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58B1 -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58B1
KR930001658B1 KR1019890019283A KR890019283A KR930001658B1 KR 930001658 B1 KR930001658 B1 KR 930001658B1 KR 1019890019283 A KR1019890019283 A KR 1019890019283A KR 890019283 A KR890019283 A KR 890019283A KR 930001658 B1 KR930001658 B1 KR 93000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507A (ko
Inventor
다다시 야마모토
다케시 다나카
유수케 고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181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capacitors, e.g. trench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nitride not containing oxygen, e.g. SixNy or SixByNz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7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capaci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 1실시예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P형 반도체기판 105 : 구
107 : N-확산층 108 : 산화막
109, 111 : 다결정실리콘막 110 : 층간절연막
112 : 게이트산화막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 캐패시터(溝型 capacitor)를 구비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반도체집적회로에 있어서, 작은 면적에 큰 용량의 캐패시터를 구성할 경우 반도체기판에 구를 형성하고 이 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같은 구형 캐패시터의 단면구성을 제2도에 나타낸 바, 도면에 대하여 참조부호 1은 P형 반도체기판 및 2는 N-형 확산층 3은 절연막, 4는 다결정실리콘층이다. 캐패시터는 확산층(2) 및 다결정실리콘층(4)을 각각 양전극(兩電極)으로 하고 절연막(3)을 유전체막으로 하여 구성된다. 참조부호 6은 기체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구내에 매립하여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이 다결정실리콘층(6)과 다결정실리콘층(4)는 절연막(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참조부호 7은 층간절연막이다.
다결정실리콘층(6)을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우선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결정실리콘층(4)위에 절연막(5)을 형성한 후 그 절연막(5)위에 다결정실리콘층(6)이 구를 매립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5)을 에칭의 스톱퍼재료로 하여 다결정실리콘층(6)을 이방성에칭(異方性 eching)에 의해 에칭제거하면 다결정실리콘층(6)은 구내부에만 잔존하게 된다. 그 다음 공정으로 캐패시터전극인 다결정실리콘층(4)표면의 절연막(5)을 웨트에칭법(wet eching 法)에 의해 제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3c도의 파선 A, B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다결정실리콘층(4, 6)간에 형성된 절연막(5)의 표면부도 오버에칭(over eching)된다. 그 다음에 다결정실리콘층(4, 6)들을 열산화하여 층간절연막을 형성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다결정실리콘층(4, 6)은 그 표면 뿐만 아니라 측면도 노출되어 있으므로 측면에서 부터 발생하는 산화에 의해 다결정실리콘층(4, 6)에 압력이 가해지고 파선(A, B)으로 나타낸 영역에 강한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한다. 이 결과 기판(1)은 다결정실리콘층(6)의 응력에 의해 그 그위 근방부에 결정결함(x기호로 도시함)이 발생하기 쉽고 리이크(leak)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다결정실리콘층(6)을 구내부에만 잔존시키기 위한 에칭을 할 때 다결정실리콘층(4)의 표면에 이 에칭에 따른 손상이 따라오므로 이 다결정실리콘층(4)을 열산화하여 형성한 층간절연막의 내압은 충분한 것이 못된다.
더욱이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다결정 실리콘층(6)을 에칭제거할 때 스톱퍼로서의 절연막(5)을 일단 형성하고 그 후 다결정실리콘층(4)을 패턴닝하기 위해 절연막(5)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제조공정이 복잡해 진다는 결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결정결함 및 층간내압의 열화가 발생하기 쉽고 또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결정결함 및 층간내압의 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제조공정의 간이화(簡易化)를 도모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그 반도체기판(101)에 구(105)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의 측면 및 저면(底面)에 도전성 제1층(107)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제1층 및 상기 반도체기판(101)위에 절연성 제2층(10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제2층위에 도전성 제3층(109)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제3층을 패턴닝하여 캐패시터용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피시터용 전극을 피복하는 절연성 제4층(11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105)를 매립하도록 상기 제4층위에 제5층(111)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5층이 상기 구(105)내에만 잔존하도록 상기 제5층을 에칭하는 공정과 상기 제5층위에 절연성 제6층(11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작용]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3층을 패턴닝하여 캐패시터전극을 형성한 다음 제4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3층을 패턴닝 하기 위해 제4층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그로 인해 그내부에 매립하여 형성된 제5층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그 측면이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표면만이 노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제6층을 형성하기 위한 열산화공정을 행하여도 제5층의 윗부분만 산화되므로 제5층에는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고 결정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4층이 에칭되지 않기 때문에 제3층에는 에칭등에 따른 손상이 전혀 가해지지 않는다. 이로인해 제3층 위에는 절연내압이 양호한 제4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이 제4층은 제5층을 패터닝할 때 에칭의 스톱퍼 및 층간절연 막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제5층 에칭의 스톱퍼로서 다른 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조공정을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 1캐피시터형 메모리셀을 갖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계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우선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P형 실리콘기판(101)의 표면에 소자분리용 필드산화막(102)을 형성한다. 다음에 기판(101)의 표면에 통상의 사진식각기법(Photo lithogratphy) 및 이온주입기법을 이용하여 N-형 확산층(103)을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CVD-SiO2막(104)를 퇴적한 후 그 소정영역에 개구(104a)를 형성한다. 그래서 CVD-SiO2막(104)를 마스크로하여 기판(101)을 예컨대 RIE(반응성이온에칭)에 의해 에칭하고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정도의 깊이를 갖는 구(10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불순물의 확산원으로서 예컨대 PSG막(106)을 구(105)의 내면을 포함한 전표면에 퇴적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반도체장치를 열처리함으로써 구(105)의 저면 및 측면 N-형 확산층(107)이 형성된다.
또한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G막(106) 및 CVD-SiO2막(104)을 에칭제거한 후 열산화를 행하여 구(105)의 내면 및 기판(101)의 표면에 막두께 200Å정도의 산화막(108)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1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예컨대 2000Å두께의 다결정실리콘막(109)를 퇴적하여 여기에 불순물을 도프한 후 캐피시터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다결정실리콘막(109)을 패턴닝한다. 그 다음에 다결정실리콘막(109)를 열산화하고 1000Å정도의 층간절연막(110)을 형성하여서 이 층간 절연막(110) 전면에 6000Å정도의 다결정실리콘막(111)을 퇴적시킨 후 다결정실리콘층(111)을 드라이에칭법(drt eching 法)에 의해 에칭하여 구(105)내부에만 잔존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1f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기판(101)위의 산화막(108)을 제거하여 기판(101)의 표면을 노출시킨 후 열산화를 행하여 그 노출된 기판의 윗면 및 구(105)내에 잔존하는 다결정실리콘층(111) 윗면에 게이트산화막(112)를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이 게이트산화막(112) 위에 다결정실리콘막(113)을 퇴적하여 여기에 불순물을 도프한 후 다결정실리콘막(113)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통상의 이온주입기술에 의해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 N-확산층(114a, 114b)를 형성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전극인 다결정실리콘층(109)을 패터닝하고 나서 층간절연막(110)을 형성하며 그 후에 구(105)를 다결정실리콘막(111)으로 매립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다결정실리콘막(111)의 측면이 종래와 같이 노출되지 않고 그 표면만이 노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다결정실리콘막(111)의 윗면만이 산화되기 때문에 다결정실리콘막(111)에 강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정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다결정실리콘막(109)은 에칭에 따른 손상이 없기 때문에 양호한 내압을 갖는 층간 절연막(1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층간절연막(110)은 다결정실리콘막(111)이 구(105)의 내부에만 잔존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드라이에칭시에 스톱퍼의 역활도 하고 있으므로 스톱퍼로서의 다른 막의 형성 및 제거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종래공정에 비해 제조공정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내를 매립하는 막으로서 다결정실리콘막(111)이외의 스핀도포법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산화막(spin on glass)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인 산화막(108) 대신에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및 실리콘산화막으로 이루어진 3층구성의 막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실리콘질화막을 이용한 절연막은 높은 유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른 구형 캐패시터를 갖춘 반도체장치로는 결정결함의 발생 및 층간 내압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조공정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반도체기판(101)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그 반도체기판(101)에 구(105)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105)의 측면 및 저면에 도전성 제1층(107)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제1층(107) 윗면 및 상기 반도체기판(101)의 윗면에 절연성 제2층(10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제2층(108)위에 도전성 제3층(109)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제3층(109)을 패터닝하여 캐패시터용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패시터용 전극을 피복하는 절연성 제4층(11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제4층(110)위에 상기 구(105)를 매립하는 제5층(111)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5층(111)이 상기 구(105)내에만 잔존하도록 제5층(111)을 에칭하는 공정과, 상기 제5층(111)위에 절연성 제6층(11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제2층이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및 실리콘산화막으로 이루어진 3층구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층(111)이 다결정실리콘층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층(111)이 스핀도포법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산화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9890019283A 1988-07-25 1989-12-22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930001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5083 1988-07-25
JP63185083A JP2593524B2 (ja) 1988-07-25 1988-07-25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507A KR910013507A (ko) 1991-08-08
KR930001658B1 true KR930001658B1 (ko) 1993-03-08

Family

ID=1616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283A KR930001658B1 (ko) 1988-07-25 1989-12-22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66609A (ko)
JP (1) JP2593524B2 (ko)
KR (1) KR930001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698A (en) * 1989-08-12 1993-07-06 Samsung Electronics Co.,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stacked trench capacitor
KR970001894B1 (en) * 1991-09-13 1997-02-18 Nippon Electric Kk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601176B2 (ja) * 1993-12-22 1997-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07254640A (ja) * 1993-12-30 1995-10-03 Texas Instr Inc <Ti> スタック・トレンチ・コンデンサ形成工程におけるトレンチ分離構造形成方法
US5451809A (en) * 1994-09-07 1995-09-19 Kabushiki Kaisha Toshiba Smooth surface doped silicon film formation
US5936271A (en) * 1994-11-15 1999-08-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Unit cell layout and transfer gate design for high density DRAMs having a trench capacitor with signal electrode composed of three differently doped polysilicon layers
US6020609A (en) * 1997-10-31 2000-02-01 Texas Instruments - Acer Incorporated DRAM cell with a rugged stacked trench (RST) capacitor
KR100253406B1 (ko) 1998-01-20 2000-04-15 김영환 반도체 파워 집적회로에서의 소자격리구조 및 그 방법
US6093606A (en) * 1998-03-05 2000-07-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e of vertical stacked gate flash memory device
US6271557B1 (en) * 1999-10-05 2001-08-07 Infineon Technologies Ag Center node for deep trench capacitors
US9608130B2 (en) 2011-12-27 2017-03-28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ench capacitor structure integrat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501A1 (fr) * 1980-04-14 1981-10-16 Thomson Csf Dispositif semi-conducteur a grille profonde accessible par la surfac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S56157044A (en) * 1980-05-09 1981-12-04 Hitachi Ltd Insulating isolation of semiconductor element
JPS57204133A (en) * 1981-06-10 1982-12-14 Hitachi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S58137245A (ja) * 1982-02-10 1983-08-15 Hitachi Ltd 大規模半導体メモリ
US4472212A (en) * 1982-02-26 1984-09-18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JPS5961045A (ja) * 1982-09-29 1984-04-07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66436B2 (ja) * 1983-04-15 1994-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4569701A (en) * 1984-04-05 1986-02-11 At&T Bell Laboratories Technique for doping from a polysilicon transfer layer
JPS60213053A (ja) * 1984-04-09 1985-10-25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メモリ素子
JPS60234361A (ja) * 1984-05-07 1985-11-21 Nec Corp Mis型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S60253263A (ja) * 1984-05-30 1985-12-13 Hitachi Ltd 半導体装置
KR900000170B1 (ko) * 1984-06-05 1990-01-23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다이내믹형 메모리셀과 그 제조방법
JPS61142764A (ja) * 1984-12-17 1986-06-3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1152062A (ja) * 1984-12-26 1986-07-10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1166157A (ja) * 1985-01-18 1986-07-26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US4676847A (en) * 1985-01-25 1987-06-3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ntrolled boron doping of silicon
JPS61194748A (ja) * 1985-02-25 1986-08-29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S61289642A (ja) * 1985-06-18 1986-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S61289657A (ja) * 1985-06-18 1986-12-1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S6229161A (ja) * 1985-07-31 1987-02-07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S6284543A (ja) * 1985-10-08 1987-04-1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2120061A (ja) * 1985-11-20 1987-06-01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464316A (en) * 1987-09-04 1989-03-10 Toshiba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026620A (ja) * 1988-03-23 1990-01-10 Nippon Steel Corp ピッチ系炭素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93524B2 (ja) 1997-03-26
KR910013507A (ko) 1991-08-08
US5066609A (en) 1991-11-19
JPH0234962A (ja) 199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62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2000172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482869A (en) Gettering of unwanted metal impurity introduced into semiconductor substrate during trench formation
KR93000165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91001355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68447B1 (ko)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97143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960039222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70030838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913949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588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87181B1 (ko) 트렌치소자분리영역을갖는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JP2560517B2 (ja) 浮遊ゲート型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43963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trench capacitor
JPH0434807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9642B1 (ko)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US5160988A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omposite surface insulator
KR19980077231A (ko) 반도체소자의 격리막 및 그 형성방법
JPH119752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221634A (en) Method of making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self diffusion of dopant from contact member for augmen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doped region in substrate
KR100505101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0151070B1 (ko) 실리콘-온-인슐레이터 구조를 이용한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960013636B1 (ko) 반도체 기억장치의 전하보존전극 제조방법
KR100205339B1 (ko) 반도체소자의 격리영역 형성방법
JPH083723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