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41B1 -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741B1
KR960010741B1 KR1019930015676A KR930015676A KR960010741B1 KR 960010741 B1 KR960010741 B1 KR 960010741B1 KR 1019930015676 A KR1019930015676 A KR 1019930015676A KR 930015676 A KR930015676 A KR 930015676A KR 960010741 B1 KR960010741 B1 KR 96001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fixing plate
motor fix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627A (ko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741B1/ko
Publication of KR95000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제1도는 기판자동조정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부품조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의 (a)는 기판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부품에 종래 부품조정장치의 드라이브비트로 조정하기 위하여 하강시킨 상태의 발췌도.
(b)는 기판에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 부품에 종래 부품조정장치의 드라이브비트로 조정하기 위하여 하강시킨 상태의 발췌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모타고정판의 구멍과 연결축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와 비트홀더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클러치부분을 발췌한 것으로 상, 하부 클러치의 이격상태도.
제8도는 기판에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 부품의 조정시 본 발명에 의한 부품조정장치의 가변상태도.
제9도는 제8도의 드라이브비트와 부품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부품조정장치 7 : 부품조정가변장치
32 : 상치구 33 : 축공
51 : 모타 51a : 구동축
52 : 모타고정판 53 : 드라이브
54 : 드라이브비트 55 : 구멍
57 : 클러치지지브라켓트 58a,58b : 클러치
59 : 탄력부재 71 : 연결축
72 : 탄력부재 73,74 : 로크너트
본 발명은 기판자동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장착된 조정부품이 기울어지거나 미소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드라이브비트에 가변성을 부가하고, 또 드라이브비트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도록 클러치를 설치하여 조정부품 및 드라이브비트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한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판자동조정기(1)는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제조된 기판(6)을 검사 및 조정하기전에 대기부(2)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검사부(3)로 이동되어 기판(6)을 검사 및 조정하며, 그 검사부(3)에서 합격한 양호기판은 불량기판적재부(4)를 통과하여 반출되는 것이며, 불합격한 불량기판은 불량기판은 불량기판적재부(4)에 적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검사부(3)에서 검사대상기판의 검사 및 조정시 하치구(31)가 상승하여 기판(6)을 받쳐주는 동시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고, 그후 상치구(32)를 하강시켜 부품조정장치(5)로 기판(6)의 각 부품(61)을 검사 및 조정토록 하였던 것이다.
이때 상치구(32)에 설치된 부품조정장치(5)는 기판(6)에 내열된 조정할 부품수만큼 설치되어 동시에 기판(6)의 각 부품을 조정 및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검사부(3)에 설치되어 있는 부품조정장치(5)는 기판(6)의 조정시 호환성을 위하여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기판(6)은 기판자동조정기(1)로 이송되기 전에 자동납땜장치를 통과하면서 부품을 납땜하게 되고, 이때 납땜시 부품들이 불규칙하게 기울어지거나 미소한 오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납땜이 되어 기판자동조정기(1)로 이송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기판자동조정기(1)의 검사부(3)로 이송된 기판(6)의 부품들의 검사 및 조정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조정장치(5)가 하강하여 조정부품(61)의 가변볼륨을 조정하여야 되는데 부품조정장치(5)는 일정하게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만을 하도록 되어 있어 불규칙하게 기울어진 부품이나 미소하게 다른 위치에 배열된 부품(61)의 가변볼륨에 부품조정장치(5)의 드라이브비트(54)가 삽입되지 않아 검사 및 조정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수작업을 해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드라이브비트(54)가 부품의 가변볼륨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된 조정값을 찾기 위하여 가변볼륨을 한계치까지 돌리는 경우가 있는데, 가변볼륨의 조정시 그 변화값이 콘트롤부에 나타나게 되고 가변볼륨이 회전할 수 없을 때에는 변화값이 없으므로 부품조정장치(5)의 모터(51)에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변볼륨의 변화값이 없다고 판단하는 시점은 가변볼륨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 시점에서부터 변화값이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을때까지 시점을 말하며, 그 시간차 동안에는 모타(51)에 계속 전원이 인가되어 드라이브비트(54)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므로 그 드라이브비트(54)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가변볼륨을 손상 또는 파손시키거나 드라이브비트가 마모되어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부품조정장치를 탄력부재로 지지토록 하여 드라이브비트를 부품의 각도에 맞도록 탄력있게 각도변위시켜 가변볼륨과 일치되게 하고, 또 모타의 구동축과 드라이브를 클러치로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드라이브를 탄력부재로 탄력있게 받쳐주도록 하여 부품의 가변 볼륨의 보호와 드라이브비트의 마모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및 제4도 내지 제9도에서, 검사부(3)의 상치구(32)에 모타(51)를 모타고정판(52)으로고 정설치한 뒤 모타(51)의 구동축(51a)에, 드라이브비트(54)가 탄력있게 상,하 작동되도록 동축상으로 설치된 드라이브(53)를 연결하여 구성된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치구(32)에 모타고정판(52)의 하부측 각 모서리를 연결축(71)으로 각각 연결하는 동시에 탄력부재(72)로 탄력있게 지지하며, 상기 연결축(71)이 끼워지는 모타고정판(52)의 각 구멍(55)을 연결축(7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가변각도로 모타고정판(52)을 탄력있게 각도변위되게 하는 동시에 드라이브(53)가 관통되는 상치구(32)의 축공(33)을 드라이브(5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모타고정판(52)과 함께 각도변위되게 하여 부품조정가변장치(7)를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이때, 상기 상치구(32)와 모타고정판(52)을 연결고정한 연결축(71)은 각각 상,하단에 로크너트(73)(74)로 고정시켜 모타고정판(52)이 상치구(3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모타고정판(52)의 중간부에 부싱이 설치된 클러치지지브라켓트(57)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모타(51)의 구동축(51a)과 드라이브(53)에 각각 클러치(58a)(58b)를 고정설치한 뒤 상기클러치지지브라켓트(57)내에 굴대설치하고, 상기 모타고정판(52)의 하부와 드라이브(53)의 클러치(58b)사이에 탄력부재(59)를 설치하여 구동력을 접속 또는 단속되게 한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다.
상기 클러치(58a)(58b)는 톱니형 또는 마찰판에 의한 마찰력으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드리아브(53)와 드라이브비트(54)의 연결수단은, 드라이브(53)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532)이 형성된 커플링(5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단에 안내핀(534)이 돌출된 비트홀더(533)를 상기 안내홈(534)에 의해 수직으로 상,하 작동되게 삽입설치한 뒤 커플링(531)과 비트홀더(533) 사이에 탄력부재(535)를 설치하여 탄력있게 상, 하작동되게 하며, 상기 비트홀더(533)에 드라이브비트(54)를 끼워서 고정나사(536)를 고정시켜 연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판자동조정기(1)의 검사부(3)로 이송된 기판(6)의 부품(61)들의 검사 및 조정시 부품조정장치(5)를 하강시켜, 조정부품 (61)의 가변볼륨을 조정한다.
이때, 조정부품(61)이 기판(6)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일정 각도로 기울어졌거나 미소하게 다른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치구(32)의 하강으로 부품조정장치(5)도 동시에 하강하더라도 드라이브비트(54)가 조정부품(61)의 가변볼륨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본 발명의 부품조정가변장치(7)가 상기 가변위치를 보정하여 조정하게 된다.
즉, 부품조정장치(5)가 하강하여 드라이브비트(54)가 조정부품(61)에 접촉하여도 가변볼륨과 불일치하는 경우 가변볼륨의 조정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부품조정장치(5)를 상치구(32)가 약간 더 하강시켜 주게 되면 드라이브비트(54)가 탄력부재(535)에 의하여 비트홀더(533)내로 탄력있게 삽입되어 탄력부재(535)가 압축된 탄력만큼 드라이브비트(54)가 조정부품(61)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가변된 조정부품(61)의 조정볼륨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드라이브비트(54)가 조정볼륨에 삽입되면서 드라이브비트(54)를 그 가변각도 또는 가변거리만큼 기울여지게 한다.
상기 드라이브비트(54)의 가변으로 이와 일체로 조립된 드라이브(53)가 상치구(32)의 축공(33)내에서 각도변위하게 되고, 드라이브(53)와 일체로 연결된 모타(51), 모타(51)를 고정시킨 모타고정판(52)을 각각 드라이브비트(54)와 동시에 상술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기울여지게 하므로서 결국 모타고정판(52)은 상치구(32)의 수평선상에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타고정판(52)의 가변으로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탄력부재(72)가 각 설치위치에 따라서 탄력있게 신장 및 압축하게 되고, 이때 모타고정판(52)이 상치구(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각 연결축(71)이 모타고정판(52)을 잡아주게 되며, 또한 모타고정판(52)의 구멍(55)이 연결축(71)에 대해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부품조정가변장치(7)에 의하여 부품조정장치(5)가 제8도와 같이 조정부품(61)의 각도변위 또는 거리변위만큼 기울어지게 되므로 드라이브비트(54)가 제9도와 같이 조정부품(61)의 가변볼륨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조정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드라이브비트(54)가 조정부품(61)의 가변볼륨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된 조정값을 찾기 위하여 가변볼륨을 한계치까지 돌릴 경우 가변볼륨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가변볼륨과 맞물린 드라이브비트(54)도 가변볼륨에 의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드라이브비트(54)와 일체로된 드라이브(53)는 드라이브비트(54)에 의하여 정지하려는 성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모타(51)는 가변볼륨의 변화값이 일정시간동안 나타나지 않을때까지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모타(51)와 드라이브(53)는 상호 다른 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모타(51)의 구동축(51a)에 설치된 클러치(58a)가 회전하면서 정지한 드라이브(53)의 클러치(58b)를 톱니규격만큼 밀어내게 되고, 드라이브(53)의 클러치(58b)는 탄력부재(59)에 의하여 탄력있게 하강하여 탄력부재(59)를 압축시키게 되며, 상기 상부측 클러치(58a)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하부측 클러치(58b)를 톱니형태에 따라서 탄력있게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모타(51)만 회전하도록 하고, 드라이브(53)와 일체로된 드라이브비트(54)는 회동하지 못하고 상,하작동만 하도록 하여 모타(51)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드라이브비트(54)와 가변볼륨상호간이 헛도는 일이 없어 드라이브비트(54)에 의하여 부품(61)의 가변볼륨을 손상 또는 파손일이 없고, 또한 이로 인해 드라이비브트(54)가 마모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러치(58a)와 (58b)는 클러치지지브라켓트(57)내에 회전 또는 상,하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상호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드라이브(53)의 하강시 비트홀더(533)의 사이에 설치된 탄력부재(535)가 하강 거리만큼 탄력있게 압축하였다가 다시 상승시켜 원상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클러치(58a)(58b)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톱니형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마찰판형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 미끄럼 마찰을 발생시켜 주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품의 장착위치에 따라서 부품조정장치를 탄력있고 자동적으로 가변시켜 조정하여 주므로서 별도로 수작업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화에 일익을 담당하여 작업능률 및 생상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클러치의 설치로 부품 및 드라이브비트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검사부(3)의 상치구(32)에 모타(51)를 모타고정판(52)으로 고정설치한 뒤 모타(51)의 구동축(51a)에, 드라이브비트(54)가 탄력이 있게 상,하 작동되도록 동축상으로 설치된 드라이브(53)를 연결하여 구성된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치구(32)에 모타고정판(52)의 하부측 각 모서리를 연결축(71)으로 각각 연결하는 동시에 탄력부재(72)로 탄력있게 지지하며, 상기 연결축(71)이 끼워지는 모타고정판(52)의 각 구멍(55)을 연결축(7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가변각도로 모타고정판(52)을 탄력있게 각도변위되게 하는 동시에 드라이브(53)가 관통되는 상치구(32)의 축공(33)을 드라이브(5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모타고정판(52)과 함께 각도변위되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타고정판(52)의 중간부에 부싱이 설치된 클러치지지브라켓트(57)를 고정설치 하고, 상기 모타(51)의 구동축(51a)과 드라이브(53)에 각각 클러치(58a)(58b)를 고정설치한 뒤 상기 클러치지지브라켓트(57)내에 굴대설치하고, 상기 모타고정판(52)의 하부와 드라이브(53)의 클러치(58b) 사이에 탄력부재(59)를 설치하여 구동력을 접속 또는 단속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KR1019930015676A 1993-08-13 1993-08-13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KR96001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676A KR960010741B1 (ko) 1993-08-13 1993-08-13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676A KR960010741B1 (ko) 1993-08-13 1993-08-13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27A KR950007627A (ko) 1995-03-21
KR960010741B1 true KR960010741B1 (ko) 1996-08-07

Family

ID=1936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676A KR960010741B1 (ko) 1993-08-13 1993-08-13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27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63304A (zh) 一种电脑电源加工用具有防偏移结构的组装设备
US6298783B1 (en) Printhead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00116603A (ko) 선형 모션 리드스크류 및 너트 조립체에서의 자동-정렬 너트 및 스크류를 위한 플로팅 칼라 클램핑 디바이스
JPH02152741A (ja) 円筒状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960010741B1 (ko)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가변장치
KR100368806B1 (ko) 가공물 위치결정장치
KR100354104B1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CN113579305B (zh) 一种led灯座自动化打孔设备
CN113427044A (zh) 拨叉零件钻孔用自动化夹具和拔叉钻孔设备
CN113645831B (zh) 一种线路板加工用灯珠贴片机
KR960005341Y1 (ko) 기판자동조정기의 부품조정장치
CN217717530U (zh) 一种螺纹检测系统
CN219945117U (zh) 一种机器人夹具快换装置
CN220863153U (zh) 焊接治具
KR950007729Y1 (ko) 자동절단 제어장치
CN220629684U (zh) 一种pcb板加工用贴片机
KR0129786Y1 (ko) 전동 드라이버
CN211954730U (zh) 一种适用范围广的卸土器
KR0139877Y1 (ko) 결합요소간의 상대적 결합각도의 조절기능을 가지는 요소결합장치
KR0148994B1 (ko) 파형검사조정기의 드라이버비트 각도 보정장치
KR19990074062A (ko) 미세칩 위치결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281592Y1 (ko) 액정표시장치 검사용 테스트 지그의 니들 벤딩장치
JPH0258299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KR0170667B1 (ko) 표면 실장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그 조절 방법
SU15832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варки неповоротных стыков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