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98B1 - 팩시밀리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98B1
KR910000598B1 KR1019860003659A KR860003659A KR910000598B1 KR 910000598 B1 KR910000598 B1 KR 910000598B1 KR 1019860003659 A KR1019860003659 A KR 1019860003659A KR 860003659 A KR860003659 A KR 860003659A KR 910000598 B1 KR910000598 B1 KR 91000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paper
paper
transmiss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71A (ko
Inventor
타쿠지 나카무라
토시노리 오오츠키
타케시 나가사와
요시히로 이케모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cylindrical picture-bearing surfaces, i.e. scanning a main-scanning li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lying in a curved cylindrical surface
    • H04N1/08Mechanisms for mounting or holding the sheet around the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팩시밀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으로 자른 단면도.
제4도는 로울형상지의 급송경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결해서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실시예 장치의 구동부를 표시한 요부사시도.
제6도는 로울형상지의 세트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7도는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의 음성신호와 그림신호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팩시밀리장치 본체 2,2a,2b : 송수화기
3 : 송수화기 재치대 4 : 송신용 스위치
5 : 기록지 이송 및 되감기용 스위치 10,10a,10b : 로울형상 감열기록지
11 : 기록지 받침부 12,13,14 : 안내판
15,15a : 이미지센서 16,16b : 감열기록헤드
17 : 플라텐로울러 18 : 이미지센서블록
19 : 축 20 : 지지축
21 : 아암 22 : 스프링
23 : 개폐레버 24 : 래치핀
25 : 계합부 26 : 조인트레버
27 : 래치 30 : 급지로울러
31,31a,31b : 스테핑전동기 32 : 원고대
33 : 단부 34 : 플라텐
35 : 회로기판 36 : 원고대 래치판
37 : 원고대 지점축 38 : 원고대의 단부(端部)
40 : 기어헤드 41 : 입력축
42,43 : 출력축 44,45 : 측판
50a,50b : 송수신부 51a,51b : 마이크로프로세서(CPU)
52a,52b : 변복조장치 53a,53b : NCU
54a,54b : 토운발생·검출부 55a : 조작패널
본 발명은, 연속지로 된 기록지의 제1의 면을 팩시밀리 수신기록용으로서 사용하고, 제1의 면을 팩시밀리 송신원고용으로서 사용하는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장치는, 수신기록전용지와 송신원고를 따로따로 준비하고, 또 수신기록지 급송(急送)경로와 송신원고 급송경로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사무용 팩시밀리장치의 대부분이 대형화되서, 전기기기와 같이 책상 위에서 이용할 수가 없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소 50-10780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같이, 기록지의 주행경로의 일부에 평탄부를 형성하여, 이 평탄부상에서 기록지에 송신용의 원고를 손으로 쓰므로서 송신용 원고를 기록지로 겸용시켜, 송행경로를 하나로 해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려고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것으로는 기록지의 기록면을 원고면으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용의 원고를 기재한 부분은 이미 기록지로서 사용할 수 없어, 기록지의 사용량이 상기 기록전용지를 사용하는 장치에 비해, 대폭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책상 위에서 사용가능한 소형의 팩시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원고와 수신용기록지를 겸용시키므로서, 급지경로를 단순화한 팩시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지의 제1의 면(기록면)을 기록용으로서 사용하고, 기록지의 제2의 면(비기록면)을 송신원고용으로서 사용하므로서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는, 이하의 각 요소에 의해 구성된다.
a 연속지 형상의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 b 상기 기록지의 주행경로의 도중에 배설되어, 상기 기록지의 비기록면을 위로해서 상기 기록지를 재치하는 상면이 평탄한 원고대, c 상기 기록지의 주행경로의 도중에 배설되어, 상기 기록지의 비기록면에 기재된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부, d 상기 기록지의 주행경로의 도중에 배설되어, 상기 기록지의 기록면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부, e 상기 기록지를 주행경로에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 f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신호의 송신 및 상기 기록부에 인가되는 신호의 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부를, 1개의 모우터 및, 이 모우터의 회전을 상기 송행경로의 시단(始端) 근처와 종단(終端) 근처에 배설된 2개의 로울러에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로 구성한 것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판독부를, 발광체, 광학계 및 판독소자로 구성한 것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송신용 원고와 수신용 기록지를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지경로가 하나로 되어, 구성의 간소화와 장치의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기록지의 비기록면을 송신원고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완료의 용지를 되감아서 이면을 송신원고용으로서 다시 한 번 사용하는 것과, 원고송신완료의 용지를 되감아서 다시 한 번 기록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기록지의 유효활용과 코스트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장치 본체이며, 그 상부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2)의 재치대(3)가 착설되어 있다. (4)는 팩시밀리 송신용의 스위치, (5)는 기록지의 이송 및 되감기용의 스위치이다.
제2도에 있어서 (10)은 원고용지와 기록지를 겸한 로울형상의 감열기록지이며, 기록지 받침부(11) 상에 놓여 있다. (12),(13),(14)는 기록지(10)를 안내하는 안내판, (15)는 형광등, 광학렌즈 및 판독소자가 내장된 이미지센서이며, 감열기록헤드(16)에 대향해서 착설된 플라텐로울러(17)와 함께 이미지센서블록(1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미지센서블록(18)은 축(19)을 중심으로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열기록헤드(16)는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아암(21)에 부착되어 있으며, 아암(21)의 타단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2)이 걸려 있어, 항상 화살표시 C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감열기록헤드(16)는 일정한 압력으로 플라텐로울러(17)를 압압하고 있다. 아암(21)의 타단에는 이미지센서블록(18)의 개폐레버(23)가 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개폐레버(23)에는 또, 이미지센서블록(18)에 착설된 래치핀(24)과 계합하는 계합부(25)를 가지며, 아암(21)와 조인트레버(26)에 의해서 연결된 래치(27)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도의 (30)은 급지로울러이며, 스테핑전동기(31)에 의해 회전하여 감열기록지(10)를 급송한다.
제4도는 감열기록지(10)의 급송경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결해서 표시한 사시도이다. 기록지 받침부(11)에 놓여진 로울형상의 감열기록지(10)는 급송경로내를 화살표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송된다.
먼저 안내판(12),(13)의 사이, 원고대(32)이 밑을 통과해서 앞쪽으로 송출되며, 다음에, 단부(33)에서 반환된 후, 원고대(32)위를 통과해서 재차 장치내부에 들어가서, 이미지센서(15)와 회동가능한 플라텐(34) 및 안내판(14)과의 사이, 나아가서는 감열기록헤드(16)와 플라텐로울러(17)의 사이를 통과한 후, 장치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원고대(32)의 아래쪽의 본체(1) 내부에는 송수신부를 구성하는 집적회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35)이 내장되어 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 장치의 구동부를 표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스테핑전동기(31)에 의해 모든 구동이 행해진다. 스테핑전동기(31)의 출력축은 복수의 기어에 의해 감속기를 구성하는 기어헤드(40)의 입력축(41)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핑전동기(31)의 회전은 기어헤드(40)에서 감속된 후, 기어헤드(40)의 출력축(42),(43)의 각각과 연결된 플라텐로울러(17) 및 급지로울러(30)에 전달된다. 또한, 스테핑전동기(31), 기어헤드(40)는 측판(44)에 지지되어 있으며, 플라텐로울러(17) 및 급지로울러(30)는 1쌍의 측판(44),(45)(제4도 참조)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에 의거하여 이미지센서블록(18)과 원고대(32)의 개폐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레버(23)를 a방향으로 이동하면, 아암(21)은 기록헤드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해서 b방향으로 회동하며, 감열기록헤드(16)가 플라텐로울러(17)로부터 떨어지면 동시에 조인트레버(26)가 연동하여 이미지센서블록(18)상의 래치핀(24)의 계합부(25)에 계합된 래치(27)가 풀려, 도시하지 않는 나선코일스프링에 의해 이미지센서블록(18)은 e방향으로 열린다. 동시에, 원고대(32)의 단부(38)와 개폐레버(23) 상의 원고대 래치핀(36)과의 계합이 풀려, 도시하지 않는 나선코일스프링에 의해 원고대(32)는 원고대 지점축(37)을 중심으로 f방향으로 열린다.
이미지센서블록(18) 및 원고대(32)를 닫을 때에는 각각을 e방향, f방향과 역방향으로 손으로 누르므로서 래치(27)의 계합부(25)와 래치핀(24)이 계합하며, 또 원고대(32)의 단부(38)가 래치핀(36)에 의해서 회전을 규제당하게 되므로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제2도∼제4도 및 제6도에 의거하여 감열기록지(10)의 세트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표시한 개폐레버(23)를 눌러서 이미지센서블록(18)을 열어서 제6a도에 표시한 상태로 한 후, 로울형상의 감열기록지(10)를 기록지 받침부(11)에 래치한다. 다음에, 제6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기록지(10)의 선단을 안내판(12),(13)의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스위치(5)를 누르므로서 도시하지 않는 레버를 동작시켜서 안내판(12)을 축(12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기록지(10)를 급지로울러(30)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동시에, 스테핑전동기(31)를 구동해서 급지로울러(30)를 회전시켜서 기록지(10)를 자동적으로 들어가게 하고, 원고대(32)의 앞쪽에 소정의 길이로 노출한 시점(제6c도 참조)에서 급지로울러(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수동에 의해 기록지(10)를 더욱 앞쪽으로 꺼낸 후, 열린 상태의 이미지센서블록(18)의 상면으로부터 기록지가 어느 정도 나온 시점에서(제6d도 참조) 이미지센서블록(18)을 닫는다.
이와 같이 해서 기록지(10)의 장치에의 세트가 종료된다.
다음에, 송수신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송신시에는, 원고대(32)상의 기록지(10)의 이면에 필기용구에 의해 송신하고 싶은 내용을 써넣어서 원고를 작성한다. 작성된 원고를 송신할 때에는, 송수화기(2)에 의해서 수신쪽의 팩시밀리장치를 불러낸 후, 송신스위치(4)를 눌러서 판독부에 이송해 넣고, 이미지센서(15)의 아래쪽으로 통과할 때에 원고를 판독하여 송신을 행한다.
한편, 수신할 때에는, 감열기록헤드(16)에 의해 수신 팩시밀리신호에 따라서 감열기록지(10)의 표면을 감열 발색시켜서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본 실시예 장치에서의 음성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송수신부(50a),(50b)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51a),(51b), 변복조장치(52a),(52b), NCU(53a),(53b), 토운발생·검출부(54a),(54b)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전화회선에 송수화기(2a),(2b)가 접속되어 있으며, 조작패널(55a)상의 모우드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제처 놓으므로서, 전화 우선 사용으로 되기 때문에, 통상의 전화기로서 음성신호의 주고받음을 할 수 있다. 이때, 송신스위치(4)가 눌러지면, CPU(51a)는 통화중인 것을 확인한 다음에, 전화회선을 송수화기(2a)쪽으로부터 변복조장치(52a)쪽으로 절환하여, 팩시밀리전송을 개시한다.
그림신호 전송의 개시와 종료는 토운신호의 주고받음에 의해 제어되며, 송신쪽의 토운발생·검출부(54a)로부터 불러내어 토운신호가 송출됨으로서, 팩시밀리전송이 개시된다.
수신쪽에서는, 항상 이 기동토운을 감시하고 있으며, 토운이 검출되면 수신동작으로 이행한다. 이후, 위상신호에 의해 송수신의 동기 맞춤이 행해진다. 동기가 일치되며, 수신준비완료 토운신호가 수신쪽으로부터 송출되어, 원고의 그림정보의 전송을 개시한다.
원고용지상의 그림정보는 이미지센서(15a)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CPU(51a) 내부의 메모리에 축적된다. 이미지센서(15a)에 의한 판독은 라인단위로 행해지며, 1라인의 그림정보를 판독할 때마다 스테핑전동기(31a)에 의해 1라인 종이 이송이 된다. 축적된 그림정보는, 순차적으로 변복조장치(52a)에 입력되어 음성대역의 신호로 변환된 후, 전화회선으로 나가게 된다.
수신쪽에서는, 수신한 변조신호를 변복조장치(52b)에 의해 복조하여, 본래의 그림신호를 CPU(51b) 내부의 메모리에 축적한다. 축적된 그림신호는, 1라인 단위로 감열기록헤드(16b)에 전송되어서, 기록지(10b)를 그림신호에 따라서 발색시킨다.
이 경우도 판독동작과 마찬가지로, 1라인의 기록마다 스테핑전동기(31b)에 의해 종이 이송을 행한다.
1페이지분의 그림신호의 전송이 완료되면, 송신쪽으로부터 메시지종료 토운신호가 송출되며, 이에 응답해서 수신쪽으로부터 메시지 확인 토운신호가 송출된다. 이상의 순차 종료 후, 전화회선이 다시 송수화기(2b)쪽으로 복귀하여 통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1)

  1. 연속기록지(10)를 수용하는 기록지수용부(11)와, 상기 기록지(10)의 공급경로의 도중에 배설된 원고대(32)와, 상기 기록지(10)용의 공급경로의 도중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지(10)에 기재된 사항을 판독하는 판독부(15)와, 상기 기록지(10)용의 공급경로의 도중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지(10)에 수신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부(16)와, 상기 공급경로에 따라서 상기 기록지(10)를 반송하는 반송부(17)와, 상기 판독부(15)에 의해 판독된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기록부(16)에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35)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10)는 상기 기록부(16)에 의해 기록된 기록면과 기록되지 않은 비기록면을 가지며, 상기 원고대(32)에 비기록면을 위로해서 재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KR1019860003659A 1985-05-15 1986-05-10 팩시밀리장치 KR910000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22 1985-05-15
JP10302285 1985-05-15
JP60-202087 1985-09-12
JP20208785 1985-09-12
JP202,087 1985-09-12
JP60-103022 1985-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71A KR860009571A (ko) 1986-12-23
KR910000598B1 true KR910000598B1 (ko) 1991-01-26

Family

ID=2644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659A KR910000598B1 (ko) 1985-05-15 1986-05-10 팩시밀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67252A (ko)
EP (1) EP0201921B1 (ko)
JP (1) JPH0636542B2 (ko)
KR (1) KR910000598B1 (ko)
CN (1) CN1003760B (ko)
CA (1) CA1257376A (ko)
DE (1) DE368379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8953A (ja) * 1985-10-02 1987-04-1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フアクシミリ装置
JPS6290076A (ja) * 1985-10-15 1987-04-24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フアクシミリ装置
US4837812A (en) * 1985-12-21 1989-06-06 Ricoh Company, Ltd. Dual connection mode equippe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JPH0789638B2 (ja) * 1986-12-11 1995-09-27 株式会社テック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US4872061A (en) * 1987-07-13 1989-10-03 Tokyo Electric Co., Ltd. Facsimile
JPH01160663A (ja) * 1987-12-18 1989-06-23 Tokyo Electric Co Ltd 記録装置
EP0333173B1 (en) * 1988-03-15 1995-09-2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5047870A (en) * 1988-03-17 1991-09-10 Optum Corporation Image reproduction system utilizing single operation scanning/reproducing
JPH0649359Y2 (ja) * 1990-06-05 1994-12-14 株式会社スタッフ ファクシミリ玩具
US5276527A (en) * 1991-02-14 1994-01-04 Tokyo Electric Co., Ltd. Compact portable recording apparatus with thin, flat case, and which receives recording paper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250A (en) * 1965-07-15 1968-02-13 Thomas H. Gifft Facsimile recording device
US3735040A (en) * 1970-04-08 1973-05-22 Xerox Corp Facsimile transceiver
US3707601A (en) * 1970-07-24 1972-12-26 Phonocopy Inc Facsimile transceiver
US4005257A (en) * 1975-05-05 1977-01-25 Graphic Sciences, Inc. Facsimile transceiver
GB1562989A (en) * 1976-10-14 1980-03-19 Xerox Corp Transceiver system for visible images
JPS5387618A (en) * 1977-01-13 1978-08-02 Hitachi Ltd Facsimile unit
JPS55138967A (en) * 1979-04-17 1980-10-30 Fuji Xerox Co Ltd Copying machine
US4317138A (en) * 1980-02-11 1982-02-23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acsimile sheet handling
JPS5739668A (en) * 1980-08-21 1982-03-04 Canon Inc Facsimile device in common use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S57208269A (en) * 1981-06-19 1982-12-21 Ricoh Co Ltd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1921B1 (en) 1992-02-05
CN1003760B (zh) 1989-03-29
US4667252A (en) 1987-05-19
CA1257376A (en) 1989-07-11
DE3683798D1 (de) 1992-03-19
JPS62149250A (ja) 1987-07-03
KR860009571A (ko) 1986-12-23
CN86103329A (zh) 1986-11-26
EP0201921A3 (en) 1987-09-23
JPH0636542B2 (ja) 1994-05-11
EP0201921A2 (en) 198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3116B2 (ja) 画像形成装置
KR910000598B1 (ko) 팩시밀리장치
JPS6230461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900008231B1 (ko) 팩시밀리장치
JPH11187194A (ja) 画像処理装置
JPH059180Y2 (ko)
JP295429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598115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79257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42467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02728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06282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38522Y2 (ja) 送受信装置
JPH0515617B2 (ko)
JPH0430661A (ja) 画像形成装置
JPS587595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1134629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2563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154954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11187216A (ja) 携帯型記録/読取装置
JPH0275548A (ja) 送受信兼用ファクシミリ装置の送紙装置
JP20010631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6904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221057A (ja) 原稿読取装置
JP200533539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