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888Y1 -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888Y1
KR200359888Y1 KR20-2004-0005234U KR20040005234U KR200359888Y1 KR 200359888 Y1 KR200359888 Y1 KR 200359888Y1 KR 20040005234 U KR20040005234 U KR 20040005234U KR 200359888 Y1 KR200359888 Y1 KR 200359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aft pin
lever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승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승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5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 몸체와, 양단이 손잡이 몸체에 장착되는 레버로 이루어지고, 레버는 일단에서 제 1 축 핀을 개재하여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서 제 2 축 핀에 의해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결합하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축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축과, 이 축보다 직경이 크고 일단에 형성된 헤드 및 헤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로 이루어지며, 이탈방지돌기와 축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가 테이퍼지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Door pull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와 결합되는 회동부재에 개재되는 축 핀의 헤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를 축 핀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이탈방지돌기와 축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가 테이퍼지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축 핀 서포트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승하차 또는 화물의 적재 등을 위해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손잡이가 구비된다.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는 도어손잡이 중 외측에 형성되는 도어손잡이는 대부분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부위에 손을 삽입하기 위한 소정크기의 함몰부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와, 양단이 손잡이 몸체에 결합되어 도어를 열기 위한 수단이 되는 레버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레버의 양단은 손잡이 몸체에 축 핀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데, 일단은 손잡이 몸체에 직접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부재를 통하여 손잡이 몸체에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는 축 핀을 개재하여 고정되는데, 종래의 축 핀은 일자형의 원기둥 형상으로 외부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어 레버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부재가 연속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축 핀이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버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부재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여도 회동부재를 손잡이 몸체에 고정하는 축 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축 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가 설치되었을 때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손잡이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 몸체와, 양단이 손잡이 몸체에 장착되는 레버로 이루어지고, 레버는 일단에서 제 1 축 핀을 개재하여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서 제 2 축 핀에 의해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결합하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축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축과, 이 축보다 직경이 크고 일단에 형성된 헤드 및 헤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로 이루어지며, 이탈방지돌기와 축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가 테이퍼지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축 핀의 타단은 회동부재에 끼워져서 장착된 후 압입되어 축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편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축 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가 설치되었을 때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손잡이에 적용되는 축 핀(100)은 축(140)과 축(14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축(140)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120)로 이루어진다.
축(14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120)와의 경계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110)가 축 핀(100)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일체로 형성되며, 이탈방지돌기(110)와 축(140)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110)가 테이퍼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축(140)의 일측 단부에는 축(140)보다 직경이 큰 헤드(120)가 형성되고, 도 1b를 참조하면, 축(140)의 타측 단부는 축 핀(100)이 장착한 후 적절한 압입부재에 의해 압입되어 이탈방지편(1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손잡이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는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 몸체(200)와, 손잡이 몸체(200)에 장착되는 레버(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도어손잡이의 이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어손잡이의 전면에 결합되는 레버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손잡이 몸체(200)는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기 위해 도어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서 손잡이 몸체(200)와 레버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부위에 소정크기의 돌출부(210), 즉 전면에서 볼 때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10)의 일 측부에는 후술되는 레버의 일측 연결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레버수용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타 측부에는 레버수용부(220)와 동일선상에 레버의 타측 연결부가 삽입되는 레버관통구(230)가 형성된다. 레버수용부(222)에는 축 핀(100)이 고정되도록 대향하여 축 핀 서포트공(222)이 형성된다.
레버삽입구(230)에 인접하여서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축 핀 서포트(240, 250)가 형성되고, 축 핀(100)은 하나의 축 핀 서포트(250)로부터 다른 축 핀 서포트(240)로 끼워진다.
레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태의 파지부와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 연결부는 레버수용부(220)에 끼워져 축 핀(100)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되며, 타측 연결부는 레버관통구(230)를 관통하여 회동부재(300)와 결합된다.
회동부재(300)는 길이방향 중앙에 축 핀 삽입공(31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스프링 삽입돌기(310)가 형성되어 축 핀(100)에 의해 축 핀 서포트(240, 25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길이방향 중앙에 대해 일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레버와 갈고리-훅 결합을 이루고, 타단은 도어의 개폐 어셈블리(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축 핀(100)을 중심으로 레버의 동작은 개폐 어셈블리에 동작에 영행을 미친다.
스프링(400)은 스프링 삽입돌기(310)에 끼워져서 양단이 각각 서포트(240)와 회동부재(300)에 고정되어 회동부재(30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동작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레버의 일측 단부를 레버수납부(220)에 수납하고, 축 핀(100)을 레버수납부(220)를 가로지르도록 축 핀 서포트공(222)에 끼우면, 레버의 일측 단부는 축 핀(1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축 핀(10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10)는 축(140)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축 핀 서포트공(222)에 끼워질 때 강하게 압입해야 하며, 이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다. 축 핀 서포트공(222) 주위가 뭉그러지면서 이탈방지돌기(110)가 진입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10)와 축(140)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110)가 테이퍼져 있으므로 축 핀 서포트공(222)에 이탈방지돌기(110)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일단 축 핀(100)이 삽입되면, 이탈방지돌기(110)에 의해 빠지기 어렵게 되는데, 이와 함께 축 핀(100)의 타측 단부를 압입부재로 압입하여, 도 1b와 같이, 이탈방지편(130)을 형성함으로써 축 핀 서포트공(222)의 외측에서 헤드(120)와 이탈방지편(130)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동부재(300)를 축 핀 서포트(240, 250) 사이에 위치하고 축 핀(100)을 삽입하면, 축 핀 서포트(250) - 축 핀 삽입공(311) - 스프링 삽입돌기(310) - 축 핀 서포트(240)를 통과한다. 이때, 미리 스프링(400)은 스프링 삽입돌기(310)에 끼워지며, 양단이 각각 서포트(240)와 회동부재(300)에 고정된다.
따라서, 레버의 타측 단부는 레버관통공(230)을 관통하여 회동부재(300)의 일단의 갈고리에 결합되며, 레버를 당기면 스프링 삽입돌기(310)를 기준으로 회동부재(300)가 회동하고, 레버를 놓으면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는 레버와 결합되는 회동부재에 개재되는 축 핀의 헤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를 축 핀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이탈방지돌기와 축의 경계부분에서 이탈방지돌기가 테이퍼지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축 핀 서포트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축 핀을 끼운 다음에 타측 단부를 압입부재로 압입하여 이탈방지편을 형성함으로써 축 핀이 축 핀 서포트로부터 전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 몸체와, 양단이 상기 손잡이 몸체에 장착되는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는 일단에서 제 1 축 핀을 개재하여 상기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서 제 2 축 핀에 의해 상기 손잡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결합하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축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축과, 상기 축보다 직경이 크고 일단에 형성된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축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핀의 타단은 상기 회동부재에 끼워져서 장착된 후 압입되어 상기 축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
KR20-2004-0005234U 2004-02-27 2004-02-27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KR200359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34U KR200359888Y1 (ko) 2004-02-27 2004-02-27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34U KR200359888Y1 (ko) 2004-02-27 2004-02-27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888Y1 true KR200359888Y1 (ko) 2004-08-21

Family

ID=4943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234U KR200359888Y1 (ko) 2004-02-27 2004-02-27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8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9984B2 (ja) フック装置
WO2014045933A1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2011084259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50094147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EP3665348B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6253634B1 (en) Vehicular opener device having a recessed operation lever
KR200359888Y1 (ko)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FR2815521A1 (fr) Boitier de telecommande a cle mecanique escamotable
JP2547881Y2 (ja) 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2000110425A (ja) オープナー装置
EP0169113B1 (fr) Dispositif de montage d'un équipement tel que notamment un récepteur radio disposé à l'intérieur de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KR100888173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0681173B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
JP3178909U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解除レバー
JP2000145213A (ja)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における作動レバーの取付構造
JPH0346252Y2 (ko)
JP4465161B2 (ja) 支持具及び日除け器具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10045791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콘솔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JPH0628334U (ja) ヒンジ機構
JPH038489Y2 (ko)
JPH0529309Y2 (ko)
JP5179130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FR2828515A1 (fr) Cle a panneton art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