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99B1 -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99B1
KR880002599B1 KR8204330A KR820004330A KR880002599B1 KR 880002599 B1 KR880002599 B1 KR 880002599B1 KR 8204330 A KR8204330 A KR 8204330A KR 820004330 A KR820004330 A KR 820004330A KR 880002599 B1 KR880002599 B1 KR 88000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luminance
phosphor
temperature
green phosp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617A (ko
Inventor
가쓰도시 오오노
도모히꼬 아베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4000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4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융제(融劑)첨가량에 대한 상대휘도를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소성온도에 대한 상대휘도를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열중량분석을 나타낸 그래프.
제4도 및 제5도는 각기 형광면 온도에 대한 상대휘도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전류밀도에 대한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
본원 발명은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Y3Al5O12: Tb로 이루어진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녹색형광체는 투사형 투영관에 사용하는 형광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투사형 투영관은 통상의 음극선관에 비해 고여기(高勵起)하기 때문에 그 형광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그곳에 사용되는 형광체가 어두워져서 온도소광을 일으키며, 또 전류휘도 포화가 생긴다. 그래서,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팬(fan)에 의한 공냉방식이나 액냉방식등에 의해서 그 투사형 투영관의 형광면의 온도상승을 적게 하거나, 또는 전류휘도 포화특성이 좋은 형광체를 사용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그효과도 대단한 것은 아니며, 적색, 녹색 및 청색중, 특히 녹색의 온도소광이 심하여 백색균형이 깨진다고 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 현재 주류인 액냉방식에 의해서도, 투사형 투영관의 형광면의 온도는 약 80℃나 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Gd2O2S : Tb 녹색형광체의 초기 휘도가 약1/4이나 저하하게 되어 커다란 문제가 되어 있었다. 그래서 투사형 투영관을 더욱 밝게 하기 위해, 전류밀도를 올려서 형광체를 여기하려고 해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Gd2O2S : Tb는 반드시 좋은 전류휘도 포화특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녹색형광체에 대해서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Y3Al5O12: Tb를 신규의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녹색형광체가 갖는 온도소광 및 전류휘도 포화특성에 대한 결점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화합물은 예를 들어 Y3Al5O12의 단일상에 있어서의 Y의 부위에 Tb를 치환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Y3Al5O12의 생성과정에 있어서는 YAlO3나 Y4Al2O9이 동시에 생성하기 쉬우며 Y3Al5O12의 단일상의 생성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화학량논비(化學量 論比)로 합성해도 그 단일상은 얻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어 나까(中), 다께나까(工業化學 제69권, 제6호, 1966)에 의하면, 원료를 1490℃로 5시간 소성한 다음 분쇄, 혼합 및 성형하여, 다시 1490℃로 24시간 소성하여 비로서 Y3Al5O12의 단일상이 얻어졌다고 하는 보고가 있었다. 또 J.S. Abell등은 원료를 1500℃로 소성한 후, 분쇄 및 혼합하여 다시 1600℃로 2시간 소성하여 Y3Al5O12의 단일상이 얻어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그 단일상이 Y의 부위에 치환시키는 Tb의 원료인 Tb는 Tb4O7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어서, Tb3+의 형태로는 반드시 안정된 것은 아니며, Y의 부위에 치환하는데는 Tb4+를 환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들이, Y3Al5O12: Tb의 단일상을 얻은 것을 더욱 곤란하게 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온도소광 및 전류휘도 포화특성이 뛰어난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Y3Al5O12: Tb와 합성시에, BaF2또는 BaCl2또는 그 혼합물의 융제를 사용하여, 밀폐조건하에서 소성하여 융제가 외부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성후에 잔류융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Y3Al5O12: Tb를 합성하는데는 예를 들어 Y2O3, Al2O3및 Tb4O7을 적당한 양씩 혼합하여 적당한 온도로 소성해서, 소정의 뒷처리를 하면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 합성과정에 있어서, BaF2또는 BaCl2또는 그 혼합물을 약 30몰%까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라직하며, 약 10내지 20몰%가 더욱 바람직하며, 또 그 소성시간은 약 1시간 내지 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에 사용하는 장치는 특히, 사용하는 융제의 증발에 의한 장치내에서의 감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아무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제의 뚜껑이 달린 도가니를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적당량 접착제에 의해서 밀폐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얻어진 Y3Al5O12: Tb이며, 산 또는 알칼리 처리를 하고 있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투사형 투영관을 제작했을 경우, 여기 초기에 있어서의 휘도는 종래 부터 사용되고 있는 Gd2O2S : Tb와 대충 동등하지만, 어느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는 그 휘도는 저하하며, 그 형광면이 갈색으로 착색되는 현상, 즉 형광체가 타는 일이 생겼다. 그래서 그 형광체의 입자 표면을 X 선회석에 의해 조사하였더니, 잔류한 융제가 그 입자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그 융제가 증발하는 온도이상으로 여러가지의 기체중 예를 들어 공기, N2, H2또는 N2+H2중에서 어니일했지만, 바람직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적당한 농도의 산 예를 들어 질산, 염산 등, 알칼리,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등의 수용액으로 세정하면 바람직스러원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세정한 후의 형광체를 X선 화석에 의해 조사했더니, 사용한 융제의 피이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녹색형광체는 상대휘도가 향상하는 동시에, 「타는 일」에도 강한 것이 얻어졌다. 본원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Y3Al5O12: Tb로 이루어지는 뛰어난 성능을 갖는 녹색형광체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원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Y3Al5O12: Tb (Tb/Y+Tb=5몰%) 1몰을 소성하여 생성하는데 필요한 원료로서, Y2O3, 321.78g, Al2O3254.9g 및 Tb4O728.04g을 분말채로 혼합하여, 이것에 융제로서 BaF2(또는 BaCl2)의 양을 여러가지 바꾸어서, 승온속도를 1시간당 200℃의 비율로 1500℃로 하여, 이 온도로 2시간 소성했다. 이 경우, 알루미나제의 뚜껑이 달린 도가니를 사용하여, 뚜껑과 도가니 본체의 사이는 「아론세라믹 D」라고 하는 접착제로 시일했다.
그리고, 20몰%의 BaF2를 사용하여 1500℃ 2시간 소성하여 얻은 것의 휘도를 100%로 했을 경우의 각각의 상대휘도를 제1도에 나타낸다.
제1도의 결과에서, 융제의 도가니 밖으로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소량의 융제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
융제량을 20몰% 및 소성시간을 2시간으로 하고, 소성온도를 바꿈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Y3Al5O12: Tb를 얻었다.
그리고, 20몰%의 BaF2를 사용하여 1500℃로 2시간 소성해서 얻은 것이 휘도를 100%로 했을 경우의 각각의 상대휘도를 제2도에 나타낸다.
[비교예]
실시예 2와 같이 해서 형광체를 작성했다. 단 융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 경우의 상대휘도를 제2도에 나타낸다.
제2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융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대휘도는 낮으며 1600℃로 소성했을 경우에도 약85%정도이며, 그후, 1600℃에서의 소성을 반복해도 그 상대휘도는 향상하지 않았다. 이것에 대해, 본원 발명에서 얻은 것은 1300℃의 소성온도로 이미 상대휘도가 80%이상으로 되어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얻어진 형광체를 전자현미경사진으로 조사해 보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결정성이 충분하지 못했지만, 융제를 사용했을 경우의 Y3Al5O12: Tb의 결정성장은 현저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건이지만, 시일을 하지 않고 단지 뚜껑만을 덮은 도가니를 사용해서 얻은 경우의 형광체의 휘도는 실시예 1의 형광체의 휘도의 60%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처럼 시일한 뚜껑이 달린 도가니를 사용했을 경우와, 시일을 하지 않고 단지 뚜껑만을 덮은 도가니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BaF2의 열중량 분석의 결과를 제3도에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시일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1400℃에서 약5%, 1500℃에서 약 10의 BaF2의 감량이 있고, 다시 1500℃에서 1시간 유지하였더니 약 25%로 감량해 버렸다. 이것에 대해서 시일을 했을 경우에는 1500℃ 약3%감랑하며, 1500℃로 1시간 유지해도 약 15%의 BaF2의 감량밖에 없었다. 이 결과에서, 본원 발명에 있어서 고압에 견디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일했을 경우의 효과는 일목요연하다. 그리고, 이 명세서에 있어서 밀폐상태라고 할 경우에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소성 조건하에서 융점의 증발이 얻어지는 형광체의 녹색형광체의 상술한 특성을 실질적으로는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억제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원료를 상술한 융제와 함께 소정온도로 소정시간 소성해서 얻어진 Y3Al5O12: Tb는 잔류용재를 제거하기 위해, 산 또는 알칼리로 세정된다. 이 세정조건을 다음 표에 나타내지만, 세정공정은 형광체 1g에 대해 소망의 농도의 용액을 10cc 사용하여 교반기 등으로 30분 내지 60분간 교반하여 그 형광체에 부착해 있던 잔류융제를 제거했다. 다음 표에는 이 세정 후의 시료가 타버린 강도와 세정액 중에 추출되어 온 Ba++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첨가한 BaF2가 증발하지 않고 모두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757μg/ml 로 되도록 조성했다.
[표]
Figure kpo00001
주) 탄 정도는 현재 주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Gd2O2S : Tb를 기준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목시에 의해 관찰했다.
×: Gd2O2S : Tb보다 탄 정도가 크다.
△: Gd2O2S : Tb와 탄 정도가 대충 같다.
○: Gd2O2S : Tb보다 탄 정도가 조금 약하다.
◎: Gd2O2S : Tb보다 탄 정도가 작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얻은 본원 발명에 의한 Y3Al5O12: Tb를 사용하여 실제로 투사형 투영관을 제작하여 종래 주류로서 사용되고 있는 Gd2O2S : Tb를 사용한 투사영 투영관과 제특성을 비교했다.
제4도는 형광면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대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각 형광체의 25℃에 있어서의 휘도를 100%로 해다. 실제의 투사형 투영관을 사용했을 경우, 현재 주류인 액냉방식에서도 그 형광면 온도가 약80℃로 되고, 그 온도에서의 초기휘도는 약 23% 저하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형광체의 경우에는 80℃에 있어서도 그 초기휘도는 거의 저하하고 있지 않다.
제5도에는 27KV, 8μA/㎠의 여기 조건하에서의 Gd2O2S : Tb의 25℃에 있어서의 휘도를 100%로 했을 경우의 상대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에서 얻어진 형광체는 25℃에 있어서도 Gd2O2S : Tb의 약 97%의 휘도를 가지며, 형광면 온도 80℃에 있어서의 휘도는 제4도의 경우와 같았다.
제6도는 실제의 투사형 투영관에서의 전류밀도의 변화에 대한 전류휘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양 형광체는 모두 이 특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

  1. Y3Al5O12: Tb 의 합성시에 있어서, BaF2나 BaCl2또는 그 혼합물인 융제(融劑)를 사용하여 밀폐상태에서 소성하고, 그리고 얻어진 생성물을 산 또는 알칼리로 세정하여 Y3Al5O12: Tb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KR8204330A 1981-09-30 1982-09-25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KR88000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084 1981-09-30
JP56155084A JPS5857491A (ja) 1981-09-30 1981-09-30 緑色螢光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617A KR840001617A (ko) 1984-05-16
KR880002599B1 true KR880002599B1 (ko) 1988-12-03

Family

ID=1559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330A KR880002599B1 (ko) 1981-09-30 1982-09-25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469619A (ko)
JP (1) JPS5857491A (ko)
KR (1) KR880002599B1 (ko)
AU (1) AU558692B2 (ko)
CA (1) CA1199474A (ko)
DE (1) DE3236111A1 (ko)
FR (1) FR2513650B1 (ko)
GB (1) GB2106924B (ko)
NL (1) NL82037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89B1 (ko) * 2011-02-28 2014-04-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4338B1 (ko) * 2011-02-28 2015-02-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소-함유 실리케이트계 형광체의 알칼리 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체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175A (ja) * 1983-11-05 1985-06-05 Sony Corp 投射型テレビ用緑色螢光体
JPS60162732A (ja) * 1984-02-06 1985-08-24 Nisshin Steel Co Ltd 焼付硬化性を有するプレス成形性の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法
JPS62104893A (ja) * 1985-10-31 1987-05-15 Sony Corp 小粒子螢光体の作製方法
US4762639A (en) * 1987-07-23 1988-08-09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terbium activated yttrium aluminate phosphor
KR920010085B1 (ko) * 1988-07-30 1992-11-14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이트륨 · 알루미늄 · 가넷미립자의 제조방법
US5343316A (en) * 1992-06-30 1994-08-30 Nichia Chemical Industries, Ltd. Phosphor for use in a cathode-ray tube and display device using one
US5601751A (en) * 1995-06-08 1997-02-11 Micron Display Technology, Inc.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purity phosphors having utility in field emission displays
KR20010062209A (ko) 1999-12-10 2001-07-07 히가시 데쓰로 고내식성 막이 내부에 형성된 챔버를 구비하는 처리 장치
US7204912B2 (en) 2002-09-30 2007-04-17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bellows shield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7147749B2 (en) 2002-09-30 2006-12-12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upper electrode plate with deposition shield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6798519B2 (en) 2002-09-30 2004-09-28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optical window deposition shield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7166166B2 (en) 2002-09-30 2007-01-23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baffle plate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6837966B2 (en) * 2002-09-30 2005-01-04 Tokyo Electron Lime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baffle plate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7166200B2 (en) 2002-09-30 2007-01-23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upper electrode plate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7137353B2 (en) 2002-09-30 2006-11-21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deposition shield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US7780786B2 (en) 2002-11-28 2010-08-24 Tokyo Electron Limited Internal member of a plasma processing vessel
WO2004095532A2 (en) 2003-03-31 2004-11-04 Tokyo Electron Limited A barrier layer for a processing element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2004095530A2 (en) 2003-03-31 2004-11-04 Tokyo Electron Limited Adjoining adjacent coatings on an element
US7552521B2 (en) 2004-12-08 2009-06-30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baffle plate
US7601242B2 (en) 2005-01-11 2009-10-13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processing system and baffle assembly for use in plasma processing system
WO2007063850A1 (ja) 2005-11-29 2007-06-07 Kyocera Corporation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43391B (zh) * 2010-09-30 2014-07-16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控制烧成的荧光体结构成分比例的方法、荧光体及发光装置
TWI431099B (zh) * 2010-12-17 2014-03-21 Bell Ceramics Co Ltd 製造螢光粉之方法及該方法所製得之螢光粉
CN115717074A (zh) * 2022-10-13 2023-02-28 英特美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小粒度铝酸盐led粉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8980A (en) * 1964-12-24 1968-02-13 Gen Telephone & Elect Method of preparing yttrium oxide phosphors
US3485768A (en) * 1967-06-29 1969-12-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preparing europium-activated lanthanum vanadate phosphor
JPS4823786B1 (ko) * 1968-08-23 1973-07-16
JPS5918433B2 (ja) * 1975-06-02 1984-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螢光体
US4141855A (en) * 1975-06-02 1979-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producing cerium-activated phosphor of improved characteristic
JPS5927787B2 (ja) * 1977-04-13 1984-07-07 株式会社東芝 紫外線励起形螢光体
JPS541287A (en) * 1977-06-03 1979-01-08 Sony Corp Fluorescent substan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89B1 (ko) * 2011-02-28 2014-04-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155B1 (ko) * 2011-02-28 2014-05-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157B1 (ko) * 2011-02-28 2014-05-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156B1 (ko) * 2011-02-28 2014-05-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154B1 (ko) * 2011-02-28 2014-05-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실리케이트계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4338B1 (ko) * 2011-02-28 2015-02-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소-함유 실리케이트계 형광체의 알칼리 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체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03797B1 (ko) * 2011-02-28 2015-03-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염소-함유 실리케이트계 형광체의 알칼리 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체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6924A (en) 1983-04-20
NL8203782A (nl) 1983-04-18
FR2513650A1 (fr) 1983-04-01
AU8874282A (en) 1983-04-14
JPS6121586B2 (ko) 1986-05-28
CA1199474A (en) 1986-01-21
US4469619A (en) 1984-09-04
AU558692B2 (en) 1987-02-05
GB2106924B (en) 1985-07-10
DE3236111A1 (de) 1983-04-07
JPS5857491A (ja) 1983-04-05
FR2513650B1 (fr) 1986-12-26
DE3236111C2 (ko) 1992-03-12
KR840001617A (ko) 198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599B1 (ko) 녹색형광체의 제조방법
US4024069A (en) Yttrium tantalate phosphors
US4006097A (en) Yb activated hafnium oxide phosphor and methods of making
US4938890A (en) Method of making YTaO4 :Nb phosphor with improved brightness using lithium chloride-lithium sulfate eutectic flux
US37066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oxysulphide
US3563909A (en) Method of preparing a lanthanide activated yttrium,gadolinium or lanthanum oxysulfide luminescent material
JPH03203984A (ja) 改善された明るさを有するニオブ活性化イットリウムタンタル酸塩のx線蛍光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3380926A (en) Method for preparing a europium-activated yttrium vanadate phosphor
JPH01167394A (ja) 蛍光体
US2589513A (en) Method of making titanium activated calcium magnesium silicate phosphor
US3630947A (en) Europium strontium chloride phosphate fluorescent composition
US3501412A (en) Method of preparing dysprosium-activated rare-earth metal vanadate phosphor
JPH05194947A (ja) 非賦活タンタル酸イットリウム燐光物質
US5076964A (en) Process for producing cerium activated yttrium gallium aluminate CRT phosphor
JPS62260885A (ja) 蛍光体の製造方法
JPS60235884A (ja) 陰極ルミネセンス発光体
SU899629A1 (ru) Шихта дл получени люминофора красного цвета свечени
US3794597A (en) Method of increasing brightness of y2o2s:eu luminescent material
JP2637102B2 (ja) 蛍光体
JP2000119649A (ja) 残光が低減されたタンタル酸イットリウムx線蛍光体
KR950011230B1 (ko) 녹색 발광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0270409B1 (ko) 티탄산란타늄계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KR910007091B1 (ko) 인산염형광체
JPS62187786A (ja) 希土類アルミン酸塩螢光体
JPH0570775A (ja) 赤色発光蛍光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