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59B1 -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59B1
KR920007959B1 KR1019900004948A KR900004948A KR920007959B1 KR 920007959 B1 KR920007959 B1 KR 920007959B1 KR 1019900004948 A KR1019900004948 A KR 1019900004948A KR 900004948 A KR900004948 A KR 900004948A KR 920007959 B1 KR920007959 B1 KR 92000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witch
electromagnet
contac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83A (ko
Inventor
미찌히로 쇼지
Original Assignee
닛또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노리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노리히사 filed Critical 닛또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25H1/0071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13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randomly-actuated stopping means
    • Y10T408/14Responsive to condition of Tool or tool-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16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408/17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to control infeed
    • Y10T408/172Responsive to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work-engaging structure other than Tool or tool-support
    • Y10T408/554Magnetic or suction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기능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
제5도는 수은 스위치의 정면도.
제6도는 수은 스위치의 측면도.
제7도는 릴레이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의 다른 예에 대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전자 베이스
3 : 전기 드릴 3M : 드릴 모터
4 : 전송 모터 5 : 환형 절삭 공구
6 : 기동 스위치 101 : 수은 스위치
120 : 구동 회로 130 : 릴레이
131, 132 : 접점 201 : 진동 스위치
302 : 구동 회로 303 : 전류 제어기
본 발명은 전자석 베이스 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석 베이스를 사용하여 피가공물상에 흡착된 드릴장치가 가로 이동을 개시한 순간에 드릴장치의 구동을 즉시 정지하는 안전 장치를 가지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전송 장치를 가지는 드릴 장치와 전자석 베이스를 일체화 하고, 그 전자석 베이스를 사용하여 드릴 장치를 금속등의 피가공물에 흡착 고정하고, 구멍뚫기 작업을 행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력은 상기 드릴 장치의 구멍뚫기 작업에 의하여 생기는 절삭 저항이나 드릴 장치의 전송 부하에 충분히 견디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절삭개시시에 드릴의 선단부에 생기는 과대한 부하, 또는 드릴에 형성되는 구성인 선에 의한 부하의 증대등, 절삭중에 드릴과 피가공물 사이에 절분이 쌓임으로서, 드릴 모터의 스핀들 또는 드릴장치의 자동 전송 장치에 생기는 부하가,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력을 상회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드릴을 중심으로서, 가로 이동하여, 무급착 상태인채 무폭 회전하거나, 또는 전도할 염려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적어도 드릴 장치의 회전을 즉시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특개소 55-137813호 공보에는 드릴 모터의 전기 회로에 직렬 접속된 마이크로 스위치와, 피가공물 및 상기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치되고, 드릴 장치의 흡착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온하고,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로 하도록 구성된 상기 스위치의 구동 수단을 가지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의 구동 수단은 동일 공보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내어 있듯이, 피가공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되도록,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그 피가공물측으로 치우친 플랜저와, 첨단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저의 피가공물측으로 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형편과, 상기 첨단부가 피가공물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지형편을 편기하는 수단으로 갖추고, 드릴 장치의 흡착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지형편의 첨단부가 피가공물로 약간 들어가 상기 드릴을 가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지형편이 상기 첨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플랜저가 피가공물측으로 접동됨으로 상기 스위치가 오프로 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드릴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술한 스위치는 그 구동 수단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한 경우에는 오프로 되고, 이것에 의하여 드릴 장치의 동작이 정지하지만, 종래 안전 장치에서는 가로 이동이 없게 되어도, 상기 스위치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의 구동 수단이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그 구동 수단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게 된다. 이 결과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대형화 하고, 그 제작이 곤란하였다.
상기 지형편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상기 핀을 그 중심선이 드릴의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드릴 중심으로서 회전했을때에는 상기 구동 수단이 동작하게 되지만 드릴의 절삭 위치 자체가 벗어나도록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그 목적은 상술했듯이 구동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적어도 가로 이동한 경우에 순간적으로 드릴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가로 이동이 발생한 경우에 순식간에 동작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그 스위치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드릴 모터 및 전송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그 정지를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유지하도록한 점에 특징이 있다.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 사용되어온 스위치의 구동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스위치로서 해당 드릴 장치의 동작이 정지한후 그 상태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로서 통상체, 그 통상체내에 봉입된 수은 및 상기 통상체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한대의 접점에서 이루는 수은 스위치 또는 고정 접점, 스프링형 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근접하여 배치된 접동 접점에서 이루는 진동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서 해당 드릴 장치의 동작 정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를,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장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경사진 혹은 수직인 피가공물상에 흡착 장치되어도 그 스위치의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1은 프레임, 2는 프레임(1)의 하부에 장치된 전자 베이스, 3은 프레임(1)의 정면부에 수동, 전동의 어느것으로도 승강하도록 설치한 전기 드릴, 5는 전기드릴(3)의 아아버에 장착된 환형 절삭 공구이다. 전기드릴(3)의 전송 모터는 프레임(1)에 내장되어 있다.
39는 전기드릴(3)을 수동으로 보내기 위한 수동 승강 조작 핸들, 36은 상기 전기드릴(3)을 고정하는 슬라이드판이다.
스위치 조작판(37)은 나비 나사(38)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판(36)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전기드릴(3)의 하강에 따라 이동하고, 절삭(천공 작업)을 완료하여 소정 위치까지 환형 절삭 공구의 날선단이 하강하면, 리미트 스위치(36)(제4도에 관하여 후술한다)를 조작하고, 전기 드릴의 상기 자동적 전송과 구동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조작 회로는 상기 프레임(1)에 내장되어 있다.
수은 스위치(101)도 상기 프레임(1)내에 배치되고, 제5,6도에 관하여 후술하듯이, 그 수은 스위치(101)에 충격이나 진동이 부여되면 그 접점이 온/오프한다.
상기 전송 모터의 회전, 또는 핸들(39)의 회전은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 기어열(300) 및 래크(301)를 거쳐 슬라이드판(36)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하여 전기드릴(3)이 승강한다.
제5도는 수은 스위치(101)의 정면도, 제6도는 수은 스위치(101)의 측면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은 스위치(101)는 도시되듯이, 유리관(102)과, 그 유리관(102)내에 봉입된 수은(103)과, 유리관(102)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접점(104,105)과, 이 접점(104,105)에 접속된 리드선(106)에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은 스위치(101)를,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나듯이 접점(104,105)이 배치된 측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지면, 수은(103)은 그 자중에 의하여, 수은 스위치(101)의, 접점(104,105)이 배치된 측과 반대측으로 이동함으로, 상기 접점(104,105)은 도통하지 않는다. 즉, 수은 스위치(101)는 오프이다. 프레임(1)내로의 설치도 제5도에 나타나듯이, 드릴 스핀들의 방향에는 관계없이, 접점(104,105)이 배치된 측이 수은 방울 보다도 약간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경사되어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이 수은 스위치(101)에 충격이나 진동을 부여하면, 당초 수은방울에서 정지하고 있던 수은(103)이 유리관(102)내를 이동(제5도의 화살표 P방향)하고, 접점(104,105)이 순간적으로 온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개략을 블럭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기능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제2도 및 제3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서,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의 기동 스위치(6)는 접점(6A,6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동 스위치(6)를 조작하면, 우선 접점(6A)이 닫히고, 그후는 접점(6A)이 닫힌채(6B) 닫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6A)은 기동 스위치(6)의 제1단계 조작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입력단자(88) 및 전자베이스(2)내의 전자석(83)의 한쪽 단자를 단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6B)은 기동 스위치(6)의 단계 조작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입력단자(88) 및 후술하는 단자(131A)를 단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83)의 다른쪽 단자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입력단자(89)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드릴(3)내의 드릴모터(3M) 및 그 전기드릴(3)의 전송모터(4)는 구동회로(12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회로(120)의 한쪽 입력 단자는 릴레이(130) 접점(6A)의 b접접(131)을 거쳐 상기 기동 스위치(6)의 접점(6B)에 접속되고, 다른쪽 입력단자는 상기 입력단자(8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131)의 기동 스위치(6)에 접속된 측의 단자를 단자(131A), 그리 구동회로(120)에 접속된 측의 단자를 단자(131B)라 한다.
릴레이(130)는 a접점(132)을 거쳐, 상기 접점(6B) 및 입력 단자(8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은 스위치(101)는 상기 a접점(132)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원(90)은 상기 입력 단자(88,89)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우선 기동 스위치(6)를 제1단계 조작하여 접점(6A)을 닫으면 전자 베이스(2)에 흡인력이 생긴다. 이것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은 피가공물에 고착된다.
다음에, 상기 기동 스위치(6)를 2단계 조작하여 접점(6B)을 닫으면 상기 접점(6A)은 닫힌채의 상태로서 구동회로(120)가 부세되고 드릴모터(3M)와 전송모터(4)가 회전한다.
그러나 전송모터(4)가 회전하여도 즉시 드릴(3)이 강하를 개시하지 않고, 천공의 개시는 우선 수동 승강 조작 핸들(39)을 돌림으로서 드릴(3)을 하강시켜 행하고, 환형 절삭 공구(5)를 피가공물의 표면에 근접한다. 상기하지 않은 클러치를 예를 들면 상기 핸들(39)의 조작등에 의하여 들어감으로서 전기드릴(3)의 자동 전송이 개시된다.
상기 구동회로(120)는 드릴모터(3M)의 부하[예를 들면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것에 따라 전송모터(4)를 제어한다. 즉 예를 들면 드릴모터(3M)의 과부하가 검출되면 전송모터(4)에 의한 전기드릴(3)의 전송이 일시 정지되고, 그 정지후 부하를 가볍게 하면 상기 전송은 재개하고, 드릴모터(3M)의 과부하가 한계에 달한 경우에는 전송모터(4)를 정지할 뿐만 아니라 드릴모터(3M)의 회전을 정지한다.
그런데, 프레임(1)내에 배치된 수은 스위치(101)는 상술하듯이, 평상시는 오프이지만,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등의 이상을 발생한 경우에는 그때 발생하는 근소한 진동에 의하여 그 수은 스위치(101)가 순간적으로 온으로 됨으로, 릴레이(130)가 동작하고, 이것에 의하여 접점(131)이 열리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회로(12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드릴모터(3M) 및 전송모터(4)가 정지된다.
이 경우 접점(132)이 닫히게 됨으로 그후 수은 스위치(101)가 오프로 되어도 상기 릴레이(130)는 자기 유지되며 그 동작이 지속된다.
상기 릴레이(130)의 동작을 해제하는데는 기동 스위치(6)를 조작하여 접점(6B)을 열면 좋다.
상기 구동회로(120)의 구성은 특개소 61-131807호 공보에 기재된 것등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제4도에서 제1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서, 전자석(83) 및 지시등(84)은 입력단자(89) 및 기동 스위치(6)의 접점(6A)에 접속되어 있다.
드릴모터(3M) 및 제2릴레이(12)의 접점은 각각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입력단자(89) 및 b 접점(131)의 단자(131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릴레이(12)는 그 제어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었을때에 도통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스위칭 소자)이다. 상기 제어 단자는 후술하는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변성기(16)는 상기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동 스위치(14)는 전기드릴(3)의 수동 전송과 자동 전송을 절환하는 스위치로서 전송모터(4)에 의한 자동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수동 전송하는 경우에는 오프로 한다.
핸들(39)(제2,3도)과 기어열(300)(제3도)사이에 상술한 클러치를 설치하면 수동 스위치(14)는 생략 가능하다.
수동 스위치(14), 전송모터(4), 위상 제어 회로(34) 및 후술하는 제1릴레이(23)의 접점(24B) 및 비상경보 램프(33) 및 상기 제1릴레이(23)의 접점(24A)도 각각 도시되듯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입력 단자(89) 및 상기 단자(131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접점(24B)은 항상 폐접점, 24A는 항상 개접점이다.
변압기(81)의 입력단자도 상기 입력단자(89) 및 상기 단자(131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변압기(81)의 출력 단자에는 정류 정전압 회로(82)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정류 정전압회로(82)의 출력 단자에는 도시하듯이 적분 회로(74), 직렬로 접속된 분압용 저항(75,76), 저항(77) 및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 분압용 저항(65,66), 발진회로(58) 및 제1릴레이(2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발생회로(58)는 예를 들면 구형파 발진 회로이고, 미리 설정된 예정의 시간 간격이고, 상기 제1릴레이(23)를 온/오프한다.
연산증폭기(71)의 반전 입력 단자(71A)는, 상기 저항(75,76)의 접속점(B)에 접속되고, 그 비반전 압력단자(71B)는 상기 전류 변성기(16)의 출력선(101)에 접속되어 있다. 제2앤드 회로(72)의 입력단자의 한쪽(72B)에는 상기 연산증폭기(71)의 출력 단자가, 그 다른쪽의 단자(72A)에는 상기 적분 회로(74)의 출력선이 접속되어 있다. 오아 회로(73)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상기 제2앤드 회로(7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다른쪽 단자는 항상 열린 리미트 스위치(35)를 거쳐 상기 정류 정전압 회로(82)의 정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오아 회로(73)의 출력 단자는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양극은 상술하듯이 제2릴레이(12)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증폭기(61)의 비반전 입력 단자(61A)는 상기 저항(65,66)의 접속점(A)에 접속되고, 그 반전 입력 단자(61B)는 상기 전류 변성기(16)의 출력선(101)에 접속되어 있다.
제1앤드 회로(62)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상기 연산증폭기(61)의 출력 단자와, 그 다른쪽 단자는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양극과 접속되어 있다.
난드회로(50)의 입력단자의 한쪽은 상기 제1앤드 회로(62)의 출력 단자와 그 다른쪽은 상기 발진회로(58)의 출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난드회로(50)의 출력단자는 제1릴레이(23)의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 변성기(16)의 출력선(101)상에는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저항(65,66,75 및 76)은 접속점 A 및 B에 있어서 전위차가 제1 및 제2임계치로 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또한, 부호 60 및 70은 제1 및 제2검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검지 회로(60,70)는 각각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후술하듯이 제1검지 회로(60)는 상기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1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발진회로(58)의 동작에 우선하여, 상기 제1릴레이(23)의 접점을 개방한다.
상기 제1검지회로(70)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임계치보다도 높은 값으로 미리 설정된 제2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릴레이(12)의 접점을 개방한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입력 단자(88,89)에 교류 전원(90)을 접속하고, 기동 스위치(6)를 제1단계 조작하면, 최초에 접점(6A)이 접속된다. 그리고, 전자석(83) 및 지시등(84)에 통전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드릴은 피가공물에 대하여 흡착, 고착된다.
다음에, 스위치(6)의 접점(6B)이 접촉하면, 정류 정전압 회로(82)에서 직류 정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서 수동 절환 스위치(14)를 투입함으로서 전송모터(4)가 회전한다.
연산증폭기(71)의 반전 입력 단자(71A)에는 저항(75,76)에 의하여 결정되는 전위가 생기지만, 비반전 입력 단자(71B)에는 전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연산증폭기(71)의 출력은 "0"이다.
따라서, 오아 회로(73)의 출력도 "0"이므로,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는 도통하지 않고, 여기서 점(C)에서는 제2릴레이(12)를 온시키는데 충분한 전압이 생긴다. 이것에 의하여 드릴모터(3M)가 회전한다.
드릴모터(3M)의 기동시에는 주지와 같이, 그 드릴모터(3M)에 대전류가 흐르므로, 전류 변성기(16)의 출력선(101)에로, 상기 대전류에 따른 전위가 생긴다. 이 경우 비반전 입력 단자(71B)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71A)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회하여 버리는 것이 있으며, 그 때문에 연산증폭기(71)의 출력이 "1"로 되는 것이 있지만, 적분 회로(74)는 드릴모터(3M)의 기동시에 있어서 대전류 발생시에는 출력하지 않도록, 즉, 기동시에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치가 감소하고, 연산증폭기(71)의 출력이 "0"으로 되기까지는 입력 단자(72A)에 출력 신호를 공급하지 않도록, 그 시정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제2앤드 회로(72)의 출력은 상기 대전류에 상관없이 "0"이다.
따라서, 실리콘 정류 소자(31)의 케이트에는 트리거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드릴모터(3M)의 전류치가 작게 되면 연산증폭기(61)의 반전 입력 단자(61B)에 있어서 전위는 비반전 입력 단자(61A)에 있어서 전위보다 작게 됨으로, 연산증폭기(61)의 출력은 "1"로 된다. 여기서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는 도통하여 있지 않으므로, 점(C)에 있어서 전위, 즉 제1앤드 회로(62)의 다른쪽 입력은 높고, 이것에 의하여 제1앤드 회로(62)의 출력은 "1"로 된다. 따라서 발진 회로(58)의 출력에 의하여, 제1릴레이(23)가 예정의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 동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1릴레이(23)의 접점(24A,24B)이 개폐하고, 전송모터(4)는 예정 시간마다 회전/정지를 반복한다.
여기서 수동 승강 조작 핸들(39)에 의한 상기하지 않은 클러치 조작으로서, 전송모터(4)의 회전이 슬라이드판(36)에 전달되고, 전기드릴(3)은 하강하여 환형 절삭 공구의 날선단이 피가공물의 표면을 환상으로 절삭을 시작한다. 이후 전송모터(4)가 상기 제1릴레이(23)의 동작에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하고, 전기드릴(3)의 간헐적인 전송 동작(이하 스텝 전송이라 한다)이 행하여진다. 또한 전송모터(4)의 속도 조정은 위상 제어 회로(34)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전기드릴(3)의 스텝 전송은 천공시에 형성되는 부스러기를 잘라내기 위한 동작이고, 이 동작에 의하여 절분의 배출이 행하여지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환형 절삭 공구(5)에 충격적인 부하가 걸릴 위험성이 적게 되고 환형 절삭 공구(5)의 수명이 연장한다.
다음에, 상기 전기드릴(3)의 스텝 전송에도 상관없이 환형 절삭 공구(5)에 걸린 부하가 크게 되면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가 크게 되고, 출력선(101)의 전위가 상기 점(A)의 전위(제1의 임계치)보다 높게 된다. 이 때문에, 연산증폭기(61)의 출력이 "0"이 되고, 제1앤드 회로(62)의 출력도 "0"으로 된다. 즉 제1검지 회로(60)의 출력이 "0"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발진회로(58)가 난드회로(50)에 출력 신호를 공급하고 있는데도 상관없이 난드회로(52)는 항시 "1"을 출력하게 됨으로 제1릴레이(23)는 간헐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접점(24B)을 개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송모터(4)의 회전이 연속적으로 정지되고, 전기드릴(3)의 스텝 전송이 정지한다.
여기서, 환형 절삭 공구(5)에 걸린 부하가 경감되고, 출력선(101)의 전위가 재차 점(A)의 전위보다도 낮게 되면, 연산증폭기(61)의 "1"로 되고, 전기드릴(3)의 스텝 전송이 재개된다.
상기 제1검지회로(60)에 의한 전송모터(4)의 강제 정지후도, 환형 절삭 공구(5)에 걸린 부하가 경감되지 않고, 드릴모터(3M)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지 않고, 출력선(101)의 전위가 점(B)의 전위(제2임계치)보다도 높게 되면 연산증폭기(71)는 "1"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앤드 회로(72)가 "1"을 출력하고, "1"출력은 오아 회로(73)를 통하여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따라서 실리콘 정류 소자(31)가 도통하고, 점(C)의 전위가 떨어진다.
상기 점(C)에 있어서 전위의 저하에 의하여, 즉 제2검지 회로(70)의 출력이 "0"으로 되고, 제2릴레이(12)가 오프되어 드릴모터(3M)뿐만 아니라 전송모터(4)의 회전도 정지한다.
이때 전송모터(4)에 부설한 클러치를 끊어 전송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절환하여, 수동 승강 조작 핸들(39)을 조작하여 전기드릴(3)을 상승시킨다. 기동 스위치(6)를 제1단계의 위치로 돌아가 접점(6B)을 개방하고, 정지드릴(3)의 구동 모터(3A)와 전송모터(4)의 전원을 끊은 상태로 하여, 절분의 제거등의 과대부하 발생의 원인을 제거한다. 접점(6B)을 개방하면 정류 정전압 회로(82)의 출력 전압이 없게 됨으로,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의 양극·음극 사이의 인가 전압이 없게 되고,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를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환형 절삭 공구(5)에 걸린 과부하의 원인을 제거한후, 기동 스위치(6)의 접점(6B)을 닫으면 드릴모터(3M)는 재차 회전을 시작한다.
재차, 수동 승강 조작 핸들(39)을 조작하여 수동적으로 전기드릴(3)을 하강시키고, 환형 절삭 공구(5)의 날선단을 원래의 절삭 장소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클러치를 넣어 전송을 수동에서 자동으로 절환하고, 전송모터(4)에 의한 자동 전송을 행하여 환형 절삭 공구(5)에서 소정 레벨 이하의 토크의 기초로서 천공작업을 행한다. 환형 절삭 공구(5)의 날선단이 피가공물의 하면에 나와 천공 작업이 종료하면 이제까지의 사이, 전기드릴(3)에 따라 진행하고 있던 슬라이드판(36)(제3도)의 내면에 나사 멈춤한 스위치 조작판(37)(제3도)은 리미트 스위치(35)를 조작하고, 동스위치의 접점을 닫는다.
이 결과,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31)에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고, 점(C)의 전위가 저하한다.
따라서, 제2릴레이(12)는 오프로 되고, 제1릴레이(23)는 연속적으로 온으로 됨으로 상기 전기드릴(3)의 부하가 소정치 이상으로된 경우와 같이 전기드릴(3)의 드릴모터(3M) 및 전기드릴(3)의 전송모터(4)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천공 작업 종료후,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을 다른데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의 하부에 장치한 전자 베이스(2)를 소자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은 다음의 천공 위치까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드릴모터(3M) 및 전송모터(4)의 구동 회로를 가지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서도 절삭 저항이 허용량을 초과하는 등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전자 베이스(2)의 흡착력이 그 외력에 저항할 수 없게 되면, 그 드릴 장치는 순간에 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 이동을 수은 스위치(101)가 감지하여, 접점(104,105)이 순간적으로 온으로 됨으로 릴레이(103)가 동작하고, 이것에 의하여 접점(131)이 열리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회로(12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드릴모터(3M) 및 전송모터(4)가 정지된다.
제4도에 나타난 제어 회로에서, 저항(65,66,75,76)에 의하여 결정되는 점A 및 B의 전위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의 전송모터(4) 및 드릴모터(3M)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전위는 전기드릴(3)에 장착되는 공구의 종류에 의하여 그들의 구성에 의하여 결정하는 최적인 값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은 예를 들면 상기 각 저항을 가변 저항기로 함으로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공구의 종류 또는 그들의 구경에 의하여, 전기드릴(3)의 스텝 전송의 온/오프 동작의 간격, 즉 발진회로(58)의 발진 주기 및 튜티비를 조정하면, 해당 천공 작업도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에서는 발진회로(58)의 출력에 의하여 전송모터(4)를 간헐적으로 정지하는 수단 및 제1검지회로(60)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송모터(4)를 정지하는 수단은 공히 제1릴레이(23)인 것으로 하였지만 상기 각 수단은 겸용시킬 필요는 없고, 각각 다른 릴레이도 회로이어도 좋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릴모터(3M) 및 전송모터(4)의 구동 회로(120)(제1도)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기 위한 릴레이(130)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에 수은 스위치(101)를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을 개시했을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순간에 감지하여 접점이 바뀌는 스위치이면 어떠한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7도는 릴레이(130)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의 다른 예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로서 진동 스위치의 일예이다. 제7도에서는 고정 접점(205)이 단면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 접점(205)은 제8도에 나타나듯이 뱀의 눈형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기판(202)에 세워진 주상체에는 코일 스프링(203)의 일단이 장치되고, 그 코일 스프링(203)의 타단은 진동 접점(204)이 반경 방향에 요동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진동 접점(204)의 단면형상은 상기 뱀의 눈형의 고정 접점(205)의 원형 센터공(205A)에 맞추어 동일 구멍보다 반경의 작은 원형이 설정되어 있다. 이 상기 진동 접점(204)의 코일 스프링(203)이 장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는 고정 접점(205)의 구멍부(205A)내에 삽입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202), 코일 스프링(203), 진동 접점(204) 및 고정 접점(205)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203)의 양단부는 상기 기판(202)과 진동 접점(204)에 끼워 부착하는 등의 수단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판(202) 및 고정 접점(205)에는 리드선(206)이 같게 끼워 부착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난 리드공(205B)은 고정 접점(205)에 리드선(206)을 장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진동 스위치(201)는 진동 접점(204)이 고정 접점(205)의 구멍부(205A)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즉 진동 접점(204)과 고정 접점(205)이 접촉하지 않도록),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기판(202) 및 고정 접점(205)을 프레임(제1도 내지 제3도)내에 장치하면 전극이 노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을 하면 상기 진동 접점(204)이 제7도의 화살표(Q)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진동 접점(204) 및 고정 접점(205)이 순간적으로 접촉한다. 즉 진동 스위치(201)가 온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스위치(201)를 제1도에 나타난 수은 스위치(101) 대신에 설치하면 드릴 장치의 구동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난 수은 스위치(101)는 그 유리관(102)의 중심축 방향(제5도의 화살표 P방향)에 충격이 가한 경우에 수은(103)의 이동이 가장 양호하게 행하는 것에 대해, 이 진동 스위치(201)는 상기 진동 접점(204)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할 뿐이고, 그 진동 스위치(201)의 동작이 양호하게 행하여짐으로 어떠한 방향의 작은 진동에 대하여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즉시 접점(204,205)을 닫는다.
제7,8도에 나타난 예에서, 203은 코일 스프링이지만, 와권 스프링, 태엽 스프링, 판스프링 또는 각종 선세공 스프링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런데 상술하듯이 릴레이(130)의 구동용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제5,6도에 나타낸 수은 스위치(101), 또는 제7,8도에 나타난 진동 스위치(201)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제1도에 나타나듯이 접속시킬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수은 스위치(101) 및 진동 스위치(201)는 항시 열려 있고, 해당 전자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이동 등으로 한 경우에만 적어도 순간적으로 닫히게 됨으로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프레임(1)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를 수평으로 배치된 피가공물에 흡착 장치하는 경우에서 수은 스위치(101)를 사용할때에는 제5도에 나타나듯이, 그 접점(104,105)이 설치된 측의 단부가 약간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장치되고, 진동 스위치(201)를 사용할때는 제7도에 나타나듯이 진동 접점(204)이 직립하도록 장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를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가공물에 장치하는 경우 그 경사가 비교적 작고, 수은 스위치(101) 또는 진동 스위치(201)가 실질상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을 한 경우에만 닫히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수은 스위치(101) 및 진동 스위치(201)의 장치 위치를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피가공물의 경사가 비교적 크고, 가로 이동등이 없는 작은 진동에서도 상기 스위치(101 또는 201)가 닫히게 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장착 경사각에 따라 상기 수은 전자석(101) 또는 진동 스위치(201)도 경사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수은 스위치(101) 또는 진동 스위치(201)의 경사 기구는 예를 들면 상기 수은 스위치(101) 및 진동 스위치(201)를 고정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장치하기 위한 장치판(제3도의 부호 305)을 그 스위치 장치면이 해당 드릴 장치의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면과 수직인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해당 드릴 장치의 아아버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배치된 1개의 핀을 사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함으로서 구성된다.
즉,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를 경사시킨 피가공물에 흡착, 장치하는 경우에서도, 그 경사의 정도에 따라 상기 장치판을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수은 스위치(101) 또는 진동 스위치(201)는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장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수은 스위치(101)를 사용할때에는 제5도에 나타나듯이, 그 접점(104,105)이 설치된 측의 단부가 약간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장치되고, 진동 스위치(201)를 사용할때에는 제7도에 나타나듯이, 진동 접점(204)이 연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장치할 수 있다.
릴레이(130)의 동작후의 복구, 즉 자가 유지의 해제는 기동 스위치(6)를 조작하여, 접점(6B)을 열므로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릴레이(130)와 직렬로, 그 릴레이(130)의 동작 해제용의 스위치(b 접점)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수은 스위치(1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스위치(101)는 항시 열리도록 배치되고, 스위치(101)가 닫히게 된 경우에, 드릴모터(3M) 및 전송모터(4)의 구동 회로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수은 스위치(101)를 항시 닫는 것으로 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가로 이동등을 한 경우에만 열도록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상기 구동회로를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경우, 예를 들면 상기 릴레이(130)와 수은 스위치(101)를 직렬 접속하여 상기 릴레이(130)를 항시 통전상태로 두고 상기 기동 스위치(6)를 그 스위치(6)가 접점(6B) 닫은 것에서 접점(6A) 닫힌 상태로 되도록 그 접점을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편기시켜 두고 전기드릴(3)의 드릴모터(43M)를 기동시키는 사이, 상기 릴레이(130)의 동작에 의한 래치트 기구등의 계지에 의하여 스위치(6)를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여 수은 스위치(101)가 열리면, 접점(6B)이 열리게 되어 상기 래치트 기구가 해제되고, 전기 드릴의 모터(3M)와 전송모터(4)는 정지한다.
본 발명의 제9도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럭도이다. 제9도에서 제1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9도에서, 부호 301은 브리지 접속형 정류기, 302는 상기 정류기(301)의 출력을 전원으로서, 수은 스위치(101)(또는 진동 스위치 201)의 동작에 따라, 후술하는 전류 제어기(303)의 트리거 신호를 제어하는 그 전류 제어기의 구동회로, 그리고 303은 릴레이(130)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구동 회로(302)의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1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기이다.
상기 구동 회로(302)는 항시 개(또는 폐)로 구성된 수은 스위치(101)의 접점이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가로 이동등에 의하여 역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전류 제어기(303)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릴레이(130)가 동작하고, 접점(131)이 열리게 된다.
이 구동 회로(302)는 정류기(301)에서 출력이 얻어지고 있는한, 상기 수은 스위치(101)의 접점이 복구하여도, 상기 트리거 신호의 출력을 계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접점(131)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어는 수은 스위치(101)의 장치가 그 접점이 항시 열린 상태, 또는 항시 닫힌 상태로서 행하여져 있어도 가능하다.
이 구동 회로(302)는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청구범위 제1항 및 제5항까지의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의하면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가로 이동을 검지하는 스위치 수단을 드릴 모터의 정지 수단으로서 그대로 사용했으므로 검지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의 구동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안전 기구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2) 청구범위 제2항 및 제3항 기재의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방향성이 별로 없으므로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가로 이동이 생긴 경우에, 순식간에 동작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이상 사태 발생시에 그 동작을 즉각 정지하고, 동 드릴 장치의 횡이동을 미연에 정지할 수 있다.
(3)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의하면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가 경사진 피가공물상에 흡착 장치되어도 상기 스위치의 장치를 소정의 위치로서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스위치의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피가공물에 대하여 흡착을 행하는 전자석 베이스를 가지는 프레임과 드릴 모터를 가지는 전기 드릴 및 상기 프레임에 고착되고 상기 전자 드릴을 피가공물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전송 모터를 갖춘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의 가로 이동등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기 드릴 및 상기 전송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전력 공급 해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내에 봉입된 수은과 상기 통상체내에 돌출한 설치된 한대의 접점에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고정 접점과 스프링형 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근접하여 배치된 진동 접점에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자석 베이스의 흡착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장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해제수단은 전기적 또는 전자적인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KR1019900004948A 1989-06-15 1990-04-11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KR92000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3517A JPH0777686B2 (ja) 1989-06-15 1989-06-15 電磁石ベース付ドリル装置
JP153517 1989-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83A KR910000283A (ko) 1991-01-29
KR920007959B1 true KR920007959B1 (ko) 1992-09-19

Family

ID=1556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948A KR920007959B1 (ko) 1989-06-15 1990-04-11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35547A (ko)
JP (1) JPH0777686B2 (ko)
KR (1) KR920007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539A (en) * 1990-10-09 1993-05-04 Hougen, Everett Douglas Power feed mechanism for rotary cutting tool
US5126643A (en) * 1991-06-24 1992-06-30 Rotabroach Limited Control system for hole cutting machines
JPH0624808U (ja) * 1992-08-31 1994-04-05 株式会社カタシマクリエーション 手動式電気ドリル装置の保持装置
CN1041379C (zh) * 1993-12-31 1998-12-30 成都科技大学 乌梅果茶及其制造方法
JP2863087B2 (ja) * 1994-05-24 1999-03-03 日東工器株式会社 振動スイッチおよび同スイッチを用いた携帯用電動装置
US5902076A (en) * 1997-10-03 1999-05-11 Hougen Manufacturing, Inc. Quill feed for a portable drill adapted to be mounted to a work surface
KR100328479B1 (ko) * 1999-02-06 2002-03-16 이석인 현미호박죽의 조성물
KR20020008728A (ko) * 2000-07-25 2002-01-31 유종근 보양, 보기 생약재료를 이용한 건강음료 보생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08729A (ko) * 2000-07-25 2002-01-31 유종근 음양, 기형을 보하는 한방 건강음료 팔보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08727A (ko) * 2000-07-25 2002-01-31 유종근 호박과 생약재료를 이용한 한방 건강음료 호박대보(大補)탕 및 그의 제조방법
US8376667B2 (en) * 2007-07-27 2013-02-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C/DC magnetic drill press
US20090065225A1 (en) * 2007-09-07 2009-03-12 Black & Decker Inc. Switchable anti-lock control
US7762349B2 (en) 2007-11-21 2010-07-27 Black & Decker Inc. Multi-speed drill and transmission with low gear only clutch
US7854274B2 (en) 2007-11-21 2010-12-21 Black & Decker Inc. Multi-mode drill and transmission sub-assembly including a gear case cover supporting biasing
US7717192B2 (en) 2007-11-21 2010-05-18 Black & Decker Inc. Multi-mode drill with mode collar
US7770660B2 (en) 2007-11-21 2010-08-10 Black & Decker Inc. Mid-handle drill construction and assembly process
US7735575B2 (en) 2007-11-21 2010-06-15 Black & Decker Inc. Hammer drill with hard hammer support structure
US7717191B2 (en) 2007-11-21 2010-05-18 Black & Decker Inc. Multi-mode hammer drill with shift lock
US7798245B2 (en) 2007-11-21 2010-09-21 Black & Decker Inc. Multi-mode drill with an electronic switching arrangement
DE102008035308A1 (de) * 2008-07-23 2010-01-28 C. & E. Fein Gmbh Bohrmaschine, insbesondere Kernlochbohrmaschin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olchen
DE102009022333A1 (de) 2009-05-13 2010-11-18 C. & E. Fein Gmbh Magnetbohrständer mit Überwachung der Haltekraft
US20130287508A1 (en) 2012-04-25 2013-10-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agnetic drill press
JP6174432B2 (ja) * 2013-03-29 2017-08-02 日東工器株式会社 バッテリ式穿孔機
US9669539B2 (en) 2014-03-21 2017-06-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agnetic drill system
US9561568B2 (en) 2014-04-25 2017-02-07 Black & Decker Inc. Magnetic drill press with alternate power source
US10189136B2 (en) * 2015-09-01 2019-01-29 Jpw Industries Inc. Power tool with digital variable reluctance motor control
CN109290607B (zh) * 2018-08-10 2020-06-02 南京恒玖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设备超温自动断电保护装置
KR102103754B1 (ko) * 2018-10-30 2020-04-24 김건 핸드 그라인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679U (ko) * 1977-07-22 1979-02-17
US4261673A (en) * 1979-04-05 1981-04-14 Hougen Everett D Magnetic base drill
JPS5850803A (ja) * 1981-09-21 1983-03-25 Hitachi Ltd 発振回路
KR860000144B1 (ko) * 1981-11-20 1986-02-27 도시오 미끼야 전자(電磁)베이스를 갖춘 드릴링 머어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9708A (ja) 1991-01-28
KR910000283A (ko) 1991-01-29
JPH0777686B2 (ja) 1995-08-23
US5035547A (en)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959B1 (ko) 전자석 베이스 부착 드릴 장치
KR930002172Y1 (ko) 전자석 베이스 부설 드릴장치
KR100292850B1 (ko) 천공기제어장치
AU2016277565B2 (en) Battery-operated drilling machine
KR100218703B1 (ko) 진동스위치 및 진동스위치부착 휴대용 전동장치
JPS58177210A (ja) 穿孔機
US2141772A (en) Circuit controlling device
JP2814154B2 (ja) ボンデイング装置
JP4043420B2 (ja) 自動再駆動機能付き電動ドリル装置
US5340010A (en) Bonding apparatus
KR920010607B1 (ko) 천공기
JP2003025122A (ja) 携帯用電動ドリル装置の制御装置
JP2554921Y2 (ja) 穿孔機の安全装置
JPH10120326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7036945B2 (ja) 穿孔機
JPH0378205B2 (ko)
JP2008524004A (ja) 工作機械用の用具調整測定装置
JPH0224013A (ja) ドリルスタンド
KR850001815Y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CN114080297A (zh) 便携式机床
KR960010741B1 (ko)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JPH0735697Y2 (ja) 電磁石ベース付ドリル装置の制御装置
JPH09246296A (ja) 対象物への荷重機構
JPS63314174A (ja) インバ−タの不足電圧検出回路
JPH09246292A (ja) 対象物への荷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