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538A -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538A
KR20070095538A KR1020060025797A KR20060025797A KR20070095538A KR 20070095538 A KR20070095538 A KR 20070095538A KR 1020060025797 A KR1020060025797 A KR 1020060025797A KR 20060025797 A KR20060025797 A KR 20060025797A KR 20070095538 A KR20070095538 A KR 20070095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armrest
hinge
wash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231B1 (ko
Inventor
양호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0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sources having contact pins, wires or blades, e.g. pinch sealed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는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사이에 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와셔와 어퍼 프레임사이에는 러버힌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어퍼 프레임의 반복적인 회동에 따른 상기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사이의 유동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솔, 암레스트, 힌지, 와셔, 러버힌지, 회전, 제한, 스토퍼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Assembly of arm-rest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셔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힌지의 회동상태가 도시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콘솔 52: 로어 프레임
52a: 힌지축 끼움홀 52b: 스프링 안착홈부
52c: 돌기부 54: 스토퍼
60: 암레스트 62: 어퍼 프레임
62a: 힌지축 관통홀 62b: 스프링 끼움홀
62c: 러버힌지 안착홈부 70: 힌지수단
72: 힌지축 74: 스프링
80: 와셔 80a: 가이드홈
80b: 힌지축홀 80c: 돌출부
80d: 끼움돌기 90: 러버힌지
90a: 끼움홈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레스트의 회전시 유동이 방지됨과 아울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솔박스(Console Box)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소형의 물품을 보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암 레스트(Arm rest)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박스(미도시)에 고정되는 로어 프레임(2)과, 상기 로어 프레임(2)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콘솔박스(미도시)를 덮는 암레스트(미도시)에 고정되는 어퍼 프레임 (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어 프레임(2)과 어퍼 프레임(4)은 힌지축(6)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6)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4)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8)이 결합된다.
상기 어퍼 프레임(4)에는 상기 힌지축(6)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부(4a)가 구비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2)에는 상기 힌지축(6)이 끼워지는 힌지홀이 형성된 끼움부(2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 프레임(4)의 결합부(4a)와 상기 로어 프레임(2)의 끼움부(2a) 사이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4)의 회동시 유동을 방지하는 와셔(10)가 삽입된다.
상기 와셔(10)는 상기 힌지축(6)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0a)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결합구조는 상기 어퍼 프레임(4)과 로어 프레임(2)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어퍼 프레임(4)의 반복적인 회동시 상기 와셔(10)가 상기 어퍼 프레임(4)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되기 쉬우며, 그로 인해 상기 암레스트(미도시)의 유동을 방지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암 레스트의 각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는 콘솔에 고정된 로어 프레임과, 상기 콘솔의 상측을 덮는 암레스트에 고정된 어퍼 프레임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수단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하는 와셔와, 상기 어퍼 프레임과 와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과 와셔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상기 어퍼 프레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러버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힌지축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상기 어퍼 프레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스프링과 결합된 러버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버힌지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도록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셔는 상기 러버힌지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러버힌지의 회동 속도를 제한하는 회동속도 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속도 제한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러버힌지를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셔는 상기 로어 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상기 로어 프레임을 향해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힌지의 회동상태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50)에 고정된 로어 프레임(52)과, 상기 콘솔(50)의 상측을 덮는 암레스트(60)에 고정된 어퍼 프레임(62)과, 상기 로어 프레임(52)과 어퍼 프레임 (62)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수단(70)과, 상기 로어 프레임(52)과 어퍼 프레임(62)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하는 와셔(80)와,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와셔(8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와셔(80)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솔(50)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어,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암레스트(60)는 상기 콘솔(50)을 개폐하는 커버역할을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암레스트(60)는 상기 콘솔(5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바, 상기 로어 프레임(52)과 어퍼프레임(62)이 상기 힌지수단(70)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힌지수단(70)은 상기 로어 프레임(52)과 어퍼 프레임(62)에 결합된 힌지축(72)과, 상기 로어 프레임(52)과 어퍼 프레임(6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프레임(62)에는 상기 힌지축(72)이 관통하도록 힌지축 관통홀(62a)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52)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72)이 끼움결합되도록 힌지축 끼움홀(52a)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7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72)이 관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74a)은 상기 어퍼 프레임(62)측에 결합되고, 중앙측은 상기 로어 프레임(52)에 걸림되도록 걸림부(74b)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프레임(62)에는 상기 스프링(74)의 양단(74a)이 끼워지도록 스프링 끼움홀(62b)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52)에는 상기 스프링(74)의 걸림부(74b)가 안착되도록 스프링 안착홈부(52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와셔(80)사이의 마찰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어퍼 프레임(62)에 연동되도록 구비된 러버 힌지(90)이다.
여기서,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로어 프레임(52)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강성체이고, 상기 와셔(80)와 러버 힌지(9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 힌지(90)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여기서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에 결합된 상기 스프링(74)과 결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러버 힌지(90)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스프링 끼움홀(62b)을 관통한 상기 스프링(74)의 양단(74a)이 끼워지도록 끼움홈부(9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62)에는 상기 러버 힌지(90)가 안착되도록 힌지 안착홈부(62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80)의 일측에는 상기 러버힌지(90)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80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로어 프레임(52)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도록 힌지축홀(80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8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함께 회동하는 상기 러버 힌지(90)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80a)에는 상기 러버 힌지(90)의 회동 속도를 제한하 는 회동속도 제한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속도 제한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80a)에서 상기 러버 힌지(90)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80c)이다.
상기 돌출부(80c)는 상기 러버 힌지(90)의 초기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80)는 상기 로어 프레임(52)에 끼워지도록 상기 로어 프레임(52)을 향해 끼움돌기(80d)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52)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54)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4)는 상기 어퍼 프레임(52)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52c)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캡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객이 상기 콘솔(50)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암레스트(6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암레스트(60)에 고정된 상기 어퍼 프레임(62)은 상기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때,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동시 상기 러버 힌지(90)는 상기 와셔(80)의 가이드홈(80a)을 따라 회동된다.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소정각도(a)까지 회동되면, 상기 러버 힌지(90)가 상기 와셔(80)의 가이드홈(80a)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80c)에 걸림된다.
상기 러버 힌지(90)가 상기 돌출부(80c)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이 1차적으로 제한된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속도가 제한되므로,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빠른 속도로 회전할 경우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완전히 회전된 후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계속해서 회동되면, 상기 러버 힌지(90)는 상기 가이드 홈(80a)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회동이 멈추게 된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은 상기 가이드 홈(80a)에 의해 2차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과도하게 회동될 경우, 상기 어퍼 프레임(62)은 상기 로어 프레임(52)의 스토퍼(54)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어퍼 프레임(62)이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은 상기 스토퍼(54)에 의해 3차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회전이 다단계로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암레스트(60)가 완전히 열릴 때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로어 프레임(52) 사이에 상기 와셔(80)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로어 프레임(52)사이의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와셔(80) 사이에 상기 러버 힌지(90)가 구 비되기 때문에, 상기 와셔(80)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는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사이에 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와셔와 어퍼 프레임사이에는 러버힌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어퍼 프레임의 반복적인 회동에 따른 상기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사이의 유동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러버힌지는 상기 와셔의 가이드홈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러버힌지가 걸림되는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러버힌지의 회전이 상기 돌출부에 의해 1차적으로 제한된 후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2차적으로 제한되어, 상기 러버힌지와 와셔에 의해 이중 스토퍼 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암레스트의 열림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콘솔에 고정된 로어 프레임과;
    상기 콘솔의 상측을 덮는 암레스트에 고정된 어퍼 프레임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수단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하는 와셔와;
    상기 어퍼 프레임과 와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과 와셔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상기 어퍼 프레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러버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힌지축과, 상기 로어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상기 어퍼 프레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스프링과 결합된 러버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러버힌지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도록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러버힌지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러버힌지의 회동 속도를 제한하는 회동속도 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동속도 제한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러버힌지를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어퍼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로어 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상기 로어 프레임을 향해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1020060025797A 2006-03-21 2006-03-21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10078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97A KR10078523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797A KR10078523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538A true KR20070095538A (ko) 2007-10-01
KR100785231B1 KR100785231B1 (ko) 2007-12-11

Family

ID=3880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797A KR10078523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3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45B1 (ko) * 2007-10-22 2009-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N101722899A (zh) * 2008-10-15 201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扶手铰链装置
KR100986391B1 (ko) * 2008-08-14 2010-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 레스트 힌지 조립체
CN103266820A (zh) * 2013-05-27 2013-08-28 延锋伟世通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随停机构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424939B1 (ko) * 2013-11-26 2014-08-01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101533933B1 (ko) * 2014-07-22 2015-07-03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20160012458A (ko) * 2014-07-24 2016-0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KR101652772B1 (ko) * 2015-04-22 2016-09-01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CN107914649A (zh) * 2016-10-10 2018-04-17 株式会社瑞延理化 车辆用扶手箱的铰链单元
KR20180039411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CN109808559A (zh) * 2019-02-14 2019-05-28 浙江众泰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副仪表板扶手总成
KR20190109918A (ko) * 2018-03-19 2019-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210027582A (ko) * 2019-08-28 2021-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암레스트 힌지구조
US11135956B2 (en) 2019-08-22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assembly with hing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JP2022167232A (ja) * 2021-04-22 2022-11-04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2022167233A (ja) * 2021-04-22 2022-11-04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312B1 (ko) 2017-06-01 2017-07-07 김태규 자동차 암레스트용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100987B1 (ko) * 2018-10-26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424Y1 (ko) * 1987-07-01 1995-06-01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팔걸이의 로킹기구
JP4507369B2 (ja) * 2000-08-31 2010-07-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ヤシートアームレスト装置
KR100399420B1 (ko) * 2001-01-04 2003-10-08 주식회사 한일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KR100510375B1 (ko) * 2003-05-02 2005-08-24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45B1 (ko) * 2007-10-22 2009-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0986391B1 (ko) * 2008-08-14 2010-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 레스트 힌지 조립체
CN101722899A (zh) * 2008-10-15 201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扶手铰链装置
CN101722899B (zh) * 2008-10-15 2014-03-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扶手铰链装置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CN103266820A (zh) * 2013-05-27 2013-08-28 延锋伟世通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随停机构
KR101424939B1 (ko) * 2013-11-26 2014-08-01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101533933B1 (ko) * 2014-07-22 2015-07-03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20160012458A (ko) * 2014-07-24 2016-0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KR101652772B1 (ko) * 2015-04-22 2016-09-01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CN107914649A (zh) * 2016-10-10 2018-04-17 株式会社瑞延理化 车辆用扶手箱的铰链单元
KR20180039411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US10071662B2 (en) 2016-10-10 2018-09-11 Seoyon E-Hwa Co., Ltd.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CN107914649B (zh) * 2016-10-10 2021-04-16 株式会社瑞延理化 车辆用扶手箱的铰链单元
KR20190109918A (ko) * 2018-03-19 2019-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
CN109808559A (zh) * 2019-02-14 2019-05-28 浙江众泰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副仪表板扶手总成
US11135956B2 (en) 2019-08-22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assembly with hing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KR20210027582A (ko) * 2019-08-28 2021-03-1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암레스트 힌지구조
JP2022167232A (ja) * 2021-04-22 2022-11-04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2022167233A (ja) * 2021-04-22 2022-11-04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31B1 (ko) 200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US10071662B2 (en)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US7596831B2 (en) Automotive door hinge
US8388040B2 (en) Lock-out device for vehicle compartment with lid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EP3502387B1 (en) Closure system for a compartment, in particular for a storage compartment in a motor vehicle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11203300B2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KR20180001566U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6840100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20220340084A1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KR101906724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0587931B1 (ko)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KR100726876B1 (ko)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US20230175300A1 (en) Door closing shock absorber and door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ame
KR101941133B1 (ko) 자동차용 화장 거울
EP3743301B1 (en) Venting valve
KR200438001Y1 (ko) 커버링 셸프 기어타입 힌지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KR10046105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소음 방지구조
JP5982866B2 (ja) 車両用収納部のドア構造
JP2005008027A (ja) リッドの開閉構造
KR0115100Y1 (ko) 차량의 콘솔박스용 회전식 재떨이 로크장치
KR100461141B1 (ko) 자동차용글로브박스오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