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65B1 -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65B1
KR890005365B1 KR1019840007734A KR840007734A KR890005365B1 KR 890005365 B1 KR890005365 B1 KR 890005365B1 KR 1019840007734 A KR1019840007734 A KR 1019840007734A KR 840007734 A KR840007734 A KR 840007734A KR 890005365 B1 KR890005365 B1 KR 89000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wiring
base
duc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88A (ko
Inventor
히로시 오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미까지리 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미까지리 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Publication of KR86000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1도는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주요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평형케이블 인출상태를 표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전기기기의 설치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콘크리이트 플로어 형성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반 (2) : 닥트본체
(3) : 콘크리트플로어 (4), (5), (6) : 덮개
(7) : 마무리재로서의 카아핏 (7a) : 덮개를 덮는 카아핏부분
(8), (9) : 시일드판 (10), (11), (12) : 통선로
(13), (14), (15) : 환형케이블 (20), (21) : 시일부재
(22), (23), (24) : 평형케이블 인출구 (25) : 전원용 콘센트
(26), (27) : 환형케이블 인출구 (30), (31) : 평형케이블
(33) : 앵커보울트
본 발명은 전자계산기등의 전기기기로의 배선을 위한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플로어배선의 대표적인 방식으로서는
(a)플로어닥트등을 슬랩콘크리이트내에 매설하고 배선인출구만을 플로어면에 노출시켜서 통선하는 매설방식과, (b)슬랩콘크리이트 타설후에 모르타르로 플로어면을 마무리하고 다시 그 플로어면상에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이루도록 플로어 패널을 시설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배선을 수납하도록한 플리액세스(free access)방시과, (c)슬랩콘크리이트 타설후 그 슬랩콘크리이트위에 평형케이블을 배선하고 다시 평형케이블을 피복하도록 카아핏을 까는 평형배선방식등을 들수있다.
상기(a), (b), (c)의 각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a) 매설방식에서는 슬랩콘크리이트내에 종횡으로 깔린 철근사이를 통하여 닥트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닥트의 크기가 제약되고, 배선수납용량이 작아진다.
그런고로 사무 자동화기기의 도입등에 의한 배선의 증대에 대응할수가 없어서 수납할수 없는 배선이 플로어워에 산재하고 소위 말하는 배선홍수를 초래하는 우려가있다.
또 자유로운 배선루우프를 구성할수가 없고 설계단계에서의 배선계획이 한정되는 동시에 배선계획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배선루우트로 부터 벗어나는 전기기기가 길게 나올 가능성이 있고 플로어면 위로의 배선노출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배선인 출구가 소구경이기 때문에 배선인출작업이 곤란하게 되며, 그 인출작업시에 배선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앞으로 중요시될 광섬유케이블은 그 구부림 반경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 매설방식의 배선인출구에서는 인출이 불가능하다.
(b) 프리액세스방식에서는 플로어 패널은 슬랩콘크리이트 위에 부착된 지지대위에 재치되어 있고, 전기기기는 플로어 패널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는 슬랩콘크리이트위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지진이 발생하면 플로어패널이 지지대위에서 벗어나서 심할때에는 지지대도 넘어져서 전기기기가 전도될 우려가 있다.
(c) 평형 배선방식에는 카아핏으로 배선이 피복되어 있으므로 플로어면상은 일견하여 반듯하지만 실제로는 배선의 분기함이나 환형케이블로의 변환단자함등이 플로어면상에 돌출하므로 배선이 증대하면은 그것들의 돌출물이 도처에 나타나게된다.
또한 배선의 증복은 이 방식 그자체의 의미가 없어지므로 배선의 증대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방식의 결점을 해소코져 이루어진 것이며, 배선부설량의 증대 및 계획상의 자유도의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전기기기의 확실한 고정을 가능케한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된 기반상에 상부가 개방가능한 닥트본체를 배선루우트를 따라 부설하고 상기 기반상의 닥트본체 상호간에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시공하여 닥트본체의 윗면과 동일면인 콘크리이트플로어를 형성하고 상기 닥트본체의 상부를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덮어지는 덮개중 임의의 위치의 덮개로 부터 배선을 인출하여 상기 콘크리이트플로어상에 설치한 전기기기에 접속한다.
또 본 발명 구조는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되는 기반과 ; 상부가 개방된 횡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선루우트를 따라 기반상에 부설되고, 그리고 그 내부에는 통선로가 구획되어 이루어진 닥트본체와 ; 상기 닥트본체 상호간에서 기반상에 충전되는 무근콘크리이트에 의해서 닥트본체윗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되고, 전기기기를 설치할수 있는 콘크리이트플로어와 ; 닥트본체로 부터의 배선을 임의의 위치에서 인출 가능토록함과 동시에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케하여 닥트본체의 상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덮개 ; 를 포함한다.
닥트본체는 기반위에 부설되므로 자유로운 배선계획을 행할수가 있으며, 닥트본체내로의 배선수용량도 증대할수가 있다. 또 콘크리이트플로어상에 전기기기를 설치하므로 지진등에 대해서 전기기기를 안정화시킬수가 있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대해서 설명코저 한다. 우선 제1도에 있어서 건물의 플로어의 기반(1)은 슬랩콘크리이트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반(1)위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선루우트에 따라서 닥트본체(2)가 부설된다. 닥트본체(2)내에는 전원선, 전화선, 신호선 등의 종류마다 구분되어 배선이 수용된다. 또 상기 기반(1)위에는 닥트본체(2)상호간을 메꾸듯이 하여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 시공하므로서 콘크리이트플로어(3)가 형성되고 닥트본체(2)는 콘크리이트플로어(3)가 매설된 모양이 된다. 닥트본체(2)의 상부는 단순한 평판상의 제1덮개(4), 평형케이블의 인출이 가능한 제2덮개(5) 및 환형케이블의 인출이 가능한 제3덮개(6)에 의해서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케하고 아울러 개폐가 자유롭게 덮여져 있으며 이들 각 덮개(4), (5), (6) 및 콘크리이트플로어(3)를 피복하도록하여 마무리재로서의 카아핏(7)이 깔린다. 또한 이 카아핏(7)은 닥트본체(2)에 대응하는 카아핏부분(7a)을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닥트본체(2)는 그 횡단면형상을 상부가 개방된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닥트본체(2)내에는 닥트본체(2)의 저부에 고착되고 아울러 닥트본체(2)의 기괴방향으로 연설되는 시일드판(8), (9)에 의해서 3개의 통선로(10), (11)<(12)가 구획되어 이루어져있고, 통선로(10)에는 예를들어 전원용 환형케이블(13)이 수용되고 통선로(11)에는 전화용 환형케이블(14)이 수용되며, 통선로(12)에는 신호용 환형케이블(15)이 수용된다. 닥트본체(2)의 양측벽의 상부에는 제1-제3덮개(4)-(6)를 끼우기 위한 턱(16), (17)이 각각 설치된다. 또 각 시일드판(8), (9)의 상단에는 윗편으로 개방된 장착홈(18), (19)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장착홈(18), (19)에는 도전성 고무로서 이루어지는 시일부재(20), (21)의 기부가 장착된다. 또한 각 시일부재(20), (21)는 턱(16), (17)에 제1-제3덮개(4)-(6)를 끼웠을때에 제1-제3덮개(4)-(6)의 하면에 탄발적으로 당접되어 각 통선로(10), (11), (12)상호간을 시일한다.
제1-제3덮개(4), (5), (6)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재등에 의해서 닥트본체(2)의 턱(16), (17)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착된다. 그리고 제2덮개(5)에는 통선로(10), (11), (12)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평형케이블 인출구(22), (23), (24)가 설치된다. 이들 평형케이블 인출구(22), (23), (24)는 닥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어느 한편의 제2덮개(5)의 가장자리에서 개방되어 있고 닥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 제3덮개(6)에는 통선로(10)에 대응하여 전원용 콘센트(25)와 양 통선로(11), (12)에 대응한 환형케이블인출구(26), (27)가 설치되고 양환형케이블 인출구(26), (27)는 닥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따른 한편의 제3덮개(6)의 가장자리에 개방한다. 전술한 전원용콘센트(25)는 통선로(10)내의 전원용 환형케이블(13)에 접속된다.
제2덮개(5)는 전기기기가 배선루우트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을때에 그 전기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평형케이블을 콘크리이트플로어(3)위에 따라서 인출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닥트본체(2)의 바람직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다.
환형케이블을 평형케이블로 변환하기 위해서 각 통선로(10), (11), (12)내의 적당한 위치에는 장착박스(2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장착박스(28)는 환형케이블을 평형케이블로 변환하기 위한 단자상자(29)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장차박스(28)내에 단자상자(29)가 장착된다. 예를 들면 전원용 환형케이블(13)은 단자상자(29)를 개재해서 전원용 평형케이블(30)로 변환한다.
이 전원용 평형케이블(30)은 제2덮개(5)의 평형케이블 인출구(22)로부터 인출되어 콘크리이트플로어(3)위를 소망의 전기기기까지 연설된다. 또 전화용 환형케이블(14) 및 신호용 환형케이블(15)로 필요에 따라 전화용 환형케이블(13) 및 신호용 평형케이블(도시안됨)로 변환되어 평형케이블 인출구(23), (24)로부터 인출된다.
제3덮개(6)는 배선루우트에 근접한 위치에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있을때에 그 전기기기에 근접한 위치에서 닥트본체(2)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그 전기기기의 전원코오드는 전원용 콘센트(25)에 직접 접속된다. 또 전화용 환형케이블(14) 및 신호용 환형케이블(15)은 환형케이블 인출구(26), (27)로부터 인출되고, 전기기기에 접속된다.
제4도에 있어서 전기기기 예를들어 컴퓨우터(32)는 콘크리이트플로어(3)위에 설치되나, 이때에 필요하다면 콘크리이트플로어(3)에 앵커보울트(33)를 매설하여 그 앵커보울트(33)에 의해서 컴퓨우터(32)를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시공순서에 대해서 설명하면은 제5도에 있어서 우선 슬랩콘크리이트에 의해서 기반(1)을 형성한후에 상부를 제1-제3덮개(4)-(6)로 덮은 닥트본체(2)를 미리 설정한 배선루우트를 따라서 부설한다.
이 때 제2 및 제3덮개(5), (6)는 컴퓨우터(32)등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환형케이블로 하느냐 평형케이블로 하느냐에 따라서 그 배치를 적당히 변형할수가 있다.
또 닥트본체(2)는 상하로 신축이 가능한 장착대(34)를 개재하여 기반(1)위에 수평으로 재치된다.
닥트본체(2)의 부설후에는 기반(1)위에 닥트본체(2)상호간에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하여 콘크리이트플로어(3)를 형성한다. 이때 닥트본체(2)의 윗면을 면고르기 흙손길의 기준으로 삼고, 콘크리이트플로어(3)의 윗면을 닥트본체(2)의 윗면과 동일면으로 한다. 이와같이 하여 닥트본체(2)는 콘크리이트플로어(3)에 매설된다.
콘크리이트플로어(3)의 완성후에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컴퓨우터(32)등을 소정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닥트본체(2)의 상부를 적당한 위치에 개방하고, 각 통선로(10)-(12)내에 각 환형케이블(13)-(15)을 수용한 후에 컴퓨우터(32)등으로의 배선접속을 행한다. 컴퓨우터(32) 등으로의 배선의 접속 완료후에는 콘크리이트플로어(3) 위에 카아핏(7)를 깔면되고, 각 평형케이블(30), (31)은 카아핏(7)으로 덮여진다. 또한 카아핏(7)의 닥트본체(2)에 대응하는 부분(7a)은 착탈이 가능하며 닥트보체(2)내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은 닥트본체(2)는 슬랩콘크리이트에 의한 기반(1)의 윗편에 설치되므로 슬랩콘크리이트내의 철근의 배치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배선계획을 형성할수 있음과 동시에 닥트본체(2)의 폭을 크게하여 배선수용량을 증대할수 있으며, 또한 닥트본체(2)를 매설할 만큼의 스페체이스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기반(1)의 두께를 극히 얇게 할수가 있다.
또 배선수용 스페이스의 증대에 따라 구부림 반경이 한정되어 있는 광케이블의 사용도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닥트본체(2)내는 상호간에 시일드된 복수의 통선로(10)-(12)가 구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전원용, 전화용, 신호용 환형케이블(13)-(15)을 각 통선로(10)-(12)에 구분하여 수용하므로서 유도전자장해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컴퓨우터(32)등의 전기기기는 콘크리이트플로어(3)위에 설치되므로 지진등에 의해서 전기기기가 전도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수가 있다.
그리고 환형케이블로 부터 평형케이블로 변환하여 제2덮개(5)로 부터 평형케이블을 인출할수가 있으므로 사무실 배치계획이 변경되어 닥트본체(2)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 전기기기가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그 부분만 평형 배선을 사용하므로서 사무실내의 플로어위에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고,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카아핏(7)위에는 어떠한 돌기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미관이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안전성도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된 기반위에 상부가 개방 가능한 닥트본체를 배선루우트를 따라서 부설하고 상기 기반위의 닥트본체 상호간에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 시공하여 닥트본체의 윗면과 동일면인 콘크리이트플로어를 형성하고, 상기 닥트본체의 상부를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토록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피복하는 복수의 덮개중 임의의 위치의 덮개로 부터 배선을 인출하여 상기 콘크리이트플로어워에 설치한 전기기기에 접속하도록 하였으므로 배선계획을 자유롭게 설정할수 있므며, 아울러 배선부설량을 증대할수가 있고 또한 전기기기를 안정하게 설치할수가 있다. 또 본 발명 구조를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되는 기반과 ; 상부가 개방된 횡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선루우트를 따라서 기반위에 부설되고, 또한 그 내부에는 통선로가 구획되어 이루어진 닥트본체와 ; 그 닥트본체 상호간에 기반위에 층전되는 무근콘크리이트에 의해서 닥트본체 윗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되고 전기기기를 설치할수 있는 콘크리이트플로어와 ; 닥트본체내로 부터 배선을 임의의 위치에서 인출 가능토록함과 동시에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케하여 닥트본체의 상부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덮개 ; 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 방법과 같이 배선계획이 자유도의 증대, 배선부설량의 증대 전기기기의 안정적인 설치를 도모할수가 있다.

Claims (9)

  1. 플로어를 구성하는 기반(1)위에 소망의 배선루우트를 따라서 외부로부터 시일드된 상태에서 케이블(13), (14), (15)를 시설하고, 플로어(3)위의 외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2)와 케이블(13), (14), (15)을 접속할수 있게 한 플로어 배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반(1)을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닥트본체(2)를 배선루우트에 따라서 기반(1)위에 부설하고 기반(1)위의 닥트본체(2) 상호간에 닥트본체(2)의 상면을 개방한 채로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시공하여서 닥트본체(2)의 윗면과 동일면인 콘크리이트플로어(3)를 형성하고 닥트본체(2)의 상부를 외부와의 시일드로 가능케하여서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덮개(4), (5),(6)중 임의의 위치의 덮개(5), (6)로부터 배선을 인출하여 콘크리이트플로어 위에 배치한 전기기기(32)에 접속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이트플로어(3) 및 복수의 덮개(4), (5), (6)의 윗면을 이들 덮개에 대응하는 부분을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 카아핏(7)과 카이핏부분(7a)으로 덮어서된 플로어 배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이트플로어(3)는 형성시에 전기기기 고정용의 앵커보울트(33)가 배설된 플로어 배선방법.
  4. 플로어를 구성하는 기반(1)과 그 기반(1)위에 소마으이 배선루우트를 따라서 외부로부터 시일드된 상태에서 마련되고 플로어위의 외부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2)에 접속되는 케이블(13), (14), (15)을 비치한 플로어 배선구조에 있어서 슬랩콘크리이트로 형성되는 기반(1)과 상부가 개방된 횡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배선루우트를 따라 기반(1)위에 부설되고, 또한 그 내부에는 통선로(10), (11), (12)가 구획되어 이루어진 닥트본체(2)와, 그 닥트본체(2)상호간에서 기반(1)위로 충전되는 무근콘크리이트에 의해서 닥트본체(2)윗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되고 전기기기(32)를 설치하여 얻은 콘크리이트플로어(3)와, 외부와의 시일드를 가능케하여 닥트본체(2)의 상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덮개(4), (5), (6)로 마련하고 , 이 일부의 덮개(5), (6)는 닥트본체(2)내로부터의 배선의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일부의 덮개(5), (6)는 환형케이블 인출구(26), (27)를 설치한 덮개를 포함한 플로어 배선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환형케이블 인출구(26), (27)가 설치된 덮개(6)는 전기기기(32)에 근접한 위치에서 닥트본체(2)에 장착되고, 그 덮개(6)에는 전원용 콘센트(25)가 설치된 플로어 배선구조.
  7.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닥트본체(2)내에는 그 닥트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설되는 1매 혹은 복수매의 시일드판(8), (9)에 설치되고 그 시일드판(8), (9)에 의하여 통선로(10), (11), (12)는 복수로 형성된 플로어 배선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시일드판(8), (9)은 닥트본체(2)의 저부에 고착되고 또 그 상단에는 도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시일부재(20), (21)가 장착되고 그 시일부재(20), (21)는 복수의 덮개(4), (5), (6)를 닥트본체(2)위에 장착하였을때에 그들 덮개(4), (5), (6)의 하면에 탄발적으로 당접하여 복수의 통선로(10), (11), (12)상호간을 시일한 플로어 배선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닥트본체(2)를 상, 하에 신축가능하게 장착대(34)를 개재하여 기반(1)위에 놓여지는 플로어 배선방법.
KR1019840007734A 1984-10-19 1984-12-07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KR890005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19678A JPS61102112A (ja) 1984-10-19 1984-10-19 床配線方法および構造
JP84-219678 1984-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88A KR860003688A (ko) 1986-05-28
KR890005365B1 true KR890005365B1 (ko) 1989-12-23

Family

ID=1673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734A KR890005365B1 (ko) 1984-10-19 1984-12-07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02112A (ko)
KR (1) KR890005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226B2 (ja) * 1988-02-10 1996-09-04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樋付床構造
JPH02114811A (ja) * 1988-10-21 1990-04-26 Kajima Corp 配線用床ダクトシステム
JPH0434817U (ko) * 1990-07-06 1992-03-24
JPH0584123U (ja) * 1992-04-17 1993-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埋設電線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530B2 (ja) * 1975-05-16 1983-07-27 ダイドウセイコウ カブシキガイシヤ ヤキイレユノジヨキヨソウチ
JPS5313197A (en) * 1976-07-22 1978-02-06 Seikoo Sangiyou Kk Method of interior piping or wi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88A (ko) 1986-05-28
JPS61102112A (ja) 198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100917A (en) Junction box for 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RU99101107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хода кабельного канала
CN1011469B (zh) 电子设备外壳
KR890005365B1 (ko)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JP3267443B2 (ja) 光ファイバ接続箱内蔵の配電ケーブル用機器および光ケーブル施工方法
US5828001A (en)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US4992058A (en) Flat cable transmission system
KR900001107B1 (ko) 플로어 배선구조
EP0182494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P0852839B1 (en)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EP0310626B1 (en) Flat cable transmission system
JPS61295815A (ja) 床配線収納装置
CN111355196B (zh) 过路盒及建筑顶板安装过路盒的方法
JP7415531B2 (ja) ケーブル入線構造
CN214755316U (zh) 一种高强度电缆桥架
JP2001086609A (ja) フリーアクセス用分電盤
JPH078085B2 (ja) 床用配線機器収納ボックス
JPH0928008A (ja) 電気配線方式
JP3317854B2 (ja) コンピュータデスク装置
JP3814694B2 (ja) 配線用床材装置及び配線用床材
CA1321274C (en) Network interface cabinet for large pair count telephone terminations
JP2022012212A (ja) 地下ケーブルの収納可能な側溝ブロック
JPS5999910A (ja) 舶用照明器具の艤装方法
JPH11127517A (ja) ケーブルトレイ
JPS6194511A (ja) ビル内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