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25B1 - 테이프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25B1
KR880000325B1 KR1019810004434A KR810004434A KR880000325B1 KR 880000325 B1 KR880000325 B1 KR 880000325B1 KR 1019810004434 A KR1019810004434 A KR 1019810004434A KR 810004434 A KR810004434 A KR 810004434A KR 880000325 B1 KR880000325 B1 KR 88000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cassette
load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298A (ko
Inventor
아끼라 사이또오
나오끼 가마야
중야 엔도우
세이스께 오오바
아끼라 구마노
요시노리 이다
히데오 호리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11B15/1891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the record carrier being endles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로딩장치
제1도는 테이프의 로딩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동상의 테이프 공급측의 측면도.
제3도는 동상의 테이프 권취측의 측면도.
제4도는 동상의 배면측의 측면도.
제5도는 테이프 로딩장치 전체를 표시한 일부 노치 평면도.
제6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가이드 블록 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8도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밑에 배치된 링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9도는 테이프로딩 완류상태에 있어서의 공급측 로딩장치 부분의 전개단면도.
제10도는 테이프 언로딩 완료상태에 있어서 공급측 로딩장치 부분의 전개단면도.
제11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이동 대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동상의 이동대가 전진위치 가까이에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13도는 동상의 이동대가 전진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 XIV-XIV 화살표 방향상태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 XV-XV 화살표 방향상태에서의 단면도.
제16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연결간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 XVII-XVII 화살표 방향상태에서의 단면도.
제18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입상테이프 가이드 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19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 XX-XX 화살표 방향상태에서의 단면도.
제21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입상안내체부분을 보인 일부노치사시도.
제22도는 동상의 일부 노치 평면도.
제23도는 제22도 XXIII-XXIII 화살표 방향에서의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 XXIV-XXIV 화살표 방향상태의 단면도.
제25도는 공급측 로딩장치의 입상테이프 가이드 부분의 위치결정한 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26도는 동상의 전개단면도.
제27도는 로딩왕료 겸출레버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28도는 언로딩완료 검출레버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29도는 권취측 로딩장치의 이동 대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30도는 동상의평면도.
제31도는 제30도 XXXI-XXXI 화살표 방향 상태에서의 단면도.
제32도는 동상의 이동대가 전진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의 요부를 보이는 평면도.
제33도는 제32도 XXXIII-XXXIII 화살표 방향 상태에서의 단면도.
제34도는 핀롤러 압착장치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35도는 동상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제36도, 제37도 및 제38도는 핀치룰러의 압착동작을 설명하는 요부의 일부노치평면도.
제39도는 구동장치 부분을 표시한 일부노치사시도.
제40도는 동상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제41도는 테이프접동 안내체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42도는 동상의 정면도.
제43도 및 제44도는 카세트 장착시에 있어서 테이프의 미끄러짐 안내작동을 설명하는 일부 노치측면도.
제45도는 인장력 검출장치 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46도 및 제47도는 인장력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48도는 카세트 홀더록크 장치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49도 및 제50도는 카세트 룰러의 록크 및 록크 해제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노치측면도.
제51도는 테이프 밀음장치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제52도는 동상의 정면도.
제53도는 제52도 LIII-LIII 화살표 방향상태의 단면도.
제54도는 입상테이프 가이드의 각도 규제방법을 보이는 평면도.
제55도는 제54도 LV-LV 화살표 방향상태의 단면도.
제56도는 제54도 LVI-LVI 화살표 방향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b : 카세트 장착면과 평행한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
4 : 자기테이프 5 : 기판
13 : 회전헤드드럼 14 : 공급측 로딩장치
15 : 권취측 로딩장치 16 : 테이프 가이드
17 : 테이프 가이드(제2의 테이프 가이드)
36 : 구동장치 44 : 가이드 블록(가이드 부재)
45 : 상면판 46 : 가이드 홈
47 : 가이드 판(가이드 부재) 49 : 가이드 홈
51 : 링(구동부재) 56 : 이동대
86 : 연결간(연결부재) 157 : 이동대(제2의 구동부재)
216 : 모터
이 발명은 예를 들자면 VTR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당한 테이프 로딩장치로서 소정의 이동 경로에 따라서 이동되는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해서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끌어내서 회전헤드 드럼의 주면에 나선형으로 로딩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출원인은 이미 출원한 특원소 54-67790호 명세서의 의해서 테이프를 회전 헤드드럼의 주면에 나선형으로 로딩하는 공급측의 테이프 가이드 회전헤드드럼을 사이에두고 상기 테이프가이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된 감는 측의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한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선원발명에 의하면 종래 공지의 U형 로딩장치 방식의 특징을 살리면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선원발명에서는 특히 공급측의 테이프 가이드의 안내를 위한 구조 및 그 구동구조가 복잡한 것 이외에, 원활한 동작을 기할 수 없고 그 테이프의 이동 경로에 제약을 받기 쉬운 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결함을 시정하도록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고 그 위에도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무리없이 극히 원활하게 행하며 또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기할 수 있도록한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VTR의 테이프 로딩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장치의 전체를 설명한다. 먼저 (1)은 테이프 카세트(이하 단순히 카세트로 기재함)이며, 공급릴(2)과 권취릴(3)과 , 평행상으로 수납되며 이들 사이에 자기테이프(이하 단순히 테이프로 기재함)(4)가 권취되어 수납되어 있다. 그래서 종래 공지된 것과 같은 카세트(1)는 승강이 자유로운 카세트 장착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VTR 본체의 수평상을 이르는 기판(5)상에 배치된 공급릴 대(6)와 권취릴대(7)에 양 릴(2)(3)이 제각기 합치된다. 그래서 이 카세트 장착에 의해 카세트(1)의 전면(1a)에 설치된 전면개구(8)를 폐쇄하고 있던 앞뚜껑(9)이 개방된다. 또 카세트(1)의 전면측의 저면(1b)에는 거의 대형상(臺形狀)으로된 저면개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13)은 회전자기헤드(도시하지 않음)가 장치된 회전헤드드럼(이하 간단히 드럼이라고 기재함)이며 장착된 카세트(1)의 전면측의 기판(5)위에 소정방향으로 소정각도로서 경사되어 있다.
다음에 공급측 로딩장치(14)는 드럼(13)에 대한 트이프(4)의 공급측에 있어서 그 테이프(4)의 로딩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권취측로딩 장치(15)는 드럼(13)에 대한 테이프(4)의 권취측에 있어서 그 테이프(4)의 로딩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로딩장치(14)에는 이동하는 4개의 테이프 가이드(16)(17)(18)(19)등이 사용되고 권취측 로딩장치(15)에는 이동하는 1개의 테이프 가이드(20)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권취측 로딩장치(15)에는 테이프 가이드(20)에 뒤따라서 핀치롤러(21)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공급측 로딩장치(14)의 4개의 테이프 가이드 가운데 후행측의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는 거의 수평으로 누운 넘어짐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입상된 입상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입상(立上)가이드로 구성되어 잇다. 또 기판(5)의 상부에는 캡스탠(23)을 비롯하여, 고정테이프 가이드(24a)(24b), 드럼 입구 가이드(25), 드럼 출구가이드(26)등의 공정가이드류나 전체소거헤드(27), 음성소거헤드(28), 음성녹음재생겸용 CTL 헤드(29)등의 자기헤드등이 각각 소정의 배치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또는 적당한 장착부재를 거쳐서 장착되어 있다. 또(30)은 인장력조절핀이다.
그래서 이상과 같은 테이프로딩장치의 언로딩 완료상태에서는, 양 로딩장치(14)(15)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20) 및 핀치룰러(21)가 각각 제1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후진위치로 후진되어 있다. 또 이때 테이프 가이드(18)(19)는 거의 수평인 상태로 넘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그래서 언로딩 완료상태에서 카세트(1)가 상방으로부터 수평상으로 하강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카세트(1)의 장착에 의해 3개의 테이프 가이드(16)(17)(20)와 핀치룰러(21)가, 그 카세트(1)의 저면개구(10)로부터 카세트(1)내로 삽입되며 카세트(1)내에서 가상선을 따라서 통과(걸려져 있느 것)되고 있는 테이프(4)의 내측에 삽입된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 장착후에 공급측 로딩장치(14)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19)가 드럼(13)의 외주에 따라서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 개시되며, 또 이것과 동시에 권취측 로딩장치(15)의 테이프 가이드(20) 및 핀치롤로(21)가 제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 개시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4)의 로딩이 개시된다. 즉 이들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20)에 이해 카세트(1)내의 테이프(4)가 순차로 당기어 걸려져서 그테이프(4)가 그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전방으로 제1도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순차 인출되어 로딩이개시된다. 또 이때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는 이들의 이동에 따라서 카세트(1)내에서 순차 일어서는 테이크(4)에 순차로 당겨 걸려져 간다.
한편 이때 공급측 로딩장치(14)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19)는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그 카세트(1)의 저면(1b)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인출된 후 드럼(13)의 외주에 따라서 차례로 상승되어간다. 이결과 테이프(4)의 공급측(4a)에는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수평으로 인출된 후, 차례로 가지고 올라가면서 드럼(13)의 주면에 차차 감겨져 간다. 한편 권취측 로딩장치(15)의 테이프 가이드(20)는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어 간다. 이결과 테이프(4)의 권취측(4b)은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어 간다.
그래서 이들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20) 및 핀치롤러(21)가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전진 위치에 도달될 때에 테이프(4)의 로딩이 완료되고 이들의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20) 및 핀치룰러(21)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래서 테이프(4)는 그 공급축(4a)이 드럼(13)의 주면에 180°+α의 권취각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지는것과 동시에 전체소거헤드(27)에 통과되며 그권취측(4b)의 음성소거헤드(18)와 CTL헤드(29)와 캡스탠(13)에 수평으로 통과된다. 또 이때 상기 로딩완료와 동시에 인장력조절핀(30)이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4)에 접촉되며 테이프(4)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는 동작상태로 된다.
그래서 종래의 공지와 같이 상기 로딩완료 상태에서 기록 버튼이나 재생버튼이 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핀치롤러(21)가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캡스탠(23)에 압착되어 그 캡스탠(23)에 의해 테이프(4)의 주행이 개시되고 테이프(4)가 공급릴(2)로부터 차례로 나오게 되며 전체소거헤드(27)를 거쳐서 이미 회전구동되고 있는 드럼(13)의 주면을 통하여 음성소거헤드(28), CTL 헤드(29)를 경유해서 권취릴(3)에 권취되도록 주행되어 소망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또 기록 또는 재생종료후 등에 있어서 이젝트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20) 및 핀치롤러(21)은 각각 원래의 후진위치에 후진되어 테이프(4)가 언로딩된다. 그래서 그 언로딩 완료후에 카세트(1)는 이젝트된다.
그런데 이 테이프 로딩장치에 있어서는 장착된 카세트(1)의 저면(1b)과 기판(5) 사이의 간극 h1이 극히작게 구성되어 있어, 이결과 개방에 의해 카세트(1)의 상면(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앞뚜껑(9)의 개방에 필요한 높이 h2를 함유하며 기판(5)위에서의 카세트(1)의 장착에 필요한 높이 h3가 대단히 작게 되어있다. 그 위에 기판(5)위에서의 테이프 로딩장치의 최대높이 h4[또 테이프 가이드(16)이 전진위치에 달한때는 최대높이로 된다]가 상기 높이 h3내에 거의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높이의 대단히 작은 (소위박형) VTR을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이 테이프 로딩장치의 전후 방향길이 l1이 대단히 작게 구성되어 있고, 이 이외에도 카세트(1)의 전면(1a)가 드럼(13)과의 사이의 간극 l2가 극히 작게 구성되어 있어서 전후 방향길이의 대단히 작은 VTR을 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이 테이프 로딩장치의 좌우방향폭 W1은 카세트(1)의 좌우방향폭 W2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좌우방향의 폭의 대단히 작은 VTR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 요약하면 이 테이프 로딩장치에 의하면 높이, 길이, 폭이 각각 작으며 대단히 콤팩트한 VTR을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 테이프 로딩장치의 각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먼저 제5도는 테이프(4)의 로딩완료 상태에서의 전체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며 기판(5) 위에는 각종의 부품이 취부되어 있다. 즉 카세트(1)와 드럼(13)과의 사이에는 장착된 카세트(1)의 저면개구(10)내에 삽입되도록 되었으며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의 입상동적을 안내하는 입상 안내체(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의 각 전진위치에는 각각 이들의 경사상태를 규정하는 한쌍의 위치결정판(34)(35)이 설치되어 있다. 드럼(13)의 일측부에는 양 로딩장치(14)(15)를 공통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36)의 일측부에는 핀치롤러압장치(37)가 설치되어 있다. 양 헤드(28)(29) 및 드럼출구 가이드(26)의 상부에는 한쌍의 테이프 미끄러짐 안내체(38)(39)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측 로딩장치(14)의 이동 경로 옆에는 인장력검출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접착 위치에는 카세트 홀더록크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6도 내지 제28도에 의해서 공급측 로딩장치(14)와 이것에 관련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6도 및 제7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기판(5)위에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서 형성된 가이드블록(44)이 취부되어 있다. 이 가이드불록(44)은 단면이 거의 ㄷ자 모양을 하고 있어서, 장착된 카세트(1)의 저면개구(10) 부분의 하측 위치로부터 드럼(13)의 외주에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제9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이 가이드블록(44)의 카세트측단부(45a)는 카세트(1)의 저면(1b)과 평행한수평상을 이루며, 또 기판(5)에 현저하게 근접되어 있으며 드럼측단부(45b)는 기판(5)에 대해서 소정의 높이로 상승되어 있다. 또 상면판(45)의 중간부(45c)는 완만한 경사 혹은 만곡상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그상면판(45)에는 중앙부에 따라서 가이드홈( )(4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가이드홈(46)은 카세트(1)의 저면개구(10) 부분의 하측위치로부터 수평상으로 인출된 후 드럼(13)의 외주에 따라서 차츰 상승되면서 시계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가이드블록(44)의 상면판(45)의 드럼측단부(45b)에는 그 상면판(45)과 한면으로 접속된 금속판으로 되는 가이드판(47)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판(47)은 기판(5)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또 소정의 각도로 경사되어 있다.
그래서 이 가이드판(47)에는 가이드홈(46)에 접속된 가이드홈(4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8도 및 제9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가판(5)의 상면상에, 가이드 불록(44)의 하측 위치에, 드럼(13)에 대하여 편성된 링(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링(51)은 기판(5) 위에 추착되어 있는 예를들어 플랜지가 부착된 3개의 가이드 롤러(52)에 의해 지지되어 기판(5)의 상면위에 수평으로 회전자재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이 링(51)의 외주에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외주기어(5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7도 및 제10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가이드 블록(44)과 반대측에 예를들면 스텐레스 스틸판으로 구성된 박판의 가이드 압판(押板)(54)이 상면판(45)에 연속하여 링(51)의 상부에 따라서 원호상을 만곡되며 또 수평상으로 취부되어 있다.
다음에 제11도 내지 제15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테이프 가이드(16)과 (17)과는 가이드 블록(44)의 상면판(45) 위에 있는 가이드홈(46)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이동대(56) 취에 위부되어 있다. 이 이동대(56)는 가이드홈(46)(49)를 이동하는 스프링(58)이 하면의 거의 중앙부에 따라서 만곡되어 일체로 설치되고 또 상면판(45)상을 접동하도록된 상부블록(59)과, 상면판(45)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블록(59)의 스프링(58)의 하면에 2개의 멈춤나사(60)로서 고착된 하부블록(61)과, 일단이 스프링(58)과 하부블록(61)과의 사이에 끼어들어가서 멈춤나사(60)에 의해 함께 체결되어 고정된 비교적 두꺼운 금속판으로 구성된 탄성을 가지는 가이드 지지판(6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동대(56)의 가이드판(62)의 산단부 상에는 지축(63)이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지축(63)에는 하단에 압축 코일스프링(64)가 삽입되고 그 상부에는 하부플랜지(65)와 슬리브(66)가 지축(63)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접동 자재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 지축(63)의 상단에는 상부플랜지(65)가 나사멈춤되고 있다. 즉 상부츨랜지 (67)는 그의 하단측에 실치된 나사구멍(68)에 의해서 지축(63)의 상단에 설치된 나사축부(69)에 나사를 집어넣어 취부되며 슬리브(66)의 상단에 맞대어 접합되고 있다. 또 상부 플랜지(67)의 상단측에는 상기 나사구멍(68)에 연결하여 통과되고 있는 소경의 나사구멍(70)이 설치되며 이 나사구멍(70)에 나사를 집어 넣은 고정용나사(71)의 지축(63)의 상단면에 밀어 눌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기 테이프 가이드(16)는 회전롤러(72)로서 구성되고 있어, 상하 양 플랜지(67)(65) 사이에 슬리브(66)의 외주에 회전자재하게 삽입되고 있다. 즉 슬리브(66)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원통부(73)가 회전롤러(72)의 내주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원통부(73)의 상하 양단면이 상하 양플랜지(67)(65)의 원통부(67a)(65a)의 상하 양단면에 대향(對向)된 상태로서 그의 회전롤러(72)가 슬리브(66)의 외주에 회전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또 상부플랜지(67)의 상면에는 드라이버삽입홈(74)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의 높이 조정장치(75)가 구성되어 있어서 나사축부(69)에의 상부플랜지(67)의 나사삽입량의 조정에 의해 이 상부플랜지(67)를 지축(6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 것에 의해 하부플랜지(65) 및 슬리브(66)를 항시 상방으로 밀어 눌러 힘을 가하고 있다. 코일스프링(64)과의 공동작용으로 테이프 가이드(16)가 지축(53)에 따라서 상하방향(제14도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조정후에 고정용나사(71)를 지축(63)의 상단면에 체부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플랜지(67)가 고정되고 테이프 가이드(16)이 그 조정된 높이 위치에 고정된다. 또 상부블록(59)의 선단부의 중앙부에 나사구멍(77)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나사구멍(77)에 조정나사(78)가 상방으로 부터 나사삽입되어 하방으로 관통되고 또 그 조정나사(78)의 하단이 가이드 지지판(62)의 선단측의 상면에 접합되어있다. 그래서 그 조정나사(78)보다 후방측에 상부블록(59)의 스프링(58) 부분의 선단부 하면에는 상향의 사면(79)이 설치되고 있다. 또 하부블록(61)의 선단부의 중앙부에는 노치(80)가 설치되어 있고 그 노치(80)의 페쇄부 측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사면(79)에 대향하고 또 역경사상으로 되는 하향의 사면(斜面)(81)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의 요동조정장치(82)가 구성되어 있어서 조정나사(78)의 조정에 의해 상하양사면(78)981) 사이에서 상하로 八자 상으로 개방된 공간부내에서 가이드 지지판(62)의 선단측이 그 탄성에 대항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휘어지는 것)되어, 이것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의 제14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흔들림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전기 테이프 가이드(17)는 가이드 핀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부블록(59)의 후단부상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블록(61)의 상면에는, 상부블록(59)의 스프링(58)부분의 좌우 양측부에 또 전후 방향의 양단부분에 각각 반원호상을 이룬 3개의 돌기부(842) 내지 (84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플록(61)의 선단측의 좌우 양측부의 하면에는 한쌍의하향사면(8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판(47)의 하측에는, 가이드홈(49)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 이 가이드홈(49)에 대하여 그것을 직각인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록크핀(86)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17)를 제1도의 전진위치에 록크되는 록크기구(87)가 구성되어 있어 이동대(56)가 후술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홈(49)을 따라서 제13도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고 제1도의 전진위치에 도달할 때, 제15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하부블록(61)의 양사면(85)이 록크핀(86)위에 올라타게 된다. 그러면 그 양사면(85)과 록크핀(86)에 의한 쐐기 효과에 의해 하부블록(61)이 제15도에서 화살표 D 방향으로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며 그 하부블록(61)의 3개의 돌기부(84a) 내지 (84c)가 가이드홈(49)의 양측위치에서 가이드 판(47)의 하면으로 먹어 들어가는 작용을 수반하면서 압착된다.
이 결과 양 테이프 가이드(16)(17)가 제1도의 전진위치에 달한 때에 이동대(56)가 상기 쐐기효과로서 인정성이 있게 고정상태에서의 덜컹거림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16도 및 제17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링(51)과 이동대(56)의 후단부와의 사이가 이들 사이에 비스듬히 배치된 연결간(杆)(89)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이 연결간(89)는 예를들면 합성수지로서 성형된 핀(90)과 파이프(91)로 구성되고 있어서 핀(90)의 선단이 파이프(91)의 중공부(92)내에 상호간 축심방향으로 접동 자재하게 삽입되어있다. 그래서 핀(90)의 선단측의 양측부에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인발방지용 돌기부(9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 양돌기부(93)가 파이프(91)의 양측부에 설치된 1쌍의 장공(長孔)내에 접동자재하게 놀도록 감입되어 있다. 또 이때 파이프(91)의 일단부에는 양장공(94)에 대하여 각각 거의 90
Figure kpo00001
위상을 변동시킨 한쌍의 슬릿(9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양 슬릿(95)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파이프(91)의 선단부의 직경방향의 탄성에 대항하여 재돌기부(93)가 파이프(91)내에 삽입된 후 양장공(94)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핀(90)의 타단부 측에는 플랜지부(96)가 일체로 설치되어 이 프랜지부(96)와 파이프(91)의 단부와의 사이에 핀(90)의 외주에는 압축코일스프링(97)이 삽입되고 있다. 따라서 이 코일스프링(97)에 의해 핀(90)과 파이프(91)과를 서로 인발방향으로 밀어 눌르며 양돌기부(93)에 의해 그 인발방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핀(90)의 타단부 양측에는 한쌍의 소형돌기부(98)가 그의 핀(90)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상을 이루고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이들의 양소형돌기부(98)가 링(51)위에 설치된 브라켓(99)의 한쌍의 C형공(100)내에 회전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또 이때에 양C형공(100)의 상단측에 설치된 개구(100a)의 개구폭 t1이 양소형돌기부(98)의 편평축의 두께 t2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제17도에 가상선으로 보이는 바와같이 양소형돌기부(98)를 개구(100a)로부터 양 C형공(100)내에 상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삽입한 후, 핀(90)을 소정각도 이상으로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이후에는 양소형돌기부(98)가 양 C형공(10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99)에 대하여 핀(90), 즉 연결간(89)의 일단을 원터치로써 취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의 취부된 상태에서 연결간(89)는 양 C형공(100)의 중심을 회동(回動)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 회동할 수가 있다.
한편 파이프(91)의 타단에는 볼베어링(101)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대(56)의 하부블록(61)의 후단에 설치된 볼베어링 받침부(102)내에 삽입되어 볼베어리이 받침부(103)가 구성되어 있다. 또 제11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볼베어링 받침부(102)는 좌우방향에 분할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분할편(104)이 멈춤나사(105)에 의해 하부블록(61)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기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는 함께 가이드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의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동일한 취부구조로서 링(51)위에 취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한편의 테이프 가이드(18)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테이프 가이드(18)는 링(51)위에 설치된 브라켓(107)에 수평상을 이루는 지점축(支點軸)(108)을 거쳐서 상하방향으로 요동자재로 추지되어 있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18)의 추지단측(樞支端側)의 일측부에 일체로 설치된 돌기부(109)와 링(51)위에 설치된 돌기부(110)와 사이에 걸려져 있는 인장코일스프링(111)에의해서 테이프 가이드(18)가 제20도에서 시계방향, 즉 상방측에 회동하는 힘이 가해지고 있다.
한편 브라켓(107)위에는 판스프링(112)이 그의 일단측에 있어서 멈춤나사(113)에 의해 나사멈춤되어 있다. 그래서 그 판스프링(112)의 자유단인 선단(112a)이 테이프 가이드(18)의 추지단의 근방위치로 후방측 으로부터 늘어나오고 있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18)가 코일스프링(111)에 의해서 제20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넘어진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한 입상위치까지 입상한 때(기계방향으로 회동된 때), 이 테이프 가이드(18)의 추지단의 후면부분에 일페로 설치된 스톱파용 돌기부(114)가 판스프링(112)의 선단(112a)상에 맞대어 접해져서, 그 테이프 가이드(18)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112)의 선단(112a)상에 맞대어 접해져서, 그 테이프 가이드(18)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112)부분에는 이것을 관통하여 브라켓(107)에 나사멈춤 되도록 된 조정나사(115)가 취부되어 있어서 이 조정나사(115)의 조정에 의해 판스프링(112)의 선단(112a)이 탄성에 대항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조정된다. 그래서 이 조정에의한 테이프 가이드(18)의 제20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입상위치에서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제1도의 후진위치에 후진되어 있을 때에는 제10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이들 양 테이프 가이드(18)(19)는 가이드 압판(54)의 및으로 끌려들어가 있어서 이 가이드 압판(54)으로서 밀려져서 각각 코일스프링(111)에 대항하여 거의 수평으로 넘어져 있다. 그래서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의 개시에 따라서 링(11)이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동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이들이 가이드 압판(54)의 선단(54a)으로부터 순차로 빠져나오면서, 각각 코일스프링(111)에 의하여 제20도에 실선으로 보여진 입상위치에 순차 입상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21도 내지 제24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전기 입상안내체(33)는 예를들면 합성수지로서 성형되어 있어서, 평면형상이 거의 삼각형상으로 되고 또 단면형상의 거의 ㄷ자상을 하고 있어서 내부에는 가이드 안내통로(1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가이드 안내통로(117)의 천청면에는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을 안내하기위한 원호상을 이룬 안내홈(118)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 그 안내홈(118)의 일단에는 예를들어 탄성을 가지는합성 수지판과 같은 쿳숀판(119)가 첨부되는 등으로 취부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같이 카세트(1)의 장착에 의해 제22도 및 제23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입상안내체(33)가 카세트(1)의 저면개구(1c)로부터 카세트(1)내에 삽입되어 테이프(4)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이 개시되어 링(51)의 제8도에서 시계방향에의 회동에 수반하여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제1도의 후진위치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제22도에서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어 테이프(4)의 하측을 순차로 들어가 빠져나가서 카세트(1)의 저면개구(10)로부터 카세트(1)내로 순차로 들어간다. 그래서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카세트(1)내의 테이프(4)의 내측에서 순차 입상하여 테이프(4)를 순차로당기어 걸쳐서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카세트(1) 밖으로 순차로 인출되어간다. 그래서 이때에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이들의 선단(18a)(19a)이 테이프(4)의 하측을 들어가 빠져 나가기 까지의 사이에 가이드 압판(54)에 의하여 제10도에 보이는 바와 같은 넘어진 위치에 밀려져 있다. 그래서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테이프(14)의 하측을 순차로 들어가 빠져 나간 뒤,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가이드 압판(54)의 선단(54a)으로부터 순차로 벗어나와서 카세트(1)내의 테이프(4) 내측에서 코일스프링(111)에 의해 전술한 바와같이 순차입상한다. 그래서 이 입상시에 먼저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쿳숀판(119)의 하면에 순차로 맞대에 접해서 그때의 충격이 완충된 후, 그의 선단(18a)(19a)이 안내홈(118)내에 순차 들어간다. 그래서 이후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는 안내홈(118)에 유도되어 그 선단(18a)(19a)의 높이와 이동궤적이 규제된다. 결과적으로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안내홈(118)으로부터 순차 벗어져나와 이들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제20도에 실선으로 보여진 입상위치에 순차 입상되어서 테이프(4)를 내측으로부터 순차 당기어 걸어간다. 그러나 이때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안내홈(118)으로부터 벗어나와서 입상하는 위치는 카세트(1)의 전면개구(8) 부분이기 때문에 이 입상에 의하여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카세트(1) 앞덮개(9)의 하단가장자리(9a)에 예측할 수 없게 당기어 걸치는 일이없이, 그 하단가장자리(9a)의 하측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가 있다.
이상 요약하면 입상안내체(33)는 테이프(4)의 하측으로 들어가 빠져 나가서 카세트(1)내의 테이프(4)의 내측에 들어간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그 테이프(4)의 내측에 있어서 순차로 이상할 때의 입상자세를 규제하고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카세트(1)의 앞덮개(9)의 내측에 불의로 충돌해서 고장을 발생하는 것과 같은 것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양테이프 가이드(18)(19)에서의 테이프(4)를 안전 그리고 확실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음에 제25도 및 제26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의 제1도에 보이는 전진위치에는 전술한 양위치결정판(34)(35)이 배치되고 있다. 즉 기판(5)위에 설치된 취블록(121)의 상단부에 양위치 결정판(34)(35)이 각각 멈춤나사(122)(123)에 의해서 수평상으로 나사멈춤되며, 또 이들은 취부블록(121)의 상단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된 위치결정용 돌출부(124)(125)에 각각 돌출구멍(126)(127)에 의해서 접합되어서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그런데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제20도에 실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입상한 상태에서는 제26도에 가상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선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8)의 선단(18a)의 상단면과 기판(5) 사이의 높이 h10은 후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9)의 선단(19a)의 상단면과 기판(5) 사이의 높이 h11보다 낮게 규정되어 이들 사이에는 단차(段差) h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한편의 위치결정판(34)은 선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8)의 입상높이 h10보다 약간 낮은 높이 h13에서 기판(5)위에 수평상으로 취부되어 있으며, 타방의 위치 결정판(35)은 후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9)의 입상높이 h10보다 약간 낮고 또 선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8)의 입상높이 h10보다 약간 높은 높이 h14에서 기판(5)위에 수평상으로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양위치 결정판(34)(35)에는 각각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을 유도해 위치를 결정하는 노치(128)(1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시에 있어서 링(51)의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각각 제26도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입상상태에서 화살표 F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신행되어 이들의 전진위치에 이동된다. 또 이때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이들이 전술한 바와같이 카세트(1)내에서의 입상한 때부터 전기가이드블록(44)의 가이드홈(46)의 가이드홈(46)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있다. 그래서 선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8)는 그의 전진위치에 달하기전에 위치결정판(35)의 밑을 통과한다.
그래서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이들의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이들의 선단(18a)(19a)이 양위치결정판(34)(35)의 노치(128)(129)내로 유도되고, 그 전진위치에 달한 때에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는 제26도에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양노치(128)(129)의 폐쇄단(128)(129)에 맞대어 접합된다.
그래서 이후 링(51)이 제26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며 이때의 링(51)의 이동에 의하여,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선단(18a)(19a)이 양위치결정판(34)(35)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F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려진다. 이결과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각각 지점축(108)을 중심으로 제2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링(51)의 정지와 함께 제26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각각 소정의 각도 위치에규제되어 위치가 결정된다. 즉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이들의 선단(18a)(19a)이 양위치결정판(34)(35)의 양노치(128)(129)의 폐쇄단(128a)(129a)에 맞대어 접하게 되기까지는 제20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입상위치에 유지되어 이동되나 양선단(18a)(19a)가 양(128a)(129a)에 당접된 순간에 제20도에서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동된다. 그래서 이때 이들 양테이프 가이드(18)(19)의 돌기부(114)가 판스프링(112)의 선단(112a)을 하방으로 밀어 누리기 때문에 판스프링(112)이 그의 탄성에 대항하여 제20도에서 점선과 같이 휘어지며,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각각 판스프링(112)에 대항하여 제20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소정의 각도 위치까지 다시 당기어 일어켜진다.
그래서 링(51)이 정지된 후에는 판스프링(112)의 반발력에 의해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제2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기운이 가해지며, 또 그 선단(18a)(19a)이 양위치결정판(34)(35)의 노치(128)(129)의 향폐쇄단(128a)(129a)에 부딪쳐 그치게 되고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각각 그 상하양단을 지지된 소위양단지지 상태에서 극히 안정된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에 제27도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기판(5)의 상부에 링(51)의 외주변 옆의 소정위치에는 록크레버 겸용의 로딩완료 검출레버(132)가 지점축(133)을 거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이 검출레버(132)는 기판(5)과의 사이에 걸쳐진 인장코일스프링(134)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힘이 가해지며 그 검출레버(132)의 일단에 주착된 롤러(135)가 링(51)의 외주면(136)에 항시 압압되어 있다. 또 그 검출레버(132)의 근방위치에 기판(5)위에는 로딩완료 검출스위치(137)가 설치되어 있어 그 구동자(actuator)(137a)의 조작레버(138)가 기판(5)위에 설치된 지점부(139)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조작레버(138)는 기판(5)와의 사이에 걸쳐 넘겨진 인장코일스프링(14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힘이 가해져서 그 선단(138a)이 검출레버(132)의 일부에 일체로 설치된 돌기부(141)에 항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링(51)의 외주면(136)의 일부에는 롤러가 떨어져 들어갈 록크용의 노치(1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테이프(4)의 언로딩 완료상태에서는 제27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롤러(135)가 링(51)의외주면(136)위에 밀어올려져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검출레버(132)는 코일스프링(134)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돌기부(141)가 조작레버(138)를 코일스프링(140)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있어 검출스윗치(137)는 "오프"상태로 도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이 개시되면 링(51)이 화살표 G 방향으로 회동되며 그 로딩이 완료한 때에 노치(142)가 제27도에 실선으로 보인 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면 이때 제27도에 실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검출레버(132)가 코일스프링(134)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롤로(135)가 노치(142)내에, 떨어져 들어가서 링 (51)이 그 로딩완료위치에 록크된다. 그래서 이 검출레버(132)의 시계방향에의 회동에 의해, 그 돌기부(141)가 조작레버(138)의 선단(138a)에 대하여 멀어진다. 이 결과 조작레버(138)이 코일스프링(140)에 의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되어 검출스윗치(137)의 구동자(137a)를 밀며 이 검출스윗치(137)이 "온(on)" 상태로 절환되어서 테이프(4)의 언로딩 완료가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전술한 테이프(4)의 언로딩이 개시되고 링(51)이 화살표 G 방향으로 후진이 개시되면 다시 제27도에 가상선으로표시한 바와같이 회전자(135)가 노치(142)내로부터 그의 사면(142a)을 거쳐서 링(51)의 외주면(136)위에 밀어 올려진다. 그래서 이것에 관련하여 검출레버(132) 및 조작레버(138)이 가상선의 위치에 보후진되어 검출스윗치(137)이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다음에 제28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양테이프 가이드(16)(17)의 제1도에 보이는 후진위치의 근방에 있어서의 이동대(56)의 이동 경로 엎에는 언로딩완료 검출레버(1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레버(144)는 가이드블록(44)의 일부의 상면에 지점축(145)을 거쳐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가이드 블록 (44)과의 사이에 걸어 넘겨진 인장코일스프링(146)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래서 이 검출레버(144)의 하부에 기판(5) 위에는 언로딩검출스윗치(147)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구동자(147a)의 조작레버(148)가 기판(5)위에 설치된 지점부(149)를 중심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조작레버(148)는 기판(5)과의 사이에 걸쳐 넘겨진 인장코일스프링(15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힘이 가해져서 그 선단(148a)이 검출레버(144)의 일단에 일체로 설치된 핀(151)에 관련되도록 되어 있다. 또 검출레버(144)의 선단(144a)의 하면에는 핀(15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 핀(152)가 가이드 블록(44)에 설치된 긴구멍(153)내에 삽입도어 있어서 그 핀(152)에 의해 검출레버(144)의 시계방향에의 회동이 규제되도록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대(56)의 상부블록(59)의 내측의 일부에는 돌기부(15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테이프(4)의 언로딩이 행하여져서 양테이프 가이드(16)(17)가 제1도의 후진위치에 후진되고 이동대(56)가 제28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체에 도달하면 그 돌기부(154)가 범출레버(154)가 검출레버(144)의 선단(144a)에 접합되어 그것을 민다. 이결과 제28도에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같이 검출레버(144)가 코일스프링(146)에 대항하여 반시게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핀(151)이 조작레버(148)에 대하여 멀어져간다. 그래서 조작레버(148)가 코일스프링(150)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조작되어서 검출스윗치(147)의 구동자(147a)를 밀며, 그 검출스윗치(147)가 "온"상태로 절환되어 테이프(4)의 언로딩완료가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8도에 가상선 및 점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이동대(56)가 실선위치로 부터 화살표 H 방향 또는 I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 순간에 돌기부(54)가 검출레버(144)의 선단(144a)으로부터 떨어진다. 그러면 제28도에 가상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검출레버(144)가 코일스프링(146)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핀(151)이 조작레버(148)의 선단(148a)에 접해서 이것을 밀기 때문에 조작레버(148)가 코일스프링(150)에 대항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되어 검출스윗치(147)이 "오프"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급측 로딩장치(14)에 의하면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시에 있어서는 링(51)이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그 링(51)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대(56)가 연결간(89)에 의해서밀려지다. 그래서 이송대(56)는 가이드 블록(44)의 가이드홈(46)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면판(45)위를 이동하며 그 이동대(56)에 의해서 테이프 가이드(16)(17)가 제1도의 후진위치로부터 전진위치에 이동되어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이때 링(51)의 상기 회전에 수반하여 테이프 가이드(18)(19)가 제10도와 같이 넘어진 상태로부터 가세트(1)내의 테이프(4)의 하측을 들어가 벗어나와 입상안내체(33)에 안내되면서 카세트(1)내의 테이프(4)의 내측에 있어서 순차입상하여 테이프(4)를 순차 끌어당겨 제1도의 전진위치에 이동된다.
그래서 이때 연결간(89) 부분에 있어서는, 링(51)의 구동력이 브라켓(9)로부터 양소형돌기부(98), 핀(90), 플랜지부(96), 코일스프링(97), 파이프(91), 볼(101), 볼밭침부(103)을 거쳐서 이동대(56)에 전해지며 결국 이동대(56)의 부하에 응하여 코일스프링(97)이 압축되고 그 반발력을 거쳐서 이동대(56)가 밀려지게 된다.
또 링(51)이 기판(5)위에 있어서 원궤도를 그리며 수평으로 회전되는 것에 대하여 이동대 (56)는 가이드블록(44)의 가이드홈(46)으로 규제된 상기 원궤도와는 일치하지 않는 만곡된 궤도에 따라서 이동되며 또 가이드블록(44)의 상면판(45)의 경사혹은 만곡에 따하서 차차로 상승되어간다. 그러나 연결간(89)의 일단측은 양소형돌기부(98)에 의해 링(51)의 브라켓(99)의 양 C형공(100)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또 타단측은 볼베어링 받침부(103)에 의하여 이동대(5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동대(56)의 상기 이동에 따라서 연결간(89)이 점차로 상향으로 경사되면서 그 이동대(56)를 극히 원활하게 밀어갈 수가 있다.
그래서 링(51)과 이동대(56)과의 사이를 상기와 같은 연결간(89)으로 연결하여 이동대(56)를 링(51)의 회동 경로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이 이동대(56)를 가이드블록(44)의 가이드홈(46)과 상면판(45)의 경사 혹은 만곡면과에 의하여 구성되는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이동대(56)의 이동경로를 임의로 또 자유로 설정할 수가 있다. 특히 가이드 블록(44)의 상면판(46)의 카세트 측단부(45a)는 수평상을 하고 있어서, 이동대(56)는 이 부분에 있어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이동대(56) 위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가이드(16)는 카세트(1)내의 테이프(4)에, 그 테이프(4)의 중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 테이프(4)의 면에 대하여 상태에서 접촉해서, 테이프(4)를 비트는 등으로 테이프(4)에 무리한 힘을 작용시키는 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테이프(4)를 카세트(1)내로부터 극히 한전하게 또 매끄럽게 인출할 수가 있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16)(17)가 제1도의 전진위치에 도달한 때, 이동대(56)는 이미 가이드 블록(44)으로 부터 가이드판(47)에 옮아타고 있어, 연결간(89)의 코일스프링(97)의 압축반발력에 의해서 록크기구(87)의 록크핀(86)에 그 이동대(56)의 양사면(85)이 압압된다. 그래서 전술한 쐐기 효과에 의해 3개의 돌기부(84a) 내지 (84c)가 가이드팥(47)의 하면에 압착되어 이동대(56)는 3점지지상태에서 극히 안정하게 고정된다.
한편 테이프 가이드(16)(17)와 함께 테이프 가이드(18)(19)도 제1도의 전진위치에 도달하고 이들 양테이프 가이드(18)(19)는 양위치 결정판(34)(35)에 이해 각각 소정의 각도에 위치가 정해져서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로딩이 완료된다. 그래서 이 로딩완료와 동시에 로딩완료 검출레버(132)의 롤로(135)가 링(51)의 노치(142)내로 떨어져 들어가 링(51)이 그 위치에서 록크되어 정지됨과 동시에 로딩와료 검출스윗치(137)에 의하여 로딩의 완료가 검출된다.
또 상기의 로딩완료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16)는 전체소거헤드(27) 및 드럼입구 가이드(25)를 거쳐서드럼(13)의 주면에 패스되는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 테이프의 면과 평행한 소정의 각도로 설정되나 이 로딩완료상태, 즉 테이프(4)를 패스시킨 산태에서, 전술한 높이 조정장치(75) 및 흔들림 조정장치(82)에 이해 이 테이프 가이드(16)의 높이조정 및 흔들림 조정을 자유로, 또 극히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다음에 테이프(4)의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링(51)이 제8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이 링(51)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대(56)가 연결간(89)에 이하여 끌려 돌아온다. 그래서 이동대(56)는 가이드판(47)으로부터 가이드 블록(44)에 옮겨타서 로딩시의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도의 후진위치에 후진되며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언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링(51)의 상기 회동에 따라서 테이프 가이드(18)(19)도 로딩시의 역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제1도의 후진위체에 후진된다.
그래서 이때 연결간(89) 부분에 있어서는 핀(90)의 양돌기부(93)가 파이프(91)의 장곡(94)의 일단에 당겨 걸려져서 이 핀(90)에 의하여 파이프(91)가 강체적(剛體的)으로 인장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로딩시와는 역으로 이동대(56)의 후진에 수반하여 연결간(89)은 차츰 수평상으로 넘어져 간다. 또 테이프 가이드(18)(19)는 로딩시와는 역으로 입상안내체(33)에서 순차로 안내된 후, 가이드 압판(54)에 순차 밀려져서 각각 코일스프링(111)에 대항하여 거의 수평으로 넘어져서 테이프(4)의 하측을 순차 들어가 벗어나고, 그 가이드압판(54)의 및으로 순차 당겨들어간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16) 내지 (19)가 각각 제1도의 후진위치에 도달한 때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로딩이 완료되어 언로딩완료 검출레버(144)가 이동대(56)에서 작동되어 언로딩완료 검출스윗치(147)에 의하여 언로딩의 완료가 검출된다.
다음에 제29도 내지 제38도에 의하여 권취측 로딩장치(15)와 이것에 관련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29도 내지 제31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테이프 가이드(20)와 핀치롤로(21)와는 기판(5)위어 있어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대(157)위에 취부되고 있다. 이 이동대(157)는 각각 원호상으로 만곡된 대상판으로부터 되는 상하 한쌍의 슬라이드판(158)(159)으로 구성되며 하슬라이드판(158)는 예를들면 합성수지로서 성형되어 기판(5)위에 취부된 복수개의 접동 가이드(160)로 안내되며 그 장축방향, 즉 원호방향에 수평으로 접동되도록구성되어 있다. 또 상슬라이드판(159)는 하슬라이드판(158)의 상부에 서로 평행한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슬라이드판(159)는 하슬라이드판(158)위에 설피돈 2개의 가이드핀(161)(162)에 원호상을 이루는 한쌍의 장공(163)(164)을 거쳐서 결합되어 있어서 하슬라이드판(158)상에 원호방향, 즉 장축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하슬라이드판(158)위에 설치된 핀(165)과 상슬라이드판(159) 사이에 걸려 있는 인장코일스프링(166)에 의해서 상슬라이드판(159)은 하슬라이드판(158) 위에서 화살표 J 방향으로 접동의 힘이 주어지고 있으며 장공(163)(164)의 일단이 가이드핀(161)(162)에 접합되어 접동규제되어 있다. 또 핀(156) 및 코일스프링(166)은 상슬라이드판(159)에 설치된 원호상을 이루는 장공(167)내에 배치되고 있다. 그래서 상슬라이드판(159)의 내측의 측면에는 랙크(16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가이드(20)는 전기 테이프 가이드(16)와 동양의 회전롤러(170)로 구성되고 있어 하슬라이드판(158)의 후단 가까운 위치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지축(171)에 회전자재로 취부되어 있다. 또 이 테이프 가이드(20)에도 전기 높이조정장치(75)와 동양의 높이조정장치(17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핀치로러(21)는 거의 ㄷ자상을 이루는 핀치롤레레버(174)의 선단의 상하 사이에 수직상으로 취부된 지축(175)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잇으며 핀치롤러레버(174)는 하부슬라이드판(158)의 후단부위에 설치된 지점축(176)에 회전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핀치롤러레버(174)는 지점축(176)부분에 권장(券?)된 선상스프링(177)에 의하여 제30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이 가해져서 지축(175)의 하부가 하슬라이드판(158) 위에 설치된 스톱파용 동기부(178)에 접합되어 회동규제되어 있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20) 및 핀치롤러(21)가 제1도의 후진위치에 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상술라이드판(159)이 화살표 K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66)을 거쳐서 하슬라이드판(158)이 인장되어 이 하슬라이드판(158)이 복수 개의 가이드(160)에 안내되면서 기판(5)위를 수평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이 이동대(157)에 의하여 테이프 가이드(20) 및 핀치롤러(21)가 제1도의 전진위치에 후진된다. 또 이동대(157)가 화살표 J 방향으로 후진된ㄴ 때에는 상슬라이드판(159)의 양장공(163)(164)의 일단이 양가이드핀(161)(162)에 접합되어 하슬라이드판(158)이 강제적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32도 및 제33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이동대(157)의 한편이 가이드핀(161)의 상단에 원추형상부(18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동대(157)의 전진위치에 가이드핀(161)이 정지되는 위치에는 록크핀(181)이 설치도어 있다. 이 록크판(181)은 이동대(157)의 이동경로상을 넘어가서 기판(5) 위에 지지대(182)를 거쳐서 수평상으로 취부되어 잇다. 그래서 이 록크판(181)에는 사변부(18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한 테이프 가이드(20)를 제1도의전진위치에서 록크하는 록크기구(184)가 구성되어있어서 이동대(157)가 전술한 바와같이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하여와서 제1도의 전진위치에 달한 때 가이드핀(161)의 원추형상부(180)가 록크판(181)의 사변부(183)의 하면에 쐐기효과에 의하여 파고들어가서 이동대(157)가 고정된다. 단 이때 이동대(157)의 화살표 K 방향의 구동력은 상슬라이드판(159)으로부터 코일스프링(166)을 거텨서 하슬라이드판(158)에 전달되고 있으므로 가이드핀(161)은 코일스프링(166)의 인장반발력을 통하여 사변부(183)의 하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34도 내지 제38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핀치롤러(21)의 제1도에 보이는 전진위치에서 전 켓스텐(23)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전기핀치롤러 압착장치(37)가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5) 위에 상하 한쌍의 압착레버(186)(187)가 공통의 점축(188)을 거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들 양 압착레버(186)(187)의 선단축의 상하면에는 각각 롤러(189)(190)가 추착되어 있다. 또 이들 양 롤러(189)(190)는 핀치롤러레버(174)의 상하양편(174a)(174b)에 대향되며, 이들과 동일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양압착레버(186)(187)의 선단부간은 연결축(191)에 이해서 연결되며 또 그 연결축(191)에는 링(192)이 회전자재로 삽입되어있다. 그래서 이 링(192)과 다른 링(193)이 연결핀(194)에 의해 상대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그 타방의 링(193)의 타단은 리미터레버(195)의 중간부에 연결핀(196)을 거쳐서 상대회전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또 리미터레버(195)의 일단은 기판(5)위에 설치된 지지대(197)위에 지점축(198)을 거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있다. 그래서 그 리미터레버(195)의 타단과 전기록크판(181)상에 취부된 스프링힘 조정판(199)과의 사이에 걸쳐진 인장코일 스프링(200)에 의하여 리미터레버(195)가 제34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또 이 리미터레버(195)는 조정판(199)위에 일체로 설치된 스톱파용돌기부(201)에 맞데어 접해져서 회동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5) 위에는 플랜저 솔레노이드(이하 단순히 플랜저로 기재한다)(202)가 복수개의 지지대(203)를 통해서 취부되어 있어서 이 흡인간(204)에 연결핀(205)을 거쳐서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도록 연결된 연결간(206)이 연결핀(194)에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207)은 흡인간(204)의 후자의 압축코릴스프링이다.
그래서 이 핀치롤러압착장치(37)에 의하면 먼저 이동대(157)이 후진위치에 후진되어 있는 때에는 제36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하부의 롤러(190)가 상슬라이드판(159)의 락크(168)와는 반대측에 있는 외측의 측면에 밀어누르고 있어서 상하 양압착레버(186)(187)이 제36도에에서 시계방향으로 압압(押壓)된 상태로 되어 있다.다음에 이동대(157)가 전진위치에 전진되면 제37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하부의 롤러(190)가 상슬라이드판(159)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그래서 이것과 동시에 상하양록러(189)(190)가 핀치롤러레버(174)의 상하양편(174a)(174b)의 측면에 접촉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플랜저(202)가 여자(勵磁)되고, 흡인간(204)이 코일스프링(207)에 대항하여 흡인된다. 그러면 연결간(206)에 의해서 연결핀(194)이 제34도에서 화살표 L 방향으로 인장되어 양링(192)(193)이 각각 화살표 M 방향 및 N 방향으로 밀려져 상하양압칙레버(186)(187)와 리미테러버(195)가 각각 화살표 O 방향 P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결과 제34도 및 38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코일스프링(200)이 인장되어 그 인장반발력에 의해서 상하 양압착레버(186)(187)의 상하 양롤러(189)(190)에 의해서 핀치롤러레버(174)의 상하양편(174a)(174b)가 압압되어서, 핀치롤러레버(174)가 스프링(177)에 대항하여 화살표 Q 방향으로 회동되어 핀치롤러(21)가 캐ㅍ스탠(23)에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플랜저(202)의 여자가 절단되면 흡인간(204) 및 연결간(206)이 코일스프링(207)에 의하여 화살표 L방향의 역방향으로 후진되며 핀치롤러레버(174)가 스프링(177)에 의하여 화살표 Q 방향의 역방향으로 후진되어 핀치롤러(21)가 캡스탠(23)으로부터 이간된다. 그래서 그후 이동대(157)가 후진위치에 후진되는 것에 의하여 상부의 롤로(190)가 다시 상슬라이드판(159)의 측면에 밀어올려져서 상하양롤러(189)(190)가 핀치롤러레버(174)로부터 이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핀치롤러압착장치(37)에 의하면 한싸의 링(192)(193)과 연결간(206)과에 의하여 배력기구(倍力機構)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인간(204)의 흡인력이 비교적 약한 소형(소용량)의 플랜저(202)를 사용하면서 핀치롤러(21)를 캡스탠(23)에 강력이 앞착시킬 수가 있다. 또 상하양압착레버(186)(187)는 공통의 지점축(188)에 지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것은 실질적으로는 서로 분리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 상하양압착레버(188)에 지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것은 실질적으로는 서로 분리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 상하양압착레버(186)(187)에 각각 추착된 상하양 롤러(189)(190)에 의하여 핀치롤러레버(174)의 상하 양편(174a)(174b)을 각각 압압(押壓)하여 핀치롤러(21)의 상하 양단에 균일한 압압력을 주기쉬우며, 핀치롤러(21)를 캡스탠(23)에 완전히 평행한 상태에서 압착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된 권취측 로딩장치(15)에 의하면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시에 있어서는 이동대(157)의 상슬라이드판(159)이 화살표 K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상슬라이드판(159)에 의해 코일스프링(166)의 통하여 하슬라이드판(158)이 인장된 상태에서 이 이동대(157)가 기판(5)위를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그 이동대(157)에 의하여 테이프 가이드(20)와 핀치롤러(21)가 제1의 후진위치로부터 전진위치에 수평으로 이동되어 테이프(4)의 권취측(4b)의 로딩이 행하여진다. 그래서 테이프 가이드(20) 및 핀치롤러(21)과 제1도의 전진위치에 도달할때, 코일스프링(166)의 인장반발력에 의하여 가이드핀(161)의 원추형상부(180)이 록크판(181)의 사변부(183)의 하면에 압압되어서 그때의 쐐기효과에 의해 이동대(157)가 고정되며 테이프(4)의 권치측(4b)의 로딩이 완료된다.
또 상기 로딩완료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20)는 테이프 가이드(24a) CTL 헤드(29), 음성소거헤드(28), 그럼출력가이드(26)를 지나서 드럼(13)의 주면에 통과되는 테으프(4)의 권취측(4b)의 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 테이프 면과 평행한 소정의 각도로 설정된다. 그래서 이 로딩완료상태, 즉 테이프(4)를 통과시킨상태에서 전술한 높이조정장치(172)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20)의 높이조정을 자유로이 또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래서 상기 로딩완료에 의해 핀치롤러(21)가 캡스탠(23)의 일측부터 전진위치에 전진된다. 그래서 이후플랜저(202)가 여자되는 것에 의해 핀치롤러 압착장치(37)에 의해 핀치롤러(20)가 캡스탠(23)에 소정의 압착력을 가지고 또 완전평행한 상태에서 압착된다.
다음에 테이프(4)의 언로딩사에 있어서는 이동대(157)의 상슬라이드판(159)이 화살표 J 방향에 구동되며, 그 상슬라이드판(159)에 의해 하슬라이드판(158)이 강체적(剛體的)으로 밀려져서 이동대(157)가 기판(5)위를 수평으로 후진되며, 테이프 가이드(20) 및 핀치롤러(21)가 제1도의 후진위치에 후진되어서, 테이프(4)의 언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권취측 로딩장치(15)의 로딩완료후 및 언로딩완료의 검출은 공급측 로딩장치(14)의 로딩완료 검출스위치(147)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39도 및 제40도에 이해 양로딩장치(14)(15)를 공통으로 구동하는 전기구동장치(36)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5)위에 링(51)과 이동대(157) 사이에는 링(51)의 외주기어(53)와 마주 물리어져서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기어(211)와 상슬라이드판(159)의 락크(168)와 마주물리어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기어(212)가 각각회전자재로 축지(軸支)되어 있다. 또 구동기어(212)는 구동기어(211)에 감속기어(213)(214)(215)를 거쳐서 연동되고 있다. 또 상기 기어군으로부터 후방측의 위치에 기판(5) 위에는 정역(正逆)회전가능한 모터(216)가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그 모터(216)의 모터축(217)과 기판(5)위에 회전자재로 축지되어서 구동기어(211)에 마주 물려진 기어(218)가 풀리 및 벨트로된 벨트전동기구(219)와, 전동축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어로 되는 기어전동기구(220)를 거쳐서 연동되고 있다.
그래서 모터(216)가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벨트전동기구(219) 및 기어전동기구(220)을 거쳐서 기어(218)가 구동되고 그 기어(219)로서 일방의 구동기어(211)가 구동됨과 동시에 그 구동기어(211)에 연동하여 타방의 구동기어(212)가 감속되어서 구동된다. 그래서 모터(216)의 정회전구동에 의해서 양구동기어(211)(212)가 함께 제40도에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링(51)이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이동대(157)의 상슬라이드판(159)이 구동되어서 전술한 양로딩장치(14)(15)에 의한 테이프(4)의 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로딩완료가 전술한 로딩완료 검출스위치(137)에서 검출되면, 모터(216)가 정지된다. 단이때 일방의 구동기어(211)에 대한 타방의 구동기어(212)의 감속비가 예를들어 4 : 1에 설정되어 있어서, 링(51)은 이동대(157)의 이동속도의 4배의 속도로 이동된다. 그래서 공급측의 테이프 가이드(16)와 권취측의 테이프 가이드(20)는 각각 제1도의 전진위치에 동시에 도착되는 것으로 된다.
또 모터(216)의 역회전구동에 의하여 양구동기어(211)(212)가 함께 제40도에서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링(51)이 제8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도록함과 동시에 이동대(157)의 상슬라이드판(159)이 구동되어 그 이동대(157)가 제30도에서 화살표 J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전술한 양로딩장치(14)(15)에 의한 테이프 (4)의 언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언로딩 완료가 전술한 언로딩완료 검출스위치(147)에서 검출되면 모터(216)과 정지되는 것이지만 이때실제로는 제28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화살표 H 방향으로 후자되어 온 공급측의 이동대(56)가 실선으로 보인위치에서 돌기부(154)에 의해 검출레버(144)를 밀며 검출스위치(147)가 "온"상태로 절환된 후에도 모터(216)는 역회전을 계속한다. 그래서 이동대(56)가 화살표 M 방향으로 계속당겨서 이동되어 예를들어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도 달한후 모터(216)의 회전이 역회전상태로부터 정회전상태로 절환되며 이번은 이동대(56)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이동대(56)가 다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도달하여 돌기부(154)가 재차 검출레버(144)를 밀며 검출스위치(147)가 다시 "온"상태로 절환된때에 비로서 모터(216)가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때 이동대(56)가 가상선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 모터(216)의 회전을 역회전상태로부터 정회전상태로 절환하기 위한 검출스위치등은 쓰여지지않으며 언로딩완료에 의해 검출스위치(147)가 최초에 "온"상태로 전환된 때부터의 시간설정제어에 의해 모터(216)의 상기 회전상태의 절환이 행하여지도록 제어회로에서 모터(216)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동작에 의해 권취측의 이동대(157)가 일단 후진위치에 후진된 후 예를들어 3~4 미리정도의 아주 근소한 거리만큼 전진방향에 이동되어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테이프 로딩장치는 이상 기술한 공급측 로딩장치(14)와 권취측 로딩장치(15)와, 이들의 공통의 구동장치(36)로 구성되어 있을며, 양로딩장치(14)(15)는 어느것도 테이프(4)의 로딩개시, 로딩도중 로딩완료의 모든 시점에서 테이프(4)를 비트는 등으로 테이프(4)에 무리한 힘을 작용시키는 일이 전혀없는 상태에서테이프(4)를 제1도의 주행로에 극히 안전 그리고 매끄럽게 로딩 및 언로딩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36)는 양로딩장치(14)(15)를 공통으로 구동하여 1개의 모터(216)의 정회전구동 또는 역회전구동에 의해 양로딩장치(14)(15)를 서로 완전히 동기화하여 전진구동 또는 후진구동하는 것이므로 그 구동은 극히 간단하며 양로딩장치(14)(15)의 로딩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타이밍의 차이등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테이프(4)의 로딩완료 상태에서는 양로딩장치(14)(15)의 전테이프 가이드(16)(20)가 어떤 것도 효과적으로 위치가 결정되어서 고정되므로 테이프(4)의 주행상태는 극히 안정하며 고정도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공급측 로딩장치(14)의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는 언로딩 완료상태에서 기판(5)위에 가이드 압판(54)의 밑에 거의 수평상태로 넘어져 있으며 로딩시에 제1도에 가상선으로 보인바와같이 통과되고 있는 테이프(4)의 하측을 들어가 벗어나서 입상하며 2 테이프(4)를 당기어걸도록 동작하므로 카세트(1)의 장착상태에서 카세트(1)내의 테이프(4)의 하단가장자리와 기판(5)과의 사이에 양테이프 가이드(18)(19)가 상기와같이 들어갔다가 벗어날 수 있는 정도의 대단히 좁은 극간(極間)을 여는 것만으로 카세트(1)르 기판(5)위에 극히 근접시켜서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보인 카세트(1)의 저면(1b)과 기판(5)와의 사이의 극간 h1을 대단히 작게할 수가 있다.
또 이때 언로딩 완료상태에서 상기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를 가이드 압판(54)의 밑으로 끌어들여 놓으며 3개의 테이프 가이드(116)(17)(20)와 핀치롤러(21)와의 4개의 부재만이 장착되는 카세트(1)의 저면개구(10)에 상당하는 위치에 후진시켜 두도록 구성되었으므로 그 4개의 부재를 이들이 좁은 위치내에서 서로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위치에 여유를 가지고 후진시켜둘 수가 있다. 그래서 카세트(1)의 장착시에는 그 4개의 부재만을 저면개구(10)으로부터 카세트(1)내의 테이프(4)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그 삽입시에 테이프(4)가 이들 4개의 부재에 불의로 당기어 걸려지는 것과 같은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삽입을 항상 안전하고 또 매끄럽게 행할 수가 있다. 또 2개의 테이프 가이드(16)(17)가 상부에 설치된 이동개(56)와 링(51)를 연결간(89)로 연결하고 2개의 테이프 가이드 (18)(19)를 입상 가이드에 구성해서 링(51)을 기판(5) 위에수평으로 회전구동하는 것만으로 양테이프 가이드(16)(17)를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하며 또 이것과는 별도로 양테이프 가이드(18)(19)를 소정상태로 입상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링(51)은 단순히기판(5)위에 수평으로 회전하면 되며 그 링(51)의 구동이 극히 간단하다.
또 권취측 로딩장치(15)의 이동대(157)도 기판(5) 위에서 단지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이프로 그 이동대(157)의 구동도 극히 간단하다.
또 공급측 로딩장치(14)의 이동대(56)의 이동 경로를 임의로 또 자유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선행하는 테이프 가이드(16)는 전진위치에서 가장높은 위치에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권취측 로딩장치(15)의 이동대(157)의 전진, 후진스트록크는 대단히 작다. 따라서 제2도에서 보인 테이프 로딩장치의 높이 h4를 대단히 작게할 수가 있으며 또 제4도에 표시한 폭 W1도 대단히 작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41~제44도에 의해서 전기테이프 접동안내체(38)(39)를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 가이드 (24a)와 드럼출구 가이드(26)와의 한쌍의 고정가이드와 기판(5) 위에 설치된 지주(223)과의 상부간에 건너간 지지판(224)가 수평상으로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판(224)의 일단측의 상부에 헤드취부판(225)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조정자재하게 취부되어서 이 헤드취부판(225)의 하부에 헤드조정판(226)을 거쳐서 음성소거헤드(28)와 CTS 헤드(29)가 각각 높이 조정자재하게 그리고 방위간 조정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양테이프 접동안내체(38)(39)는 예를들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은 헤드취부판(225)의 상부와 지지판(224)의 타단측의 상부에 각각 취부되어 있다. 또 양테이프 접동 안내체(38)(39)는 이들의 하면에 각각 일체로 설치된 돌출부(227)(228)의 헤드취부판(225)과 지지판(224)에 각각 설치된 돌출부구멍(229)(230)에 각각 계합(係合)되어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각각 멈춤나사(231)(232)에 의해 나사 멈춤되어있다. 그래서 양테이프 접동 안내체(38)(39)의 카세트(1)축에 테이프(4)를 하방으로 미끄러떨어뜨리기 위한 사면(223)(234)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하사면(賀斜面)(223)(234)의 하단은 지지판(224)의 카세트(1)측의 끝가장자리(224a)와 면이 일치되고 또는 그것보다 카세트(1)측으로 더 나와있다. 또 양테이프접동안내체(38)(39)에는 이들을 취부한 대로의 상태에서 양헤드(28)(29) 및 드럼출구가이드(26)의 각종 조정이나 기타를 행하기 위한 드라이버등의 공구삽입용의 구멍(235)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공지된 바와같이 카세트(1)가 수평상으로 하강되어서 장착위치에 장착될때, 제43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기판(5)위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덮게 일으킴판(236)이 카세트(1)의 앞덮개(9)의 일단측의 하단가장자리(9a)가 결합되어 있어서 제4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카세트(1)의 하강에 수반하여 그 덮개일으킴판(236)으로서 앞덮개(9)가 상대적으로 밀려올려져서 이것이 개방된다. 따라서 카세트(1)의 장착도중에 있어서 앞덮개(9)가 개방되는 것으로 되며 만약 카세트(1)내의 테이프(4)가 제1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통과상 태로 이완되어 있다고 하면, 테이프(4)는 그것자신의 탄성에 의해 앞덮개(9)의 내면에 압압(押壓)되어 있어서 앞덮개(9)가 어느정도 개방된 순간에 그 테이프(4)가 카세트(1)의 전면개구(8)로부터 카세트(1)의 전방에 불의로 날라나가 버린다. 그래서 이와같이 카세트(1)의 장착도중에 있어서 테이프(4)의 비출(飛出)이 발생하면 그 비출한 테이프(4)는 양헤드(28)(29)의 취부분이나 드럼출구가이드(26)부분등에 불의로 당기어 걸려져서 앞덮개(9)는 눌러찌그러져서 치명적인 손상을 받게된다.
그러나 양테이프접동안내체(38)(39)는 이들의 사면(233)(234)에 의해서 상기와 같이 카세트(1)로부터 불의로 비출한 테이프(4)를 카세트(1)측으로 밀어돌려보내도록 하방으로 안전히 미끌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테이프(4)의 불의의 비출이 발생해도 이 테이프(4)가 양헤드(28)(29)의 취부부분이나 드럼출구가이드(26)부분등에 불의로 끌려걸려져서 손상을 받게 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며 카세트(1)의 장착을 항상극히 안전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종래 공지와 간치 앞덮개(9)의 내측에는 카세트본체(237)에 일체로 설치된 단면이 거의 L자상의 테이프풋샤(238)가 테이프(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카세트장착시에 양테이프접동안내체(38)(39)로서 안내된 카세트(1)측에 밀려돌아오는 테이프(4)는 테이프풋샤(138)에 당접(當接)되고 그 이상으로 카세트(1)측에 들어가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장착에 의해 테이프(4)는 제5도에 표시된 입상안내체(33)과 드럼출구 가이드(26)사이의 대단히 좁은 극간(239)에 안전히 또 원활히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양테이프접동안내체(38)(39)에서 테이프(4)를 안내시키면서 카세트(1)의 장착을 행할 수가 있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제2도에 표시한 카세트(1)의 전면(1a)과 드럼(13)사이의 극간 l2를 극히 작게구성하며 카세트(l)를 드럼(13)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위치에 장착시킬수가 있다.
다음에 제45~제47도에 의하여 전기 "인장력"검출장치(40)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 "이장력조절핀"(이하 간단히 인장력검출핀 이라고 기재한다)(30)은 인장력조절 레버(이하 간단히 인장검출레버라고 기재한다)(242)의 일단의 하면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인장력시 검출대버(242)는 가동대(243)위에 지점축(244)를 거쳐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가동대(234)는 기판(5)위에 지점축(345)를 거쳐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가동대(243)는 기판(5)와의 사이에 걸려진 인장코일스프링(246)에 의해서 제4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 가동대(243)의 일단측의 하면에 설치된 스톱파용돌기부(247)가 전기로딩완료 검출레버(132)의 단부(248)에 당접되어있으며 이로딩완료 검출레버(132)의 회동에 의해 가동대(143)가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인장력검출레버(242)는 가동대(243)과의 사이에 걸려진 인장코일스프링(249)에 의해 가동대(243)에 대하여 제4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주어져 있다. 또 그 인장력검출레버(242)의 일부에 설치된 핀(250)이 가동대(243)의 일부에 설치된 구멍(251)재에 유감(□嵌)되어 있어 인장력검출레버(242)는 가동대(243)위에서 일정각도내에서 회동자재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코일스프링(249)은 (246)보다도 충분히 약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인장력 검출레버(242)의 인장력검출핀(30)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마그네트(252)가 취부되어 이 마그네트(252)에 근접하여 자기저항센서(253)가 프린트 기판(254)을 거쳐서 가동대(243)의 일단측에 취부되어 있다. 또 가동대(243)의 타단측에는 자기저항센서(253)와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밸런사(255)가 취부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 보인 VTR에서는 전기 양릴대(6)(7)를 서로 독립하여 설치된 한쌍의 모터(도시하지않음)에 의하여 각각 다이렉트 드라이브(모터축과 릴대 회전축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것)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인장력검출 장치(40)는 기록 또는 재생시에 있어서 일정속도에서 주행되는 테이프(4)의 공급측(4a)의 테이프인장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그 테이프인장력의 변화에 따라서 공급릴대(6)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이로써 주행되는 테이프(4)의 백(back)인장력을 정(定)인장력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 인장력검출장치(40)의 동작상황을 설명하면 먼저 테이프(4)의 언로딩완료상태에서는 제46도의 상태로 되고 전술한 바와같이 로딩완료검출레버(132)의 롤러(135)가 링(51)의 외주면(136)위에 밀려올려져서 이 검출레버(1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다. 이 결과 그 검출레버(132)의 단부(248)에 의하여 가동대(243)의 돌기부(247)가 밀려지고 이 가동대(243)가 코이스프링(246)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가동대(243)상에 지지되어 있는 인장력검출 레버(242)가 비동작위치에 대기시켜진 상태로 되어있다.
그래서 이 대기상태에서는 인장력검출핀(30)이 테이프(4)의 로딩 경로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전술한 공급측 로딩장치(14)에 의한 테이프(4)의 로딩동작을 그 인장력검출핀(30)에 전혀 방해되는 일이 없이 극히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테이프(4)의 로딩완료상태에서는 제47도와 같이 변화한다. 즉 전술한 바와같이 로딩완료와 동시에로딩완료 검출레버(132)의 롤러(135)가 링(51)의 외주면(136)으로부터 노치(142)내로 떨어져 들어가서 이검출레버(132)가 코일스프링(134)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결과 그 검출레버(132)의 단부(248)의 이동에 따라 가동대(243)이 코일스프링(246)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그 가동대(243)위에 지지되고 있는 인장력 검출레버(242)가 제47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동작위치에 이동된다. 그래서 이동작위치에의 이동에 의해 인장력검출핀(30)이 테이프(4)의 공급측(4a)에 접촉된 동작상태, 즉 테이프(4)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테이프(4)가 일정속도에서 주행되며, 소망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질때 인장력검출핀(30)은 제47도에 가상선과 점선으로 표시한 범위내에 있어서 이동되어 테이프(4)의 공급측 (4a)의 테이프 인장력이 검출된다.
즉 테이프인장력이 약하게 되면 인장력검출레버(242)가 코일스프링(249)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인장력검출핀(30)이 가상선의 위치에 이동되고 역으로 테이프인장력이 강하게 되면 인장력검출레버(242)가 코일스프링(249)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인장력검출핀(30)이 점선의 위치에 이동된다.
그래서 그때의 인장력검출레버(242)의 회동에 의해 마그네트(252)가 자기저항센서(253)에 대하여 이동되며, 그 자기저항센서(253)에 의하여 인장력검출레버(242)의 회동량(回動量)즉 테이프인장력의 변화가 전기적으로 검출된다. 그래서 이 자기저항센서(253)의 출력에 기하여 공급릴때(6)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테이프(4)가 백 인장력이 정인장력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테이프(4)의 언로딩시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그 언로딩의 개시의 순간에 롤러(135)가 링(51)의 외주면(136)위에 밀어올려져서 로딩완료검출레버(132)가 제46도와 같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래서 이때 그의 로딩완료 검출레버(132)의 단부(248)에 의하여 가동대(143)의 돌기부(247)가 밀려져, 그 가동대(143)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인장력 검출레버(242)가 다시 비동작 위치에 대기된다.
또 이 인장력검출장치(40)에서는 인장력검출레버(242)에 취부되어마그네트(252)에 대향되어 배치된 자기저항센서(253)를 가동대(243)에 취부하고 인장력출레버(242)가 제46도의 비동작위치로부터 제47도의 동작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자기저항센서(253)를 마그네트(252)에 정확히 대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력검출레버(242)를 비동작위치와 동작위치와의 사이에서 크게 이동시키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인장력검출레버(242)에 의한 테이프인장력의 검출동작시에 있어서 마그네트(252)와 자기저항센서(253)와의 위치관계를 항상 정확히 유지할 수가 있으며 전술한 테이프(4)의 테이프 인장력검출동작을 고감도로 또 항상정확히 행할 수가 있다. 즉 자기저항센서(253)는 대단히 고감도센서이기 때문에 마그네트(252)와의 위치관계가 크게 벌어지는 것과 같은 일이 있으면 마그네트(152)의 이동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없게되나, 이 인장력검출장치(40)에 의하면 이와같은 불리한점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48도~제50도에 의하여 전기카세트 홀더 록크장치(41)을 설명한다.
먼저 종래 공지와 같이 카세트(1)는 카세트홀더(258)내에 삽입되며 그 카세트를홀더(258)에 의하여 기판(5)위의 양릴대(6)(7)부분, 즉 카세트장착위치에 상방으로 부터 수평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카세트홀더(158)의 일측부로 부터 하방에 거의 후크형상을 한 피(被)로크편(159)이 밑으로 내려뜨려지며, 그 피록크편(259)의 기판(5)에 설치된 개구(26)를 삽입통과시켜 하방으로 삽입된다. 한편 기판(5)는 일측부에 상기 삽입된 피록크편(259)을 록크하는 록크레버(261)가 지점축(262)을 거쳐서 자동자재하게 지지되어있다. 또 록크레버(261)의 상단에는 록크용의 롤러(263)가 추착(樞着)되어 있어서 이 롤러(263)가 피록크편(269)의 요부(264)에 계합(係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판(5)위 일측부에는 슬라이드판(265)이 전후방향으로 습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265)는 지점축(262)에 계합된 장공(266)과 기판(5)에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편(267)이 계합된 장공(268)과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록크레버(261)이 기판(5)와의 사이에 걸려서 인장코일스프링(269)에 이하여 제49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주어졌으며 롤러(263)의 추지축(樞支軸)(270)의 일단이 슬라이드판(265)의 일단에 일체로설치된 돌기부(271)에 당접(當接)되어서 상기반시계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265)은 가이드편(267)에 장공(268)의 일단이 당접(當接)되는 곳으로 제49도에서 좌방향에의 접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기판(5)위에는 슬라이드간(272)이 접동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슬라이드간(272)의 일단(272a)은 전기 이동대(157)의 후진위치에 연출(延出)되어 그 이동대(157)의하슬라이드판(158)의 일단(273)에서 압압(押壓)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슬라이드간(272)의 타단(272b)이 기판(5)의 하면에 지점축(274)를 거쳐서 회동자재하게 추지(樞支)된 변환링(275a)에 연결핀(276)을 거쳐서 연결되고 또 변환링(275)의 타단(275b)은 슬라이드판(265)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한쌍의 돌기부(278)사이에 삽입되어있다.
다음에 이 카세트홀더록크장치(41)의 동작상황을 설명하면 먼저 카세트홀더(258)의 비장착시(카세트홀더가 카세트 장착위치의 상방으로 후진되어있을때)에 있어서는 록크레버(261)는 제50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카세트 장착위치에의 카세트홀더(258)의 장착이 되면 피(被)록크편(259)의 사면(259)이 롤러(263)에 접촉하고 록크레버(261)을 코일스프링(269)에 대항하여 재50도에서 화살표 T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피(被)록크편(159)이 하방으로 삽입된다. 그래서 카세트홀더(258)가 카세트 장착위치에의 장착된때에는 록크레버(261)가 코일스프링(269)에서 제50도에서 화살표 U방향으로 후진되어서 롤러(263)가 피 록크편(259)의 요부(264)에 제49도와 같이 계합되어서, 카세트홀더(258)이 록크된다.
또 상기 카세트홀더(258)의 카세트 장착위치에의 장착에 의해 기판(5)에 설치된 카세트 장착검출스위치(도시하지않음)가 "온"상태로 절환되며 이것에 근거하여 전술한 테이프(4)의 로딩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록 또는 재생후에 이젝트보턴이 눌려지면 전술한 테이프(4)의 언로딩이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언로딩에 의한 이동대(157)가 제48도에서 화살표 J방향으로 후진하는 것으로 되나 그 언로딩 완료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같이 이동대(157)가 일단 가상선으로 표시한 후진위치(P1)에 도달한후, 이번은 화살표 K 방향으로 전진되어서 그 후진위치(P1)로부터 예하면 3 4미리정도 전진방향으로 진행한 실선의 정지위치(P2)에서 정지된다.
그러나 이때 제48도에 보인바와같이 화살표 J 방향으로 후진되어온 이동대(157)가 후진위치(P1)에 도달하기 직전에 그 하슬라이드판(158)의 일단(173)이 슬라이드간(272)의 일단(272a)에 당접하여 이것을 민다. 이결과 슬라이드간(272)이 화살표 V 방향으로 눌려지고 변환링(275)가 화살표 W 방향으로 회동되고 슬라이드판(265)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러면 그 돌기부(271)가 추지축(270)을 화살표 X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록크레버(261)가 코일스프링(269)에 대항하여 제50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동되고 롤러(263)가 피록크편(259)의 요부(264)부터 벗어나며 그 순간에 카세트홀더(258)의 록크가 해제된다. 또 종래 공지와 같이 카세트 홀더(258)는 그 "록"해제에 의해 후진용 스프링등의 작동에의해 상방으로 후진되어 카세트(1)의 이젝트가 행하여진다.
그래서 그후 일단 후진위치(P1)에 달한 이동대(157)가 정지위치(P2)에 전진되면 록크레버(261)이 코일스프링(269)에 의해서 화살표 U방향으로 후진되며 이 록크레버(261)가 다시 제50도에 가상선으로 보인 위치에 후진되며 다음회의 카세트홀더(258)의 장착에 대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카세트 홀더록크장치(41)에 의하면 테이프(4)의 언로딩완료에 의해 후진되는 이동대(157)에 의하여 록크레버(261)를 제50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록크해제위치에 시동시켜서 카세트 홀더(258)의 록크를 해제시킨 후, 이동대(157)를 소정의 거리(l10)만큼 전진방향으로 돌려보내는 것에 의하여 록크레버(261)를 제50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후진시켜서 다음회로 카세트홀더(258)의 장착에 대비하도록 귀성하고 있으므로 그 록크레버(261)와 이동대(157)를 기계적으로 단순히 연동(連動)시키는 것 만으로 좋으며 그위에 그의 연동기구는 대단히 간단한 것으로 족한점등, 그의 카세트홀더록크장치(41)의 구조가 대단히 간단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51~제53도에 의하여 전기드럼(13)위에 취부된 테이프밀음장치(282)를 설명한다.
먼저 종래 공지와 같이 드럼(13)은 하고정(下固定)드럼(283)과 상고정드럼(284)와, 이들의 중간에 배치된 회전드럼(285)으로 구성되며 회전드럼(285)의 주면에 자기헤드로부터 되는 회전헤드(286)가 취부되어 있다.
한편 드럼(13)의 주면에 나선형으로 권부(卷付)되어 주행되는 테이프(4)는 그의 하단가장자리(287)을 하고정드럼(283)의 주면에 일체로 설치된 테이프리드(단부)(288)에 의하여 유도되어 주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 테이프 밀음장치(282)는 상기 테이프(4)의 주행중에 그의 테이프(4)의 하단가장자리(287)이 테이프리드(288)로부터 부상되지 않도록 그 테이프(4)의 상단가장자리(289)를 탄성적으로 가볍게 미는 것이다.
그래서 이테이프밀음장치(282)에는 예를들어 합성수지로서 형성된 한쌍의 테이프밀음판(290a)(290b)가 쓰여지며 이들양테이프밀음판(190a)(190b)은 상고정드럼(284)의 상부에 고착된 홀더(291)의 한쌍의 슬릿(292a)(292b)내에 유지되고 각각 홀더(291)에 설치된 지점부(293)에 각각 하연부에 설치된 요부(294)에 의하여 계합된 제53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양테이프밀음판(290a)(290b)의 중간부에서 홀더(291)에 고착된 핀(295)에 1개의 선상스프링(296)이 권회(卷回)되어 장착되며, 그의 스프링(196)의 양단부(296a)(296b)가 양테이프압판(290a)(290b)의 상연부에 각각 설치된 요부(297)에 계합되고 이들 양단부(296a)(296b)에서 양테이프 압판(290a)(290b)가 제5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테이프밀음장치(282)에 의하면 1개의 스프링(296)으로서 한쌍의 테이프밀음판(290a)(290b)을 동시에 압압하도록 힘이 가해지며 그 한쌍의 테이프밀음판(290a)(290b)으로 테이프(4)의 상단가장자리(289)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테이프밀음동작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이외에 구조가 대단히 간단한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같이 테이프(4)의 로딩시에 있어서 전기 2개의 테이프 가이드(18)(19)가 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4)의 내측에서 순차 입상하여 그 테이프(4)를 순차당기어 걸어서 테이프 카세트(1)밖으로 인출된후 이들이 소정위치에 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이들 테이프 가이드(18)(19)의 입상각도를 규제하는 방법을 제54도 제5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한편의 테이프 가이드(18)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 가이드(18)의 이동경로옆에 따라서 거의 원호상을 이룬 가이드판(300)이 제54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차차로 높게되도록경사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300)의 원호상을 이룬 주면(周面)(301)의 소정위치에는 원호상을 이룬 노치(30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가이드(18)의 추지부측의 일측부에는 피가이드핀(303)이 거의 직각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링(51)의 회동에 의해 먼저 테이프(4)의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18)의 제54도에서 화살표 방향에서 후진에 의해 소정위치에 피가이드핀(303)이 가이드판(300)의 노치(302)로부터 그 가이드판(300)의 밑에 끌려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 가이드(18)가 제54도 및 제56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바와같이 차차 넘어져간다.
한편 테이프(4)의 로딩시에는 테이프 가이드(18)가 카세트(1)내로부터 인출되어 제54도에서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판(300)의 경사에 수반하여 전술한 코일스프링(111)의 작동에 의하여 차차로 일어서 간다. 그래서 제54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테이프 가이드(18)가 소정위치까지 이동되어 피가이드핀(303)가 가이드판(300)의 밑으로부터 노치(302)내로 빠져 나온순간에 그테이프 가이드(18)는 제6도에 가상선으로 보인바와같이 소정의 각도까지 입상하며, 이후 그의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가이드판(300)을 설치할 만큼의 대단한 구조로서 테이프 가이드(18)가 카세트(1)밖으로 인출된후 소정의 위치에 달할때까지의 사이에 그 테이프 가이드(18)의 입상각도를 확실히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술한 입상안내체(33)과의 병용에 의해 보다 한층 안전하고 또 매끄럽게 테이프로딩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했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보여진 구성에 한정되는 일이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하여 각종의 유효한 구성에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테이프 가이드로서 테이프 카세트으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회전헤드드럼의 주면에 나선형으로 로딩하도록 구성되어지는 테이프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예를들어 실시예에서 보인 테이프 가이드(16)]를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예하면 실시예에서 보인테이프카세트의 저면(1b)]에 대하여 경사된 이동경로를 따라서 안내시켜서 이동시키기 위한가이드부재 예하면 실시예에서 보인 가이드블록(44)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예하면 실시예에서 보인 링(51)]와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예하면 실시예에서 보인 연결간(89)]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재를 거쳐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로딩장치이다.
즉 본 발명은 테이프 가이드부재로서 안내시켜서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된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한편,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부재는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시키도록하며 또 그 구동부재와 태이프 가이드와를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시켜서 테이프 가이드를 구동부재의 이동경로로부터 완전히 절리(切離)하여 소정의 이동경로에 따라서 자유로 안내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그 테이프 가이드의 이동경로가 제약을 받는일이 적으며 그 테이프 가이드의 이동경로를 임의로 또 자유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그 테이프 가이드를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테이프를 비트는 등으로 테이프에 무리한 힘을 작용시키는 일이 전혀없는 상태에서 테이프를 극히 안전하게 또 원활하게 로딩할 수가 있다.
그래서 태이프 가이드의 이동경로를 임의로 또 자유로 설정할 수가 있는 것으로부터 장치전체의 소형화및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것으로써 테이프 가이드의 안내에는 실시예에서 보인 가이드블럭등과 같이 극히 간단한 구조의 가이드부재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구동부재는 단순히 수평등으로 구동하면 되므로 그 구동도 대단히 간단한 것등 테이프 가이드의 유도(안내)를 위한 구조 및 그 무동구조가 대단히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Claims (2)

  1.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해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회전헤드드럼의 주면에 나선형으로 로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를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된 이동경로를 따라서 안내시켜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재를 거쳐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장치.
  2. 상기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헤드드럼을 상이에 두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된 제2의 테이프 가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제2의 테이프가이드를 구동하는 제2의 구동부재를 한개의 모터로서 공동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테이프 로딩장치.
KR1019810004434A 1980-11-17 1981-11-17 테이프 로딩장치 KR880000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802 1980-11-17
JP55161802A JPS5786161A (en) 1980-11-17 1980-11-17 Tape loading device
JP55-161802 198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298A KR830008298A (ko) 1983-11-18
KR880000325B1 true KR880000325B1 (ko) 1988-03-19

Family

ID=1574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434A KR880000325B1 (ko) 1980-11-17 1981-11-17 테이프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491886A (ko)
JP (1) JPS5786161A (ko)
KR (1) KR880000325B1 (ko)
AU (1) AU543170B2 (ko)
BE (1) BE891147A (ko)
BR (1) BR8107419A (ko)
CH (1) CH656016A5 (ko)
DE (1) DE3145656C2 (ko)
FR (1) FR2494481B1 (ko)
GB (1) GB2087629B (ko)
IT (1) IT1194114B (ko)
NL (1) NL193178C (ko)
SE (1) SE452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2651A (en) * 1981-06-24 1982-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665450A (en) * 1982-10-29 1987-05-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Helical scan type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52948A (en) * 1983-04-08 1987-03-2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593330A (en) * 1983-04-26 1986-06-03 Rca Corporation Tape threading arrangement for 360 degree wrap tape recorder
JPS59213057A (ja) * 1983-05-16 1984-12-01 Sony Corp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S59218657A (ja) * 1983-05-26 1984-12-08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59218655A (ja) * 1983-05-26 1984-12-08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US4658310A (en) * 1983-05-26 1987-04-14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moving a pinch roller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9218656A (ja) * 1983-05-26 1984-12-08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59218661A (ja) * 1983-05-27 1984-12-08 Canon Inc テ−プ引き出し手段の位置決め装置
JPS59194155U (ja) * 1983-06-09 1984-12-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テ−プロ−デイング装置
AT379910B (de) * 1984-04-25 1986-03-10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US4697214A (en) * 1984-12-18 1987-09-29 Casio Computer Co., Ltd. Tape loading device
DE3579449D1 (de) * 1985-04-17 1990-10-04 Sanyo Electric Co Bandlademechanismus.
JPS6260157A (ja) * 1985-09-10 1987-03-16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ロ−デイング機構
JPS62102460A (ja) * 1985-10-29 1987-05-12 Clarion Co Ltd テ−ププレ−ヤのテ−プパス系統
JPH087902B2 (ja) * 1985-11-13 1996-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機構
JP2805617B2 (ja) * 1987-07-15 1998-09-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スタビライザー取付構造
KR920007723B1 (ko) * 1987-10-21 1992-09-1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기록재생장치
JPH0668865B2 (ja) * 1988-02-17 1994-08-31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US5293550A (en) * 1989-02-10 1994-03-08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850347B2 (ja) * 1989-02-10 1999-01-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2210658A (ja) * 1989-02-10 1990-08-22 Sony Corp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034833A (en) * 1989-11-09 1991-07-23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data cartridge about two pivot axes into cartridge drive
EP0498447B1 (en) * 1991-02-08 1997-07-09 Canon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device
JPH05205366A (ja) * 1992-10-30 1993-08-13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US6246551B1 (en) 1998-10-20 2001-06-12 Ecrix Corporation Overscan helical scan head for non-tracking tape subsystems reading at up to 1X speed and methods for simulation of same
US6307701B1 (en) 1998-10-20 2001-10-23 Ecrix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gnetic tape drive
US6381706B1 (en) 1998-10-20 2002-04-30 Ecrix Corporation Fine granularity rewri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7B1 (en) 1998-10-20 2002-04-02 Ecrix Multi-level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for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US6421805B1 (en) 1998-11-16 2002-07-16 Exabyte Corporation Rogue packet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8B1 (en) 1998-11-16 2002-04-02 Mcauliffe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ly rejecting previously recorded track residue from magnetic media
US6308298B1 (en) 1998-11-16 2001-10-23 Ecrix Corporation Method of reacquiring clock synchronization on a non-tracking helical scan tape device
US6603618B1 (en) 1998-11-16 2003-08-05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tape position using control data packets
US6364234B1 (en) 2000-03-10 2002-04-02 Michael Donald Langiano Tape loop/slack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drive
US6624960B1 (en) 2000-03-10 2003-09-23 Exabyte Corporation Current sensing drum/cleaning wheel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storage system
JP3922149B2 (ja) * 2002-09-26 2007-05-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テープ記録装置
GB2413683A (en) 2004-04-30 2005-11-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guide system
KR102580589B1 (ko) * 2020-12-28 2023-09-20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력반도체 모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력반도체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9794C (nl) * 1972-02-04 1982-08-16 Nippon Electric Co Beeldbandopneem- en/of weergeeftoestel met middelen voor het invoeren van de magneetband vanuit een cassette.
JPS529127B2 (ko) * 1972-06-01 1977-03-14
JPS5081108A (ko) * 1973-11-17 1975-07-01
JPS5089010A (ko) * 1973-12-08 1975-07-17
JPS5143905A (ja) * 1974-10-12 1976-04-15 Tokyo Shibaura Electric Co Jikikirokusaiseisochino jikiteepusotensochi
JPS52134410A (en) * 1976-05-04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head tape magnetic record/reproduce device
AT356402B (de) * 1978-05-05 1980-04-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AT356403B (de) * 1978-05-05 1980-04-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55108957A (en) * 1979-02-07 1980-08-21 F T Giken Kk Video tape recorder
JPS55160362A (en) * 1979-05-31 1980-12-13 Sony Corp Tape loader
AU536904B2 (en) * 1979-06-06 1984-05-31 Sony Corporation Magnetic tape loa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45656C2 (de) 1993-12-09
US4491886A (en) 1985-01-01
JPS6331867B2 (ko) 1988-06-27
IT1194114B (it) 1988-09-14
NL193178B (nl) 1998-09-01
NL8105142A (nl) 1982-06-16
BE891147A (nl) 1982-05-17
BR8107419A (pt) 1982-08-10
AU7749281A (en) 1982-05-27
GB2087629A (en) 1982-05-26
JPS5786161A (en) 1982-05-29
AU543170B2 (en) 1985-04-04
GB2087629B (en) 1985-01-23
NL193178C (nl) 1999-01-05
SE8106804L (sv) 1982-05-18
CH656016A5 (de) 1986-05-30
KR830008298A (ko) 1983-11-18
FR2494481A1 (fr) 1982-05-21
DE3145656A1 (de) 1982-07-01
FR2494481B1 (fr) 1988-07-15
IT8125124A0 (it) 1981-11-16
SE452518B (sv)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325B1 (ko) 테이프 로딩장치
KR850001453B1 (ko)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EP0127447B1 (en) Magnetic tape loading devices
EP0240008A2 (en) Tape loading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86655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selective loading of different sized magnetic tapes
EP1098307A2 (en) Threading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99103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ape-end
JPS58218065A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KR940006386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장치
US4697214A (en) Tape loading device
GB2096817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331868B2 (ko)
JPS6244340B2 (ko)
WO1993021631A1 (en) Subminia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S6331869B2 (ko)
JPS6364819B2 (ko)
KR86000091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790001344Y1 (ko) 기록 재생장치의 스틸조정장치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S61296557A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5918776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126151B2 (ko)
JPS6327301Y2 (ko)
JPS60231949A (ja) リ−ル台バツクテンシヨン付与装置
KR870000442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