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2394A -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2394A
KR890012394A KR1019880000750A KR880000750A KR890012394A KR 890012394 A KR890012394 A KR 890012394A KR 1019880000750 A KR1019880000750 A KR 1019880000750A KR 880000750 A KR880000750 A KR 880000750A KR 890012394 A KR890012394 A KR 89001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olycrystalline silicon
region
emitter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28339B1 (ko
Inventor
스프래트 데이비드
알.샤 라지브
Original Assignee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라이스 머레트
Publication of KR89001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272Silicon 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48Combination of bipolar and 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49Bipolar and MOS techn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2Vertical transistors
    • H01L29/7322Vertical transistors having emitter-base and base-collector junctions leaving at the same surface of the body, e.g. planar transist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제조 스텝을 도시한 반도체 웨이퍼의 단면도.

Claims (25)

  1. 반도체 본체의 면에 제1도전형의 반도체 우물을 형성하는 수단, 반도체 우물내에 제2도전형의 반도체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반도체 베이스 영역과 접속하여 측벽을 갖고 있는 제1도전형의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를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단,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구조물의 측벽상에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우물내에 제1도전형의 반도체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고 에미터 구조물의 분리부에 관련하여 자체 정렬하는 수단, 우물내에 반도체 베이스 영역에 인접하게 제2전형의 반도체 외인성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고 에미터 구조물의 분리부에 관련하여 자체 정렬하는 수단, 제1도전형의 반도체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영역내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향 도전형의 바람직하지 못한 불순물이 에미터 구조물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에미터 구조물을 덮는 물질의 일시적인 차단층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에미터 구조물과 반도체 베이스 영역 사이에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분리부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반도체 베이스 영역과 접촉하여 개구를 통해 에미터 구조물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도체 본체의 면에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및 전기 접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 영역, 콜렉터 영역 및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구조물의 일부를 덮는 도전성 규산화물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베이스 영역에 인접한 반도체 본체의 면에 반도체 우물 부분을 형성하는 수단,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콜렉터 접합부와 병렬로 장볍 다이오드를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우물과 베이스 부분을 덮는 금속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분리물질로 MOSFET 장치 게이트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에미터 구조물의 물질로 게이트 도체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에미터 분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게이트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에미터 구조물이 형성됨과 동시에 게이트 도체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대응 측벽 분리부가 게이트 도체부상에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동일한 스텝에 의해 에미터 구조물상에 측벽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외인성 베이스 영역이 형성될때 제1형태의 MOSFET 장치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및 콜렉터 영역이 형성될 때 제2형태의 MOSFET 장치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도전형의 반도체 우물, 우물상에 배치되고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 상당히 연장되며 한측이 반도체 우물을 지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 다결정성 실리콘 스트립, 다결정성 실리콘 스트립 하부에 배치되는 제2도전형의 반도체 진성 베이스 영역,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과 접속되고 진성 베이스 영역내에 형성된 반도체 에미터 영역, 및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의 대향측 상에 형성되고 진성 베이스 영역과 전기적 접촉하여 형성되는 외인성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외인성 베이스 영역, 콜렉터 영역, 및 반도체 우물을 지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의 일부와 접촉하여 형성된 각각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 제10항에 있어서, 베이스 영역내에 형성된 에미터 영역으로 구성되고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의 대응폭보다 짧은 폭을 포함하는 네스트형 매입 에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3. 제10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과 베이스 영역 사이의 분리부와,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이 베이스영역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분리부내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4. 제10항에 있어서, 베이스 영여과 접촉되는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다결정성 에미터 스트립의 대응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포함하는 월형 에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5. 제10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 에미터 스트립상에 측벽 분리부를 포함하고, 외인성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이 측벽 분리부에 관련하여 자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6. 교호 도전성의 영역을 갖고 있는 축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제1도전형의 불순물 우물, 제1도전형의 불순물 우물내에 형성된 제2도전형의 반도체 베이스 영역, 베이스 영역내에 형성된 제1도전형의 반도체 에미터 영역, 에미터 영역과 전기적 접촉되는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의 측벽상에 형성된 산화 실리콘, 불순물 우물내에 형성되고 측벽 분리부와 자체 정렬된 제1도전형의 반도체 콜렉터 영역, 및 불순물 우물내에 형성되고 측벽 분리부와 자체 정렬된 제2도전형의 외인성 베이스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콜렉터 영역 및 진성 베이스 영역이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의 대항측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에미터 영역이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와 전기적 접촉되도록 형성된 매입형 접촉부를 포함하고,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에 외부 전기 접촉을 하기 위해 매입형 접촉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9. 제18항에 있어서, 매입형 접촉부가 이 매입형 접촉부상에 배치된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 부의 대응폭보다 작은 폭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0. 제18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가 불순물 우물을 지나서 기다랗게 연장되고, 오프셋 접촉부가 다결정성 실리콘 도체의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내에 자체 정렬된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면내에 반도체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에미터 영역을 정하기 위해 소정 위치에 베이스 영역과 접촉하여 도우프된 다결정성 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수단, 연부가 에미터 영역을 지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결정성 실리콘을 형성하는 수단, 다결정성 실리콘 연부와 정렬된 기판의 면내에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및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기 위헤 베이스 영역내로 다결정성 실리콘의 도팬트를 확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의 연부상에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분리부와 정렬된 콜렉터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의 주변 연부밑에 분리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분리부내에 개구를 정하기 위해 다결정성 실리콘 밑에 분리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베이스 영역과 접촉하여 개구내에 다결정성 실리콘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실리콘 연부가 제1연부를 정하고, 다결정성 실리콘의 제2연부를 형성하는 수단, 및 제2연부와 정렬되고 베이스 영역과 인접한 기판내에 외인성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00750A 1987-01-30 1988-01-29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0128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0687A 1987-01-30 1987-01-30
US008906 1987-01-30
US008,906 1987-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394A true KR890012394A (ko) 1989-08-26
KR0128339B1 KR0128339B1 (ko) 1998-04-06

Family

ID=2173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750A KR0128339B1 (ko) 1987-01-30 1988-01-29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81235B1 (ko)
JP (1) JP2587444B2 (ko)
KR (1) KR0128339B1 (ko)
CN (1) CN1012774B (ko)
DE (1) DE38822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459A (ja) * 1989-04-26 1991-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414013A3 (en) * 1989-08-23 1991-10-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bipolar transistor in conjunction with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EP0478923B1 (en) * 1990-08-31 1997-11-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self-aligned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US5087580A (en) * 1990-09-17 1992-0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f-aligned bipolar transis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process
US5204275A (en) * 1990-12-26 1993-04-20 North American Philip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compact bipolar transistor
DE4137101A1 (de) * 1991-02-28 1992-09-03 Daimler Benz Ag Laterales halbleiterbauelement
US5422290A (en) * 1994-02-28 1995-06-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BiCMOS structures
JPH08236537A (ja) * 1994-12-22 1996-09-13 Motorola Inc エピ層を用いない高性能高電圧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FR2786608B1 (fr) * 1998-11-30 2001-02-09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 fabrication de circuits integres bicmos sur un substrat cmos classique
CN102244078B (zh) * 2011-07-28 2013-06-12 江苏捷捷微电子股份有限公司 台面工艺可控硅芯片结构和实施方法
CN106033743B (zh) * 2015-03-17 2019-04-02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BiCMOS集成电路制作方法
CN108063162B (zh) * 2017-12-18 2020-08-28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双极晶体管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457A (ja) * 1982-11-15 1984-05-23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492008A (en) * 1983-08-04 1985-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making high performance lateral bipolar transistors
US4536945A (en) * 1983-11-02 1985-08-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MOS structures with Schottky bipolar transistors
DE3474883D1 (en) * 1984-01-16 1988-12-01 Texas Instruments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bipolar and field effect devices and method of fabrication
EP0170250B1 (en) * 1984-07-31 1990-10-24 Kabushiki Kaisha Toshiba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ipolar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2251D1 (de) 1993-08-19
KR0128339B1 (ko) 1998-04-06
DE3882251T2 (de) 1993-10-28
JP2587444B2 (ja) 1997-03-05
JPS63200568A (ja) 1988-08-18
CN1012774B (zh) 1991-06-05
EP0281235B1 (en) 1993-07-14
EP0281235A1 (en) 1988-09-07
CN88100466A (zh) 198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3148B2 (ja) 高電圧パワートランジスタ
EP0111803B1 (en) Lateral insulated-gate rectifier structures
KR860003671A (ko) 상보형 반도체 장치
KR930005257A (ko)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910001886A (ko) 반도체장치와 그 제조방법
KR890013796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358389A1 (en) Vertical field-effect transistor having a high breakdown voltage and a small on-resistance
KR890012394A (ko)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85000677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EP0071335B1 (en)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301917B1 (ko) 고전압전력트랜지스터
KR940004846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4713681A (en) Structure for high breakdown PN diode with relatively high surface doping
KR880003438A (ko) 폴리실리콘 리본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KR950034822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10007162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890011033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880006789A (ko) 고신뢰성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880014644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738447B2 (ja) Mos型半導体装置
KR870004529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0138917B1 (ko) 반도체 소자
KR96000288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30022551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60026934A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