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107B1 - 플로어 배선구조 - Google Patents

플로어 배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107B1
KR900001107B1 KR1019840007768A KR840007768A KR900001107B1 KR 900001107 B1 KR900001107 B1 KR 900001107B1 KR 1019840007768 A KR1019840007768 A KR 1019840007768A KR 840007768 A KR840007768 A KR 840007768A KR 900001107 B1 KR900001107 B1 KR 90000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uct
flat cable
cable
wir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89A (ko
Inventor
히로시 오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미까지리 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미까지리 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니혼핏도
Publication of KR86000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 H02G3/385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in modular floors, e.g. access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어 배선구조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평형케이블 인출 상태를 표시하는 제2도에 대응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전기기기의 설치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콘크리이트 플로어 형성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덕트본체 3 : 콘크리이트 플로어
4, 5, 6 : 덮개 7 : 마무리재로서의 카아핏
13, 14, 15 : 환형케이블 29 : 단자함
30, 31 : 평형케이블
본 발명은 플로어상에 설치된 전기기기에 배선하기 위한 플로어 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플로어 배선구조로서, 슬럽 콘크리이트상에 평형케이블을 배선하고, 다시 평형케이블을 덮히게 카아핏을 깔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 평형 배선구조에서는 배선이 카아핏으로 덮혀지므로 플로어면상은 일견 산뜻하지만, 실제로는 배선의 분기함이나 환형케이블로의 변환 단자함등이 플로어면상에 돌출하므로 배선이 증대되면 그들의 돌기물이 각처에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사정에 비추어 된것으로서 배선량의 증대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고, 플로어 면상의 돌기물의 돌출을 회피하여 미관 및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한 플로어 배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이트제 플로어내에 매설되어, 상부가 개방 가능한 덕트본체내에 환형케이블이 수용됨과 동시에 환형케이블부터 평형케이블에의 변환을 위한 단자함이 수용되고, 덕트본체의 상부를 개폐 자재로 덮는 복수의 덮개중의 몇 개는, 상기 평형케이블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덕트 본체로의 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상에 부설된 평형케이블은 마무리재에 의하여 덮혀진다.
전기기기에 근접한 위치에서 환형케이블은 단자함을 거쳐서 평형케이블로 변환되고, 그 평형케이블이 덮개부터 인출되어 전기기기에 접속되고 다시 그 평형케이블은 마무리재로 덮혀진다. 따라서 마무리재상에는 돌기물이 돌출하지 않고, 배선량의 증대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1도에 있어서, 건물의 플로어의 기반(1)은 슬럽콘크리이트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기반(1)상에는 미리 설정하고 있는 배선 루우트에 인하여 덕트본체(2)가 부설된다. 덕트본체(2)내에는 전원선, 전화선, 신호선등이 종류마다에 구분하여 배선이 수용된다. 또 상기 기반(1)상에는 덕트본체(2) 상호간을 매입하도록 하여 무근 콘크리이트를 충전 시공하는 것에 의하여 콘크리이트 플로어(3)가 형성되고, 덕트본체(2)는 콘크리이트 플로어(3)에 매설된 형으로 된다. 덕트본체(2)의 상부는 단순한 평판상의 제1덮개(4), 평형케이블의 인출이 가능한 제2덮개(5) 및 환형케이블의 인출이 가능한 제3덮개(6)에 의하여 개폐자재로 폐쇄되어 있고 그들의 각 덮개(4), (5), (6) 및 콘크리이트 플로어(3)를 덮도록 하여 마무리재로서의 카아핏(7)이 깔려진다. 더욱이 그 카이핏(7)은 덕트본체(2)에 대응하는 카아핏부분(7a)을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덕트본체(2)는 그 횡단면형상이 상부가 개방한 대략 U 자 상으로 형성된다. 이 덕트본체(2) 내에는 덕트본체(2)의 저부에 고착되고 또 덕트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시일드판(8), (9)에 의하여 3개의 통선로(10), (11), (12)가 획성되고, 통선로(10)에는 예를 들면 전원용 환형케이블(13)이 수용되고, 통선로(11)에는 전화용 환형케이블(14)이 수용되고, 통선로(12)에는 신호용 환형케이블(15)이 수용된다.
덕트본체(2)에 있어서의 양측벽의 상부에는, 제1-제3덮개(4-6)를 삽입하기 위한 계단부(16), (17)가 각각 마련된다. 또, 각시일드판(8), (9)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개방한 부착홈(18), (19)이 마련되고, 이들의 부착홈(18), (19)에는 도전정고무부터된 시일부재(20), (21)의 기부가 장착된다. 또 각 시일부재(20), (21)는 계단부(16), (17)에 제1-제3덮개(4-6)를 감합하였을때에 제1-제3덮개(4-6)의 하면에 탄발적으로 당접하고, 각 통선로(10), (11), (12) 상호간을 시일한다.
제1-제3덮개(4), (5), (6)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재등에 의하여 덕트본체(2)의 계단부(16), (17)에 착탈자재로 고착된다.
더욱이, 제2덮개(5)에는 통선로(10), (11), (12)에 개별로 대응하여, 평형케이블 취출구(22), (23), (24)가 마련된다. 이들의 평형케이블 취출구(22), (23), (24)는 덕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연한 어느 한쪽에서 제2덮개(5)의 측연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덕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연하여 길게 형성된다. 또 제3덮개(6)에는, 통선로(10)에 대응한 전원용 콘센트(25)와, 양통선로(11), (12)에 대응한 환형케이블 취출구(26), (27)가 마련되고, 양 환형케이블 취출구(26), (27)는 덕트본체(2)의 길이방향에 연한 한쪽에서 제3덮개(6)의 측연에 개방한다. 상기 전원용 콘센트(25)는 통선로(10)내의 전원용 환형케이블(13)에 접속된다.
제2덮개(5)는 전기기기가 배선루우트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을때에 이 전기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평형케이블을 콘크리이트 플로어(3)상에 연하여 인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덕트본체(2)의 소망의 위치에 부착 가능하다.
환형케이블을 평형케이블에 변환하기 위해서는 각선통로(10), (11), (12)내의 적의 위치에는, 부착박스(28)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부착박스(28)은 환형케이블을 평형케이블에 변환하기 위한 단자함(29)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착박스(28)내에 단자함(29)이 부착된다. 예를 들면 전원용 환형케이블(13)은 단자함(29)을 거쳐서 전원용 평형케이블(30)에 변환된다. 이 전원용 평형케이블(30)은 제2덮개(5)의 평형케이블 취출구(22)부터 인출되고, 콘크리이트 플로어(3)상을 소망의 전기기기까지 연장된다. 또, 전화용 환형케이블(14) 및 신호용 환형케이블(15)도 필요에 따라 전화용 평형케이블(31) 및 신호용 평형케이블(도시안함)에 변환되어 평형케이블 취출구(23), (24)부터 인출된다
제3덮개(6)는 배선루우트에 근접한 위치에 전기기기가 배치되어 있을때에 그 전기기기에 근접한 위치에서 덕트본체(2)에 부착된다. 이 경우 이 전기기기의 전원코우드는 전원용 콘센트(25)에 직접 접속된다.
또, 전화용 환형케이블(14) 및 신호용 환형케이블(15)은 환형케이블 취출구(26), (27)부터 인출되고, 상기 전기기기에 접속된다.
제4도에 있어서, 전기기기의 예를 들면 컴퓨우터(32)는 콘크리이트 플로어(3)상에 설치되지만 이때 필요하다면 콘크리이트 플로어(3)에 앵커볼트(33)를 매입하고 그 앵커볼트(33)에 의하여 컴퓨우터(32)를 고정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에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5도에 있어서, 우선 스럽콘크리이트에 의하여 기반(1)을 형성한 후에, 상부를 제1-제3덮개(4-6)로 덮힌 덕트본체(2)를 미리 설정한 배선루우프에 연하여 부설한다. 이때 제2 및 제3덮개(5), (6)는 컴퓨우터(32)등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환형케이블로 하느냐, 평형케이블로 하느냐에 따라 그 배치를 적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덕트본체(2)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부착대(34)를 거쳐서 기반(1)상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덕트본체(2)의 부설후는, 기반(1)상의 덕트본체(2) 상호간에 무근콘크리이트를 충전하여 콘크리이트 플로어(3)를 형성한다. 이때 덕트본체(2)의 상면을 흙손질할때의 기준으로 이용하여 콘크리이트 플로어(3)의 상면을 덕트본체(2)의 상면과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덕트본체(2)는 콘크리이트 플로오(3)에 압입된다.
콘크리이트 플로어(3)의 완성후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컴퓨우터(32)등을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덕트본체(2)의 상부를 적의위치에서 개방하고 각 통선로(10-12)내에 각 환형케이블(13-15)을 수용한 후에 컴퓨우터(32)등에의 배선접속을 행한다.
컴퓨우터(32)등에의 배선의 접속완료후에는, 콘크리이트 플로어(3)상에 카아핏(7)을 깔면 좋고 각 평형케이블(30),(31)은 카아핏(7)으로 덮혀진다. 더욱이 카아핏(7)의 덕트본체(2)에 대응하는 부분(7a)은 착탈가능하고, 덕트본체(2)내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덕트본체(2)는 스럽콘크리이트에 의한 기반(1)의 상방에 설치되므로 스럽콘크리이트내의 철근의 배치에 상관하지 않고 자유로운 배선 레이아우트를 형성할 수가 있는 동시에 덕트본체(2)의 폭을 크게하여 배선 수용량을 증대할 수가 있고 더욱이 덕트본체(2)를 매설할 만큼의 스페이스가 불요하게 되므로 기반(1)의 두께를 극력 얇게 할 수가 있다
또 배선수용 스페이스의 증대에 의하여, 만곡 반경이 한정되어 있는 광케이블의 사용도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덕트본체(2)내는 상호 시일드된 복수의 통선로(10-12)가 획성되어 있고 전원용, 전화용, 신호용 환형케이블(13-15)을 각 통선로(10-12)에 구분하여 수용하는 것에 의하여 유도전자 장해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더욱이, 컴퓨우터(32)등의 전기기기는 콘크리이트 플로어(3)상에 설치되므로, 지진등에 의하여 전기기기가 전도하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환형케이블부터 평형케이블에 변환하여 제2덮개(5)부터 평형케이블을 인출할 수가 있으므로, 사무실 레이아우트가 변경되어 덕트본체(2)부터 이격한 위치에 전기기기가 설치되게 되었다고 하여도, 그 부분만 평형배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사무실내의 플로어상에 배선이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카아핏(7)상에는 어느 돌기물도 돌출하지 않으므로 미관이 더욱 향상하는 동시에, 안전성도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이트제 플로어내에 매설되어 상부를 개방 가능한 덕트본체내에 환형케이블이 수용되는 동시에 환형케이블부터 평형케이블에의 변환을 위한 단자함이 수용되고, 덕트본체의 상부를 개폐 자재로 덮는 복수의 덮개중의 몇 개는 상기 평형케이블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덕트본체에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상에 부설된 평형케이블은 마무리재에 의하여 덮혀지므로 마무리재위에는 하등의 돌기물도 돌출하지 않고 미관 및 안전성을 향상 할 수가 있다. 또 배선량이 증대하여도 덕트본체의 임의의 위치에서 환형케이블부터 평형케이블에 변환하여 전기기기에 접속할 수가 있으므로 배선량의 증대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콘크리이트제 플로어(3)내에 매설되고, 상부를 개방 가능한 덕트본체(2)내에 환형케이블(13), (14), (15)을 수용함과 동시에 환형케이블(13), (14), (15)로부터 평형케이블(30), (31)에의 변환을 위한 단자함(29)이 수용되고, 덕트본체의 상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덮개(4), (5), (6)중의 몇 개는, 상기 평형케이블(13), (14), (15)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덕트본체(2)내의 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3)상에 부설된 평형케이블(13), (14), (15)은 마무리재(7)에 의하여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케이블(30), (31)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4), (5), (6)에는 평형케이블취출구(22), (23), (2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2)내에는 한 개 혹은 복수개의 그 덕트본체의 길이방향에 연장하는 시일드판(8), (9)에 의하여 복수의 통선로(10), (11), (12)가 구획되고, 상기 평형케이블 취출구(22), (23), (24)는 이들 복수의 통선로(10), (11), (12)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상기 덮개(4), (5), (6)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선로(10), (11), (12)는 각각 적당한 위치에 단자함(29)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박스(28)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박스(28)는 평형케이블 취출구(22), (23), (24)가 마련된 덮개(4), (5), (6)의 부착위치에 근접하여 덕트본체(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재는 카이핏(7)이고 카이핏(7)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덮개(4), (5), (6)를 덮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배선구조.
KR1019840007768A 1984-10-19 1984-12-08 플로어 배선구조 KR90000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219679 1984-10-19
JP59219679A JPS61102113A (ja) 1984-10-19 1984-10-19 床配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89A KR860003689A (ko) 1986-05-28
KR900001107B1 true KR900001107B1 (ko) 1990-02-26

Family

ID=1673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768A KR900001107B1 (ko) 1984-10-19 1984-12-08 플로어 배선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02113A (ko)
KR (1) KR900001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478B2 (ja) * 2005-07-12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配線ダク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02113A (ja) 1986-05-20
KR860003689A (ko) 1986-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1051A (en) Bottomless sub-assembly for producing an underfloor electrical cable trench
US4037900A (en) Baseboar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4030259A (en) Method for forming wiring channels in a concrete floor
JPS5835011B2 (ja) オクナイデンキソウチヨウ タモクテキカベガタドウカン
BG100917A (en) Junction box for 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US5713168A (en) Junction box for 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US5011033A (en) Electrical service center
US4992058A (en) Flat cable transmission system
US5828001A (en)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KR900001107B1 (ko) 플로어 배선구조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KR890005365B1 (ko) 플로어 배선방법 및 구조
US2741117A (en) Cellular floor structure for an electrical wire distributing system
US6865851B2 (en) Modular floor panels with enclosed wireway channels
US4323949A (en) Service cable distribution system
EP0852839B1 (en)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EP0310626B1 (en) Flat cable transmission system
US1797164A (en) Means for installing and distributing electric conductors
US1592548A (en) Underfloor duct system
GB2248077A (en) Flooring tiles
US5202537A (en) Underfloor cable distribution system with increased trench capacity
JPH078085B2 (ja) 床用配線機器収納ボックス
JPH0614764B2 (ja) 床配線収納装置
JPH0326743Y2 (ko)
JPH02292455A (ja) フロアパネルおよびフロア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