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68B1 -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68B1
KR930004568B1 KR1019880003104A KR880003104A KR930004568B1 KR 930004568 B1 KR930004568 B1 KR 930004568B1 KR 1019880003104 A KR1019880003104 A KR 1019880003104A KR 880003104 A KR880003104 A KR 880003104A KR 930004568 B1 KR930004568 B1 KR 93000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planetary gear
cylindrical surface
inn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995A (ko
Inventor
쇼오지 이가꾸
Original Assignee
마텍구스 가부시끼가이샤
마도바 히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구스 가부시끼가이샤, 마도바 히데야스 filed Critical 마텍구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80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means for equalising the distribution of load on the planet-wheels
    • F16H1/283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means for equalising the distribution of load on the planet-wheels by allowing limited movement of the planets relative to the planet carrier or by using free floating pla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48Special means compensating for misalignment of axes, e.g. for equalising distribution of load on the face width of th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004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the gear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by rolling members or by specially adapted surfaces on the gears, e.g. by a rolling surfa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tch cir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S74/10Polymer digest - plastic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유성기어 장치의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
제2도는 동일한 것의 일부절개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의 III-III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중 유성기어 부분만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유성기어만의 정면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성기어 부근만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예에 관한 이끌원 방식인 유성기어 단면도.
제8도는 종래예에 관한 피치원 방식의 유성기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태양기어 2 : 유성기어
3 : 외각내치기어 4 : 캐리어
4a : 주캐리어판 4b : 부캐리어판
5 : 유성축 6 : 유성작은 원부분
7 : 유성큰 원부분 8 : 유성기어부
9 : 유성보스부 10 : 제1의 돌출부
11 : 제2의 돌출부 12 : 리벳부
13 : 소켓구멍 14 : 태양축구멍
15 : 캐리어축구멍 16 : 유성축지지구멍
17 : 트여진곳 18 : 제3의 돌출부
19 : 제4의 돌출부 21 : 축 관통구멍
22 : 내부보스부 25 : 외각기어부
26 : 외각 작은 내부 원통면 27 : 외각큰 내부 원통면
28 : 코오킹(caulking)부 29 : 오목부
31 : 회전방지 돌출부 32 : 평원통부
36,37 : 링형상의 돌출부
본 발명은 감속기, 증속기로서 광범위한 용도를 가진 유성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성기어의 구조, 외각내치기어의 구조가 비대칭으로서, 유성기어가 일체화 되어 있는 유성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성기어장치는, 태양기어, 3-4개의 유성기어, 외각내치기어, 캐리어등으로 구성된다. 태양기어, 유성기어, 외각내치기어 사이에서의 맞물린 점은 6 또는 8점이다. 맞물림점이 많으므로, 이들 사이에서 전달력이 동일해지기 어렵다. 따라서, 불균형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가공 정밀도를 높여도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맞물림이 불균형이면 기어끼리가 과도하게 깊이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소음, 진동이 발생한다. 이들은 유해하며, 에너지 손실도 많아진다.
통상의 유성기어 장치는, 단순히 기어의 맞물림만으로 되어 있어서, 기어의 양쪽에 원판등이 없다.
(가) 피치원 방식
기어 이와 이가 과도하게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의 바깥쪽에 피치원판이나 피치링을 부착한 유성기어 장치가 있다. 피치원이란, 기어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원이다. 이끝과 이뿌리의 대략 중간에 있는 원이다. 맞물리는 두개의 기어를 축간거리를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면접촉하는 마찰차(원판이나 링)로 치환되었다고 가정했을때, 회전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마찰차의 크기가 피치원이다. 이것을 정의하는 것은 약간 어렵다. 그러나, 명확한 의미를 가진 원이다.
모듈은 m, 잇수를 Z으로 하면, 피치원의 직경 D는,
D=mZ (1)
가 된다.
모듈 m은 이의 두께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두개의 기어는 모듈 m의 압력각 α를 동등하게 하지 않으면 서로 맞물릴 수 없다. 기어의 이 끝을 통하는 원을 이끝원이라 한다. 위치기어의 경우 피치원보다 이끌원은 그 반지름이 1모듈 크다. 내치기어의 경우, 1모듈 작다. 즉, 이끌원이 직경 E는,
E-m(Z±2) (2)
이 된다.
위치는, -, 내치는 -의 부호를 취한다.
기어의 이뿌리를 통하는 원을 이뿌리원이라 한다. 위치 기어의 경우, 피치원보다 이뿌리원은 그 반지름이 1.25모듈 작다. 내치기어의 경우 1.25모듈 크다. 즉, 이뿌리원의 직경 F는,
F=m(Z±2.5) (3)
위치는 "-", 내치는 "+"의 부호를 취한다. 피치원과 동등한 원판이나 링을 기어쪽으로 부착하면, 반지를 방향의 힘은 원판이나 링에 의해 전달된다. 이때문에, 태양기어축이 편심되어 있거나, 유성축에 위치오차가 생기며, 출력축이 편심되어 있어도 기어끼리가 과도하게 맞물리는 일은 없다.
피치원인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미 기술하였지만, 기어를 축간거리를 변경시키지 않고 마찰차로 바꾸어 놓은 경우 동일회전비를 부여하는 것은 피치원과 동등한 지름의 마찰자뿐이다.
즉, 측방에 피치원판, 피치링이 있는 두개의 기어를 맞물리면, 피치원판, 피치링 사이에 미끄럼이 없는 것이다. 피치원을 가진 유성기어장치에 대하여 많은 발명 및 고안이 되어져 있다.
(1) 미국특허 3,299,928호 1966년 12월 27일
(2) 미국특허 3,548,673호 1970년 12월 22일
(3) 미국특허 3,789,700호 1974년 2월 5일
(4) 미국특허 1,970,251호 1934년 8월 14일
(5) 미국특허 1,586,309호 1926년 5월 25일
(6) 미국특허 3,216,270호 1965년 11월 9일
(7) 서독공고 공보 2,032,723호 1972년 4월 13일
(8) 영국특허 1,107,062호 1965년 6월 16일
(9) 미국특허 3,330,171호 1967년 7월 11일
(10) 서독특허 444,697호 1927년 5월 24일
(11) 미국특허 1,425,430호 1922년 8월 8일
(12) 일본실공소 30-16918호 1955년 11월 18일
(13) 일본특공소 54-17111호 1979년 6월 27알
(14) 일본실공소 57-41486호 1982년 9월 11일
(15) 일본특공소 57-48702호 1982년 10월 18일
(16) 미국특허 4,109,545호 1978년 8월 29일
등이다.
피치원 방식의 유성기어 장치의 개량은 이와 같이 많이 있다.
왜 이와 같이 피치원 방식인 것이 많은가?
그것은 피치원이 기어에 있어서 독자적인 원이기 때문이다.
피치워의 원판, 링을 조립한 것에 있어서만 접촉점에서의 선속도가 동등한 것이다. 피치원 이외에서는 접촉점에서의 선속도가 동등하지 않다. 선속도가 동등하면 서로 접촉하는 원판, 링사이에 미끌어짐이 없다.
따라서, 피치원 방식이 탁월하다 할 수 있다. 이 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잇수 Z2의 외치기어 P와, 잇수 Z3의 내치기어 I가 한점에서 맞물려 있는 것으로 한다. 모듈을 m으로 한다. 외치기어 P의 중심을 O2, 내치기어의 중심을 O3로 한다. 기어 P의 피치원 지름 D2
D2=mZ2(4)
이다.
기어 I의 피치원 지름 D3
D3=mZ3(5)
이다.
두개의 기어가 맞물려 있을 때 맞물림점 M은, 두개의 기어 피치원상에 있다. 즉 두개의 피치원은 맞물림점 M에서 접한다. 따라서, 맞물림점 M와 축심 O1, O2의 거리는
O2M=D2/2 (6)
O3M=D3/2 (7)
이다.
P점에서 두개의 피치원이 내접하므로, O2, O3, M는 동일 직선상에 있다. 축심거리 O3, O2
O3, O2=(D3-D2)/2 (8)
=m(Z3-Z2)/2 (9)
이다.
P의 각속도를 Ω2, I의 각속도를 Ω2라 한다. 각속도를 시계반대 방향을 정(正)으로 한다. 각속도와 잇수의 적(積)은 동일하다.
Z3Ω3=Z3Ω3(10)
이것은, 각속도가 잇수에 반비례 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관계이다. 기어 P, 기어 I에 반짊이 R2, R3의 원판과 링을 설치하여 이것이 서로 내접하는 것으로 한다.
R3-R2=O3O2
=(D3-D2)/2 (11)
이다.
원판 R2의 접촉점에서의 선속도는 R2Ω2이다.
원판 R3의 접촉점에서의 선속도는 R3Ω3이다.
R2와 R3의 선속도의 차를 W로 한다.
V2=R2Ω2(12)
V2=R3Ω3(13)
W=V2-V3
=R2Ω2-R3Ω3(14)
가 된다.
혹시 R2, R3가 피치원 피치링이라면 R2=D2/2R3=D3/2이므로, W=0이다. 그렇지 않은 것으로 한다.
원판 R2가 Δ만큼 피치원보다 크며, 링 R3가 Δ만큼 피치원보다 큰것으로 한다.
Figure kpo00001
모두 +Δ가 되는 것은 (11)식의 접촉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15),(16)을 (14)에 대입하면,
W-(D2Ω2-D3Ω3)/2+Δ)(Ω23) (17)
이 된다.
(4),(5),(10)으로부터, (17)의 제1항이 0이 되어
W=Δ(Ω23) (18)
가 된다.
피치원(Δ=0)일때만 W=0이다. 그러나, Δ가 0이 아니면 W가 0이 아니다.
즉, R2원판과 R3링의 접촉점에서의 선속도가 동등하지 않다. 접촉점에서의 두개의 마찰차(원판, 링)의 선속도로를 동등하게 하기 위해서는 마찰차의 크기는 아무리해도 피치원이 아니면 안된다. 선속도가 동등하지 않으면, 마찰차는 접촉접에서 미끌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미끌어짐은 에너지 손실을 초래한다. 미끌어짐에 따른 힘이 커지면 기어의 회전이 저지될지도 모른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이때문에 종래, 마찰차의 지름이 반드시 피치원이었던 것이다. 피치원과 동등한 원판을 가진 유성기어의 한예가 제8도에 나타나 있다.
(나) 이끌원 방식
그러나, 원판과 링은 항상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떨어져 있는 시간이 많다. 그러면, 원판 링은 반드시 피치원이 아니라도 좋은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발명된 것이 이끌원 방식의 유성기어 장치이다. 일본 특원소 56-193113, 일본 특개소 58-94656(83년 6월 4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유성기어는 양쪽에 원판이 있다. 그것을 제7도에 나타낸다. 이 원판은 피치원이 아니며 이끌원 보다도 크다. 외각내치기어는 내원통면이 있다. 이것은 이뿌리원 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은 외각내치기어를 한 부재로 만들 수 있게 한다. 이때문에 부품수가 적어진다는 장점이 있었다. 원판은 내원통면도 피치원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과연 이와 가은 유성기어가 회전되는가라는 의문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해 보면 원활하게 회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피치원판을 가진 이와 같은 유성기어 장치는 접촉면에서 유성기어의 면판과, 외각내치기어의 내원통면의 선속도가 다르다. 이때문에 서로 제동효과를 미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으며, 에너지의 손실도 적고 쾌속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유성기어의 원판과, 외각내치기어의 내원통면이 항시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피치원 방식과 이끌원 방식에서는 기어의 중심면에 관하여 면대칭 이었다. 이끌원 방식인 경우, 유성기어는 등가인 두장의 원판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에 대하여 기어의 중심면에 관하여 대칭이 아닌 유성기어 장치가 발명되었다.
(1) 일본특원소 58-143466 1983년 8월 5일 출원
일본특개소 60-34553 1985년 2월 22일 공개
(2) 일본특원소 59-106976 1984년 5월 26일 출원
일본특개소 60-252845 1985년 12월 13일 공개
(3) 일본특원소 59-150145 1984년 7월 19일 출원
일본특개소 61-27337 1986년 2월 6일 공개
등이다.
(1)은 한쪽만 원판을 설치한 것으로 불완전하다.
(2)(3)은 유성기어의 양쪽에 원판을 설치한다. 한쪽의 원판은 미끌원 보다 크며, 다른 원판은 이뿌리원 보다 작다. 이에 대응하여 외각내치기어의 양쪽에 내원통면을 설치한다. 한쪽의 내원통명은 이뿌리원 보다 크다. 다른쪽은 내원통면은 이끌원 보다 작다.
또한, 원판과 내원통면은 서로 회동접촉한다. 유성원판의 선속도와 내원통면의 선속도가 다르다. 단순히 다르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기어의 좌우에서 대소관계가 반대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성기어가 과연회전되는지의 여부가 의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만들어보면, 이것이 원활하게 회전되었다. 이것은 태양기어를 조립시킨뒤에 축방으로부터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태양기어에도 원통면이 있으므로, 끼워넣을 때의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잇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비대칭 유성기어는, 유성기어가 세개로 분할되어 있어서 각각의 사이에 틈새가 있다. 이 틈새 때문에 세개의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선속도의 차가 좌우로 다르지만 세개의 부재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므로, 이 유성기어 장치가 회전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되었다.
전술한 이끌원 방식의 경우에도, 비대칭인 경우에도 유성기어는 세개의 부재로 되어 있다. 중앙의 기어부와, 측방에 설치되는 두개의 원판이 그것이다. 유성기어가 세개의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단가가 높아진다. 만약, 유성기어를 하나로 할 수 있다면, 보다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유성기어는 세개 또는 네개이므로, 이에 따른 원가절감은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유성기어의 기어부의 양쪽에 피치원판을 설치하는 것은 3부재로 되어 있었다. 2부재로 할 수도 있지만, 밸런스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성기어의 기어부의 양쪽에 이끌원보다 큰 원판을 설치하는 것은 3부재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들은 유성기어를 일체화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비대칭일 뿐만 아니라, 유성기어를 세개가 아닌 한개의 부재로 일체화한 유성기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비대칭이지만, 전술한것(일본특원소 59-150145)과 달라서 태양기어를 뒤에서 부터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대칭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태양기어와는 관계가 없다. 유성기어가 세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일체화하기 위하여 비대칭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유성기어 장치의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 제2도는 일부를 잘라낸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의 III-III 단면도이다. 중심에 태양기어(1)가 있다. 이것을 둘러싸고 이것과 맞물리는 네개의 유성기어(2)가 있다. 유성기어는 세개라도 좋다. 이들 모두의 유성기어(2)를 둘러싸는 외각내치기어(3)가 있다. 캐리어(4)는 주캐리어판(4a)과 부캐리어판(4b)을 조합시킨 것이다. 캐리어(4)는 유성축(5)에 의해 유성기어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이다. 주캐리어판(4a)은 내면에 네개(또는 세개의) 제1의 돌출부(10)가 있다. 이에 대응하여 부캐리어판(4b)은 내면에 네개(도는 세개의) 제1의 돌출부(11)가 있다. 부캐리어판(4b)의 제2의 돌출부(11)의 앞에는 리벳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주캐리어판(4a)의 제1의 돌출부(10)에는 이에 대응하여 소켓구멍(13)이 뚫려져 있다. 부캐리어판(4b)의 리벳부(12)를 주캐리어판(4a)의 소켓구멍(13)에 삽입하여 선단의 오목부(29) 밖으로 나오게 한다.
그리고 리벳부(12)의 선단을 코오킹한다. 코오킹단부(28)에 의해 주캐리어판(4a)과 부캐리어판(4b)이 일체화된다. 이것은 캐리어판(4a)(4b)이 소결합금, 알루미 다이케스트로 만들어진 경우이다. 캐리어판(4a)(4b)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초음파 용착법으로 리벳부(12)의 탄부(28)를 고착시킨다. 주캐리어판(4a)의 뒷면에는 유성축지지구멍(16)을 뚫은 제3의 돌출부(18)가 네개(또는 세개) 형성되어 있다.
제3의 돌출부(18)는 인접하는 제1의 돌출부(10)의 중간에 설치된다. 부캐리어판(4b)의 뒷면에는 유성축지지구멍(16)이 뚫린 제4의 돌출부(19)가 네개(도는 세개) 형성되어 있다. 유성축(5)의 양단은 주캐리어판(4a), 부캐리어판(4b)의 유성축지지구멍(16)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성기어(2)의 형상에 있다. 유성기어(2)의 확대 정면도를 제5도에 나타낸다. 유성기어(2)는 중앙에 유성기어부(8)가 있으며, 좌우에 유성작은 원부분(6), 유성큰 원부분(7)이 있다. 즉, 유성기어(2)는 비대칭 구조이다. 유성기어부(8)의 안쪽이 유성보스부(9)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축 관통구멍(21)이 뚫려져 있다. 유성축(5)은 축 관통구멍(21)에 끼워져 있다. 유성작은 윗부분(6)은 유성기어부(8)의 이뿌리원 보다 작다. 유성큰 원부분(7)은 유성기어부(8)의 이끝원보다 크다.
또한, 유성기어부(8)와 유성큰 원부분(7), 유성작은 원부분(6)이 일체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세개의 부재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신규한 점이다. 외각내치기어(3)도 유성기어에 대응하여 세개의 부분이 있다. 중앙에 외각기어부(25), 좌우에 외각작은 내원통면(26), 외각큰 내원통명(27)이 있다. 외각기어부(25)는 유성기어(2)의 유성기어부(8)와 맞물린다. 외각작은 내원통면(26)에, 유성작은 원부분(6)이 접촉전동한다.
물론, 틈새가 있어서, 접촉할때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때도 있다. 외각큰 내원통면(27)에, 유성큰 원부분(7)이 접촉 전동한다. 외각작은 내원통면(26)과 유성작은 원부분(6)의 접촉 및 외각큰 내원통면(27)과 유성큰 원부분(7)의 접촉으로 유성기어(2)의 반지름 방향의 힘이 전달된다.
회전토오크는 외각기어부(25)와 유성기어부(8)의 맞물림에 의해 전달된다. 태양기어(1)에는 태양축구멍(14)이 있는데, 스플라인, 셀렉숀 또는 D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4)의 주캐리어판(4a)의 보스부는 두껍게 되어 있으며, 캐리어축구멍(15)이 뚫려져 있다. 캐리어축구멍(15)에도 스플라인, 셀렉숀들이 형성되어 있다.
감속기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태양축구멍(14)에 입력축을, 캐리어축구멍(15)에 출력축을 삽입한다. 증속기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태양축구멍(14)에 출력축을, 캐리어축구멍(15)에 입력축을 삽입한다. 외각내치기어(3)는 케이스등에 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예에서는 외각내치기어(3)의 외부둘레는 평탄한 원통부(32)의 위에 몇개의 회전방지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외각내치기어(3)를 고정하기 위하여 기타의 구조를 임의로 채택할 수 있다. 축방향에 구멍을 뚫어서 나사고정, 핀고정 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전방지 돌출부(31)가 중심선보다 벗어난 위치에 있다. 토오크가 걸리는 면과, 회전방지 돌출부가 존재하는 면이 떨어져 있다. 이 사이에서 외각내치기어가 뒤틀린다. 이때문에 돌연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3도의 예에서는 유성기어(2)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보스부(9)의 양쪽으로 팽출된 제3의 돌출부(18), 제4의 돌출부(19)를 설치하고 있다. 태양기어(1)는 유성기어(2)의 유성큰 원부분(7)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태양기어(1)의 반대쪽은 팽출된 주캐리어판(4a)의 내부보스부(22)에 의해 변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태양기어(1)는 축방향으로 바른 위치로 유지된다.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성기어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이것은 유성기어(2)의 축방향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판(4a)(4b)의 뒷면에 링형상의 돌출부(36)(37)를 설치시킨 것이다. 유성기어(2)의 유성작은 원부분(6), 유성큰 원부분(7)의 측면이 링형상의 돌출부(36)(37)에 접촉하므로, 유성기어(2)는 축방향의 바른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외각내치기어에는 축방향으로 볼트구멍(38)이 뚫려져 있다. 여기에 볼트를 넣고서 케이스로 고정한다. 태양기어(1)는 플라스틱, 소결합금, 아연, 철등으로 만들어진다. 유성기어(2)은 플라스틱 또는 소결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형(異形)인 기어이지만, 금형으로 만들 수 있다. 캐리어(4)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소결합금, 아연, 철등으로 만들 수 있다. 외각내치기어(3)는 플라스틱 또는 소결합금으로 만든다.
제1도-제6도의 예에서는 태양기어(1)가 빠지지 않도록, 주캐리어판(4a)에 가가운쪽에 유성작은 원부분(6), 부캐리어판(4b)에 가까운쪽에 유성큰 자름부(7)가 설치도어 있다. 이들 관계는 반대로 해도 좋다. 반대로 하면, 태양기어(1)는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유성기어(2)의 유성작은 원부분(6)의 반지름은 이뿌리원 반지름보다 0-2모듈 작다. 유성큰 원부분(7)의 반지름은 이끌원 반지름보다 0-2모듈 크다. 외각이 작은 내부 원통면(26)의 반지름은 외각내치기어의 이끌원의 반지름보다 0-2모듈 작다. 외각이 큰 내부 원통면(27)의 반지름은 외각내치기어의 이뿌리원의 반지름보다 0-2모듈 크다.
기어의 측방에 설치된 원판, 원통면등의 피치원과의 반지름의 차를 Δ도 한다. 접촉면에서의 선속도의 차는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속도의 차에 Δ를 곱한 것이다. 캐리어를 고정한 장치를 고찰하기로 한다. 유성기어, 외각내치기어의 각속도를 Ω, Ω3로 한다. 전동 접촉면에서의 선속도의 차 W는
W=Δ(Ω2-Ω3) (18)
이 된다.
유성기어의 잇수를 Z2, 외각내치기어의 잇수를 Z3로 한다.
Z2Ω2=Z3Ω3(19)
이다.
이것을 대입하면 신속도의 차는
Figure kpo00002
가 된다.
본 발명의 경우, 기어부의 양쪽에 직경이 다른 유성작은 원부분(6), 유성큰 원부분(7), 외각작은 내부 원통면(26),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느 접촉면에서도 신속도의 차가 있다.
또한, 선속도의 차가 반대로 되어 있다. 유성작은 원부분(6)과 외각이 작은 내부 원통면(26)의 피치원에서의 어긋남을 -Δ로 한다. Δs는 (+)이다. (-)가 붙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양자의 선속도 차를 W5로 하면,
Figure kpo00003
로 한다.
유성큰 원부분(7)과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의 피치원으로부터의 어긋남을 Δt로 한다. Δt는 (+)이다. 양자의 선속도의 차를 Wt로 하면,
Figure kpo00004
가 된다.
Ws가 (-)이다. Wt가 (+)이다.
이와 같이 선속도의 차가 있다. 기어부의 맞물림으로 속도가 결정되므로, Ws, Wt의 미끌어짐이 생긴다. 혹시, 유성작은 원부분(6)과 외각이 작은 내부 원통면(26) 및 유성큰 원부분(7)과 외각 큰 내부 원통면(27)이 항상 강한 힘으로 밀접해 있다고 하면, 선속도의 차에 따라 이와 같은 장치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차가 있으므로, 이들 부재는 밀접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작동동안에 대부분의 시간동안 이들 부재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는 공전할 수 있다. 선속도의 차가 있어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유성기어 장치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제2의 돌출부(11)가 윗쪽이 되도록 부캐리어판(4b)을 테이블 위에 놓는다.
(2) 유성축(5)을 유성축 고정구멍(16)에 끼워 넣는다.
(3) 유성큰 원부분(7)이 아래가 되도록 유성기어(2)를 유성축(5)에 끼운다.
(4) 외각큰 내부 원통면(26)이 아래가 되도록 외각내치기어(3)를 유성기어(2)의 바깥쪽에 끼운다.
(5) 태양기어(1)를 약간 돌리면서 유성기어(2)의 중앙에 끼운다.
(6) 주캐리어판(4a)을 위치맞춤시키면서 부캐리어판(4b)에 끼워 넣는다.
(7) 리벳부분(12)이 오목부(29)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위에서 내리눌러서 코오킹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유성기어를 일체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문에 재료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보다 싼값으로 유성기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일체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단면도와 제5도를 보면 알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어부(8)의 한쪽이 이뿌리원 보다 작은 유성작은 원부분(6)으로 되어 있어서 두개로 된 금형으로 유성기어(2)를 만들 수 있다.
제7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성기어는 한 부재로 만들 수 없다.
(2) 토오크는 기어부에 의하여 전달된다. 반지름 방향의 힘은 유성작은 원부분(6)과 외각작은 내부 원통면(26) 사이 및 유성큰 원부분(7)과 외각큰 내부 원통면(27) 사이에서 전달된다. 이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유성기어가 바깥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도 기어이끼리 강하게 맞물리는 일이 없다. 기어이 끼리의 맞물림이 원활하므로, 동력전달 효율이 높다. 또한 노이즈의 발생도 적다.
(3) 부품수가 적으므로 조립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태양기어(1)와, 태양기어(1)에 맞물려야할 적당한 수의 유성기어(2)와, 이들과 맞물리는 외각내치기어(3)와, 유성기어(2)를 유성축(5)에 의해 축지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캐리어(4)로 된 유성기어 장치에 있어서, 유성기어(2)는 중앙에 유성기어부(8), 그 측방에 이뿌리원 보다 작은 유성작은 원부분(6), 반대쪽에 이끌원보다 큰 유성큰 원부분(7)이 있으며, 유성기어부(8), 유성작은 원부분(6), 유성큰 원부분(7)은 축 관통구멍(21)이 뚫린 유성보스부(9)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각내치기어(3)는 중앙에 유성기어부(8)에 맞물리는 외각기어부(25), 축방에 이끌원 보다 작은 외각작은 내부 원통면(26), 반대쪽에 이 뿌리원 보다 큰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이 있으며, 외각기어부(25)와 외각작은 내부 원통면(26)과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유성작은 원부분(6)은 외각작은 내부 원통면(26)에 접촉전동하며, 유성큰 원부분(7)은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에 접촉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성작은 원부분(6)의 반지름은 유성기어의 이뿌리원 반지름보다 0-2모듈 작으며, 외각이 작은 내부 원통면(26)의 반지름은 외각내치기어의 이끌원 반지름보다 0-2모듈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유성큰 원부분(7)의 반지름은 유성기어의 이끌원 반지름보다 0-2모듈 크며,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의 반지름은 외각내치기어의 이뿌리원 반지름보다 0-2모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캐리어(4)는 출력축 또는 입력축을 결합해야 할 캐리어축구멍(15)이 있는 주캐리어판(4a)과, 넓게 트인곳(17)이 있는 부캐리어판(4b)으로 되며, 유성큰 원부분(7) 및 외각큰 내부 원통면(27)이 부캐리어판(4b)에 가까운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주캐리어판(4a)은 안쪽으로 팽출된 내부보스부(22)가 있으며, 내부보스부(22)는 태양기어(1)의 축방향이 변위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각내치기어(3)는 외부둘레부에 평탄한 평원통부(3)와, 몇개의 회전방지 돌출부(31)가 있으며, 회전방지 돌출부(31)는 외각내치기어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유성기어(2)가 플라스틱 또는 소결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주캐리어판(4a), 부캐리어판(4b)이 안쪽으로 팽출된 제3의 돌출부(18), 제4의 돌출부(19)가 있으며, 이들 돌출부(18)(19)에 뚫여진 유성축지지구멍(16)에 의해 유성축(5)의 양단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 장치.
KR1019880003104A 1987-10-16 1988-03-23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KR930004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62274A JPH01105039A (ja) 1987-10-16 1987-10-16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62-262274 1987-10-16
JP262274 198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95A KR890006995A (ko) 1989-06-17
KR930004568B1 true KR930004568B1 (ko) 1993-06-01

Family

ID=1737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104A KR930004568B1 (ko) 1987-10-16 1988-03-23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98358A (ko)
JP (1) JPH01105039A (ko)
KR (1) KR930004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602Y2 (ja) * 1991-04-15 1996-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遊星歯車減速スタータ装置
AUPN488095A0 (en) * 1995-08-18 1995-09-14 Adelaide Gear Pty Ltd Improved gear arrangement
CN1069389C (zh) * 1996-12-30 2001-08-08 麻德克斯株式会社 非对称行星齿轮装置
BG62902B1 (bg) * 1997-08-08 2000-10-31 Асадур ТЮФЕКЧИЯН цилиндрична зъбна предавка с материализирани начални цилиндри
JP2980581B2 (ja) * 1997-10-09 1999-11-22 三星電子株式会社 洗濯機用シャフトアセンブリ
JP3727483B2 (ja) * 1999-03-30 2005-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絞弁制御装置
US6458058B1 (en) * 2001-02-28 2002-10-01 Chun-Fa Fu Speed reducer in a portable electric tool
US20030171184A1 (en) 2002-03-11 2003-09-11 Russell Wige Dual-input differential planetary gear transmission
US6872161B2 (en) * 2003-03-28 2005-03-29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Modular gear system for pump
KR101363134B1 (ko) * 2003-09-02 2014-02-13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밀 기어, 그 기어 기구 및 정밀 기어의 제조 방법
CN101482164B (zh) * 2007-10-17 2014-06-25 金属达因有限责任公司 差速器组件及其制造方法
FR2934933B1 (fr) * 2008-08-11 2016-11-04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comprenant un ensemble reducteur de vitesse a organe de liaison
EP3207277B1 (en) * 2014-10-14 2021-07-28 Dayco IP Holdings, LLC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9533707B1 (en) 2015-02-25 2017-01-03 Thomas Longtin Steering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gear dimensions
US10151383B2 (en) 2016-07-26 2018-12-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raze retention feature for a carrier assembly
US9869385B1 (en) * 2016-07-26 2018-01-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owder metal net shape alignment feature
US10107384B2 (en) 2016-07-26 2018-10-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wo-piece sintered metal ravigneaux carrier
US10428931B2 (en) 2017-02-27 2019-10-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raze preform for powder metal sintering
EP3489549B1 (de) 2017-11-24 2022-01-05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Planetengetriebe und gleitlagerstift für ein planetengetriebe
EP3489548B1 (de) * 2017-11-24 2022-01-05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Planetengetriebe
DE102017127876A1 (de) 2017-11-24 2019-05-29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Planetengetriebe und Gleitlagerstift für ein Planetengetriebe
CN110259446A (zh) * 2019-07-16 2019-09-20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上海分公司 采煤机摇臂行星机构保护装置
DE102019212345B4 (de) * 2019-08-19 2024-02-08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 antreibbarer Bremsdruckerzeuger
EP3812626A1 (de) * 2019-10-24 2021-04-28 Flender GmbH Planetengetriebe, insbesondere multiplanetengetriebe, für eine windkraftanlage
FR3126145B1 (fr) * 2021-08-10 2024-01-05 Safran Trans Systems Arbre cannelé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517A (en) * 1904-05-11 1905-10-10 Joseph Sinclair Fairfax Speed-reduction and driving gear.
US1425430A (en) * 1918-05-06 1922-08-08 Skayef Ball Bearing Company Planetary gear
DE444697C (de) * 1923-09-20 1927-05-24 Carl Alrik Hult Planetenraedergetriebe
US1586309A (en) * 1924-02-21 1926-05-25 Hult Carl Alrik Planet gear
US1970251A (en) * 1932-02-04 1934-08-14 Rossman Engineering Company Mechanical movement
DE1107062B (de) * 1960-04-21 1961-05-18 Willy Hesselmann Vorrichtung zum Auftragen fluessiger oder pasteuser Substanzen
US3216270A (en) * 1962-11-14 1965-11-09 Trw Inc Planetary gear-roller
US3330171A (en) * 1964-05-19 1967-07-11 Trw Inc Bearingless roller gear drive
US3293928A (en) * 1964-08-25 1966-12-27 Claire C Heister Pulsating torque converter
US3316004A (en) * 1965-08-30 1967-04-25 John A Wilhelm Safety latch for door
US3421390A (en) * 1966-08-25 1969-01-14 Gen Motors Corp Power transmission
US3457234A (en) * 1966-11-18 1969-07-22 Uniroyal Inc Polyurethane elastoplastic resistant to high speed flexural impact and gear made therefrom
US3578673A (en) * 1968-09-30 1971-05-11 Olin Corp 3-nitroaryl-4-haloisoxazol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3583252A (en) * 1969-10-20 1971-06-08 Trw Inc Roller gear drive preloading device
JPS5417111B1 (ko) * 1971-07-21 1979-06-27
US3789700A (en) * 1972-04-04 1974-02-05 Usm Corp Positive drive roller planetary wave generator
DE2503518A1 (de) * 1975-01-29 1976-08-1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lanetenradtraeger aus blechteilen
US4109545A (en) * 1977-01-26 1978-08-29 Enakichi Hayasaka Noiseless spur gears
JPS543643A (en) * 1977-06-10 1979-01-11 Tsugio Kobayashi Gear comosed of carbon fiber
JPS5741486A (en) * 1980-08-22 1982-03-08 Kawasaki Heavy Ind Ltd Input torque controller for variable displacement pump
JPS6022322B2 (ja) * 1980-09-08 1985-06-01 大日本スクリ−ン製造株式会社 ストライプ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S57127145A (en) * 1981-01-29 1982-08-07 Matetsukusu Kk Planetary gear device
JPS5894656A (ja) * 1981-12-01 1983-06-04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JPS6014637A (ja) * 1983-07-06 1985-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遊星歯車装置
JPS6034553A (ja) * 1983-08-05 1985-02-22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US4674360A (en) * 1983-08-16 1987-06-23 Matex Co., Ltd. Planetary transmission with axial thrust protection means
JPH0243932B2 (ja) * 1984-05-26 1990-10-02 Matex Co Ltd Hitaishojuseihagurumasochi
JPS6127337A (ja) * 1984-07-19 1986-02-06 Matetsukusu Kk 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S60260738A (ja) * 1985-01-07 1985-12-23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JPS61206853A (ja) * 1985-03-12 1986-09-13 Matetsukusu Kk 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H0674835B2 (ja) * 1986-03-27 1994-09-21 マテックス株式会社 遊星歯車装置のケーシング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95A (ko) 1989-06-17
JPH01105039A (ja) 1989-04-21
US5098358A (en) 1992-03-24
JPH057575B2 (ko) 199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568B1 (ko) 일체형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KR870000898B1 (ko) 유성기어 장치
US4850247A (en) Y type planetary gearing
KR900001739B1 (ko) 유성기어 장치의 케이싱 부착구
KR870001185B1 (ko) 비대칭 유성기어장치
US4760759A (en) Geared ratio coupling
JP5479903B2 (ja) ハイブリッド伝動装置を備えた全牽引差動装置
EP0130806A2 (en) Differential mechanism
US4082171A (en) Rotary plate carrier drum for multi-plate clutches or brakes
US3885446A (en) Gearing-torque division
US4978329A (en) Limited slip differential
KR101807884B1 (ko) 정면 기어와 피니언 하우징을 사용하는 차동 제한 장치
GB2391283A (en) toothed wheel gearset with anti-rattle device
US4238970A (en) Bevolute gear system
JPH06221406A (ja) 歯車変速機
US5078665A (en) Epicyclic reduction gears
US5370590A (en) Securing means for a planetary gear unit
JPH02292550A (ja)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H10159916A (ja) 一体型非対称遊星歯車装置
JP2008511799A (ja) 冠歯車を備えたロッキングディファレンシャル
KR930011880B1 (ko) 유성 치차 장치 타이밍 구동 유니트
JPH0361061B2 (ko)
JP2021085509A (ja) 遊星歯車装置
EP3608558B1 (en) Cycloidal differential
JPH04290643A (ja) トロコイド系歯形内接式遊星歯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