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15Y1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15Y1
KR850001815Y1 KR2019830007916U KR830007916U KR850001815Y1 KR 850001815 Y1 KR850001815 Y1 KR 850001815Y1 KR 2019830007916 U KR2019830007916 U KR 2019830007916U KR 830007916 U KR830007916 U KR 830007916U KR 850001815 Y1 KR850001815 Y1 KR 850001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af spring
lever
support memb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666U (ko
Inventor
윤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7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815Y1/ko
Publication of KR850002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구동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안전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될때의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4도는 엘리베이터가 과속 운행될때의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장치의 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 지지 부재 14 : 스위치 레버 지지체
15 : 접점 16 : 스위치 레버
21 : 판스프링 23 : 조절 보울트
24 : 캠레버 26 : 캠
28 : 스위치 프레임 29 : 접점
30, 31 : 점검구
본 고안은 기기의 고장 또는 기타의 사고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승강대차가 규정된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하강하면 그 대차에 연결된 와이어 로오프에 의해 대차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대차가 과속으로 하강할 경우에 캠레버가 회전하면서 구동모우터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마그네틱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대차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캠레버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의탄발력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그 판스프링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모우터와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레버의 접점 및 스위치 프레임의 접점의 상호 단락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 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의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계실(1)의 내부에 구동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기(2)를 설치하여 그 권상기(2)에 감긴 권상 로오프(3)로 승강대차(4)를 승강시키고, 권상기(2)의 일측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에는 상·하부 풀리(5)(6)의 사이에 상기 대차(4)에 연결된 와이어 로오프(7)를 권취함으로써 대차(4)의 승강작동에 따라 상·하부 풀리(5)(6)가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부 풀리(5)에는 대차(4)가 규정속도 이상의 속도로 하강하게되면, 캠레버가 회전하여 권상기(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우터(3)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대차(4)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위치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나,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판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하기가 매우 힘이들고, 또한 그 판스프링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없어 캠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보지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구동모우터 및 마그네틱브레이크가 연결된 스위치레버 및 스위치 프레임의 접점의 상호 단락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키기가 매우 힘든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한하여, 판스프링의 상부에 판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보울트를 설치하고, 또한 판스프링 및 스위치레버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게 점검구를 천공하여 판스프링의 보지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스위치레버 및 스위치 프레임의 접점의 상호 단락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진자(8)가 설치된 상부풀리(5)의 고정축(9)을 대향 입설된 한쌍의 하부지지부재 (10)의 상단부에 설치하고, 그 하부지지부재(10)의 상부에는 ""형 상부지지부재(11)를 고정보울트(12)로 연접고정하며, 상부지지부재(11)의 상면 내측에는 스위치 취부판(13)을 설치하여 그 스위치 취부판(13)의 저면에 스위치레버지지체(14)를 설치하는 한편, 스위치레버 지지체(14)에는 선단 저면에 접점(15)이 형성된 스위치레버(16)를 고정나사(17)로 고정하되, 그 스위치레버(16)의 상·하부에 스위치레버누름대(18) 및 받침대(19)를 각기 중첩한 상태로 상기의 고정나사(17)로 고정하고, 그 스위치지지체(14)의 일측에는 선단부에 만곡부(20)를 형성한 한쌍의 판스프링(21)을 스위치레버(16)와 평행하게 지지체(14)에 고정나사(22)로 고정설치하며, 그 판스프링(21)의 중간부의 상부지지부재(11)에는 판스프링(21)의 상하면위를 조절할 수 있게 조절보울트(23)를 수직으로 나착하였다.
그리고, 상부풀리(5)의 고정축(9)에 캠레버(24)를 유착하여 그 캠레버(24)의 상단면에 상기의 판스프링(21)의 선단 만곡부(20)가 계합되는 요홈(25)을 요설하고, 캠레버(24)의 일측면에는 캠(26)을 고정하여 그 캠(26)의 상면에 수개의 라이너(27)의 개재하에 스위치 프레임(28)을 설치하며, 그 스위치 프레임(28)의 상면에는 상기한 스위치레버(16) 선단의 접점(15)과 단락되게 접점(29)을 설치하는 한편, 상부지지부재(11)의 상면 및 측면에는 판스프링(21) 및 스위치레버(16)의 처짐량과 접점(15)(29)의 상호단락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점검구(30)(31)를 천공하고, 상면의 점검구(30)에는 마개(32)를 복개하여 접점(15) 및 (29) 부분에 먼지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접점(15)(29)이 상호 단락된 상태에서는 권상기(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우터는 구동되게하고, 마그네틱브레이크는 구동되지 않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로 정상운행될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캠레버(24)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면의 요홈(25)에 판스프링(21)의 선단 만곡부(20)가 계합되어 캠레버(24)가 회전되지 않도록 보지하게 되고, 이때 스위치레버(16)의 접점(15)과 스위치 프레임(28)의 접점(29)이 상호 단락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구동모우터가 전원회로에 연결되어 정상구동되고, 마그네틱브레이크는 전원회로에 연결되지 않아 동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기의 고장 또는 기타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이상의 속도로 운행될 경우에는 상부풀리(5)가 교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한쌍의 진자(8)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캠(26)을 치게되어 캠레버(24)가 고정축(9)를 중심으로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호 단락되어 있던 스위치레버(16)의 접점(15)과 스위치 프레임(28)의 접점(29)이 개방되어 구동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전원이 인가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즉각 정지시키게 되는 바 여기서 본 고안은 상부지지부재(11)의 상면 및 측면에 천공된 점검구(30)(31)를 통해 판스프링(21)의 선단 만곡부(20)가 캠레버(24)의 요홈(25)에 계지되어 있을 경우의 거리(d1) 및 캠레버(24)의 회전에 의해 만곡부(20)가 요홈(25)에서 이탈되었을 경우의 거리(d2), 즉 판스프링(21)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조절보울트(23)로 판스프링(21)의 상하 변위를 조절하여 그의 탄발력을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캠레버(24)의 회전을 지지하는 판스프링(21)의 보지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점검구(30)(31)를 통해 상기의 판스프링(21)과 마찬가지로 스위치레버(16)의 처짐량을 수시로 점검하여 그 처짐량이 과대하거나 과소할 경우에는 라이너(27)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시 접점(15)(29)의 상호단락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캠레버(24)의 임의의 회전을 저지하는 판스프링(21)의 보지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접점(15)(29)의 단락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가 항시 정확하게 작동되어 안전도는 물론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정정). 상면에 접점(29)이 형성된 스위치 프레임(28)이 캠레버(24)에 고정된 캠(26)의 상면에 설치하고, 선단부에 접점(15)이 형성된 스위치 레버(16) 및 판스프링(21)이 스위치레버지지체(14)에 고정되어 상부지지부재(11)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11)의 상면에 판스프링(21)의 탄발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보울트(23)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상면 및 측면에 상기 판스프링(21) 및 스위치 레버(16)의 처짐량과 접점(15)(19)의 단락상태를 관측하기 위한 점검구(30)(31)를 천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 터안전장치의 스위치 장치.
KR2019830007916U 1983-09-10 1983-09-10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KR850001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16U KR850001815Y1 (ko) 1983-09-10 1983-09-10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16U KR850001815Y1 (ko) 1983-09-10 1983-09-10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66U KR850002666U (ko) 1985-05-30
KR850001815Y1 true KR850001815Y1 (ko) 1985-08-28

Family

ID=7015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916U KR850001815Y1 (ko) 1983-09-10 1983-09-10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8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66U (ko) 198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86B1 (ko) 엘리베이터장치
KR10112493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007098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KR850001815Y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스위치장치
KR20030069512A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7024349A (zh) 绳轮式电动玻璃升降器的性能试验台
JPWO2004013029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3053836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charge, procede de commande et dispositif elevateur
JPWO200603048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88827B2 (ja) 芯出し治具
JP2000007245A (ja) エレベータ調速機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2723085A (zh) 一种电梯运行加速度检测及保护装置
JP7223142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の点検装置
WO2011132294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JP2018118839A (ja) エレベーター非常止め装置の動作試験方法および動作試験用短絡装置
US5052522A (en) Encoder installing structure
KR900003146Y1 (ko)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JP2002338156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点検装置
CN109879135A (zh) 可变速限速器
JP6211216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引上レバー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950000538Y1 (ko) 공작기기의 공구포트 90˚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