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38B1 -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 Google Patents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38B1
KR900007338B1 KR1019870000315A KR870000315A KR900007338B1 KR 900007338 B1 KR900007338 B1 KR 900007338B1 KR 1019870000315 A KR1019870000315 A KR 1019870000315A KR 870000315 A KR870000315 A KR 870000315A KR 900007338 B1 KR900007338 B1 KR 90000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frame
mold
vulcanizer
tire vulc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970A (ko
Inventor
야스히꼬 후지에다
가쯔미 이찌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후유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후유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87000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가황기 실시예의 종단 정면도.
제2도는 동일부 절단 측면도.
제3도는 가황기의 동일 반부 횡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프레임 2 : 사이드프레임
3 : 센터프레임 4 : 톱 프레임
6 : 하형 장착제 7 : 하형
8 : 클램핑힘 발생용실린더 9 : 상형
10 : 상형 장착제 11 : 톱슬라이드
12 : 승강용실린더 13 : 클램핑로드
16 : 신축부 18 : 클램핑플레이트
20 : 중심기구
본 발명은 그린타이어의 가황성형프레스로 알려진 타이어 가황기에 있어서, 가황기프레스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황조형(segment)을 각각 개별로 구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한편, 각 조형에 있어서 형의 클램핑기구, 형높이 조정기구의 구조와 조작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황기 프레임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측에 설치된 하형과 사이드프레임측에 전기하형을 향하여 수직 승강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된 상형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가황용 조형의 복수개를 병설하는 형식의 타이어 가황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즉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개소 57-22118호 공보에 개시된것은 그 한예이며 그의 상세한 것은 동호의 공보에 상술되어 있다.
동호공보에 있어서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걸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가황기 베이스(1)위에 고정된 하형(14)과 하형(14)을 향해 수직승강하여 개폐자재로 되어있는 상형(15)이 전기베이스(1)위에 세워져 있는 사이드 프레임에 있는 가이드(3,3)에 연하여 설치되어, 상형(15)은 그 원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승강용 유압실린더(4)에 따라서 개별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상, 하형의 클램핑기구로서 하형(14)의 외주를 둘러싸서 가황기 베이스(1)위에 균등 배치된 록부(18)를 구비한 피스톤로드(17)는 형의 높이에 대응하여 록부(18)의 잠금위치를 상하로 가변되게 한 복수의 클램핑용 유압실린더(2)가 제공된다. 전기의 실린더(2)와 대응하여 상형(15)의 외주에 상기 실린더(2)의 피스톤로드(17)의 록부(18)와 접속이 자재로 된 이동 가능한 클램핑용 록축(32)이 제공되어 진다.
이와함께, 상형(15)을 하형(14)에 밀접하게 접근시켜 상형(15)의 록 잠금용 다리부(9)내에 클램핑용 유압실린더(2)의 피스톤로드(17)의 록부(18)가 들어가고 다리부(9)의 록축(32)의 록테일(tail)과 접속하고 록축(32)의 90°회전에 따라서 록테일(31)과 록부(18)을 잠그고 실린더(2)의 피스톤로드(17)를 하강시킴에 따라서 상, 하형(14,15)을 잠그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형이 변하여 그 높이가 다르면 클램프용 유압실린더(2)의 피스톤로드(17)를 나사로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서 록축(32)의 록테일(31)과의 접속위치를 변경하여 적합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용되고 있는 상, 하형의 클램핑장치로 알려져 있는 것은 상, 하형의 외주를 근접시켜 설치된 상하돔의 접합단을 브리치(breech)록 기구에 의하여 클램프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개소 58-12334호)이다.
일반적인 타이머 가황기에 있어서 가황기 프레임위에 개폐자유로운 상, 하형에 따라 가황조형의 2개가 나란히 설치된 트윈 타입(twin type)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그사이에 나란히 설치된 가황조형에 있어서, 개폐가 자유로운 상형은 상형의 상부의 구조물인 상부슬라이드(톱슬라이드)를 상호 연결빔을 따라서 일체로서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지는것이 통상의 예이다. 2조의 동기구동부는 생산성이나 가동효율의 문제상 유리하지만 반면 몇개인가의 조형에 있어서는 두께(높이)가 다른 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정확한 형 높이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조작상 불리한점이 있으며 이것에 대하여, 특개소 57-22118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 있어서는 트윈타입의 가황기의 경우, 각 가황기 조형이 각각 전용의 승강용 실린더를 따라서의 상형의 개별개폐가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두께(높이)가 다른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형의 높이의 조정이 용이하며 좌우 다른 사이즈의 타이어의 가황이 용이하게 된다. 또, 한쪽의 가황조형만 이동하여 다른쪽은 정지되어져 있는 사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다품종 소량생산에 있어서는 매우 유리하지만 형의 클램핑과 형의 높이 조정기구의 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동호의 공보에 개시된것에는 하형(14)의 외주를 둘러싸는 가황기 베이스의 하면에 4개의 클램핑용 유압실린더(2)를 설치하며, 동 실린더(2)의 피스톤(17)을 하돔(14a)의 외주측에 돌출시킨다. 동일하게 상형(15)의 상돔(15a)의 외주를 둘러싸고 4개의 록축(32)을 배설하여 상형(15)의 하형(14)에 대한 완전한 폐합과 함께 피스톤로드(17)의 록부(18)를 록축(32)의 록테일(31)내에 진입시키고 또 록축(32)을 회전시켜서 록부(18)와 록테일(31)을 잠그고 피스톤로드(17)를 아래로 당겨서 클램핑을 수행하게 된다. 형의 높이조정에 있어서는 실린더(2)에 있는 피스톤로드(17)를 상하로 이동시켜 잠금위치를 상하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즉 가황기 프레임의 한정된 프레인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형(15)의 외측에 4개의 클램핑용 록축(32)을 배설시키고 하형(14)의 외측에 4개의 피스톤로드(17)를 돌출시키는 것은 구조를 복잡하게 하기 때문에 잇점이 없으며 또 이 록축(32)의 4개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기구 또는 피스톤로드(14)의 4개를 동시에 회전시키기위한 작동기구가 각각 필요로 하게 되어 전체의 필요기구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
타이어 가황기에 있어서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스팀등의 열매체를 가황성형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당한 고열과 고압환경에 있어서 형 클램핑시에는 상하형내에 공급되어지는 열매체에 대항하여 이것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상형, 하형은 별도로 하여 이것을 둘러싸는 상돔(15a), 하돔(14a), 또는 가황기 프레임에 있어서는 베이스 프레임이나 톱링크(톱 프레임, 톱 빔)측에는 클램핑반력에 따른 휨이나 변형이 생기기쉽다.
또는 상하형에 있어서 클램핑힘의 분포를 형에 있어서 양 사이드는 강하게 되고 중앙측에서는 이것에 대하여 약하게 되는 등의 경향이 있다.
형 또는 상하돔의 외측에 클램핑기구나 각종의 운동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구조 각부에 악영향을 발생시키는 약점도 있는 등의 문제점등의 상기 문제점이 여전히 잔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형이 하형에 대하여 수직 승강하여 개폐되고 상기 가황조형의 복수개가 공통의 가황기 프레임위에 나란히 설치되고, 각 가황조형이 개별구동자재로 된 형태의 것이다.
그형 클램핑기구와 형 높이 조정기구를 개선하며 특히 필요기구를 간단하게 하여 그에 따른 조작을 현저하게 간단히 한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통 가황기 프레임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측에 설치된 하형과 사이드프레임측에 전기하형에 대하여 수직 진퇴와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한 상형으로부터 만들어져지는 가황용 조형의 복수를 나란히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형에 다른 각각의 상형을 각각 전용의 승강용 실린더를 통하여 개별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각 조형에 따른 상하형의 클램핑기구로서 각 하형 저면을 베이스프레임에 설치한 클램핑힘발생용 실린더에 지지되어지고 각 상형의 승강용 톱 슬라이드의 중심에 세워진 형높이 조정용 신축부를 구비한 클램핑로드 상단을 가황기 프레임에 있어서 톱 프레임의 각 클램핑로드 대응위치에 배치된 가동클램핑플레이트에 접속되게하여 개별클램핑이 자유롭게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힘의 전달을 위한 고강도 단열판이 톱슬라이드와 상형 사이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따른 가황기의 작동이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제1,2,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베이스프레임(1), 베이스프레임(1)위에 세워진 사이드프레임(2,2)의 센터프레임(3), 전기한 각각의 프레임(2,3,2)의 상단을 연결하는 톱프레임(4)으로 이루어지는 가황기 프레임(5)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위에 하형 장착체(6)의 저면에, 균등 배치된 형태의 4개의 장소에 대응하여 4개의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를 설치하여 이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a)를 하형장착체(6)의 저면에 각각 연결지지시킨다.
이 고정하형(7)에 대응하여 상형(9)이 장착된 상형장착체(10)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톱슬라이드(11)를 사이드프레임(2) 및 센터프레임(3) 사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톱 슬라이드(11)의 양측에는 베이스프레임(1)측에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12,12)의 각 피스톤로드(12a,12a)를 연결하게 된다. 이 톱 슬라이드(11)의 프레스 센터와 동심의 중앙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클램핑로드(13)를 세워서 설치하고 클램핑로드(13)의 상단에 나사축(13a)을, 이것과 결합하는 조정너트(14) 및 록너트(15)에 따른 신축부(16)를 설치한다.
이 클램핑로드(13)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의·톱프레임(4)의 하면에, 가이드(17)를 통하여 진퇴가 자유로운 클램프플레이트(18)를 설치하고 동 클램프 플레이트(18)에 의해 클램프 로드(13)의 상단을 구속하는 한편 플레이트(18)에 의하여 로드(13)와 톱프레임(4)이 기계적으로 일체화되게 설치한다. 이상의 구조를 가진 가황조형의 2개를 가황프레임(5)에 나란히 설치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작동이 가능하다.
즉, 제1도에 있어서는 상하 양형(9,7)은 완전히 닫혀진 상태로서 상형(9)에서 톱슬라이드(11)의 중심에 세워져 설치된 클램핑로드(13)의 상단에는 클램핑 플레이트(18)가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위에 설치된 4개의 클램핑힘 발생용실린더(8)의 각피스톤로드(8a)를 필요한 클램핑 압력의 가압하에서 상승시켜, 하형장착체(6)를 통해 하형(7)을 상형(9)에 압착시키고 상형(9)에 있어서 상형장착체(10), 톱슬라이드(11), 클램핑로드(13), 클램핑플레이트(18) 및 톱프레임 (4)에 의한 고정을 통하여 형의 클램핑을 수행하게 된다.
이 형의 클램핑은 나란히 설치된 2개의 가황조형에 따라서 각각 개별로 수행되어져, 전체의 클램핑 힘은 가황기 프레임(5)에 의하여 직접 지지되어지게 된다.
각 가황기 조형에서 상하형(9,7)내에 봉입되어지는 그린 타이어(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스팀등의 열압매개공급하의 가황성형이 공지의 사실과 같이 진행된다.
가황성형이 완료되면 클램핑력 발생용 실린더(8)의 압력을 제거하여 각 피스톤로드(8a)의 하강과 함께 상, 하형(9,7)의 밀착이 풀려진다.
클램핑 플레이트(18)를 후퇴시켜 클램핑로드(13)의 구속을 푼 이후에 승강용 실린더(12,12)의 피스톤로드(12a,12a)를 상승시킴에 따라, 제1도의 우측의 가황조형에 있어서 톱슬라이드(11)를 실선위치로부터 점선위치까지 상승시킴에 따라서 상형(9)의 개방후퇴가 이루어지고 하형(7)의 위에 남아 있는 가황된 타이어를 가황기 밖으로 뽑아내고 공지와 같이 타이어 언로우더의 언로우드 부재에 의하여 이것이 수행되어진다.
이때에 톱슬라이드(11)에 있어 클램핑로드(13)는 톱프레임(4)에 설치된 개구(1a)를 통하여 상형 개방에 있어서 프레임(4)의 상방으로 돌출한다.
가황된 타이어가 가황기 밖으로 제거되어지면 상형(9)은 개방후퇴 자세로 되고 타이어 로우더등을 통하여 새로운 그린타이어가 하형(7)에 대하여 반입되어 셋팅되고 그린타이어 내면에 대하여 하형장착체(6)의 중심위치에 설치된 중심기구(20)에 의한 블레이더(bladder)의 삽입장착이 공지의 방법과 같이 수행되어 진다.
그 이후에 개방후퇴 위치에 상승하여 있는 상형(9)을, 승강용 실린더(12,12)의 피스톤로드(12a,12a)의 하강에 의한 톱슬라이드(11)의 하강을 통하여 하형(7)에 폐합되고 완전히 닫혀지면서 후퇴되어 있는 클램핑플레이트(18)를 다시 가이드(17)에 연하여 진입시켜 클램핑로드(13)의 상단에 정지구속시킴에 의하여 전술한 형 물림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승강용 실린더(12,12)에 따른 상형(9)의 수직진퇴에 있어서는 그 톱 슬라이드(11)의 좌우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21,21)를 사이드프레임(2) 및 센터프레임(3)의 각 내면에 설치한 직진 가이드(22,22)에 연하여 이동시켜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정확한 직진이 가능하고 하형(7)에 대한 상형(9)의 평행도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좌우의 몇개의 가황조형에 있어서 그 상, 하형(9,7)을 다른 두께의 것으로 바꿀 경우 형 높이에 대한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조정은 클램핑로드(13)의 길이변화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클램핑로드(13)의 신축부(16)에 있어서 록너트(15)를 풀고 조정용 너트(14)를 나사축(l3a)에 따라서 역으로 회전시켜 너트(14)의 상단위치를 고저 변화시킴에 의하여 가능하고 록너트(15)로 그 조정위치에 고정시킴에 의해 클램핑플레이트(18)와의 적절한 접속이 정확하게 얻어진다.
즉 본발명의 타이어 가황기에 따르면 상, 하형(9,7)에 따른 가황조형의 복수개를 나란히 설치시키는 한편, 그 상형(9)이 하형(7)에 대하여 수직 진퇴개폐함에 있어 각 가황조형의 상형(9)의 하형(7)에 대한 형개폐가 개별구동이 자유로 되고 상형(9), 하형(7)의 형 클램핑도 개별적 구동이 가능하다. 그 형의 클램핑에 있어서는 클램필플레이트(18)의 클램핑너트(13)에 대한 접속과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a)의 상방이동만으로 족하고 형 높이의 차이에 따른 조정도 클램핑로드(13)에 있어서의 신축부(13)의 신축조작으로도 충분하여 필요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가황기프레임(5)은 그위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프레(2,2)이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윈 형태이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의 중앙위치에는 센터프레임(3)이 동일하게 일련으로 형성된다.
이들 3개의 프레임(2,2,3)의 각 상단에는 톱프레임(4)이 고정됨에 따라서 일체형의강성프레임으로 되어있다.
하형(7) 및 상형(9)의 2개의 가황조형은 좌우의 몇개의 동일구조이기 때문에 그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되어질 것이다.
하형장착체(6) 및 상형장착체(10)는 공지의 플라텐, 단열판 형 지지부재등이 일체로 조립된다. 프레스센터와 중심에 위치하는 하형장착체(6)의 저면에 있는 전기한 센터와 등거리의 4점위치에 베이스프레임(1)측에 설치된 4개의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유압실린더)(8)의 각 피스톤로드(8a)가 단열재(23)를 통하여 연결고정된다. 각 실린더(8)는 베이스프레임(1)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장착빔(24,24)에 2개의 암이 설치되어 잇어 형 클램핑에 있어서 균등한 클랭핑힘 분포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그사이에 하형장착체(6)와 실린더(8)를 단열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양자의 사이에는 제1도에 보인 바와같이 단열재로 되어 있는 단열 환상보드(25)가 끼워져 있다. 동 환산보드(25)의 벽면(하형조립체와 접하는 쪽)에는 전기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a)의 개구(26)가 뚫려져 있다.
하형조립체(6)의 중심위치에는 중심기구(20)가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있다.
기지의 그린타이어 내면에 느슨하게 끼워져 접하여 열압매질(스팀)공급을 통하여 타이어 내면의 성형과 가압을 수행하는 블레이더의 제어를 수행하는 한편 전기한 열압매질의 공급수단을 구비한 중심기구(20)가 리프트레버(27)를 통하여 능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 사이에 중심기구(20)는 블레이더를 벽면내에 수용하는 벽면내장형 및 블레이더가 중심기구외에 멈추는 직립형의 어느것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며 사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벽면내장형의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 하형(9,7)에 대해서는 공지의 금형구조로 그대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상형 장착체(10)의 금형 장착면을 형성하는 정부면은 종래의 상하돔 구조에 대신하여 단열재로 된 보온용의 실드튜브(28)가 중첩되어 장착되어 진다.
이 실드튜브(28)의 튜브부(28a)는 하단이 개구상으로 되어있고 그 높이는 상형 장착체(10), 상형(9), 하형(7), 및 하형장착체(6)의 전부를 둘러싸서 하단은 전기한 단열튜브판(25)의 상단 외주와 맞게되는 높이로 되어있고, 가황성 요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하여 열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시켜준다.
그 사이에 실드튜브(28)의 정부(28b)에, 전기한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a)에 의하여 눌려지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강성의 단열판(29)을 제1도와 같이 설치한다.
이것은 클램핑로드(13), 콜램핑로드(13), 톱슬라이드(11)를 통하여 가황기 프레임(15)측으로부터 지지반력을 상형장착체(10)측에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보온용 실드 튜브(28)의 정부(28b)위에 톱슬라이드(11)의 저면이 전기 고강성 단열판(29)의 위치에의 고정을 통하여 중첩되어 고정된다.
이 톱슬라이드(11)는 내면이 중공의 개략상자형의 프레임 형태로 되고 이 슬라이드(11)의 상면 프레스센터와 동심의 중심위치에 클램핑로드(13)를 상방 돌출형태로 일체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상형(9)의 지지부재로서 톱슬라이드 중심위치에 배치된 지지용 유압실린더(30)는 제1도와 같이 좌우2개의 지지용실린더(30a,30b)에 분할되어, 양실린더(30a,30b)를 클램핑로드(13)가 그사이에 끼워진채 톱슬라이드(11)의 상면 좌우에 나누어 설치하고 양 실린더(30a,30b)의 각 피스톤로드(3l,31)를 상형 장착판(32)의 축에 대하여 연결로드(34)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형(9)을 지지시킨다.
클램핑로드(13)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부(13)는 실시예에서는 로드(13)의 상단을 나사축(13 a)과 이 나사축(13a)에 록 너트(15), 조정용 너트(l4)의 순으로 나사결합되고 록 너트(15)를 풀어서 조정용너트(4)를 회동시킴에 의하여 동일한 너트(14)의 돌출량을 어느정도 가변시킨다. 조정된 위치에서 록 너트(15)는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시 조여진다.
톱슬라이드(11)의 수직승강용 구조로서 실시예는 제1,2,3도에 보여지는 바와같이 톱슬라이드(11)의 상면에 대각위치의 2곳의 코너로부터의 연결암(35,35)을 슬라이드(11)의 좌우 양측면에 연하여 돌출시키고 이암(35,35)과 대응하여 사이드프레임(2), 센타프레임(3)측의 베이스프레임(1)의 전면측 혹은 후면측에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12,12)의 각 피스톤로드(12a,12a)를 각각 암(35,35)의 돌출단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된다. 전기연결암(35,35)측의 사이드프레임(2) 및 센터프레임(3)의 각 내면전후에 적어도 직각인 2면을 갖춘 단면형상의 가이드(22,22)를 수직하고 평행하게 세워서 설치하여 전기 직각인 2면을 톱 슬라이드(11)의 연결암(35,35)과 평행하는 양 사이드를 향하게 하여 이 톱슬라이드(11)의 양 사이드의 전후양단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전기가이드(22,22)의 직각인 2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반향을 다르게 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1,21)를 가진다. 톱슬라이드(11)는 경사져 지는 일이 없이 수평자세로 수직승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일체의 상형장착체(10)의 이동을 통하여 상형(9)의 하형(7)에 대한 평향도가 유지되어진다.
클렘핑로드(13)의 상단을 형 클램핑시 톱 프레임(4)과의 사이에서 접속하여 일체화된 클램핑플레이트(18)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톱 프레임(4)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17)에 진퇴가 자유롭게 지지되어지고 톱프레임(4)의 후측에 브라켓(38)을 통하여 설치된 진퇴용 실린더(39)의 피스톤로드(39a)에 연결되어, 클램핑로드(13)와 대향하는 위치에 톱프레임(4)의 상하에 걸쳐서 설치된 개구(19)를 완전히 차폐하는 크기의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0은 중심기구(20)의 승강용 리프트레버(27)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로서 그 피스톤로드(39a)가 추축(41)을 지점으로 하여 피봇 가능한 리프트레버(27)의 일단에 연결되어져 리프트레버(27)의 구동을 행하는 것이다. 42는 승강용 실린더(12,12)에 의하여 상승하고 개방후퇴 위치에 있는 톱슬라이드(11)의 불의의 고장시에,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실린더등에 의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접속부재는 슬라이드(11)에 전, 후로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지는 등의 구조를 가진 것으로 된다.
클램핑플레이트(18)와 대응하는 클램핑로드(13)에 있어서 신축부(16)는 예를들면 스페이서등의 플레이트구조를 대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타등을 사용하여 자동조정하도록 하는것이 가능하다. 정부 슬라이드(11)와 축방프레임(2) 및 프레임(3)측의 안내(3)와 슬라이드안내(21)로 형성된 안내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2,3)의 측면에 수직한 가이드요부를 설치하고 정부 슬라이드(11)측에 설치한 안내볼록부는 상기 요부로 미끄럼 가능하고 밀폐되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더구나 보온용 실드통(28)의 정부(28b)에 고강성단열판(29)을,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와의 대응위치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대신에 정부(28b)의 전체 또는 실드통(28)전체를 고강성단열재로 형성하는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드통을 상하로 분할하여 하부측은 스프링등으로 플로트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상형(9)의 하형(7)에 대한 개폐동작, 양형(9,7)의 완전폐합 후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의 각 피스톤로드(8a)의 상방향가압에 의한 클램핑이 클램핑플레이트(18)가 클램핑로드(13)의 상단에 결합되어 행하여지고 형 높이의 필요한 조정도 클램핑로드(13)의 신축부의 팽창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가황기 프레임(5)상에 복수의 가황용 조형(組型)을 설치한 형식의 것에 있어서 각 조형을 개별적으로 구동을 하여 양조형에서의 동일한 사이즈의 그린타이어의 가황성형도 가능하고 다른 사이즈의 그린타이어의 개별적인 가황성형도 가능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등의 경우에 특히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별의 조형구동에 있어서 클램핑기구와 형 높이 조정기구의 구조의 간단화, 조작의 용이와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형(7)의 저면의 등분위치를 가압 가능한 복수개의 클램핑힘 발생용 유압실린더(8)를 베이스프레임(1)위에 배설하고 이것에 대하여 상형(9)을 지지하여 승강하는 톱슬라이드(11)의 프레스 센터와 동심의 중앙위치에 1개의 클램핑로드(13)를 세워서 설치하고 로드(13)를 클램핑플레이트(18)와 함께 톱프레임(4)측과 일체화 시킨 구조로 한 때문에 그 클램핑은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a)를 짧은 노정을 상승시킴에 의하여 클램핑힘이 얻어지고 종래기술에서 개시되어 있는 하형의 외주를 폐합하여 4개의 가압실린더와 4개의 클램핑축을 배설하고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아래로 끌어당겨서 형클램핑을 수행하는데에 비하여 구조가 현저하게 간단화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복수의 클램핑축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작동기구를 필요로 하고 혹은 형높이의 조정에 있어서 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높이를 다르게 하기 위하여 피스톤로드의 동시회전 작동기구가 필요로 하게 되는등, 그 필요기구가 복잡하게 되어 상하 양형의 외주에 설치된 스페이스를 크게할 필요가 생기고 가황기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4개의 클램핑힘 발생용실린더(8), 1개의 클램핑로드(13), 1매의 클램핑플레이트(18)만으로 족하고 클램핑플레이트(18)의 진퇴기구만으로 필요한 구조는 간단화된다.
또 형 높이의 조정에 있어서는 진기한 클램핑로드(18)에 설치된 신축부(16)의 신축에 의해 수행되어지는데 개별의 운동기구를 전부다 필요로 하지는 않고 열간가압성형으로 인한 각 구조 부재에 열변형이나 휨등이 발생하기 쉬운 가황기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 클램핑 효과에 있어서는, 종래기술과 같은 하형과 분리된 외주에 가압실린더를 배치하고 클램핑로드를 동일하게 외주측에 배치하는 형태의 것에서는, 하형, 상형에 대한 클램핑힘의 본포가 외측에서는 강하고 중앙에서는 약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에 반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8)의 4개는 직접 베이스프레임(1)상의 하형(7)의 저면등분위치가 피스톤로드(8a)를 통하여 지지되고 피스톤로드(8a)의 누름가압력과 함께 성형(9)측의 프레스 센터위치에 세워져 설치된 클램핑로드(13)를 클램핑 플레이트(18)를 통하여 가황기 프레임(5)의 톱 프레임(4)과 일체화함에 의하여 가황기 프레임(5)의 전체에 의해서 지지되고 중앙은 약하고 주변은 강한 클램핑힘 분포의 불균일한 일이 없게되고 형전면에 걸쳐서 균등한 클램핑힘 분포가 얻어져서 이것에 의하여 확실한 고정의 클램핑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 이것에 의해서 가황기의 가황조형의 원주변은 어떠한 구조부품도 가지지 않게 되고 필요한 스페이스도 축소되며 따라서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동시에 이것은 상형(9)의 하형(7)에 대한 평행도의 유지에도 좋고, 기지의 사실과 같이 상형(9)의 폐합도 중에 중심기구(20)측의 블레이더의 삽입접속과 열압매질의 공급에 의하여 하형(7)상에 셋트되어 있는 그린타이어의 사전성형을 개시하고 이 성형중의 그린타이어는 하강상형(9)에 의하여 함께 아래로 이동한다. 완전히 닫혀지게 될때까지 상하형의 평행도는 특히 중요한데 이 성형중에는 하형(7)은 고정위치에 있고 상형(7)은 톱슬라이드(11)를 통하여 수평직진하는데 상하형의 평행도도 양호하게 유지되어 진다. 또 종래의 상하돔 구조나 브리치록기구등이 없는 것도 구조의 간단화에 기여하는데 개별구동, 형 클램핑, 형높이조정의 가능에 따를 이점이 부가하여 그형 클래핑, 형높이조정을 위한 기구와 조작을 현저하게 간단, 용이화한 점에서 우수한 것이다.
톱슬라이드(11)와 상형 장착체(10)와의 사이에 열변형, 휨 등을 고려하여 고강성단열판(29)을 끼움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힘의 전달은 보다 확실하게 유효화 된다.

Claims (5)

  1. 나란히 실치된 복수개의 가황조형을 가진 수직개폐식의 가황기에 있어서, 공통을 가황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황기가, 하형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여 개폐될수 있도록 사이드프레임상에 장착된 상형과, 베이스프레임측면상에 장착된 하형과, 각각의 전용 상하이동실린더를 통하여서 상기 조형내에서 개별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상기 상형과, 각 하형의 저면은 베이스프레임상에 장착된채 클램핑힘 발생용 실린더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조형의 각각에 있는 상, 하형을 위한 클램핑기구와, 형 높이 조정이 신장된채 각 상형의 승강 톱 슬라이드의 중심에 세워져 있는 클램핑로드의 상단은 개별의 클램핑을 위한 가황기 프레임내에 있는 톱 프레임의 각 클램핑로드에 이동가능한 클램핑플레이트는 대응한 위치에 배열된 접속하게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2.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힘의 전달을 위한한 고강성 단열판이 톱 슬라이드와 상형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이 플레이트부재에 의하여 대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개폐식타이어 가황기.
  4. 제1항에 있어서, 안전장치가 사고시에 톱슬라이드가 추락되어지는 것을 방치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5. 제1항에 있어서, 중심기구가 열압매질과 제어블레이더를 공급하기위하여 하형 어셈블리의 중심위치에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KR1019870000315A 1986-01-16 1987-01-16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KR900007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7360 1986-01-16
JP61007360A JPS62164506A (ja) 1986-01-16 1986-01-16 垂直開閉式タイヤ加硫機
JP7360 1986-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70A KR870006970A (ko) 1987-08-13
KR900007338B1 true KR900007338B1 (ko) 1990-10-08

Family

ID=1166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315A KR900007338B1 (ko) 1986-01-16 1987-01-16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04318A (ko)
JP (1) JPS62164506A (ko)
KR (1) KR900007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1207A (ja) * 1988-02-29 1989-09-04 Kobe Steel Ltd タイヤプレス
JPH02147209A (ja) * 1988-11-29 1990-06-06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開閉および芯出し装置
US5007814A (en) * 1990-02-05 1991-04-16 Saunders Raymond L Device for separating and closing a split mold having two halves
US5102319A (en) * 1990-04-06 1992-04-07 Mcneil Akron Hydraulic squeeze for tire curing press
US5316458A (en) * 1991-01-31 1994-05-31 Mcneil Akron, Inc. Hydraulic tire curing press
JPH05131453A (ja) * 1991-11-14 1993-05-2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US5314648A (en) * 1991-12-16 1994-05-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machine and method
JP3004552B2 (ja) * 1994-12-22 2000-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JP4246862B2 (ja) 1998-11-20 2009-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TR200904796A2 (tr) * 2009-06-19 2011-01-21 Uzer Maki̇na Ve Kalip Sanayi̇ Anoni̇m Şi̇rketi̇ Bir lastik pişirme presi
CN102189628B (zh) * 2009-07-03 2013-08-28 江苏华瑞重工机械有限公司 装卸胎装置
CN101585218B (zh) * 2009-07-03 2011-09-28 江苏华瑞重工机械有限公司 平移硫化机
JP5481656B2 (ja) 2010-02-18 2014-04-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SI2961593T1 (sl) * 2013-02-26 2020-04-30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Postopek za predgretje vsaj enega kalupa
US8777600B1 (en) * 2013-06-25 2014-07-15 Superior Star Engineering Co., Ltd. Hydraulic curing system
US9446561B2 (en) 2013-09-17 2016-09-20 Mcneil & Nrm, Inc. Tire curing press
JP6903562B2 (ja) 2017-12-20 2021-07-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方法および装置
CN112109250A (zh) * 2020-09-04 2020-12-22 安徽万龙模具有限公司 一种全自动龙门蒸锅式硫化系统
CN114889182A (zh) * 2022-05-18 2022-08-12 李�杰 一种通过plc控制的自动化轮胎硫化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971A (en) * 1979-10-18 1981-01-20 Donald Macmillan & Son, Inc. Molding machine with expandable chamber and locking means
US4332536A (en) * 1980-04-09 1982-06-01 Nrm Corporation Hydraulic tire press
JPS5871143A (ja) * 1981-10-23 198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JPS58122843A (ja) * 1982-01-18 1983-07-21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JPS5912827A (ja) * 1982-07-13 1984-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US4484875A (en) * 1982-07-14 1984-11-27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ing press
JPS5922738A (ja) * 1982-07-29 1984-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
JPS59138432A (ja) * 1983-01-27 1984-08-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モ−ルド締付装置
US4453902A (en) * 1983-08-04 1984-06-12 Mcneil-Akron, Inc. Tire curing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64506A (ja) 1987-07-21
US4804318A (en) 1989-02-14
KR870006970A (ko)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338B1 (ko) 수직 개폐식 타이어 가황기
KR860000718B1 (ko) 타이어 가황기의 모울드 체결장치
EP2679368B1 (en) Tire vulcanizer
KR900001908B1 (ko) 타이어 가황기
US5194267A (en) Tire vulcanizing press
CN116175877B (zh) 一种线缆接头的注塑压模设备
EP0797498B1 (en) Open frame injection molding machine
US4383816A (en) Multiple mold clamping apparatus
JPH09169030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2000190332A (ja) 型締装置
JPH0124047B2 (ko)
JP2584138Y2 (ja) 成形型の型締め装置
CN218502993U (zh) 一种铝型材拉伸用的塑型模具
CN215472542U (zh) 一种apg互感器浇注设备
CN115366328B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新能源车用电池支架注塑成型装置
CZ295251B6 (cs) Uzavírací jednotka formy, zejména pro tlakový lis s teplou komorou
JPH0124049B2 (ko)
JPH04332607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H0124048B2 (ko)
JP2647675B2 (ja) スチームドーム式垂直型タイヤプレス
JPH11138545A (ja) タイヤ加硫機
JPS62222809A (ja) タイヤプレスにおける型締付機構
SU709381A1 (ru) Форма дл вулканизации резино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с ребрами жесткости
SU17173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зар дки пресс-форм вулканизационных прессов
CN113500730A (zh) 一种apg互感器浇注设备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