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23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23B1
KR920007723B1 KR1019880013516A KR880013516A KR920007723B1 KR 920007723 B1 KR920007723 B1 KR 920007723B1 KR 1019880013516 A KR1019880013516 A KR 1019880013516A KR 880013516 A KR880013516 A KR 880013516A KR 920007723 B1 KR920007723 B1 KR 92000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m
tape
arm
c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260A (ko
Inventor
기요시 가노
노부유끼 가꾸
다쯔야 시게무라
요시유끼 다나까
요시히로 후까가와
마사끼 우에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비디오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가미무라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63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073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63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5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975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063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비디오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가미무라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0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a, 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테이프 로딩 및 언로딩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출구측의 가이드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입구측의 가이드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캠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안내부재 및 그 일부분을 절단한 각각의 사시도.
제8a, b도는 각각 안내부재의 직선부 및 굴곡부에 있어서 가이드 베이스와 안내부재의 종단면도.
제9a, b도는 캠부재의 상면 및 뒷면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제10a, b, c도는 언로딩 상태에서 로딩 상태에 이르기까지 핀치 롤러 압착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11a, b, c도는 언로딩 상태에서 로딩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캠부재의 하단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캠부재의 제9도 b의 A-A'선의 단면도.
제12도는 암 및 캠부재의 단면도.
제13도는 캠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4a, b도는 캠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캐처의 사시도.
제16도는 2개의 구동부재 및 캠부재의 회전운동 위상을 도시한 모델.
제17a, b도는 경사핀의 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18도는 로딩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9도 및 제20도는 구동부재 및 캠부재의 다른 2가지 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테이프 안내드럼
3 : 카세트 6 : 테이프
17, 19 : 가이드 롤러 26, 27 : 가이드 베이스
31 : 출구측 구동부재 33 : 입구측 구동부재
34 : 캠 74 : 안내핀
55, 60, 90, 91 : 암
본 발명은 기록재생장치의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소형화, 경량화 및 간소화에 가장 적합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에는 다음의 (ⅰ), (ⅱ), (ⅲ)과 같은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ⅰ) 캠기구는 동작의 방향, 동작량의 변환기구로써, 각종 다양한 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소위 모드전환에 있어서, (1) 빨리 보내기, 되돌려 감기, (2) 정지, (3) 기록, 재생, (4) 역회전 재생 등의 여러개의 모드에 대응하도록 (a) 브레이크의 걸고 풀기, (b) 핀치롤러의 붙이고 떼기 (c) 텐션 콘트롤 암의 조작 등의 조작대상을 소정의 형태로 전환하기 위해 각종 다양한 캠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 1예로써 캠부재에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안내부를 마련한 슬라이더 형상의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8-60450호에 기재되어 있다. 링형 캠부재를 사용한 모드 전환기구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1-242364호, 미국특허 No. 4748521호 및 유럽특허공보 No. 0198512호에 기재되어 있다.
(ⅱ) 기록재생장치,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된 자기테이프(이하 테이프라 한다)를 회전드럼에 소정의 각도로 감기도록 회전드럼의 주위를 이동하는 1쌍의 테이프 가이드를 구동, 안내하는 소위 테이프 로딩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 기구의 1예로써,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화 58-218066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의 주위를 회전운동하고, 1쌍의 테이프 가이드(이하, 제1, 제2의 가이드라 한다)를 각각 구동하는 2개의 이동 링(이하, 제1, 제2의 링이라 한다)과 그 제1과 제2의 링을 구동하는 구동링의 3개를 상하로 겹쳐서 동심형상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배치시킨 것이 있다. 또 이 기구와 유사하고 링 대신에 원호형 슬라이더로 구성한 기구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로딩기구에 있어서, 회전운동하는 링 또는 원호형슬라이더를 각각 유지하고 위치 결정하는 방법으로써는 링 또는 원호형 슬라이더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림하는 기어 또는 롤러에 의해서, 그 바깥둘레 또는 안둘레를 각각 받고 있었다.
(ⅲ) 기록재생장치,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는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된 테이프를 소정의 안내경로에 따라서 이동하는 테이프 가이드에 의해 인출하고,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테이프 로딩기구가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를 소정의 안내경로에 따라서 안내하는 방법으로써,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7-133558호에 기재된 기구와 같이 T자형의 레일(안내부재)과 이 레일과 걸어맞추는 C자형의 지지부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테이프 가이드는 샤시 위에 배치된 테이프 가이드군(예를 들면 고정 헤드, 높이 규제 가이드, 회전드럼 등)과의 간섭을 피해 직전, 회전운동, 경사이동등의 복잡한 경로에 따라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장치는 이 복잡한 이동경로에 대처하는데 레일과 테이프 가이드의 걸어맞춤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취하여 이 클리어런스에서 생기는 흔들림을 스프링을 사용해서 흡수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 (ⅰ), (ⅱ), (ⅲ)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Ⅰ) 상기 (ⅰ)의 램기구에 있어서 여러개의 기구소자의 동작패턴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 개별의 캠을 증설해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대한 대책방법으로써,
(ㄱ) 캠부재를 긴쪽방향으로 연장하여 직렬로 캠을 접속해 간다.
(ㄴ) 캠부재를 폭방향으로 확대하여 그 양측에 캠을 설치하거나 폭방향으로 여러개의 캠 패턴을 병렬로 설치한다.
(ㄷ) 캠부재를 두께방향으로 두껍게 하여 그 두께방향으로 다층화해서 여러개의 컴패턴을 설치한다. 상기의 3가지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어느 경우라도 캠부재가 대형화되므로 캠기구, 더 나아가서는 탐재장치 전체가 대형화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Ⅱ) 상기 (ⅱ)의 종래 기술은, 특히 원호형 슬라이더를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원호형 슬라이드의 흔들림, 기어의 맞물림이라는 점에 대해서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즉, 예를 들면 바깥둘레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 슬라이더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원호형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항상 원호형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제1의 기어, 원호형 슬라이더의 바깥둘레를 지지하는 제2의 기어 및 이들 2개의 기어 중간에 배치되어서 원호형 슬라이더의 안둘레를 받는 롤러의 3개의 부재가 최소한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넓은 각도에 걸쳐서 회전운동하는 경우 원호형 슬라이더와 기어가 맞물리지 않는 상태도 존재하여, 이 상태에서 원호형 슬라이더와 기어를 맞물리고자 하면 원호형 슬라이더의 휘어짐이나 원호형 슬라이더의 기어와 바깥둘레를 지지하는 기어와의 흔들림, 백러시에 의해서 회전운동하고 있는 원호형 슬라이더의 휘어짐이나 원호형 슬라이더의 기어와 바깥둘레를 지지하는 기어와의 흔들림, 백러시에 의해서 회전운동하고 있는 슬라이더의 동작이 정지하고 만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3개 이상의 다수의 기어나 롤러를 배치시키고, 또한 기어의 뒤틀림을 해소하는 특별한 기구 또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부품배치 공간의 증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Ⅲ) 상기 (ⅲ)의 종래 기술은 레일과 테이프 가이드의 클리어런스를 흡수하는 스프링을 필요로 하므로 테이프 가이드가 형상, 더 나아가서는 기구전체의 소형화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도 초래하고 있었다. 또 단지 스프링에 있어서 테이프 가이드를 레일에 맞닿게 해서 유지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테이프 가이드의 로딩 중의 자세유지가 곤란하여 테이프 손상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Ⅰ), (Ⅱ), (Ⅲ)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1) 소형이며, 또한 동작 패턴이 여러 가지의 기구소자에 대응 가능한 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2) 동심형상으로 겹친 여러개의 원호형 슬라이더를 적은 부품수, 부품 배치공간에 있어서 기어의 뒤틀림이 없이 안정하게 회전운동하는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3) 레일과 테이프 가이드의 걸어맞춤에 스프링을 사용하는 일 없이 테이프 가이드가 항상 안정되게 레일을 끼워두는 테이프 가이드를 갖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소형, 경량의 간단한 구조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중의 (1)항은 그 바깥둘레에 형성된 제1의 캠부와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 형성된 제2의 캠부를 포함하는 캠부재, 이 제1의 캠부에 접촉하게 되고, 또한 이 제1의 캠부의 형상에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 제1의 소자 및 이 제2의 캠부에 접촉하게 되고, 또한 이 제2의 캠부의 형상에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 제2의 소자로 되는 캠기구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캠부재의 안내부 내에 캠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지금까지 무효공간이었던 안내부 주위의 캠부재의 두께를 캠 단자량으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캠부재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캠패턴을 증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면 이 안내부는 이 캠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이 캠부재에 형성된 홈이고, 이 제2의 캠부는 이 홈의 벽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중의 (2)항은 샤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드럼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슬라이딩부재, 이 제2의 슬라이딩부재의 한쪽 끝에 마련된 테이프 가이드수단, 이 샤시 위에 마련되고 이 제1의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에 걸어맞춰서 제1의 슬라이딩부재를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안내하는 제1의 안내부재 및 제1의 슬라이딩부재 위에 마련되고 이 제2의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에 걸어맞춰서 제2의 안내부재로 되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1의 슬라이딩부재는 샤시 위에 마련된 제1의 안내부재에 의해서 유지되고, 제2의 슬라이딩부재는 제1의 슬라이딩부재 위에 마련된 제2의 안내부재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 기구가 제1과 제2의 슬라이딩부재간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위를 감소시키고, 이 변위의 감소는 기어와 기어의 양호한 맞물림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중의 (3)항은 회전드럼 주위에 마련되고 곡률이 다른 여러개의 굴곡부를 갖는 안내부재와 이 안내부재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지지부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 수단으로 되고, 이 지지부의 안내부재와의 접촉면에 그 단면이 원호형인 여러개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안내부재가 직선이거나 원호형으로 구부러졌거나 안내부재와 이들 원호형 돌기는 거의 일정한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항상 유지하면서 걸어맞춤 또는 접촉한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 또는 접촉은 테이프 가이드 수단이 안내부재에 의해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안내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기구 및 테이프 로딩기구를 사용한 비디오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평면도로써, (1)은 샤시, (2)는 자기헤드를 탑재하는 안내드럼, (3)은 공급릴(4) 및 감기릴(5)에 감겨지는 테이프(6)을 내장한 카세트, (7)은 하단에 모터(9)가 직결되는 캡스턴, (8)은 핀치롤러, (10)은 테이프 (6)의 전체폭에 걸쳐 소거를 행하는 소거 헤드, (11)은 테이프 (6)의 상하단에 오디오신호 및 콘트롤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오디오 헤드 및 콘트롤 헤드이다. 카세트(3)이 장치에 장착되면 카세트(3) 앞면의 뚜껑(12)가 열린다. 또 열린구멍부(13)내에는 텐션핀(16), 가이드 롤러(17) 및 경사핀(18)이 삽입되고, 열린구멍부(14)내에는 가이드 롤러(19) 및 경사핀(20)이 삽입되고, 열린구멍부(15)내에는 경사핀(21) 및 캡스턴(7)이 각각 판선 및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삽입된다. 또 이때 핀치롤러(8)도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다. 로딩 동작을 행하면 각 가이드는 테이프(6)을 인출하면서 이동한다. 가이드 롤러(17) 및 경사핀(18)은 1쌍으로 되어 수평으로 이동하여 테이프 안내드럼(2) 근방에서 위치 결정된다. 가이드 롤러(19) 및 경사핀(20)은 1쌍으로 되어서 오디오 헤드 및 콘트롤 헤드(11) 근방까지는 수평으로, 그 후는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이동하여 테이프 안내드럼(2) 근방에서 위치 결정되어 테이프 안내드럼(2)에 테이프(6)을 대략 270°로 감는다. 경사핀(21)은 경사핀(20)의 뒤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오디오 헤드 및 콘트롤 헤드(11)의 상류측에 고정되고, 테이프(6)의 자세를 보정하여 감기릴(5)로 인도한다. 이 결과, 테이프(6)은 카세트(3)에서 인출되어 턴션핀(16), 임피던스 롤러(22), 소거 헤드(10), 가이드 롤러(17), 경사핀(18)을 거쳐 테이프 안내드럼(2)에 소정의 각도만큼 나선형으로 감기고, 가이드 롤러(19), 경사판(20), 경사판(21), 고정 가이드(23), 오디오 헤드 및 콘트롤 헤드(11), 높이 규제 가이드(24), 고정 가이드(25)를 거쳐 캡스턴(7) 및 핀치 롤러(8)에 의해 눌려 접해서 구동되어 감기릴(5)에 도달한다.
제2도 a는 로딩 완료시의 측면도, 제2도 b는 언로딩 완료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2도 a에 있어서, (26)은 가이드 베이스로써 가이드 롤러(17) 및 경사편(18)이 설정되어 캐처(28)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고, 또(27)도 가이드 베이스로써 가이드롤러(19) 및 경사핀(20)이 설정되어 마찬가지로 캐처(28)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드럼(28)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드럼(2)의 출구측의 테이프 가이드는 입구측에 비해서 대략 테이프 폭만큼 크게 하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안내드럼(2)의 경사각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안내드럼(2) 및 그 바로 아래에 있는 드럼회전용 모터는 샤시(1)의 평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경사져서 샤시(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두께는 테이프 안내드럼(2) 및 그 바로 아래에 있는 드럼회전용 모터 자신의 두께 보다 적어도 경사분만큼 크게 된다.
왜냐하면, 이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두께가 테이프 안내드럼(2) 및 그 바로 아래의 드럼회전용 모터의 종단면의 대각선 길이에 좌우되도록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테이프 안내드럼(2)의 경사각도를 저감하는 것은 이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두께를 테이프 안내드럼(2) 및 그 바로 아래에 있는 드럼회전용 모터 자신의 두께에 가깝게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테이프 안내드럼(2)의 경사각도를 저감하는 것에 의해서 이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두께를 감소하여 박형으로 할 수 있다. 또, 테이프 안내드럼(2)를 카세트(3)의 위치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이며, 또 카세트(3)의 앞쪽으로 열리는 뚜껑(12)의 하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안쪽길이 치수를 감소하여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재생장치의 소형박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다음에 로딩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출구측의 가이드 이동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 롤러(19) 및 경사핀(20)을 설정하는 가이드 베이스(27)은 도면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29)와 큰 흔들림을 갖고 연결되고, 그 연결판(29)도 마찬가지로 큰 흔들림을 갖고 출구측 구동부재(31)의 한쪽 끝에 지지된다. 이 출구측 구동부재(31)은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바깥둘레에는 기어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제4도는 입구측의 가이드 이동부재를 도시한다. 가이드 롤러(18) 및 경사핀(18)을 설정하는 가이드 베이스(26)은 평면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입구측 구동부재(33)의 한쪽 끝에 지지된다. 입구측 구동부재도 마찬가지로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바깥둘레에는 기어부(33a)가 마련되어 있다. 제5도는 캠부재(34)를 도시한다. 캠부재(34)는 상하 2단으로 되어 상단에는 오른쪽에서부터 기어부(34a), 캠부(34d)가 있고, 하단에는 제네바 기어(다음에 기술)에 대응하는 스토퍼면(34b), 로딩후의 모드조작에 대응하는 캠부(34c), 로딩 또는 언로딩 도중에 대응하는 캠부(34f), 언로딩 후의 모드 조작에 대응하는 캠부(34e)가 있고, 전체로써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들은 위에서 입구측 구동부재(33), 출구측 구동부재(31), 캠부재(34)의 순으로 동심형으로 샤시 위에 배치된다.
제6도는 테이프 가이드 군의 안내부재(68) 및 이 안내부재(68)에 의한 출구측이 가이드 베이스(27)의 지지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안내부재(68)은 단면이 T자형으로 되어 있고, 가이드 베이스(27)의 지지부(27a),(27b)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27a),(27b)는 이 T자부에 물리도록 안내부재(68)에 걸어맞추어 가이드 베이스(27)의 이동경로를 규제한다.
제7도는 안내부재(68)의 아래 돌출부(68a)와 가이드 베이스(27)의 아래 지지부(27b)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 베이스의 아래 지지부(27b)에는 안내부재(68)과 걸어맞춰지는 4개의 원호형의 돌기(27c)∼(27f)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은 가이드 베이스(27)의 위 지지부(27a)에서도 마찬가지이고, 안내부재(68)은 합계 4개의 장소에서 좌우로 끼워져 있다. 상하방향은 가이드 베이스(27)의 지지부(27g),(27h)로 안내부재(68)의 선단부(68a),(68b)를 끼우고 있다.
가이드 베이스(27)의 안내부재(68)과의 걸어맞춤면을 제8도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호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8도 a에서 도시한 안내부재(68)이 직선형상이거나 제8도 b에 도시한 원호형상이라도 항상 안내부재(68)과 가이드 베이스(27)의 원호형 돌기(27c)∼(27f)는 거의 일정한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유지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관계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이드 베이스(27)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원호형 돌기의 반경은 안내부재(68)의 폭 ℓ 및 원호형 돌기 스팬 m, 안내부재(68)의 최소반경 7에 의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인 제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68)의 폭ℓ-1mm, 원호형 돌기스팬 m=3.5mm, 안내부재(68)의 최소반경 n=12.5mm에 대해서 상술한 원호형 돌기의 반경을 2mm로 설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4곳에서 지지하는 것을 기술했지만 3곳에서의 지지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캠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9도 a는 윗방향에서 본 캠부재(34)의 형태를 도시하며, 그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고, 제9도 b에는 제9도 a에 도시된 캠부재(34)의 뒷쪽에서 본 뒷면상태를 도시한다.
뒷면에는 샤시(1)위에 설정된 안내핀(74)와 걸어맞춤하는 안내홈 또는 걸어맞춤홈(34g)(이하, 걸어맞춤 홈이라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홈(34g)의 바깥둘레벽에서 더욱 바깥둘레쪽으로 오목형상을 이루고 홈내의 캠(34h)가 2곳에 증설되어 있다. 이 홈내의 캠(34h)는 상기 걸어맞춤홈(34g)보다 얕게 형성되어 있다(제12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0도 a, b, c는 캠부재(34)의 제9도 b에서의 B-B'선의 단면과 구동계를 도시하고, 제10도 a에는 언로딩, 제10도 b에는 로딩과 언로딩 도중, 제10도 c는 로딩상태를 도시한다. 캠부재(34)는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35)가 기어부(34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캠부재(34)가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기어부(34a)와 맞물리는 기어(36)이 회전하고, 출구측 구동부재(31)은 기어(37),(38)을 거쳐 기어(38)과 눌러붙임용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39)가 기어부(31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입구측 구동부재(33)은 기어(40),(41)을 거쳐 눌러붙임용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는 기어(77)이 기어부(33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구동된다. 로딩이 완료되는 제10도 c의 상태에서 다음에 기술하는 제네바 기어에 의해 기어(36)의 회전은 정지하게 됨과 동시에 기어(36)과 기어부(34a)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한편, 로딩도중의 제10도 b의 상태에서 캠부재(34)의 선단부와 암(42)가 걸어맞춤하고, 암(42)은 축(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축(45)를 중심으로 해서 암(44)를 회전운동시킨다. 암(44)는 축(47)을 거쳐서 암(46)에 의해 암(48)과 축(49)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암(48)에 지지되는 핀치 롤러(8)을 로딩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암(48)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캠부재(34)와 암(42)가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은 제10도 a의 상태에서 핀치 롤러(8)은 언로딩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다. 제10도 b의 상태에서 또 캠부재(34)가 회전하여 제10도 c의 상태로 되면 암(42)는 캠부(34d)는 캠부(34d)와 걸어맞추고, 암(44)와 (46)으로 형성되는 토글기구에 의해 핀치 롤러(8)은 캡스턴(7)에 눌러 접하게 된다. 축(45)는 축(52)에 지지되는 암(51)에 설정되고, 암(51)은 스프링(53)에 의해 항상 인장되어 스토퍼(54)에 의해 항상 인장되어 스토퍼(54)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핀치 롤러(8)의 이동이 정지한 후에도 암(42)가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암(51)은 스프링(53)에 반동해서 스토퍼(54)에서 떨어지는 것에 의해 핀치 롤러와 캡스턴의 눌러붙이는 힘이 확보된다.
제11도 a, b, c는 캠부재(34)의 제9도 b에서의 A-A'선의 단면 및 모드 전환기구를 도시하고, 제11도 a는 언로딩, 제11도 b는 로딩, 언로딩 도중, 제11도 c는 로딩의 상태로 도시한다. (36a)는 기어(36)과 일체로 마련되는 제네바 기어부이다. 먼저 캠부재(34)의 바깥둘레에서 맞닿는 암(기구소자)(55), (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55)는 그 한쪽끝이 캠부(34c)와 걸어맞춤하고, 한쪽 끝에 부착한 스프링(57)에 의해 축(56)의 주위에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암(55)의 다른쪽 끝에는 브레이크 부재(58)이 장착되어 공급릴대(59)에 브레이크 힘을 가한다. 암(60)은 캠부(34c)와 걸어맞춤하고, 한쪽 끝에 부착한 스프링(61)에 의해 축(62)의 주위에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 암(63)은 암(60)의 상의 축(60a)와 걸어맞춤 가능한 암(63a)를 갖고, 한쪽 끝에 스프링(65)가 부착되어 축(62)의 주위에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 다른쪽 끝에 브레이크부재(64)가 장착되어 감기릴(5)에 걸어맞추는 구동디스크(66)에 브레이크 힘을 가한다. 제11도 a는 언로딩 후의 정지상태를 나타내고, 암(55)는 캠부(34f)에 걸어맞추어 공급릴대(59)로의 브레이크 힘은 해제된다. 또 암(6)은 캠부(34f)에 걸어맞추어 스프링(61)에 반동해서 축(60a)와 암(63a)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므로 스프링(65)가 가하는 힘에 의해 구동 디스크(66)에 브레이크 힘이 부여된다. 이 브레이크 힘은 캠부(34f)의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고 스프링(65)의 힘에 의해서 안정하게 확보된다.
제11도 b의 상태에서 암(55) 및 (60)은 캠부(34f)에 걸어맞추어 공급릴대(59)로의 브레이크 힘만 해제된다. 따라서, 로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공급릴 측에서 테이프(6)이 풀어진다. 제11도 c의 상태는 기록재생상태를 표시하고, 암(55)의 선단은 캠(34c)의 오목부에 들어가고, 공급릴대(59)에는 브레이크 힘이 부여된다. 이 때, 캠부(34c)와 암(55)는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 힘은 스프링(57)의 힘으로만 결정되어 캠부(34c)의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안정된다. 암(60)은 캠부(34c)와 걸어맞추어 스프링(61)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운동하고, 축(60a)는 암(63a)와 걸어맞추어 암(63)을 스프링(65)에 반동해서 회전운동시켜 구동 디스크(66)으로의 브레이크 힘을 해제한다. 이 때 제네바 기어부(36a)와 스토퍼면(34b)가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기어(36)의 회전운동은 정지되어 구동부재(31) 및 (33)은 정지함과 동시에 각 테이프 가이드 군의 위치 결정부배로의 눌러붙이는 힘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캠부재(34)의 움직임을 제네바 기어 등의 전환기구를 거쳐서 구동부재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조작모드 수의 증가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캠부재(34)의 바깥둘레 측면은 제11도 a, b,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언로딩에서 로딩완료, 그리고 모드 전환이라는 모든 조작기간에 있어서 상기 바깥둘레 측면은 모두 사용이 끝나 있고, 또 기구소자를 증가시키려고 하면 상기한 종래기술과 같이 캠부재(34)의 대형화는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본 기구에는 다시 2개의 기구소자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캠부재(34)의 걸어맞춤홈(34g)의 내부에서 맞닿은 암(90), (91)에 대해서 제11도 a, b, c 의해 설명한다.
암(90) 및 (91)은 그 한쪽 끝에 설정된 캠핀(90a)가 캠부재(34)의 홈(34g)의 안쪽 벽 또는 홈 내캠(34h)와 걸어맞추고 중간부에 부착된 스프링(92) 및 (93)에 의해 샤시(1)에 설정된 축(94) 및 (95)의 둘레에 각각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암(90)의 다른쪽 끝에는 텐션 콘트롤 암의 회전운동 기구가, 또 암(91)의 다른쪽 끝에는 테이프 감기 토오크의 가변기구가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캠기구 그 자체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캠핀(90a) 및 (91a)는 제12도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부재(34)의 아래면 측에서 걸어맞춤 홈(34g)내로 돌출, 걸어맞춤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걸어맞춤 홈(34g)보다 얇게 형성된 홈내의 캠(34h)에 따라 걸어맞출 수 있게 짧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캠부재(34)의 안내핀(74)는 걸어맞춤 홈(34g)의 깊숙한 부분까지 걸어맞추고 있어 안내핀(74)의 홈내의 캠(34g)내로 들어가는 일은 없고, 캠부재(34)는 항상 홈(34g)의 반경에서 원활하게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된다.
여기에서 암(90)은 로딩도중(제11도 b)에, 또 암(91)은 언로딩시(제11도 a)에 소정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기구소자이다.
제11도 a,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90)의 캠핀(90a)는 제11도 b의 로딩중에만 홈내의 캠(34h)내로 떨어진다. 또 암(91)의 캠핀(91a)는 제11도 a에 도시한 언로딩시에만 홈내의 캠(34h)내로 떨어진다. 그리고 양자 모두 캠핀이 홈내의 캠(34h)로 떨어졌을 때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도록 후속전달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바깥둘레부의 캠(34c), (34e)에 대해서 홈내의 캠(34h)는 캠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설정 위치 각도가 어긋나도록 캠핀(90a), (91a)의 위치를 선택하고 있다. 캠부재(34)는 그 소형화를 위해 걸어맞춤 홈(34g)로부터 반경방향에서 바깥둘레 측면까지의 두께를 상기 바깥둘레부 캠(34c), (34e)의 캠 단차량이 설정 가능한 최소두께로 하고 있다. 또 홈내의 캠(34h)도 상기 바깥둘레부(34c), (34e)와 동일한 양의 캠 단차량에서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바깥둘레 측 및 안둘레 측의 캠의 오목부를 원주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해 두면 캠부재(34)의 반경방향 폭은 증가되는 일이 없고, 또한 캠부재(34)가 그 반경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일 없이 캠 패턴을 증설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구소자를 증설하고 있지만 이것에 따라 캠부재(34)는 전혀 대형화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캠부재(34)는 원호형으로 하고 있지만 직전형 슬라이더 또는 원형이라도 좋고, 그 경우도 원호형 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캠부재의 대형화를 작게 억제하면서, 또는 전혀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신규의 캠패턴을 증설할 수 있으므로, 캠 조작기구 더 나아가서는 그 탑재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캠부재(34)의 박형화를 위해 제12도에서의 캠핀(90a)와 캠부재(34)의 걸어맞춤 높이를 충분히 갖지 않고서는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되기 곤란한 경우에는, 홈내의 캠(34h)의 깊이를 걸어맞춤 홈(34g)와 같은 깊이로 해서 캠핀(90a)와 캠부재(34)의 걸어맞춤 높이를 확보함과 동시에 안내핀(74)가 홈내의 캠의 위치로 오더라도 항상 3개 이상의 안내핀이 홈내의 캠이 없는 R부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안내핀(74)의 수를 증가시키면 좋다. 또는 안내핀(74)를 캠핀(90a), (91a)의 걸어맞춤부를 제거하여 걸어맞춤 홈(34g)와 끼워 맞추는 볼록형의 연속된 레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캠부재(34)는 그 회전운동 각도가 크므로 긴 홈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있지만, 그 회전운동각도가 비교적 작을 때에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홈을 긴구멍(96)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구멍(96)과 연속하는 형으로 긴구멍 캠(96a)를 형성하는 형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걸어맞추는 암(97)은 긴구멍 캠(96a)와 캠핀(97a)의 흔들림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과 같은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제15도는 캐처(28)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안내드럼(2)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테이프 가이드 군을 위치결정하는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다. 입구측의 테이프 가이드 군에 대해서도 제4도에 도시한 가이드 롤러(17)의 상부에 있는 축부를 V홈(28a)로 위치 결정하고, 하부를 홈(28b)로 규제하여 가이드 롤러(17)의 진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롤러(17)의 높이는 가이드 베이스(26)의 선단 상부가 스토퍼면(28c)와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또 경사핀(18)의 경사는 가이드 베이스(26)의 측면이 벽(28d)와 맞닿아서 결정된다. 출구측의 테이프 가이드 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이드 롤러(19)의 위치와 각도는 V홈(28e) 및 U홈(28f)로 결정되고, 높이는 스토퍼면(28g)로 결정된다. 또 경사핀(20)의 경사는 벽(28h)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캐처(28)의 V홈(28e)와 U홈(28f)사이에는 절단부(28i)가 마련되어 있다. 제2도 b에서 도시한 언로딩 상태에서는 캠부재(34)의 한쪽 끝과 출구측 구동부재(31)의 한쪽 끝이 상기 절단부(28i)를 관통하고 있지만 로딩동작에 의해 이들 부재는 절단부(28i)에서 탈출하므로 로딩 완료상태에서는 가이드 롤러(19) 및 경사핀(20)을 소정의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제16도는 상기한 2개의 구동부재(31) 및 (33)과 캠부재(34)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으로, (a)가 이젝트시, (e)가 로딩완료, (f)가 기록 또는 재생 등의 모드조작시이다. 각 부재는 그 형상을 간략화해서 원호 형상으로 표시했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재(34)의 움직임에 대해서 입구측 구동부재(33)은 역방향으로 거의 같은 정도로 회전하고, 출구측 구동부재(31)은 같은 방향으로 거의 배의 속도로 회전한다.
제17도 a, b는 출구측에 배치된 경사핀(21)의 이동 기구를 도시한다. 제17도 a는 제11도 a에 도시한 언로딩 상태에 대응한 상태이다. 암(48)과 같은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69)는 그 양끝을 기어(69)의 절곡부(69b)와 암(48)의 왼쪽끝(48a)에 걸쳐서 있는 스프링(70)에 의해 힘이 가해져 암(48)의 오른쪽 끝(48b)와 기어(69)의 절곡부(69c)가 맞닿고 있다. 이 상태에선 제11도 c에 대응하는 제17도 b의 상태로 모드가 이행해서 핀치 롤러(8)이 캡스턴(7)과 눌러 접하도록 암(48)이 회전운동 하면 기어(69)의 기어부(69a)와 맞물리는 기어부(72a)를 갖는 암(72)가 회전운동하여 암(72) 선단에 설정된 경사핀(21)을 개처(73)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위치결정한 후 또 암(48)은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제17도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48)은 스프링(70)에 반동해서 기어(60)의 절곡부(69c)에서 떨어지는 것에 의해 경사핀(21)의 캐처(73)으로의 눌러접하는 힘이 확보된다. 또 상기한 타이밍에서 경사핀(21)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경사핀(21)은 가이드 베이스(27)의 뒤쪽에서 로딩된다. 즉, 경사핀(21)과 가이드 베이스(27)의 이동궤적은 일부 오버랩된다. 가이드 베이스(27)이 선행해서 오버랩부를 통과하도록 암(42)의 위치와 암(72) 구동계의 감속비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캠부재(34)의 움직임으로 암(72)의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상기 오버랩부에서의 간섭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장치에서의 로딩기구, 모드조작은 입구측 구동부재(33), 출구측 구동부재(31), 캠부재(34)를 중심으로 행하여 진다. 제18도는 상술한 3개의 원호형상을 이루는 부재의 조립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캠부재(34)는 샤시(1)에 설치된 안내핀(74a)∼(74e)와 캠부재(34)의 하부 전체둘레에 형성된 홈(34g)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샤시(1) 위를 회전운동할 수 있게 안내된다. 안내핀(74a)∼(74e)는 제16도에 도시한 캠부재(34)가 회전운동하는 범위에서 항상 3개 이상이 캠부재(34)의 홈(34g)와 걸어맞추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출구측 구동부재(31)은 안내핀(76a), (76b)에 의해서 캠부재(3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안내핀(76a), (76b)와 출구측 구동부재의 긴구멍부(31b), (31c)가, 또 출구측 구동부재(31)의 하부에 설정된 핀(30)과 캠부재(34)의 긴구멍부(34h)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캠부재(34)와 동심원 형상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입구측 구동부재(33)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각이 작고, 바깥둘레는 기어(75), (77)이 입구측 구동부재 기어부(33a)와 항상 맞물려서 유지되고 있다. 출구측 구동부재(31)과 캠부재(34)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약 180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에 걸쳐서 회전운동한다.
여기에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측 구동부재(31)의 회전운동을 유지하는 기판을 캠부재(34)로 대체시키는 것에 의해 출구측 구동부재(31)에 형성한 긴 구멍부(31b), (31c)의 각도는 출구측 구동부재(31)과 캠부재(34)의 상대적인 회전운동 각의 차분으로 끝낼 수가 있다. 즉, 종래 180도 이상에 걸쳐서 회전운동하는 링을 기판 상에 유지하는 경우 링의 긴 구멍부는 180도 이상 필요한데 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긴구멍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링의 흔들림 강도 등의 문제를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안내부재(78), (79), (81)은 각각 나사(88), (82), (80)에 의해 샤시(1)에 고정되어 캠부재(34)가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홀더(83)은 입구측 구동부재(33)과 출구측 구동부재(31) 사이에 개재하여 일체 성형된 보스(83a)가 입구측 구동부재(33)의 긴 홈(33b)와 걸어 맞춤해서 입구측 구동부재(33)을 유지, 안내하고, 샤시(1)에 나사(8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홀더(85)는 샤시(1)에 나사(86)에 의해 고정되어 입구측 구동부재(33)이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회전운동 각도가 작은 입구측 구동부재(33)은 항상 홀더(83)의 보스(83a)에 인해 안내되어 홀더(83) 위를 회전운동한다. 입구측의 가이드 베이스(26)의 이동경로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17)의 하부에 있는 축부와 안내부재(78)의 벽(78a)가, 또 가이드 베이스(26)의 끝면(26a)와 안내부재(79)의 벽(79a)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3개로 겹쳐진 원호형상의 슬라이더(링)의 경우를 기술했지만 원형상 링이라도 마찬가지이다. 또 한쪽방향으로 2개의 테이프 가이드를 안내하는 로딩기구에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3개의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의 1개를 캠부재(34)와 테이프 가이드 구동부재(31)에 겸용시켜서 2개 구성하여도 좋다.
또, 링의 안내유지는 긴구멍과 핀이 아니고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링(33)과 일체의 블럭(78)과 홈에 의해서 유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즉 (1) 캠부재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또는 전혀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새로운 캠패턴을 증설할 수 있으므로 캠기구, 나아가서는 그 탑재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2) 테이프 가이드를 안내하는 로딩기구로써, (a) 회전운동하는 링과 링을 유지하는 기어는 모두 로딩동작 중에 항상 맞물리고, 기어와 기어의 맞물림이 시작할 때 생기는 기어와 기어의 맞물림의 불균형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기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 링 유지에 필요한 부재를 링의 폭 이내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부품 배치 공간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c) 링 유지에 필요한 부재는 링과 일체화된 것과 몇 개의 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종래의 기어나 롤러를 수 없이 배치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부품수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3) 직선을 포함하는 여러개의 원호를 갖는 T자형 레일과 걸어맞추는 테이프 가이드를 스프링을 사용하는 일 없이, 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구의 소형화, 부품수 저감, 테이프 손상 방지 등의 효과가 얻어지므로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기구부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그 바깥둘레에 형성된 제1의 캠부(34b,34c,34f,34e,34d),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안내부(34g) 및 상기 안내부에 형성된 제2의 캠부(34h)를 포함하는 캠부재(34), 상기 제1의 캠부에 접촉되고, 또한 제1의 캠부의 형상에 따라서 움직여지는 제1의 소자(42,55,60) 및 상기 제2의 캠부에 접촉되고, 또한 이 제2의 캠부의 형상에 따라서 움직여지는 제2의 소자(90,91)로 이루어지는 캠기구를 구비하는 기록재생장치.
  2. 샤시(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드럼(2)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34g,31b,3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슬라이딩부재(34,31), 상기 제2의 슬라이딩부재(31)의 한쪽 끝에 마련된 테이프 가이드 수단(19, 20), 상기 샤시(1)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슬라이딩부재(34)에 형성된 상기 홈(34g)에 걸어맞춤해서 상기 제1의 슬라이딩부재(34)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며, 또한 안내하는 제1의 안내부재(74a,74b,74c,74d,74e) 및 상기 제1의 슬라이딩부재(34)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슬라이딩부재(31)에 형성된 상기 홈(31b,31c)에 걸어맞춤해서 상기 제2의 슬라이딩부재(31)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며, 또한 안내하는 제2의 안내부재(76a,76b)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구비하는 기록재생장치.
  3. 회전드럼(2)의 주위에 마련되고, 곡률이 다른 여러개의 구부러짐부를 갖는 안내부재(68)과, 상기 안내부재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안내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지지부(27a,27b)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수단(27,19,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7a,27b)의 상기 안내부재(68)에 접촉하는 면에 그 단면이 원호형인 여러개의 돌기(27c,27d,27f,27e)가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구비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880013516A 1987-10-21 1988-10-17 기록재생장치 KR920007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63823A JPH01107359A (ja) 1987-10-21 1987-10-21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62-263823 1987-10-21
JP62-263824 1987-10-21
JP62263824A JPH077537B2 (ja) 1987-10-21 1987-10-21 カム操作機構
JP62297578A JP2510632B2 (ja) 1987-11-27 1987-11-27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ロ―ディング装置
JP62-297578 1987-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60A KR890007260A (ko) 1989-06-19
KR920007723B1 true KR920007723B1 (ko) 1992-09-15

Family

ID=2733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516A KR920007723B1 (ko) 1987-10-21 1988-10-17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85788A (ko)
KR (1) KR920007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399A (en) * 1988-05-13 1992-12-01 Hitachi, Ltd. Tape loading mechanism for a rotating drum and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69033887T2 (de) * 1989-10-13 2002-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ndladevorrichtung für Magnetaufzeichnungs-/Wiedergabegerät
KR920008478B1 (ko) * 1990-01-06 1992-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에이티용 리일 브레이크의 제어장치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DE4320155C2 (de) * 1992-06-17 1996-07-18 Gold Star Co Bremsvorrichtung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KR100195072B1 (ko) * 1993-02-26 1999-06-15 윤종용 정보 기록 및 재생 시스템
US5430585A (en) * 1993-05-21 1995-07-04 Sanyo Electric Co., Ltd.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tape tension control slide movable in a circular mo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51B2 (ja) * 1980-08-06 1983-02-01 竹腰 淑子 玄米麺の製造方法
JPS5786161A (en) * 1980-11-17 1982-05-29 Sony Corp Tape loading device
JPS5860450A (ja) * 1981-10-05 198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駆動切換装置
JPS58218066A (ja) * 1982-06-14 1983-12-19 Sony Corp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S6056946U (ja) * 1983-09-24 1985-04-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自動装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71579B2 (ja) * 1984-05-30 1995-01-11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860000856B1 (ko) * 1984-06-30 1986-07-09 주식회사 금성사 테이프 로우딩장치
US4697214A (en) * 1984-12-18 1987-09-29 Casio Computer Co., Ltd. Tape loading device
JPS61242364A (ja) * 1985-04-19 1986-10-28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の駆動力伝達機構
JPS61242365A (ja) * 1985-04-19 1986-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JPH0792958B2 (ja) * 1985-05-27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US4873591A (en) * 1986-08-28 1989-10-10 Canon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device having pair of tape guide post units on pair of rotatable members
JP2615035B2 (ja) * 1987-02-25 1997-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テープ装架装置及び装架方法
KR920000217B1 (ko) * 1987-06-25 1992-01-10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60A (ko) 1989-06-19
US4985788A (en) 199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74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920007723B1 (ko) 기록재생장치
US4803574A (en) Arrangement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524215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
KR920000217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US5923495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pe guide members
US5883752A (en) Compact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ccurate tape running performance
EP0422642A2 (en) Tape loading device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258881A (en) Tape cassette loading system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718438B2 (ja) テープ駆動装置
JP252378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ロ―ディング装置
JP364651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15315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1063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ロ―ディング装置
JP256790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ガイド案内機構
JP256914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56915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案内機構
JPH042438Y2 (ko)
JP2582220B2 (ja) テープ駆動装置
KR880000030B1 (ko)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JP29141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38449B2 (ja) 磁気テ―プ引き出し装置
JPS58888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自動巻架機構
JPH0110735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272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イ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