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754B1 - 핸드 그라인더 - Google Patents

핸드 그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754B1
KR102103754B1 KR1020180131143A KR20180131143A KR102103754B1 KR 102103754 B1 KR102103754 B1 KR 102103754B1 KR 1020180131143 A KR1020180131143 A KR 1020180131143A KR 20180131143 A KR20180131143 A KR 20180131143A KR 102103754 B1 KR102103754 B1 KR 10210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utter
driving unit
unit
light ex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
김린
차경수
정순철
Original Assignee
김건
김린
차경수
정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 김린, 차경수, 정순철 filed Critical 김건
Priority to KR102018013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를 내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연삭 커터; 상기 연삭 커터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구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구동부 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구동부 몸체에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과 평행하고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이송방향에 대한 좌우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좌우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평 감지 경보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수직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직 감지 경보부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 그라인더{Hand Grinder}
본 발명은 핸드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것에 의해 수시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어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핸드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핸드 그라인더는 공기압 공급부나 구동모터 등로 이루어진 구동부에 의해 고속으로 작동하는 회전축에 연삭 커터를 장착하여 목재나 석재 또는 철재 등의 표면을 연삭해서 광택을 내거나 철근 등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핸드 그라인더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를 내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몸체(100),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연삭 커터(200), 상기 연삭 커터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구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커버(300), 및 상기 구동부 몸체(10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부 몸체(10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400)로 구성되는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시 한 손으로는 구동부 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표면을 연삭하거나 철근 등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의 수평면을 연삭할 경우, 상기 연삭 커터의 이송방향에 대한 좌우 기울기(α)가 과도할 경우 진동 등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다듬질 상태)가 악화할 뿐만 아니라 연삭 커터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등 피가공물(W)을 수직으로 절단할 때, 상기 연삭 커터가 피가공물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에 대한 기울기(β)가 과도할 경우 역시 진동 등이 발생되고 연삭 커터에 작용하는 절단력이 증가하여 절단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연삭 커터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도 2의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2480호 (2012.04.26)
본 발명의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것을 통해 연삭 커터의 자세를 수시로 교정할 수 있어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높이고 절단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연삭 커터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핸드 그라인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는,
구동부를 내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연삭 커터;
상기 연삭 커터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구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구동부 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구동부 몸체에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과 평행하고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이송방향에 대한 좌우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좌우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평 감지 경보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수직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직 감지 경보부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는,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에 대향하는 구동부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은 접점 릴레이; 및,
상기 수은 접점 릴레이에 연결되는 알람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감지 경보부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레이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 모듈은,
제1 광출구가 형성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제1 광출구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광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를 개폐하는 빔 차단부가 내장되게 설치되는 빔 단속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 차단부는 상기 제2 광출구에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빔 단속 챔버의 내면에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빔 차단부에는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와 연통하거나 제2 광출구와 어긋나는 제3 광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 몸체에는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와 수직 감지 경보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선택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공물의 수평면 연삭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연삭 커터의 이송 방향을 중심으로 연삭 커터와 구동부 몸체가 좌우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수평 감지 경보부에 의해 인지할 수 있으므로 수시적인 자세 교정을 통해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삭 커터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 등 피가공물을 절단할 때 연삭 커터가 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면에 대하여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수직 감지 경보부에 의해 인지할 수 있으므로 수시적인 자세 교정을 통해 연삭 커터에 작용하는 절단력과 진동을 줄여서 절단 시간을 최소화하고 연삭 커터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연삭 커터의 좌우 수평 기울기가 발생하는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피가공물의 절단시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가 발생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레이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A-A에서 바라본 횡단면도로서, (a)는 레이저 정상 조사시, (b)는 레이저 조사 차단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의 절단 작업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 1과 도 2과 동일한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1000)는, 구동부(미도시)를 내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몸체(100),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연삭 커터(200), 상기 연삭 커터(20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구동부 몸체(100)에 설치되는 커버(300), 상기 구동부 몸체(10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부 몸체(10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400), 상기 구동부 몸체(100)에 상기 연삭 커터(200)의 일면과 평행하고 상기 구동부 몸체(10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200)의 이송방향에 대한 좌우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좌우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평 감지 경보부(500) 및, 상기 커버(300)에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200)의 수직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수직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직 감지 경보부(60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나 공기압 공급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 결합된 회전축(미도시)에 상기 연삭 커터(200)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500)는 피가공물의 수평면을 연삭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삭 커터(200)의 이송 방향을 중심으로 연삭 커터(200)와 구동부 몸체(100)가 좌우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수시로 자세교정을 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다듬질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삭 커터(200)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500)는, 상기 연삭 커터(200)의 일면에 대향하는 구동부 몸체(100)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은 접점 릴레이(510) 및, 상기 수은 접점 릴레이(510)에 연결되는 알람장치(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은 접점 릴레이(510)는 수은을 사용하여 접점을 여닫는 릴레이로서, 과도한 기울기에 의해 수은이 이동하여 접점이 닫히는 경우 알람장치(520)에 전류가 공급되어 경보를 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감지 경보부(600)는, 철근 등을 절단할 때 상기 연삭 커터(200)가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면에 대하여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연삭 커터에 전달되는 절단력과 진동을 방지하여 절단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억제하고, 연삭 커터(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직 감지 경보부(600)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연삭 커터(2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커버(300)에 설치되는 레이저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모듈은, 제1 광출구(611)가 형성되는 레이저 조사부(610) 및, 상기 제1 광출구(611)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광출구(621)가 형성되며 상기 연삭 커터(200)의 수직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621)를 개폐하는 빔 차단부(622)가 내장되게 설치되는 빔 단속 챔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빔 차단부(6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광출구(621)에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빔 단속 챔버(620)의 내면에 힌지 이동 가능하게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빔 차단부(622)에는 상기 연삭 커터(200)의 수직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621)와 연통하거나 제2 광출구(621)와 어긋나는 제3 광출구(622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삭 커터(200)의 수직 기울기가 소정값 이내에 있을 경우 제3 광출구(622a)가 제2 광출구(621)와 연통되어 레이저가 정상적으로 조사되어 확인할 수 있는 한편,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삭 커터(200)의 수직 기울기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광출구(621)가 빔 차단부(622)에 의해 차단되어 레이저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광출구(621)가 빔 차단부(622)에 의해 차단되는 순간 바로 각도를 바로 잡으면 도 7(a)와 같은 위치로 회복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직 감지 경보부(600)의 일단이 바닥을 정면으로 향하지 않고 바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 힌지점에 대하여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빔 차단부(622)는 힌지점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형태로 하향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빔 차단부(622)의 제3 광출구(622a)는 수직 커팅을 할 때에만 상기 제2 광출구(621)와 연통되므로 그 이외의 작업을 할 때에는 제2 광출구(621)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칩이나 먼지 등이 레이저 모듈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 몸체(100)에는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500)와 수직 감지 경보부(6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선택 스위치(700)가 설치되어, 수평 감지 경보부(500)와 수직 감지 경보부(600) 중 어느 하나만 가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택 스위치(700)는 "수평 기울기 감지", "수직 기울기 감지", "off"를 선택할 수 있는 3단 누름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가공물의 표면을 다듬질하거나 경사지게 놓인 피가공물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 수평 감지 경보부(500)와 수직 감지 경보부(600)가 항시 작동하지 않도록 off되게 하는 선택 스위치(7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술되지 않은 구성부호 800은 구동부 몸체(100)에 연결되는 전원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구동부 몸체
200... 연삭 커터
300... 커버
400... 손잡이
500... 수평 감지 경보부
600... 수직 감지 경보부
700... 선택 스위치
1000... 핸드 그라인더

Claims (6)

  1. 구동부를 내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연삭 커터;
    상기 연삭 커터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구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구동부 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구동부 몸체에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과 평행하고 상기 구동부 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이송방향에 대한 좌우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좌우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평 감지 경보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정치 이상의 수직 기울기를 경보하는 수직 감지 경보부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수평 감지 경보부는,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에 대향하는 구동부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은 접점 릴레이; 및,
    상기 수은 접점 릴레이에 연결되는 알람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감지 경보부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연삭 커터의 일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레이저 모듈이고,
    상기 레이저 모듈은,
    제1 광출구가 형성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제1 광출구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광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를 개폐하는 빔 차단부가 내장되게 설치되는 빔 단속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빔 차단부는 상기 제2 광출구에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빔 단속 챔버의 내면에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빔 차단부에는 상기 연삭 커터의 수직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광출구와 연통하거나 제2 광출구와 어긋나는 제3 광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라인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31143A 2018-10-30 2018-10-30 핸드 그라인더 KR10210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43A KR102103754B1 (ko) 2018-10-30 2018-10-30 핸드 그라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43A KR102103754B1 (ko) 2018-10-30 2018-10-30 핸드 그라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754B1 true KR102103754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143A KR102103754B1 (ko) 2018-10-30 2018-10-30 핸드 그라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8435A (zh) * 2020-09-01 2020-11-20 谢娟 一种具有磨损度检测装置的小型镀铬表面修整机
KR20210133488A (ko) 2020-04-29 2021-11-08 박근식 조립성이 향상된 회전력전달장치
KR20220143461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아임삭 휠커버를 갖는 그라인더
KR20230150021A (ko)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케이에스지 교체가 용이한 회전력 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08A (ja) * 1989-06-15 1991-01-28 Nitto Giken Kk 電磁石ベース付ドリル装置
KR200410561Y1 (ko) * 2005-11-30 2006-03-13 양산기공 주식회사 핸드그라인더의 손잡이 절첩구조
KR101142480B1 (ko) 2010-02-17 2012-05-07 이일영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KR20130142819A (ko) * 2012-06-20 2013-12-30 김진호 레이저 수직 수평계가 설치된 전동드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08A (ja) * 1989-06-15 1991-01-28 Nitto Giken Kk 電磁石ベース付ドリル装置
KR200410561Y1 (ko) * 2005-11-30 2006-03-13 양산기공 주식회사 핸드그라인더의 손잡이 절첩구조
KR101142480B1 (ko) 2010-02-17 2012-05-07 이일영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KR20130142819A (ko) * 2012-06-20 2013-12-30 김진호 레이저 수직 수평계가 설치된 전동드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88A (ko) 2020-04-29 2021-11-08 박근식 조립성이 향상된 회전력전달장치
CN111958435A (zh) * 2020-09-01 2020-11-20 谢娟 一种具有磨损度检测装置的小型镀铬表面修整机
KR20220143461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아임삭 휠커버를 갖는 그라인더
KR20230150021A (ko)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케이에스지 교체가 용이한 회전력 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54B1 (ko) 핸드 그라인더
US7698975B2 (en) Table saw with cutting tool retraction system
KR102319943B1 (ko) 연삭 장치
ES2757752T3 (es) Procedimiento y máquina rectificadora para rectificar piezas de trabajo que presenten ranuras
CN111958342B (zh) 无心外圆磨床
KR20160043898A (ko) 연삭 장치
JP2009107084A (ja) 研削装置
JP5101312B2 (ja) 厚み計測装置及び該厚み計測装置を備えた研削装置
JP6704256B2 (ja) 研削装置
JP2010017787A (ja) 研削装置
JP6509589B2 (ja) 切削装置
AU2017248586B2 (en) Portable power tool having a covering device
JP6226722B2 (ja) 高さ位置検出方法
EP1348517B1 (en) Cylindrical grinder
KR102511061B1 (ko) 원통 연마 장치
US7044120B1 (en) Baseplate for tool
WO2018061970A1 (ja) 工作機械のベッドおよび工作機械
US6772750B2 (en) Cable saw
JP2007144566A (ja) ガラス板の折割切断不良の検出方法
KR101965616B1 (ko) 그라인더의 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53425Y1 (ko) 둥근톱의 안전커버장치
KR101952090B1 (ko) 팁 드레싱 장치
JP3344733B2 (ja) 鋸盤における切粉除去装置
JP5554612B2 (ja) 研削装置
KR100820978B1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