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79B1 -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79B1
KR900008179B1 KR1019870004790A KR870004790A KR900008179B1 KR 900008179 B1 KR900008179 B1 KR 900008179B1 KR 1019870004790 A KR1019870004790 A KR 1019870004790A KR 870004790 A KR870004790 A KR 870004790A KR 900008179 B1 KR900008179 B1 KR 90000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communication
work program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532A (ko
Inventor
노보루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7001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록다이어그램
제2도와 제3도는 표시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4도와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모드의 전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6도는 표시화면의 모드천이도.
제7도는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의 형식을 나타내는 모식도.
제8도는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9도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단말장치로 보내는 상태제어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0도는 검출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본원 발명은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된 단말장치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과 단말의 내부처리에 대한 화면표시와 업무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단말장치의 대부분은 상당히 고도의 기능을 가지며, 소위 인텔리젠트단말은 상당히 고도의 데이터처리를 독립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인텔리젠트단말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비교적 단순한 단말장치에서도 통신기능외에 어느 정도의 데이터 처리기능(예를 들면 송수신 데이터의 전처리 및 후처리를 위한)을 가지고 있는 것은 적지 않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통신기능과는 별개의 데이터처리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단말내업무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상기의 형의 표시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과 단말내업무프로그램을 사용한 데이터처리는 병행하여 행하여지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표시화면의 전환, 또는 분할 및 업무프로그램의 자동기동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화면제어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 1984-180628호 공보, 동 제 1984-21854호 공보, 동 제 1983-1681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제어와, 업무프로그램의 실행은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으며, 자동적으로 행한다는 점에서의 배려가 되어 있지않다.
상기 종래 기술은 수동조작에 의하여 표시화면의 전환 등을 관리하고, 또한 단말내업무프로그램의 선택, 기동을 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에 번잡성을 줄 뿐만 아니라, 상황변화에 대한 빠른 응답성이 부족하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통신처리 및 업무처리의 상황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표시화면을 제어하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업무프로그램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사용하기 쉬운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통 단말장치에서의 상태이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을 적용한 표시제어장치는 대(對)호스트통신회로와, 단말내업무프로그램의 상태(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상태제어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회로와, 화면표시를 검출회로가 검출한 상태에 따라서 제어하는 화면제어회로와, 상태제어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검출회로는 통신회로와 단말내업무프로그램의 상태가 변화하면, 그에 따라서 화면할당을 자동적으로 변경하고, 또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중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의 상태를 제어하는 상태제어데이터를 판별하여 통신화면메모리로부터 업무 프로그램메모리에의 화면전환을 행하고, 상태제어데이터중에 존재하는 업무프로그램명칭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전화면이 단말내의 업무프로그램에 할당되고, 이어서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이 끝나면 전화면은 통신처리에 할당되며, 그후 단말내업무프로그램에의 입력이 시작되면, 화면은 대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과 단말내의 업무프로그램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표시되도록 분할된다. 또한 표시중의 통신화면메모리의 내용을 퇴피(退避)하고, 그후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의 내용을 표시하여 보낸 업무프로그램명칭을 파일장치 또는 업무프로그램 격납메모리에서 선택하여 업무프로그램메모리에 옮겨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표시단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1도에 있어서 이 표시단말장치는 통신선(1)을 통하여 호스트컴퓨터와 통신한다. 이 통신은 통신제어회로(2)에 의해 제어되며,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받는 정보와 그곳에 보낼 정보는 통신화면편집회로(3)에 의해 편집처리를 한 후, 통신화면메모리(4)에 축적된다. 상기 통신제어회로(2), 통신화면편집회로(3) 및 통신화면메모리(4)는 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의 수단 및 제1의 스텝을 구성한다.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는 이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내에서 실행되는 단말내업프로그램(11)과 오퍼레이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곳으로서 이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를 통하여 오퍼레이터와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 사이의 입출력, 대화 등이 행하여진다. 통신화면메모리(4)와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는 각기 통신기능과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에 있어서의 논리화면이다. 상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 그리고 후술하는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 및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13)는 업무프로그램(11)을 제어하는 제2의 수단 및 제2의 스텝을 구성한다. 화면제어회로(6)은 통신화면메모리(4),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 및 표시화면메모리(5)에의 액세스기구와, 각 표시모드에 있어서의 화면제어, 즉 각 표시모드에 있어서 표시화면메모리(5)의 어느 영역이 통신화면메모리(4) 또는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어느 영역에 대응하는가를 지시하기 위한 화면제어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된 표시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제어에 따라서, 통신화면메모리(4) 또는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로부터 표시화면메모리(5)로 데이터를 전사한다. 이 화면제어회로(6) 자체는 종래의 것과 본질적으로는 같아도 된다. 표시화면메모리(5)의 내용은 표시장치(CRT)(8)위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 및 화면제어회로(6)는 검출회로(7)의 지시에 따라 표시장치에 정보를 표시하는 제4의 수단 및 제4의 스텝을 구성한다.
표시모드로서는 예를들면 통신화면메모리(4)의 전내용이 화면을 점하는 통신모드,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전내용이 화면을 점하는 업무모드 및 각 메모리의 내용의 일부가 2분할된 화면의 각 분에 각기 표시되는 분할모드를 채용할 수 있다. 분할모드는 다시 화면을 분할할 때의 분할의 비율, 각 메모리가 표시되는 영역을 지정하는 등 몇개의 서브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키보드(15)로부더 입력된 전환신호에 의해서도 입력제어회로(14)를 통하여 화면제어를 할 수 있다.
제2도는 통신모드와 업무모드 사이의 전환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화면메모리(5)의 전영역을 점하고 있던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전내용을 통신화면메모리(4)의 전내용으로, 또한 그 반대로 치환하므로써 이 전환이 실현된다. 제3도는 분할모드표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분할모드에 있어서의 표시는 표시화면메모리(5)를 적당한 비율로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하여 그 한쪽에 통신화면메모리(4)의 내용의 일부를 전사하고, 다든 쪽에 업무프로그램화면 메모리(9)의 내용의 일부를 전사하므로써 실현된다.
검출회로(7)은 통신제어회로(2)와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의 상태의 상호관계를 제어하는 상태제어기구의 일부이며, 통신제어회로(2)의 상태(송신, 수신, 응답대기, 휴지 등)과 단말내업무프로그램 (11)의 상태(기동, 정지, 실행, 입출력 등)을 감시하고, 상태에 변화가 있을때에 상태의 새로운 조합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표시모드를 선택해서 화면제어회로(6)에 지시한다. 또한 키보드(15)로부터의 입력된 전환신호에 의해서도 입력제어회로(14)를 통하여 이 검출회로(7)에서 모드전환이 선택된다. 상기 검출회로(7)는 상기 제1의 수단과 상기 제2의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모드를 전환하는 제3의 수단 및 제3의 스텝을 구성한다. 표시모드의 천이도의 예를 제6도에 나타낸다. 이하 각 모드에 대한 설명을 한다.
통신모드(61)은 호스트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오퍼레이터가 전화면을 사용해서 행하는 경우이고, 보통은 업무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이다.
업무모드(62)는 업무프로그램이 오퍼레이터와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한 전화면을 사용해서 행하는 경우이며, 호스트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필요로 하지 않은 때이다.
분할모드(63)은 호스트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과 업무프로그램의 데이터입출력이 함께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는 운용이다.
이들 표시모드는 호스트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 상태나 업무프로그램의 상태에 있어서, (64) 내지 (6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전환, 화면분할개시, 화면분할해제에 의하여 모드천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화면제어회로(6)은 지시된 표시모드에 따라서 표시화면메모리(5)의 내용을 변경해서 표시모드의 전환을 실현한다.
상태의 각종 조합과 표시모드의 대응, 분할모드 및 그 서브모드의 세목(분할비, 표시부분 등)은 고정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또는 오퍼레이터가 단말내업무프로그램 또는 키보드를 통해서 필요에 따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되며, 또는 기본적인 부분만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고 그 나머지는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또한 고정적설정중에서 실행해야할 것 또는 금지해야할 것을 오퍼레이터가 수시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분할모드에 대해서는 기본서브모드를 미리 정해놓고, 오퍼레이터가 필요에 따라 다른 서브모드로 전환하든가 또는 설정을 변경하므로써 분할비나 표시부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검출회로(7)이 통신제어회로(2)와 단말내업무프로그램(10)의 통신화면메모리(4) 및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에의 엑세스빈도를 계측, 비교하여 어느쪽이 엑세스빈도가 큰가에 따라 통신모드 또는 업무모드를 기저표시모드로서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키보드 조작에 의해 표시모드를 수시 직접 전환시키는 종래의 기구를 병설하면, 보다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모드전환조건이나 화면분할조건을 오퍼레이터측에서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단말장치의 화면관리를 임의의 시스템운용형태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제4도는 통신모드로부터 업무모드에의 표시전환의 일례를 나타낸다. 통신모드에서의 표시기간중에,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은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수신이 개시되었다고 하면 업무모드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지령을 검출회로(7)에 부여한다. 그리고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수신이 개시되면, 검출회로(7)은 통신제어회로(2)의 상태가 수신상태로 변화한 것을 검지하여, 업무모드에의 전환을 화면제어회로(6)에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화면제어회로(6)은 표시화면메모리(5)의 전내용을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전내용으로 치환하여 그것에 따라 업무모드에의 전환을 실현한다.
제5도는 업무모드로부터 분할모드에의 전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업무모드에 의한 표시기간중에,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은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수신이 개시되었다고 하면 분할모드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지령을 검출회로(7)에 부여한다. 그리고 검출회로(7)은 통신제어회로(2)가 수신상태에 들어간 것을 검지하면, 분할모드에의 전환을 화면제어회로(6)에 통지하고, 이것을 받은 화면제어회로(6)은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우측반의 영역의 내용을 표시화면메모리(5)의 우측반의 영역에 전사하며, 또한 통신화면메모리(4)의 좌측반의 영역의 내용을 표시화면메모리(5)의 좌측반에 전사하여 그것에 따라 분할모드에의 전환을 실현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분할형식이 분할모드의 기본 서브모드로서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드는 미리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황을 설정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1) 날짜나 시각에 따라 미리 표시모드를 설정한다.
(2) 화면표시의 우선순위로서 통신화면 우선, 또는 업무프로그램 화면우선 및 우선없음을 설정한다.
(3) 업무프로그램화면의 표시중에,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몇 라인분의 통신화면을 설정한다.
(4) 표시하지 않은 화면에 대하여 화면데이터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에의 통지(예를 들면 아람울림, 메세지표시 등)를 하도륵 설정한다.
(5)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지시로 표시모드의 변경금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이외의 표시모드전환의 예의 몇가지를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1)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이 기동되었을때, 통신제어회로(2)의 상태에 따라 업무모드 또는 분할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통신제어회로(2)가 휴지 또는 응답대기상태에 있으면 업무모드이고 다른 경우는 분할모드로 한다.
(2)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이 입출력상태에 있으면, 원칙으로서 최소한 분할모드를 유지한다. 단 통신제어회로(2)가 수신을 완료했을때는, 하기(4)가 우선한다.
(3)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이 정지하면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4) 통신제어회로(2)가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이 끝났을 때에는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그때에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 이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취지를 표시화면상의 적당한 부분에 표시한다.
(5) 통신제어회로(2)는 호스트컴퓨터에 데이터의 송신이 끝나고 그 응답을 받을때까지의 기간중에는, 단말내업무프로그램(11)이 액티브 상태로 있는 한 업무모드를 유지한다.
(6) 통신제어회로(2)가 통신화면메모리(4)에 엑세스하는 빈도와 업무프로그램(11)이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일정시간내에 어느쪽이 많은가를 검출해서 통신모드 또는 업무모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업무프로그램(11)로부터 직접 화면제어회로(6)에 대하여 하기의 지령(코맨트)를 발하여 표시모드의 변경을 행할 수도 있다.
(1) 화면전환코맨드……화면전환을 지시한다.
(2) 화면분할코맨드……화면분할을 지시한다.
(3) 분할비율설정코맨드……분할비율을 지시한다.
(4) 화면상태코맨드……화면이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안다.
검출회로(7)은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받은 수신정보중에 상태제어데이터가 있는가 여부를 판별하고, 상태제어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화면제어회로(6)에 대해 화면전환을 지시한다. 이 화면전환을 한후 검출회로(7)은 상태제어데이터중에 포함되는 업무프로그램명칭과 실행파라미터를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에 부여하여 업무프로그램(11)의 실행을 지시한다.
다음 검출회로(7)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제10도에 나타낸다. 제9도에 있어서는 하기의 상태검출에 따라 표시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이며, 이 검출상태 및 표시제어의 내용은 미리 업무프로그램 및 오퍼레이터로부터 지정할 수 있다. 즉,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상태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탭(102)-(108).
업무프로그램의 기동을 행하는 스텝(109)-(113).
업무프로그램의 종료를 행하는 스탭(114), (115).
호스트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탭(116), (117).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탭(118)-(121).
업무프로그램의 키이(keying)대기상태인 스텝(122)-(125).
업무프로그램케어회로(12)는 부여된 업무프로그램명칭과 실행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13)내에 격납되어있는 지정된 업무프로그램(11)을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에 로드(load)하고, 실행파라미터를 업무프로그램(11)에 부여하여 업무프로그램(11)을 실행시킨다.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내에 로드된 업무프로그램(11)은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에 대한 데이터의 입출력 및 오퍼레이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취하고 업무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13)은 단말장치내에서 실행하는 업무프로그램을 단말장치내에 보존해두는 메모리장치이며, 자기디스크장치, 판독전용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l3)내에 있어서의 업무프로그램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무프로그램의 정보를 축적하고 있는 헤더부와 업무프로그램 자신을 축적하고 있는 본체부로 나누어져 격납되어 있다. 헤더부는 본체부에 존재하는 업무프로그램의 명칭,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및 업무프로그램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로 성립되어 있다. 이들 헤더부의 정보는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에 의하여 호스트컴퓨터에 의해 지시된 업무프로그램을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에 로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에 있어서의 상기의 업무프로그램의 업무프로그램메모리에의 로드동작을 제8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이하 이 플로차트에 따라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는 검출회로(7)로부터 업무프로그램명칭과 실행파라미터를 얻으며, 그 후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13)의 헤더부를 읽어 넣고, 헤더부에 있어서의 업무프로그램명칭중에 검출회로(7)로부터 부여된 업무프로그램명칭과 일치하는 것이 있는가 여부를 조사한다(스탭 81 내지 83).
일치하는 업무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일도 하지 않고 검출회로(7)로부터 부여된 업무프로그램명칭 및 실행파라미터를 버린다. 일치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헤더부의 정보를 기초로 그 업무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본체부의 포인터와 사이즈정보를 얻어, 지정된 업무프로그램의 본체부를 업무프로그램격납메모리(13)으로부터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에 로드한다(스탭 84, 85).
그 다음 업무프로그램제어장치는 업무프로그램메모리(10)에 로드한 업무프로그램(11)을 기동하고, 또한 실행파라미터를 업무프로그램(11)에 보내고 업무프로그램(11)의 실행을 개시한다(스탭 86, 87).
상기의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상태제어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전환 및 단말장치내의 업무프로그램의 기동을 위해서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단말장치에 보내지는 상태제어데이터의 형식을 제9도에 나타낸다. 상태제어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상태제어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id부와, 이 id부 이하의 전제 상태제어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11부(렝스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화면전환지시부, 업무프로그램명칭부, 실행파라미터부로 구성된다. 화면전환지시부는 표시화면의 전환을 어떻게 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고, 그 지시가 "0"은 아무것도 아니함, "1"은 통신화면메모리 (4)로부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에의 전환, "2"는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로부터 통신화면메모리(4)에의 전환을 각기 지시한다. 업무프로그램명칭부는 업무프로그램의 명칭 예를 들면 A, B…… 등이 격납되어 있는 고정길이의 블록이며, 나머지 부분에는 스페이스가 넣어진다. 실행파라미터부는 업무프로그램의 기동에 필요한 복수개의 파라이터 예를 들면 P1, P2…… 등이 격납되는 가변길이의 블록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태변화에 따라서 표시모드의 전환 및 업무프로그램의 실행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므로 오퍼레이터의 시간절약, 나아가서는 오조작의 기회도 감소하여, 그 결과 표시단말이 한층 사용하기 쉽게 되며 또한 시스템의 처리능률이 개선된다.

Claims (14)

  1. 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의 수단(2-4)과, 업무프로그램(11)을 제어하는 제2의수단(9-13)과, 상기 제1의 수단(2-4)과 상기 제2의 수단(9-13)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모드를 전환하는 제3의 수단(7)과, 상기 제3의 수단(7)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정보를 표시하는 제4의 수단(5, 6)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컴퓨터와 접속되어 표시화면메모리(5)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진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단(2-4)은 통신제어회로(2)의 통신화면메모리(4)를 가지고, 이 통신제어회로(2)에서 호스트컴퓨터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3의 수단(7)에 변화한 것을 연락하는 동시에 이 통신화면메모리(4)에 표시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의 수단(9-13)은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와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를 가지고, 이 업무프로그램제어회로(12)에서 업무프로그램(11)의 기동, 종료 등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3의 수단(7)에 변화한 것을 연락하는 동시에 이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에 표시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3의 수단(7)은 표시모드로서 통신모드, 업무모드, 분할모드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고, 상기 제4의 수단(5,6)은 화면제어회로(6)와 표시화면메모리(5)를 가지고, 상기 제3의 수단(7)의 표시모드에 따라서 상기 통신화면메모리(4) 및 상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내용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에 전사하는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수단(7)은 상기 통신화면메모리(4)와 상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액세스 빈도에 따라서 통신모드와 업무모드를 전환하는 단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수단(7)은 업무프로그램(11)로부터의 코맨드에 따라서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수단(5, 6)은 상기 통신화면메모리(4) 및 상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내용을 미리 정해진 분할비율에 따라서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에 전사하는 단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수단(5, 6)은 상기 통신화면메모리(4) 및 상기 업무프로그램화면메모리(9)의 내용을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에 전사하는 단말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수단(7)은 키보드(15)로부터 입력된 전환신호에 따라서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장치.
  8. 호스트컴퓨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의 스텝(2-4)과, 업무프로그램(11)을 제어하는 제2의 스텝(9-13)과, 상기 제1의 스텝(2-4)과 상기 제2의 스텝(9-13)으로 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모드를 전환하는 제3의 스텝(7)과, 상기 제3의 스텝(7)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에 정보를 표시하는 제4의 스텝(5, 6)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컴퓨터와 접속되어 표시화면메모리(5)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진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단말상태 제어방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7)은 상기 제1의 스텝(2-4) 및 제2의 스텝(9-13)에서 변화가 발생하는 것에 따라서 표시모드로서 통신모드, 업무모드, 분할모드의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7)은 상기 제1의 스텝(2-4)과 상기 제2의 스텝(9-13)의 액세스 빈도에 따라서 통신모드와 업무모드릍 전환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7)은 업무프로그램(11)으로부터 코맨드에 따라서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7)은 키보드(15)로부터 입력된 전환신호에 따라서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스탭(5, 6)은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에 미리 정해진 분할비율로 상기 제1의 스텝(2-4) 및 상기 제2의 스텝(9-13)으로부터 표시할 정보를 전사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스텝(5, 6)은 상기 제1의 스텝(2-4) 및 상기 제2의 스텝(9-13)으로부터 표시할 정보를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메모리(5)에 전사하는 단말상태 제어방식.
KR1019870004790A 1986-05-26 1987-05-15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KR900008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119377 1986-05-26
JP11937786 1986-05-26
JP119377 1986-05-26
JP27960186 1986-11-26
JP279601 1986-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32A KR870011532A (ko) 1987-12-24
KR900008179B1 true KR900008179B1 (ko) 1990-11-05

Family

ID=2645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790A KR900008179B1 (ko) 1986-05-26 1987-05-15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3238619A (ko)
KR (1) KR900008179B1 (ko)
CN (1) CN1021859C (ko)
DE (1) DE371778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316A (ja) * 1988-11-04 1990-05-15 Nec Corp 画面制御方式
JP2595697B2 (ja) * 1988-11-25 1997-04-02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処理システム
JPH03144763A (ja) * 1989-10-31 1991-06-20 Oki Electric Ind Co Ltd イメージ処理システム
WO1997034220A1 (de) 1996-03-12 1997-09-18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Betrieb mehrerer sichtgeräte an einer bildschirmsteuer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8142A (ja) * 1982-03-30 1983-10-04 Fujitsu Ltd 多重画面管理方式
JPS59114631A (ja) * 1982-12-22 1984-07-02 Hitachi Ltd 端末制御装置
JPS59180628A (ja) * 1983-03-31 1984-10-13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S59218545A (ja) * 1983-05-26 1984-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クステ−シヨン装置の画面切換装置
JPS6084591A (ja) * 1983-10-17 198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S60258667A (ja) * 1984-06-06 1985-12-20 Hitachi Ltd 対話型計算機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859C (zh) 1993-08-18
KR870011532A (ko) 1987-12-24
DE3717787A1 (de) 1988-01-28
CN87103936A (zh) 1987-12-16
DE3717787C2 (de) 1994-09-08
JPH0578851B2 (ko) 1993-10-29
JPS63238619A (ja) 198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179B1 (ko) 단말상태제어방식 및 장치
JP3426086B2 (ja) 情報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792772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モニタ方法
US7225445B1 (en) Execution control apparatus with key pad that enables selection of jobs to be run
US5428676A (en) Facsimile machine and re-call control method thereof
JPH0568085A (ja) 自動交換機の局データ設定方式
JP2626184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526265B2 (ja) 多重試験方式
JPH051815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プログラミング装置の画面表示方法
JPH06311199A (ja) 無中断通信制御ソフトウェア変更方法
JPH0611304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
KR200181757Y1 (ko) 버튼기능을임의로설정할수있는카메라
JP2809148B2 (ja) 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構成の動的変更方式
JPH0535322A (ja) 数値制御装置
JP2768768B2 (ja) サイクリックデータ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201769A (ja) 統合オフイスシステム
JPH11312108A (ja) 副ロードモジュールのトランザクション同期置換方式
JPS63153615A (ja) 計算機の通信用周辺装置
JP2001313965A (ja) 交換機におけるファイル更新方法
JPH02310662A (ja) メッセージ表示抑止方式
JPH01140301A (ja) シーケンス制御方法
JPH08147121A (ja) 印字データ転送装置
JPH05260171A (ja) 交換機のi/oバスデータモニタ方式
JPH08214024A (ja) 映像処理通信装置
JPS61150492A (ja) 回線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