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4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46B1
KR900001046B1 KR1019860005246A KR860005246A KR900001046B1 KR 900001046 B1 KR900001046 B1 KR 900001046B1 KR 1019860005246 A KR1019860005246 A KR 1019860005246A KR 860005246 A KR860005246 A KR 860005246A KR 900001046 B1 KR900001046 B1 KR 90000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developer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14A (ko
Inventor
마사히꼬 오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와타리 스기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3078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10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와타리 스기이찌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장치
제1도는 조작판넬의 평면도.
제2도는 제어회로의 1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 내지 제7a, 7b도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복사장치의 외관사시도.
제9도는 복사장치의 개력적 종단 정면도.
제10도는 복사장치 본체의 개략적 종단면도.
제11도는 노광광학장치의 구성설명도.
제12도는 냉각공기 유도통로를 도시한 설명도.
제13도는 노광광학장치의 제1, 제2광학유닛트의 작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제12도의 요부 구성 설명도.
제15도는 노광광학장치의 렌즈유닛트와 제3광학유닛트의 작동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제16도는 2색칼라 현상장치의 개략적 종단 정면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현상유닛트의 다른 동작 상태도.
제19도 및 제20도는 제2현상유닛트의 다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1도 및 제22도는 현상장치의 동작 상태도.
제23도는 복사장치의 프론트카버를 얻어 놓은 상태 표시도.
제24도는 현상제 보급장치의 개략적 종단 정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현상제 보급장치의 개략적 종단 측면도.
제26도는 제23도의 현상제 보급장치의 용기착탈에 따른 현상제방출구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7도는 제2현상유닛트의 현상제 수납반송부의 주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28도는 현상제 보급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9도는 제27도의 현상제 보급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제30도는 급지장치부의 개략적 정면도.
제31도는 급지카셋트의 카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2도는 손으로 끼우는 급지대를 겸한 카셋트 카버의 사시도.
제33도는 손으로 끼우는 급지대의 안내부재의 부착상태의 도면.
제34도는 제33도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제35도는 제33도의 R-R선에 따른 단면도.
제36도는 급지카셋트의 지지판을 밀어올리는 지지판 밀어 올림기구의 개략적 사시도.
제37도는 분리수단의 개략적 구성 설명도.
제38도는 분리수단의 용지분리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9도는 급지카셋트 장착부의 용지무검출기의 배치상태 설명도.
제40도는 취출로울러와 레지스트로울러의 구동계통을 도시한 구성설명도.
제41도는 수차로울러를 붙었다 떨어지게 하는 로울러 접리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제42도는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제43도는 방향변환 반송장치의 개략적 종단정면도.
제44도는 방향변환 반송장치의 용지진동분리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45도는 방향변환 반송장치에 있어서 일시 집적부로의 용지반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제46도는 제44도의 용지반입부의 요부 사시도.
제47도는 제44도의 용지반입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사장치본체 2 : 방향변환반송장치
3 : 원고자동이송장치 4 : 케이스
5 : 원고대 6 : 조작판넬
7, 8, 9 : 급지카셋트 10 : 카셋트카바
11 : 급지대 12 : 감광체드럼
13 : 대전장치 14 : 노광광학장치
15 : 2색칼라현상장치 16 : 전자장치
17 : 박리장치 18 : 청소장치
19 : 잔상소거장치 20 : 자동급지장치
21 : 상전사부 22 : 배출부
23 : 용지반송로 24 : 레지스트로울러
25' : 정착장치 26 : 배지로울러
30 : 복사키이 43 : 모우드설정키이
50 : 리플렉터(reflector) 51 : 노광램프
52 : 제1반사거울 53 : 제1광학유닛트
54 : 렌지유닛트 55 : 제2반사거울
56 : 제3반사거울 57 : 제2광학유닛트
58 : 제4반사거울 59 : 제5반사거울
60 : 제3광학유닛트 61 : 제6반사거울
62 : 방진유리 63 : 열선흡수유리
65 : 제1차폐부재 66 : 제2차폐부재
67 : 냉각공기유도통로 68 : 칸막이수단
69 : 지지수단 70 : 칸막이판
71 : 배기팬 72 : 팬케이싱
75 : 리이프레임 76 : 프론트프레임
75a, 75b : 상단수평편부 77 : 가이드프레임
78 : 슬라이더 79 : 광학유닛트작동기구
80 : 구동축 81 : 구동풀리
82 : 종동풀리 83 : 지축
84 : 캐리지 85a, 85b : 풀리부착부
86, 87 : 풀리 88 : 와이어
89 : 스프링 90 : 고정구
91 : 가이드 92 : 고정구
93 : 타이밍벨트 94 : 스텝모우터
95, 96 : 지축 97 : 연결보강부재
100, 101 : 샤프트 102 : 캐리지
103 : 슬라이드부시 104 : 하우징
105 : 스텝모우터 106, 107 : 치차
108 : 캐리지 120 : 슬라이더부시
121 : 슬라이더 122 : 스파이럴하우징
123 : 스템모우터 124, 125 : 치차
130 : 제1현상로울러 131 : 제2현상로울러
132 : 제1현상유닛트 132a : 현상제수납반송부
133 : 제2현상유닛트 133a : 현상제수납반송부
134 : 현상기구부 135 : 교반부
136 : 현상위치 137 : 닥터
138 : 현상제수용부 139 : 스크레이퍼
140 : 현상제교반체 141 : 케이싱
142 : 자기로울러 143 : 슬리이브
144a~144e : 자극부 145 : 제거수단
146 : 현상기구부 147 : 교반부
148 : 현상위치 149 : 닥터
150 : 현상제수용부 151 : 가이드
152 : 현상제교반체 153 : 케이싱
154 : 자기로울러 155 : 회전슬리이브
156a~156f : 자극부 157 : 현상제제거수단
158 : 브레이드 159 : 브레이드이동기구
160 : 브레이드호울더 161 : 슬라이더
162 : 랙크 163 : 모우터
164 : 피니언 166, 167 : 위치검출기
170 : 프론트카바 171, 172 : 현상제보급장치
173, 174 : 검출기 175 : 용기
175a : 돌출부 176 : 이송스크류
177 : 호울더 176a : 연결부
178 : 방출구 179 : 피보급부
180 : 구동장치 181 : 구동커플링
182 : 이송축 183 : 덮개
184 : 요(凹)부 186 : 치차
187 : 워엄기어 188 : 모우터
190 : 가동베이스 200 : 가이드
201a~201h : 현상제방출구 210 : 현상제수납용기
210a : 돌출부 211 : 이송스크류
211a : 연결부 212 : 호울더
213 : 현상제방출구 214 : 피보급부
215 : 구동장치 216 : 구동커플링
217 : 담음체 217a : 돌기
218 : 요(凹)부 219 : 치차
220 : 워엄기어 221 : 모우터
222 : 가동베이스 223 : 지지부재
225 : 교반익근 226 : 스프로켓(sprocket)
227 : 편 228 : 박스(box)
229 : 마그넷트캣취 241, 242a, 242b : 가이드
243 : 용지지지판 244 : 카셋트본체
245 : 관통공 246 : 개구부
247 : 안내부재 248 : 피니언
249 : 랙크 250, 251 : 핀
252 : 장공 256 : 안내핀
257 : 안내보강판 258 : 중심지축부
259 : 제동부재 259a : 설(舌)편
259b : 양단부 263 : 지지판밀어올림기구
264 : 레버 265 : 취출로울러
267 : 작동레버 266 : 축
269 : 캡 270, 271, 272 : 치차
273 : 치차기구 274 : 모우터
288 : 분리수단 289, 290 : 로울러
289a : 지축 291 : 모우터
292, 293, 294 : 치차 295 : 축
296 : 스프링클러치 297 : 축
300, 301 : 광학센서 302 : 용지검출수단
305, 306 : 로울러 305b : 로울러
307 : 스텝모우터 308, 309, 310 : 치차
311 : 클러치 312 : 스프로켓
313 : 체인 314 : 종동치차
315 : 스프로켓 316, 317 : 중간치차
318 : 치차 319 : 클러치
321 : 로울러 322 : 접촉 및 분리수단
323, 324 : 아암 324a : 돌출부
325 : 지축 326 : 회동부재
329 : 솔레노이드 329a : 플런저
330 : 연결부재 331 : 급지스윗치
332, 333 : 스프로켓 334 : 체인
336 : 상부로울러 유닛트 337 : 하부로울러 유닛트
338 : 히트로울러 339 : 지축
340 : 브라켓 341 : 가압로울러
342 : 스프링 343 : 브라켓
344 : 가이드축 345 : 장공
346 : 프레임 350 : 가이드수단
351 : 반입로 352 :일시집적부
353 : 취출수단 354 : 도입부
355 : 제1반송부 356 : 제2반송부
357 : 진동분리수단 358, 359 : 구동수단
361 : 지축 362 : 게이트
363 : 배지로울러 364 : 배지트레이
365 : 반송로 366 : 반입로
367 : 스프링 368 : 연결부재
369 : 솔레노이드 370 : 제1반송로울러
371 : 제2반송로울러 372 : 제3반송로울러
373 : 가이드판 374a : 액류에이타
375 : 지축 376 : 아암
377 : 취출로울러 378 : 솔레노이드
379 : 레바 380 : 반송로울러
380a : 아래로울러 382 : 제1반송로
383 : 반송로울러 384 : 제2반송로
385 : 반송로울러 386 : 제3반송로
387 : 제4반송로 388 : 제1가이드수단
389 : 제2가이드수단 390 : 용지검출수단
391 : 지축 392 : 솔레노이드
392a : 플런저 393 : 연결부재
396 : 솔레노이드 400a, 400b : 가이드판
401 : 가이드판 402 : 지지프레임
403 : 지지수단 405 : 슬릿트(Slit)
406 : 부쉬(bush) 407 : 로울러
408 : 프레임 409 : 위치결정수단
410 : 요(凹)부 411 : 레버
412 : 축 413 : 스프링
414 : 프레임 501 : 복사키이
502 : 예열키이 503 : 끼움키이
504 : 복사매수합산키이 505 : 숫자키이
506 : 색선택키이 507 : 조작기이드키이
508 : 헬프 키이(help key) 509 : 예스(yes)키이
510 : 노우(no)키이 511 : 변환키이
512 : 등배율키이 513 : 확대키이
514 : 축소키이 515 : 제1표시부
516 : 원고사이즈키이 517 : 용지사이즈키이
518 : 카셋트선택키이 519 : 제2표시부
520 : 수동노광키이 521 : 자동노광키이
522 : 여백키이 523 : 틀지움키이
524 : 모우드설정키이 525~528 : 모우드표시램프
529 : 복사모우드지정키이 530 : 복사모우드표시램프
541 : 입력장치 542 : 입력포트
543 : 출력장치 544 : 출력포트
545 : 메인프로세서 546 : 데이타버스
547 : 서브프로세서 548 : 롬(ROM)
549 : 데이타버스 550 : 제어신호
551 : 응답신호 552 : 데이타버스
553 : 쉬프트레지스터 554 : 그리드드라이버
555 : 랫치(latch)회로 556 : 드라이버
본 발명은 복사장치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그 조작방법을 문장으로 표시해 주게 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복사장치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다기능화가 추진되어 그 조작방법이나 취급시의 처리가 복잡하게 되어 사용자가 익숙해지기까지는 그때마다 설명서를 읽어가면서 조작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가끔 조작방법이 서툴러 불필요한 복사가 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취급시마다 취급설명서가 없더라도 원하는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조작 잘못으로 인한 낭비를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적용된 화성형성장치의 1실시예로서의 복사장치를 표시해 놓은 것이다.
즉 참조부호 1은 복사장치 본체이고, 2는 복사장치 본체(1) 얹혀지는 설치대를 겸하면서 복사장치본체(1)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지(P)를 필요에 따라 받아서 용지(P)에 다중 또는 양면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고 그대로의 상태 또는 뒷표면을 뒤집은 상태로 다시 복사장치본체(1)에 넣은 방향변환반송장치이다. 또 3은 복사장치본체(1)의 상면에 장착되어 원고 0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고지이송장치이다.
상기 복사장치본체(1)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4는 케이스이고 이 케이스(4)의 상면에는 상기 원고자동이송장치(3)에 의해 보내들여지는 원고 0가 보관되는 원고대(5)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면전단가장자리부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판넬(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4)의 우측면부에는 급지카셋트(7,8,9)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단의 급지카셋트(7)의 카셋트카바(10)에는 용지(P)를 적절히 손으로 끼워서 공급하기 위한 급지대(11)가 갖추어져 있다.
한편, 케이스(4)의 거의 중앙부에는 감광체드럼(12)이 배치되어 있고, 이 감광체드럼(12)의 주위에는 대전장치(13)와 노광장착장치(14), 후술하는 2색칼라현상장치(15), 전사장치(16), 박리장치(17), 청소장치(18) 및 잔상소거장치(19)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4)내의 하부에는 급지카셋트(7,8,9)가 장착된 자동급지장치(20)로 부터 공급된 용지(P)와 손으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대(11)에서 공급된 용지(P) 및 방향변환반송장치(2)에서 보내온 용지(P)를 감광체드럼(12)과 전사장치(16)의 사이의 상전사부(21)를 지나 케이스(4)의 좌측면부에 설치된 배출부(22)로 보내주는 용지반송로(23)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이 용지반송로(23)의 상전사부(21)의 상류측에는 레지스트로울러(24)가 배치되고, 하류측에는 장착장치(25) 및 배치로울러(2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판넬(6)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져 있는 바, 즉 501은 복사동작을 실행시키는 복사키이이고, 502는 복사장치를 예열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예열키이, 503은 도중복사를 하기 위한 끼움모우드를 설정하는 끼움키이, 504는 합계복사매수를 확인할 때 눌러주는 복사매수합산키이, 505는 복사매수를 설정해 주는 숫자키이, 506은 복사의 색을 선택하는 색선택키이, 507는 조작순서를 알 수 없을 때 누르기 위한 조작가이드키이, 511은 복사배율을 설정하는 변환키이, 515는 조작순서나 복사장치의 상태를 문장으로 표시해 주면서 설정된 복사매수 및 배율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이다.
상기 조작가이드키이(507)는 헬프키이(508), 예스키이(509) 및 노우키이(510)로 이루어지고 헬프키이(508)는 눌러주면 제1표시부(515)에 질문이 표시되며 그에 대해서 예스키이(509) 또는 노우키이(510)로 답함에 따라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어 있다. 상기 변환키이(511)는 복사배율을 일정비율로 설정할 때 눌러주는 등 배율(100%)키이(512), 복사배율을 크게 할 때에 눌러주는 확대(154%)키이(513) 및 복사배율을 적게 할 때에 눌러주는 축소(65%)키이(5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대키이(513) 및 축소키이(514)에 의해 655~154%까지 1%씩 복사배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표시부(515)는 통상의 복사장치의 상태를 문장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기다리시오, 작동준비하고 있음」「복사가능」「복사중」「복사용지를 더 넣으시오」로 된 문장을 그때의 상태에 맞게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복사가능」으로 표시되어 있는 때라면 숫자키이(505)에 의해 복사매수를 설정하기도 하고 변환키이(511)로 복사배율을 설정하기도 하며, 후술되는 설정키이(524)로 복사모우드를 설정한 후 복사키이(501)를 눌러줌에 따라 소정의 복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516은 원고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원고사이즈 키이이고, 517은 용지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용지사이즈키이며, 518은 급지카셋트를 하단으로 바꿔주는 카셋트선택키이, 519는 복사장치의 이상등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 520은 복사농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수동노광키이, 512은 복사농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자동노광키이, 522는 철하기 위해 남겨두는 여백이 필요한 때에 누르는 여백키이, 523은 복사화상에 여백이 필요한 때에 눌러주는 틀지움키이이다. 또, 524는 복사모우드를 설정하는 모우드설정키이로서 이 키이(524)를 눌러줌에 따라 모우드표시램프(525-528)가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복사모우드가 바꿔지도록 되어 있다. 모우드 표시램프(525)는 2중복사모우드표시램프로 이 모우드에서는 1회복사와 2회복사를 한매의 용지표면에 겹쳐서 할 수가 있다. 모우드표시램프(526)는 1매원고의 양면복사모우드표시램프로 이 모우드에서 1회의 복사와 2회복사를 각각 1매용지의 표면과 이면에 행할 수 있다. 또 모우드표시램프(527)는 2매원고의 양면복사표시램프로서 이 모우드에서는 원고대(5)상에 2매의 원고를 셋트하고 1매의 원고를 1매의 용지표면에, 2매의 원고를 그 이면에 복사시킬 수 있다. 모우드표시램프(528)는 책의 양면복사모우드표시램프로 이 모우드에서는 책의 1페이지를 1매의 용지표면에, 2페이지를 2매의 용지표면에, 3페이지를 2매용지의 이면에 복사시킬 수 있다. 또한, 529는 본 복사모우드지정키이, 530은 본 복사모우드표시램프이다.
이 모우드에서는 책의 1페이지를 1매용지의 표면에, 2페이지를 2매용지표면에 복사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노광광학장치(14)는 제10도 및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바, 즉 뒷쪽부분이 리플렉터(50)에 의해서 둘러씌워져 원고대(5)상의 원고(0)에 빛을 쪼이는 노광램프(51), 원고(0)로부터의 반사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거울(52)을 가지고 원고대(5)의 하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1광학유닛트(53)와 이 제1광학유닛트(53)와 같은 시기에 같은 방향으로 제1광학유닛트(53)에 속도의 1/2속도로 이동하면서 제1광학유닛트(53)에 의해서 반사된 광형상을 렌즈유닛트(54)측에 반사하는 제2반사거울(55), 제3반사거울(56)을 갖는 제2광학유닛트(57)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렌즈유닛트(54)의 후단에는 제4반사거울(58) 및 제5반사거울(59)을 갖는 제3광학유닛트(60)와 이 제3광학유닛트(60)로 반사된 광상을 감광체드럼(12)측으로 반사시켜 주는 고정된 제6반사거울(61)을 갖추어 구성되어져 있다.
또, 62는 제6반사거울(61)과 감광체드럼(12)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된 방진유리이고, 63은 노광램프(51)의 전면에 설치된 열선흡수유리이다.
따라서, 노광램프(51)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1광학유닛트(53)가 원고대(5)를 따라서 속도(V)로 이동함과 더불어 이 이동과 같은 시기에 제2광학유닛트(57)가 같은 방향으로 1속도(V)의 반(1/2)속도로 이동됨에 따라 원고대(5)상에 놓여진 원고(0)를 주사시켜 머리에 회전하고 있는 감광체드럼(12)상에 상을 형성시키고 대전장치(13)에 의해 한 모양으로 대전시킨 감광체드럼(12)상에 원고(0)에 대응되는 대전잠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형성된 정전잠상은 2색칼라현상장치(15)에 마주보게 됨에 따라 현상된 후, 전사장치(16)와 마주보는 상전사부(21)에 보내 넣어져 감광체드럼(12)상의 현상제상은 레지스터로울러(24)를 통해 보내 넣어진 용지(P)에 전사된다.
따라서 화상전사가 된 용지(P)는 박리장치(17)에 의해 감광체드럼(12)으로부터 박리된 후 용지반송로(22)를 통해서 정착장치(25)에 유도되어 화상정착이 이루어지고 배지로울러(26)를 통해서 배출부(22)에 배출된다.
한편, 용지(P)에 현상제상을 전사시킨 후 감광체드럼(12) 표면은 청소장치(18)로 마주 향하게 됨에 따라 잔류현상제(토너)가 청소됨에 따라 잔상소거장치(19)에 의해 잔상소거가 이루어져 다음의 복사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렌즈유닛트(54) 및 90°의 각도를 갖고서 배치된 제4, 제5반사거울(58,59)을 갖는 제3광학유닛트(60)은 복사배율을 변화시켜 주기 위해서 물상간거리 및 렌즈와 상을 맺는 면과의 사이거리가 변화되도록 제11도에 화살표(B,C)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져 있다.
또,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렌즈카버겸용의 제1차폐부재(65)가 설치됨과 아울러, 제2광학유닛트(67)에는 제1차폐부재(65)에 일부가 겹쳐지는 상태로 제2차폐부재(66)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1, 제2차폐부재(65,66)의 상면측에 원고대(5)에 연한 냉각공기유도통로(67)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막아놓은 칸막이수단(68)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2차폐부재(66)의 다른 단부측은 로울러 또는 미끄럼부재로 된 지지수단(69)을 통해서 제1차폐부재(65)상을 가이드 되어지도록 되어 있고 특별가이드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2광학유닛트(57)와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의 하면측은 상기 방전유리(62)를 그 일부에 지지하게 되는 칸막이판(70)에 의해서 덮여진 상태로 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칸막이판(70)의 1단은 배기팬(71)의 팬케이싱(72)과 연설된 상태로 있으며 케이스(4)를 상하로 거의 막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2도의 화살표(D)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기팬(71)의 작동에 의해 담음체(4)의 우측면부에서 냉각 공기유도통로(67)내로 도입된 냉각공기는 제1차폐부재(65) 및 제2차폐부재(66)에 의해서 원고대(5)의 하면측을 따라 좌측면부까지 확실하게 통과하도록 안내된 후 외부로 방출되게끔 된다.
이 때문에 노광램프(51)는 충분히 냉각될 수가 있고 노광램프(51)의 과열을 방지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다른 부분으로의 열에 의한 악영향을 적극방지시킬 수가 있는 한편, 원고대(5)의 전역에 걸쳐 가열이 방지되어 조작자에 불안감을 주는 일도 없게 된다. 제2차폐부재(66)에 의해서 화살표(E)로 도시된 미광이 차폐되어 미광이 렌즈유닛트(54)에 들어감에 따른 화상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광학유닛트(53) 및 제2광학유닛트(57)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져 지지되어 있고, 제1광학유닛트(53)가 속도 V자로 또 제2광학유닛트(57)가 속도 V의 반(1/2)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서로 사이가 떨어진 상태로 병설된 리머프레임(75) 및 프론트프레임(76)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상단수평편부(75a, 76a)와 평행상태로 가이드프레임(77,77)이 갖추어져 있고, 이들 가이드프레임(77,77)상에 양단부하면에 갖추어진 슬라이더(78)가 접촉된 상태로 제1광학유닛트(53) 및 제2광학유닛트(57)가 가설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가이드프레임(77,77)상을 자유롭게 이동하게 설치된 제1광학유닛트(53) 및 제2광학유닛트(57)는 광학유닛트작동기구(79)에 의해서 소정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광학유닛트 작동기구(79)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광학유닛트(53,57)의 이동방향 일단측에 대응해서 구동축(80)이 가로로 설치되어 이 양단부 즉 상기 양프레임(75,76)의 외측에는 구동풀리(81,81)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다.
또 제1, 제2광학유닛트(53,57)의 이동방향 타단에 대응해서 프레임(75,76)의외측 종동풀리(82)가 지축(83)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광학유닛트(53)의 캐리지(84)의 양단부는 프레임(75,76) 외측에 돌출해 있고 또 제2광학유닛트(57)의 캐리지(85)의 양단부는 프레임(75,76)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구부린 풀리부착부(85a,85b)를 가지면서 움직이는 활차적 역할을 하는 한쌍의 풀리(86,87)가 각각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더구나 각 풀리(81,82,86,87)에는 와이어(88)의 중도부가 소정의 상태로 걸어져 있다. 즉 일단을 스프링(89)을 통해서 고정구(90)에 고정시킨 와이어(89)를 종동풀리(82)측에 인출시켜 제2광학유닛트(57)의 제1풀리(86)에 걸어서 되짚어 내온 후 구동풀리(81)에 여러회 감겨져 상기 종동풀리(82)측에 다시 걸어진다.
따라서 종동풀리(82)에 와이어(88)를 감아서 제2광학유닛트(57)의 제2풀리(87)에 감아 다시 빼서 가이드(91)를 따라 다른쪽을 고정구(92)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광학유닛트(53)의 캐리지(84) 양단부는 와이어(88)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80)은 타이밍벨트(93)를 통해서 스텝모우터(94)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와이어(88)가 감겨진 구동풀리(81,8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88)에 직접 고정된 제1광학유닛트(53)는 속도 V로, 또 와이어(88)가 감겨진 이동활차적인 역할을 하는 풀리(86,87)가 갖추어진 제2광학유닛트(57)는 속도 V의 반(1/2)속도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학유닛트(57)의 양단부에 각각으로 설치된 1쌍의 풀리(86,87)는 제2광학유닛트(57)의 이동방향과 평행인 선상, 즉 와이어(88)의 장력방향으로 연한 방향으로 각각 독립해서 배치된 지축(95,96)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와이어(88)의 장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모덴트가 작용하지 않고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장기에 걸쳐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97은 풀리(86,87)를 회전자재로 축지지하는 지축(95,96)의 자유단측상호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재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복사배율을 바꾸기 위해서는 렌즈유닛트(54) 및 90°각도를 갖고 배치된 제4, 제5반사거울(58,59)을 갖춘 제3광학유닛트(60)를 각각 소정량 즉, 예컨대 촛점거리(f)가 210mm의 렌즈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이동될 필요가 있다.
Figure kpo00001
단, 제3광학유닛트에 근접하는 방향이 (-), 떨어지는 방향이 (+)이다.
또, 상기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지지되어 있고 렌즈유닛트(54)를 이동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이 렌즈유닛트(54)보다도 이동량이 적은 상태로 제3광학유닛트(60)를 이동되도록 하여 소정의 복사배율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유닛트(54,60)의 이동로를 사이에 두고 평행상태로 한쌍의 스크류샤프트(100,101)가 회전가능하게 가설되어 있고, 이들 스크류샤프트(100,101)에 대해서 캐리지(102)의 양단부에 부착되어진 슬라이드부시(103)를 바깥에다 끼워줌에 따라 제3광학유닛트(60)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캐리지(102)의 일단부에는 스크류샤프트(101)와 걸려진 상태로 스파이럴하우징(104)이 갖추어져 있어 스크류샤프트(101)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3광학유닛트(60)가 스크류샤프트(100,101)를 안내부로 해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101)는 거울구동용 스텝모우터(105)가 한조의 치차(106,107)를 통해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렌즈유닛트(54)의 캐리지(108) 일단을 슬라이더부시(120,120)를 통해서 스크류샤프트(100)에 확보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그 하면에 갖추어진 슬라이더(121)를 제3광학유닛트(60)의 캐리지(102)상에 직접 놓아둠에 따라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캐리지(108)의 1단부에는 스크류샤프트(100)와 결합된 상태로 스파이럴하우징(122)이 갖추어져 있고, 스크류샤프트(100)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100)는 렌즈구동용 스텝모우터(123)의 구동력이 한조의 치차(124,125)를 통해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거울구동용스텝모우터(105)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3광학유닛트(60)가 소정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게 되어 렌즈구동용스텝모우터(123)의 정,역회전에 따라 렌즈유닛트(54)가 소정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거울구동용스텝모우터(105)와 렌즈구동용스텝모우터(123)의 구동펄스주기를 변화시켜 주게 됨에 따라 렌즈유닛트(54)보다도 그 이동량이 적게 되어 제3광학유닛트(54)의 이동량에 비해 적게 설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렌즈유닛트(60)와 제3광학유닛트(54)의 같은 이동량에 대한 핀트, 배율의 변화가 제3광학유닛트(54)의 쪽이 크기 때문에 관성력의 악영향등이 생기지 않도록 천천히 이동되며 위치정밀도가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현상장치(15)는 제15도 내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현상로울러(130) 및 제2현상로울러(131)를 갖추고 이들 제1, 제2현상로울러(130,13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예를 들면 흑색 혹은 적색의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현상장치(15)는 제1현상로울러(130)를 포함한 제1현상유닛트(132)와 제2현상로울러(131)를 포함한 제2현상유닛트(133)로 양분되어 상단의 제1현상유닛트(132)는 사용빈도가 적은 적색현상제(Da)를 사용하고 하단의 제2현상유닛트(133)는 사용빈도가 많은 흑색현상제(Da)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현상제(Da,Db)는 토너의 캐리어로 된 2성분 현상제이다.
상기 적색의 현상제(Da)를 사용하는 제1현상유닛트(132)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기구부(134)와 현상교체교반부(135)로 되어 있고, 또 제1현상로울러(130)와 이 현상로울러(130)의 표면에 형성시킨 현상제 자기브러시(Da')의 감광체드럼(12)과의 접접부, 즉 현상위치(136)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제 자기브러시(Da')의 두께를 제어하는 닥터(137)와 상기 현상위치(136)보다도 하류측에 설치되어 제1현상로울러(130)의 표면에 있는 현상제 자기브러쉬(Da')를 긁어 털어주어 현상제수용부(138)에 유도하는 스크레이퍼(139)와, 상기 현상제수용부(138)에 수용시킨 현상제교반체(140,140)를 케이싱(141)에 수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현상로울러(130)는 자기로울러(142)와 여기에 밖으로 감겨진 슬리이브(143)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자기로울러(142)는 5개의 자극부(144a-144e)를 갖고 있는데, 여기서 제1, 제3, 제5자극부(144a,144c,144e)는 N극, 제2, 제4자극부(144b,144d)는 S극으로 되어 있고 각 자극부(144a-144e)는 약 50°-70°의 각도로 배치되며 현상위치에 마주보는 제3자극부(144c)는 700-1000가우스, 다른 자극부(144a,144b,144d,144e)는 300-600가우스의 자력분포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1현상유닛트(132)에 있어서는 회전슬리이브(143)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현상되는 소위 어게인스트모우드로 되어 있고, 감광체드럼(12)의 상의흐름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그 표면에 간직된 현상제브러시(Da')를 접접시킴에 따라 감광체드럼(12)에 형성시킨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현상로울러(130)를 직경이 적도록 함에 따라 노광위치에서 전사위치까지의 스페이스를 최대로 축소시켜 복사기를 소형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감광체드럼(12)의 직경이 78mm이기 때문에, 노광위치에서 전사위치까지는 원추로 해서 약122mm 밖에 되지 않아, 이 현상위치 즉, 노광위치에서 전사위치까지의 사이를 넓혀 주기 위해서는 대전장치(13)나 청소장치(18)를 바꿔 주지 않으면 안 되지만 거기에는 한도가 있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제1현상로울러(130)의 직경이 40mm 이하의 현상기라면 스페이스를 두고 설치가능한 것이 기히 확인되어 있다.
또, 제1현상유닛트(132), 제2현상유닛트(133)의 높이는 제한되며 감광체드럼(12)의 직경이 78mm의 경우 120mm 이하로 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즉, 제1, 제2현상유닛트(132,133)와 함께 얇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 때문에 높이방향에 대해서 스페이스상으로 유리한, 또 극수가 적어 코스트가 안정되는 어게인스트모우드의 현상기가 많이 채용된다. 특히, 상부에 설치되는 제1현상유닛트(132)는 현상기개구부가 아랫방향으로 향해서 있기 때문에 현상제(Da)가 윗방향에서 아랫방향으로 흐르는 종속모우드(follow와 mode)는 현상제(Da)가 넘쳐 흐르는 등의 좋지 않은 결과가 발생된다. 이점에 있어서도 상기 제1현상유닛트(132)는 어게인스트모우드가 유리하다.
또, 이 제1현상유닛트(132)에 있어서는 회전슬리이브(143)상의 현상제자기브러시(Da')가 현상제 제거수단(145)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이 현상제제거수단(145)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슬라이브(143)를 간단히 현상시와는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거되는 극히 간단하고 가격이 싼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슬리이브(143)는 복사종료와 함께 역회전해서 현상제(Da)의 반송이 역으로 행해져 이 때문에 회전슬리이브(143)상의 현상제(Da)는 모두 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닥터(137)와 스크레이퍼(139) 사이에 남겨지게 된다.
또, 여기서 자극부가 5극인 경우 제1자극부(반송극)(144a)와 제5자극부(반송극)(144e)가 떨어져 있으면 필요한 만큼 호울좋게 현상제(Da)의 반송, 불반송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극수는 5극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스크레이퍼(139)에는 그 선단을 회전슬리이브(143)에 접한 상태로 마일라(Mylar : 상품명)가 장착되어져서 현상제(Da)의 역반송방지 효과를 보다 높여 주고 있다. 또, 회전슬리이브(143)의 역회전동작, 즉 현상제자기브러시(Da')의 제거동작은 현상동작종료 후(복사동작종료 후)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장치의 정지 후에도 행해진다.
즉, 전원 ff, 용지걸림등에 의해 돌발적인 장치의 정지가 있는 경우등에 있어서 그 후에 전원 on, 용지걸림제거등의 처리가 취해져 노광광학장치(14)의 광학계등이 초기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다시 역회전된다. 그리하여「복사가능」의 상태, 즉 준비시에는 반드시 회전슬리이브(143)상의 적어도 현상위치(136)의 근방에는 현상제(Da)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슬리이브(143)의 직경이 약 40mm 이하, 폭이 약 230mm 이하 정도의 소형 것으로 있는 경우에는 현상제(Da)의 반송, 불반송의 제어를 행하는 실시방법으로 해서는 상술한 회전슬리이브(143)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키는 이외에 제1자극부(144a)가 비자성부재로 되는 닥터(137)에 마주 향하도록 솔레노이드등의 구동원등을 통해서 자기로울러(142)를 회동변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가능하다.
한편, 흑색의 현상제(Db)를 사용하는 제2현상유닛트(133)는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기구부(146)와 현상제교반부(147)로 이루어져 제2현상로울러(131)와 이 현상로울러(131)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자기브러시(Db')의 감광체드럼(12)과의 접접부, 즉 현상위치(148)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현상제자기브러시(Db')의 두께를 규제하는 닥터(149)와, 이 닥터(149)에 의해 긁혀 떨어진 현상제(Db)를 현상제수용부(150)에 유도하는 가이드(151)와 그 현상제수용부(150)에 수용된 현상제교반체(152)와를 케이싱(153)에 수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제2현상로울러(131)는 자기로울러(154)와 이 자기로울러(154)에 바깥으로 감겨져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슬리이브(15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제2현상유닛트(133)에 있어서는 고속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제2현상로울러(131)를 제1현상로울러(130)보다 크게 함과 동시에 회전슬리이브(155)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현상시켜 주는 이른바 종속모우드(follow mode)로 되어 있고, 감광체드럼(12)의 상의 흐름에 따르는 방향으로 그 표면에 간직된 현상제자기브러시(Da')를 접접시킴에 따라 현상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감광체드럼(12)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품질이 높은 화면상태로 현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기로울러(154)는 종속모우드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현상로울러보다도 1개 많은 6개의 자극부(156a-156f)을 갖추고, 제2, 제4, 제6자극부(156b,156d,156f)는 N극, 제1, 제3, 제5자극부(156a,156c,156e)는 S극으로 되어 각 자극부(156a-156f)는 50°-60°의 각도로 배치되어 현상위치로 마주 향하는 제4자극부(156d)는 800-1000가우스, 다른 자극부(156a,156b,156c,156e,156f)는 400-600가우스가 자력분포로 되어 있다.
또, 이 제2현상유닛트(133)에 있어서는 회전슬리이브(155)상의 현상제자기브러시(Db')가 현상제거수단(157)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이 현상제제거수단(157)은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고무등과 같은 탄성부재로 된 브레이드(158)와 이 브레이드(158)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브레이드 이동기구(159)로 이루어져 회전슬리이브(155)의 표면에 브레이드(158)를 눌러 닿도록 함에 따라 현상제(Db)가 현상위치(148)에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드이동기구(159)는 브레이드호울더(160)와 일체의 슬라이더(161)에 설치된 랙크(162)에 모우터(163)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164)을 치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우터(163)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슬라이더(161)를 전진 혹은 후퇴시켜 제20도와 같이 브레이드(158)를 감광체드럼(12) 표면에 대해서 접촉시켜 주기도 하고, 제21도와 같이 감광체드럼(12)의 표면에서 멀어지게 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또, 브레이드(158)의 감광체드럼(12)에 대한 압접위치는 닥터(149)의 위치에서 제2자극부(반송극)(156b)의 사이에 존재한다. 이것은 현상제브러시(Db')를 긁어주는 것에는 제2자극부(156b)의 위치가 최고로 효율이 좋지만, 간격을 넓힌 경우에는 브레이드(158)와 닥터(149)와의 사이에 남는 현상제(Db)량이 많게 되기 때문에 다음 복사시에 이 사이에 남은 현상제(Db)가 감광체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긁어 떨어지게 되어 기체내를 더럽히는 일이 있기 때문에 브레이드(158)의 압접위치는 현상제(Db)의 남는 량이 적고 또 긁어짐이 효율좋게 행해지는 위치, 즉 닥터(149)와 제2자극부(156b)의 사이로 설정된다.
또, 166,167은 슬라이더(161)의 전진위치 및 후퇴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이며, 이들의 검지신호에 의해 모우터(163)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브레이드(158)는 복사동작종료후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슬리이브(155)가 정지하기 직전에 감광체드럼(12)에 접촉하고 그후 회전슬리이브(155)가 반회전 이상에서 정지하며 그후 브레이드(158)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슬리이브(155)에서 떨어진다. 이 때문에 회전슬리이브(155)상의 적어도 현상위치의 현상제(Db)가 제거된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브레이드(158)의 접촉동작, 즉 현상제자기브러시(Db')의 제거동작은 상기 한 제1현상유닛트(132)의 경우와 같이 현상동작종료 후(복사동작종료 후)뿐만 아니라 돌발적인 정지 후에도 일어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원차단(off), 용지걸림등에 의한 돌발적인 장치의 정지가 있는 경우등에 있어서, 그후에 전원연결(on), 용지걸림등의 처치가 행해져 노광광학장치(14)의 광학계등이 초기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다시 브레이드(158)의 접촉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복사가능」의 상태, 즉 준비(ready)상태에서는 반드시 회전슬리이브(155)상의 적어도 현상위치(148) 근방에는 현상제(Db)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제2현상유닛트(132,133)는 도시되지 않은 색지정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적색지정시에는 제21도에서와 같이 제1현상유닛트(132)의 회전슬리이브(143)상에만 자기브러시(Da')가 형성되도록 또, 흑색지정시에는 제21도에서와 같이 제2현상유닛트(133)의 회전슬리이브(155)상에만 자기브러시(D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현상유닛트(132)측이 동작되도록 지정되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현상로울러(130)의 회전슬리이브(1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슬리이브(143)의 표면에 현상제자기브러시(Da')가 형성된다. 그래서 감광체드럼(12)상에 미리 형성된 정전체상을 적색의 현상체(Da)로 현상하게끔 된다.
이의 정전체상에 대한 현상이 종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제제거수단(145)이 동작되어 회전슬리이브(143)가 역회전되고 적어도 현상위치(136)에 걸리는 현상제(Da')가 제거된 상태로 다음의 현상동작이 준비된다.
이때 제2현상유닛트(133)의 회전슬리이브(155)에도 현상제자기브러시(Db')가 형성되지 않고 다음의 어느 쪽의 현상유닛트(132,133)가 지정되어도 색혼합등의 문제점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제2현상유닛트(133)측이 동작되도록 지정되면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현상로울러(131)의 회전슬리이브(1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슬리이브(155)의 표면에 현상제자기브러시(Db')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속복사에 대처하여 제1현상유닛트(132)에 의한 현상시보다 고속회전 제어된 감광드럼(12)상에 미리 형성된 정전잠상을 흑색의 현상제(Db)로 현상하는 것으로 된다.
이 정전체잠상에 대한 현상이 종료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제제거수단(157)이 동작되어 회전슬리이브(155)의 표면에 브레이드(158)이 압접되고 적어도 현상위치(148)에 있는 현상제(Db)가 제거된 상태로 다음의 현상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또, 이때 제1현상유닛트(132)의 회전슬리이브(143)에도 현상제자기브러시(Da')가 현상되어 있지 않으며, 다음에 미리 현상유닛트(132,133)가 지정되어도 색혼합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흑색 복사시는 진행속도가 빠르게 되며, 칼라(적색)복사시는 진행속도가 느려지게 하여 칼라복사시의 화상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흑색복사시 즉, 제2현상유닛트(133)에서의 현상시에는 감광체드럼(12)의 원주속도가 233mm/s, 35매/분, A4용지를 횡에 대해 칼라복사시, 즉 제1현상유닛트(132)로의 현상시에는 감광체드럼(12)의 원주속도가 136mm/s, 25매/분, A4용지횡의 속도로 가변되어 제1현상로울러(130)의 직경이 제2현상로울러(131)의 50mm에 비해서 38mm 작고 현상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으며, 품질좋은 칼라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더구나, 사용빈도가 높은 흑색복사는 고속복사가 가능하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제2현상유닛트(132,133)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카바(170)를 열어줌에 따라 노출되는 상태로 현상제수납반송부(132a,133a)가 돌출되어 있고, 이들 현상제수납반송부(132a,133a)에 연결되는 상태로 카트리지식의 현상제보급장치(171,17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수용부(138,150)의 현상제량(토너량)을 검출하는 현상제없음 검출기(173,174)(제10도 참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소비량에 합당한 량의 현상제(Da,Db)가 적절히 보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현상유닛트(133)측의 현상제보급장치(172)는 제24도 내지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175는 현상제(Da)를 수납하는 용기이고, 이 용기(175)의 바닥부에는 회전구동시킴에 따라서 현상제(Db)를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76)가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175)의 이송스크류(176)의 현상제 이송방향으로 위치하는 일측단의 하부에는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에 연설된 호울더(177)에 대해서 끼웠다 뺄 수 있는 감합돌출부(17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감합돌출부(175a)의 하면측에는 이송스크류(176)에 의해 이송될 때 현상제(Db)를 방출하는 현상제방출구(17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호울더(177)는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의 상면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저면에는 현상제수납반송부(133)의 현상제이송축(토너오거)(182)에 대응해서 피보급구(179)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76)의 일단부에는 상기 호울더(177)의 단면에서 돌출하여 구동장치(180)의 구동커플링(181)과 연결하는 연결부(176a)를 갖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돌출부(175a)의 하면측에는 현상제방출구(178)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덮개(18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호울더(177)측에는 덮개(183)에 형성된 돌기(183a)와 끼워맞춰지는 요부(184)가 형성되어 있고, 호울더(177)에 대한 끼워맞춤돌출부(175a)의 탈착동작시에 따라서 제26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방출구(178)를 개폐하도록 덮개(183)가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장치(180)는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181)과 일체의 치차(186)와 이 치차(186)와 치차결합되는 워엄기어(187)와 이 워엄기어(187)를 구동시키는 모우터(188)를 갖춤과 아울러 제24도의 화살표(F)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가동베이스(190)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의 현상제없음을 나타내는 검출기(17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서 모우터(188)가 소정시간 구동되며 이송스크류(176)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용기(175)내의 현상제(Db)가 현상제방출구(178)측에 보내져 현상제수납반송부(176)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용기(175)내의 현상제(Db)가 현상제방출구(178)측에 보내져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의 피보급부(179)에 보내진다. 따라서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의 피보급부(179)에 보내진 현상제(Db)는 형상제이송축(182)의 회전에 따라서 현상제수납부(150)내의 상방으로 운반된다.
한편, 현상제이송축(182)를 둘러싼 상태로 있는 현상제 가이드(200)의 바닥부에는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방출구(201a-201h)가 있는 간격(La-Lg)을 갖고 설치되어 있어서 현상제수용부(150)에 설치된 현상제교반체(152)의 축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방출구(201a-201h)의 간격(La-Lg)은 현상제이송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현상제방출구(201a-201h)의 개구면적이 현상제이송방향측이 큰 상태로 되어 현상제(Db)가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또, 현상제(Db)가 없는 경우 등 카아트릿지식의 현상제보급장치(172)를 빼는 경우에는 구동장치(180)를 제24도의 상태에서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변위시킴에 따라서 이송스크류(176)의 연결부(176a)와 커플링(181)과의 끼워맞춤동작을 해제한다.
따라서, 현상제보급장치(172)의 전체를 호울더(177)을 중심으로 해서 손앞측에 회동변위 시킨 후 손앞측으로 끌어줌에 따라 호울더(177)에서 끼워맞춤돌출부(175a)를 뽑아 내게 된다.
또, 새로운 현상제보급장치(172)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행하면 양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현상유닛트(132)측의 현상보급장치(171)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현상유닛트(133)측의 현상제 보급장치(172)와 대략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210은 현상제(Da)를 수납하는 용기이고 이 용기(210)의 바닥부에는 회전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현상제(Da)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211)가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210)의 이송스크류(211)의 현상제이송방향에 위치하는 1측단측의 하부에는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에 연설된 호울더(212)에 대해서 끼웠다 뺄 수 있도록 끼워맞춰진 돌출부(2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돌출부(210a)의 하면측에는 이송스크류(211)에 의해서 이송되어진 현상제(Da)를 방울하는 현상제방출구(213)가 형상되어 있다. 상기 호울더(212)는 현상제수납반송부(133a)의 상면측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바닥면에는 스파이럴측으로 이루어진 상기 현상제교반체(140,140)의 사이에 대응해서 피보급구(214)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호울더(212)의 단면에서 돌출되어 구동장치(215)의 구동커플링(216)과 연결되는 연결부(211a)를 갖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돌출부(210a)의 하면측에는 현상제방출구(213)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담음체(21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호울더(212)측에는 담음체(217)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217a)와 걸어맞춰지는 요부(218)가 형성되어 있어서 호울더(212)에 대한 끼워맞춤돌출부(210a)의 끼웠다 빼는 동작시에 수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현상제방출구(213)를 개폐하도록 담음체(217)가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장치(215)는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216)과 일체로 치차(219)와 이 치차와 맞물리는 워엄기어(220) 및 이 워엄기어(220)를 구동시켜 주는 모우터(221)를 갖춤과 아울러 제24도의 화살표(G)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된 가동베이스(222)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3은 용기(210)의 측단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따라서 상기의 현상제검출기(17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서 모우터(221)가 소정시간 구동되며 이송스크류(211)가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용기(210)내의 현상체(Da)가 현상제방출구(213)측에 보내져 현상제수납반송부(132a)의 피보급구(214)에 보내 넣어진다. 따러서 현상제수납반송부(132a)의 피보급구(214)에 보내 넣어진 현상제(Da)는 스파이럴 축으로부터 되는 현상제교반체(140,140)에 의해서 현상제수용부(138)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또, 현상제(Da)가 없는 경우 등 카아트릿지식의 현상제보급장치(171)를 빼내는 경우에는 우선 구동장치(215)를 제24도의 상태에서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변위시켜줌에 따라 이송스크류(211)의 연결부(211a)와 구동커플링(216)의 걸어맞춤동작을 해제한다. 따라서, 현상제보급장치(171)의 전체를 호울더(212)를 중심으로 하여 손앞측으로 회동변위시킨 후 손앞측에 끌어당김에 따라 호울더(212)에서 끼워맞춤돌출부(210a)를 인발하게 된다.
또, 새로운 현상제보급장치(171)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또,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Db)를 수납한 용기(175)내에는 교반익근(225)이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이 교반익근(225)의 일단면 둘레에는 현상제(Db)를 현상제방출구(178)측에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76)에 형성시킨 스프로켓(226)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편(227--)이 돌설되어 있어서, 그에 따라 이송스크류(176)의 회전에 수납하여 교반익근(225)이 회전하고 용기(175)내의 현상제(Db)의 뭉쳐짐이나 쏠림을 방지하여 현상제(Db)를 남김없이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현상제(Da)를 수납한 용기(210)내에도 같은 모양으로 교반익근이 수납된 상태로 되어서 같은 모양으로 해서 용기(210)내의 현상제(Da)를 교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23도에 나타낸 228은 청소장치로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회수하는 박스이며, 프론트카버(170)를 열어줌에 따라 쉽게 꺼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 229는 프론트카버(170)를 흡착보관 지지하기 위한 마그넷트 캣취이다.
다음으로, 제30도 내지 제34도를 참조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를 수용하는 급지카셋트(7,8,9)는 각각 베이스(240)의 상면측에 도시안 된 가이드를 통해서 끼웠다 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데, 이들 급지카셋트(7,8,9)는 각각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의 후단위치 및 양단측을 규제하는 가이드(241,242a,242b)와 용지취출단측을 받쳐주는 용지지지판(243)을 갖춘 구성으로 된다.
상기 용지지지판(243)은 용지취출반대단측이 카셋트본체(244)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맞춰짐에 따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용지지지판(243)에는 관통공(245)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카셋트본체(244)의 바닥부의 용지지지판(24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부(24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최상단의 급지카셋트(7)의 카셋트 카버(10)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으로 끼우는 급지대(11)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손으로 끼워진 용지(P)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안내부재(247,24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부재(247,247)는 제32도 내지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셋트카버(10)에 부착되어 있어서 어느 쪽이든 한쪽의 안내부재(247)를 이동시키고 다른쪽의 안내부재(247)가 연동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3도는 급지카셋트(7)의 카셋트카버(10)를 이면측에서 본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카셋트카버(1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니언(248)을 중심으로 해서 한쌍의 렉크(249,249)가 대칭상태로 배치되며 그 각 1단은 각각 피니언(248)에 맞물림과 동시에 타단은 각각 대응하는 안내부재(247,247)에 핀(250,251)을 통해서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한쪽의 안내부재(247)를 폭방향(H)으로 따라서 이동시키면 다른쪽의 안내부재(247)는 여기에 연동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피니언(248) 및 랙크(249)에 의해 양 안내부재(247)를 연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핀(250,251)은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안내장공(252)에 간격을 갖고서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랙크(249)는 이에 의해서 폭방향(H)에 연하여 이동되도록 안내되어 있다. 또, 피니언(248)을 끼운 그 양측에는 더구나 안내핀(256)이 카셋트카버(10)에 돌출되어 이들이 대응하는 랙크(249) 배면에 피니언(248)과의 맞물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랙크부재(249)를 안내 지지하고 있다. 또, 257은 카셋트카버(10)의 이면에 적절한 수단으로 부착된 안내보강판으로 연동수단을 이루는 랙크(249)의 주행로에 연하여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보강판(257)에도 카셋트카버(10)의 장공(252)에 합치된 상태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니언(24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지축부(258)는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셋트카버(10)의 이면에 돌설되어 있지만 이 중심지축(258) 상단부에 단형상의 판스프링으로 된 제동부재(259)가 나사(260)에 의해 고정부착되어져 있는데, 이 제동부재(259)의 좌우 한쌍의 설(舌)편(259a,259a)은 절곡되어져 피니언(248)의 바깥 가장자리에 탄성을 갖고 마찰 계합시킨 상태로 되고, 또 제동부재(259)의 양단부(259b,259b)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거기에 형성된 절차부(도시안됨)을 상기 안내핀(256,256)에 걸어 맞추어 주고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248)은 제동부재(259)의 설편(259a,259a)에 의해 약간 그 회전운동에 제동작용을 주기 때문에 돌아 넘어가는 등의 과동작이 방지되고, 또 연동수단의 전체운동도 가벼운 제동작용을 하기 때문에 안내부재(247,247)의 이동조작시에 운동하는 각 부재의 관성에 의한 과동작이나 진동에 의한 위치바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각 급지카셋트(7,8,9)의 용지지지판(243)은 각 카셋트 장착부에 설치된 지지판밀어올림기구(263)의 밀어올림레버(264)의 회동동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밀어올려지며 최상단의 용지(P)가 취출로울러(급지로울러)(265)에 적당한 힘으로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밀어올림기구(263)는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266은 도시되지 않은 축수납부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축이고 이 축(266)에는 약 180도 위상을 지난 상태로 상기 밀어올림레버(264) 및 작동레버(267)가 부착되어 상태로 되어 있다. 더구나, 작동레버(267)에는 스프링(268)이 연결되어서 그 자유단부하면은 편심켑(269)의 둘레에 항상 닿아있도록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편심력캡(269)은 차례로 맞물리는 치차(270,271,272)로 된 치차기구(273)을 통해서 모우터(274)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모우터(274)의 회전에 따라 편심캡(269)의 최대편심부가 작동레버(267)에 마주보도록 되어 작동레버(267)가 스프링(26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밀어올려진 상태(제36도에 실선으로 표시)로 되고, 도 최소편심부가 마주 향함에 따라 작동레버(267)가 스프링(268)의 힘으로 당겨진 상태(제36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서 작동레버(267)와 축(266)을 통해서 일체적인 관계로 있는 밀어올림레버(264)도 이 동작에 따라서 제36도의 실선 또는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회동변위하게 되고 상기 용지지지판(243)상에 쌓여진 용지(P,...)는 취출로울러(265)에서 떨어져 접촉하게끔 된다.
또,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로울러(265)의 용지취출방향에는 겹쳐진 2매 이상의 용지(P)를 분리시켜 취출을 지지하는 분리수단(288)으로 해서 서로 구름접촉하는 로울러(289,29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로울러(289,290)은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291은 모우터이고, 이 모우터(291)는 치차(292)를 통해서 치차(293,294)와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치차(293)는 축(295)을 통해서 로울러(289)와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치차(294)는 스프링클러치(296)를 중간에 갖춘 축(297)을 통해서 로울러(290)과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클러치(296)는 로울러(289,290)의 접촉부의 힘이 Ta이상으로 되면 구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로울러(289,290) 사이의 마찰력을 Tb로 하면 Ta>Tb로 되도록 설정되어 로울러(289)는 다른 로울러(290)를 따라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용지(P)와 용지(P)와의 마찰력을 Tf라 하고 로울러(265)와 용지(P)와의 마찰력을 Tr라 하면 일반적으로 로울러(265)는 고무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Tr>Tf이다. 따라서, Ta는 Tr>Ta>Tf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지대기시에는 제3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지(P)가 취출로울러(265)로부터 이탈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급지시에는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어올림레버(264)의 밀러올림동작에 의해서 용지(P)가 취출로울러(265)에 구름접촉된 후 이 취출로울러(265)의 회전에 따러서 최상단의 용지(P)가 취촐되어 분리수단(288)을 구성하는 로울러(289,290) 사이에 보내 넣어지게 된다.
이때 최상단의 용지(P)에 흡착되어 꺼내어지게 되는 2번째 이하의 용지(P)는 제38c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로울러(290)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분리되면 최상단용지(P)만이 취출되게 된다. 이것을 용지(P)가 로울러(289,290) 사이에 들어가면 로울러(289)는 용지(P)를 Tr>Tf에 의해 화살표(J)방향으로, 또 로울러(290)와 용지(P)는Tr>Ta>Tf에 의해 역방향으로 돌러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 1매취출이 개시되면 제38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어올림레버(264)가 내려가고 다시 제38a도에 도시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또,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카셋트(7,8,9)의 바닥면측에 대한 위치 및 분리수단(288)의 직전의 용지반송로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 접촉하는 용지검출기인 반사형광학센서(300,30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 양 센서(300,301)의 「용지무」검출신호에 의해서「용지무」로 판정하는 용지검출수단(30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지지판(243)상에 용지(P)가 놓여져 있는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용지지지판(243)이 내려간 때에 이를 검출할 수가 있지만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290)로 분리된 최후의 1매가 로울러(289,290)에 의해서 좁아진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급지카셋트(7,8,9)의 바닥면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센서(300)로는 이를 검출할 수가 없으나 분리수단(288) 직전의 용지반송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센서(301)로 이를 검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용지(P)가 있음에도 불구하고「용지무」라고 판정하는 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용지검출기로 해서 반사형광학식센서(300,301)를 사용함에 따라 비접촉상태에서 용지(P)를 검지할 수 있고 더구나 투광형광학식센서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해서 외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다.
또,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수단(288)을 통과한 용지(P)는 정지중의 레지스트로울러(24)의 로울러((24a)와 (24b))의 접촉부에 닿게 되어 그 선단부의 기울음이 수정된 후 감광체드럼(12)으로의 화상형성동작과 같은 때에 화상전사부(21)로 들여보내지게 된다.
또, 최상단의 분리수단(288)과 레지스트로울러(24)와의 사이에는 로울러(305,306)로 구성된 이송로울러(305)가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취출로울러(265,...)이송로울러(305)의 로울러(305b) 및 레지스트로울러(24)의 로울러(24a,…)는 제39도에 도시한 동력전달계(306)를 통해서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307은 스텝모우터이고, 이 모우터(307)의 구동축에 끼워진 구동치차(308)는 중간치차(309)를 통해서 치차(310)와 맞물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치차(310)는 레지스트로울러(24)의 한쪽의 로울러(24a)축에 1방향클러치(311)를 통해서 부착되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중간치차(309)에는 일체적으로 스프로켓(sprocket)(312)가 설치되어서 체인(313)을 통해서 종동치차(314)와 일체의 스프로켓(315)과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315)은 1방향클러치(319)를 통해서 로울러(305b)의 축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로울러(305b)의 축에는 치차(314)가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종동치차(314)는 더구나 중간치차(316,317)을 차례로 통해서 취출로울러(265)의 축에 끼워진 치차(318)와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40도에서와 같이 모우터(307)가 정바향(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한쪽방향클러치(311)가 오프(off), 한쪽방향클러치(319)가 온(on)의 상태로 되어 취출로울러(265) 및 (305)가 구동되며 로울러(24a)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된다. 또, 모우터(307)가 역방향(파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1방향클러치(311)가 온(on), 1방향클러치(319)가 온(on)상태로 되어 로울러(24a)만이 구동되어(305b,265)는 한쪽방향클러치(319)의 작동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이 스텝모우터(307)의 정역회전에 의해 취출로울러(265), 레지스트로울러(24)의 한쪽의 로울러(24a)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최상단의 급지카셋트 장착부에는 손으로 끼워넣는 급지대(11)에 일광해서 셋트된 용지(P,…)를 차례로 한매씩 취출하고 취출로울러(265)부를 통해 분리수단측으로 통해 들어간 손으로 끼우는 로울러(32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로울러(321)와 취출로울러(265)와는 제39도 및 제41도에 도시한 로울러접촉 및 분리수단(322)에 의해서 용지반송로에 대해서 이 접촉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적어도 손으로 끼워서 용지를 공급할 때에 취출로울러(265)를 용지반송로로부터 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취출로울러(265)의 지축(265a)은 분리수단(288)의 로울러(289)의 지축(289a)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아암(323,323)의 자유단부에 부착지지되어 있다. 또, 수차로울러(321)는 취출로울러(265)의 지축(265a)를 지점으로 해서 자유회동하는 아암(324,324)의 자유단부에 부착지지되어 있다. 이 아암(324,324)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직교하는 상태로 고임돌출부(324a,324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져 있고 이들 고임돌출부(324a,324a)는 지축(325)을 지점으로 해서 자유회동하게 지지된 회동부재(326)에 부착된 레버(327,327)의 자유단부 상방에 이어져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326)는 항상 스프링(328)에 의해서 제30도의 상태로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힘을 갖는 상태로 되고 수차로울러(321)의 지축(321a)을 확보 지지한 아암(324,324)의 고임돌출부(324a,324a)가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부재(326)에는 플런저형 솔레노이드(329)의 플런저(329a)가 연결부재(33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회동부재(326)를 스프링(328)의 미는 힘에 대해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0도에 있어서 부호 331은 수치로울러(321)의 손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끼우는 급지스위치이다.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로울러(265)의 지축(265a)에는 스프로켓(332)이, 또 상기 로울러(321)의 지축(321a)에는 스프로켓(333)이 장착되어져 있고, 이들은 체인(334)를 통해서 서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손으로 끼우는 공급대(11)에 용지(P)를 실으면 이 급지스위치(331)가 "ON"되고 상기 복사키이(30)의 "ON"에 의해 솔레노이드(329)가 "ON"상태로 된다.
그리고, 희동부재(326)가 스프링(32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동변위하고 로울러(321)가 내려감과 동시에 이 이동에 연동해서 전원로울러로 되는 취출로울러(265)가 용지반송로에서 떨어지도록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용지(P)가 분리수단(288)에 보내지면 솔레노이드(329)가 "ON"상태로 되어서 로울러(321)가 올라간 상태도 되고 여기에 따라서 취출로울러(265)가 내려간 상태로 된다. 이때, 급지카셋트(7)의 용지지자판(243)을 밀어올리는 올림레버(264)가 내려간 상태로 되고 용지(P)가 취출로울러(265)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제42도를 참조해서 상기 정착장치(25)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정착장치(25)는 대별해서 상부로울러유닛트(336)와 하부로울러유닛트(3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로울러유닛트(336)는 내부에 열원(도시안됨)을 수납함과 동시에 외표면에 테프론코팅이 된 히트로울러(338)를 지축(339)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브라켓(340)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로울러유닛트(337)는 고무로울러된 가압로울러(341)를 압축스프링(342)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탄발력을 갖는 브라켓(343)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343)은 가이드축(344,344)이 삽통되는 장공(345,345)를 가지며 이 장공(345,345)의 범위에 있어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첨부로울러유닛트(336)의 브라켓(340)의 자유단근방에는 가동프레임(346)이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 가동플레임(346)은 상기 케이스(4)의 용지반송로(23)를 거의 경계에 하부유닛트에서 떨어지도록 자유회동변위되게 설치된 상부유닛트의 프레임의 일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4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유닛트를 하부유닛트로 겹친 상태에서는 브라켓(340)의 자유단측 상면부에 가동프레임(346)이 맞닿은 상태에 있고 히트로울러(338)는 압축스프링(342)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가압로울러(341)를 밀어내리는 상태로 회전 접촉하고 소정의 접촉압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용지채움이나 점검등 필요에 따라서 상기 용지반송로(23)를 개방하도록 상부유닛트를 하부유닛트로부터 벌려 놓은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프레임(346)이 브라켓(340)의 자유단측의 상면부에서 멀리 떨어지며, 제4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340)이 지축(339)을 회동지점으로 해서 최대 95도 정도로 회동변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히트로울러(338) 및 가압로울러(341)의 교환이 쉬워지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배출부(22)로부터 배출되어진 용지(P)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그때의 상태 또는 뒤집혀진 상태로 다시 복사장치 본체(1)형상 상부에 넣은 상기 방향변환반송장치(2)의 구성을 제43도 내지 47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방향변환반송장치(2)는 제4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장치 본체(1)와는 독립된 유닛트로 이루어지며 복사장치 본체(1)를 자유 착탈하도록 된 재치대를 겸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방향변환반송장치(2)는 복사장치 본체(1)의 배출부(22)의 근방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서 배출된 용지(P)를 도입하는 가이드수단(350)과, 이 가이드수단(350)에 의해 안내된 용지(P)를 반입하는 반입로(351)와 이 반입로(351)를 통해서 반입된 용지(P)를 일시 모아놓은 일시집적부(352), 이 일시집적부(352)에 집적시킨 용지(P)를 순차적으로 1매씩 꺼내는 취출수단(353), 이 취출수단(353)에 의해 취출된 용지(P)에 다중화상을 형성하도록 그 선단방향을 바꿀 필요없이 다시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도입부(354)에 유도되는 제1반송부(355)와 이 제1반송부(355)로부터 분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취출수단(353)에 의해 취출된 용지(P)에 양면 화상을 형성하도록 그 후단이 선단으로 되게끔 반송방향을 바꾸어 다시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도입부(354)에 인도된 제2반송부(356)와 이제2반송부(356)과 제1반송부(355)와의 분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취출수단(353)에 의해 취출된 용지(P)를 선택적으로 갈라놓은 진동분리수단(357)과 상기 모우드설정키이(43)의 조작에 의한 바뀌는 신호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수단(350) 및 진동분리수단(357)등을 바꾸는 구동수단(358,359)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350)은 지축(361)에 의해서 자유회동 되도록 설치된 게이트(362)로 이루어지고, 이 게이트(362)는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배출부(22)와 배지로울러(363)를 통해서 배지트레이(364)에 닿은 직선반송로(365)와 상기 일시집적부(352)에 닿은 반입로(366)와의 분지구에 설치되어 구동수단(358)에 의해서 구동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지(P)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즉, 게이트(362)는 스프링(367)에 의해서 항상 소정방향으로 탄발력을 가지며 보통은 상기 반입로(366)를 닫고 직선반송로(365)를 연상태로 되어 있고, 게이트(362)에는 연결부재(368)를 통해서 솔레노이드(369)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반입로(366)를 열고 직선반송로(365)를 닫도록 게이트(362)를 스프링(367)의 탄발력에 대향해서 회동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입로(366)에는 제1반송로울러(370), 제2반송로울러(371), 제3로울러(372)가 배치되어 용지(P)를 일시집적부(352)에 강제적으로 보내 넣어지도록 되어 있고, 제3반송로울러(37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지(P)의 받음반출위치를 용지(P)의 보내 넣은 방향에 대해서 자유 이동하게 하고 용지(P)의 사이즈에 구애됨이 없이 그 선단이 일시집적부(352)의 취출방향단측에 대응해서 설치된 취출수단(353)에 대응할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일시집적부(352)는 가이드판(373)의 상면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용지검지수단(374)의 액튜에이타(374a)가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취출수단(353)은 지축(375)을 통해서 축지지된 아암(376)의 자유단부에 확보지지된 취출로울러(377)로 이루어지고, 이 취출로울러(377)는 용지(P)가 일시 집적부(352)에 집적되는 때에는 상방으로 변위하여 용지(P)의 집적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아암(376)의 축까지 단측에는 솔레노이드(378)를 구동원으로 해서 회동하는 레바(379)에 맞닿은 돌출부(376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솔레노이드(378)의 "ON"동작에 의해서 돌출부(376a)를 취출로울러(377)가 제42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변위되고 "OFF"동작에 의해서 취출로울러(377)가 제42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고, 일시집적부(352)내에 집적된 용지(P)에 구름접촉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취출수단(353)의 용지 취출방향에는 로울러(380a,380b)로 이루어진 반송로울러(380)가 설치되어서 일시집적부(352)에서 취출된 용지(P)를 상기 진동분리수단(357)에 보내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일시집적부(352)에서 취출되어 반송로울러(380)를 통해 보내 넣어진 용지(P)의 방향변환부분의 구성을 제4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반송로울러(380)를 준비한 용지(P)를 이송하는 제1반송로(382)와 이 제1반송로(382)에 연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반송로울러(383)를 갖춘 제2반송로(384), 상기 제1반송로(382)의 종단부에서 분지되고 반송로울러(385)를 갖춘 제3반송로(386) 및 이 제3반송로(386)에 합류하는 상태로 제2반송로(384)의 기초단부에서 분지된 제4반송로(387)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송로(382)와 제3반송로(386)와의 분지부에 설치되며 반송로울러(380)에 의해 제1반송로(382)를 반송시킨 용지(P)를 제2반송로(384) 또는 제3반송로(386)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제1가이드수단(388)과 상기 제2반송로(384)와 제4반송로(387)와의 분지부에 설치되며 반송로울러(383)에 의해 제2반송로(384)를 역으로 보내져 온 용지(P)를 제4반송로(387)측에 안내하는 제2가이드수단(389)이 설치되어서 상기 진동분리수단(357)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제2반송로(384)에는 제1반송로(382)에서 부터 제2반송로울러(384)에 유도된 용지(P)의 후단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반송로(383)가 용지(P)를 역반송하도록 제어하는 용지검출수단(39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가이드수단(388,389)을 바꿈에 따라 제1반송로(382)를 통해서 반송된 용지(P)를 그 반송방향 선단을 바꿈없이 반송시키고 후단이 선단측으로 되도록 반송방향을 변환시켜 반송하며 다시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도입부(354)에 보내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가이드수단(388,389)은 지축(391)을 통해서 축지지됨과 동시에 플런져형 솔레노이드(392)의 플런져(392a)에 연결부재(393,393)를 통해서 연결된 가이드부재로 각각 구성되며 솔레노이드(392)의 ON,OFF동작에 의해서 제44도에 실선 또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1매 원고의 양면복사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a) 우선, 조작판넬(6)상의 모우드 설정키이(43)를 조작해서 「1매의 원고의 양면복사모우드」를 설정함과 아울러 별도조작에 의해 복사매수, 노광량(복사농도), 복사배율등을 설정한 후 복사키이(30)를 누른다.
(b) 가이드수단(350)의 솔레노이드(369)가 끌려져 복사된 용지(P)가 방향변환반송장치(2)에 오게 된다.
(c) 편면복사가 된 용지(P)가 일시집적부(352)에 집적된다.
(d) 가이드수단(350)의 솔레노이드(369)가 되돌아온다.
(e) 원고를 바꾸어 다시 복사키이(30)를 누른다.
(f) 일시집적부(352)에 설치된 취출수단(350)의 솔레노이드(378)가 끌려오고 취출로울러(377)가 하강한다.
(g) 취출로울러(377), 분리수단을 겸하는 반송로울러(380) 및 반송로울러(스위치백로울러짝)(383)가 회전한다.
(h) 용지(P)의 선단이 반송로울러(380)에 충분히 도달한 시간에 취출로울러용 솔레노이드(378)가 되돌아오고 취출로울러(377)가 상승한다.
(i) 용지(P)의 선단이 반송로울러(383)에 충분히 도달한 시간에 반송로울러(380)가 정지한다. 그러나, 반송로울러(380)는 1방향클러치여서 반송로울러(383)에 의해 인장된 용지(P)의 후단이 떨어지기까지 용지(P)에 의해 회전된다.
(j) 용지(P)의 후단이 용지검출수단(390)을 통과하고 나서 반송로울러(383)가 역회전되며 진동분리수단(357)의 솔레노이드(392)가 끌려와 반송로울러(이송로울러짝)(385)가 회전한다.
(k) 용지(P)의 선단이 복사장치 본체(1)의 상전사부(21)의 앞에 위치하는 레지스트로울러(24)에 도달한 후 반송로울러(383,385)가 정지하고 용지(P)를 레지스트한다.
(l) 용지(P)가 상전사부(21)에 보내지면 그 후단이 진동분리수단(357)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진동분리수단(357)의 솔레노이드(392)가 되돌아온다. 그러나 반송로울러(385)는 1방향클러치부이므로 레지스트로울러(24)를 인장된 용지(P)에 의해 회전한다.
(m) 진동분리수단(357)이 되돌아온 그대로의 상태에서 일시집적부(352)내의 일면 복사제의 용지(P)가 없을 때까지 상기(f)-(l)의 동작을 되풀이하게 된다.
다음에는 예컨대 이중복사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a) 우선, 조작판넬(6)상의 모우드설정키이(43)를 조작해서 2중복사모우드를 설정함과 아울러 별도조작에 의해 복사매수, 노광량(복사농도) 복사배율등을 설정한 후 복사키이(30)를 누른다.
(b) 가이드수단(350)의 솔레노이드(369)가 끌려오고 복사된 용지(P)가 방향변환반송장치(2)로 들어온다.
(c) 일면복사된 용지(P)가 일시집적부(352)에 집적된다.
(d) 가이드수단(350)의 솔레노이드(369)가 되돌아온다.
(e) 원고를 바꿔서 다시 복사키이(30)를 누른다.
(f) 일시집적부(352)에 설치된 취출수단(353)의 솔레노이드(378)가 끌려지고 취출로울러(377)가 하강한다.
(g) 진동분리수단(357)의 솔레노이드(392)가 끌려지고 취출로울러(377), 분리수단을 겸하는 반송로울러(380) 및 반송로울러(이송로울러짝)(385)가 회전한다.
(h) 용지(P)의 선단이 반송로울러(380)에 충분히 도달한 시간에 취출로울러용 솔레노이드(378)가 돌아오고 취출로울러(377)가 상승한다.
(i) 용지(P)의 선단이 반송로울러(385)에 충분히 도달한 시간에 반송로울러(380)가 정지한다. 그러나 반송로울러(380)는 1방향클러치부이며 반송로울러(385)에 의해 인장된 용지(P)의 후단이 떨어지기까지 용지(P)에 의해서 회전한다.
(j) 용지(P)의 선단이 복사장치 본체(1)의 상전사부(21)의 앞쪽에 위치하는 레지스트로울러(24)에 도달시켜 반송로울러(385)가 정지하고 용지(P)를 레지스트한 다음 용지(P)가 상전사부(21)에 송출된다.
(k) 가이드수단(350)이 되돌아오기까지의 상태로 일시적 집적부(352)내의 편면복사제의 용지(P)가 없기까지 상기 (f)(j)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더구나, 이와 같이 복사장치 본체(1)의 용지배출부(22)에서 배출된 용지(P)를 필요에 따라 받아 그때까지 상태 또는 이면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다시 복사장치 본체(1)의 화상형 상부로 해서 상전사부(21)에 유도함에 따라 용지(P)에 대해서 다중 또는 양면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방향변환반송장치(2)에 있어서, 제43도에 2점쇄선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의 통과부를 통해 편측(아래측)에 위치하는 부재를 용지통과로를 개방하도록 위치(아래측)으로 자유롭게 변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반입로(366)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판(400a,400b)의 아래가이드판(400a), 반송로울러(371)의 로울러(371a), 일시집적부(352)를 구성하는 가이드판(373)과, 제1, 제2반송로(382,383)를 구성하는 아래가이드판(401), 반송로울러(380)의 아래로울러(380a), 반송로울러(383)의 아래로울러(383a)는 용지(P)의 반송방향 일측을 지점으로 해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402)에 장착되며 이 지지프레임(402)의 변위동작에 따라서 용지관통로를 개방하도록 바깥쪽으로 일제히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402)의 자유단측에는 지지프레임(402)을 소정의 상태로 확보지지하는 지지수단(403,403)을 갖추고 있고, 이들 수단(403,403)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용지반송부를 개방할 수 있고 용지걸림등에 용이하게 대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44도 내지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로 반송되어 오는 용지(P)를 받아서 일시집적부(352)에 집적시키도록 반입시키는 반입수단이 용지(P)의 반입방향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반입수단은 제1반송로울러로 하여금 구동로울러(372a)와 제2반송로울러로 해서의 종동로울러(372b)를 갖는 상기 반송로울러(372)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로울러(372a)는 가이드부로 해서의 슬릿트(405,405)로 부시(406,406)를 설치하여 지지시킴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가로로 설치된 지축을 가지며 또한 상기 종동로울러(372b)는 상기 구동로울러(372a)와의 사이에서 용지(P)를 끼워 반송하도록 구동로울러(372a)에 항상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구동로울러(372a)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로 해서의 슬릿트(405,405)는 용지반송로를 끼고 떨어져 마주 보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408,408)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릿트(405,405)에 의해 확보지지된 축받침(406,406)은 상기 프레임(408,408)의 외측에 설치된 위치결정수단(409,409)에 의해 용지(P)의 사이즈별로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위치결정수단(409,409)는 제46도 및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406)의 이동로를 따라 설치되어짐과 동시에 부시(406)의 외주일부와 끼워맞춰서 되는 복수의 凹부(410,410)를 갖는 위치결정부재로 해서 레버(411)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레버(411)는 일단이 축(412)을 통해서 프레임(408)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짐과 동시에 자유단측에는 상기 요부(410)가 부시(406)에 끼워맞춰지도록 항상 단발력을 갖는 탄발부재로서의 스프링(413)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45도 및 제47도에 도시한 414는 상기 축받침(406,406)을 확보지지해서 로울러(372a)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동프레임이고, 415는 가동프레임(414)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로울러(372b)를 구동로울러(372a)측에 탄발력을 주는 판스프링이다. 그리고, 용지(P)를 일시집적부(352)에 보내는 반송로울러(407)를 용지(P)의 사이즈에 따라서 위치에 셋트시키는 경우에는 양 레바(411)를 스프링(413)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동시킨 상태에서 가동프레임(414)을 이동시키며, 소정의 요부(410)에 부시(406,406)를 끼워맞추면 양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P)의 사이즈에 맞는 위치에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반송로울러(407)를 이동시킬 수가 있고 용지(P)를 일시집적부(352)에 취출가능한 상태로 정렬과 집적시킬 수가 있다.
제2도는 제어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즉, 541은 각종 센서류, 각종 스위치류, 조작판넬상의 각종 키이스위치류등 복사장치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입력장치, 542는 그 입력포트, 543은 노광램프, 정작장치의 히타, 각종 대전기의 고압전압, 각종 모우터등의 출력장치, 544는 그 출력포트, 545는 복사장치 전체의 제어를 하는 메인프로세서, 데이타버스(546)를 통해서 상기 입력포트(542) 및 출력포트(544)와 접촉되어 있다. 한편, 547은 서브프로세서이고 문장의 표시는 이 서브프로세서(547)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548은 롬(ROM)으로 실행프로그램이 모아져 있고 문자패턴 및 문장데이타를 기억해내며 데이타버스(549)를 통해서 서브프로세서(547)와 접촉되어 있다. 서브프로세서(547)는 메인프로세서(545)에서 데이타버스(549)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문장을 코드형식으로 받아들이며 이에 따른 제1표시부(515)에 문장을 표시한다.
메인프로세서(545)는 문장코드를 보낼 때 제어신호(550)를 이용해서 서브프로세서(547)에 이것으로부터 데이타를 보내는 것을 지시한다. 서브프로세서(547)는 이를 받아 응답신호(551)를 이용해서 메인프로세서(545)로의 데이타를 받을 수가 있음을 주지시켜 주며 데이타버스(549)에 세트되어 있는 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상기 제1표시부(515)는 예컨대 40항(桁)정도의 형광표시관을 이용하고 있고 1항은 5×7의 합계 35도트(dot)로 되어 있다.
형광표시관은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를 고진공의 유리용기에 봉입시킨 3극 전자관으로 캐소드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그리고 및 애노드에 인가한 정전압으로 가속시켜 애노드에 도포시킨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것으로 애노드 및 그리드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바라는 숫자, 문자, 기호를 표시한다. 그리드측에는 데이타버스(552)를 통해서 서브프로세서(547)와 접속되는 쉬프트레지스터(553)를 설치하며 그리드라이버(554)에 의해 1항(桁)씩 차례로 드리드를 스캔(scan)하고 있다. 또, 애노드측에는 데이타버스(552)를 통해서 서브프로세서(547)와 접속되는 랫치(latch)회로(555)를 설치하며 이 랫치회로(555)에 1항(桁) 35돗트(dot)의 데이타를 40항(桁)분 랫치하고 애노드 드라이버(556)에 의해 1항(桁)에 40항분의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에 40항분의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3도는 제1표시부(515)에 복사장치의 복사를 표시하고 있는 때에 헬프키이(Help Key, 508)를 누른 때의 플로우챠트이다. 즉「복사가능」표시상태로 헬프키이(508)이 눌려지면「복사취급방법은」이라는 질문을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노우키이를 누르면 도시한 바와 같이「용지걸림 취급방법입니까?」「서비스맨을 부릅니까?」하는 질문문장을 표시하고 이하 노우키이(510)가 눌려짐에 따라 내용이 변하여 최후에 다시 「복사가능」의 문장으로 되돌아온다.
또, 각 질문에 대해서 예스키이(509)가 눌려진 경우 그 항목에 관해 다시 상세한 질문까지는 동작순서를 표시한다. 제3도중 ①~③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1예로서의 1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확대/축소복사입니까?」의 질문문장의 표시에 대해 노우키이(510)가 눌려지면「양면복사로 합니까?」라고 질문문장을 표시하고 이하 노우키이(510)가 눌려짐에 질문내용이 바꿔 최후로 다시「복사가능」의 문장표시로 되돌아온다. 또, 각 질문에 대해서 예스키이(509)가 눌려진 경우 그 항목에 대해 상세한 질문까지는 조작순서를 표시한다. 제4도중 ④~⑦이 그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④ 및 ⑥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④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컨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65%키이 또는 ↑154%를 누르시오」의 표시에 대해서 축소키이(514) 또는 확대키이(513)을 눌러서 배율이 설정되면「복사단추을 누르시오」라고 된 문장이 표시되고, 여기서 복사키이(501)가 눌려짐에 따라 복사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⑤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예컨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유리면 위에 2매의 원고를 놓겠습니까?」의 질문문장에 대해 노우키이(510)가 눌려지면「유리면 위에 원본을 놓으시오.」라고 하는 문장을 표시하고 이때 모우드표시 램프(526)를 점등시켜 자동적으로 1매원고의 양면복사모우드로 바뀐다. 또, 본 실시예에는 이 표시후 약 4초후에 자동적으로 「복사단추를 누르시오.」라는 문장을 표시한다. 또,「유리면 위에 2매의 원고를 놓겠습니까?」의 질문문장표시에 대해서 예스키이(510)가 눌려지면「유리면 위에 2매의 원고를 놓아주시오」라는 문장을 표시하고 이때 모우드표시램프(527)를 점등시켜 자동적으로 2매원고의 양면복사모우드로 바뀐다. 그후 같은 형태로 약 4초 후에 자동적으로「복사단추를 누르시오」라는 문장을 표시한다.
이상, 확대복사, 축소복사 및 양면복사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사용자가 익숙해 있는 경우에는 헬프키이(508)을 이용하지 않아도「복사가능」의 표시상태에서 직접 변환키이(511) 및 모우드 설정키이(524) 등을 조작해서 복사를 행할 수도 있다.
또, 용지선택, 서비스코일은 처치, 책의 복사, 이중복사에 대해서도 모두 같고, 표시되어 있는 질문에 대해서 예스키이(509) 또는 노우키이(510)로 답하든가 표시되어 있는 조작 순서에 따라서 조작함에 따라 적절한 조작을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각종 센서류, 각종 스위치류, 조작판넬상에 각종 스위치류등 복사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입력장치(514)(제2도)와 관련시켜 제1표시부(515)에 문장을 표시하는 작동을 제7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해 나가면서 설명한다.
복사장치 본체의 전원스위치가 "ON"되면(ST1) 정착장치(25)의 히타램프가 점등되며(ST2) 동시에 제1표시부에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문장이 표시된다(ST3). 상기의 입력장치(541)쪽의 온도센서가 스텝(ST2)에서 점등된 히타램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가 장착가능한 온도가 되는지 메인프로세서(545)로 판단시킨다(ST4). 히타램프의 온도가 정착가능온도라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입력장치(541)쪽의 용지없음을 검출하는 센서(300) 및 (301)이 급지카셋트(7,8,9)내에 용지(P)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ST5).
스텝(ST5)의 결과 급지카셋트(7,8,9)내에 용지(P)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면 제1표시부(515)「종이를 끼워 주시오.」의 문장이 표시된다(ST12). 스텝(ST5)의 결과 급지카셋트(7,8,9)내에 용지(P)가 존재하면 제1표시부(515)에 「복사가능」의 문장이 표시된다(ST6).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판넬상의 헬프키이(508)가 눌려져야 하는지 아닌지 메인프로세서(545)로 판단된다(ST7). 그 결과 헬프키이(545)가 눌려지면 제1표시부(515)에 「복사하는 방식입니까?」의 질문문장이 표시된다(ST7). 이 질문문장에 대해 사용자가 누른 키이가 예스키이(509)나 노우키이(510)로 되어야 하는지를 메인프로세서(545)로 판단시킨다(ST9). 그 결과 노우키이(510)가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515)에「종이걸림 취급방법이니까?」의 질문이 표시된다(ST20). 예스키이(509)가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515)에 「확대/축소복사입니까?」의 질문문장이 표시된다(ST10). 스텝(10)질문에 대해서 사용자가 누른 키이가 예스키이(509)인지 노우키이(510)인지를 메인프로세서(545)에서 판단시킨다(ST11). 그 결과 노우키이(510)가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515)에 「양면복사로 합니까?」의 질문문장이 표시된다(ST21). 예스키이(509)가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515)에 「양면복사로 합니까?」의 질문문장이 표시된다(ST21). 예스키이(509)가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515)에「↓65%키이 또는 ↑154%키이를 누르시오.」의 문장이 표시된다(ST12).
이 문장에 대해서 사용자가 누른 키이가 축소(65%)키이 또는 확대키이(154)가 되는지 어떤지의 여부를 메인프로세서(545)로 판단시킨다(ST12). 그 결과 눌려진 키이에 대한 숫자. 즉「65%」또는 「154%」의 확대/축소비율문장이 제1표시부(515) 좌단에 표시된다(ST14). 이 확대/축소에 대해서 노광광학장치(14)의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의 이동할 이동량에 대한 스텝수가 메인프로세서(545)로 연산된다(ST15).
다음으로,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를 구동하는 스텝모우터(123) 및 (105)에 상기 스텝수에 대한 펄스수의 펄스전압이 공급되어 구동된다(ST16).
그리고 스텝모우터(123) 및 (105)에 공급된 펄스전압의 스텝수가 메인프로세서(545)로 카운트되어 그 카운트값이 상기 연산된 이동량에 대한 스텝수과 같은지를 판단한다. 즉, 렌즈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가 소정의 거리 이동량이 메인프로세서(545)에서 판단된다(ST17). 스텝(17)이 실행된 결과 렌지유닛트(54) 및 제3광학유닛트(60)가 소정거리 이동하면 제1표시부(515)에 「복사단추를 누르시오.」라는 문장이 표시된다(ST18). 여기서 사용자가 복사키이(501)를 누름에 따라 지정된 확대/축소율에 대한 복사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조작판넬상에 조작방법등을 문장으로 표시하여 주므로써 장치조작에 익숙해 있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그 취급설명서등을 하나하나 읽지 않아도 빠짐없이 확실하게 원하는 조작을 할 수가 있고 또 오조작에 의한 불필요한 일등도 없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사장치의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자프린터 또는 팩시밀리장치등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원하는 화상형성을 행하는 화상형성장치라면 적용시킬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그 취급설명서등을 읽지 않고도 원하는 조작을 간단히 그리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오조작에 의한 불편한 점등도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가 조작에 따라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상장치(1)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541)과, 상기 검출수단(541)의 검출결과에 의해 보통은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를 문장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515).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1입력수단(508),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입력수단(509),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3입력수단(510) 및, 상기 제1입력수단(508)이 조작되면 상기 표시수단(515)에 화상형성장치(1)의 조작에 관한 항목을 문장으로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제2입력수단(509)가 조작되면 상기 표시수단(515)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 관해 다음에 조작할 항목을 문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3입력수단(510)이 조작되면 상기 표시수단(515)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과는 다른 조작에 관한 항목을 문장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515)에 표시되는 항목은 사용자에 대한 질문형식의 문장으로 제2입력수단(509)의 조작이 상기 표시수단(515)으로 표시되는 질문에 대한 긍정의 회답을 의미함과 더불어, 제3입력수단(510)의 조작이 상기 표시수단(515)으로 표시되는 질문에 대한 부정의 회답을 의미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1)의 조작에 관한 항목은 이 화상형성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실제로 조작함에 따라 제2입력수단(509)을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다음에 조작할 항목 또는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를 문장으로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515)은 화상형성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조작판넬(6)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장치(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860005246A 1985-06-28 1986-06-28 표시장치 KR900001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2117A JP2513603B2 (ja) 1985-06-28 1985-06-28 画像形成装置
JP60-142117 1985-06-28
JP142117 1985-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14A KR870000614A (ko) 1987-02-19
KR900001046B1 true KR900001046B1 (ko) 1990-02-26

Family

ID=1530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246A KR900001046B1 (ko) 1985-06-28 1986-06-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92827A (ko)
EP (1) EP0210752B2 (ko)
JP (1) JP2513603B2 (ko)
KR (1) KR900001046B1 (ko)
DE (1) DE3678059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859B2 (en) 2005-04-06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ry force control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6432C2 (de) * 1986-02-28 1996-04-25 Konishiroku Photo Ind Kopiervorrichtung mit Blattzahl/Vergrößerungs-Anzeige
JP2537225B2 (ja) * 1987-03-03 1996-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り装置
DE3809677A1 (de) * 1987-03-19 1988-12-01 Toshiba Kk Anzeige- und eingabegeraet
JPS6432273A (en) * 1987-07-28 1989-02-02 Konishiroku Photo Ind Copying device
JP2733982B2 (ja) * 1988-08-31 1998-03-30 ミノルタ株式会社 複写機における複写モード選択装置
JPH02201380A (ja) * 1989-01-30 1990-08-09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204968A (en) * 1989-03-27 1993-04-20 Xerox Corporation Automatic determination of operator training level for displaying appropriate operator prompts
JP3039659B2 (ja) * 1989-05-10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操作方法
US5105220A (en) * 1990-08-06 1992-04-14 Xerox Corporation Operator introduction screen
US5138377A (en) * 1991-05-23 1992-08-11 Xerox Corporation Internal expert system to aid in servicing
JPH0624093A (ja) * 1992-07-10 1994-02-0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96190A (ja) * 1995-06-19 1997-01-10 Canon Inc 動作モード設定装置
JP3662685B2 (ja) * 1996-09-30 2005-06-2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6341327B1 (en) 1998-08-13 2002-01-22 Intel Corporation Content addressable memory addressable by redundant form input
US6172933B1 (en) 1998-09-04 2001-01-09 Intel Corporation Redundant form address decoder for memory system
US6222539B1 (en) * 1998-10-22 2001-04-24 Hewlett-Packard Company Extended help feature for image forming devices
EP2287721A3 (en) * 1999-11-02 2011-04-06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7181151B2 (en) 2003-06-25 2007-02-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printing apparatus having a help message display function to display help messages corresponding to on-screen information
US20060172267A1 (en) * 2005-01-31 2006-08-03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training and automatic assignment
US7406271B2 (en) * 2005-05-24 2008-07-29 Xerox Corporation Contextual fault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printing system
JP4362613B2 (ja) * 2007-07-20 2009-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キャナ装置、同スキャナ装置を備えた情報表示システム
US7828290B2 (en) * 2007-08-24 2010-11-09 Kabushiki Kaisha Toshiba ADU transport roller driv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DU transport roller driving method
US8462117B2 (en) * 2007-12-30 2013-06-11 Sap Ag Navigational processor keyboard system
JP6892631B2 (ja) * 2017-03-27 2021-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656A (en) * 1979-10-30 1986-02-25 Xerox Corporation Message que interactive control console
US4327994A (en) * 1980-05-27 1982-05-04 Xerox Corporation Progressive disclosure copying machine console using common keys for copy number and function select operations
US4332464A (en) * 1980-09-22 1982-06-01 Xerox Corporation Interactive user-machi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er/duplicator
JPS57139782A (en) * 1981-02-24 1982-08-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Indicator
JPS57161865A (en) * 1981-03-31 1982-10-05 Toshiba Corp Electronic copying machine
JPS58182652A (ja) * 1982-04-20 1983-10-25 Mita Ind Co Ltd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複写機
JPS5961853A (ja) * 1982-10-01 1984-04-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72452A (ja) * 1982-10-18 1984-04-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111690A (ja) * 1982-12-17 1984-06-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章表示装置
JPS59220722A (ja) * 1983-05-31 1984-12-12 Toshiba Corp 像形成装置
US4668978A (en) * 1983-08-24 1987-05-26 Kabushiki Kaisha Toshiba Thermal transfer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color and image color density control functions
JPH0619621B2 (ja) * 1983-12-20 1994-03-16 株式会社東芝 像形成装置
JPS60172152U (ja) * 1984-04-23 1985-11-14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計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859B2 (en) 2005-04-06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ry force control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13603B2 (ja) 1996-07-03
EP0210752A3 (en) 1988-09-21
JPS623260A (ja) 1987-01-09
KR870000614A (ko) 1987-02-19
EP0210752B2 (en) 1998-04-29
DE3678059D1 (de) 1991-04-18
EP0210752A2 (en) 1987-02-04
EP0210752B1 (en) 1991-03-13
US4792827A (en) 198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046B1 (ko) 표시장치
JP2860918B2 (ja)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GB1604459A (en) Copying or printing apparatus
JP3108174B2 (ja) 画像形成装置
JP317705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58510B2 (ko)
JPS623261A (ja) 画像形成装置
EP0263441A2 (en) Magnification converting mechanism for a variable magnification copying apparatus
JP2939804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S623241A (ja) 画像形成装置
JPS61101335A (ja) 画像記録体の方向変換搬送装置
JPS6199130A (ja) 露光光学装置
JPS623265A (ja) 表示装置
EP0262682A2 (en) Magnification converting mechanism for a variable magnification copying apparatus
JPH0827581B2 (ja) 画像形成装置
JP2800228B2 (ja) 画像形成装置
US4595189A (en) Paper feeder apparatus
JPS6199177A (ja) 現像剤補給装置
JPH0736372Y2 (ja) 電子写真複写機の排気構造
JPS6199129A (ja) 露光光学装置
JPS622895A (ja) 搬送装置
JPS61101354A (ja) 画像形成装置
JPS61226762A (ja) 画像形成装置の操作パネル
JPS61101342A (ja) 給紙装置
JPS61101347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