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81B1 -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81B1
KR910001281B1 KR1019870700736A KR870700736A KR910001281B1 KR 910001281 B1 KR910001281 B1 KR 910001281B1 KR 1019870700736 A KR1019870700736 A KR 1019870700736A KR 870700736 A KR870700736 A KR 870700736A KR 910001281 B1 KR910001281 B1 KR 91000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vinyl
vinyl chloride
weight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742A (ko
Inventor
마사미 시니
Original Assignee
후지가가꾸시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이따미 히로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가가꾸시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이따미 히로후미 filed Critical 후지가가꾸시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using carbon pape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94Composite having a component wherein a constituent is liquid or is contained within preformed walls [e.g., impregnant-filled, previously void containing component, etc.]
    • Y10T428/249995Constituent is in liquid form
    • Y10T428/249996Ink in p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lor Printing (AREA)
  • Duplication Or Mark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8-29694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로써된 접착층에 의하여 플라스틱 필름기재와 잉크페이스트가 함침되어 있는 미세 다공질층을 결합하여서된 구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감압전사 기록매체에서는 상온하, 고온하에 있어도 생기지만, 특히, 저온하에서 반복인자 했을때 미세 다공질층자체가 필름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전사해 버리므로 이후의 인자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고온 환경하는 물론이려니와, 저온환경하에 있어도 기록매체의 동일개소에서 반복인자가 가능한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미소다공질 입자와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바인더제로써된 미세 다공질층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인더제에 대하여 비상용성인 액상 잉크 페이스트가 상기 미세 다공질층에 함유되어서된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에 있어 상기 기재가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당해 기재와 상기 미세 다공질층이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하여 기교하여서된 집착층에 의하여 결합되어서된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온·고온환경하(예를 들면 45℃까지)는 물론 저온환경하 예를 들면 0℃ 분위기 중에서 20회 이상 동일개소를 반복인자 하였을때에도 다공질층은 기재필름으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양호하게 인자를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20℃에서 1주일간 또는 60℃에서 1주일간 방치한 후에도 변화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기록매체에 있어의 미세 다공질층과 기재를 결합하는 접착층을 개량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의 접착층은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하여 가교한 접착제로써 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저온시에 있어의 접착특성이 뛰어나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는,
Figure kpo00001
의 반복단위로써 된 것으로서, 이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부분 비누화 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는, 비닐알콜 단위를 5∼15중량, 염화비닐 단위를 85∼93중량%, 초산비닐 단위를 0.5∼3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알콜 단위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 미세 다공질층과 기재와의 접착성이 저하하며, 또 15중량%을 넘는 경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하게 저하함과 동시에 액상 잉크페이스트의 감압전사성이 저하한다. 이 공중합체로서는 평균 중합도가 300∼700의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700보다 크면 접착층의 경도가 너무 높아져서 저온하에서 취화하기 쉬우며, 한편, 300 보다 작으면 접착강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즉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것,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전형예로서는 트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p,p',p"-트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상기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히드록시화합물(예를 들면, 트리메티롤프로판, 프로필렌글리콜등)과의 부분 반응 생성물인 말단 NCO기를 갖는 우레탄프레폴리머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NCO기의 갯수가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때는 1분자당의 평균 NCO기수가 1.8이상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다음 식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반응하여 가교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기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20부(중량부, 이하같다)에 대하여, 1∼6부 임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1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며, 또 6부를 넘으면 잉크의 포트라이프(potlife)가 짧아지며 다수회 인자성이 저하하여 인자농도가 희박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공중합체의 사용 비율은 NCO/OH 비(몰비)로 나타내면, 0.25∼1.50정도이다. 상기 접착제 용액의 조제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상기 접착제에는 또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의 기타의 접착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접착층은 상기 접착제를 코우터(coater)에 의하여 기재의 편면에 도포량 1∼4g/㎡ (건조후 도포량, 이하 같다), 특히, 2∼3g/㎡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도포량이 1g/㎡ 미만인때 접착성이 저하하며, 또 4g/㎡을 넘으면 잉크의 유지력이 너무커져서 인자농도가 저하한다.
상기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 등의 두께가 3∼50㎛ 정도의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착색제나 점도조정제 등의 액상 잉크페이스트 성분을 혼합하고, 이와 다공질분체, 바인더제 등의 미세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성분과 휘발성용제 등을 혼련 혼합하고, 이와 같이 하여서 얻어진 분산액을 코우터에 의하여 기재의 접착층의 상면에 예를 들면, 10∼30g/㎡ 특히, 15∼30g/㎡의 비율로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그렇게하면, 다공질분체와, 바인더제로써 구성된 미세 다공질층에 상기 착색제나 점도조정제 등으로써된 액상 잉크페이스트가 함유된 층이 상기 접착층의 위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감압전사 기록매체가 얻어진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염료, 안료 등, 이와 같은 종류의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착색제의 어느것이나 사용할수가 있으나 유용성 염료를 액상 지방산에 용해한 용액을 안료와 함께 사용하면 반복인자에 의한 인자 농도의 저하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상 지방산으로서는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또는 이들에 유사한 액상 지방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 페이스트 성분 전량의 1∼3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 유용성 염료로서, 니그로신베이스, 스피릿블랙, 스페셜블랙, 빅토리아 블루베이스, 메틸바이올렛베이스 등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페이스트 전량의 1∼1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로서는 프린텍스 25(데구사사제, 칼러용 카본블랙의 상품명), 모갈 L(캐봇사제 칼러용 카본블랙의 상품명) 라벤 1255(콜롬비아 리본 앤드 카본 매뉴펙튜어링사제 칼러용 카본블랙의 상품명) 등의 카본블랙, 블랙토우너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페이스트 전량의 1∼40중량%, 특히 20∼40중량%의 범위로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조정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채종유, 대두유, 피마자유등의 식물유 ; 비토리어 오일, 제트 오일 등의 광물유 ;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이하, DOA라 한다),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이하, DOS라 한다), 디(2-에틸헥실) 아제레이트(이하 DOZ라 한다) 등의 내한성가 소재 ; 리포루브오일 등의 하이드로카본 ; α-올레핀올리고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정제는 액상 잉크페이스트의 점도를 25℃에서 바람직하게는 4,000cp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3,600cp이하), 300cp 이상으로 하도록 적당한 양을 사용하면 되나, 특히 잉크페이스트 전량의 20∼5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액상 지방산과 유용성 염료와의 중량비를 20 : 1∼2 : 1의 범위로 한것을 사용할때는 점도를 2,000∼10,000cp로 하여도 양호한 반복인자성이 얻어진다.
상기 액상 잉크페이스트에는 또한, 습윤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습윤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등의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페이스트 전량의 3∼30중량% (특히 5∼25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분체로서는 평균 공극율 50∼97%, 특히 60∼93% 평균입경 1∼20㎛의 규조토, 제올라이트, 다공성실리카, 활성탄 등의 무기다공질분체, 발포우레탄파우더 등의 유기 다공질분체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공질 분체의 사용량은 상기 액상 잉크페이스트 10부에 대하여 1∼4부, 특히 2∼3부로 함이 적당하다.
상기 바인더제로서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수지, 셀루로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수지 등의 상기, 액상 잉크페이스트 성분에 비상용성으로서 다음의 휘발성 용제에 상응이며, 그리고 다음의 다공질분체에 대하여 접착성을 갖는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제의 사용량은 상기, 액상 잉크페이스트 10부에 대하여 1∼10부, 특히 2∼7부로함이 적당하다.
이들 바인더제중에서도 특히, 초산비닐 5부에 대하여 염화비닐이 4∼7부인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얼룩이 없는 선명한 인자를 얻는데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염화비닐의 비율을 초산비닐 5부에 대하여 4부 미만으로하면 당해 수지의 제조가 곤난하게되며, 또, 염화비닐의 비율을 초산비닐 5부에 대하여 7부 보다도 많이하면 미세 다공질층이 딱딱해져서 파괴되기 쉽게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염화비닐의 비율을 초산비닐 5부에 대하여, 4∼7부로하면 수지의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파괴되지 않는 미세 다공질층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특정의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는 평균중합도가 700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하여 환경온도가 60℃를 넘었을때 액상 잉크페이스트가 유출될 염려가 있다. 또 평균 중합도가 950을 넘으면 제조가 곤난하게 된다. 따라서, 평균 중합도를 700∼950 특히, 800∼900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이하, MEK라 한다),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IP 솔벤트(이데미쯔 석유화학(주)제,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의 상품명)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적당하게 사용할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수회 인자형(多數回 印字型) 감압전사(感壓轉寫)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임팩트식의 타이프라이터나 프린터에서 오우버 스트라이크나 멀티스트라이크에 사용되는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1표에 나타내는 조성으로써된 No. 1∼4의 4종류의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이들 접착제를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두께 : 7㎛) 상에 블레이드 코우터를 사용하여 건조후의 두께가 2g/㎡로 되도록 도포하고, 온도 90℃의 건조장치에 의하여 1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가교반응을 일으키게 하였다.
그후, 이 접착층의 위에 제2표에 나타낸 No. 1∼8의 8종류의 액상 잉크페이스트와, 제3표에 나타낸 No. 1∼15의 15종류의 미세 다공질층 조성을 조합하고 건조후 두께가 7㎛의 잉크함유 미세 다공질층을 형성하여 전자 기록매체를 얻다.
이와 같이 하여서 얻어진 각 기록매체에 대하여 캐논(주) 제의 AP-500 전자 타이프라이터를 사용하여 0℃의 분위기 중에서 반복 인자성 실험한 결과, 어느 기록매체에 있어도 20회 이상 동일개소가 인자되어도 미세 다공질층의 기재로부터의 박리는 일지않았으며, 그 인자는 인상 해독에 충분한 농도를 갖고 있었다.
[표 1]
Figure kpo00004
[주]MPR-TA5C : 니씬화학공업(주) 제의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상품명으로서 염화비닐단위 87.3중량% 초산비닐단위 1.2중량% 비닐알콜단위 11.5중량%의 조성을 갖고 평균중합도 340이다.
MPR-TA : 니씬화학공업(주) 제의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상품명으로서 염화비닐단위 91.9중량%, 초산비닐단위 2.5중량%, 비닐알콜단위 5.6중량%의 조성을 갖고, 평균중합도 440이다.
코로네이트 HL : 니뽄 폴리우레탄공업(주)제의 무황변형도료용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고형분 74∼76중량%, NCO 함유율 12.3∼13.3중량%)의 상풍이다.
코로네이트 L : 니뽄 폴리우레탄공업(주)제의 상온 건조형도료용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몰의 트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1몰의 트리메티롤프로판을 반응시켜서 얻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초산에틸용액, 고형분 74∼76중량%, NCO함유율 12.7∼13.7중량%)의 상품명이다.
니뽀판 2301 : 니뽄 폴리우레탄공업(주) 제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상품명이다.
[표 2]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표 3]
Figure kpo00007
[주] * 제3표중의 부는 제2표의 액상 잉크페이스트 10부에 대한 부수이다.
* 규조토 : 평균입경 7㎛, 평균 공극율 약 75%
* 호화이톤 SB : 시라이시 칼슘(주)제 탄산칼슘의 상품명
* 실리카 300 : 니뽄 아에로지루(주)제 다공질 실리카분말의 상품명
본 발명의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는 저온 부위기중에서 반복하여 동일개소가 인자된 경우에 있어도 인상해독에 충분한 정도의 농도를 갖는 인자를 얻을 수 있게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미소다공질 입자와,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바인더제로써된 미세 다공질층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인더제에 대하여 비상용성인 잉크페이스트가 상기, 미세 다공질층에 함유되어서된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플라스틱필름으로서 당해 기재와, 상기 미세 다공질층이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하여 가교하여서된 접착층에 의하여 결합되어서된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비닐알콜단위, 염화비닐단위 및 초산비닐단위로써된 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비닐알콜단위 5∼15중량%, 염화비닐단위 85∼93중량% 및 초산비닐단위 0.5∼3중량%로써된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이 상기 공중합체 2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인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폴리아미드 필름의 적어도 1종인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다공질층이 규조로, 탄산칼슘 및 다공질 실리카 분말으로써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공질분체 및 바인더제로서의 초산비닐 5중량부와 염화비닐 4∼7중량부로써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로써된 기록매체.
KR1019870700736A 1985-12-17 1986-12-15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KR910001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17985 1985-12-17
JP285179 1985-12-17
PCT/JP1986/000634 WO1987003845A1 (en) 1985-12-17 1986-12-15 Pressure-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um permitting repeated pri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742A KR880700742A (ko) 1988-04-12
KR910001281B1 true KR910001281B1 (ko) 1991-02-28

Family

ID=1768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736A KR910001281B1 (ko) 1985-12-17 1986-12-15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794039A (ko)
EP (1) EP0250598B1 (ko)
JP (1) JPH07421B1 (ko)
KR (1) KR910001281B1 (ko)
AT (1) ATE74311T1 (ko)
AU (1) AU586528B2 (ko)
CA (1) CA1316769C (ko)
DE (1) DE3684708D1 (ko)
ES (1) ES2004423A6 (ko)
WO (1) WO1987003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226B2 (ja) * 1987-10-31 1996-10-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印字受容層を有する券片
US5183697A (en) * 1990-03-28 1993-02-02 Ricoh Company, Ltd. Thermal image transfer recording medium
AU703812B2 (en) * 1994-05-11 1999-04-01 Bayer Aktiengesellschaft Auxiliaries for paper finishing
CN108148533B (zh) * 2018-01-23 2021-01-29 佛山市加恩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膜外转印技术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0504A (fr) * 1964-04-24 1966-06-24 Carbon Paper Co Papier carbone à couches multiples
GB1217844A (en) * 1967-11-25 1970-12-31 Columbia Ribbon & Carb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ssure-sensitive transfer elements
GB1367766A (en) * 1970-12-18 1974-09-25 Columbia Ribbon Carbon Mfg Pressure-sensitive transfer elements
GB1361634A (en) * 1972-09-07 1974-07-30 Kemi As Pressure-sensitive transfer elements
US4018162A (en) * 1973-08-10 1977-04-19 Melvin Sharkey Continuous duplicating sheets
US3946138A (en) * 1974-04-01 1976-03-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processes
US4217388A (en) * 1978-03-27 1980-08-12 Columbia Ribbon And Carbon Mfg. Co., Inc. Pressure-sensitive transfer elements and process
DE2815344C2 (de) * 1978-04-10 1983-02-17 Pelikan Ag, 3000 Hannover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antistatischen Polymer-Zwischenschicht auf eine Trägerfolie für Carbonmaterial
FR2432388A1 (fr) * 1978-08-04 1980-02-29 Bando Chemical Ind Structure de couche de surface de transfert d'encre d'un dispositif ou d'un appareil d'impression
DE3118980A1 (de) * 1981-05-09 1982-11-25 Pelikan Ag, 3000 Hannover Multicarbon-material zur schrifterzeugung
FR2508383B1 (fr) * 1981-06-27 1987-04-17 Pelikan Ag Ruban-encreur pouvant etre surcharge en recouvrement
DE3214305C2 (de) * 1981-06-27 1984-08-02 Pelikan Ag, 3000 Hannover Überlappend überschreibbares Farbband
EP0090907B1 (de) * 1982-04-07 1985-11-06 Pelikan Aktiengesellschaft Überlappend überschreibbares Farbband
JPS58201690A (ja) * 1982-05-20 1983-11-24 Ricoh Co Ltd 感圧転写材
JPS59209190A (ja) * 1983-05-13 1984-11-27 Ricoh Co Ltd 感圧複写材
JPS6110490A (ja) * 1984-06-26 1986-01-17 Fuji Kagakushi Kogyo Co Ltd 多数回使用型熱転写記録媒体
CA1260326A (en) * 1984-07-13 1989-09-26 Masami Shini Multiple-use pressure-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0598A4 (en) 1988-04-26
ES2004423A6 (es) 1989-01-01
EP0250598B1 (en) 1992-04-01
ATE74311T1 (de) 1992-04-15
WO1987003845A1 (en) 1987-07-02
CA1316769C (en) 1993-04-27
AU6736887A (en) 1987-07-15
JPH07421B1 (ko) 1995-01-11
EP0250598A1 (en) 1988-01-07
US4794039A (en) 1988-12-27
AU586528B2 (en) 1989-07-13
KR880700742A (ko) 1988-04-12
DE3684708D1 (de) 199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4881A (en) Multiple-use pressure-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a
KR910001281B1 (ko) 다수회 인자형 감압전사 기록매체
US4605593A (en) Pressure sensitive transferring member
JP3177294B2 (ja) 熱転写インクリボンおよびそれを用いる印像形成方法
JPH0673982B2 (ja) 熱転写インクシート
US5853898A (en) Thermal ink-transfer recording material
JP3093298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H0528999B2 (ko)
IL42642A (en) Transfer medium for imprinting adhesively eradicable ink layer
JPH04369580A (ja) 転写記録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被転写体
JP3014954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セット
JPH0567433B2 (ko)
JP2714512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3045476B2 (ja) 感熱記録材料
JPH09290573A (ja) 熱転写オーバーコートフィルム及びカード
JP2714513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H03155987A (ja) 熱転写記録シート
JP3045437B2 (ja) 塗料組成物
JPS6124486A (ja) 多数回印字型感圧転写記録媒体
JP2584517B2 (ja) 感熱転写材
JP3014954B6 (ja) 感熱転写記録媒体セット
EP0310141B1 (en) Multiple-use pressure-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a
JPH0640167A (ja) 熱転写シート
JP2002096568A (ja) 熱転写フィルム
JPH01123794A (ja) 昇華転写用被転写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