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76B1 -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76B1
KR100726876B1 KR1020060064951A KR20060064951A KR100726876B1 KR 100726876 B1 KR100726876 B1 KR 100726876B1 KR 1020060064951 A KR1020060064951 A KR 1020060064951A KR 20060064951 A KR20060064951 A KR 20060064951A KR 100726876 B1 KR100726876 B1 KR 10072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inge
compartment door
inner compartment
loc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 격실문 개폐 버튼을 내부 격실에 힌지 구조로 연결하고 힌지 구조에 따른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하여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도록 하고,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힌지 연결만 해체되고 잠금 고리의 내부 격실문 고정 상태는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줄어 소음 발생 및 원가 상승이 방지되고 외부 충격에도 내부 격실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의 차량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래치 시스템, 내부 격실문, 버튼, 잠금 고리

Description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Latch System Preventing Tray of Vehicle from Open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잠금 고리 및 잠금 하우징의 형상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부 격실문 11: 후크결합홈
21: 버튼 22: 버튼 하우징
23: 수평부 24: 경사부
31: 잠금 고리 32: 고정 힌지
33: 작동핀 34: 후크
100: 내부 격실문 110: 후크결합홈
210: 버튼 220: 힌지축
221: 힌지홀 300: 잠금 고리
310: 걸림부 320: 후크
330: 돌출부 400: 잠금 하우징
410: 조립홀 420: 관통홀
500: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격실문 개폐 버튼을 내부 격실에 힌지 구조로 연결하고 힌지 구조에 따른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하여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도록 하고,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힌지 연결만 해체되고 잠금 고리의 내부 격실문 고정 상태는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줄어 소음 발생 및 원가 상승이 방지되고 외부 충격에도 내부 격실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의 차량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내부 격실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부 격실로는 담배 꽁초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나 음료수 컵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들이 있다. 또한 시디를 수납할 수 있는 시디 수납장 혹은 기타 차량 운전시에 필요한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 등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격실은 격실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내부 격실문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미사용시에는 내부 격실문에 의해 내부 격실의 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시에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중인 소품들이 간편하게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 디자인도 미적으로 창작될 수 있다.
내부 격실문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내부 격실의 안쪽에 내부 격실문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잠금장치의 대표적인 예가 래치시스템(Latch System)이다. 즉, 차량의 내부 격실 안쪽과 이에 대응하는 내부 격실문의 소정 위치에 래치가 설치되어 작동함으로써 내부 격실문이 개폐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 격실의 래치 시스템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 격실문이 개방되지 않는 한 내부 격실 공간이 밀폐되는 상태가 유지되며 내부 공간에 수납된 소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차량의 주행중 충격에 의해 내부 격실문이 임의로 개방되면 수납된 소품들의 외부 인출 뿐만 아니라 개방된 내부 격실문과 운전자 및 승객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상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 및 국내의 자동차 안전 기준에 따르면,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서도 내부 격실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안전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내부 격실문(1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내부 격실문(10)이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 격실문(10)은 하부에 별도의 힌지(미도시)로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부가 개폐된다.
내부 격실의 안쪽 상부에는 잠금 고리(31)가 고정 힌지(32)로 연결되어 고정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잠금 고리(31)의 끝단부에는 후크(3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작동핀(33)이 결합된다. 이때, 고정 힌지(32)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에 삽입된 구조로 잠금 고리(31)에 연결됨으로써 잠금 고리(31)는 고정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원 상태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가진다.
버튼(21)은 내부 격실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고, 버튼(21)의 내측에는 버튼(21)이 삽입되는 버튼 하우징(22)이 구비된다. 버튼 하우징(22)의 일측은 버튼(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잠금 고리(31)의 작동핀(33)이 안착되는 수평부(23)와 작동핀(33)이 이동되는 경사부(24)가 형성된다. 이때, 버튼(21)과 버튼 하우징(2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어 버튼(21)이 버튼 하우징(22) 내부로 소정 범위 이상 삽입되면 코일 스프링(미도시)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상태는 잠금 고리(31)의 후크(34)가 내부 격실문(10)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결합홈(11)에 삽입되어 내부 격실문(10)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 상태에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1)을 누르면, 버 튼(21)과 버튼 하우징(22) 사이의 코일 스프링(미도시)에 의한 탄성력에 따라 버튼 하우징(22)이 내부 격실 내측으로 수평 이동한다. 버튼 하우징(22)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고리(31)의 작동핀(33)이 버튼 하우징(22)의 경사부(24)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잠금 고리(31)는 고정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잠금 고리(31) 끝단부의 후크(34)가 내부 격실문(10) 상부의 후크결합홈(11)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내부 격실문(10)이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구조의 래치 시스템은 버튼에 대한 수평성분의 외력이 작용할 때 쉽게 내부 격실문이 열리게 되므로, 차량의 충돌시에는 운전자와의 충돌 혹은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개방됨으로써 내부 수납된 소품들이 인출되거나 개방된 내부 격실문에 운전자 또는 승객이 충돌하여 부상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일정 강도의 충격에도 내부 격실문이 열리지 않는 자동차 안전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래치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개수가 많고 복잡하여 조립 과정이 용이하지 않고 주행시 소음이 발생하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내부 격실문 개폐 버튼을 내부 격실에 힌지 구조로 연결하고 힌지 구조에 따른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하여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도록 하고,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힌지 연결만 해체되고 잠금 고리의 내부 격실문 고정 상태는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줄어 소음 발생 및 원가 상승이 방지되고 외부 충격에도 내부 격실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의 차량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내부 격실문을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 고리; 일부가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고 소정 위치에 힌지홀이 형성되는 버튼; 내부 격실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잠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되고 상기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잠금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고리의 상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고리의 이동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또한 상기 잠금 고리의 상부면과 상기 잠금 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 하우징의 힌지축은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힌지홀 양측으로 각각 일부가 삽입되며,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각각의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내부 격실문(10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내부 격실문(100)이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 격실문(100)은 하부에 별도의 힌지(미도시)로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부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격실문의 래치 시스템은 내부 격실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210)과 버튼(210)에 의해 동작하며 내부 격실문(100)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잠금 고리(300)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버튼(210)과 잠금 고리(300)를 내부 격실 내측에서 전체적으로 고정하는 잠금 하우징(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튼(210) 중앙부에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잠금 하우징(400)의 소정 위치에 힌지축(220)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 결합함에 따라 버튼(210)은 힌지(2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버튼(210)의 내측 일부가 잠금 고리(300)에 형성된 걸림 부(310)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버튼(210)이 회전하면 잠금 고리(300)가 상하 이동한다.
잠금 고리(30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사각 박스형의 걸림부(310)를 중심으로 하부면에 후크(320)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돌출부(330)가 형성된 형상이다. 돌출부(330)가 잠금 하우징(400)의 상부에 형성된 조립홀(410)에 삽입됨으로써 잠금 고리(300)의 이동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만 가이드되며, 하부에 형성된 후크(320)가 내부 격실문(100) 상부에 형성된 후크결합홈(110)에 삽입됨으로써 내부 격실문(100)이 고정된다.
또한, 잠금 고리(300)의 상부면과 잠금 하우징(400)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잠금 고리(300)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써, 하부에 형성된 후크(320)를 통한 내부 격실문(10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며, 탄성부재로는 돌출부(330)에 끼워져 고정되는 코일스프링(5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하우징(400)은 내부 격실의 내측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버튼(210), 잠금 고리(300) 및 코일 스프링(500) 각각은 모두 잠금 하우징(400)과 상호 작용을 하며 연결된다. 또한, 잠금 하우징(400)의 일측은 버튼(210)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홀(420)이 형성되어 버튼(210) 및 잠금 고리(300)와 밀착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10)의 외부 노출 부위에 수직력을 가하여 버튼(210)을 작동하면, 버튼(210)은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잠금 고리(30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잠금 고리(300)의 상향 이동에 따라 잠금 고리(300) 하부에 형성된 후크(320)가 내부 격실문(100) 상부의 후크결합홈(110)으로부터 이탈되며 내부 격실문(100)은 개방된다. 이때, 잠금 고리(300)의 상부면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500)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버튼(210)에 대한 수직력이 해제되면 버튼(210) 및 잠금 고리(300)는 원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은 버튼(210)에 수평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힌지 구조에 따른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잠금 고리(300)가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후크(320)에 의해 고정된 내부 격실문(100)이 개방되지 않는 구조이다.
도 3은 잠금 고리 및 잠금 하우징의 형상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 하우징(400)의 상부 조립홀(410)에 잠금 고리(300)의 돌출부(330)가 삽입되며, 잠금 고리(300)의 걸림부(310)를 관통하여 버튼(210)이 결합된다.
버튼(210)에 힌지홀(221)이 형성되고 잠금 하우징(400)에 힌지축(220)이 형성되어 버튼(210)이 잠금 하우징(400)에 힌지 결합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20)은 잠금 하우징(40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버튼(210)의 좌우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힌지축(220)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힌지축(220)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축으로 구성되지 않고 중앙에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210)에 형성된 힌지홀(221)의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 힌지축(220)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힌지 결합된다. 이때, 분리 형성된 힌지축(220)은 힌지홀(221)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각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즉, 힌지축(220)이 분리되어 형성되고 분리된 각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에 따라 버튼(210)에 소정 강도 이상의 수평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힌지홀(221)과 힌지축(220)이 상호 이탈되면서 힌지 구조가 해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힌지 구조가 해체되면 버튼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부분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버튼(210)의 수평 방향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잠금 고리(300)와 버튼(210)의 결합 상태는 계속하여 수평으로 유지되므로 잠금 고리(300)의 상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격실문의 래치 시스템은 버튼(210)에 수평 방향의 하중이 소정 강도 이상 가해지더라도 버튼(210)의 힌지 결합이 해체될 뿐 잠금 고리(300)의 후크(320)에 의한 내부 격실문(100) 고정 상태는 유지되므로 내부 격실문(100)이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가 유지되는 구조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힌지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힌지축을 일체로 형성하여 소정 강도 이상의 수평 하중이 가해질 때 힌지축이 파괴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분리된 힌지축의 끝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고 수평 방향의 하중에 따른 힌지축의 굽힘에 의해 힌지 구조가 해체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격실문 개폐 버튼을 내부 격실에 힌지 구조로 연결하고 힌지 구조에 따른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하여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도록 하고, 버튼에 수평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힌지 연결만 해체되고 잠금 고리의 내부 격실문 고정 상태는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의 구성 부품 개수가 줄어 조립이 용이하고 소음 발생 및 원가 상승이 방지되며 차량의 충돌시 외부 충격에도 내부 격실문이 열리지 않아 운전자 및 승객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의 내부 격실문 래치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내부 격실문을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 고리;
    일부가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고 소정 위치에 힌지홀이 형성되는 버튼;
    내부 격실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잠금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버튼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잠금 고리가 상하 이동되고 상기 내부 격실문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고리의 상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고리의 이동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고리의 상부면과 상기 잠금 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하우징의 힌지축은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힌지홀 양측으로 각각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각각의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KR1020060064951A 2006-07-11 2006-07-11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KR10072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951A KR100726876B1 (ko) 2006-07-11 2006-07-11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951A KR100726876B1 (ko) 2006-07-11 2006-07-11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876B1 true KR100726876B1 (ko) 2007-06-14

Family

ID=3835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951A KR100726876B1 (ko) 2006-07-11 2006-07-11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451A (ko) * 1996-01-25 1997-08-12 미야무라 신페이 차량 도어 래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451A (ko) * 1996-01-25 1997-08-12 미야무라 신페이 차량 도어 래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9915A1 (en) Overslam bumper for vehicle door latch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CN103670052B (zh) 用于双门总成的双棘爪闩锁机构
US20070013202A1 (en) Vehicle interior accessory having a pivotable door
US20160159258A1 (en) Console armrest assembly with dampening strut and integrated inertial lock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JP6094429B2 (ja) 収納装置
KR100726876B1 (ko) 차량의 내부 격실문 열림 방지 래치 시스템
KR100879107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811950B1 (ko) 차량용 어퍼트레이
KR10093079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CN112298050B (zh) 车辆用收纳装置
KR101906724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4316857B2 (ja) ラッチ機構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101637600B1 (ko) 차량용 푸쉬-오픈 타입의 트레이 어셈블리
JP3584184B2 (ja) 収納ボックス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9990026868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KR100821848B1 (ko) 커버링 셀프 조립체
KR101193625B1 (ko) 글로브 박스의 셀프 로킹 장치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