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49B1 -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 Google Patents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49B1
KR920008949B1 KR1019890702508A KR890702508A KR920008949B1 KR 920008949 B1 KR920008949 B1 KR 920008949B1 KR 1019890702508 A KR1019890702508 A KR 1019890702508A KR 890702508 A KR890702508 A KR 890702508A KR 920008949 B1 KR920008949 B1 KR 920008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nit
shelf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147A (ko
Inventor
쓰도무 다까하시
히데끼 제니다니
이쓰오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와 셀프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확대 전방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후방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셀프내에 완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기판 삽입 초기단계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6도의 기판의 이탈 조작중의 측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기판 유니트 삽입의 최종 단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0a-e도는 각각 기판 이탈중 레버와 록 아암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a-e도는, 각각 기판 삽입중 레버와 록 아암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록 아암과 이것에 연결된 표판상의 창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셀프에 완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불완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전방 사시도.
제16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17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수직 보강부재 하단부의 확대 사시도.
제18도는 수평 보강부재의 접속부에 형성된 계합용 홈의 확대 평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자회로장치의 셀프(shelf)에 대해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착탈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통신기기 또는 정보기기등과 같은 전자회로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탑재하는 상자형 셀프는 각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출입을 위해 앞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셀프의 내부에는 백보드(back board)가 고정돼있고, 이 백보드에는 다수의 자형 콘넥터가 설치된다.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는 셀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guide rail)을 따라 셀프내로 삽입되며, 그 후부에는 상기 자형 콘넥터에 계합가능한 웅형 콘넥터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는 상기 콘넥터간의 마찰력에 의해 셀프내에 안정하게 고정되며, 백보드에 전기적 접속된다.
최근, 프린트기판상에 전자부품의 설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백보드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콘넥터의 핀(pin)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셀프에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착탈하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들어, 일본 특개소 62-119999호에는, 프린트기판 유니트에 레버기구(lever mechanism)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 레버기구를 사용하면,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작업을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 기구의 경우, 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호울더(holder)부재의 아암이 탄성 변성되며, 따라서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중 레버의 선회축위치가 이동된다. 그러므로, 콘넥터의 접속 또는 절단시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받는 힘이 불안정해지며, 상기 호울더 부재의 아암이 반복적 변형에 의해 훼손된다. 또한,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에 없을때는 레버가 피벗(pivot)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레버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한쪽끝이 자연적으로 하강되며, 따라서,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에 완전 삽입될 때 레버를 수동으로 수평위치로 유지하는 등의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콘넥터들의 계합에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경우, 웅형 콘넥터가 자형 콘넥터에 완전 삽입됐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콘넥터들의 불완전한 계합과 그로인한 접속미스(mis-connection)의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상기 프린트기판은, 플라스틱박판이 적층된 사이에 도전성 재료로된 회로 패턴이 프린트된 구성으로 되어있으므로 납땜처리중 상기 플라스틱박판과 프린트된 회로의 열팽창차이에 의해 프린트기판이 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린트기판의 장방형의 내 변부에 보강부재를 리베트(rivet)등으로 고정한다. 그러나, 이로인해,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경비가 높아진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셀프와 프린트기판 유니트간에 견고한 계합을 얻을 수 있고, 계합작업이 정확히 행하여 졌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 착탈용 레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프린트기판의 보강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어, 조립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 상기 유형의 레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다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상자형 셀프내에 탑재되며, 상기 각 프린트기판 유니트에는 각종 전자회로들이 설치되고, 그 후변부에는 콘넥터가 설치되고, 상기 프린트기판 콘넥터는 셀프내의 백보드상에 고정된 대응 콘넥터에 삽입 계합 가능한 전자회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기판의 선단부의 상, 하 각변에 피벗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백보드 콘넥터에 대한 상기 프린트기판 콘넥터의 계합 또는 이탈에 요하는 거리이상으로, 셀프에 대해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레버수단과,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고정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며,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에 완전 삽입된 후에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콘넥터들이 상기 백보드의 콘넥터들과 계합될때까지,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에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셀프상에 설치된 고정수단과 계합가능한 록 아암(lock arm)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수단은 상기 록 아암과 직면한 영역에, 상기 레버수단의 회전운동을 상기 셀프상의 상기 고정수단에 대한 록 아암의 계합/이탈 운동으로 전환하는 캠표면(cam surface)을 갖는 것이 특징인,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상기 레버수단에 의하면,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로 눌려 들어가는 중에 상기 록 아암이 탄성 변형되며, 프린트기판 콘넥터들이 셀프의 콘넥터들과 충분히 계합될 정도로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충분히 삽입되고, 록 아암이 셀프상의 정지수단과 일치될 때, 상기 변형에 기인된 록 아암에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해방되므로써 상기 록 아암이 상기 고정수단에 들어가 끼워 맞춰진다. 이때, 작업자는 클릭소음(clicking noise)으로 견고한 계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 아암의 자유단부에 돌기를 설치하며, 이것은 프린트기판의 선단부에 고정된 표판(front plate)에 형성된 창과 일직선 상에 있으므로, 상기 록 아암과 고정수단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외부에서 목시가 가능하며,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클릭소음외에도 목시에 의해 견고한 계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록 아암은 수지재료로 만들어지며, 보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기판의 상, 하 각변에 수평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보강부재에는, 기류의 통로를 제공하며 실질적으로 전장에 걸쳐 형성된 수직투공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조립 공수가 대폭 저감되며, 또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한 기류가, 인접한 프린트기판 유니트간의 간격을 원활히 통과하여, 상기 투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기판의 상, 하 양변에 고정되는 상기 보강부재에, 수직 보강부재의 대향단부들과의 압축조임 결합을 위한 홈을 설치하며, 그러므로써, 상,하 수평 보강부재들이 서로 고정 접속된다. 따라서, 한쌍의 수평 보강부재들과 수직 보강부재는, 후자의 자유단부가 전자의 상기 계합용 홈에 끼워 맞춰지므로써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써, 프린트기판이 강해지며 뒤로 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과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양호한 실시예들의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착탈기구가 설치된 프린트기판 유니트와, 이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탑재하는 셀프의 외관을 나타내며; 제2-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전체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며; 제5-제11도는 제1도에 나타난 착탈기구의 요부 구성 및 동작 단계를 나타낸다.
먼저, 제1-제4도를 참조하면, 앞면이 개방된 상자형 셀프(10)는 그 상벽 및 하벽에, 각각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그의 착탈중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1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러므로써 프린트기판 유니트(20)들이 병렬 상태로 셀프(10)내에 탑재된다. 셀프(10)내부에는 다수의 자형 콘넥터(14)가 앞면에 장착된 백보드(13)가 부착돼있다.
프린트기판 유니트(20)는 셀프(10)의 상,하 가이드레일(11),(12)을 따라 셀프(10)내로 삽입 가능한 프린트기판(21)을 구비한다. 이 프린트기판(21)의 설치면(mounting surface)상에 다수의 전자회로 부품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들 부품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 관련성이 없으므로 도면에서 생략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프린트기판(21)의 후단부는, 프린트기판(21)이 셀프(10)내에 탑재될 때 백보드(13)에 대향되며, 후단부 근방에, 웅형 콘넥터(22)가 프린트기판(21)의 설치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웅형 콘넥터(22)는 다수의 핀을 구비하며, 이 핀들은 각각 상기 백보드(13)상에 설치된 대응 자형 콘넥터(14)와 삽입 계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콘넥터(14)와 (22)의 마찰계합에 의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백보드(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셀프(10)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트기판(21)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방향 보강부재(23)가 웅형 콘넥터(22)와 함께 프린트기판(21)상에 부착된다.
프린트기판(21)의 선단부에는 L'자형으로 굽은 표면(24)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표면(24)에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 신호용 콘넥터 또는 라벨(label) 등의 작은 부품들을 설치한다.
프린트기판(21)의 전단부에는, 장방형상의 프린트기판(21)의 상,하 양변을 따라,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셀프(10)내에 록크(lock)하기 위한 록 아암(26)이 고정된다. 이 록 아암(26)은 폴리에틸렌설파이드와 같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된 것이며, 힘을 받으면 그 정면 반쪽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휠 수 있도록 캔티레버(cantilever)모양으로 설치된다.
셀프(10)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20)의 착탈시 록 아암(26)의 구동을 위한 레일(25)가 록 아암(26)의 정면에 설치된다.
상,하에 각각 설치된 2조의 상기 부재(25)와 (26)의 구성과 기능은 원리면에서 동일하며, 하기에는 상기 하변의 부재(25)와 (26)쌍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상기 레버(25)는, 한쌍의 요우크(yoke)(27)과 (28)을 구비하며, 이들은, 프린트기판(21)의 밑모서리가 요우크(27)와 요우크(28)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삽입되도록 프린트기판(21)의 밑모서리를 씌운다.
상기 요우크(27)와 (28)은, 프린트기판(21)을 관통하는 핀(29)의 양 단부를 고정하며, 그러므로써, 레버(25)가 프린트기판(21)에 대하여 핀(29)을 중심으로 제5도의 화살표(R)과 (F)로 나타낸 방향으로 피벗가능하게 된다.
셀프(10)의 개구부의 하변을 따라 형성된 凹홈(16)을 갖는 블록(15)이 셀프(10)의 앞벽 내측에 부착된다.
상기 레버(25)는 상기 凹홈(16)의 앞쪽내벽(16a)에 대면 접촉되는 앞쪽동작면(25a)과, 상기 凹홈(16)의 뒤쪽내벽(16b)에 대면 접촉되는 뒤쪽동작면(25b)을 갖는다. 레버(25)가 제9도에 나타난 위치에서 (R)방향으로 동작되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완전히 삽입되지는 않으며, 상기 앞쪽동작면(25a)(제5도 참조)이 상기 앞쪽내벽(16a)과 계합되며,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적어도 웅형 콘넥터(22)와 자형 콘넥터(14)가 계합되기 충분한 거리만큼, 셀프(10)내로 삽입된다. 이와 반대로,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5)가 (F)방향으로 동작되면, 뒤쪽동작면(25b)이 뒤쪽내벽(16b)과 계합되고,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적어도 웅형 콘넥터(22)가 자형 콘넥터(14)에서 이탈되기 충분한 거리만큼, 셀프(10)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셀프(10)의 하벽부에는 계합공(17)이 형성되며, 이 계합공은, 상기 록 아암(26)의 밑면의 돌기부(26a)가 끼워맞춰지는 고정수단이 된다. 이 돌기부(26a)가 상기 계합공(17)에 끼워 맞춰지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 록크되므로써, 셀프내에서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삽입될 때, 웅형 콘넥터(22)가 자형 콘넥터(14)내에 완전 삽입될때까지, 상기 돌기부(26a)가 계합되도록 상기 계합공(17)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록 아암(26)은 셀프(10)의 하벽과 계합 가능한 동작면(26b)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25)는 또한, 셀프(10)내에서, 레버(25)의 (R)방향 또는 (F)방향 회전운동을 셀프(10)의 계합공(17)에 대한 록 아암의 계합 및 이탈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캠표면(30)을 구비한다.
상기 캠표면(30)은, 레버(25)가 (F)방향으로 회전할 때 셀프(10)의 계합공(17)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록아암(26)을 탄성변형시키는 상단부(30a)를 구비하며, 그러므로써,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캠표면(30)은 또한, 상기 상단부(30a)에 인접한 공동(cavity)(30b)을 구비하며, 이것은 레버(25)가 (R)방향으로 회전될 때 록아암(26)에 걸린 탄성력을 해방하며, 그러므로써, 프린트기판(20)이 셀프(10)내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5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 완전 삽입될 때, 록아암(26)의 일부가 상기 공동(30b)에 끼이게 되며, 따라서, 레버(25)이 자유로운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록아암(26)을 탄성이동시키기 전에는 레버(25)를 (F)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으며, 그러므로, 레버(25)의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되며, 우발적 이동이 발생할 수 없다.
또한, 레버(25)의 캠표면(30)은 상기 상단부(30a)에 인접하고 상기 공동(30b)과 반대쪽에 있는 다른 한 공동(30c)를 구비한다. 따라서 레버(25)가 (F)방향으로 회전하여 록아암(26)을 탄성변형시켜 록아암(26)이 계합공(17)에서 해방될 때, 록아암(26)은 그 탄성에 의해 상기 공동(30c)에 계합되며, 그러므로써 록아암(26)의 토글(toggle)작용에 의해 레버(25)의 자유로운 회전이 제한된다.
다음은,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20)의 착탈조작중 레버(25)와 록아암(16)의 동작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5도 및 제10a도는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완전 삽입된 상태로 나타낸, 본 발명의 착탈기구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록아암(26)이 레버(25)의 작용으로부터 해방되고, 셀프(10)의 계합공(17)에 계합되며, 따라서,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로부터 우발적으로 이탈될 수 없다.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레버(25)의 자유로운 회전이 록아암(26)에 의해 제한되어, 각각의 프린트기판 유니트(20)들에 대한 레버(25)들의 각도 위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삽입된 셀프(10)의 앞면쪽의 외관이 정연하게 된다. 또한 레버(25)의 앞벽면(25c)이 수직이므로, 이 영역에 프린트기판의 제조번호 등의 각종 항목을 표시하는 라벨을 편리하게 붙일 수 있다.
셀프(10)로부터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레버(25)를 (F)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5도 및 제10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25)가 凹홈(16)의 앞쪽 내벽(16a)과 계합되는 위치로부터, 제6도 및 제10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25)가 凹홈(16)의 뒤쪽 내벽(16b)과 계합되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록아암(26)의 선단이 캠표면(30)의 상단부(30a)의 작용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져, 록아암(26)의 돌기부(26a)가 셀프(10)의 계합공(17)에서 이탈된다.
레버(25)를 (F)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凹홈(16)의 뒤쪽 내벽(16b)과 계합된 레버(25)의 작용에 의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로부터 이탈되며, 이와 동시에 웅형 콘넥터(22)가 자형 콘넥터(14)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제10c도는, 프린트기판 유니트(20) 이탈의 초기단계에서 레버(25)와 록아암(26)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며, 제7도 및 제10d도는, 웅형 콘넥터(22)가 자형 콘넥터(14)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에서의 상대위치를 나타낸다.
레버(25)를 (F)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경우, 제10e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록아암(26)의 선단이 캠표면(30)의 공동(30c)에 계합될때까지, 록아암(26)의 탄성에 의한 토글작용이 레버(25)에 가해져 레버(25)가 상기 회전방향으로 유지된다.
셀프(10)에서 이탈된 프린트기판 유니트(20)상의 레버(25)는 제11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위치를 갖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프린트기판 유니트(20)의 삽입작업을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레버(25)를 고정하지 않고도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셀프(10)내로 밀어 넣으므로써 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1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록아암(26)이 凹홈(16)이 뒤쪽 내벽(16b)과 계합될때까지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삽입된 후, 제11c도 및 제11d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25)가 셀프(10)의 凹홈(16)의 앞쪽 내벽(16a)과 계합될때까지 레버(25)가 (R)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록아암(26)이 공동(30c)으로부터 캠표면(30)의 상단부(30a)를 건너 뛰어 캠표면(30)의 공동(30b)에 끼워 맞춰지며 따라서 록아암(26)과 레버(25)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된다.
즉, 록아암(26)이 레버(25)의 작용으로부터 해방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자유상태로 복원되려는 경향이 있으나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완전 삽입되지 않으므로 록아암(26)이 셀프(10)의 하벽면에 대면한 상태로 된다.
레버(25)를 凹홈(16)의 앞쪽 내벽면(16a)와 계합된 상태에서 (R)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더 삽입되어 웅형 콘넥터(22)의 핀들이 자형 콘넥터(14)내에 마찰삽입된다. 이러한 콘넥터(14)와 (22)간의 계합은 레버(25)의 레버 작용에 의해 보다 작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웅형 콘넥터(22)가 자형 콘넥터(14)와 완전 계합될때까지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 삽입되면 제11e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록아암(26)의 돌기부(26a)가 계합공(17)에 끼워 맞춘다. 이 단계에서, 록아암(26)의 동작면(26b)이 록아암(26)의 탄성에너지의 해방에 의해 셀프(10)의 하벽부에 충돌하여 클릭소음을 내며, 이에 의해 작업자는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완전 삽입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2∼14도는 제1실시예를 개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클릭 소음 외에도 목시에 의해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완전 삽입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록아암(26)이 그의 앞쪽 개방단부에 부리(beak)형 돌기부(50)를 구비하며, 창(51)이 상기 돌기부(50)에 대면하여 프린트기판(21)의 표판(24)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기구는 상기 특징들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기구의 기타 부분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면들에서 다른 도면에 도시된 부품들과 대응되는 것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표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돌기부(50)와 창(51) 각각은 이들에 의해 프린트기판(21)의 삽입 및 이탈이 지지되지 않도록 록아암(26)과 레버(25)의 작용범위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 불완전 삽입되는 경우, 록아암(26)의 돌기부(26a)가 셀프(10)의 계합공(17)에 끼워지지 않고, 제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셀프(10)의 하벽부에 얹혀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록아암(26)이 윗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게 되므로써 상기 돌기부(50)가 상기 창(51)가 불일치된다. 이와 반대로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완전 삽입되면 록아암(26)의 돌기부(26a)가 계합공(17)에 끼워맞춰지고 원래의 곧은 상태로 탄성복원 되어 돌기부(50)가 창(51)과 대면되고 이 창(51)을 통해 셀프(10) 외부에서 목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아암(26)이 셀프(10)의 하벽부에 충돌하여 클릭소음을 낸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소음환경 때문에 클릭소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에도 프린트기판(21)의 완전 삽입상태를 목시확인할 수 있다.
제15∼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프린트기판의 상,하변의 선단에 설치된 록아암(26)들이 폴리페닐렌-설파이드와 같은 탄성과 강성을 모두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수평 보강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프린트기판(21)의 휨이 방지된다는 점이다.
상기 부재들과 함께 조립된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제15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상, 하의 수평 보강부재(40)들은 상하방향으로 대칭구조이므로, 하단의 부재(40)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제15도 및 1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40)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뻗친 한쌍의 측벽(42)과 이 측벽(42)들을 연결하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가교부(43)를 가지므로써 원하는 구조강도를 갖는다. 보강부재(40)의 길이방향에 수직통풍투공(44)이 형성되며 이들은 인접한 가교부(43)에 의해 구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아암(26)은 보강부재(4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한다. 예를들면, 리벳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40)가 프린트기판(21)에 고정되면 록아암(26) 또한 프린트기판(21)에 탑재되며, 따라서 프린트기판 조립에 필요한 노동력이 대폭 저감된다.
수직투공(44)이 상기 보강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로 삽입될 때 인접한 프린트기판(21)들 간극이 상,하변에서 상기 보강부재들에 의해 구분된다 해도 상기 투공(44)을 통해 셀프(10)의 내부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종 전자부품들의 작동에 의해 셀프(10)내에 발생된 열이 고온기류의 상향류에 의해서 상기 투공을 통해 셀프 외부로 배출된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상,하 보강부재(40)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직 보강부재(47,47')를 프린트기판(21)의 후단영역과 중간영역에 설치한다. 중간영역의 수직 보강부재(47')는 판금으로 된것이며 프린트기판(21)에, 그리고 그 양단부는 수평 보강부재(40)의 중앙부위에 리벳에 의해 고정된다.
프린트기판(21)의 후단영역의 다른 한 보강부재(47)(이것은 제1∼4도에 도시된 보강부재(23)와 동일한 것이다)는 리벳 또는 스크류에 의하지 않고 수평 보강부재(40)들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제16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제1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보강부재(40)는 그의 후단영역에 결합부(46)를 구비하며, 이 결합부는 그 윗쪽에 결합용 홈(45)를 갖는다. 이 결합용 홈의 형태 및 치수는 상기 수직 보강부재(47)의 하단이 압축조임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 보강부재(47)의 단부의 형태는 장변(47a)과 단변(47b)을 갖는 L형이다. 수평 보강부재(40)에 결합되면, 상기 장변(47a)이 상기 부재(4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결합부(46)의 홈(45)은 제1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태를 갖으며, 길이방향 홈(45a)에는 상기 수직 보강부재(47)의 장변(47a)이 들어가며, 그 홈의 폭(W)는 수직 보강부재(47)의 웨브(web) 두께(t)보다 넓다. 상기 홈(45a)의 후부 내벽면의 중앙에서는 삼각형 돌기(48)가 내부를 향해 돌출돼 있으며 상기 홈(45a)은 상기 돌기(48)와 반대쪽에서 세로 홈(45b)의 중앙부위와 연결된다. 상기 홈(45b)에는 보강부재(47)의 단변(47b)이 들어가며, 홈의 폭(X)은 웨브 두께(t)와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보강부재(47)와 상기 결합용 홈(45)과의 계합을 제18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보강부재(47)의 장변(47a)이 한쪽 면이 측벽(49)에 대면하는 상태로 홈(45a)에 삽입될 때 장변(47a)의 한면의 적어도 두 부분이 상기 측벽(49)에 접촉되며 장변(47a)의 끝부분이 상기 삼각형 돌기(48)의 두 빗면중의 한면에 접촉된다. 다른 한편, 상기 단변(47b)은 그 끝부분이 홈(45b)이 내벽과 접촉하는 상태로 홈(45b)의 반쪽 영역에 끼워진다. 그 결과, 홈(45b)에 의해 보강부재(47)의 홈(45a) 방향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돌기(48)와 홈(45a)의 측벽(49)에 의해 홈(45a)을 횡단하는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므로써 그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수평 보강부재(40)와 수직 보강부재(47)의 상단부간에 상기와 유사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한쌍의 상,하 수평 보강부재(40)들이 상기 수직 보강부재(47)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8도의 평면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홈(45)은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대칭형태이므로 수평 보강부재(47)쌍은 서로 교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린트기판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작용에 의해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셀프에 대해 이동시키는 레버가 프린트기판의 상,하 모서리에 설치되며;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록아암이 상기 레버와 함께 프린트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은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내로 완전 삽입될 때 상기 셀프에 형성된 고정수단과 탄성적으로 계합 가능하여 셀프내에서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록아암과 연결된 레버에 있어서, 이 레버는 캠표면을 갖으며, 이 캠표면은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삽입 또는 이탈조작중, 록아암의 탄성변형에 의해 레버의 회전운동을 셀프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직선이동 운동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므로, 레버의 회전으로 인해 프린트기판의 삽입 또는 이탈되기 전에 간단한 레버회전만에 의해 프린트기판 유니트를 셀프에 대해 록크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록아암이 록크되면 셀프벽에 충돌하여 클릭소음을 발생하며, 이로써 작업자는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완전 삽입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판의 완전 삽입시에는 상기 록아암의 끝부분에 형성된 부리형 돌기부가 프린트기판의 표판에 형성된 창과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삽입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록아암은 프린트기판의 수평 보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프린트기판 유니트 조립에 필요한 노동력이 대폭 감소된다.
상기 수평 보강부재는 리벳 또는 스크류에 의하지 않고 수직 보강부재를 압축 조임하여 상,하 수평 보강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계합용 홈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가 록아암에 의해 록크되어 레버의 앞쪽면이 직립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셀프외부에서 보았을 때 정연한 외관을 갖는다. 한편, 프린트기판 유니트가 셀프에서 이탈되면 레버가 또한 록아암에 의해 록크되어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의 앞면이 하단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레버를 수평위치로 유지하지 않고도 프린트기판의 삽입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상자형 셀프(10)내에 탑재되며, 상기 각 프린트기판 유니트(20)에는 각종 전자회로 부품들이 설치되고, 그 후변부에는 콘넥터(22)가 설치되고, 이 프린트기판 콘넥터(22)가 셀프(10)내의 백보드(13)상에 고정된 대응 콘넥터(14)에 삽입계합 가능한 전자회로 장치에 있어서, 프린트기판(21)의 선단부의 상,하 각 변에 피벗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백보드 콘넥터(14)에 대한 상기 프린트기판 콘넥터(23)의 계합 또는 이탈에 필요한 거리이상으로, 셀프(10)에 대해 프린트기판 유니트(2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상에서 작용하는 레버수단(25)과, 프린트기판 콘넥터(22)들이 상기 백보드 콘넥터(14)들과 삽입 계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 완전 삽입한 후에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셀프(10)내에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셀프(10)상에 설치된 고정수단(17)과 탄성적으로 변형 및 계합 가능하며 또한 프린트기판(21)상에 고정된 록아암(26)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수단(25)은 그의 회전운동을 상기 셀프(10)상의 상기 고정수단(17)에 대한 록아암(26)의 계합/이탈운동으로 전환하는 캠표면(30)을 갖는 것이 특징인 셀프(10)에 대한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아암(26)의 자유단부에 돌기부(50)가 형성되며, 이 돌기부(50)는 프린트기판(21)의 선단부에 고정된 표판(24)에 형성된 창(51)과 정렬될 수 있어 록아암(26)과 고정수단(17)의 계합이 완료된 후 외부에서 관찰 가능 한 것이 특징은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록아암(26)이 수지 재료로 된 것이며, 상기 프린트기판(21)의 상변 또는 하변에 수평으로 고정된 보강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4. 제1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기판(21)의 상변 또는 하변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 보강부재(40)가 수직 보강부재(47)의 양단부와 압축조임 결합되는 홈(45)을 구비하며, 이 홈에 의해 상,하 수평 보강부재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45)의 평면도상의 형태가 그 횡축에 대해 대칭 형태를 갖음으로써 상기 상,하의 보강부재들이 서로 교체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기판 유니트(20)가 상기 셀프(10)에 대해 삽입 및 이탈될 때, 상기 레버수단(25)이 자체의 탄성적 계합에 의해 각각의 예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특징인 프린트기판 유니트의 착탈기구.
KR1019890702508A 1988-04-30 1989-04-17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KR920008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43088 1988-04-30
JP88-105430 1988-04-30
JP63-105430 1988-04-30
JP88-281390 1988-11-09
JP28139088 1988-11-09
JP63-281390 1988-11-09
PCT/JP1989/000408 WO1989010681A1 (en) 1988-04-30 1989-04-17 Printed board unit inserting and withdrawing mechanism for electronic circuit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147A KR900701147A (ko) 1990-08-17
KR920008949B1 true KR920008949B1 (ko) 1992-10-12

Family

ID=2644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508A KR920008949B1 (ko) 1988-04-30 1989-04-17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40501A (ko)
EP (1) EP0369025B1 (ko)
JP (1) JPH0760951B1 (ko)
KR (1) KR920008949B1 (ko)
CA (1) CA1320592C (ko)
DE (1) DE68916373T2 (ko)
WO (1) WO1989010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2143U1 (ko) * 1990-08-23 1990-10-25 Knuerr-Mechanik Fuer Die Elektronik Ag, 8000 Muenchen, De
FR2666970A1 (fr) * 1990-09-25 1992-03-27 Avs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deverrouillage et de prehension d'un tiroir ou porte-cartes et d'un module mecanique.
US5255160A (en) * 1990-12-12 1993-10-19 Ne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package
DE4042060C1 (ko) * 1990-12-28 1992-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rmonk, N.Y., Us
EP0524040A1 (fr) * 1991-06-25 1993-01-20 Audio Visuel Systemes Dispositif pour verrouiller dans un chassis un tiroir pour carte(s) électroniques
US5331517A (en) * 1992-08-21 1994-07-19 Ag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Retrofit card file adapter assembly
JPH0631086U (ja) * 1992-09-25 1994-04-22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カードシステム
US5317483A (en) * 1993-01-26 1994-05-31 Dell U.S.A., L.P. Computer expansion card support structure
JP2567629Y2 (ja) * 1993-03-23 1998-04-02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906510A (en) * 1993-03-23 1999-05-25 Berg Technology, Inc. Multi-storage deck connector apparatus
US5836775A (en) * 1993-05-13 1998-11-17 Berg Te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JPH07226596A (ja) * 1994-02-09 1995-08-22 Fujitsu Ltd シェルフアセンブリ
US5428507A (en) * 1994-04-22 1995-06-27 Louis R. Chatel Front panels for rack-mounted printed circuit boards
DE4428529C1 (de) * 1994-08-12 1995-08-24 Schroff Gmbh Vorrichtung zum Ausziehen einer Steckbaugruppe
US5631808A (en) * 1995-05-10 1997-05-20 The Boeing Company Card retention latch
US5940276A (en) * 1995-06-12 1999-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ront system of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ush-button element for active-passive switching
US5959843A (en) * 1995-06-12 1999-09-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ront system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ctive-passive switching
DE29509603U1 (de) * 1995-06-12 1996-07-11 Siemens Ag Frontsystem für eine Flachbaugruppe mit Aktiv-Passiv-Schaltung
DE29509602U1 (de) * 1995-06-12 1996-07-11 Siemens Ag Frontsystem einer Flachbaugruppe mit integriertem Tastenelement für eine Aktiv-Passiv-Schaltung
DE19526330C2 (de) * 1995-07-19 2000-09-21 Ibm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und/oder optischen Verbindung
DE19533569C2 (de) * 1995-09-11 1997-08-07 Ibm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mit einer Leiterplatte
KR100261753B1 (ko) * 1996-03-27 2000-07-15 윤종용 컴퓨터의 확장기판장착 구조
KR200266864Y1 (ko) * 1996-07-16 2002-05-09 윤종용 보드접속구조체
US5889850A (en) * 1996-10-15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face card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42975B1 (ko) * 1997-04-15 2000-02-01 윤종용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US6128202A (en) * 1997-06-06 2000-10-03 Ce Nuclear Power L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eismic support bracket for nuclear applications
KR19990020366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통신장비용 셀프의 이젝터장치
US5980281A (en) * 1998-02-11 1999-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 to assist in insertion or removal of PCI cards
US6259607B1 (en) * 1999-08-19 2001-07-10 Compal Electronics, Inc. Ejector device for a mobile module
KR100305770B1 (ko) * 1999-10-05 2001-11-02 서평원 셀프보드에 유니트 삽입시 오류방지 장치
JP3862944B2 (ja) * 2000-07-28 200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インユニット挿抜機構
EP1335644B2 (de) 2002-02-07 2010-03-03 Schroff GmbH Vorrichtung zum Einstecken und Herausziehen einer Steckbaugruppe
US6947287B1 (en) * 2002-12-16 2005-09-20 Network Appliance, Inc. Universal modular power supply carrier
US6884096B2 (en) * 2003-04-29 2005-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electrical assembly within a housing
FI119073B (fi) 2003-05-06 2008-07-15 Abb Oy Pistoyksikön lukitus- ja irrotusmekanismi
DE50303700D1 (de) * 2003-07-18 2006-07-20 Schroff Gmbh Ein -und Ausziehvorrichtung einer Steckbaugruppe in bzw. aus einem Baugruppenträger
US7349228B1 (en) * 2003-11-24 2008-03-25 Extreme Networks Ejector assembly for rack-mounted computing devices
JP4158155B2 (ja) * 2004-03-24 2008-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を搭載するための装置
US7267563B2 (en) * 2005-03-08 2007-09-11 Virginia Panel Corporation Dual engagement lever interface
WO2009050816A1 (ja) * 2007-10-18 2009-04-23 Fujitsu Limited 装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JP5589775B2 (ja) 2010-11-02 2014-09-1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
DE102010052928B3 (de) * 2010-11-30 2012-04-05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Halteschiene für eine Einschubbaugruppe und Anordnung
CN102955523A (zh) * 2011-08-25 2013-03-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扩展卡固定装置
US8902601B2 (en) * 2012-05-14 2014-12-0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emovable circuit card insert extractor
US10218117B1 (en) * 2017-10-20 2019-02-26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ssist lever
RU189987U1 (ru) * 2019-03-26 2019-06-14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бъединенные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е заводы" Устройство сочленения релейно-блочного статива и бло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нтрализац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автоматики
US11729934B2 (en) 2021-03-02 2023-08-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for securing a computing system in a host infra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583A (en) * 1977-11-04 1979-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oard clamping assembly
US4313150A (en) * 1979-09-24 1982-01-26 Northern Telecom Limited Latching leve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580192A (en) * 1983-11-28 1986-04-01 Northern Telecom Limited Latching and withdrawing assembly for plug-in circuit packs
DE3407877A1 (de) * 1984-03-02 1985-09-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echanisches aufbausystem
DE3505190A1 (de) * 1985-02-15 1986-08-2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einschiebbare baugruppen
DE3508580A1 (de) * 1985-03-11 1986-09-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teck- und ziehhilfe
JPS62117399A (ja) * 1985-11-18 1987-05-28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パツケ−ジ
JPS62119999A (ja) * 1985-11-20 1987-06-01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ユニツト插抜装置
US5010444A (en) * 1987-11-13 1991-04-23 Radstone Technology Limited Rack mou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9010681A1 (en) 1989-11-02
US5140501A (en) 1992-08-18
EP0369025A1 (en) 1990-05-23
DE68916373T2 (de) 1994-10-06
DE68916373D1 (de) 1994-07-28
JPH0760951B1 (ko) 1995-06-28
KR900701147A (ko) 1990-08-17
EP0369025B1 (en) 1994-06-22
EP0369025A4 (en) 1990-09-26
CA1320592C (en)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949B1 (ko) 전자회로장치의 프린트기판 유니트(printed board unit)착탈기구
JP2810843B2 (ja) プリント回路カードの補剛用ラッチ・アセンブリ
JPH1128985A (ja) オーディオ装置の着脱装置
JPH08180940A (ja) 電気コネクタ
JP2535258Y2 (ja) コネクタの係止構造
US4947289A (en) Latch mechanism for a plug-in cartridge or the like
US6884100B1 (en) Mechanism for fastening card in expansion slot
JP3930242B2 (ja) 電子機器
JPH068324Y2 (ja) パネルの係着装置
JP200810849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799817B2 (ja) 電子装置の実装構造
JP4053375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筐体
JP4999033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ヘッド着脱機構
JP2002056741A (ja) 電子機器等の操作ボタン支持構造
JP2546164Y2 (ja) 電子回路パッケージ着脱機構
JP3049376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3835837B2 (ja) 遊技機の構成部品取付構造
JP3517038B2 (ja) 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カバーの脱着用工具
JP2009076305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JP2584066Y2 (ja) 電子機器などのユニット仮止め機構
JP4231198B2 (ja) 棚板支持装置
KR200280104Y1 (ko) 통신장비용셀프의이젝터장치
JP2512360Y2 (ja) 板状物の係合具
JP2894412B2 (ja) 開閉器
JPH10270107A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