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29B1 -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29B1
KR920003129B1 KR1019890020122A KR890020122A KR920003129B1 KR 920003129 B1 KR920003129 B1 KR 920003129B1 KR 1019890020122 A KR1019890020122 A KR 1019890020122A KR 890020122 A KR890020122 A KR 890020122A KR 920003129 B1 KR920003129 B1 KR 92000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lower alkyl
toluenesulfonate
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625A (ko
Inventor
이꾸오 도미노
미쓰유끼 다께스에
노리아끼 기하라
다꾸미 기다하라
아끼라 아와야
가즈도시 호리고미
다다유끼 사사끼
아끼라 미즈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미쓰이 세이야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로다 구니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41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2127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미쓰이 세이야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로다 구니다미 filed Critical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25A/ko
Priority to KR101992000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28B1/ko
Priority to KR1019920003028A priority patent/KR920003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5Amino or imino radicals,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by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8Tw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 C07D4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신규한 피리미딘류(pyrimidines)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류에 관한 것이며, 활성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류를 함유하는 동물의 말초 및 중추신경계의 신경학상의 질병에 대한 신규한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공소 46-23394호 공보에는 다음 일반식
Figure kpo00001
(식중 A는 16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또는 아미노기 또는 C2-5아실아미노기로 치환된 저급알킬렌기. M은 H, Na, K, NH4, Mg, Ca 또는 유기 염기성 암모늄 염. n은 M의 원자가와 동일한 값)으로 나타낸 아미노 피리미딘류는 치료활성, 특히 정신병치료분야에서 항우울제 및 정신분열 치료제로 효과가 있음이개시되어 있고, 일본특공소 51-22044호 공보에는 2-이소프로필아미노 피리미딘디클로로아세테이드와 같은 2-이소프로필 아미노피리미딘의 디클로로-저급지방족 카본산염이 정신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함이 개시되어있다.
일본특개소 52-100477호 공보(특공소 59-28548호)에는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의 인산염이 정신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함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공소 54-157575호 공보에는 2-클로로 피리미딘을 고수율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공보의 실시예에는 2-클로로피리미딘이 69%의 수율로 제조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5-393호 공보에는 2-이소프로필 아미노피리미딘을 고수율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공보의 실시예는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이 60%의 수율로 제조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5-122768호 공보에는 다음 일반식 :
Figure kpo00002
(식중 A4, A5및 A6는 각각 H 또는 OH을 나타내며, 그들중 적어도 하나가 OH임)으로 표시되는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의 하이드록시유도체가 신경재생분야와 근디스트로피(myodystrophy)의 치료용으로유용함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5-145670호 공보에는 다음 일반식 :
Figure kpo00003
(식중 A'4, A'5및 A'6각각은 H 또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며, 그들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소임)으로 표시되는 2-이소프로필아미노할로게노피리미딘류가 각종 신경성질환 및 근디스트로피의 치료용으로 유용함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5-145,671호 공보에는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의 하이드록시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5-151,571호 공보에는 2-이소프로필아미노-5-할로게노피리미딘류가 신경질환 치료에 유효함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6-10177호 공보에는 2-메틸설포닐피리미딘을 이소프로필아민으로 아미놀화함으로서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을 사실상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6-26880호 공보에는 비스(이소프로필구아니딘)황산염을 1,1,3,3-테트라에톡시 프로판과 반응시켜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소 56-90,013호 공보에는 유효성분으로서 피리미딘의 치환유도체 또는 그의 치료학상 허용될 수 있는 염 또는 그의 대사물로 구성된 신경근 전달의 근디스트로피, 근장애, 근경직 및/또는 기능부전(dysfunction)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활성화합물로서 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의 O-인산염(orthophosphate)과 같은 각종 염류를 개시하고 있을뿐이다.
일본특개소 61-65873호 공보에는 다음 일반식 :
Figure kpo00004
(식중 R1은 H또는 아랄킬기, Y는 상기 특허공보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2가 유기기임)의 2-피페라지노피리미딘 유도체류가 논과 밭의 제초제로서 유용함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종전에 특정의 2-피페라지노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염(국제 공개번호 WO 87/04928)을 포함하는 신경성 질환용의 신규한 치료제를 제공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피리미딘류와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들의 염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성 질환 및 신경쇠약용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신경세포 재생성 및 회복효과를 갖는 신경성 질환용 신규한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말초신경계 질환과 뇌척수상해에 적용될 수 있는 신경성 질환용 신규한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신신경증과 다른 것으로, 화학적 전달체의 운용체계 또는 대사체계의 비정상을 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중추신경계 질환에 적용될 수 있는 신경성 질환용 신규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학습 및 기억능력을 개선 및 복원해주는 효과를 갖는 대뇌질환계용 신규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장장애등의 부작용이 적은 신경성질환 또는 대뇌질환계의 치료에 적합한 약리작용을 갖는 상당히 우수하고 유용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성 질환 또는 대뇌 질환계용 신규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목적 및 잇점들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하기식(1)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5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06
하기 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07
(식에서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α-(p-클로로페닐)벤질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08
(식에서 R3는 수소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메틸렌기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소원자가 치환된 치환기로서 저급알킬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벤조일옥시기, 벤조일아미노기, 저급알킬아미노기, 디-저급알킬 아미노가, HO(C6H5)2C-기, 피페리디노기, 히드록시(저급알킬)기, C6H5SO2-기,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 저급알킬 설포닐아미드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를 나타내고, n는 4, 5, 6 또는 7이다).
하기 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09
(식에서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5는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2-후로일기, 벤질기, 벤조일기로 임의 치환된 4-피페리딜기, 페네틸기,
Figure kpo00010
, 할로겐 또는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1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2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3
또는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4
을 나타내고 ; Y는 하기식을 갖는 기
-CH2R9
(식에서 R9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티오기 또는 디-저급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5
(식에서, R6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저급알콕시기 또는 2-(N, N-디메틸아미노)에틸기를 나타내며, R7은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시클로헥실카보닐기, 2-후로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신나모일기, 벤질기, 벤질카보닐기, 토실기, 페녹시 아세틸기, 디-저급알킬 카바모일기, 2-테노일(thenoyl)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카보닐기,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6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7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8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19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20
, 4-저급 알킬 피페라질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또는 페닐기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를 나타내며, R6이 수소인 경우 R7은 벤조일기이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21
(식에서, R8은 메틸렌기의 수소원자가 치환된 치환기,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며, m은 4, 5, 6 또는 7이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22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23
, 또는 하기 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24
을 나타내고 ; Z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기를 나타내고 ; Z가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일 경우에만 Y가 -CH2R9이고 ; R4가 수소이고, R5가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2-후로일기, 벤질기, 페네틸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인 것은, Y가 CH2R9이고, Z가 저급알콕시 카보닐기인 경우만이고 ; X가
Figure kpo00025
이고, R4가 저급알킬기일때만 Y가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또는
Figure kpo00028
일 수 있다.
식(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이다. 이 저급알킬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이며, 바람직하게는 1∼4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기등이 있다.
식(1)에서, X는 하기 식을 갖는 기들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29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α-(p-클로로페닐)벤질기를 나타낸다.
저급알킬기의 예로는 R1에 대해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는 수소 또는 메틸렌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치환기이며 저급알킬기, 히드록시기와 니트로로 임의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벤조일옥시기, 벤조일아미노기, 저급알킬아미노기, 디저급알킬 아미노기, HO(C6H5)2C-기, 피페리디노기, 히드록시(저급알킬)기, C6H5SO2O-기,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 저급알킬 설포닐아미드기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기를 나타낸다. n은 4, 5, 6 또는 7중의 수이다. 상기 저급알킬기의 예로는 R1에 대해 예시한 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며, R5는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2-후로일기, 벤질기, 벤조일기로 임의 치환된 4-피페리딜기, 페네틸기 또는
Figure kpo00030
기, 또는 할로겐 또는 니트로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를 나타낸다.
R4와 R5의 저급알킬기의 예로는 상기 R1에 대해 예시한 것들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R5에 대한 저급아실기의 알킬부분은 선형 또는 분지형이다.
탄소수 2∼6의 아실기가 바람직하며, 예로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및 헥사노일기를 들 수 있다.
식(1)에서 Y는 하기 식을 갖는 기들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31
,
Figure kpo00032
,
Figure kpo00033
,
Figure kpo00034
또는
Figure kpo00035
R9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티오기, 또는 디-저급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5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저급알콕시기 또는 2-(N, N-디메티라미노)에틸기를 나타낸다.
R7은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시클로헥실카보닐기, 2-후로일기, 저급알콕시카보닐기, 신나모일기, 벤질기, 벤질카보닐기, 토실기, 페녹시 아세틸기, 디-저급알킬카바모일기, 2-티에닐기,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36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37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38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39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040
4-저급알킬피페라질기와, 할로겐, 저급알콕시, 니트로, 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또는 페닐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조일기를 나타낸다.
R9, R6및 R7의 저급알킬기의 예로는 R1에 대해서 예시했던것들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7의 저급아실기의 예로는 R5에 대해 예시했던것들과 동일한 것들을 들 수 있다.
R7의 벤조일기의 치환기인 할로겐과 저급 알콕시기의 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요드와 알콕시기로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및 sec-부톡시등의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식(1)에서 Z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저급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식(1)을 갖는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100)
Figure kpo00041
(104) (10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08)
Figure kpo00042
(112) (10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16)
Figure kpo00043
(120) (11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24)
Figure kpo00044
(128) (12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32)
Figure kpo00045
(136) (13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37)
Figure kpo00046
(138) (137)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40)
Figure kpo00047
(144) (14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49)
Figure kpo00048
(150) (149)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48)
Figure kpo00049
(152) (14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45)
Figure kpo00050
(146) (145)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47)
Figure kpo00051
(147-1) (147)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53)
Figure kpo00052
(154) (153)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54-1)
Figure kpo00053
(154-2) (154-1)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56)
Figure kpo00054
(160) (15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64)
Figure kpo00055
(165) (164)의 황산염
(166) (164)의 인산염
(167) (164)의 말레이드
(169) (164)의 나프탈렌설포네이트
(171) (164)의 시트레이트
(171-1) (164)의 타르타레이트
(171-1-1) (164)의 푸마레이트
(168) (16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0) (174)의 염산염
(170-1)
Figure kpo00056
(170-2) (170-1)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2)
Figure kpo00057
(171-3) (171-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4)
Figure kpo00058
(171-5) (171-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6)
Figure kpo00059
(171-7) (171-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8)
Figure kpo00060
(171-9) (171-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10)
Figure kpo00061
(171-11) (171-1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1-12)
Figure kpo00062
(171-13) (171-1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72)
Figure kpo00063
(176) (17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80)
Figure kpo00064
(184) (18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88)
Figure kpo00065
(192) (18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196)
Figure kpo00066
(200) (19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04)
Figure kpo00067
(208) (20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2)
Figure kpo00068
(216) (121)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0)
Figure kpo00069
(224) (22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8)
Figure kpo00070
(232) (22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6)
Figure kpo00071
(240) (23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41)
Figure kpo00072
(242) (241)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44)
Figure kpo00073
(248) (24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52)
Figure kpo00074
(256) (25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60)
Figure kpo00075
(264) (26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68)
Figure kpo00076
(272) (26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76)
Figure kpo00077
(280) (27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84)
Figure kpo00078
(288) (28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92)
Figure kpo00079
(296) (29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97)
Figure kpo00080
(298) (297)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00)
Figure kpo00081
(304) (30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05)
Figure kpo00082
(306) (305)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07)
Figure kpo00083
(307-1) (307)의 염산염
(308)
Figure kpo00084
(312) (30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16)
Figure kpo00085
(320) (31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24)
Figure kpo00086
(328) (32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32)
Figure kpo00087
(336) (33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40)
Figure kpo00088
(344) (34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48)
Figure kpo00089
(352) (34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56)
Figure kpo00090
(360) (35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64)
Figure kpo00091
(368) (36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72)
Figure kpo00092
(376) (37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80)
Figure kpo00093
(384) (38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88)
Figure kpo00094
(392) (38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396)
Figure kpo00095
(400) (39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404)
Figure kpo00096
(408) (40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412)
Figure kpo00097
(416) (41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420)
Figure kpo00098
(424) (42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428)
Figure kpo00099
(432) (42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00)
Figure kpo00100
(604) (60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08)
Figure kpo00101
(612) (603)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16)
Figure kpo00102
(620) (61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24)
Figure kpo00103
(628) (62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32)
Figure kpo00104
(636) (63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40)
Figure kpo00105
(644) (64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48)
Figure kpo00106
(652) (64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56)
Figure kpo00107
(660) (65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61)
Figure kpo00108
(662) (661)의 염산염
(664)
Figure kpo00109
(668) (66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72)
Figure kpo00110
(676) (67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80)
Figure kpo00111
(684) (68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88)
Figure kpo00112
(692) (68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696)
Figure kpo00113
(700) (69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800)
Figure kpo00114
(804) (800)의 말레이트
(808)
Figure kpo00115
(812) (808)의 말레이트
(816)
Figure kpo00116
(820)
Figure kpo00117
(824)
Figure kpo00118
(828) (824)의 말레이트
(2000)
Figure kpo00119
(2004) (200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008)
Figure kpo00120
(2012) (200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048)
Figure kpo00121
(2052) (2048)의 2염산염
(2056)
Figure kpo00122
(2060) (2056)의 염산염
(2064)
Figure kpo00123
(2070) (2064)의 염산염
(2074)
Figure kpo00124
(2076) (2074)의 염산염
(2080)
Figure kpo00125
(2084) (2080)의 염산염
(2088)
Figure kpo00126
(2092) (2088)의 염산염
(2096)
Figure kpo00127
(2100) (2096)의 염산염
(2104)
Figure kpo00128
(2108) (2104)의 염산염
(2112)
Figure kpo00129
(2116) (211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20)
Figure kpo00130
(2124) (212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28)
Figure kpo00131
(2132) (212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36)
Figure kpo00132
(2140) (2136)의 디-P-톨루엔설포네이트
(2144)
Figure kpo00133
(2148) (2144)의 2염산염
(2152)
Figure kpo00134
(2156) (2152)의 염산염
(2160)
Figure kpo00135
(2164) (2160)의 염산염
(2170)
Figure kpo00136
(2174) (217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78)
Figure kpo00137
(2182) (217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84)
Figure kpo00138
(2188) (218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92)
Figure kpo00139
(2194) (219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198)
Figure kpo00140
(2202) (219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06)
Figure kpo00141
(2210) (220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14)
Figure kpo00142
(2218) (221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22)
Figure kpo00143
(2226) (2222)의 염산염
(2230)
Figure kpo00144
(2234) (2230)의 디-P-톨루엔설포네이트
(2238)
Figure kpo00145
(2242) (223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46)
Figure kpo00146
(2250) (224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54)
Figure kpo00147
(2260) (225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64)
Figure kpo00148
(2270) (226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74)
Figure kpo00149
(2278) (227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82)
Figure kpo00150
(2286) (228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90)
Figure kpo00151
(2294) (229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298)
Figure kpo00152
(2302) (2298)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06)
Figure kpo00153
(2310) (2306)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14)
Figure kpo00154
(2318) (2314)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22)
Figure kpo00155
(2326) (2322)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30)
Figure kpo00156
(2334) (2330)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2338)
Figure kpo00157
(2342) (2338)의 2염산염
(2346)
Figure kpo00158
(2350) (2346)의 염산염
식(1)의 화합물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일본 특개소 61-140568, 61-8762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중간물질을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보호기를 환원시켜 제거하는 반응)으로 처리함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의 제조방법을 하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식(1)(식에서 Y가-NR6R7이고, R6는 수소 아닌 기)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도식(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1]
Figure kpo00159
일반식(1)(식에서 X가 -NR4R5)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도식(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2]
Figure kpo00160
상기 반응도식(1)과 (2)에서 출발원료인 식(Ⅱ)와 (Ⅲ)의 화합물은
Figure kpo00161
을 출발원료로 해서 J.Chem. Soc., 1965 755∼761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도식(1)과 (2)의 반응은 필요한 경우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에서 톨루엔, 디옥산, 피리딘 또는 물 등의 용매중에서 20∼150℃온도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은 임의로 선택하여 예를 들면 유기염기(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와 무기염기(탄산나트륨, 탄산칼륨)등이 있다.
일반식(1)(식에서 Y는 CH2R9이고, R9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Z는 저급알콕시 카보닐기임)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식(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3]
Figure kpo00162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THF 및 DMF등의 반응매체중에서 화합물(Ⅳ)와 (Ⅴ)를 20∼100℃의 온도로 반응시키므로써 식(1)의 화합물(식에서 Y=R10, Z=COOR13)이 얻어진다.
일반식(1)(식에서 Y는 CH2R9이고, R9는 수소와 저급알킬기가 아닌 기이며, Z는 저급알콕시 카보닐기)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식(4)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4]
Figure kpo00163
상기 화합물(Ⅵ)은 벤질피페라진 대신에 X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일본 특개소 61-65873호 공보에 기재된[제조방법 번호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식(1)(Y가 CH2R9이고 Z가 COOR10)의 화합물은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염기 또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포타슘히드라이드 또는 소듐히드라이드와 같은 무기 염기 존재하에서 그리고 톨루엔 또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과 같은 불활성 용매 존재하에서 또는 용매없이 화합물(Ⅵ)와 R9H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1)화합물은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신경질환용 치료약으로 유용한다.
식(1)의 화합물들은 통상 의약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종 경로(즉, 경구, 피하, 근육, 정맥, 코, 피부, 직장)를 통해 투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의약제제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1)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류를 예로 들면 염산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바이설페이트, 인산염, 산성인산염, 초산염, 말레이트, 푸마레이트, 숙시에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카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및 나프탈렌설포네이트류 또는 그들의 수화물류 ; 그리고 제 4급 암모니움(또는 아민)염류 또는 그의 수화물류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블렛제, 캡슐제, 파우더제, 과립제, 트로치제(troches), 카쳇웨이퍼 캡슐제, 에릭서제(elixirs), 유제, 용액, 시럽, 현탁제, 에어로졸, 연고, 무균 주사제, 성형습포제, 테이프, 연성 및 경성제라틴 캡슐제, 좌제 및 무균 포장분말로 조제될 수도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예로 들면 락토우스, 글루코오스, 슈크로우스, 솔비톨, 만니톨, 옥수수전분, 결정질 셀루로우스, 아라비아검,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미세결정질 셀루로우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트라가칸드검, 제라틴, 시럽, 메틸셀루로우스, 카복실메틸 셀룰로우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인산에스테르류,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인산에스테르류,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염류, 불활성 중합체류,물 및 무기유가 있다.
고체 및 액체조성물은 둘다 전술한 충전제류, 결합제류, 윤활제류, 습윤제류, 붕괴제류, 유화제류, 현탁제류, 보존제류, 감미제류 및 방향제류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 투여한 후 활성화합물이 신속히 연속적으로 또는 서서히 방출되도록 조제할 수도 있다.
경구투여의 경우에 식(1)의 화합물을 담체 또는 희석제와 혼합한 다음, 타블렛, 캡슐 등으로 조제한다.
주사투여의 경우에 활성성분을 글루코우스, 등장(isotonic)식염수, 무균수(sterilized water) 또는 유사액의 10%수용액중에 용해한 다음, 정맥점적주사 또는 주사 또는 근육주사용 바이알 또는 앰플내에 봉함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그 매체 내에 용해조제, 국소마취제, 보존제 및 완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이알 또는 앰플속에 넣어둔 후 동결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경구 투여의 또다른 예는 연고 또는 카타플라즘과 같이 피부를 통해 의약 조성물을 투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성형 카타플라즘 또는 테이프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단위 투여량 형태에 따라 활성성분을 0.1∼2000㎎, 좀 더 일반적으로 0.5∼1000㎎을 함유한다.
식(1)의 화합물은 넓은 투여량 범위에 걸쳐 유효하다. 예를 들어 하루동안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은 0.03㎎/㎏∼100㎎/㎏의 범위내이다. 실제적으로는 투여될 화합물의 양은 예를 들어 투여되는 화합물의 종류, 환자의 나이, 체중, 활성조건 및 투여경로에 따라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적당한 투여횟수는 하루에 1∼6, 통상 1∼4회이다.
식(1)의 화합물 자체는 말초신경계 및 중추신경계의 질병에 대해 유효한 치료제이다. 만일 필요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같은 효과의 약과 조합시켜 투여할 수도 있다. 그러한 배합약을 예로 들면 강글리오시드류, 메코발라민 및 이삭소닌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1)의 조제와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실시예들과 일련의 실시예 B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그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나타내는 다음 실시예들 각각은 상술한 화합물들 중 하나 또는 일반식(1)내에 속하는 다른 약리학적으로 활성화합물들중 하나를 사용한다.
[참고실시예 1]
4-메틸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1024번 화합물) : 디클로메탄 150ml에 2,4-디클로로피리미딘 17.0g(0.11몰)이 용해된 용액을 용액의 온도가 5℃로 유지되도록 하는 속도로 메틸아민(0.25몰, 40% 메탄올용액, 20ml)에 가했다.
이후, 그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상기 디클로로메탄층을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2-클로로-4-메틸아미노피리미딘 14.0g(순도 80%)을 얻었다.
n-부탄올 200ml을 2-클로로-4-메틸아미노피리미딘 3.0g(0.02몰)과 4-페닐피페리딘 8.4g(0.05몰)에 가하고, 그 혼합물을 130℃에서 1시간동안 가열했다.
그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유(油)상의 표제 화합물 4.0g(수율 71%)을 얻었다.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deuterochloroform, δppm) : 1.4-2.0(5H, m), 2.93(3H, d,J=5.2Hz), 2.6-3.1(2H, m), 4.60(1H, m), 4.92(2H, br, d,J=12.6Hz), 5.67(1H, d, J=7.2Hz), 7.28(5H, s), 7.93(1H, d, J=7.2Hz).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1000)
Figure kpo00164
(1004)
Figure kpo00165
(1008)
Figure kpo00166
(1012)
Figure kpo00167
(1016)
Figure kpo00168
(1020)
Figure kpo00169
(1024)
Figure kpo00170
(1028)
Figure kpo00171
(1032)
Figure kpo00172
(1036)
Figure kpo00173
(1040)
Figure kpo00174
(1044)
Figure kpo00175
(1048)
Figure kpo00176
(1052)
Figure kpo00177
(1056)
Figure kpo00178
(1060)
Figure kpo00179
(1064)
Figure kpo00180
(1068)
Figure kpo00181
(1072)
Figure kpo00182
(1076)
Figure kpo00183
(1080)
Figure kpo00184
(1084)
Figure kpo00185
(1088)
Figure kpo00186
(1092)
Figure kpo00187
(1096)
Figure kpo00188
(1100)
Figure kpo00189
(1104)
Figure kpo00190
(1108)
Figure kpo00191
(1112)
Figure kpo00192
(1116)
Figure kpo00193
(1120)
Figure kpo00194
(1124)
Figure kpo00195
(1128)
Figure kpo00196
(1132)
Figure kpo00197
(1136)
Figure kpo00198
(1140)
Figure kpo00199
(1144)
Figure kpo00200
(1148)
Figure kpo00201
(1152)
Figure kpo00202
(1156)
Figure kpo00203
(1160)
Figure kpo00204
상기 화합물들(중간체)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205
Figure kpo00206
Figure kpo00207
[참고실시예 2]
4-메틸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말레이트(1026번 화합물) : 메탄올 10ml에 말레인산 0.43g(3.73mmole)이 용해된 용액을, 메탄올 10ml에 4-메틸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1.0g(3.73mmole)이 용해된 용액에 가하여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된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1.25g(수율 85%)을 얻었다.
융점 : 163∼166℃
1H-NMR 스펙트럼(CDCl3용액 δppm) : 1.6-2.2(4H, m), 2.6-3.3(5H, m), 3.04(3H, d, J=5.2Hz), 4.74(1H, br, d, J=12.6Hz), 6.30(1H, d, J=7.2Hz), 7.30(5H, m), 7.71(1H, d, J=7.2Hz), 8.40(1H, m).
이와 유사하게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1014) : (1012)의 말레이트
(1026) : (1024)의 말레이트
(1034) : (1032)의 말레이트
(1038) : (1036)의 말레이트
(1086) : (1084)의 말레이트
(1090) : (1088)의 말레이트
(1094) : (1092)의 말레이트
(1098) : (1096)의 말레이트
(1102) : (1100)의 말레이트
(1110) : (1108)의 말레이트
(1122) : (1120)의 말레이트
(1130) : (1128)의 말레이트
(1158) : (1156)의 말레이트
(1162) : (1160)의 말레이트
상기 화합물들의 물성치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208
[실시예 1]
4-(N-메틸벤즈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164번 화합물)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ml에 벤조일클로라이드 5.2g(0.037몰)이 용해된 용액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90ml와 트리에틸아민 5ml에 4-메틸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9.0g(0.034몰)이 용해된 용액에 실온에서 30분에 걸쳐 가했다. 이후 2시간후, 피리딘 1ml을 가했다. 이후 그 혼합물을 2일간 교반했다. 그 반응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그 디클로로메탄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했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유상의 표제화합물 8.8g(수율 70%)을 얻었다.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 1.4-2.0(4H, m), 2.5-3.0(3H, m), 3.55(3H, s), 4. 62(2H, br, d, J=12.6hz), 6.14(1H, d, J=7.2Hz), 7.1-7.6(10H, m), 8.06(1H, d, J=7.2Hz).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화합물들의 물성치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209
Figure kpo00210
Figure kpo00211
Figure kpo00212
Figure kpo00213
Figure kpo00214
Figure kpo00215
[실시예 2]
4-(N-메틸벤즈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p-톨루엔설포네이트(168번 화합물) : 초산에틸 300ml에 p-톨루엔 설폰산 모노히드레이트 3.0g(0.022몰)이 용해된 용액을, 초산에틸 100ml에 4-(N-메틸벤즈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6.0g(0.022몰)이 용해된 용액에 실온에서 서서히 가했다. 이와 동시에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첨가를 종료한 후, 그 현탁액을 10분간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여 초산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표제화합물 6.8g(수율 83%)을 얻었다.
융점 : 180∼182℃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1.4-2.1(4H, m), 2.35(3H, s), 2.6-3.3(3H, m), 3.56(3H, s), 4.55(2H, br, d, J=12.6Hz), 6.60(1H, d, J=7.2Hz), 7.0-7.9(14H, m), 8.36(1H, d, J=7.2Hz)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여 그 물성치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216
Figure kpo00217
Figure kpo00218
Figure kpo00219
Figure kpo00220
Figure kpo00221
Figure kpo00222
Figure kpo00223
[실시예 3]
4-(N-메틸벤즈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염산염(170번 화합물) : CH3OH 2ml에 진한 염산 0.27g(0.0027몰)이 용해된 용액을 클로로포름 10ml에 4-(N-메틸-벤즈아미노)-2-(4-페닐피페리디노)피리미딘 1.0g이 용해된 용액에 가했다. 이후, 그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1g(수율 100%)을 얻었다.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1.4-22(4H, m), 2.6-3.4(3H, m), 3.56(3H, s), 2.2(2H, m), 6.69(1H, d, J=7.2Hz), 7.0-7.7(10H, m), 8.1(1H, d, J=7.2Hz)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여 그 물성치를 표 5에 나타냈다.
[표 5]
Figure kpo00224
Figure kpo00225
염산대신에 황산, 인산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등을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kpo00226
[실시예 4]
2-이소프로필아미노-4-메틸-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800번 화합물) : 1-아미디노이소프로필아민황산염 18.2g(0.12몰)을 메탄올 200ml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13.0g(0.12몰)이 용해된 용액에 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 2-메톡시에틸렌아세토아세테이트 18.5g(0.12몰)을 0℃에서 30분간에 걸쳐 가하고 그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제를 증발시킨 후, 그 잔류물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0.6g(수율 44%)을 얻었다.
융점 : 118∼119℃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1.26(6H, d, J=7Hz), 2.66(3H, s), 3.87(2H,s), 4.25(1H, sex, J=7Hz), 5.40(1H, br, s), 8.80(1H, s)
[실시예 5]
2-피페리디노-4-메톡시메틸-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820번 화합물) : 소듐히드라이드(0.19g : 7.8mmole)를 실온에서 메탄올 50ml에 가하고 2-피페리디노-4-클로로메틸-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 2.1g(7.8mmole)을 가했다. 그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했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그 잔류물에 물을 가하고 그 혼합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그 초산에틸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0.90g(수율 44%)을 얻었다.
융점 : 89∼92℃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1.70(6H, m), 3.54(3H, s), 3.86(3H, s), 3.92(4H, m), 4.83(2H, s), 8.82(1H, s)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얻었다.
[표 7]
Figure kpo00227
[실시예 6]
2-이소프로필아미노-4-메틸-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804번 화합물) : 2-이소프로필아미노-4-메틸-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 2.48g(11.9mmole)과 말레인산 1.38g(11.9mmole)을 에탄올 20ml와 클로로포름 20ml의 혼합물에 가하고 그 용액을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0℃에서 에테르를 가하여 석출시켰다. 연황색 결정상의 표제화합물을 3.21g(수율 83%)을 얻었다.
융점 : 75∼79℃
1H-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δppm)1.33(6H, d, J=7Hz), 2.85(3H, s), 3.95(3H, s), 4.36(1H, sex, J=7Hz), 6.40(2H, s), 9.08(1H, br, s)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kpo00228
[실시예 1B]
활성성분 10mg을 함유하는 타블레트들 각각을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Figure kpo00229
활성성분, 옥수수전분 및 결정질셀룰로우스를 80메쉬체로 걸른 다음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분말을 폴리비닐 피로리돈 용액과 함께 과립화한 다음 18메쉬체로 걸렀다.
그렇게 얻은 과립들은 50∼60℃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18메쉬체로 걸러서 그들의 크기를 조절했다.
80메쉬체로 걸린 카복시메틸 셀루로우스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타르크를 그 과립에 첨가했다. 그들을 혼합한 다음 타블레트 성형기로 타블레트화하여 중량 120mg의 타블레트들을 제조했다.
[실시예 2B]
활성성분 200mg을 각각 함유하는 타블레트들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Figure kpo00230
상기 성분들을 80메쉬체로 걸러서 충분히 혼합했다. 그렇게 얻은 혼합된 분말을 압축성형하여 중량 300mg의 타블레트를 제조했다.
[실시예 3B]
활성성분 100mg을 각각 함유하는 캡슐들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했다.
Figure kpo00231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80메쉬체로 걸른 다음 충분히 혼합했다. 그렇게 얻은 혼합된 분말을 각각 150mg의 양으로 캡슐속에 충전시켰다.
[실시예 4B]
바이알들내에 활성성분 5mg을 함유하는 주사용 제제들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했다.
Figure kpo00232
사용하기 바로전에 이들 화합물을 주사용 증류수 1ml중에 용해시켜 투여한다.
[실시예 5B]
앰플내에, 활성성분 50mg을 함유하는 주사용 제제들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Figure kpo00233
[실시예 6B]
활성성분 17.5mg을 함유하는 접착성 패치(Patch)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폴리(암모늄아크릴에이트) 10부를 60부의 물내에 용해시켰다.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2부를 10부의 물속에 가열 용해시켰다. 또한 폴리에티렌글리콜(400등급)10부, 물 10부, 및 활성성분 1부를 교반하여 용액을 형성했다. 폴리(암모늄아크릴레이트)의 수성용액을 교반하는 동안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수용액 및 활성성분 함유 용액, 폴리에티렌글리콜 및 물을 첨가 혼합했다.
그 결과로 얻은 하이드로겔(hydrogel)용액을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상에 활성성분의 비율을 ㎠당 0.5mg이 되도록 도포했다. 그 표면을 이형지로 덮고 35㎠의 크기로 절단하여 접착 패취를 제조했다.
[실시예 7B]
활성성분 10mg을 함유하는 접착성 패취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했다.
폴리(소듐아크릴레이트) 100부, 글리세린 100부, 물 150부, 트리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0.2부, 에탄올 100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25부, 프로피렌글리콜 25부 그리고 활성성분 15부로부터 수성졸을 제조했다. 그 다음 그 졸을 레이온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된 합성필름의 부직포 표면상에 100㎛의 두께로 도포하여 약 함유 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층내에 함유된 이형조제(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및 프로피렌글리콜)의 양은 약 30중량%이었다.
그 다음 접착층을 24시간동안 25℃에서 가교결합시키고 이형필름을 그 접착층 표면에 접착시켰다. 그 다음 전체필름을 35㎠의 면적을 갖는 조각들로 절단했다.
신경계 세포들에 대한 식(Ⅰ)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생체외에서 시험했다. 시험용 세포는 신경계 세포들로서 설정된 생쥐아종세포라인 neuro-2a(다이니뽄 파마세틴칼사재)이었다.
상술한 신경세포들을 5%이산화탄소 가스의 존재하에서 37℃의 인큐베이터내에서 대수증식기까지 증식시켰다. 그 다음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함께 일정시간동안 배양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조용보다 현저히 높은 신경세포 증식 촉진 활성과 신경돌기 형성 및 신경돌기 신장촉진 활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대조용 약(일본 특공소 59-28548호에 기재된 화합물)인 이삭소닌과 동일 또는 그 보다 높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류의 쥐(rat)부신수질세포 PC-12에 대한 생물학상의 활성도를 시험했다. NGF가 PC-12세포들에 가해지면 신경 돌기가 신장하나 이때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가하면 PC-12 세포와 NGF의 결합 및 세포의 NGF 흡수가 증가되고 또한 신경돌기의 신장이 증가한다.
토끼의 상악 신경절세포로의 NGF의 결합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조사했을 때 그들은 NGF 결합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좌골신경이 분쇄한 쥐를 말초신경장해의 한 모델로서 준비하고 그에 대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시험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지간거리와 족저근육의 중량을 정상치로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중추신경계 장해모델을 쥐와 생쥐로 준비한 다음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약리학적 효과를 시험했다. 구체적으로는, 쥐 뇌의 니그랄토파민 세포(nigral dopamine cells)를 운동장해(motor imblance)가 일어나도록 극소량의 6-히드록시도파민을 주사하여 화학적으로 파괴했다. 2주 후, 태아 뇌의 도파민 세포들을 쥐 뇌의 미상핵(caudate nucleus)의 장해측으로 조직이식하고 운동장해를 개선하기 위해 시도했다. 구체적으로 조직 이식한 날에서 시작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2주동안 매일 복강내 주사로 투여하고 운동장해의 개선 및 조직이식된 세포들의 성장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조사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운동장해 개선 촉진 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수은 독에 의해 신경 장해를 일으킨 쥐 및 생쥐를 준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활성을 시험한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증상의 개선 및 정상상태로의 회복 촉진효과, 화학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효과 및 학습 및 기억개선 및 회복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말초 및 중추신경계 장해와 같은 포유동물의 각종 신경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와 학습 및 기억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운동, 지각 또는 객관적 반사 지체에 의해 수반되는 각종 말초신경질환과 외상, 염증 또는 면역학적 원인의 신경근 손상을 포함하여 알콜성 유발 또는 약물성 유발, 당뇨병 및 대사성 또는 특발성 말초신경질환을 포함하는 각종 신경질환들의 치료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안면마비, 좌골신경마비, 척추 근육 위축증, 근육영양실조,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급상산재성 뇌척추염, 길리안바레증후군, 포스트백신(postvaccinal)뇌척수염, 스몬(SMON)질환, 치매증, 알트하이머증후군, 두 개 손상후의 상태, 대뇌빈혈, 대뇌출혈의 대뇌경색후유증, 뇌척수손상 및 류마티즘이 있다.
이 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독성 시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단지 미약한 독성과 부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안전하고도 유용한 의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실험예 1]
신경아종 세포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다음 방법으로 시험했다. 10%의 FCS를 함유하는 둘베코의 변성이글매체[페니실린 G 소듐 100단위/ml와, 스트렙토 마이신설페이트 100㎍/ml을 함유하는 DMEM]내에서 대수증식기의 생쥐 neuro-2a 세포들을 1000cells/웰(well)이 되도록 48-웰판(well plate)에 산포하고, 각 웰마다 0.25ml의 배양액을 넣고, 공기중 5%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함유하는 37℃ 인큐베이터내에서 1일 배양하였다. 그 다음에 배지와 동일한 양(0.25ml)의 4% 글루타르 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한 다음 그 배양액을 2시간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여 세포들을 고정시켰다.
물로 세척후 메티렌블루의 0.05% 수용액을 첨가하여 세포를 염색했다.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신경돌기신장세포(세포의 장축의 2배이상의 길이를 갖는 신경돌기를 하나이상 갖는 세포들)의 수를 목측 계수한 다음, 전체 세포들에 대한 이 세포들의 비율을 계산한다. 웰의 중심에 놓인 표식으로부터 좌우로 연속하는 5개 이상의 시계(웰의 전표면적의 적어도 2%)에 걸쳐 웰을 관측하여 200개 이상의 세포를 계수했다. 하나의 약제화합물을 6개의 상이한 농도로 사용했으며 각 농도마다 3번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를 평균 ±S.D.로서 표시하여 표 9에 나타냈다.
생쥐 신경아종 세포 MS-20Y를 동일한 방식으로 폴리오르니틴으로 도포된 디쉬(disy)내에서 배양하여 그 화합물의 효과를 시험했다. 배양시작 24시간과 48시간후 얻은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9]
Figure kpo00234
Figure kpo00235
Figure kpo00236
Figure kpo00237
Figure kpo00238
Figure kpo00239
Figure kpo00240
[표 10]
Figure kpo00241
Figure kpo00242
Figure kpo00243
Figure kpo00244
Figure kpo00245
[실험예 2]
좌골신경이 손상된 쥐에 대한 치료효과
(1)좌골신경이 손상된 뒷발의 행동 변화와 (2)말초신경의 퇴화 및 재생과정의 지표로서 근육 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효과를 손상된 좌골신경을 갖는 쥐를 말초신경 질환의 모델로해서 시험했다.
실험에서, 숫놈위스터쥐(6주생)를 구룹당 7마리를 사용했다. 야마쯔등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Jourmal of Japanese Pharmacological Society, 72 259-268(1676)에 기요미 야마쯔, 다께노리 가네꼬, 아끼휴미 기다하라 및 이사오 오까와에 의해 소개된 방법 참조)과, 하세가와 등의 방법(Journal of Japanese Pharmacological Society, 74 721-734(1978)에 가즈오 하세가와, 나오지 미꾸니 및 유다까 사까이에 의해 소개된 방법 참조)에 의해 좌골신경을 손상시켰다.
구체적으로, 펜토바비탈(Pentobarbital)(40mg/kg, i.p)지각마취하에, 좌측좌골 신경을 대퇴골에서 노출시키고, 노출된 좌골신경의 특정부위를 헤모스타트(hemostat)로 30초간 압좌했다. 압좌후 그 수술부위(opetation site)를 즉시 봉합했다. 이후, 말초신경 재생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빈크리스틴(vincristine)을 100㎍/kg의 용량으로 주 1회 투여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시험용 약품으로서 선택하여, 상기 압좌후부터 30일째까지 1일 1회 복강내 주사했다. 0.9% 식염수만을 투여한 그룹을 대조용 그룹으로 사용했다.
(1)좌골신경이 손상된 뒷발쪽의 행동변화 연축 장력은, 전기자극에 의한 근육 수축 또는 운동신경의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순간적 장력이며, 후술되는 지간거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경 및 근육의 기능변화를 반영한다.
30일후, 클로랄 히드레이트(400mg/kg, i.p) 지각마취 상태에서, 커언등의 방법[J. Neurosci. Mehtods, 19 259(1987)]에 의해 쥐의 연축 장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쥐의 뒷발의 털을 깎고, 카디오크림(니혼덴꼬사제)으로 도포했다. 이후, 앨리케이터(alligator)가 구비된 전극을 상기 뒷발 피부에 부착했다. 음극을 트로치터(trochiter)의 후부에 부착하고, 양극을, 상기 음극의 1㎝ 뒷부분에 부착하였다. 쥐를 눕혀 고정시키고, 측정할 뒷발을 수직으로 세웠다. 상기 측정할 뒷발의 3번째 발가락관절에, 약 20㎝의 비단실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장력트랜스듀셔(tension transducer)에 연결했다. 상기 3번째 발가락 굴근의 등장수축을 폴리그래프(polygraph)에 기록하였다. 100V전압에서, 주파수 2Hz의 장방형파로 1msec동안 전극자극을 주었다. 정지장력(static tension)은 15∼30g였으며, 10번의 자극을 15초간격으로 3회 반복실시하였다.
수축력은 장력(g)로 표시하였다. 양발의 측정값으로부터 신경이 손상된 발의 재생율(%, 좌측/우측)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들을 표 11에 나타냈다.
상기 시험용 화합물들은 대조그룹에 대해, 명백히 연축장력의 재생율(즉, 전기생리학적 지표)을 향상시켰으며, 증상을 개선시켰다.
발가락간의 지간거리를 측정했다. 왜냐하면, 이는 신경의 퇴화와 재생을 함수적으로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되기 때문이며, 그 변화를 시간경과와 더불어 측정할 수 있다.
하세가와의 방법(Hasegawa, K., Experientia, 34, 750-751(1978))과 유사한 방법으로 뒷발의 제1 및 제 5발가락간의 거리를 측정했다.
측정거리와 정상 뒷발의 지간거리의 비를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냈다. 신경손상된 발가락들의 거리는, 좌골신경손상직후, 정상거리의 약 절반(50%)이었다. 12∼16일 후에 지간거리가 재생되기 시작했으며,
[표 11]
Figure kpo00246
주 :*1평균±S.D.,*2p<0.05,*3p<0.01
약물 투여된 그룹에서는, 17일째 날로부터 최종일(26일째)까지 대조그룹에 비해, 재생이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2)근육중량의 변화
신경제거 또는 신경질환에 의하여 그 지배하의 근육의 위축이 생기고 이것이 신경의 재지배에 의하여 서서히 회복되므로 정량성 근육의 중량변화를 지표로서 선택했다.
시술후 30일째되는 날에, 좌골신경에 의해 지배되는 두 뒷발의 족저근육을 지각마취하에서 추출한 다음 그의 중량을 측정했다.
손상측의 족저근육의 중량과 정상측의 중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냈다.
그 결과들을 표 12에 나타냈다.
[표 12]
Figure kpo00247
주 :*1평균±S.D.,*2p<0.05
상기 결과로부터, 시험용 화합물들은 대조용에 비해, 족저근육의 중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험용 화합물들은 말초신경질병에 대한 개선제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실험예 3]
생쥐뇌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운동장해의 태아 대뇌세포의 조직이식에 의한 개선에 대한 촉진효과 :
4주생 암컷위스타 생쥐(체중 100g)의 뇌의 좌측의 니그랄 도파미너직(Nigral dopam-inergic)신경세포에 극소량의 6-히드록시도파민을 주사하여 줌으로서 장해를 유발시켰다. 그 쥐들은 장해를 유발시킨 쪽의 반대방향으로 수일간 자발적으로 회전하는 증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후 뚜렷한 비정상적 행동은 관측되지 않았다.
장해가 유발된 니그랄도파미너직 신경세포들을 갖는 쥐들에 메탐페타민(methamphethami-ne)투여즉시 (5mg/kg. i. p), 그들은 장해 유발쪽으로 회전 운동하기 시작했다.
약물투여에 의한 손상후 2주후, 도파민 세포들을 포함하는 트룬커스 코포리스 칼로시(truncus corporiscallosi,부위들, (즉, 복부측의 서브스탠시아 니그라(substantia nigra)와 타그멘텀(tagmentum))을 14-17일생 태아 생쥐의 뇌로부터 절취해낸 다음, 미세하게 절단하여 트립신으로 처리했다.
그 다음, 추출된 조직들을 30분동안 37℃에서 배양한 다음 그 조직들을 피패팅(pipetting)하여 현탁액을 형성했다.
현탁액 5㎕를 장애유발쪽의 후미의 신경핵의 2부위에 각각 이식했다. (총 10㎕, 세포수 약 105).
본 발명의 화합물(168번)을 조직이식후부터 4일간 156mg/kg(i. p)의 용량으로 투여하고, 7일간 현탁액으로 유지시킨 후, 11일째날부터 10일간, 50mg/kg의 용량으로 투여했다.
이와 동일한 일정으로, 화합물(296번)을 153mg/kg의 용량, 이후 50mg/kg의 용량으로 투여했다.
메탐페타민의 투여에 의해 유발된 회전운동을 약물투여 및 조직이식 2주 및 1주전, 그리고 2주(또는 3주) 4, 6, 8주후에 조사했다.
최초 1분당 회전운동수는 메탐페타민 투여후 10분간격으로 계수하고, 6회 게수한 회전운동의 총수를 평균하여 평군회전운동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냈다.
[표 13]
Figure kpo00248
상기 결과로부터, 시험용 화합물들이 중추신경질병에 대한 개선제 및 치료제로서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수은중독에 의해 유발시킨 신경질환을 갖는 쥐들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및 회복효과 :
7주생 수컷 Balb C계 생쥐를 우선 1주에 3회 T-형 미로를 학습하도록 하여 그들의 출발지점으로부터 안전지역까지 곧바로 달리도록 하였다.
그 다음 메틸머큐리 클로라이드(MMC)를 6일동안 6mg/kg/일의 투여량으로 수컷 Balb C계 생쥐(7주생)에 경구 투여했다.
식염을 0.1ml/10g/일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생쥐그룹을 대조그룹으로서 사용했다.
MMC투여일 다음날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10일에 걸쳐 복강내 투여하였다.
약물투여후 6일째되는 날(즉, 실험시작후 12일째되는 날)에, T-형 미로학습을 다시 시작하고 생쥐의 달리는 행동을 관찰했다.
그후 10일과 11일째되는 날에(실험시작후 21일 및 22일째되는 날) T-형 미로에서 실험한 생쥐의 수를 계수하여 분모로서 표시했다.
10차 주행중 적어도 8회를 5초 이내에 안전 지역까지 주행한 생쥐의 수를 계수하여 분자로서 표시했다.
시험 동물들의 수의 감소는 MMC중독에 의한 사망으로 인한 것이다.
안전지역까지 주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초)을 측정하여 평균값 ±표준오차(SE)를 계산했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은 생쥐의 학습과 기억력을 개선하고 또한 그의 회복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급성독성을 하기방법으로 실험했다.
수컷 ddy계 5주생 생쥐 그룹당 4∼6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했다.
각각의 화합물을 복강내 투여하고, 투여후 24시간동안 화합물의 독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들을 표 14에 나타냈다.
[표 14]
Figure kpo00249
Figure kpo00250
Figure kpo00251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일반식(1)의 화합물들은, 신경세포의 증식 및 신경돌기의 형성 및 신장에 대한 촉진효과와 신경질환을 갖는 생쥐와 쥐의 운동기능 회복효과를 갖고 있으며 또한 말초신경 또는 중추신경 질환과 치매증과 같은 신경질환을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지각 및 감각 기능과 자율기능과 관련된 신경조직 및 세포들에 의해 원인이 되는 신경성 질환의 회복, 개선 및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실험예 1∼4와 표 9∼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로서 이삭소닌과 메코발라민에 비해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독성은 일반적으로 실험예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고활성 및 고안전 약품이며 또한 독성이 약하여 아주 유용하다.

Claims (3)

  1. 하기식(1)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kpo00252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3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4
    (식에서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α-(p-클로로페닐)벤질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5
    (식에서 R3는 수소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메틸렌기의 수소원자의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치환된 치환기로서, 저급알킬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벤조일옥시기, 벤조일아미노기, 저급알킬아미노기, 디-저급알킬아미노기, HO(C6H5)2C-기, 피페리디노기, 히드록시(저급알킬)기, C6H|5SO2O-기,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 저급알킬설포닐아미드기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기를 나타내고, n은 4, 5, 6 또는 7이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6
    (식에서,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5는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2-후로일기, 벤질기, 벤조일기로 임의 치환된 4-피페리딜기, 페네틸기,
    Figure kpo00257
    기, 할로겐 또는 니트로기의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8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59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0
    또는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1
    을 나타내고; Y는, 하기식을 갖는 기
    -CH2R9
    (식에서, R9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티오기, 또는 디-저급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2
    (식에서, R6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저급알콕시기 또는 2-(N, N'-디-메틸아미노) 에틸기를 나타내며, R7은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시클로헥실카보닐기, 2-후로일기, 저급알콕시카보닐기, 신나모일기, 벤질기, 벤질카보닐기, 토실기, 페녹시아세틸기, 디-저급알킬카바모일기, 2-테노일(thenoyl)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카보닐기,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3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4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5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6
    ,
    Figure kpo00267
    4-저급알킬피페라질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또는 페닐기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를 나타내며, R6이 수소인 경우 R7은 벤조일기이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8
    (식에서, R8은 메틸렌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치환기이며,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며, m은 4, 5, 6 또는 7이다),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69
    ,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70
    또는 하기식을 갖는 기
    Figure kpo00271
    을 나타내고; Z가 저급알콕시카보닐기일 경우에만 Y가 -CH2R9이고; R4가 수소이고, R5가 저급알킬기, 저급아실기, 2-후로일기, 벤질기, 페테틸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인 것은 Y가 CH2R9이고, Z가 저급알콕시 카보닐기인 경우만이고, X가
    Figure kpo00272
    이고, R4가 저급알킬기일때만 Y가
    Figure kpo00273
    또는
    Figure kpo00274
    일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염산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바이설페이트, 인산염, 산성인산염, 초산염, 말레이트,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및 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한 것인 피리미딘 및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신경질환 질병치료용 치료제.
KR1019890020122A 1988-12-29 1989-12-29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KR92000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027A KR920003128B1 (ko) 1988-12-29 1992-02-27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KR1019920003028A KR920003130B1 (ko) 1988-12-29 1992-02-27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67088 1988-12-29
JP333670 1988-12-29
JP4172889 1989-02-23
JP41729 1989-02-23
JP41728 1989-02-23
JP1041729A JPH02221275A (ja) 1989-02-23 1989-02-23 ピリミジン類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類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027A Division KR920003128B1 (ko) 1988-12-29 1992-02-27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KR1019920003028A Division KR920003130B1 (ko) 1988-12-29 1992-02-27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625A KR900009625A (ko) 1990-07-05
KR920003129B1 true KR920003129B1 (ko) 1992-04-20

Family

ID=2729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122A KR920003129B1 (ko) 1988-12-29 1989-12-29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47876A (ko)
EP (2) EP0612746A1 (ko)
KR (1) KR920003129B1 (ko)
CN (2) CN1037513C (ko)
AT (1) ATE136542T1 (ko)
AU (1) AU629595B2 (ko)
CA (1) CA2006944A1 (ko)
DE (1) DE68926232T2 (ko)
HU (1) HU206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0550B1 (de) * 1987-09-28 1993-05-26 Ciba-Geigy Ag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FI895821A0 (fi) * 1988-12-07 1989-12-05 Wellcome Found Farmaceutiskt aktiva cns foereningar.
GB8929022D0 (en) * 1989-12-22 1990-02-28 Ici Plc Diazine derivatives
CA2065443A1 (en) * 1990-07-03 1992-01-04 Akira Mizuchi Pyrimidine compound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CZ390992A3 (en) * 1991-04-17 1994-03-16 Pfizer Pyrimidine derivative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substances for increase of anti-tumor activity
DK0520882T3 (da) * 1991-06-27 1995-12-11 Synthelabo Derivater af 2-aminopyrimidin-4-carboxamid, deres fremstilling og deres terapeutiske anvendelse
US5491234A (en) * 1992-03-30 1996-02-13 Pfizer Inc. Pyrimidine derivatives for enhancing antitumor activity
CA2176501A1 (en) * 1994-01-07 1995-07-13 Peter L. Johnson N-(4-pyrimidinyl)amide pesticides
TW504510B (en) 1996-05-10 2002-10-01 Janssen Pharmaceutica Nv 2,4-diaminopyrimidine derivatives
US5958934A (en) * 1996-05-23 1999-09-28 Syntex (U.S.A.) Inc. Aryl pyrimid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US5952331A (en) * 1996-05-23 1999-09-14 Syntex (Usa) Inc. Aryl pyrimidine derivatives
TW440563B (en) * 1996-05-23 2001-06-16 Hoffmann La Roche Aryl pyrimidine derivatives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IN188411B (ko) * 1997-03-27 2002-09-21 Yuhan Corp
JP2002503662A (ja) 1998-02-17 2002-02-05 テュラリ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ウイルス性ピリミジン誘導体
WO1999057106A1 (en) * 1998-05-04 1999-11-11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Novel analgesic and immunomodulatory cannabinoids
US7897598B2 (en) * 1998-06-09 2011-03-01 Alexandros Makriyannis Inhibitors of the anandamide transporter
US7589220B2 (en) * 1998-06-09 2009-09-15 University Of Connecticut Inhibitors of the anandamide transporter
DE69933680T2 (de) 1998-08-29 2007-08-23 Astrazeneca Ab Pyrimidine verbindungen
ATE336484T1 (de) 1998-08-29 2006-09-15 Astrazeneca Ab Pyrimidine verbindungen
US7276613B1 (en) 1998-11-24 2007-10-02 University Of Connecticut Retro-anandamides, high affinity and stability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US7161016B1 (en) 1998-11-24 2007-01-09 University Of Connecticut Cannabimimetic lipid amides as useful medications
GB9828511D0 (en) 1998-12-24 1999-02-17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GB9905075D0 (en) 1999-03-06 1999-04-28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GB9907658D0 (en) 1999-04-06 1999-05-26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GB9919778D0 (en) 1999-08-21 1999-10-27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AU770600B2 (en) 1999-10-07 2004-02-26 Amgen, Inc. Triazine kinase inhibitors
US6900236B1 (en) 1999-10-18 2005-05-31 University Of Connecticut Cannabimimetic indole derivatives
CA2387764A1 (en) 1999-10-18 2001-04-26 University Of Connecticut Peripheral cannabinoid receptor (cb2) selective ligands
US7393842B2 (en) * 2001-08-31 2008-07-01 University Of Connecticut Pyrazole analogs acting on cannabinoid receptors
US7119108B1 (en) * 1999-10-18 2006-10-10 University Of Connecticut Pyrazole derivatives as cannabinoid receptor antagonists
US8084467B2 (en) * 1999-10-18 2011-12-27 University Of Connecticut Pyrazole derivatives as cannabinoid receptor antagonists
US6943266B1 (en) 1999-10-18 2005-09-13 University Of Connecticut Bicyclic cannabinoid agonists for the cannabinoid receptor
US7741365B2 (en) * 1999-10-18 2010-06-22 University Of Connecticut Peripheral cannabinoid receptor (CB2) selective ligands
US6410726B1 (en) 2000-01-12 2002-06-25 Tularik Inc. Arylsulfonic acid salts of pyrimidine-based antiviral
CA2400447C (en) 2000-02-17 2008-04-22 Amgen Inc. Kinase inhibitors
GB0004887D0 (en) 2000-03-01 2000-04-19 Astrazeneca Uk Ltd Chemical compounds
GB0004888D0 (en) 2000-03-01 2000-04-19 Astrazeneca Uk Ltd Chemical compounds
GB0004890D0 (en) 2000-03-01 2000-04-19 Astrazeneca Uk Ltd Chemical compounds
GB0004886D0 (en) 2000-03-01 2000-04-19 Astrazeneca Uk Ltd Chemical compounds
GB0007371D0 (en) 2000-03-28 2000-05-17 Astrazeneca Uk Ltd Chemical compounds
GB0016877D0 (en) 2000-07-11 2000-08-30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021726D0 (en) 2000-09-05 2000-10-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US6670362B2 (en) 2000-09-20 2003-12-30 Pfizer Inc. Pyridazine endothelin antagonists
JP2004532185A (ja) * 2001-01-26 2004-10-21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コネチカット 新規なカンナビミメティックリガンド
CA2436133A1 (en) 2001-01-29 2002-08-08 University Of Connecticut Receptor selective cannabimimetic aminoalkylindoles
GB0103926D0 (en) 2001-02-17 2001-04-04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113041D0 (en) 2001-05-30 2001-07-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US6825198B2 (en) * 2001-06-21 2004-11-30 Pfizer Inc 5-HT receptor ligands and uses thereof
US7057076B2 (en) * 2001-07-13 2006-06-06 University Of Connecticut Bicyclic and tricyclic cannabinoids
US7115617B2 (en) 2001-08-22 2006-10-03 Amgen Inc. Amino-substituted pyrimidiny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6939874B2 (en) 2001-08-22 2005-09-06 Amgen Inc. Substituted pyrimidiny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EP1438053B1 (de) 2001-10-17 2008-09-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KG Pyrimidinderivate, arzneimittel enthaltend diese verbindungen,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WO2003032994A2 (de) * 2001-10-17 2003-04-2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5-substituierte 4-amino-2-phenylamino-pyrimidin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beta-amyloid modulatoren
EP1448557A4 (en) * 2001-10-26 2005-02-02 Univ Connecticut HETEROINDANE: A NEW CLASS OF HIGH-ACTIVITY CANNABIMIMETIC LIGANDS
BR0214611A (pt) * 2001-11-30 2004-09-14 Hoffmann La Roche Antagonistas vii de receptor ccr-3
US6977265B2 (en) * 2001-11-30 2005-12-20 Roche Palo Alto Llc Piperidine CCR-3 receptor antagonists
SE0104140D0 (sv) * 2001-12-07 2001-12-07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US7687505B2 (en) 2002-01-14 2010-03-30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Use of modified pyrimidine compounds to promote stem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TWI329105B (en) 2002-02-01 2010-08-21 Rigel Pharmaceuticals Inc 2,4-pyrimidinediamine compounds and their uses
GB0205688D0 (en) 2002-03-09 2002-04-24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205693D0 (en) 2002-03-09 2002-04-24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205690D0 (en) 2002-03-09 2002-04-24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WO2003076434A1 (en) 2002-03-09 2003-09-18 Astrazeneca Ab 4- imidazolyl substuited pyrimidine derivatives with cdk inhibitiory activity
ATE398105T1 (de) * 2002-03-13 2008-07-15 Janssen Pharmaceutica Nv Carbonylamino- derivativate als neue inhibitoren von histone deacetylase
EA007272B1 (ru) * 2002-03-13 2006-08-25 Янссен Фармацевтика Н. В. Новые ингибиторы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BR0307606A (pt) * 2002-03-13 2004-12-21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piperazinila, piperidinila e morfolinila como inibidores de histona desacetilase
MXPA04007776A (es) 2002-03-13 2004-10-15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sulfonilamino como nuevos inhibidores de histona deacetilasa.
MXPA05001096A (es) 2002-07-29 2005-11-23 Rigel Pharmaceuticals Inc Metodos para tratamiento o prevencion de enfermedades autoinmunes con compuestos de 2,4-diamino-pirimidina.
CA2496097A1 (en) 2002-08-23 2004-03-04 University Of Connecticut Keto cannabinoids with therapeutic indications
WO2004052862A1 (ja) 2002-12-10 2004-06-24 Ono Pharmaceutical Co., Ltd. 含窒素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GB0311274D0 (en) 2003-05-16 2003-06-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311276D0 (en) 2003-05-16 2003-06-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DE102004027119A1 (de) 2003-06-06 2004-12-30 Schott Ag UV-Strahlung absorbierendes Glas mit geringer Absorption im sichtbaren Bereich,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US8178671B2 (en) * 2003-07-30 2012-05-15 Rigel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autoimmune diseases with 2, 4-pyrimidinediamine compounds
CA2540828A1 (en) * 2003-09-30 2005-04-14 Scios Inc. Heterocyclic amides and sulfonamides
TW200528101A (en) 2004-02-03 2005-09-01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N1946701A (zh) * 2004-04-22 2007-04-11 宝洁公司 作为细胞因子抑制剂的三取代尿素
PT1763517E (pt) * 2004-06-28 2011-07-01 Hoffmann La Roche Derivados de pirimidina como inibidores 11beta-hsd1
SG156687A1 (en) * 2004-07-28 2009-11-26 Janssen Pharmaceutica Nv Substituted indolyl alkyl amino derivatives as novel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WO2006068770A1 (en) * 2004-11-24 2006-06-29 Rigel Pharmaceuticals, Inc. Spiro-2, 4-pyrimidinediamine compounds and their uses
EP1853588B1 (en) 2005-02-16 2008-06-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A2604551A1 (en) * 2005-05-03 2007-03-08 Rigel Pharmaceuticals, Inc. Jak kinase inhibitors and their uses
MX2007014328A (es) * 2005-05-16 2008-02-12 Astrazeneca Ab Compuestos quimicos.
EP1885710B1 (en) 2005-05-18 2015-08-19 Janssen Pharmaceutica N.V. Substituted aminopropenyl piperidine or morpholine derivatives as novel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EP1934213A1 (en) 2005-09-30 2008-06-25 Astra Zeneca AB Imidazo [1,2-a] pyridine having anti-cell-proliferation activity
KR20080063846A (ko) * 2005-10-28 2008-07-07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암 치료에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사용하기 위한4-(3-아미노피라졸)피리미딘 유도체
CN101370803B (zh) * 2006-01-19 2012-12-12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组蛋白脱乙酰酶抑制剂的取代的吲哚基-烷基-氨基衍生物
JP5247470B2 (ja) 2006-01-19 2013-07-24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の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ピリジン及びピリミジン誘導体
JP5225104B2 (ja) * 2006-01-19 2013-07-03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新しい、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の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アミノフェニル誘導体
US8101616B2 (en) * 2006-01-19 2012-01-24 Janssen Pharmaceutica N.V.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AR059898A1 (es) 2006-03-15 2008-05-07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3-ciano-piridona 1,4-disustituida y su uso como moduladores alostericos de los receptores mglur2
CA2644356A1 (en) * 2006-03-16 2007-09-27 Novartis Ag Heterocyclic organ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 particular melanoma
AU2007267184A1 (en) * 2006-05-30 2007-12-06 F. Hoffmann-La Roche Ag Piperidinyl pyrimidine derivatives
TW200900065A (en) 2007-03-07 2009-01-01 Janssen Pharmaceutica Nv 3-cyano-4-(4-pyridinyloxy-phenyl)-pyridin-2-one derivatives
TW200845978A (en) 2007-03-07 2008-12-01 Janssen Pharmaceutica Nv 3-cyano-4-(4-tetrahydropyran-phenyl)-pyridin-2-one derivatives
US20080269266A1 (en) * 2007-03-27 2008-10-30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747
JP2010524911A (ja) * 2007-04-18 2010-07-22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5−アミノピラゾール−3−イル−3H−イミダゾ[4,5−b]ピリジン誘導体と癌の治療のためのその使用
WO2008135786A1 (en) * 2007-05-04 2008-11-13 Astrazeneca Ab Amino-thiazolyl-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A99459C2 (en) * 2007-05-04 2012-08-27 Астразенека Аб 9-(pyrazol-3-yl)- 9h-purine-2-amine and 3-(pyraz0l-3-yl)-3h-imidazo[4,5-b]pyridin-5-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MY152078A (en) 2007-09-14 2014-08-15 Ortho Mcneil Janssen Pharm 1',3'-disubstituted-4-phenyl-3,4,5,6-tetrahydro-2h,1'h-[1,4']bipyridinyl-2'-ones
WO2009150462A1 (en) * 2008-06-11 2009-12-17 Astrazeneca Ab Tricyclic 2,4-diamin0-l,3,5-triazi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myeloproliferative disorders
JP5658662B2 (ja) 2008-06-12 2015-01-28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Janssen Pharmaceutica Naamloze Vennootschap ヒスタミンh4受容体のジアミノピリジン、ピリミジン、及びピリダジンモジュレーター
US8691849B2 (en) 2008-09-02 2014-04-08 Janssen Pharmaceuticals, Inc. 3-azabicyclo[3.1.0]hexyl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RU2011116928A (ru) * 2008-09-30 2012-11-20 Астразенека Аб (Se)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ингибиторы jак киназы
RU2512283C2 (ru) 2008-11-28 2014-04-10 Янссе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Производные индола и бензоксазина в качестве модуляторов метаботропных глутаматных рецепторов
PT2430022E (pt) 2009-05-12 2013-12-26 Janssen Pharmaceuticals Inc Derivados de 1,2,3-triazolo[4,3-a]piridina e a sua utilização para o tratamento ou prevenção de doenças neurológicas e psiquiátricas
EA020671B1 (ru) 2009-05-12 2014-12-30 Янссе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ПРОИЗВОДНЫЕ 1,2,4-ТРИАЗОЛО[4,3-a]ПИРИД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ОЛОЖИТЕЛЬНЫХ АЛЛОСТЕРИЧЕСКИХ МОДУЛЯТОРОВ РЕЦЕПТОРОВ mGluR2
MY153913A (en) 2009-05-12 2015-04-15 Janssen Pharmaceuticals Inc 7-aryl-1,2,4-triazolo[4,3-a]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mglur2 receptors
AR081383A1 (es) * 2010-05-11 2012-08-29 Sanofi Aventis N-heteroaril bipirrolidin carboxamidas sustituida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as contienen y uso de las misma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ES2552455T3 (es) 2010-11-08 2015-11-30 Janssen Pharmaceuticals, Inc. Derivados de 1,2,4-triazolo[4,3-a]piridina y su uso como moduladores alostéricos positivos de receptores mGluR2
US9012448B2 (en) 2010-11-08 2015-04-21 Janssen Pharmaceuticals, Inc. 1,2,4-triazolo[4,3-a]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MGLUR2 receptors
US8993591B2 (en) 2010-11-08 2015-03-31 Janssen Pharmaceuticals, Inc. 1,2,4-triazolo[4,3-a] 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MGLUR2 receptors
EP2928891B1 (en) 2012-12-04 2019-02-20 Rigel Pharmaceuticals, Inc. Protein kinase 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04370888A (zh) * 2013-01-24 2015-02-25 韩冰 一类具有神经保护作用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370897A (zh) * 2013-01-24 2015-02-25 韩冰 一类蛋白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JO3368B1 (ar) 2013-06-04 2019-03-13 Janssen Pharmaceutica Nv مركبات 6، 7- ثاني هيدرو بيرازولو [5،1-a] بيرازين- 4 (5 يد)- اون واستخدامها بصفة منظمات تفارغية سلبية لمستقبلات ميجلور 2
JO3367B1 (ar) 2013-09-06 2019-03-13 Janssen Pharmaceutica Nv مركبات 2،1، 4- ثلاثي زولو [3،4-a] بيريدين واستخدامها بصفة منظمات تفارغية موجبة لمستقبلات ميجلور 2
ME03518B (me) 2014-01-21 2020-04-20 Janssen Pharmaceutica Nv Kombinacije koje obuhvataju pozitivne alosterične modulatore ili ortosterične agoniste metabotropnog glutamatergičnog receptora podtipa 2 i njihova primjena
WO2015110435A1 (en) 2014-01-21 2015-07-30 Janssen Pharmaceutica Nv Combinations comprising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r orthosteric agonists of metabotropic glutamatergic receptor subtype 2 and their u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9685A (en) * 1969-04-03 1972-01-12 Soc D Etudes Prod Chimique Amino-pyrimidine derivatives
US3984414A (en) * 1971-10-09 1976-10-05 Societe D'etudes De Produits Chimiques Dichloroacetate salt of 2-isopropylamino pyrimidine
JPS5122044A (ja) * 1974-08-19 1976-02-21 Nissin Electric Co Ltd Kyorikeidensochi
GB1525995A (en) * 1976-02-18 1978-09-27 Soc D Etudes Prod Chimique Aminopyrimidine salt
JPS54157575A (en) * 1978-05-31 1979-12-12 Expansia Sa Manufacture of 22chloropyrimidine
IL57352A0 (en) * 1978-06-16 1979-09-30 Expansia Sa Preparation of 2-isopropylamino-pyrimidine
IN153791B (ko) * 1979-03-10 1984-08-18 Soc D Etudes Prod Chimique
BE882594A (fr) * 1979-04-30 1980-07-31 Soc D Etudes Prod Chimique Preparation des derives hydroxyles de l'isopropylamino-pyrimidine
BE882836A (fr) * 1979-05-15 1980-08-18 Soc D Etudes Prod Chimique Nouveaux derives halogenes de l'isopropylamino pyrimidi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on therapeutique
ZA803340B (en) * 1979-07-04 1981-05-27 Soc D Etudes Prod Chimique Synthesis of 2-isopropylamino-pyrimidine
FI66355C (fi) * 1979-08-09 1984-10-10 Soc D Etudes Prod Chimique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2-isopropylaminopyrimidin
US4416885A (en) * 1979-11-02 1983-11-22 Huve Pierre M Use of isopropylaminopyrimidine in the chemotherapy of muscular dystrophy, myopathy and myotonia
BE885851A (fr) * 1979-11-02 1981-02-16 Soc D Etudes Prod Chimique Composition therapeu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dustrophie musculaire, de la myopathie et de la myotonie
FR2539414A1 (fr) * 1983-01-14 1984-07-20 Sanofi Sa Derives de la pyrimi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medicaments ayant une activite sur le systeme nerveux central qui en contiennent
JPS6165873A (ja) * 1984-09-07 1986-04-04 Mitsui Petrochem Ind Ltd 2−ピペラジノピリミジン誘導体
JPS6281375A (ja) * 1985-10-04 1987-04-14 Teikoku Chem Ind Corp Ltd 4−アミノ−2−ピペラジニルピリミジンの製造方法
DE3752141T2 (de) * 1986-02-24 1998-03-26 Mitsui Petrochemical Ind Mittel zur behandlung von neuropathie
DK368687A (da) * 1986-11-21 1988-05-22 Cheminova As Aminoalkylerede hydroxyforbindelser og deres anvendelse som fungic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513C (zh) 1998-02-25
HU896762D0 (en) 1990-03-28
EP0379806B1 (en) 1996-04-10
DE68926232D1 (de) 1996-05-15
KR900009625A (ko) 1990-07-05
HUT52769A (en) 1990-08-28
ATE136542T1 (de) 1996-04-15
AU4732989A (en) 1990-07-05
EP0379806A3 (en) 1991-05-29
EP0612746A1 (en) 1994-08-31
CA2006944A1 (en) 1990-06-29
DE68926232T2 (de) 1996-10-17
US5147876A (en) 1992-09-15
AU629595B2 (en) 1992-10-08
CN1090846A (zh) 1994-08-17
EP0379806A2 (en) 1990-08-01
CN1045390A (zh) 1990-09-19
HU206337B (en) 199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129B1 (ko)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DE69725153T2 (de) Kaliumkanal-blocker
AU722480B2 (en) Nitrosated and nitrosylated phosphodiesterase inhibitor compounds, compositions and their uses
KR20010020201A (ko) 탄소고리 및 헤테로고리 치환된 세미카르바존 및 티오세미카르바존과 그들의 사용 방법
EP2238119B1 (en) Quinazolines and related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AU5701699A (en) Nitrosated and nitrosylated alpha-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100121059A1 (en) 5-PHENOXYALKOXYPSORALENS AND METHODS FOR SELECTIVE INHIBITION OF THE VOLTAGE GATED Kv1.3 POTASSIUM CHANNEL
WO1998019672A9 (en) Nitrosated and nitrosylated phosphodiesterase inhibitor compounds, compositions and their uses
US5304555A (en) Pyrimidine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useful in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KR950007756B1 (ko) 피리미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KR910006449B1 (ko)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JP2744663B2 (ja) ピリミジン類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類
ES2260497T7 (es) Antagonistas de receptores de quimioquininas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s.
CA2479481A1 (en) Therapeutic ion channel blocking ag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920003130B1 (ko)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RU2036909C1 (ru) Ацилпроизводные гидроксипиримидинов
KR920003128B1 (ko) 피리미딘류 및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및 그 용도
JP2628707B2 (ja) ピリミジン類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類
DE3901720A1 (de) Substituierte benzo(b)pyr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sowie pharmazeutische praeparate auf basis dieser verbindungen
CA2350560C (en) Novel type condensed pyridazinone compounds
US20230095032A1 (en) N,N diethyl-N'phenylpiperazine alpha 7 and alpha 9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KR100280614B1 (ko) 피페리딘 유도체
US5264435A (en) Pyrimidines and their pharmaceutical acceptable salts, and their use as medicines
HU210001B (en) Process for producing 6-member 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1-3 nitrogen atom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JPH069544A (ja) 中枢神経系抗虚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