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54B1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54B1
KR910006554B1 KR1019880016515A KR880016515A KR910006554B1 KR 910006554 B1 KR910006554 B1 KR 910006554B1 KR 1019880016515 A KR1019880016515 A KR 1019880016515A KR 880016515 A KR880016515 A KR 880016515A KR 910006554 B1 KR910006554 B1 KR 91000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laten
opening
closing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637A (ko
Inventor
히로아끼 스도오
다까히꼬 만다
Original Assignee
도꾜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꾜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준 filed Critical 도꾜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장치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장치를 팩시밀리로서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제1도 및 제2도는 기록지 세트상태를 각기 상이한 방향에서 본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기록유니트가 정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각기 상이한 방향에서 본 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5도는 장치전체를 표시한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기록지를 장치에 장전한 상태를 각기 표시한 사시도.
제8도는 장치전체의 일부를 단면시킨 측면도.
제9도 내지 제20도는 기록장치의 별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9도 및 제10도는 기록지 셋트상태를 각기 상이한 방향에서 본 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기록유니트가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각기 상이한 방향에서 본 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장치를 부품을 일부 제외시키고 표시한 장치의 일부 측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장치를 부품을 일부 제외시키고 표시한 장치의 일부 측면도.
제15도 내지 제20도는 개폐커버의 동작에 따른 각 부재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하는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플라텐을 위치 결정 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지승시키기 위한 축받이의 예시도로서,
제21는 그 측면도.
제22도는 그의 사시도.
제23도는 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나 팩시밀리등에 사용되어, 플라텐과 인자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통하고, 이 기록지에 인자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짓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하여 로울상태의 기록지의 교환등을 위하여 개폐되는 키이보오드등의 개폐부재의 인자헤드 또는 플라텐을 착설하고, 상기 개폐부재를 닫고 프램프할 경우에 인자헤드와 플라텐과를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개폐부재에 개방의 의하여 인자헤드와 플라텐과를 이간시키기 때문에, 기록지의 세트를 인자헤드등에 방해받지 않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기록장치에서는, 상기 개폐부재를 닫아서 크램프한 때에 인자헤드와 플라텐과의 접촉압력 즉, 인자압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이 인자압력이 균일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로울상태의 기록지는 플라텐 및 인자헤드로 된 인자부의 근처에 배치되어서, 그 선단부를 플라텐과 인자헤드와의 사이에 통하여 셋트되지만, 종래에는 이와 같은 기록지의 셋트시에 있어서도, 기록지가 도입되는 인자부의 입구위치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기술한 바와 같이 플라텐과 인자헤드와를 단순하게 이반시키는 것만으로서는, 기록지의 인자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조차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출원에 관한 제1발명의 목적은 기록지의 인자부로의 삽입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또한, 제2발명의 목적은 기술한 목적에 첨가하여 기록지의 인자부로의 삽입을 포함한 기록지셋트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게 한 기록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중, 부호 1은 상면이 개구된 팩시밀리 본체케이스를 표시한 것이다. 이 본체케이스(1)의 개구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열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에 설치된 개폐커버(2)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폐커버(2)는 예를 들면 키이보드로서 사용될 수 있게 다수의 조작키이가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중 부호3은 개폐커버(2)를 일단으로 지지하고, 상호 좌우 방향에 이간된 한 쌍의 회동아암을 표시한다. 이 회동아암(3)의 타단은 본체케이스(1)의 측벽의 앞부분에 틀지축(4)에 의하여 틀지지되었다. 이 결과로 개폐커버(2)는 본체케이스(1)에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커버(2)는 이것의 이면에 돌설된 계지편(29)을 본체케이스(1)측에 설치된 도시없는 록 부재에 계합시키므로서 폐쇄위치에 고정된다. 이 고정상태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표시된 개방버튼(28)을 압압하므로서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에는 개폐커버(2)이 후측에 있어서, 사상(斜狀)의 기록지 트레이(5)의 후측에 사상의 한 쌍의 원고트레이(6a)(6b)가 구비되어 있다. 기록지 트레이(5)는 후술하는 기록장치의 출구에 경사하단을 연속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에 열리도록 회동가능하게, 후단이 본체케이스(1)에 구틀지지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내의 대략 중앙부에는 톨루상태 기록지(7)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부(8)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 이 수납부(8)에 수용된 기록지(7)는 상기 기록지 트레이(5)의 하부의 하측에 위치한다. 본체케이스(1)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제1의 수납부)(8)를 협삽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전부공간(제2의 수납부) A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공간(제3의 수납부) B와로 분리되어 있다. 전부공간A는 상기 개폐커버(2)에 의하여 상면의 개구가 폐쇄가능하게 되어 있고, 기록유니트(9)가 수용되어 있다. 이 기록유니트(9)는 수납부(8)에 수용된 톨루상태의 기록지(7)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그상면이 오도록, 즉 기록유니트(9)의 높이는 톨루상태의 기록지(7)의 최대 직경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후부공간B에는 원고판독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36)도 톨루상태 기록지(7)의 최대 직경보다도 짧은 높이로 형성되고, 또한, 기록지(7)의 최대 직경상태에서의 대략 상단의 높이위치보다도 하측에 배설되어 있다. 상기 원고판독장치(36)는, 일방의 원고트레이(6a)에서 공급되는 도시없는 원고를 제8도중 점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으로 반송하여, 그 도중에 있어서 원고의 정보를 판독하고 송신한 후에 타방의 원고트레이(6a)에 반출한다. 본 실시예의 기록장치의 전체의 외형은 이상과 같이 기록지(7)와, 기록유니트(9)와, 원고판독장치(36)와의 배치와, 개폐커버(2)의 전경형상과에 의하여 박형을 강조한 대략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다. 환원하면, 기록장치의 높이는 기록지(7)의 툴루의 최대 직경에 의하여 정해져 있다. 기록장치의 전체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의 인자부와, 톨루상태의 기록지(7)와의 사이의 거리L은 가능한 한 짧게 설정되어 있다.
기록유니트(9)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축(10)과, 좌우방향(저면방향)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1쌍의 즉 제1 및 제2도의 지지부재(11)(12)와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 헤드누름(15)과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와를 구비하고 있다.
지축(10)은 본체케이스(1)내에 설치되어 도시없는 좌우에 위치하는 1쌍의 즉 제1 및 제2의 지지프레임에 양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승되어 양 프레임간에 걸쳐서 착설된 회동축으로 되었고, 이 양단 근처에 상기 지지부재(11)(12)를, 함께 회동가능하게 지승하고 있다. 지지프레임은 본체케이스(1)내에 이것의 양측벽에 따라 위치되고, 본체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과 본체케이스(1)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케이스(1)의 양측벽에 직접 지축(10)이 장착되어도 된다. 지지부재(11)(12)는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것에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라텐(13)은 좌우의 지지부재(11)(12)에 걸치게 신장된 롤러로 되어, 양단에 위치한 소정의 플라텐측(13a)을, 지지부재(11)(12)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축받이홈에 감입하므로서, 지지부재(11)(12)에 회전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상기 인자헤드(14)는 양지지부재(11)(12)에 양다리걸치기 같이 신장된 라인서어말헤드 등으로 되었고, 이것의 인자면이 플라텐(13)의 주면에 대하여 접리가능하게 되도록 양단부가 지지부재(11)(1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자헤드(14)의 양단부에는 선단에 쌍갈레부가 있는 위치결정가이드(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가이드(17)의 쌍갈레부 상기 규정된 홈중에는 상기 플라텐축(13a)이 감입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상호 중심위치 마춤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헤드누름(15)은 인자헤드(14)의 이면을 덮어서, 상기 좌우 1쌍의 지지부재(11)(12)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축(10)에, 이것을 중심으로하여 이것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었다. 이 헤드누름(15)의 후면과 인자헤드(14)의 이면과의 사이에는, 인자헤드(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판스프링제의 누름스프링(15a)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헤드누름(15)의 상기 제1의 지지부재(11)축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는 핀등으로 된 제지부(18)가 대략 수평되게 돌설되어 있다.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는, J자형의 2배의 박판을 상호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설하므로서, 구성되어 있고, 박판사이에 J자형의 반송로가 규정되어 있다. 이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양단은 지지부재(11)(12)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결과로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는 지지부재(11)(12)의 회동과 함께 회동된다. 이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는 이들의 곡을부의 선단인 출구단이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접촉점에 근접하고, 대략 반원형의 곡을부가 플라텐(13)의 외주의 대략반분을 포위하고, 곡을부에 인설된 직선부가 수납부(8)방향에 (후방에)신장되게 하여, 지지부재(11)(1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기록유니트(9)는 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가 지지프레임(본체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록유니트(9)의 제2의 지지부재(12)에는 시프트스프링(19)이 착설되어 있다. 이 시프트스프링(19)은 일단측이 지지부재(12)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상기 인자헤드(14)의 위치결정가이드(17)이 쌍갈래부와 당접하고 있다. 이 결과 이것의 밀어부치는 힘으로 기록유니트(9)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정위치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경우에는 항상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에서 분리하는 방향에 밀어부치고 있다. 이 시프트스프링(19)은 이것의 밀어부치는 힘이 상기 누름스프링(15a)의 밀어부치는 힘보다도 약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기록유니트(9)는 유니트 가세스프링(20)에 의하여 항상 상방에 즉 제3도중 시계방향에 회동가세되어 있다. 이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은 중간부가 제2의 지지부재(12)측에 위치하는 제2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돌설된 착설부(21)에 권착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에 착설된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은 상단부가 지지부재(12)에 돌설된 스프링 받이돌기(12a)에 계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2)측에 위치하는 제2의 지지프레임에 돌설된 스프링 받이돌기(22)에 계합되어 있음에 의하여 상기 기록유니트(9)의 가세를 달성한다.
상기 제2의 지지부재(12)에는 봉형상의 스톱퍼(30)가 헤드누름(15)방향에 연출하도록 하며,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톱퍼(30)는 헤드누름(15)의 이상압하를 규제하는 것으로서, 그 선단은 기록유니트(9)가 정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헤드누름(15)의 천판부이면과 약간 간격l(제3도 참조)가 있게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지지부재(11)축에 위치하는 도시없는 제1의 지지프레임에는 지축(23)에 의하여 하부가 프레임에 구지된 클램프부재(2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부재(24)는 이것의 하단과 지지프레임과에 양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25)에 의하여 제2도중, 반시계 방향에 회동 가세되어 있다. 이 클램프부재(24)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은, 지지프레임에 돌설된 스톱퍼돌기(26)에 의하여 소정위치에서 즉, 클램프부재(24)가 대략 수직으로 된 위치에서 저지된다.
상기 클램프부재(24)는 이 상부에 형성된 단부인 계지부가 상기 계지부(18)에 계탈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자가 계합한 때에는 기록유니트(9)는 기록위치에 유지된다. 이 클램프부재(24)의 상부에는 핀으로된 클램프해제부(27)가 대략 수평으로 돌설되어 있다.
제8도중 부호 37은 기록지 트레이(5)의 하단 또는 기록유니트(9)에 장착된 컷터를 표시하고, 이 컷터는 가동날(37a)과 고정날(37b)이 있고, 여기를 통과하는 기록지(7)를 소정이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구성의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유니트(9)는 기록지(7) 도입 가이드(16)의 입구를 대략 후방으로 하고, 즉, 톨루상태의 기록지에 대면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어 그 상태는 계지부(18)과 클램프부재(24)와의 계합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동시에 기록유니트(9)는 폐쇄위치에 도래된 개폐커버(2)로 덮혀져 있다. 이러한 정위치로의 유지상태에서는 헤드누름(15)의 누름스프링(15a)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자헤드(14)가 플라텐(13)에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가이드(17)의 선단부가 시프트스프링(19)을 압압하여, 이것을 휘게함과 동시에 지지부재(12)의 스프링 받이돌기(12a)가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을 압압하고, 이것을 휘어지게 하고 있다.
이 정위치로의 유지상태에서는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를 안내로 하여 기히 공급된 기록지(7)의 선단부가 상기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인자헤드(14)로의 입력에 의하여 기록지(7)에 대한 기록이 되는 동시에 도시없는 종이 이송 구동계에 의하여 플라텐(13)이 회전됨에 따라서, 기록지(7)가 전방으로 이송되어서, 그 기록지 부분이 기록지 트레이(5)의 상면에 배출된다.
기록지(7)를 세트하는 순서를 다음에서 설명한다.
본체케이스(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버튼(28)을 압압하고, 개폐커버(2)의 고정을 해제하고서, 이 개폐커버(2)를 지축(4)을 중심으로 하여, 제5도중 화살표 표시와 같이 자신의 앞측에, 손으로 회동시켜서 연다. 또, 기록지 트레이(5)의 바로앞측을 들어올려서, 이 기록지 트레이(5)를 후측에 전도되도록 손으로 회동시키므로서, 기록지(7)의 수납부(8)을 개방한다.
다음의 클램프부재(24)의 클램프해제부(27)를 손가락으로 후측으로 인장하도록하여 조작하고 이 클램프부재(24)를 지축(23)을 중심으로하여 제4도중 시계방향에 회동시켜서 이것과 계지부(18)와의 계합을 해재한다. 이 결과 헤드누름(15)이 자유롭게 되므로,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의 가세력에 의하여, 기록유니트(9)전체는 그 지축(10)을 중심으로 제4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측이 경사 상향하도록, 즉, 본체케이스의 상면개구에 대면하도록 회동한다.
이와 같은 기록유니트(9)전체의 상향회동(기록지 장전 위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는 수납부(8)에 향하는 일이 없게 되어서, 기록지(7)의 인자부로의 삽입조작에 대하여 기록지(7)의 톨루부가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기록지(7)를 삽입하기 쉽게 상향이 된다. 그리하여, 상기 기록유니트(9)전체의 회동과 동시에 시프트스프링(19)의 가세력에 의하여 위치결정가이드(17)를 통하여 인자헤드(14)가 압상되어서, 플라텐(13)과의 사이에 자그마한 간격 g(제1도 및 제2도)를 형성한다.
그 다음,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8)에 그 상방에서 톨루상태 기록지(7)를 수납하고, 이 기록지(7)의 선단부를 인출하여 제1도 및 제2도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8)의 상방에 있어서, U자형으로 반전시켜서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에 연하여서 삽입하고,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의 간극 g에 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에 간극g를 형성시킬 뿐만이 아니고, 기록유니트(9)전체를 기록지의 교환에 적합한 자세가 되도록 상향회동시키므로서, 이상의 기록지(7)의 인자부에로의 삽입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기록지 장전작업이 끝난 다음, 기록유니트(9)는 이것의 헤드누름(15)을 압하조작하므로서, 제3도 및 제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위치에 유지된다. 즉, 헤드누름(15)을 손가락으로 압하하여 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회동시키므로서, 우선 시프트스프링(19)의 가세력에 항겨하여, 인자헤드(14)가 플라텐(13)에 접촉되어서, 이들 사이에 통해진 기록지(7)를 협지한 후에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기록유니트(9)전체가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제2도중 시계방향에 즉, 하향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하여, 기록유니트(9)가 정위치에 도달하면 동시에 헤드누름(15)의 제지부(18)가 클램프부재(24)에 계합하여 기록유니트(9)는 정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은 제9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타의 실시예에 관한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구성, 동일기능을 발휘하는 부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 한다.
개폐커버(2)의 이면에는 캠(31)이 돌설되어 있다. 이 캠(31)은 개폐커버(2)의 개폐에 수반하여 클램프부재(24)의 클램프해제부(27)에 계탈하는 캠면(31a)을 그 선단주면에 가지고, 이들의 계합 즉, 접점에 의하여 클램프부재(24)를 제10도중 화살표방향에 개폐커버(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시켜 계지부(18)와의 제합을 해탈한다. 상기 기록유니트(9)의 헤드누름(15)의 자유단축, 즉 지축(10)에서 이간된 축의 측면에는 응동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응동부(32)는 헤드누름(15)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지지부재(11)에는 연동부재(33)가 구축(34)에 의하여 회동 자재하게 착설 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33)는 U자형의 레버로 되었고 일방의 아암부가 상기 지지부재(11)에 구축(34)에 의하여 구지되며, 타방의 아암부가 상기 응동부(32)에 계탈되는 경사면을 단면에 가지는 연동부(35)를 구성하고 있다. 이 연동부재(33)는 개폐커버(2)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된다. 즉, 연동부재(33)는 이것과 작동프레임과의 양단이 접속된 인장스프링(33a)에 의하여 제10도중 반시계방향에 가세되고 있고, 개폐커버(2)가 개방되는 것에 추종하여 스프링(33a)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에 회동되고, 또 개폐커버(2)가 폐지되는 것에 따라서, 이 개폐커버(2)에 압압되어서 시계방향에 회동된다. 이 연동부재(33)의 상방으로의 이동 즉, 반시계방항으로의 회동은 지지프레임에 돌설된 스톱핀(33b)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제10도에 표시위치)에서 정지된다.
상기 캠(31)과 연동부재(33)와를 설치함에 따라 이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유니트(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개폐커버(2)를 폐지하므로서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유니트(9)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개폐커버(2)를 개방하므로서 자동적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결과로, 개폐커버(2)의 개폐조작과는 별도로 헤드누름(15) 및 클램프부재(24)를 손가락으로 조작할 필요가 상기 실시예와는 상이하여 기록지(7)의 교환에 요하는 수고를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이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상은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유니트(9)는 그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를 대략 후향으로하여 설치되어서, 그 상태는 계지부(18)와 클램프부재(24)와의 계합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동시에 기록유니트(9)는 개폐커버(2)로 덮여져 있다. 이 정위치로의 유지상태에서는 헤드누름(15)의 누름스프링(15a)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자헤드(14)가 플라텐(13)에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가이드(17)의 선단부가 시프트스프링(19)을 압압하여 이것을 휘어지게 함과 함께 지지부재(12)의 스프링 받이돌기(12a)가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을 압압하고, 이것을 휘어지게 하고 있다. 더우기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커버(2)에 돌설된 캠(31)의 캠면(31a)은 클램프부재(24)의 클램프 해제부(27)에서 해탈하여 그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과 함께 연동부재(33)의 연동부(35)는 헤드누름(15)의 응동부(32)에서 벗어나서 그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상의 상태에서는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를 안내로하여 기히 공급된 기록지(7)의 선단이 상기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인자헤드(14)로의 압력에 의하여 기록지(7)에 대한 기록이 됨과 동시에 도시없는 종이이송 구동제에 의하여 플라텐(13)이 회전되고, 기록지(7)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이 기록이 끝난 부분이 기록지 트레이(5)의 상면에 배출된다.
다음에 기록지(7)를 셋트하는데는 개폐커버(2)를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표시한 순서에 의하여 지축(4)을 중심으로 하여 앞측으로 회동시켜서 본체케이스(1)의 삼면을 개방함과 함께, 기록지 트레이(5)의 앞측을 들어 올려서 이 기록지 트레이(5)를 후측에 넘어지도록 회동하므로서, 기록지(7)의 수납부(8)의 상면을 개방한다. 상기 개폐커버(2)의 개방이동에 수반하여 연동부재(33)가 스프링(33a)의 가세력에 의하여 추종하여 개폐유니트(9)는 여전하게 클램프부재(24)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동부재(33)의 연동부(35)는 응동부(32)에 계합하는 일은 없고, 이 응동부(32)의 상측에 변위된다. 또 동시에 개폐커버(2)에 돌설된 캠(31)의 캠면(31a)이 클램프부재(24)의 클램프 해제부(27)에 계합한다. 이 상태는 제16도에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2)의 개방회동이 다시 진첩되면, 연동부재(33)의 기립동작이 스톱퍼(30)에 의하여 규제됨과 함꼐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31)의 캠면(31a)이 클램프 해제부(27)와의 계합을 개재하여 클램프부재(24)를 시계방향에 회동시킨다. 따라서 클램프부재(24)와 계지부(18)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헤드누름(15)이 자유롭게되어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의 가세력에 의하여 기록유니트(9)전체가, 그 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에 회동되어서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측이 경사지게 상향하게 회동함과 함께 클램프부재(24)를 통과하여 그 상측에 이동되어 개폐커버(2)가 전개된다.
이상의 기록유니트(9)의 상향회동에 수반하여 헤드누름(1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만, 이것을 계지부(18)가 대기상태로 기히위치되어 있는 연동부재(33)의 연동부(35)에 당접하므로서(제18도)위치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기록유니트(9)전체의 상향회동에 의하여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는 수납부(8)에 향하는 일이 없어져서 기록지(7)의 인자부로의 삽입조작에 대하여 기록지(7)가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기록지(7)를 삽입하기 쉽게 상향이 된다. 상기 기록유니트(9)전체의 상향회동과 동시에 시프트스프링(19)의 가세력에 의하여 위치결정 가이드(17)를 통하여 인자헤드(14)가 압상되어 플라텐(13)과의 사이에 작은 간극 g(제9도 및 제10도)를 형성한다.
이후에 수납부(8)에 그상방에서 톨루형태 기록지(7)를 수납하고서, 이 기록지(7)의 선단부를 인출하여 제9도 및 제10도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수납부(8)의 상방에 있어서, U자상에 반전시켜서 기록지도입 가이드(16)에 인하여 삽입하고,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의 간극 g에 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사이에 간극g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기록유니트(9)전체를 기록지 교환에 적합하는 자세가 되도록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상의 기록지(7)의 인자부로의 삽입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기록지(7)의 삽입작업후에 있어서 개폐커버(2)를 폐지하면, 이것에 따라서 기록유니트(9)는 압하되어서,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위치에 유지된다. 즉 개폐커버(2)를 폐지하면, 이 이면에 돌설된 캠(31)의 캠면(31a)이 클램프부재(24)의 클램프 해제부(27)에 계합하여 그 하방을 접점하면서, 통과한다. 이 경우 캠면(31a)과의 계합에 의하여 클램프부재(24)는 반시계방향에 회동되어서 캠면(31a)의 통과를 허여한다. 캠면(31a)이 클램프 해제부(27)의 하방을 통과하기 직전에,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커버(2)로 밀어서 시계방향에 회동하고 있는 연동부재(33)의 연동부(35)가 헤드누름(15)의 응동부(32)에 계합한다. 이 때문에 개폐커버(2)가 폐지함에 따라서 연동부재(33)를 개재하여 헤드누름(15)이 지축(10)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우선 시프트스프링(19)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인자헤드(14)가 플라텐(13)에 접촉되어서 이들의 사이에 통해진 기록지(7)를 협지한 후에 이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기록유니트(9)전체가 유니트 가세스프링(20)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지축(10)을 중심으로하여 제12도중 시계방향, 즉, 하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하여 기록유니트(9)가 정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헤드누름(15)의 제지부(18)가 클램프부재(24)에 계합하여, 기록유니트(9)는 정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연동부(35)는 응동부(32)를 이월하여 그 하방에 위치됨과 함꼐 개폐커버(2)도 폐지상태에 고정된다. 이 결과,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개폐커버(2)를 폐지한 상태에서는 연동부(35)가 응동부(32)에서 벗어남으로 개폐커버(2)를 고정하는 힘이 기록유니트(9)의 헤드누름(15)에 작용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인자헤드(14)의 플라텐(13)에 대한 인자압은 개폐커버(2)를 착설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되지만, 이상과 같이 개폐커버(2)를 폐지한 상태에서 이 개폐커버의 고정력이 헤드누름(15)을 누르지 아니하는 구성에 의하면 개폐커버(2)를 폐지하므로서 인자압이 변화하는 일이 없으므로 인자압의 관리가 편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라텐(13)의 플라텐축(13a)을 인자헤드(14)의 위치결정 가이드(17)에 직접 감입시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켰지만, 플라텐축(13a)과 위치결정 가이드(17)와의 사이에 축받이를 개재시켜도 좋고, 이 예를 제21도 내지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받이(5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50)의 대략 중앙부에는 환상홈(5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홈(51a)에 지지부재(11)(12)의 각기에 형성된 홈부가 계합하므로서 축받이(50)는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 축받이(50)내에 형성된 관통공(51)에는 플라텐축(31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관통공(51)의 단부측에는 대경이 도피홈(도피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과로 이 도피홈(51a)의 부분에서는 플라텐축(13a)은 축받이(50)과 접촉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 축받이(50)은 관통공(51)은 플라텐축(13a)과 접촉하는 길이 E부분과, 천장F에서 길이E를 그은 길이 E를 그은 길이의 플라텐축(13a)과 접촉하지 아니하는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은 축받이(50)를 사용하므로서 부품수가 작어서 적은 구동토오크로 플라텐(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도피홈은 상기 실시예에서는관통공(51)의 일단측에 설치하였지만 타단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도중에 설치하여도 된다.

Claims (17)

  1. 톨루상태 기록지(7)가 장전되는 제1의 수납부(8)와, 이 수납부(8)에 인접한 제2의 수납부와, 이들 제1 및 제2의 수납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개구와를 구비한 본체(1)과, 본체(1)의 상기 제2의 수납부내에 설치된 기록유니트(9), 이 기록유니트(9)는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수단(11)(12)와, 이 지지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플라텐(13)과, 이 플라텐(13)과 집리가능하게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플라텐(13)과 협동하여 기록지에 프린트하는 인자헤드(14)와,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가깝게 위치하는 출구와 상기 제1의 수납부(8)측에 위치하는 입구와를 가지고, 제1의 수납부(8)에 장전된 기록지(7)를 입구에서 출구에 향하에 안내하고, 상기 플라텐(13)과의 사이에 인도하는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를 지지하고,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가 기록지(7)와 대면하는 기록위치와, 본체(1)의 상기 개구와 대면하는 기록지 삽입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할 것과 : 상기 지지수단이 기록지 삽입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에서 이간시키는 이동수단과 ;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의 최소한 일부를 폐쇄하여 상기 기록유니트(9)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기록유니트(9)를 노출하는 개성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개폐커버(2)를 구비한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기록위치와 기록지 삽입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본체(1)에 구지되어, 일단 및 타단을 가진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11)의 일단을 본체(1)에 구지하는 구지부재와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는 지지부재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기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기록지 삽입방향에 가세하는 가세부재(20)와, 이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지지부재를 기록위치에 록크하는 록크수단(24)(18)을 구비시킨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수단은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지승되어, 계합부가 있는 클램프부재(24)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지지부재가 기록위치에 있을 때에 클램프부재(24)의 계합부와 계합하여 지지부재를 기록위치에 록크하는 계합부재와, 클램프부재(24)를 계합부와 계합부재의 계합이 해재하는 방향에 가세하는 가세부재(25)와를 구비한 기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는 상호접속된 직선부와 곡을부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직선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출구는 곡을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이 곡선부는 플라텐(13)의 주변의 일부에 인하여 신장된 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을 플라텐(13)을 회전가능하게 지승하고, 인자헤드(14)에 고정된 위치결정 가이드(17)와, 이 위치결정 가이드(17)를 플라텐(13)에 대하여 일방향에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세하는 탄성수단과를 구비하는 기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텐(13)은 양단에 소경의 플라텐축(13a)을 보유하고, 상기 기록유니트(9)는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지승된 헤드누름(15)과, 이 헤드누름(15)과 상기 인자헤드(14)와의 사이에 상기 인자헤드(14)를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의 타방향에 탄성적으로 가세한다. 상기 탄성수단 보다도 가세력의 강한 타의 탄성수단과를 보유하고, 상기 위치결정 가이드(17)는 상기 일방향에 연신하여 내부에 각 플라텐축(13a)이 삽입된 안내구를 구비한 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플라텐축(13a)이 감삽되는 관통공(51)과, 상기 안내구가 접점되는 외주면과를 보유하는 통형이 축받이(50)를 구비하여서 된 기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50)의 관통공(51)은 플라텐축(13a)의 연출방향에 병설된 플라텐축(13a)에 접접하는 내주면부와 플라텐측(13a)에서 이간된 내주면부와 플라텐축(13a)에서 이간된 내부면부와를 구비한 기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2)의 개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기록지 삽입위치에로 회동시켜, 개폐커버(2)의 폐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지지수단을 기록위치방향에 회동시키는 기록유니트용 자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기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구동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을 기록지 삽입방향에 가세하는 가세부재(20)와, 이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지지수단을 기록위치에 록크하는 록크수단(24)(18)과, 상기 개폐커버(2)의 개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록크수단에 의한 지지수단의 록크를 해제하고, 상기 개폐커버(2)의 폐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록크수단에 의한 지지수단의 록크를 가능케 하는 록크구동수단과를 구비하여서 된 기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구동수단은 상기 록크수단을 록크해제시키는 방향에 가세하는 가세부재(25)와, 상기 개폐커버(2)에 설치되어, 개폐커버(2)가 개성방향에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세수단(20)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록크수단의 록크를 해제하고 개폐커버(2)의 폐성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가세수단에 의한 록크수단의 록크를 가능하게 하는 캠(31)과를 구비한 기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개폐커버(2)의 개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에서 이간되도록 이동시켜, 개폐커버(2)의 폐성위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방향에 이동시키는 인자헤드용 구동수단을 구비한 기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헤드용 구동수단은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에서 이간되는 방향에 탄성적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개폐커버(2)가 폐성위치방향에 이동된 때에 개폐커버(2)에 의하여 압압되어서 상기 인자헤드(14)를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플라텐(13)방향에 이동시키는 구동부자(35)와를 구비하는 기록장치.
  15. 톨루상태 기록지(7)가 장전되는 제1의 수납부(8)와, 이 수납부(8)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의 수납부와, 이 수납부(8)의 타측에 인접하는 제3의 수납부와, 이들 제1 및 제2의 수납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개구와를 구유하는 본체(1)와 ; 본체(1)의 상기 제2의 수납부내에 설치된 기록유니트(9), 이 기록유니트(9)는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수단(11)(12)과, 이 지지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플라텐(13)과 이 플라텐(13)과 접리가능하게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플라텐(13)과 협동하여 기록지에 프린트하는 인자헤드(14)와, 플라텐(13)과 인자헤드(14)와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출구와 상기 제1의 수납부(8)측에 위치하는 입구와를 구유하고, 제1의 수납부(8)에 장전된 기록지(7)를 입구에서 출구에 향하여 안내하고, 상기 플라텐(13)과의 사이에 인도하는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와를 구유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를 지지하고, 상기 기록지 도입 가이드(16)의 입구가 기록지(7)와 대면하는 기록위치와 본체(1)의 상기 개구와 대면하는 기록지 삽입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것과 ; 상기 지지수단이 기록지 삽입위치에 도달된 때에 상기 인자헤드(14)를 플라텐(13)에서 이간시키는 이동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 톨루상태 기록지(7)의 최대직경은 상기 기록유니트(7)의 최대직경은 상기 기록유니트(9)의 높이보다도 긴 기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납부에서 제2의 수납부를 향하여 하방에 경사져서 상기 본체(1)이 개구를 폐쇄 가능한 개폐커버(2)가 있는 기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수납부 내에 설치된 판독장치와, 이 판독장치에 원고를 공급하고, 이 판독장치로 판독된 원고를 외부에 배출하는 용지반송수단이 있는 기록장치.
KR1019880016515A 1987-12-18 1988-12-12 기록장치 KR910006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20191A JPH01160663A (ja) 1987-12-18 1987-12-18 記録装置
JP62-320191 198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637A KR890009637A (ko) 1989-08-03
KR910006554B1 true KR910006554B1 (ko) 1991-08-28

Family

ID=1811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515A KR910006554B1 (ko) 1987-12-18 1988-12-12 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9645A (ko)
EP (1) EP0324129B1 (ko)
JP (1) JPH01160663A (ko)
KR (1) KR910006554B1 (ko)
DE (1) DE38826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245A (en) * 1990-05-23 1994-09-06 Seikosha Co., Ltd. Serial printer
US5241341A (en) * 1990-09-18 1993-08-31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hermal printing device
EP0479294B1 (en) * 1990-10-05 1995-09-20 Sharp Kabushiki Kaisha Paper feed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replacing recording paper
US5206660A (en) * 1991-05-24 1993-04-27 Summit World Trade Corporation Airborne thermal printer
KR950011933B1 (ko) * 1991-10-16 199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프린터 홀더장치
US5452098A (en) * 1992-03-25 1995-09-19 Hitachi, Ltd. Facsimile apparatus
JPH07309052A (ja) * 1994-05-18 1995-11-28 Asahi Optical Co Ltd 感熱プリンタ
JP3711677B2 (ja) * 1997-01-14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H1148507A (ja) * 1997-07-30 1999-02-23 Seiko Instr Inc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094767A (ja) 1998-09-25 2000-04-0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3614314B2 (ja) * 1999-03-25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DE29922154U1 (de) * 1999-12-17 2000-02-17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kleidung einer Druckmaschine
ATE327105T1 (de) 2001-06-25 2006-06-15 Seiko Epson Corp Drucker
CN1264693C (zh) * 2002-07-04 2006-07-1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
US7914218B2 (en) * 2006-06-29 2011-03-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hermal printer and printing device
JP4588673B2 (ja) 2006-07-28 2010-1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
US8128298B2 (en) * 2007-12-05 2012-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nge with sliding pivot transfer
CN101722735B (zh) * 2008-10-10 2011-05-0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点阵式打印机
JP2011035666A (ja) * 2009-07-31 2011-02-17 Sharp Corp シート処理装置
JP6262429B2 (ja) * 2012-12-27 2018-0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WO2022223043A1 (zh) * 2021-04-22 2022-10-27 林锦毅 一种便携式打印机
WO2022223044A1 (zh) * 2021-04-22 2022-10-27 林锦毅 一种紧凑型智能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974A (en) * 1977-01-17 1978-10-10 Atlan-Tol Industries, Inc. Recording device
JPS58225770A (ja) * 1982-06-24 1983-12-27 Ricoh Co Ltd 記録紙搬送装置
JPS58225771A (ja) * 1982-06-24 1983-12-27 Ricoh Co Ltd 記録紙装填装置
JPS5972859A (ja) * 1982-10-20 1984-04-24 Sanyo Electric Co Ltd フアクシミリ装置
JPS59133085A (ja) * 1983-01-21 1984-07-31 Hitachi Ltd 感熱記録装置
JPS60125685A (ja) * 1983-12-13 1985-07-04 Canon Inc 熱転写式プリンタ
JPS60186179A (ja) * 1984-03-06 1985-09-21 Nec Corp 画像信号の予測符号化方式とその装置
DE3583378D1 (de) * 1984-10-02 1991-08-08 Fujitsu Ltd Drucker mit einer von der vorderseite einfuehrbare papiervorschubeinrichtung.
JPS61141571A (ja) * 1984-12-14 1986-06-28 Canon Inc 記録装置
DE8501985U1 (de) * 1985-01-25 1986-08-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Belegverarbeitungseinrichtung für aus einer querperforierten Endlospapierbahn abtrennbare Einzelbelege
JPS61205162A (ja) * 1985-03-08 1986-09-11 Brother Ind Ltd シリアルプリンタ
JPS61213184A (ja) * 1985-03-18 1986-09-22 Toshiba Corp 感熱記録装置
KR910000598B1 (ko) * 1985-05-15 1991-01-2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팩시밀리장치
JPS62109554U (ko) * 1985-12-25 1987-07-13
JPS62174167A (ja) * 1986-01-29 1987-07-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2176860A (ja) * 1986-01-30 1987-08-03 Canon Inc 記録ヘツド及び該記録ヘツドを用いた記録方法
JPH07108591B2 (ja) * 1986-06-20 1995-11-22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JPS63134452A (ja) * 1986-11-20 1988-06-07 Canon Inc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4129A3 (en) 1990-04-18
EP0324129A2 (en) 1989-07-19
US4909645A (en) 1990-03-20
EP0324129B1 (en) 1993-07-28
KR890009637A (ko) 1989-08-03
DE3882690T2 (de) 1994-02-24
DE3882690D1 (de) 1993-09-02
JPH01160663A (ja) 198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554B1 (ko) 기록장치
US7883283B2 (en) Printer equipped with cutter mechanism
KR100577071B1 (ko) 프린터
US5114251A (en) Self-aligning thermal print head and paper loading mechanism
US7284725B2 (en) Recording paper storage device
JPH04351159A (ja) 記録装置
JP3659327B2 (ja) プリンタ
EP0068406B1 (en) Printing and cutter unit for a cash register or the like
KR0176713B1 (ko) 전사/기록용지 카트리지와 기록장치
JP2532703B2 (ja) 画像読取装置
JP2576471B2 (ja) プリンタの紙押さえ装置
JPH01160660A (ja) 記録装置
JP3089506B2 (ja) プリンタ
JP3205995B2 (ja) 記録装置
JPS62174167A (ja) 画像形成装置
JP2575186B2 (ja) 熱転写印字装置
JP4561673B2 (ja) 印刷装置
JPH0632682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172259A (ja) ファクシミリのロール紙保持装置
JP2555587B2 (ja) 原稿読取り装置
JPS61134285A (ja) 画像記録装置
JPH024027Y2 (ko)
GB2214161A (en) Portable labelling machine
JPH03218883A (ja)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記録装置
JPH05229149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