 출원공고공보(일본국 실공평7-27887, 일본국 실공평7-27888)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좌석부(11)의 바닥면에는 2개의 스윙막대(7)를 각각 받기 위한 아래를 향한 하향 홈(77)(도2, 도3, 도5, 도8, 도9, 도11)이 형성되어 있다. 받히는 스윙막대(7)는 도시하지 않은 크립에 의해 홈에 유지된다.
다리부(3)
도17 및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3)는 위쪽의 다리본체(111)와 아래쪽의 2개의 다리(113)를 갖고 구성된다. 각 다리(113)는 각각 하단에 차륜(115)이 마련되고 있다. 앞측의 차륜(115)은 캐스터(117)를 통해 마련되어 주행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뒤쪽의 다리(113)는 다리본체(111)에 힌지결합된다. 다른쪽의 다리(113)는 슬라이드막대(119)의 힌지결합부(121)에 힌지결합되고 있다. 힌지결합부(121)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슬라이드막대(119)는 다리본체(111)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고 있다.
즉 슬라이드막대(119)에는 전후방향 즉 긴쪽 방향으로 장공(123)이 형성되고 있다. 이 장공(123)은 힌지결합부(121)의 부분에도 연속하여 형성되고 잇다. 이 장공(123)에 대해 다리본체(111)에 마련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핀(125)이 관통한다. 이 슬라이드막대(119)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18중 왼쪽방향 즉 다리부(3)가 뻗어 높아지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슬라이드막대(119)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슬라이드막대(119)의 윗면에는 긴쪽 방향으로 여러개의 조절공(127)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절공(127)에 대해 꽃아 넣는 제2핀(129)이 다리본체 측으로 상하이동 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2핀(129)은 스프링(131)에 의해 꽃아 넣는 방향 즉 아랫방향으로 부세된다. 또한 제2핀(129)의 중간에 지름이 확대된 부분(133)에 걸리는 레버(135)가 마련되고 이 레버(135)는 다리본체(111)의 외측(조립된 유아용 좌석장치(1)의 좌우외측)에 관통하여 배치된다. 레버(135)는 제2핀(129)의 긴쪽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다리본체(111)의 외측에서 레버(135)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면 스프링(13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2핀(129)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조절공(127)에서 벗어난다. 제2핀(129)이 벗어나는 것으로 슬라이드막대(119)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역할로 도면중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X 형상으로 교차하여 힌지결합되고 있는 다리부(3)가 뻗어 높이가 높아진다.
또 슬라이드막대(119)가 슬라이드하는 중간에 레버(135)를 벗어나면 제2핀(129)은 제2스프링(131)의 부세력에 의해 다시 조절공(127)에 꽂아넣고, 다리부(3)는 소정의 높이를 유지한다. 조절공(127)은 5개가 열리고 따라서 유아용 좌석장치(1)의 사용할 때에 5단계의 높이로 조절이 행해진다. 5단의 조절공(127)(도면에 있어서 제2핀(129)이 꽂아 넣어진 조절공)은 다른 조절공 보다도 길다란 장공으로 되어있고, 뒤에 설명하는 수납상태의 조절공을 겸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스토퍼(141)
다리본체(111)의 바닥면부에는 다리(113)에 접촉하는 스토퍼(141)가 마련되어 있다. 즉 다리부(3) X 형상의 모양은 강도상 유리한 것이지만 이 X의 교차각도가 너무 작아지면 예를 들면 0이 되어버리면 강도상의 유리함이 없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스토퍼(141)가 한쪽 다리(113)의 상축에 접촉하고 다리(113)가 그 이상 접을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한 필요최소 교차각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스토퍼(141)는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회동축(143) 둘레에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이 스토퍼(141)는 제3스프링(145)에 의해 도면중 시계 회전방향 즉 다리본체(111)와 다리(113)와의 사이에 위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부세된다. 또 스토퍼(141)의 외측 아래쪽으로는 옴폭 패인 요홈부(147)가 마련되어 이 옴폭패인 요홈부(147)에 손가락을 걸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다리(113)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스토퍼(141)는 제3스프링(145)의 역할에 의해 다리본체(111)와 다리(11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다리(113)에 접촉한다. 이에따라 X의 교차각도가 필요최소 교차각도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저지하고있다. 이와같이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에서 제5단까지의 높이조절이 행해진다.
그리고 유아용 좌석장치(1)를 수납할 때에는 스토퍼(141)에 손가락을 걸고 도면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다리(113)에서 떨어진다. 이에 따라 다리는 보다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깊게 접을 수 있으며 다리부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상태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때 X의 교차 각도는 매우 작아지거나 또는 0이 되지만 유아용 좌석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만큼 큰 힘이 다리부에 가해지지 않아 적합하지 않게 된다.
이때 등받이부를 좌석면에 대해 충분히 눕혀 좌석부, 등받이부 및 스텝전체가 거의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유아용 좌석장치 전체를 보다 한층 평평하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이상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스텝은 치수가 고정된 것이지만 도12 내지 도16에 도시하는 실시예 2와 같이 치수조절 가능한 스텝(23)을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스텝(23)은 대략 L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스텝본체(81)와 스텝본체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뻗을 수 있는 슬라이드부분(83)으로 이루어진다. 스텝본체(81)는 상기 대략 L자 형상의 상부를 구성한다. 슬라이드부분(83)은 스텝본체(81)를 가이드로서 아래쪽으로 뻗을 수 있고 대략 L자 형상의 하부를 구성한다. 슬라이드부분(83)에는 스텝본체(81)에 대해 결합하고 슬라이드부분(83)을 지지하는 결합기구(85)(도14) 및 이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레버(87)가 마련된다. 다음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즉 스텝본체(81)는 대략 L자형상의 세로부분을 구성하는 2장의 부재(81A),(81B)를 갖는다(도14, 도15, 도16). 이들 2장의 부재(81A),(81B)는 전후에서 짜맞춰지고, 아래쪽을 개구한 상자모양을 이룬다. 뒤쪽부재(81B)는 여러개의 나사(82)(도16)에 의해 앞쪽부재(81A)에 부착된다. 슬라이드부분(83)은 스텝본체(81)의 부재(81A)에 마련된 안내핀(89)이 슬라이드부분(83)에 형성된 장공(91)에 끼워맞추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도14 및 도16). 이 안내핀(9)은 상기 나사(82)의 일부에 의해 고정된다. 뒤쪽부재(81B)의 상단에는 회동축(25)을 부착하기 위한 베어링(84)이 마련된다.
슬라이드부분(83)의 아래쪽 중앙의 등받이면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해제레버(87)가 마련되어 있다. 해제레버(87)의 조작부(87A)는 슬라이드부분(83)의 등받이면에 부착되는 등받이면부재(83C)에 형성된 창(83D)(도16)에서 뒤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해제레버(87)의 좌우에는 결합공(93)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93)에 대해 L자 형상의 결합암(95)의 일단(97)이 걸린다. 결합암(95)은 L자 형상의 모서리부의 회동축(99)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면중(도14) 시계방향으로 스프링(101)에 의해 부세되고 있다. 결합암(95)의 L자 형상의 타단은 스텝본체(81)측에 마련된 파이프(103)에 형성된 결합공(105)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파이프(103)는 스텝본체(81)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긴쪽 방향으로 여러개의 결합공(105)이 마련된다. 슬라이드부분(83)에는 이 파이프(103)를 감싸는 통형상의 홀더부(107)가 형성되고 이 홀더부(107)가 파이프(103)의 긴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슬라이드부분(83)이 스텝본체(81)에서 아래쪽으로 뻗을 수 있다.
이 스텝(23)의 치수의 조절의 동작을 도14 및 도16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해제레버(87)를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면 이 해제레버(87)에 인장되어 결합암(95)이 도면중(도14)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결합암(95)의 타단이 스텝본체(81)의 파이프(103)의 결합공(105)에서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부분(83)은 스텝본체(81)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뻗을 수 있다. 이 슬라이드에 의해 스텝(23)의 세로부분의 치수가 원하는 길이로 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레버(87)를 분리하면 스프링(101)의 역할에 의해 결합암(95)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파이프(103)의 결합공(105)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스텝(23)의 치수는 조절된다.
다른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치수조절 가능한 스텝(23)을 스텝본체(81)에 결합공(105)을 갖는 파이프(103)가 마련되고 슬라이드부분(83)에 이 결합공(105)에 결합하는 결합암(95)이 마련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파이프(103)를 마련하여 슬라이드본체(81)에 결합암(95)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텝본체(81)에 대한 슬라이드부분(83)을 지지하는 결합기구는 파이프(103)와 결합암(95)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텝본체(81)에 대한 슬라이드부분(83)을 지지하는 결합기구는 파이프(103)와 결합암(95)에 의한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제레버(87) 자체에 갈고리(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여 이 갈고리에 결합하는 여러개의 결합홈을 스텝본체(81)측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해제레버(87)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홈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부세력에 저항하여 해제레버(87)를 해제시켜 결합공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연동막대(39)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등받이부(17)의 아래쪽은 볼록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오목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좌석부(11) 측으로 받히게 되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한쪽의 짧은 원통형상의 보스부가 다른쪽에 형성된 짧은 원통형상의 요입부에 끼워맞추어 회동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동공(37)은 짧은 원통형상의 보스부 부근의 다른 부분에 마련되게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연동막대(39)는 전체가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동막대(39)는 ㄷ자 형상이 아닌 직선형상의 것이 2개 좌우로 마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헤드레스트(27)가 등받이부(17)의 회동각도에 따라 회동하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헤드레스트(27) 등받이부(17)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고정상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회동하면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부착된 연동막대가 스텝의 등받이면을 밀어 스텝을 회동시키므로 좌석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회동각도에 대응하여 좌석부에 대한 스텝의 회동각도를 더욱더 적당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세를 늘 적당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석부, 등받이부 및 스텝의 전체가 거의 수평상태가 되는 것으로 유아용 좌석장치에 헤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스텝을 포함하여 전체가 거의 수평상태가 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유아를 눕히기 위해 좌석부의 앞쪽에서 보조슬라이드 부분을 슬라이드 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등받이부가 높여진 상태에서 유아의 주위가 팔걸이부분, 둘러싸는 부분, 헤드레스트 및 스텝의 L자 형상의 가변부분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되어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동막대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강고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동막대가 부착되는 등받이부의 아래쪽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각 좌석부의 오목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받혀 지는 것에 의해 등받이부의 회동에 따른 큰 힘을 충분히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 자체의 발육에 맞추어 스텝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유아의 자세를 보다 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제레버의 조작에 의해 스텝본체에서 슬라이드 부분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어 치수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유아용 좌석장치의 전체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다리부와 의자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2에 있어서 의자부에서 테이블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3에 있어서 다리부와 의자부를 짜 맞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4의 측면도.
도6은 도4의 정면도.
도7은 도4에 있어서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3의 의자부를 뒤쪽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9는 도7의 의자부의 측면도.
도10은 도5의 의자부의 상부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11은 도5의 의자부의 하부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12는 도1의 스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도12의 동작을 되하는 도면.
도14는 도12의 종단면 정면도.
도15는 도14의 종단면 측면도.
도16은 도14를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17은 도2 또는 도3의 좌우의 다리부중 한쪽의 다리부를 도시하고, 다리부의 높이가 5단 상태로 된 도면.
도18은 도17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다리부 7 : 스윙막대
9 : 의자부 11 : 좌석부
15 : 팔걸이부 17 : 등받이부
19, 25, 29 : 회동축 21 : 둘러싸는 부분
23 : 스텝 27 : 헤드레스트
39 : 연동막대 45 : 연동기구
47 : 지지막대 51 : 결합요입부
53 : 경사이동용 락 기구 55 : 회동복체(覆
Figure pat00019
)
59 :장공 61 : 락레버
69 : 헤드레스트 연결기구 73 : 연결부재
81 : 스텝본체 85 : 결합기구
87 : 해제레버 113 : 다리
115 : 차륜 119 : 슬라이드막대
121 : 힌지결합부분 127 : 조절공
129 : 제2핀 131 : 제2스프링
135 : 레버 141 :스토퍼

Claims (5)

  1. 좌석부의 뒤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등받이부와, 좌석부의 앞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텝과, 등받이부 아래쪽에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스텝의 등받이 면에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연동막대로 이루어지고, 좌석부에는 좌우에 팔걸이 부분이 일체로 마련되며, 등받이 부에는 상기 팔걸이 부분에 연속하여 좌우로 감싸는 부분이 일체로 마련되며,
    등받이부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회동복체와, 일단측을 회동복체의 측면에 마련된 장공으로 슬라이들 수 있도록 한 회동축으로 하고 타단측을 헤드레스트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연결부재와, 일단측을 좌석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타단측을 등받이부에 마련된 다단의 결합요입부에 결합하는 ㄷ자모양의 지지막대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에서는 지지막대의 중앙변이 연결부재의 하단부를 등받이부의 위쪽으로 압압하여 헤드레스트가 일어나는 헤드레스트 연결기구가 마련되고 스텝은 L자형의 종단면을 가짐에 따라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에서 유아의 주위가 팔거리부분, 둘러싸는 부분, 헤드레스트 및 스텝의 L자 모양의 아래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좌장치.
  2. 좌석부의 뒤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등받이부와, 좌석부의 앞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텝과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스텝의 등받이면에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연동막대로 이루어지고, 좌석부에는 좌우로 팔걸이 부분이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등받이부에는 상기 팔걸이 부분에 연속하여 좌우로 둘러싸는 부분이 일체로 마련되고,
    연동막대는 전체가 ㄷ자 모양을 갖고, 등받이부의 아래쪽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일단측은 ㄷ자 모양의 양 선단이 L자상으로 굴곡하여 등받이부의 회동공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감합하고 있으며, 스텝의 등받이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타단측은 ㄷ자의 중앙변이 스텝의 등받이면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유지되고있고, 스텝의 등받이면에는 상기 ㄷ자의 중앙변을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홈과 또한 이 홈에 유지된 ㄷ자의 중앙변이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연동막대의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등받이부의 아래쪽은 좌우가 판모양으로 볼록의 원호형상부분으로 형성되고, 이 등받이부의 아래쪽을 받는 좌석부측은 좌우가 오목한 오목형상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의 볼록한 원호형상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의 면이 좌석부로부터 노출하고 이 노출된 부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돌기부에 회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회동하는 범위에서 상기 오목한 오목형상 부분에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며, 그 오목형상 부분의 양단이 돌기부에 닿아 좌석부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좌장치.
  3. 좌석부 뒤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등받이부와, 좌석 앞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텝과,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스텝의 등반이면에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연동막대로 이루어지고, 좌석부에는 좌우로 팔걸이 부분이 일체로 마련되며, 등받이부에는 상기 팔걸이 부분에 연속하여 좌우로 둘러싸는 부분이 일체로 마련되고,
    좌석부의 앞쪽에 마련된 스텝은 L자 모양의 종단면을 갖고, 상기 스텝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와 그 슬라이드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뻗는 슬라이드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 슬라이드 부분에는 슬라이드 본체에 대해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드를 저지하는 결합기구와, 이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레버가 마련됨에 따라 L자 모양의 세로부분이 치수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슬라이드 부분에 배설된 해제레버와, 해제레버에 일단측을 결합하고 타단측을 슬라이드 본체에 마련된 파이프의 결합공에 결합한 L자 모양의 결합암과, 결합암의 모서리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슬라이드 부분에 마련된 회동축과, 상기 파이프의 결합공과 L자 모양의 결합암의 타단과를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해제레버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에 맞서 결합암의 파이프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스텝의 상하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좌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석부에 대해 등받이부가 동일면 상태로 누운 상태에서는 좌석부에 대해 스텝의 L자 모양의 종단면의 세로부분이 동일면 상태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에 연동막대의 부착이 행해지고 그 연동막대는 전체가 ㄷ자 모양을 갖고 ㄷ자의 양 선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아래쪽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한편 연동막대의 ㄷ자의 중앙변은 스텝에 회동 가능하도록 유지됨에 따라 좌석부, 등받이부 및 스텝의 전체가 수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좌장치.
KR1019970048224A 1996-09-24 1997-09-23 유아용좌석장치 KR100488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12296A JP3236514B2 (ja) 1996-09-24 1996-09-24 幼児用着座装置
JP96-251122 1996-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68A KR19980024868A (ko) 1998-07-06
KR100488574B1 true KR100488574B1 (ko) 2006-01-27

Family

ID=1721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224A KR100488574B1 (ko) 1996-09-24 1997-09-23 유아용좌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36514B2 (ko)
KR (1) KR100488574B1 (ko)
TW (1) TW35130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6514B2 (ja) * 1996-09-24 2001-12-10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着座装置
JP4722428B2 (ja) * 2004-08-11 2011-07-13 コンビ株式会社 育児器具
JP2011131787A (ja) * 2009-12-25 2011-07-07 Tsuyoshi Hirose 子供用乗用車両
JP2014110850A (ja) * 2012-12-05 2014-06-19 People Co Ltd 幼児用ハイチェア
FR3010682B1 (fr) * 2013-09-13 2015-10-23 Babyzen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566U (ko) * 1978-02-18 1979-08-29
JPS6240069U (ko) * 1985-08-30 1987-03-10
JPH03236514A (ja) * 1990-02-14 1991-10-22 Harman Co Ltd 燃焼器の消し忘れ防止装置
JPH0634562U (ja) * 1992-10-15 1994-05-10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H07327787A (ja) * 1994-06-09 1995-12-19 Showa Prod:Kk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H1095346A (ja) * 1996-09-24 1998-04-14 Combi Corp 幼児用着座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566U (ko) * 1978-02-18 1979-08-29
JPS6240069U (ko) * 1985-08-30 1987-03-10
JPH03236514A (ja) * 1990-02-14 1991-10-22 Harman Co Ltd 燃焼器の消し忘れ防止装置
JPH0634562U (ja) * 1992-10-15 1994-05-10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H07327787A (ja) * 1994-06-09 1995-12-19 Showa Prod:Kk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H1095346A (ja) * 1996-09-24 1998-04-14 Combi Corp 幼児用着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6514B2 (ja) 2001-12-10
TW351305U (en) 1999-01-21
JPH1095346A (ja) 1998-04-14
KR19980024868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310B2 (ja) 幼児用椅子
US5195770A (en) Reclining mechanism for baby carriage
KR0155397B1 (ko) 의자
EP0466489A1 (en) Height-controllable chair
KR100488574B1 (ko) 유아용좌석장치
CA1304668C (en) Locking mechanism for a foldable piece of seating furniture
JP2010162337A (ja) 椅子
JP3631164B2 (ja) 幼児用着座装置
JP4908954B2 (ja) 椅子における座体の前後位置調節装置
JP2003116680A (ja) 幼児用ロッキングチェア
JPH079161U (ja) 幼児用椅子の高さ調節機構
JP2003310377A (ja) 椅子用ガススプリング
KR102366836B1 (ko)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JP2509547Y2 (ja)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4384003B2 (ja) 椅子におけるガススプリング操作装置
JP4491317B2 (ja) 椅子の座構造
JPH0117492Y2 (ko)
JPS6122561B2 (ko)
JP2569965Y2 (ja) 育児椅子
JP4932146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JP3106348B2 (ja) 幼児用着座装置の脚部収納機構
JP3637732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4152638B2 (ja) ロッキング装置
JP2006102146A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JP2023136640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