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389B1 -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389B1
KR900004389B1 KR1019870013136A KR870013136A KR900004389B1 KR 900004389 B1 KR900004389 B1 KR 900004389B1 KR 1019870013136 A KR1019870013136 A KR 1019870013136A KR 870013136 A KR870013136 A KR 870013136A KR 900004389 B1 KR900004389 B1 KR 90000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loom
force
roll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400A (ko
Inventor
카츠히꼬 스키타
아키히코 나카다
츠도무 사이넨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2Terry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송출장치의 개략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회전력 전달부분의 일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 부분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송출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텐션레버에 작용하는 모우멘트의 설명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각종 구동 패턴의 설명도.
제 7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장력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바닥 경사(地經系)의 송출구동 패턴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기의 송출장치 2 : 파일 경사
3 : 파일송출비임 4 : 송출 모우터
5 : 가이드 로울 6 : 텐션 로울
7 : 클로오드 펠(cloth el1) 8 : 텐션 레버
9 : 지점축 10 : 프레임
11 : 스프링 걸이구 12 : 장력 스프링
13a, 13b : 기어 14 : 전자 클러치
15 : AC 서어보 모우터 16 : 송출제어장치
17 : 변위 검출기 18 : 바닥경사
19 : 바닥경사 송출비임 20 : 텐션로울
21 : 헬드(heald) 22 : 개구
23 : 위사 24 : 직포
25a, 25b : 안내로울 25 : 크로스로울
26 : 권취로울 27 : 권취비임
28 : 바디 29 : 텐션 레버
30 : 지점축 30a : 지지아암
30b : 지점축 31 : 장력 스프링
32 : 감는직경검출기 33 : 설정기
34 : 연산기 35 : 샘플호울드 회로
36 : A/D변환기 37 : 평균화회로
38 : 검출기 39 : PID제어기
40 : 가산 연산기 41 : D/A변환기
42 : 더하여서 합한 점 43 : 구동 증폭기
44 : 타코제너레이터 45 : 함수발생기
45a, 46b,···45n : 함수발생기 46 : 각도검출기
47 : 더하여서 합한 점 48 : 구동 증폭기
49 : 타코제너레이터 50a, 50b,···50n : 접점
51 : 패턴 선택회로 52 : 샤프트엔코오더
54 : F/V 변환기 53 : 펄스제너레이터
55 : 주된 축 56 : 장력 제어장치
57 : 정전원 회로 58 : 구동증폭기
본 발명은, 직기의 경사를 적극적으로 송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 장력을 직기의 주된 운동과 동기(同期)시키어, 1회전중에서 목표의 값으로 정확히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기의 송출장치는, 텐션 로울에 경사를 감아걸고, 이 텐션 로울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경사의 송출량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그때의 경사장력은, 텐션로울 지지용의 텐션 레버 등으로 가하여지는 웨이트(Weight)나 장력 스프링 등의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부여되어 진다.
따라서, 경사의 목표 장력은, 이 웨이트의 중량이나,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변화시킴으로서 기계적으로 어떤 범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경사의 장력은, 직기의 주된 운동과 동기하여 주된축의 1회전 중에서 맥동적(脈動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인하여, 경사의 장력이 개구나 바디치기 운동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높게된때에, 또는 타월(Towel)직기와 같이, 파일(pile)경사가 낮은 장력하에서 파일을 형성할때에, 적절한 장력 보정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59-133687호의 공보는, 텐션로울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텐션로울에 소위 이징모우션을 부여하여, 장력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이징 장치에서는, 보청해야할 목표의 장력이 텐션로울의 이동량으로서 부여되기 때문에, 보정후의 장력은, 반드시 목표의 장력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텐션로울에 소정량의 이동량이 부여되더라도, 경사의 영(young)률의 변화에 의하여, 또는 그때의 제직조건이나 실제의 제직상황에 의하여, 이동량과 경사의 실제의 장력이 올바른 비례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목표의 장력설정은, 상기와 같은 이징장치로서는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들면 파일조직의 파일형성시의 송출과 같이, 직기의 주된축이 수회 회전하는 도중에, 1회만 약한 장력으로 파일경사의 송출을 필요로 하는 바와같은 불연속적인 제어에서는, 제직중에, 파일경사의 장력이 미묘하계 변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파일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이징장치로서는, 경사장력의 일시적인 높아짐을 완화할 수 있어도, 제어량이 장력으로서가 아니고, 이것과 다른 차원의 이동량으로서 텐션 로울에 부여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장력제어는, 도저히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장력의 제어계에, 경사장력과 같은 차원의 힘을 작용시킴으로서, 경사의 장력을 높은 정밀도로써 제어하여, 경사장력의 일시적인 높아짐을 완화하고, 또한 파일형성등과 같은 낮은 장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텐션 로울의 변위 방향의 장력 스프링의 탄력에 착안하여, 직기의 주된축의 회전과 동기하여서, 상기 장력 스프링의 탄력의 작용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부여하고, 장력 스프링의 실질적인 작용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경사장력을 목표의 값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의 힘은, 전기-기계변환수단, 예를들면 AC 서어보 모우터나 트오크모우터등에 의하여 회전력으로서 텐션 레버의 회전중심에 가하여지게 된다.
그 결과, 경사의 장력은, 장력 스프링의 탄력과 소정의 힘과의 합의 사이에서, 평형 상태로되어, 목표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제어과정에서, 경사의 영률이 일시적으로 변화한 것으로하거나, 또는 현실의 제직조건이나 실제의 제직 상황이 변동한 것으로 하여도, 경사의 장력은, 항상 장력 스프링의 탄력과 이것에 가감산적으로 부여되어지는 소정의 힘과의 합한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목표의 값으로 된다. 무엇보다도, 소정의 힘 그것이 장력 스프링의 탄력을 담당하고 있으면, 탄력 스프링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또한, 타윌직기용의 파일 경사의 송출과 같이, 직기의 주된축의 수회전중에서 l회만 파일경사를 급속히 송출하고, 더우기 그 장력을 낮은 값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와같은 경우에, 텐션 로울자체의 정지시의 관성, 또는 반대로 이동시의 관성이 문제로 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같은 관성력에 의한 경사 장력의 일시적인 변동을 억제하는 것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는, 텐션 로울이 변위가능한 상태로서 지지되어 있고, 전기-기계 변환수단이 직기의 회전과 동기하여, 텐션로울에 경사장력과 균형방향의 힘을 작용시켜가기 때문에, 경사의 장력제어가 높은 정밀도하에서 실현할 수가 있다.
종래와 같이, 경사의 장력제어가 텐션로울의 변위량의 제어로서 행하여지는 제어계에서는, 경사의 늘어남이나 제직시의 외적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텐션로울의 변위량과 장력과의 상관관계가 어긋나면, 목포장력의 정확한 설정이 곤란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경사의 장력제어가 같은 차원의 조작량으로서의 힘에 의하여 부여되기 때문에, 정확한 장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종래에, 제어대상으로 되었던 1회전중의 장력 변동이나 파일 형성시의 미세한 장력제어도 가능하게 되어, 보다 고도의 장력 제어나 파일 형성시의 파일 뽑힘둥이 미연에 방지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송출제어계통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직기의 송출장치(1)를 파일경사(2)의 송출에 대응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수개의 파일경사(2)는, 파일송출 비임(3)의 바깥둘레로 직조 폭에 걸쳐서, 시이트형상으로 감겨지게 되어 있고, 송출모우터(4)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등을 개재하여 적극적으로 송출되어, 가이도 로울(5) 및 텐션로울(6)의 바깥둘레에 감겨 걸려진후, 클로오도 펠(7)의 방향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도 로울(5) 및 텐션 로울(6)은, 동시에 텐션레버(8)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릅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텐션 레버(8)는, 지점축(9)에 의하여 프레임(10)의 정위치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이것의 한쪽 끝단과 프레임(10)의 스프링 걸이구(11)와의 사이에 형성된 장력 스프링(12)에 의하여, 파일경사(2)에 대하여 항상 장력이 걸린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점축(9)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어(13a), (13b)에 의하여, 또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극식의 전자 클러치(14)를 개재하여서, 전기-기계 변환수단 예를들면 AC 서어보모우터(15)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이 AC 서어보모우터(15)는,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고, 정지상태에서도, 전류값에 비례한 소정의 힘으로서, 회전력발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송출 모우터(4)는, 송출제어장치(16)의 제어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송출제어장치(16)는, 변위검출기(17)에 의하여 텐션레버(8)의 변이를 검출함으로서, 파일경사(2)의 소비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그 소비량에 대응하여, 송출모우터(4)를 송출방향으로 구동하여, 파일경사(2)를 송출하여 간다.
또한, 이 송출제어창치(16)는, 피이드백 제어계이고, 통상은, 큰 시정수로서 응답하기 때문에, 개구운동시, 또는 파일형성시의 일시적인 텐션로울(6)의 위치변동을 제어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이 송출제어장치(16)의 내부구성은, 다음에 제 4 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바닥경사(18)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경사 송출비임(19)에 의하여 공급되고, 텐션로울(20)에 감겨지며, 헬드(21)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개구(22)를 형성하여, 이 위치에서 위사(23)와 교차하고, 바디(28)에 의하여 바디치기되어, 직포(24)의 바닥조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직포(24)는, 앞뒤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크로스로울(25) 및 복수개의 안내로울(25a), (25b)및 권취로울(26)을 경유하여, 권취 비임(27)의 바깥둘레에 감겨져 간다.
또한, 상기 텐션로울(20)도, 지점축(30)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텐션레버(29)에 의하여 변위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장력 스프링(31)에 의하여 바닥경사(18)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지점축(30)은, 지지아암(30a)에 의하여 프레임(10)에 대하여 지점축(30b)에 의하여 앞뒤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상태로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지지아암(30a) 및 상기 크로스 로울(25)는, 예를들면 정확히 동작하는 캠 기구에 의하여, 직기의 주된축(55)의 회전과 동기하면서 다음의 바디치기 할때에 앞쪽으로 이동하는 테리(Terry) 모우션을 행하여 클로오드펠(7)을 앞쪽으로 이동시키어, 적당한 바디 회피량(파일형성부의 길이)을 부여하고 있다.
이들의 바닥경사 송출비임(19)이나 권취 로울(26) 및 권취비임(27)의 회전은, 각각 전동모우터 또는 기계식의 송출기구 또는 권취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는데, 그들의 부분은, 종래와 같은 형태이다. 직기의 운전에 의하여 제직이 진행하면, 파일경사(2)가 순차 앞쪽으로 이동하는 직포(24)에 의하여 잡아당겨져서, 파일경사(2)의 장력은, 점차로 높아져 간다.
그것에 따라서, 텐션레버(8)는, 장력 스프링(12)에 대향하여, 제 1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의 텐션레버(8)의 변위는, 변위 검출기(17)에 의하여 변위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검출된다.
그리고, 이 신호가 송출제어장치(16)에 입력되기 때문에, 송출제어장치(16)는, 송출모우터(4)를 적극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파일경사(2)를 송출방향으로 회전시키어, 클로오드펠(7)을 항상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여간다.
이와같은 적극적인 송출운동은, 바닥경사(18)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파일경사의 송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들면, 3가닥의 위사타월의 파일 조직에서는, 1리피트(repeat)가 3픽크, 즉 직기의 주된축(55)의 3회전이고, 제 1 도에 나타낸 직포 이동식 테리 모우션을 채용하는 직기에 있어서는, 파일 형성을 일으키는 바다치기와 그것에 이어서 다음의 바디치기와의 사이에 파일경사(2)를 낮은 장력으로서 또한 파일의 형성에 필요한 길이만큼 송출하고, 또한, 파일 형성을 일으키는 바디치기와 그 앞의 바디치와의 사이에 파일경사(2)를 낮은 장력으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또한, 바디치기 운동변경 방식의 테리모우션을 채용하는 직기에 있어서는, 제1 및 제 2 의 위입에서는, 보통의 직조와 마찬가지의 바디치기운동이 행하여지지만, 제3번째의 위입에서는, 소위 테리모우션이라 불리우는 특수한 바디치기가 행하여지며, 이때에, 파일경사(2)를 낮은 장력으로, 그러면서도 파일의 형성에 필요한 길이 만큼 급속히 송출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파일경사(2)의 송출량은, 아래에서와 같은 계산에 의하여 구하여진다.
이제, 여기에서 파일 송출 비임(3)의 회전수를 ω[rpm]로, 파일 경사(2)의 감는 반경을 R[mm]로 하면, 파일 송출 비임(3)의 둘레속도 V는, 아래의 식에 의하여 구하여진다.
Figure kpo00001
한편, 직기의 주된 축(55)의 회전수를 n[rpm], 위사(23)의 때려 넣는수를 B[갯수/cm]로 하면, 그 때려넣는 수에 상당하는 1픽크당의 송출량은, 10/B[mm]이기 때문에, 바디의 회피량(파일 형성부의 길이)을 d[mm]로 하면, 3픽크에 필요한 경사 송출량 L[mm]은, 아래식에 의하여 구하여진다.
Figure kpo00002
그리고, 3픽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3×(60/n)[초]이기 때문에, 둘레속도 v는, 아래와같이 바꾸어 쓸수 있다.
Figure kpo00003
이상의 2식으로부터 둘레속도 v를 소거하면, 회전수 ω는, 아래와 같이된다.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송출모우터(4)로부터 파일 송출비임(3)까지의 기어비를 m으로 하면, 모우터 회전수 No[rpm]는 아래의 식으로 구하여진다.
Figure kpo00005
상기의 식이 파일 송출 비임(3)을 구동하는 모우터(4)의 회전수의 기본 연산식이고, 상기 기어비 m는 시스템에 고유의 값이기 패문에, 감는반경R, 회전수n, 때려넣는수B 및 바디회피량d을 부여하면, 기본의 모우터회전수No는, 연산 가능하게 된다.
제 4 도는, 송출제어장치(16)의 1예이며, 이와같은 기본적인 모우터회전수 No를 구하는 과정을 블록에 의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주된축(55)의 회전수n, 때려넣는 수B 및 바디회피량d은, 설정기(33)에 의하여 파라메터로서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다.
또한, 파일 송출 비임(3)의 위치에서, 파일경사(2)의 감는 반경R은, 공지의 수단인 감는 직경 검출기(32)에 의하여 항상 측정되어 있다.
또한, 연산기(34)는, 이들의 수치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의 기본 연산식에 의해 계산을 하고, 모우터회전수 No를 디지탈량으로 산출한다.
한편, 이 기본연산식에 자동제어계의 출력 Mp이 가하여진다. 즉, 최종적인 회전수 N[rpm]는, 아래의 식에 의하여 구하여진다.
Figure kpo00006
여기에서, 자동제어계의 출력 Mp은, 주된 축(55)의 3회전 중의 일정의 회전각 마다에 3r(r : 리피트수)회샘플링하여 얻어지는 텐션 레버(8)의 변위 Xi를 평균하여서 얻어지는 PID출력이다.
즉, 그것은 미국 특허공보 USP4,513,79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Figure kpo00007
제 4 도는, 마찬가지로 이상의 과정을 블록으로 예시하고 있다. 즉, 변위검출기(17)의 출력은, 샘플 호울드회로(35)로서 유지되어, A/D변환기(36)에 의하여 아날로그량에서 디지탈량의 출력 Xi으로 변환되고, 또한 평균화회로(37)에 의하여, 어떤 샘플링 횟수k에 대한 평균값 X(k)으로 된다.
물론, 이 일련의 샘플링, 평균값 동작은, 변위검출 타이밍 검출기(38)에 의하여, 직기의 주된축(55)의 소정회전각마다 실행된다.
그러고, 평균값X(k)은 PID제어기(39)에 의하여, 비례,적분,미분 동작하에서 출력 Mp로 되고, 가산연산기(4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탈적인 지령의 회전수 N로 된다. 이후에, 회전수 N는, D/A변환기(4l)에 의하여, 아날로그량으로 변환되고, 더하여서 합한점(42)을 경우하여, 구동증폭기(43)로서 증폭된 후에, 직류의 송출모우터(4)를 구동한다.
이때의 송출모우터(4)의 회전은, 피이드백 제어계의 타코제너레이터(44)에 의하여 검출되어, 더하여서 합한점(42)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다음에 텐션 로울으로의 힘의 부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텐션 레버(8)에 부여되어지는 힘은, 제 5 도로부터 아래와 같이 하여서 구하여지게 된다. 파일 경사(2)의 장력 T의 합성력의 텐션 레버(8)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을 FT, 장력 스프링(12)에 의하여 텐션 레버(8)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을 Fo로 하면, 모우멘트의 균형의 식은 아래와 같이 된다.
R1·Fo==R2·FTFo=k·αx
여기에서 ,α는 수직방향의 유효성분을 나타낸 계수이고, k는 스프링 정수이며, x는 변위량이고, 또한 Rl, R2는 각각 지점축(9)으로부터 각각의 작용점까지의 유효길이를 나타낸다.
파일경사(2)는, 상기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변위검출기(17)에 의한 피이드백 제어로서, 일정한 낮은 장력T으로 송출되어 간다.
여기에서, 바디 회피량 d만큼 크로스 로울(25)이 앞쪽으로 이동할 경우에, 텐션 로울(6)는, 앞쪽으로 이동하고, 이때에 장력 스프링(12)이 변위량 △x만큼 늘어나게 하면,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R1·kα(x+△x)=R2(FT+△FT)
Figure kpo00008
즉, 파일경사(2)의 장력 T이 증가하여, 이것이 크면 파일 뽑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AC서어보 모우터(15)는, 텐션 레버(8)를 제 5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어, 텐션 로울(6)에 회전력(TM)을 부여한다.
이때에, 상기식은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Figure kpo00009
따라서, 회전력 TM=R1·k·α·△x로서 부여되어지는 토오크를 부여하면, △FT=0으로 되고, 장력 T는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력 TM〉R1·k·α·△x로 하면, △FT〈0, 즉 장력 T을 약하게 하는것도 가능하고, 확실하게 파일 뽑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에, 장력 스프링(12)의 신축과 파일경사(2)의 장력 T의 관계로서, 장력 스프링(12)의 겉보기상의 스프링 정수를 K로 하면,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R1·Kα(x+△x)
Figure kpo00010
즉, 겉보기상의 스프링 정수K가, 이 경우에 사실상 작게되어 있다. 다음에, 덴션 로울의 관성 제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직기의 운동과 동기하여, 크로스로울(25)이 앞뒤쪽으로 이동하여 있고, 이 크로스로울(25)이 다시 뒷쪽으로 이동할 때에, 이것에 따라서 텐션 로울(6)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텐션 로울(6)의 기계적인 지지계의 관성이 크면, 파일경사(2) 또는 바닥경사(l8)가 느슨해지기때문에, 개구불량으로 되어서, 위입을 할 수가 없게된다.
이와같은 경우는, AC서어보 모우터(15)를 일시적으로 역회전시키어, 되돌아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겉보기상 장력 스프링(12)의 힘을 강하게 하여 응답을 빠르게함과 동시에, 장력 T이 떨어지지않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여, 텐션 로울(6)의 관성이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억제된다. 또한, 텐션 로울(6)가 뒷쪽으로 이동하여 온 위치에서, 예상한 바와같이 관성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오버런하면, 장력 T이 높게되고, 균일한 파일의 형성을 할 수가 없게되는 것도 예측된다.
이와같은 경우는 일시적인 AC서어브 모우터(15)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파일경사(2)의 송출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고, 겉보기상 장력 스프링(12)의 탄력을 약하게 하여, 응답을 빠르게함과 동시에 알맞은 성질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6 도는, 이상의 구동패턴을 바디치기운동 및 직포(24)의 이동과의 관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패턴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같이, 직포(24)가 후퇴방향으로 이동할때에, AC서어보 모우터(15)는, 클로오드펠을 뒷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또한 그 이동의 완료시점에서 클로오드펠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두고, 또한 직포(24)의 전진시에, 직포(24)의 후퇴완료후 계속적으로 또는 단속상태로서 클로오드펠(7)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동패턴(1),(2),(3),(4a),(4b)는, 파일경사(2)의 종류나, 클로오드괠(7)의 이동량, 또한 텐션로울(6)의 관성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형태로서 설정된다.
또한, 파일경사(2)에는, 통상의 개구운동, 바디치기운동에 의한 장력 변동이외에, 직포(24)의 이동에 의한 장력 변동이나, 장력이 약하기 때문의 기계 계통의 관성에 의한 장력 변동등이 복잡한 위상관계를 갖고서 나타난다.
이와같은 복잡한 장력 변동도, 적절한 패턴의 설정에 의하여 상쇄할 수가 있다.
또한, 바닥직조가 행하여지는 운전기간에서는, 클로오드펠(7)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텐션 로울(6)로의 강제적인 장력 부여기구도 정지시킨다.
또한, AC서어보 모우터(15)의 경우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회전력이 2개의 기어(13a),(13b)를 개재하여, 지점축(9)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텐션 로울(6)의 기계계의 질량이 크게 된다.
그러나,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들의 회전력의 전달과정에서, 공극식의 전자 클러치(14)를 개재시키면, 텐션 로울(6)의 기계계의 관성을 작게할 수가 있으므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제 7 도) ] ·
이 실시예 1 은, 장력 제어장치(56)에 의하여, 상기 전기-기계변환수단 즉 AC서어보 모우터(15)를 소정의 패턴으로 구동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함수발생기(45)는, 소정의 구동패턴을 기억하고 있고, 각도 검출기(46)에 의하여 직기의 주된 축(55)의 1회전 중의 각도를 검출하여, 그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구동패턴의 출력을 읽어내고, 이것을 더하여서 합한점(47)을 통하여 구동증폭기(48)로 출력하고 있다.
또한, 이 구동증폭기(48)는, 그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AC서어보 모우터(15)를 구동하여 간다.
한편, 이 AC서어보 모우터(15)의 회전은, 타코제너레이터(49)에 의하여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전기량의 신호로서 검출되어, 상기 더하여서 합한점(47)으로 되돌아오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하여, 구동증폭기(48)는, 함수발생기(45)에서 지정되는 구동패턴에 의하여, 피이드백 제어하에서, AC서어보 모우터(15)의 회전력(TM)을 직기의 회전과 함께 제어하여 간다.
실시예 2 (제 8 도)
이 실시예 2는, 복수개의 구동패턴과 대응하여, 복수개의 함수발생기(45a), (45b)···(45n)를 준비하고, 이들의 출력쪽의 접점(50a), (50b)···(50n)을 패턴선택회로(51)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온" 상태로 설정하여, 더하여서 합한점(47)으로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패턴선택회로(51)는 주된 축(55)의 샤프트 엔코오더(52)에서의 신호에 의하여서, 복수개의 함수발생기(45a), (45b)···(45n)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하여 간다.
동시에, 이 패턴선택회로(51)는, 미리 설정된 입력정보에 의하여서, 개구운동의 지령, 위사(23)의 선택, 때려넣는 수(밀도)(B)의 선택등의 제어도 행하여 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AC서어보 모우터(15)의 회전은, 펄스 제너레이터(53)에 의하여, 펄스신호로서 검출되고, F/V변환기(54)에 의하여, 펄스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의 신호로 변환되어, 더하여서 합한점(47)으로 되돌아오게 되어있다.
[ 실시예 3 (제 9 도) ]
이 실시예 3 은, 상기 실시예 1 과 기본적으로 같지만, 구동증폭기(48)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지령을 부여하여, 전기-기계변환수단으로서의 AC서어보 모우터(15)를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하는 예이다.
또한, 구동원이 역회전이 불가능한 때에는, 지점축(9)의 각 끝단부에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동원과 공극식의 전자클러치(14)를 개재시키면, 1방향의 회전구동원에 의하여, 어느쪽의 방향으로의 회전력(TM)의 부여도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4 (제 10 도) ]
이 실시예 4 는, 주된 축(55)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패턴을 선택하는 예이다.
직기의 고속운전 또는 저속운전에 대응하여, 접점(50a), (50b)이 선택적으로 "온"상태로 되고, 함수발생기(45a), (45b)에서, 제 6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패턴(4a) 또는 패턴(4b)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 실시예 5 (제 11 도) ]
이 실시예 5 는, 정전된 회로(57) 및 구동증폭기(48)에 의하여 AC서어보 모우터(15)를 정속도로서 구동함과 동시에, 공극식의 전자클러치(14)를 함수발생기(45)에 의하여 구동하는 예이다.
즉 함수발생기(45)는, 각도검출기(46)에서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구동증폭기(58)를 구동하여, 전자클러치(14)에 작용하는 회전 전달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간다.
이 결과, AC서어보 모우터(15)의 회전력은, 전자클러치(14)에 의하여, 구동패턴에 대응한 토오크 결국 회전력(TM)으로 변환되어, 지짐축(9)으로 전달된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는, 파일경사(2)의 장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바닥경사(18) 또는, 통상의 직기의 경사의 장력 제어에도 당연히 응용할 수가 있다.
제 12 도는, 직기의 주된 축(55)의 1회전 중에서의 바닥경사(18)의 장력 변화와, 구동패턴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직기의 기동시에는, 스톱 마아크를 방지하기 위한 소위 킥백(Kick back)동작과 대응하여, 정역회전 방향의 구동패턴이 부여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는, 어느것도 텐션 로울(6)을 텐션 레버(8)에 의하여 회동운동 가능한 상태로서 지지하고 있는데, 이 텐션 로울(6)의 지지형태는, 예를 들면 직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서 지지하여도 좋고, 따라서, 전기-기계변환수단은, 회전력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방향의 힘을 발생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미 기재한 바와같이, 전기-기계변환수단이 장력 스프링(12)의 탄력도 부담하는 형식의 것으로하면, 이 장력 스프링(12)은, 생략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송출비임(3)에서의 경사(2)를 변위가능한 텐션 로울(6)에 감아걸고, 이 텐션 로울(6)의 위치에서 경사(2)의 장력과 텐션 로울(6)의 변위방향의 힘을 균형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텐션 로울(6)의 변위에 대응하여, 상기 송출비임(3)을 송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직기의 송출장치(1)에 있어서, 직기의 주된 축(55)의 회전과 동기하여, 상기 텐션 로울(6)에 변위방향의 소정의 힘을 부여하고, 이 힘에 의하여 경사(2)의 실질적인 장력을 가감하여, 경사(2)의 장력을 직기의 1회전중에서 목표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 장력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힘을 전기-기계변환수단(15)에 의하여 부여하고, 이 변환수단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전기신호를 복수개 준비하고, 그들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기-기계변환수단(15)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의 패턴중에 텐션 로울(6)의 관성을 상쇄하는 방향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중의 어느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로울(6)을,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상기 전기-기계변환수단(15)을 텐션 로울(6)의 지점축(9)에 회전력으로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기계변환수단(15)을 서어보 모우터로 하여, 그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작용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기신호의 패턴중에서 1개를 실처리시의 저속운전용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토오크 전달 경로중에 공극식의 전자클러치(14)를 개재시키어, 전기-기계변환수단(15)을 정속모우터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경사장력 제어방법.
KR1019870013136A 1986-12-04 1987-11-21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KR900004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89339 1986-11-04
JP61-289339 1986-12-04
JP61289339A JP2710046B2 (ja) 1986-12-04 1986-12-04 パイル織機のたて糸張力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400A KR880006400A (ko) 1988-07-22
KR900004389B1 true KR900004389B1 (ko) 1990-06-23

Family

ID=1774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136A KR900004389B1 (ko) 1986-12-04 1987-11-21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27985A (ko)
EP (1) EP0271021B1 (ko)
JP (1) JP2710046B2 (ko)
KR (1) KR900004389B1 (ko)
DE (1) DE37894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1402B (sv) * 1988-06-28 1990-02-12 Aelmhults Bruk Ab Anordning foer reglering av varptraadsspaenning vid en vaevmaskin
DE58901071D1 (de) * 1988-07-08 1992-05-07 Sulzer Ag Frottierverfahren und webmaschine mit florbildungsorganen.
DE58901019D1 (de) * 1988-07-08 1992-04-30 Sulzer Ag Verfahren zur kettspannungssteuerung und webmaschine mit kettspannungsorgane.
JPH0718071B2 (ja) * 1988-07-27 1995-03-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サッカー織機
BE1002819A3 (nl) * 1989-02-06 1991-06-18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weven van een weefsel met een weefselpatroon, en weefmachines die deze werkwijze toepassen.
US5002095A (en) * 1989-10-17 1991-03-26 Fieldcrest Cannon, Inc. Electronic control of terry pile warp yarn dispensing rate
SE470313B (sv) * 1992-06-10 1994-01-17 Aelmhults Bruk Ab Anordning vid vävmaskin innefattande individuellt styrda skaftramar
DE4310840C1 (de) * 1993-04-02 1994-01-13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Zugspannung in einer Polkettfadenschar beim Herstellen von Frottiergewebe auf Webmaschinen
JPH0782631A (ja) * 1993-09-09 1995-03-28 Kayano Orimono Kk パイル地の製織装置
EP0682131B1 (de) * 1994-05-10 2001-11-28 Sulzer Textil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Bewegungsablaufes des Florkettablasses und Frottierweb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530222C1 (de) * 1995-08-17 1996-06-05 Dornier Gmbh Lindauer Steuersystem für die Polkette zur Herstellung von Frottiergewebe auf Webmaschinen
DE19530333C2 (de) * 1995-08-17 1997-08-28 Univ Eberhard Karls Amplifikation von Pilzzellen-DNA sowie Verfahren zum Nachweisen von Pilzzellen in klinischem Material
EP0812940A1 (de) * 1996-06-11 1997-12-17 Sulzer Rüti Ag Einrichtung zum Spannen der Webkette und Web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Einrichtung
EP0937796A1 (de) * 1998-02-18 1999-08-25 Sulzer Rüti Ag Vorrichtung zum Spannen von Kettfäden für eine Webmaschine und Webmaschine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JP3321412B2 (ja) * 1998-05-11 2002-09-0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イージング方法
JP2004011065A (ja) * 2002-06-07 2004-01-15 Tsudakoma Corp パイル織機
JP2004169227A (ja) * 2002-11-21 2004-06-17 Tsudakoma Corp パイル織機の制御方法
TWI364466B (en) * 2009-12-04 2012-05-21 Taiwan Textile Res Inst Weaving machines and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US8662112B2 (en) 2009-12-04 2014-03-04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Weaving machines and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CN102383244A (zh) * 2010-08-31 2012-03-21 青岛星泽机电科技有限公司 高速智能喷气织机
CN102154767B (zh) * 2011-04-11 2012-02-22 青岛同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绒布高效织造送经的方法
CN102121158B (zh) * 2011-04-11 2012-09-12 青岛同春机电科技有限公司 织造双层绒布的高速喷气织机
JP5464172B2 (ja) * 2011-05-27 2014-04-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パイル織機のパイル経糸張力調整装置
CN102605513B (zh) * 2011-12-22 2014-03-12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保健按摩粘扣带织物的制造方法及其织机系统
DE102015102029A1 (de) * 2015-02-12 2016-08-18 Lindauer Dornier Gmbh Startverfahren für eine Webmaschine
CN104878510B (zh) * 2015-06-04 2016-04-27 佛山慈慧通达科技有限公司 经纱张力补偿装置及多层织机
CN105544072A (zh) * 2016-01-25 2016-05-04 绍兴纺织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毛巾剑杆织机的经线张力调节机构
JP7264636B2 (ja) * 2018-12-21 2023-04-2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高さ異常の検出方法、及びパイル高さ異常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パイル織機
BE1027384B1 (nl) * 2019-06-20 2021-01-28 Vandewiele Nv Gaapvormingsinrichting
CN112575433A (zh) * 2019-09-28 2021-03-30 英凯模金属网有限公司 一种挂轴和经轴通用智能金属丝网织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64621A5 (ko) * 1973-04-06 1975-07-31 Sulzer Ag
DE2817185B2 (de) * 1978-04-20 1980-07-17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8990 Lindau Polkettfadenabwickelvorrichtung für eine Frottierwebmaschine
GB1593033A (en) * 1978-05-25 1981-07-15 Scapa Eng Control of warp and cloth tensions in weaving looms
CH629549A5 (en) * 1979-04-09 1982-04-30 Grob Willy Ag Positive warp let-off device
CH654351A5 (en) * 1981-12-17 1986-02-14 Regatron Ag Method for regulating the warp tension in a weaving machine and warp let-off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S59133687A (ja) * 1983-01-21 1984-08-01 株式会社東芝 警報表示装置
JPS59129889U (ja) * 1983-02-16 1984-08-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電動送り出し制御装置
JPS59133687U (ja) * 1983-02-25 1984-09-0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気式イ−ジング装置
JPH0694614B2 (ja) * 1983-02-25 1994-11-2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動送り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3375933D1 (en) * 1983-11-01 1988-04-14 Rueti Ag Maschf Terry loom
JPS6183353A (ja) * 1984-09-27 1986-04-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織機の経糸張力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9425T2 (de) 1994-06-30
US4827985A (en) 1989-05-09
EP0271021A3 (en) 1991-03-06
EP0271021A2 (en) 1988-06-15
JPS63145451A (ja) 1988-06-17
KR880006400A (ko) 1988-07-22
JP2710046B2 (ja) 1998-02-10
EP0271021B1 (en) 1994-03-23
DE3789425D1 (de)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389B1 (ko) 직기의 경사 장력 제어방법
US5014756A (en) Pile warp tension control in a loom
EP0290039B1 (en) Pile warp yarn tens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for carrying out the same
EP0153699A2 (en) Takeup motion control device for looms
US4949759A (en) Seersucker loom with tension regulation of puckering warp
JP3039942B2 (ja) 織柄布を織る方法
EP1369514A1 (en) Pile loom
JPH05156546A (ja) テリー織物のループ長さ変更装置と変更装置を備えた織機
EP0594250B1 (en) Improved device for automaticall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shed vertex in a loom
US6029715A (en) Method of controlling pile warp tension on pile fabric loom
EP13312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ft bars in a loom
EP1460158A2 (en) Filling bar preventing method and apparatus
EP17753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winding diameter in textile machine
US6070619A (en) Easing roller control method
JP2001131845A (ja) パイル経糸の張力制御方法
JP2002173849A (ja) パイル経糸制御方法およびパイル経糸制御装置
EP1505183A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weight data for weaving operation and weight controller for weaving operation
JPH1060753A (ja) 織機における巻径計測装置
JP3377737B2 (ja) パイル織機のパイル経糸張力制御方法
EP11018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nsion of warp
JP3311918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倍率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6077340A (ja) 布移動式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27150A (ja) パイル長さの自動制御方法
JP3716547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織り密度補正装置
JP2003221762A (ja) 織機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