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39B1 -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 Google Patents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39B1
KR900001739B1 KR1019860005999A KR860005999A KR900001739B1 KR 900001739 B1 KR900001739 B1 KR 900001739B1 KR 1019860005999 A KR1019860005999 A KR 1019860005999A KR 860005999 A KR860005999 A KR 860005999A KR 900001739 B1 KR900001739 B1 KR 90000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sing
planetary gear
planetar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158A (ko
Inventor
히데야스 마도바
Original Assignee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히데야스 마도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히데야스 마도바 filed Critical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two central gears coupled by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80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means for equalising the distribution of load on the planet-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33Yieldability in gear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동일한 것의 평면도.
제4도는 케이싱만의 저면도.
제5도는 제4도중의 V-V 단면도.
제6도는 유성기어 장치만의 평면도.
제7도는 외각 내치(外殼內齒)기어만의 측면도.
제8, 9도는 다른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태양 기어 2 : 유성기어
3 : 외각내치 기어 4 : 캐리어
4 : 주캐리어반 (盤) 4 : 부캐리어반
5 : 유성축 6, 7 : 유성 원판
8 : 유성 기어링 10 : 돌출부
11 : 끼워넣는돌기(突起) 12 : 돌출부
13 : 끼워넣는 구멍 14 : 태양축 구멍
15 : 캐리어축 구멍 16 : 유성축 멈춤구멍
17 : 트인곳 18 : 평활 외통면
19 : 회전방지 원호편(圓弧片) 21 : 소 원판부
23 : 대 원판부 24 : 축을 넣는 구멍
25 : 외각 기어부 26, 27 : 원통부
28 : 코오킹(calking) 30 : 외부 리브(rib)
31 : 원호홈 33 : 원요부(圓凹部)
40 : 동체부(胴體部) 41 : 원추부(圓錐部)
42 : 원통부(圓筒部) 44 : 내주면
45 : 회전방지 돌출부
본 발명은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스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유성기어 장치는 감속기 또는 증속기로서 넓은 용도를 가지고 있다. 유성기어 장치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용도로 사용되는 외각 내치 기어는 케이싱에 고정된다.
이 경우 외각 내치 기어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보울트 등으로 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상예이다.
예를 들면 세탁기의 감속기로서 유성기어 장치가 사용되도록 되어졌다. 일본 특허공고 소화 60-27320호(소화 60,6,28공고)는 일조식(1槽式) 탈수 세탁기의 감속기에 유성기어 장치를 사용한 것이다. 유성기어 장치는 하나의 통합된 유니트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평 기어를 다수 조합시킨 것 보다도 제조공정이 단순화된다.
전술한 공보에서는 외각 내치 기어가 축방향의 나사에 의하여 케이싱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나사는 4개 또는 8개가 사용되는데 내치기어에 뚫어진 구멍과 케이싱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킨 다음 나사를 구멍에 넣고 드라이버로 나사를 돌려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점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케이싱에 축방향으로 핀을 형성하여 놓고 외각 내치 기어에 구멍을 뚫어서 이 구멍에 상기의 핀이 넣어져서 회전을 방지한다는 고안도 구상되었었다.
이상과 같은 고안은 링형상의 누름판으로 외각 내치 기어를 축방향으로 눌러 고정되게 한 것이다.
구멍과 핀의 사이에는 크리어런스(clearance)가 거의 없으므로 나사로 고정시키는 것과 같이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과 핀의 위치를 합치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장치해 넣는데 시간이 걸리는 등이 문제점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감속기는 기어를 조합한 것이므로 소음(騷音)이 난다. 세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떠한 것에 사용되어도 감속기로부터 소음이 생긴다. 물론, 하나의 기계는 다양한 구성으로 되므로 감속기 이외에서도 소음은 생긴다.
소음이 발생을 낮게한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조를 제공하는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부착 작업이 용이한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이다.
유성기어 장치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았었다. 이는 대칭성(對稱性)이 정밀하여야 효율이 좋다.
통상의 기어계(係)와 같이 자유도가 높지 않으므로 치수 오차가 있게 되면 기어가 서로 움직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힘을 서로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만들기 힘든다는 결점이 있었다.
정밀도가 높게 되면 과히 문제없게 되므로 모름지기 정밀도를 높여서 양호한 유성기어 장치를 만들어야만 하였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유성기어 장치는 당연히 고가의 것으로 되었다. 보급을 저지하는 원인은 여기에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고정밀도의 것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된다는 것이므로 외각 내치 기어의 케이싱에 대한 고정도 오차를 되도록 적게해서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나사나 핀에 의한 견고한 연결구조가 종래로부터 채택되어 온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고루한 관념을 전환시킬만한 유성기어 장치를 발명하였다(일본 특허출원 소화 56-193113, 특허공개 소화 58-94656, 소화 58.6.4공개).이 발명에서는 유성기어를 링 형상의 기어와 양측에 설치하는 원판으로 3분할하였다. 그리고, 원판의 외주는 치선(齒先)의 원보다 크게한 것이다. 이것에 대응하여 외각내치 기어도 기어부와 치저원(齒底圓)보다 큰 내원통부로 구성하였다. 유성 원판은 내원통부의 위를 전동하므로 유성기어의 반지름 방향의 변위(變位)가 억제되고 원활한 회전이 보장된다.
이것은 공학상의 상식을 초월하는 미증유(未曾有)의 발명이라고 본 발명자는 생각한다. 기어의 선속도는 피치(pitch)원의 위에서 정의된다. 기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찰차를 부착해서 기어의 과도하에 깊이 먹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마찰차의 지름은 예외없이 피치원 지름이었다. 피치원 위가 아니면 두 개의 기어의 선 속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상식을 깨트렸고 그런 차원에서 보게 되면 과연 선속도는 다르다. 이와 같이 선속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극히 약간의 차이이다. 그러나, 극히 사소한 약간의 차이일지라도 이 사소한 선속도의 차이를 해소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는 공간을 크게 잡아서 공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두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선 선속도의 차이지만 원판의 피치원으로부터의 어긋남을 δ로 하고, 유성기어의 각 속도를 Ω로 하게 되면 선속도의 차이
Figure kpo00001
V는
Figure kpo00002
V=δΩ (1)
에 불과하다.
직관적으로는 피치원으로부터δ만큼 어느 쪽의 기어 원판, 원통도 어긋나게 되므로 2배하여 2δΩ 어긋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이다. 간단한 계산에 의하여 선속도의 차이가 δΩ인 것을 용이하게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원통면과 원판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해 두면 원판은 공전하므로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은 또한 원판과 유성 기어링의 사이에도 공간을 두게 되므로서 더 한층 용이하게 원판을 공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크게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은 종래의 유성기어의 설계상과는 완전히 상반하는 것이다.
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가공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낮은 정밀도는 공간 사이의 작용에 의하여 충분히 보상된다. 이와 같이 해서 유성기어 장치를 매우 염가로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자의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서 유성기어 장치를 넓게 보급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유성기어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뜻깊은 발명이었다. 유성기어 장치에는 여러 가지 치수의 오차를 생각할 수 있다. 태양기어가 반지름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이 있다. 캐리어가 반지름를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도 있다. 이들은 유성축의 반지름 방향의 위치나 각도가 어긋나게 되므로 생기는 것이다.
이것을 분할 정밀도라고 하고 있으나, 이것을 올리는 일은 어려운 일이며 가격이 높아지게 된다. 입력축, 출력축은 베어링에 의해서 케이싱등에 부착하게 되지만 이들이 편심(偏芯)되어 있을 때도 있다. 이와 같이 많은 부품이 제각기 가공 오차를 가지고 있게 되므로 케이싱 외각 내치 기어를 경고하게 고정 연결하게 되면, 도리어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며 치선이 강하게 물려 들어가게 되어, 이로 인하여 커다란 소음이 발생되는 것은 아닌가 하고 본 발명자는 생각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유성기어 장치의 외각 내치 기어를 케이싱에 강하게 결합하는 것은 아니며,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케이싱과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느슨하게 결합하기로 하였다. 이와 같이 강하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느슨하게 결합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느슨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하므로서 소음을 어느 정도 저하시킬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의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유성기어 장치(A)를 케이싱(B)속으로 느슨하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것을 세탁기에 사용할 경우는 수평으로 하여서 부착하고, 제1도의 방향은 저면이 되도록 한다.
제2도는 제1도중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평면도이다. 유성기어 장치(A)와 세부구조는 여러형태이지만 여기서는 치선 원판에 관한 것을 도시하였다.
태양기어(1)의 둘레에 내장의 유성기어(2)(세장이라도 좋음)가 설치된다. 제6도는 유성기어 장치(A)만의 평면도이다. 유성기어(2)는 태양기어(1)에 맞물리고 있으나 치선의 원보다 큰 지름의 원판(6), (7)을 좌우로 가지고 있으므로 치선은 보이지 않는다. 유성기어(2)의 둘레에 이것들과 맞물리는 외각 내치 기어(3)가 설치된다. 이것은 유성기어 장치(A) 전체의 케이스를 겸하고 있다.
캐리어(4)는 주캐리어반(4a)과 부캐리어반(4b)으로 되어 있다. 정사각형의 네 구석에 해당하는 내면의 4점에 유성축(5)이 양쪽을 잡아서 지지되어 있다. 유성기어(2)는 유성축(5)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유성기어(2)는 세 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데, 좌우의 등가(等價)의 유성 원판 (6), (7)과 이들로 인하여 사이에 끼워지는 중심의 유성 기어링(8)으로 되어 있다. 유성 원판(6), (7)는 치선의 원보다 큰 대원판부(23)와 유성 기어링(8)의 이면이 닿아서 이것을 지지하는 소원판부(21)로 되어 있다.
캐리어(4)는 유성축(5)과 45˚를 형성하는 네 부분에 의해서 견고하게 연결된다. 주캐리어반(4a)은 볼록부(10)와 또한 그 위에 돌출된 끼워넣는 돌기(11)가 있다. 부캐리어반(4b)은 볼록부(12)와 끼워넣는 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끼워넣는 구멍(13)에는 끼워넣는 돌기(11)가 끼워넣어진채 앞 끝이 코오킹(calking)된다. 이와 같은 코오킹(28)에 의해서 주, 부캐리어반(4a), (4b)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예의 캐리어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이다. 이 밖에 아연, 플라스틱으로 캐리어를 만들 수도 있다. 플라스틱의 경우는 끼워넣는 구멍(13)에 돌기(11)를 스냅 횟드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며, 접착제로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초음파 용착(溶着)할 수도 있다. 캐리어가 금속의 경우(크롬테리브덴 강등)는 리벳등으로 주, 부캐리어반(4a), (4b)를 견고하게 연결한다. 태양기어(1), 유성기어(2)는 소결합금, 철, 플라스틱, 아연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외각 내치 기어(3)는 플라스틱과 성형폼으로 하는 것이 가장 형편에 맞는다. 알루미늄으로도 만들 수 있으나 형상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외각 내치 기어(3)는 내면에 기어부(25)와 이 양쪽에 원통면(26), (27)이 있다. 원통면(26), (27)은 기어부(25)의 치저원보다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기어부 (25)는 유성 기어링(8)에 맞물린다. 원통면(26), (27)의 위를 유성 원판(6), (7)의 대원판부(23)가 전동한다. 피치원으로부터 어긋나 있으므로 그 상태대로라면 주속이 다르다. 주속이 다른 것은 δΩ이다.
δ는 피치원으로부터의 어긋남의 차이고 Ω는 유성기어(2)의 캐리어(4)에 대한 회전각 속도이다. 그러나, 유성 기어링(8)과 유성 원판(6), (7)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유성 원판(6), (7)과 원통면(26), (27)의 사이에도 공간이 있다. 항상 이들의 면이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속의 차이에 의하여 면과 면이 서로 부벼대는 일은 없다. 고속 회전이 아닐 경우는 이것으로 충분하다. 외각 내치 기어(3)의 외주면은 대부분이 평활한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제7도에 외각 내치 기어(3)의 외형을 나타낸다. 대부분이 평활 외통면(18)이지만, 외통의 끝에 네 개의 회전방지 원호편(19)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케이싱(B)에 느슨하게 결합되어 회전방지를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방지 원호편(19)의 수는 네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라도, 세 개라도, 5개 이상이라도 좋다.
회전방지 원호편(19)은 원호 형상의 외 리브(30)에 의해서 외형이 결정되어 있으며, 원호홈(31), 원 오목부(33)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원호편(19)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재료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없어도 지장은 없다. 케이싱(B)에 관해서는 제3도에 평면이, 제4도에 저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5도에 제4도중의 V-V 단면도가 표시되어 있다.
케이싱(B)는 방열성, 기계적 강도를 높히기 위하여 이 예에서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으나, 플라스틱, 주철, 알루미늄 합금등 재질은 임의이다. 케이싱(B)은 유성기어 장치(A)를 수장해야 할, 큰 지름의 원통형인 동체부(40)와 지름을 축소시키면서 이것에 계속되는 원추부(41)와 작은 지름의 원통부(42)로 되어 있다. 원통부(42)에는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을 외부로 내는 출력축 구멍(43)이 트여져 있다.
동체부(40)의 내면의 대부분은 평활한 내주면(44)으로 되어 있으나 받침대 형상의 회전방지 돌출부(45)가 축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 돌출부(45)는 외각 내치 기어(3)의 회전방지 원호편(19)과 서로 보완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각 내치 기어(3)의 회전방지 원호편(19)이 케이싱 동체부의 평활 내주면(44)에 들어가도록 유성기어 장치(A)를 케이싱(B)에 장치해 넣는다. 평활 외통면(18)이 회전방지 돌출부(45)의 내면에 접촉한다. 원추부(41)의 외벽에는 보강용의 주(周)의 주변 리브(47), 방사리브(48)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40)의 앞 이마 부분에는 플랜지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원형의 덮개판(도시하지 않음)을 대고 보울트로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관통구멍(50)에 보울트를 끼워 넣어서 고정 할 수 있다. 끼워 맞춘 상태에서 외각 내치 기어(3)의 회전방지 원호편(19)의 외주와 케이싱(B)의 동체부 내주면(44)의 사이에는 공간(g)가 있다. 한 예에서는 원호편(19)의 지름을 75mmø로 하고 내주면의 지름을 75mmø로 한다. 공간(g)은 이 경우, 반지름 분으로 0.5mm 지름 분으로 1mm로 된다. 결국 g는 0-1mm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g는 지름 분으로 0.5-3mm로 하면 좋다.
또한, 회전방지 돌출부(45)와 원호편 사변(圓弧片斜邊)(51)의 사이에도 공간(e)을 마련해 놓는다. 또한, 외각 내치 기어(3)의 평활 외통면(18)과 케이싱 내주면(44)의 사이에는 넓은 공간(F)이 생긴다. 이 폭을 f로 한다.
태양기어(1)축 구멍(14)에 입력축, 캐리어의 축 구멍(15)에 출력축을 끼워넣는다. 스프라인, 세레이션 등이 축과 축 구멍(14)(15)을 결합한다. 케이싱(B)의 플랜지부(4b)에는 덮개판을 하여 보울트로 고정하고 있는(도시하지 않음)것으로 한다.
이 회전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입력축을 회전시키게 되면 출력축에 감속회전이 출력된다. 그러나,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각 내치 기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공간(g)는 0-gm의 사이의 값을 연속적으로 취할 수 있다. 단, gm은 g의 최대값이다.
입력축, 출력축에 편심이 있을지도 모른다. 또한, 캐리어의 유성축의 분할 오차가 있다. 이들이 있어서, 외각 내치 기어(3)가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여서 항상 변위를 평형(平衡)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공 정밀도가 낮은 유성기어 장치라도 저항이 적게 회전할 수 있으며, 전달 효율도 높아진다. 또한, 오차로 인한 임의의 변위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힘이 항상 평형하며, 등(等) 분배되므로 소음이 적어진다. 치면(齒面)이 닿는 면에서 진동이 생기지만 외각 내치 기어와, 케이싱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높은 주파수의 진동 성분은 케이싱에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낮은 주파수의 진동도 공간(g)보다 큰 진폭을 갖지 않는 것은 케이싱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외각 내치 기어(3)의 외면의 대부분은 공간(F)에 의해서 케이싱(B)과 떨어져 있다. 이로 인해서 외각 내치 기어는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원래, 원통도(度)에 관하여 부정이었다고 하더라도 외각 기어부(25)가 자유롭게 휘어지게 되므로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회전이 원활하게 되어 효율은 높아진다. 또한, 소음도 낮아진다.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두 번째의 특징이다. 이것에는 두가지의 모오드가 있다. 하나는 반지름 방향의 휘어짐이다. 공간(g), 공간(e)가 있으므로 이 범위에서 외각 내치 기어는 타원형으로 또는 4각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 하나는 비틀어지는 것이다. 즉, 회전 방향의 휘어짐이다. 이것은 외각 내치 기어의 외주의 끝 부분에만(제7도 참조) 회전방지 원호편(19)을 형성한 것에 있다.
외각 내치 기어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중심은, 외각 기어부(25)의 중심선 위에 있다. 제2도의 X-X선으로 회전력 중심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케이싱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은 회전방지 원호편(19)이므로 역(力)점은 Y-Y선으로 된다.
X-X선 또는 X면과, Y-Y선 또는 Y면하고 엇갈려 있다. 이로 인해서, XY 사이에서 외각 내치 기어(3)의 원통부가 비틀여서 변형을 일으킨다. 세탁기의 회전과 같이 바로와 반대로 회전하는 것은 이 비틀리는 변형에 의하여 반대로 회전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충격력이 작아지게 되면 당연히 소음의 발생도 억제된다. 케이싱에 외각 내치 기어가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오차가 흡수되어 원활한 회전이 지속된다. 이로 인해서 소음의 발생이 적다.
케이싱과 외각 내치 기어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으므로 진동이 대부분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음을 저하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외각 내치 기어는 반지름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고 휘어질 수 있으므로 효율의 향상과 소음의 저하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 부착 구조에 의한 세탁기와 그 밖의 부분은 같아서 케이싱 부착 구조만 나사로 고정한 세탁기에 관하여 최대 중량(4.2kg)의 세탁물을 넣어서 실제로 돌려 보고 소음을 측정하였다. 평균치로 약 7혼, 본 발명의 것이 소음이 낮았었다.
입력회전은 820-900RPM 감속비는 1/4.8이며, 세탁기로부터 1m 떨어진 장소에서 잡음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것이 48혼, 나사로 고정하는 것은 55혼이었다. 소음원은 감속기 이외에도 있는 것이므로, 이것은 훌륭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성기어 장치와 케이싱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유성기어 장치자체의 구조는 임의이다.
제8도는 그밖의 구조의 유성기어 장치를 케이싱에 부착한 것을 나타내었다. 태양기어(1)의 양쪽에 원통부(54), (5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원통부(54), (55)는 유성 원판(6), (7)에 접촉 전동(接觸轉動)한다. 제9도는 제3의 구조의 유성기어 장치를 케이싱에 부착한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의 유성 원판(6)은 치저원 보다 작아져 있다. 외각 내치 기어의 원통부(26)는 치저원 보다 넓어져 있다. 태양기어(1)는 태양축(59)과 일체(一體)로 되어 있다. 또한, 치저원 보다 작은 원통부(55)와 치저원 보다 큰 원통부(54)가 기어부의 양쪽에 형성하고 있다. 원통부(54), (55)는 유성 원판(6), (7)에 전동 접촉한다. 이와 같은 유성기어 장치에 있어서는 태양축(59)과 일체로된 태양기어(1)를 케이싱으로의 부착이 끝난 다음에 장치해 넣을 수 있다. 또한, 태양기어(1)를 빼낼수도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 부착구조는 세탁기에 한정하지 않으면 임의의 기계의 가속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태양기어(1)와, 태양기어(1)의 주위에서 이것에 맞물리는 적당한 여러개의 유성기어(2)와 유성기어(2)의 주위에서 이것들에 맞물리는 외각 내치 기어(3)와, 유성축(5)에 의해서 유성기어(2)를 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캐리어(4)로 된 유성기어 장치(A)를 케이싱(B)에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케이싱(B)의 원통내면에 여러개의 회전방지 돌출부(45)를 형성하고, 유성기어 장치(A)의 외각 내치 기어(3)의 외통면에는 회전방지 원호편(19)을 형성하며, 케이싱(B)의 회전방지 돌출부(45)와 외각 내치 기어(3)의 회전방지 원호편(19)에 의해서, 외각 내치 기어(3)를 케이싱(B)에 대해서 회전방지하고, 외각 내치 기어(3)는 케이싱(B)의 내원통면과의 사이에 공간(g)이 있으며, 반지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고, 또한 외각 내치 기어(3)의 외통면(18)의 대부분이 케이싱의 내주면(44)과 이격(離隔)하여, 이 사이에 공간(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외각 내치 기어(3)의 기어부의 중심선 X-X와 , 케이싱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방지 원호편(19)의 중심선 Y-Y이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각 내치 기어(3)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외각 내치 기어(3)와, 케이싱 내주면의 공간(g)이 지름분으로 0.5mm-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5. 제4항에 있어서, 유성기어(2)가 유성 기어링(8)과, 이것을 양족으로부터 지지하는 치선원보다 큰 원판부가 있는 유성 원판(6), (7)로 되어 있으며, 외각 내치 기어(3)는 외각 링(25)과, 전술한 유성 원판(6), (7)과 접촉하는 원통면(26), (27)이 내주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KR1019860005999A 1986-03-27 1986-07-22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KR900001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674 1985-05-10
JP61069674A JPH0674835B2 (ja) 1986-03-27 1986-03-27 遊星歯車装置のケーシング取付構造
JP61-69674 1986-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158A KR870009158A (ko) 1987-10-23
KR900001739B1 true KR900001739B1 (ko) 1990-03-19

Family

ID=1340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999A KR900001739B1 (ko) 1986-03-27 1986-07-22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38123A (ko)
JP (1) JPH0674835B2 (ko)
KR (1) KR900001739B1 (ko)
CN (1) CN1004439B (ko)
GB (1) GB2189569B (ko)
HK (1) HK72990A (ko)
SG (1) SG61990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039A (ja) * 1987-10-16 1989-04-21 Shiyouji Igaku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H02292550A (ja) * 1989-05-06 1990-12-04 Matetsukusu Kk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H03121335A (ja) * 1989-10-02 1991-05-23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タイミング駆動ユニツト
IT1238214B (it) * 1989-10-31 1993-07-12 Lorenzo Ferrari Formulazioni solide di sistemi complessi tipo sostanza avidinica-marcatore biotinilato utili in analisi biologiche.
DE4024201A1 (de) * 1990-07-31 1992-02-06 Fichtel & Sachs Ag Planetenradtraeger mit freigelagerten planetenraedern
JP3411996B2 (ja) * 1991-05-03 2003-06-03 和夫 茂呂 回転機器用伝動機構ユニット
JP2789915B2 (ja) * 1992-03-19 199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遊星歯車減速装置とその減速装置を用いた同軸スタータ
US5269733A (en) * 1992-05-18 1993-12-14 Snap-On Tools Corporation Power tool plastic gear train
DE19648124A1 (de) * 1996-11-21 1998-06-18 Auto Heinen Automobiltechnik G Planetenträger eines Planetengetriebes
US6206800B1 (en) 1998-08-21 2001-03-27 Thomson Industries, Inc. Universally adaptable carrier and swing arm for planetary gear assembly
DE10053270B4 (de) * 2000-10-27 2008-02-14 Zf Friedrichshafen Ag Planetengetriebe
DE102004002847B4 (de) * 2004-01-19 2013-01-10 Ims Gear Gmbh KFZ-Zahnradanordnung für ein KFZ-Hilfsgetrieb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KFZ-Zahnradanordnung
JP4576993B2 (ja) * 2004-11-24 2010-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円環状歯車およびその歯車を備えるプラネタリギヤユニット
JP4480624B2 (ja) * 2005-05-20 2010-06-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スラストワッシャを用いた支持装置
WO2007048776A1 (de) * 2005-10-28 2007-05-03 Schaeffler Kg Planetenradträger
CN101649884B (zh) * 2008-08-15 2013-11-1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传动结构及具有所述传动结构的马达组件
JP5292338B2 (ja) * 2010-03-03 2013-09-18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JP5739713B2 (ja) * 2010-06-25 2015-06-24 加茂精工株式会社 ローラ式変速装置
US9488265B2 (en) 2011-09-06 2016-11-08 Eaton Corporation Compact planetary differential gear set arrangement
CN102678896B (zh) * 2012-05-31 2014-11-19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齿轮噪音屏蔽装置、齿轮箱和发动机
CN102777214B (zh) * 2012-07-27 2014-12-03 萍乡市慧成精密机电有限公司 陶瓷粉末涡轮增压器喷嘴环叶片及其制造方法
JP6094384B2 (ja) * 2013-05-29 2017-03-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KR102326145B1 (ko) * 2015-04-27 2021-11-15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조립체 및 조립방법
CN106337908B (zh) * 2015-07-10 2018-08-07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扭矩传动装置以及具有该扭矩传动装置的动力工具
JP6651995B2 (ja) * 2016-06-27 2020-0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遊星歯車機構
GB201611893D0 (en) 2016-07-08 2016-08-24 Rolls Royce Plc A geared gas turbine engine and a gearbox
US10107384B2 (en) * 2016-07-26 2018-10-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wo-piece sintered metal ravigneaux carrier
US10151383B2 (en) 2016-07-26 2018-12-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raze retention feature for a carrier assembly
US10428931B2 (en) 2017-02-27 2019-10-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raze preform for powder metal sintering
DE102017129378B4 (de) 2017-12-11 2020-01-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ohlradanordnung für ein Umlaufrädergetriebe
RU189376U1 (ru) * 2019-03-18 2019-05-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Тихоокеанский океа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В.И. Ильичев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ТОИ ДВО РАН) Планетарная зубчатоременная передача
CN112392918A (zh) * 2019-08-02 2021-02-23 恩普乐斯股份有限公司 用于结构上分离内齿轮的行星齿轮装置的齿轮壳体
CN110666728B (zh) * 2019-11-15 2021-05-04 日本电产科宝(浙江)有限公司 夹具
JP7374764B2 (ja) 2019-12-27 2023-11-0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構造体、遊星歯車装置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EP4237703A1 (de) 2020-10-27 2023-09-06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mit einem gehäuseteil
JP2022152920A (ja) 2021-03-29 2022-10-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遊星歯車装置
JP2022152923A (ja) 2021-03-29 2022-10-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歯車装置
US11867278B1 (en) 2022-09-28 2024-01-09 Enplas Corporation Planetary gear device
DE102022210574A1 (de) * 2022-10-06 2024-04-11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für ein Fahrzeug sowie Antriebsstrang mit einem solchen 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5430A (en) * 1918-05-06 1922-08-08 Skayef Ball Bearing Company Planetary gear
DE444697C (de) * 1923-09-20 1927-05-24 Carl Alrik Hult Planetenraedergetriebe
US2657586A (en) * 1952-04-03 1953-11-03 Chestley John Driv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rotatable members
US2801552A (en) * 1953-03-16 1957-08-06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Epicyclic gearboxes
US2964977A (en) * 1956-07-12 1960-12-20 Stanley J Kopec Transmission
US3293928A (en) * 1964-08-25 1966-12-27 Claire C Heister Pulsating torque converter
DE1450690A1 (de) * 1964-09-22 1969-03-06 Krupp Gmbh Planetenradgetriebe mit Lastdruckausgleich
US3424035A (en) * 1966-06-11 1969-01-28 Stoeckicht Alexander W Spur gear type planetary gearings
US3421390A (en) * 1966-08-25 1969-01-14 Gen Motors Corp Power transmission
US3548673A (en) * 1969-06-17 1970-12-22 Us Army Antibacklash gear train
US3583252A (en) * 1969-10-20 1971-06-08 Trw Inc Roller gear drive preloading device
US3776067A (en) * 1972-09-19 1973-12-04 Curtiss Wright Corp Planetary gear transmission
JPS526865A (en) * 1975-07-04 1977-01-19 Teijin Seiki Co Ltd Speed change planetary gear
JPS5659057A (en) * 1979-10-22 1981-05-22 Shigetaka Oide Overload protective device for planetary gear
JPS5817244A (ja) * 1981-07-21 1983-02-01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JPS5842858A (ja) * 1981-09-08 1983-03-12 Kubota Ltd 遊星減速装置におけるトルクリミツタ−
JPS5853857U (ja) * 1981-10-09 1983-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タ
JPS5894656A (ja) * 1981-12-01 1983-06-04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JPS5930938A (ja) * 1982-08-09 1984-02-18 劉 樹連 織機等の不等角速度運轉系の慣性モ−メント除去装置方法
JPS6027320A (ja) * 1983-07-21 1985-02-1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きのこの栽培方法
JPH0243932B2 (ja) * 1984-05-26 1990-10-02 Matex Co Ltd Hitaishojuseihagurumasochi
JPS6127337A (ja) * 1984-07-19 1986-02-06 Matetsukusu Kk 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S60260738A (ja) * 1985-01-07 1985-12-23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JPS61206853A (ja) * 1985-03-12 1986-09-13 Matetsukusu Kk 非対称遊星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38123A (en) 1989-06-13
KR870009158A (ko) 1987-10-23
SG61990G (en) 1990-09-07
HK72990A (en) 1990-09-21
GB2189569B (en) 1989-12-06
GB8707188D0 (en) 1987-04-29
GB2189569A (en) 1987-10-28
CN1004439B (zh) 1989-06-07
JPH0674835B2 (ja) 1994-09-21
JPS62228737A (ja) 1987-10-07
CN87102253A (zh) 1987-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739B1 (ko)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US5775178A (en) Wave gear device
KR930004568B1 (ko)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US5425683A (en) Single-ring-gear planetary transmisssion unit with small difference between teeth of meshing gears
US3091979A (en) Power transmission
KR101606863B1 (ko) 로봇 디스크 커플링 정밀 감속기
KR20000058349A (ko) 내접식 유성치차 감속기
US5257543A (en) Gear transmission with an anti-rattle system
JPH0627532B2 (ja) 遊星歯車増減速機
JPH02292550A (ja)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KR102399888B1 (ko) 판형 조화 감속기
JPH0510400A (ja) 減速機
CN113153982A (zh) 摆线柔轮减速器
CN211599411U (zh) 一种少齿差齿轮啮合减速器
JPH0666350A (ja) 減速装置
CN108679170B (zh) 一种小减速比的rv减速机
JP2796109B2 (ja) 波動歯車の波動発生器
JPH07167225A (ja) 小型減速機
CN212250986U (zh) 一种多级齿轮传动装置
JP2000097295A (ja) 内接式遊星歯車減速機
JPH0460237A (ja) 撓み噛合い式歯車噛合構造
TWI815665B (zh) 粉末冶金的諧和式減速機的波產生器、減速機構及減速馬達
KR102154504B1 (ko) 논슬립 회전축 싱글 싸이크로 감속기
JP2561143B2 (ja) 遊星歯車装置のケーシング取付構造
JPH04381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8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