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174B1 - 자기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174B1
KR900009174B1 KR1019870003089A KR870003089A KR900009174B1 KR 900009174 B1 KR900009174 B1 KR 900009174B1 KR 1019870003089 A KR1019870003089 A KR 1019870003089A KR 870003089 A KR870003089 A KR 870003089A KR 900009174 B1 KR900009174 B1 KR 90000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inch roller
tape
po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519A (ko
Inventor
리쯔 미야모또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Unwinding Web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 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을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가장 적합한 일실시예의 테이프 카셋트 장착전의 정지 모드 상태를 도시하고, 제1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우딩등의 테이프 안내 수단을 제외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로우딩 링을 포함하는 폴 베이스 구동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캡스턴을 포함하는 테이프 릴 구동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안내 드럼의 개략 단면도 및 외관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기어 기구의 측단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공급측 로우딩 링 및 감는측 로우딩 링의 조립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소형 테이프 카셋트의 사시도.
제10도는 테이프 안내의 측면도.
제 11도는 이젝트 모드시에 있어서 이젝트 및 폴베이스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로우딩 모드시에 있어서의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Rec모드시에 있어서의 동작 설명도.
제14도는 로우딩 완료시에 있어서의 폴 베이스 및 헤드 베이스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로우딩시에 있어서 헤드 베시스의 동작 설명도.
제16a 및 제16b도는 아암 기어와 협동하는 폴 아암의 동작 설명도.
제17도는 폴 베이스의 이동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8a도 내지 제18b도는 본 발명의 요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핀치 롤러 캠과 협동하는 핀치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텐션 아암 및 폴 베이스와 협동하는 헤드 베이스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제20도는 타이밍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셋트 11 : 안내 드럼
28 : 감는측 로우딩 기어 33 : 공급측 로우딩 기어
46, 58 : 수직 폴 47, 59 :경사 폴
48, 57 : 폴 베이스 71 : 핀치 롤러
73 : 핀치 롤러 캠 74 : 반전 스프링
80 : 캡스턴 81 : 링크
82 : 스프링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를 안내 드럼에 감아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기테이프 기록 패턴을 변하지 않고, 현행의 가정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를 또다시 소형화하기 위한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VTR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생각의 하나로, 자기테이프를 안내 드럼(가이드 드럼)에 현재의 거의 180도를 넘어서 거의 270도에 미쳐 감아서, 또한 비디오 헤드를 90도 간격으로 4개를 설치하므로서, 안내 드럼의 지름을 현재의 2/3로 하고, 안내 드럼의 소경화를 도모하여 VTR의 소형화를 달성하려는 생각이 있다.
여기에서, 현행 기종과의 호환성을 취하기 위해서는, 자기테이프 위의 영상 신호 기록 패턴을 일치시키는 외에, 트랙킹 서보가 동일하게 행하지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테이프의 안내 드럼에서 오디오, 제어헤드(A/C 헤드)까지의 테이프 진행로에 연하는 길이를 기준 길이와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거기에서, 본 출원인은 상기하는 바와 같이 안내드럼을 소경으로 함과 함께, 자기테이프를 안내 드럼에 대칭으로 감아서, 상기한 A/C 헤드까지의 테이프 길이를 기준 길이와 일치시킨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소화 제58-127083호로서 제한하였다.
이것은, 캡스턴에 핀치 롤러를 압착하여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킬때,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캠의 회전에 의해서 플레이 바가 동작되고, 그래서 상기 플레이바를 거쳐서 스프링으로서 연결시키고 있는 랙을 형성한 핀치 롤러바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므로서, 피니언을 갖는 핀치 롤러 아암을 소정의 각도 회전하여,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탄성적으로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많은 부품에 의해 구성이 되는 종래의 핀치 롤러의 구동 기구에 있어서, 핀치 롤러의 캡스턴으로의 가압력이 상기 랙 및 피니언을 거친 스프링의 선장에 의한 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력은 캠, 플리에바 및 양 기어의 맞물리는 부분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설계상 양 기어등의 강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로 인하여, 캠, 플레이바, 양 기어는 그 부하에 대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 중량이 크게 되어 구동에 필요한 모터 토크도 커진다. 또한, 가령 양 기어의 강성이 낮은 경우, 맞물리는 부분은 경시적인 변화에 의해 마모하여 백크래슈가 크게 되어, 핀치 롤러 아암의 안정된 회전이나 핀치 롤러의 소기의 부가력이 유지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며,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셋트(1)에서 자기테이프(2)를 인출하여, 회전하는 자기 헤드를 구비한 테이프 안내 드럼(11)에 대해서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상기 자기테이프(2)를 안내하는 수직폴(46, 58) 및 경사폴(47, 59)을 갖는 공급측 로우딩 수단(33)과 감는측 로우딩 수단(28)을 구비하여, 상기 자기테이프(2)를 상기 안내 드럼(11)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이르러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및 감는측 로우딩 수단(33, 28)의 동작과 관련하여 회전하는 핀치 롤러 캠(73)과, 캡스턴(80)과 맞닿거나 또는 이탈이 가능한 핀치 롤러(71)를 구비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핀치 롤러 아암(78)과, 일단부를 상기 핀치 롤러 아암(78)에 지지되고, 타단부를 상기한 핀치 롤러 캠(73)에 걸린 연결부재(81)로부터 토글 기구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부재(81)와 상기한 핀치 롤러 캠(73) 사이에 탄성 수단(82)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한 각 로우딩 수단(33, 28)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한 자기테이프(2)를 상기한 테이프 안내 드럼(11)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미쳐 감겨지는 로우딩 종료시, 상기한 핀치 롤러 캠(73)의 회전에 수반하는 상기한 연결부재(81)의 변위에 의해 상기한 핀치 롤러(71)가 상기한 탄성 수단(82)에 의해 상기 캡스턴(80)에 탄성적으로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 수단(82)이 상기한 각 로우딩 수단(33, 28)에 테이프 로우딩 방향으로 각각 부가력을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8a도 내지 제18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는측 로우딩 수단을 이루는 감는 기어(28)가 테이프 로우딩 방향(반시계쪽)으로 회전하는 테이프 로우딩시, 상기 감는 기어(28)의 핀(62b, 62a)에 의해 핀치 롤러 캠(73)이 차츰 회전되어,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우딩 종료시에는, 핀치 롤러 캠(73)과 연결부재를 이루는 링크(81)와 핀치 롤러 아암(78)에 의해 구성되는 토글 기구에 의해, 핀치 롤러 캠(73)의 적은 구동력에 의해 핀치 롤러(71)를 캡스턴(80)에 스프링(82)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하여, 또한 핀치 롤러 아암(78)과 핀치 롤러 캠(73)을 연결하고 있는 링크(81)와 핀치 롤러 캠(73)간에 연장된 스프링(82)이 감는 기어(28)를 로우딩 방향으로 탄성력을 항상 부가하여, 폴 베이스(57)의 위치 결정력으로서 지원하기 위해, 상기 폴 베이스(57)의 위치 결정 정도가 향상한다.
먼저, 본 발명을 이루는 자기 기록은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어서 사용되는 소형 테이프 카셋트(1)를 표시한다. 상기 소형 테이프 카셋트(1)는, 자기테이프(2)를 수납한 카셋트 케이스(3)와, 앞면측에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의 안내 롤러(5, 5)에 의해 안내되어서 카셋트 케이스(3)의 앞면을 가로지르고 있는 자기테이프(2)를 보호하는 덮개(4)로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1)는, 공급 릴 허브(6)가 후술하는 장치(10)의 공급측 릴페져에 결합하여, 감는릴 허브(7)의 외주면의 기어부(7a)가 장치의 구동 기어(제2도 중의 첨부 번호 100으로 표시함)에 맞물려서, 카셋트 케이스(3)의 앞면측의 凹함부(3a, 3b, 3c)내에 후술하는 수직 및 경사 로우딩 폴 및 캡스턴등이 상대적으로 감입된 상태로, 또한 덮개(4)가 수평 위치까지 회전하여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에 장착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이 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의 가장 적합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각각 테이프 카셋트 장착전의 정지 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1도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의 로우딩 링등의 테이프 안내 수단을 제외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로우딩 링을 포함하는 폴 베이스 구동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캡스턴을 포함하는 테이프 릴 구동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하는 릴 구동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각 도면중,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는,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이것을 안내 드럼(11)에 소정의 각도로 감기 위해서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와, 상기 테이프 로우딩 기구(15)를 구동함과 함께, 주행하는 테이프의 면을 보정하여, 또한 테이프 안내를 이루는 미들 풀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기어군으로 구성되는 기어기구(16)와, 상기 테이프 카셋트(1)의 테이프 릴 등을 구동하는 릴 구동 기구(17)로 대략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샷시 베이스(14)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의 각 도면중, (11)은 테이프 안내 드럼(가이드 드럼)이며, 내부에 예를 들면 4개의 비디오 헤드(회전 헤드)를 90도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며, 상기 비디오 헤드를 비치하여 회전 구동하는 상부 드럼(12)과 샷시(14)에 고정되는 하부 드럼(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지름은 종래의 2/3로 작은 지름이며, 자기테이프가 270도 이상에 미쳐서 감겨진다. 비디오 헤드는 테이프 첩접 각도 범위를 하나의 동작 단위로서 차츰 전환하여 동작하고, 자기테이프(2)위에는 현상과 같은 트랙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자기테이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겨지는 관계로, 안내 드럼(11)은 수직축에 대해서 X-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약 10도)로 경사져 있는데, 경사각은 적다. 따라서, 경사에 의한 점유 면적 및 높이의 중대몫도 거의 없고, 장치(10)내에서의 안내 드럼(11)의 점유 면적은 작게 되어, 또한 장치(10)는 소형으로 된다.
또한, 상기 안내 드럼(11)의 고정 상태의 상세한 것은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드럼(13)이 종래 별체의 드럼 베이스를 거쳐서 샷시에 고정되어 있던 것을, 외형 형상이 작게 되므로서, 상기 하부 드럼(13)의 하부에 안내 드럼(11)의 경사 각도 및 경사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차츰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각부(13a1…13a4)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드럼(11)은 샷시 베이스(14)에 대해서 상기 각부(13a1…13a4)를 각각 직접 너트(18)등으로 고정하면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고정이 되므로, 높은 고정 정도를 확보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안내 드럼(11)의 고정 스페이스를 적게 하여 샷시 베이스(14)위의 다른 메카 기구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부품 점수의 감소에 따르는 장치의 경량화 및 코스트의 경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된다.
말하자면 평행 로우딩을 하는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와 기어 기구(16)는 모두 정·역전 2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단일의 로우딩 모터(19)에서 구동된다. 상기 기어 기구(16)를 직접 구동하는 로우딩 모터(19)는, 제1도, 제2도,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축의 워엄 기구(20)와, 상기 워엄 기어(20)와 맞무는 워엄 휘일(21) 및 상기 워엄 휘일(21)과 동축의 소기어(22)가 터미널 기어구체(23)의 대기어(24)와 맞물리므로서 상기 터미널 기어구체(23)를 감속 구동한다. 그래서, 터미널 기어구체(23)의 축기어(23a)는 후술하는 미들풀(39)을 구동하는 캠 기어 기구(25)와 일체의 캠 기어(26)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터미널 기어구체(23)의 중간 기어(27)는, 상기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의 상하 2단으로 배치된 아래측의 환상의 감는측 로우딩 기어(감는 기어, 28)와 맞물고 이것을 제1도에 도시하는 안내 드럼(11)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래서, 감는 기어(28)는 유휴 기어(29)를 거쳐서, 이것과 맞물고 있는 기어구체(30)의 대기어(31)를 감속 구동하여, 이에 따라 상기 대기어(31)와 일체의 소기어(32)가 구동되므로, 상기 소기어(32)와 맞물고 있는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의 상측의 공급측 로우딩 기어(공급 기어, 33)를 시계 방향으로 감속 구동한다. 따라서, 로우딩 모터(19)가 정전 구동하므로서, 그 회전 구동력은, 워엄 휘일(21), 터미널 기어구체(23)를 거쳐서 감는 기어(28)를 소정의 속도로 감속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감는 기어(28)의 구동에 의해 유휴 기어(29)를 거쳐서 기어구체(30)의 재감속 구동에 의해, 공급기어(33)를 감는 기어(28)와 동기하여 이것에 의해 저속으로 제1도에 도시하는 안내 드럼(11)의 둘레를 시계 방향(감는 기어(2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상기 두 감는 기어와 공급 기어(28, 33)의 회전 속도의 차이는, 후술하는 폴베이스의 각각의 이동경로 길이에 기인하는 것이다.
(34)는 아암 기어이며, 이것은 제16도에 병행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에 설치한 핀(35)이 상기한 캠 기어(26)내에 형성한 나선상의 캠홈(26a)에 걸림과 동시에, 타단에 형성한 부채꼴 기어(34a)가 일단에 경사형태로 미들폴(39)을 설치한 폴 아암(3)의 축기어(37)와 맞물고, 추지축(38)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아암 기어(34)에는 여기에서 설치된 추지축(40)을 회전 지점으로 하는 록아암(41)이 일체적으로 고정이 되어 있다. 로우딩 모터(19)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아암 기어(3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록 아암(41)의 일단은 후술하는 안내 레일(45)위에 이름과 동시에, 상기 타단에 설치된 판 스프링(42)에 의해 캠 기어(26)와 일체의 상부의 캠(43)의 외주면에 탄성적을 맞닿는다.
따라서, 아암 기어(34)가 추지축(38)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하는 테이프 로우딩시에는, 부채꼴 기어(34a)와 맞물고 있는 축기어(37)가 이것과는 역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아암(3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6a도의 상태보다 제1도에 도시하는 안내 레일(45)을 가로지름과 동시에, 베이스판 위에 고정된 A/C헤드 AH의 전방을 가로질러서, 제1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규의 위치로 이동한다. 정지 모드시에는, 록 아암(41)은 제16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판 스프링(42)이 캠(43)의 소경부(43a)에 맞닿아서 미들폴(39)의 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폴 아암(36)이 회전하는 기록 재생시, 록 아암(41)의 판 스프링(42)이 캠(43)의 형상에 연해서 습동하고, 폴 아암(36)이 소정의 정지 위치까지 회전 변위한 후에는, 판 스프링(42)이 캠(43)의 대경부(43b)에 이르러, 제1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아암(41)이 미들폴(39)의 기부를 걸도록 이동하여 이것을 록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테이프 로우딩 기구(15)는 제1도, 제3도 및 제8a도, 제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드럼(11)의 외주에 연해서 자기테이프를 거의 270℃의 각도 범위에 미쳐 감기 때문에, 그 좌측에 공급측 안내홈(44a)을, 그리고 우측에는 상기 공급측 안내홈(44a)보다 긴 경로를 갖는 감는측 안내홈(44b)을 각각 형성하여 샷시 베이스(14)위에 고정된 상부의 안내 레일(45)과, 상기 안내 레일(45)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한 형상(링)의 상부의 공급 기어(33)와, 하부의 감는 기어(28)에 의해 거의 구성하고 있다.
안내 레일(45)의 각 안내홈(44a, 44b)은 제1도,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셋트(1)의 삽입측 전방의 평행부(44a, 44b)와, 상기 평행부(44a, 44b)와 연결되는 원호상부(44a, 44b)로 구성된다.
공급측 안내홈(44a)은 샷시 베이스(14)위에 위치하고, 한편, 감는측 안내홈(44b)은 원호상부(44b2)의 종단부가 안내 드럼(11)의 경사각 및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또한 자기테이프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차례로 샷시 베이스(14)의 하측으로 변위(중앙부보다 후방측으로 차례로 하강 경사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3차원 경사면)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원호상부(44b2)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폴베이스(57)위의 수직 롤러폴(58)의 상하를 지지하기 위해,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기 수직 롤러폴(58)의 직경과 대응한 형상의 U자상의 凹부(129) 및 V자상의 凹부(13)를 상하로 형성한 거의 자상의 정지부(13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공급측의 원호상부(44a2)의 단부는, 상기 단부 근처에서 안내 드럼(11)측의 안쪽으로 굴곡하는 홈(44a'2)과, 상기 홈(44a'2)과 반대측으로 굴곡하는 굴곡홈(44a"2)으로부터 거의 Y자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분할된 한쪽의 원호상부(44a"2)의 단부에도 상기 감는측의 안내홈(44b)의 단부와 같이 폴베이스(48)위의 수직 롤러폴(46)의 상하를 지지해야할 U자상의 凹부와 V자상의 凹부를 상하로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이 자유로운 수직 폴러폴(수직폴, 46)과 경사 로우딩폴(경사고정폴, 47)을 근접시켜 설치한 폴베이스(48)가, 제13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레일의 안내홈(44a)에 연해서 정지 모드 위치에서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르면, 선행하는 수직폴(46)측이 굴곡홈(44a"2)으로 안내되므로서, 상기 폴베이스(48)가 다른쪽의 굴곡홈(44a'2)의 원호에 연해서 수직폴(46)의 축이 정지부의 상하의 U.V자상의 凹부에 각각 지지되어서 폴베이스(57)의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테이프 로우딩 수단을 이루는 감는 기어(28)와 공급 기어(33)의 구체적인 구성을 제8a도, 제8b도에 의해 병행 참조하여 설명한다.
2개의 감는 기어(28), 공급 기어(33)는 제1도,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 기어(49, 49)에 각각 수평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안내판(50)에 의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해서 배치되어 있다.
감는 기어(28)는 제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에 설치된 핀(51, 51)을 삽입하는 긴 구멍(53a, 53b)을 안내로서 습동하는 안내 플레이어(53)를 그 상면에 재배치함과 동시에, 양자간에 연장된 인장 스프링(61)에 의해 안내 플레이트(53)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안내 플레이트(53)의 한쪽의 긴 구멍(53a)측에는, 축(5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변위하는 연결막대(55)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57)은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수직폴(58)과 경사 고정폴(59)을 근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안내 레일(45)위를 수직폴(48)의 하부를 안내축으로 하여 이동하는 감는측의 폴베이스이며, 이동측의 선단부에는 정지부(131)내에 침입하는 설편(5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베이스(57)는 경사 고정폴(59)측을 요동 막대(60)를 거쳐서 상기 연결 막대(55)와 서로 추지되므로서, 감는 기어(28)위를 수평상태로 회전함과 동시에, 연결 막대(55)의 작용에 의해 요동 막대(60)와 함께 상하로도 변위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감는 기어(28)가 상기 기어 기구(17)에 의해 구동되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우딩시, 폴베이스(57)가 안내 레일(45)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3차원 경사면에 이르면, 상기 폴베이스(57)와 안내 레일(45)의 상하의 간격이 크게 되는 것으로, 연결 막대(55)의 상하 운동으로 폴베이스(57)는 제13도,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실하게 3차원 경사면의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른다.
또한, 감는 기어(28)위에는 3개의 핀(62a, 62b, 62c)가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핀(62b)과 핀(62a)은 안내 플레이트(53)의 후방측으로 위치하여 후술하는 핀치 롤러 캠(73)을 차례로 구동하는 것이며, 다른 핀(62c)은 제1도에 도시하는 이젝트 레버(65)를 걸도록 핀(62b, 62a)에서 회전방향측의 선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공급 기어(33)는 제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는 기어(28)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긴 구멍(34a, 34b)을 안내로 하여 습동하는 핀(65, 66)을 설치한 안내 플레이트(64)를 그 상면에 재배치하고 있으며, 양자간에 연장된 인장 스프링(67)에 의해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안내 플레이트(64)위에는, 핀(68)을 설치하여 축(6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연결 막대(70)가 얹어놓여 있다. 상기 핀(68)은,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수직폴(46)과 경사 고정폴(47)을 근접시켜 설치하고, 또한 이동측의 선단부에 설편(48a)을 형성한 폴베이스(48)를 걸고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요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8a도에 도시하는 감는 기어(28)의 회전 동작과 관련하여 동작되는 핀치 롤러 캠(73) 및 핀치 롤러(71)의 동작을 제12도, 제13도 및 제18a도 내지 제18c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을 한다.
핀치 롤러(71)를 소정의 위치로 구동하는 원판상의 핀치 롤러 캠(73)은 축(7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외주부에는 상기 감는 기어(28)상의 핀(62b, 62a)과 걸어맞춤이 가능한 제1, 제2의 걸림홈(73a, 73b)이 각각 형성이 됨과 동시에, 이들 양 걸림홈(73a, 73b)과 축(72)을 거쳐서 대향하는 측의 외주부에 스프링(7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곧, 양 걸림홈(73a, 73b)과 핀(75)은 거의 3각형의 위치 관계에 있다.
상기한 기어 기구(16)를 경유하여 터미널 기어구체(25)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감는 기어(28)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 제1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감는 기어(28)에 설치된 선행하는 핀(62b)이 축(72)에 지지되어 있는 원판상의 핀치 롤러 캠(73)의 제1의 걸림홈(73a)을 건다.
거기에서, 핀치 롤러 캠(73)은, 스프링핀(75)과 고정핀(76)과의 사이에 연장된 반전 스프링(제1탄성수단, 74)의 힘에 대항하여 축(7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핀치 롤러 캠(73)의 회전에 의하여, 핀치 롤러(71)를 설치한 핀치 롤러 아암(78)이, 연결핀(79)과 스프링핀(75)을 연결하는 링크(81)를 거쳐서 축(7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캡스턴(80)측으로 이동한다. 이들 핀치 롤러 아암(78), 링크(81), 및 핀치 롤러 캠(73)에 토글 기구(배력 기구)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감는 기어(2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핀(62b)이 제1의 걸림홈(73a)에서 이탈하여, 후방측으로 위치하는 다음의 핀(62a)이 제12도, 제1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치 롤러 캠(73)의 제2의 걸림홈(73b)에 이르러 이것을 걸면, 또다시 반전 스프링(74)을 휘어가면서 핀치 롤러 캠(73)을 회전시키므로, 또다시 링크(81)를 화살표 D방향으로 끌어당김과 동시에, 핀치 롤러 아암(78)을 축(7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캡스턴(80)에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토글 기구에 의해 핀치 롤러 캠(73)의 축(72)의 중심과 링크(81)의 축선과의 거리 ℓ1및 스프링핀(75)과의 거리 ℓ2와, 링크(81)의 D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F1및 스프링 핀(75)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F2과의 관계는, F1·ℓ2=F2·ℓ2로 된다.
따라서, 핀치 롤러 캠(73)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링크(81)의 축선이 축(72)중심에 근접하는 토글 기구의 피크 위치 근처에 있어서는, ℓ2≫ℓ1인 관계로 되기 때문에, F1≫F2로 되어, 핀치 롤러 캠(73)의 적은 회전력에 의해, 핀치 롤러(71)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큰 힘을 얻을 수가 있고, 로우딩 모터(19)의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게 된다.
그 후, 감는 기어(28)의 회전에 의해 핀(62a)이 제18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하여, 스프링 핀(75)과 연결핀(79)을 연결하는 링크(81)의 축선이, 축(72)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피크 위치)을 넘어서 축(72)의 중심위치에서 상기한 동작시와 반대측으로 약간 변위하여 로우딩 종료 위치로 이동하므로서, 링크(81)는 스프링핀(75)과의 사이에 장가된 스프링(82)에 대항하여 이 스프링 핀(75)을 안내로서 D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82)의 힘에 의해 핀치 롤러(71)를 캡스턴(80)에 탄성적으로 압착한다(테이프 주행 상태).
이때, 링크(81)의 C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F1에 의해 스프링핀(75)에는, 핀치 롤러 캠(73)의 회전 방향으로 F2인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힘은 감는 기어(28)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여,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른 볼베이스(57)의 압착력을 지원한다. 이와 같이 핀치 롤러 아암(78), 링크(81) 및 핀치 롤러 캠(73)을 구동하는 감는 기어(28)의 부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로우딩 모터(19)의 부하를 저감시키므로서, 로우딩 모터(19)의 소형화 및 구동 부품의 소형화에 수반하는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핀치 롤러(71)의 캡스턴(80)으로의 압착 동작시, 반전 스프링(74)의 부가력이 변환되어서, 그 부가력이 핀치 롤러 캠(73)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핀치 롤러 캠(73)은 스프링(제2의 탄성 수단, 82)과, 반전 스프링(7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되므로, 로우딩 모터(19)가 정지한 로우딩 종료 상태에서는, 핀치 롤러 캠(73)의 상기한 부가력에 의한 회전력은, 핀(62a)을 거쳐서 감은 기어(28)에 또 다시 정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가하여, 폴베이스(57)의 보다 확실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 반전 스프링(74)의 탄성 작용에 의해, 핀치 롤러(71)의 설치시에 생기는 공자등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치 롤러(71)의 동작력의 저감에 의해 이것과 관련하는 각 구성 부품의 설계상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장치(10)의 경량화 및 신뢰성도 향상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릴 구동 기구(17)를 제1도, 제2도, 제4도, 제5도를 각각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을 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에 플라이 휘일(93)을 가지며 캡스턴(80)을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83)는, 플라이 휘일(93)과 일체의 폴리(84)와 벨트(86)를 거쳐서 샷시 베이스(14)위에 고정된 플랜지(88)를 거쳐서 축(90)에 지지되어 있는 요동 기어구체(85)의 풀리(87)를 감속 구동한다. 풀리(87)로부터의 회전력은 요동 기어구체(85)의 입력 기어(89)에 도시하지 않은 마찰판(펠트등)을 거쳐서 전달되므로서, 상기 입력 기어(89)와 맞물리도록 플렌지(88)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유성 기어(91, 92)가 동기하여 감속(역전 구동)한다.
요동 기어구체(85)의 우측의 유성 기어(92)는, 제2도,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의 우측에 근접 배치되어서, 축(9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대경 기어(95)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래서, 상기 대경 기어(95)는 마찰판(96)을 거쳐서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거의 동경의 상부의 대경 기어(97)와 연결되어, 또다시 상기 대경 기어(97)는 축(9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상부에 소기어(100)를 일체로 구비한 소기어(99)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카셋트(1)가 장치(10)에 장착된 때에는, 공급릴 허브(6)가 후술하는 공급릴 페져와 감합함과 동시에, 각각의 스터드(101, 102)위에서 위치 결정되어서 수평으로 유지되므로서, 상부와 소기어(100)가 감는릴(7)의 외주면의 기어부(7a)와 맞물린다.
제1도 및 제4도 중, (104)는 축(105)에 지지된 브레이크 아암이며, 축(105)에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 등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되므로서, 선단의 브레이크 패드(106)가 상기 대경 기어(95)의 드럼부(95a)에 마찰 접촉하여 이것을 제동하는 것의, 핀치 롤러(71)와 캡스턴(80)에 자기테이프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기록시등의 정전시에는, 핀치 롤러(71)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브레이크 패드(106)를 드럼부(95a)에서 분리시켜서 드럼부(95a)의 부하를 해제한다.
또한, 요동 기어구체(85)의 좌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유성 기어(91)는, 샷시 베이스(14)에 설치한 축(107)에 지지되어 있는 공급측 릴 디스크 구체(108)의 공급측 릴 페져(127)에 내장된 단방향 크랫치 기구(109)의 압력 플랜지로 되는 대경 기어(11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상태에 있다. 그래서, 상기 대경 기어(110)는 마찰판(125)를 거쳐서 공급측 릴 페져(127)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공급측 릴 페져(127)와 코로(111)를 거쳐서 접속이 가능한 출력으로 되는 내부의 일방향 크랫치 기구(109)의 회전체(112)의 외주면에는, 일단부가 샷시 베이스(14)에 고정되고, 타단부를 후술하는 텐션 아암(119)과 연결되어 있는 아암 레버(113)의 일단부는 접속된 텐션 밴드(114)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캡스턴(80)이 정전하는 기록 재생 회전시에는 요동 기어구체(85)가 F방향(제1도, 제14도에 도시함)으로 회전하여, 그 다른쪽의 유성 기어(92)가 우측의 대경 기어(95)와 결합하여 이것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테이프 카셋트(1)의 공급릴 허브(6)와 직결하고 있는 공급측 릴 페져(127)는 자기테이프의 송출과 수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코로(111)가 회전체(112)내의 쐐기형 凹부(112a)내에 끼워넣어 이 회전체(112)를 일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체(112)의 회전시, 텐션 밴드(114)의 장력이 작용한 상태로 되어, 자기테이프에는 적절한 후방 텐션이 작용하며, 자기테이프는 감는릴(7)에 감겨진다.
또한, 요동 기어구체(85)가 반시계 방향(E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테이프의 리버스 주행시에는, 그 한쪽의 유성 기어(91)가 공급측 릴 페져(127)와 마찰판(125)을 거쳐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대경 기어(110)와 맞물리므로서, 회전체(112)내의 코로(111)가 쐐기형 凹부(112a)의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급측 릴 페져(127)는 텐션 밴드(114)의 부하를 받지않고 테이프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기테이프(2)가 공급릴 허브(6)로부터 송출되는 정방향 주행시부터 되감기등의 역전(리버스)주행으로 이동할때등, 요동 기어구체(85)의 한쪽의 유성 기어(92)와 상기 대경 기어(95)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동일한 타이밍으로, 다른쪽의 유성 기어(91)가 공급측 릴 페져(127)의 대경 기어(110)와 맞물려서 상기 공급측 릴 페져(127)를 곧바로 역전하기 때문에, 적은 부품 점수로 원활하고 또한 높은 응답성이 얻어짐과 동시에, 캡스턴 모터(83)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하여 소비 전력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되감기등의 역전 주행시, 공급측 릴 페져(127)내의 일방향 클럿치 기구(109)에 의해 텐션 밴드(114)를 이완하지 않고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병행해서 기구를 간소화하여 적은 공간으로 희망하는 동작을 할 수가 있고, 따라서, 장치(10)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여기에서, 또다시 제1도 및 제14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를 사용해서 상기한 공급측의 폴베이스(48)와 관련하여 동작되는 텐션 아암(119), 아암 레버(113) 및 전폭 소거 헤드(116)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샷시(14)위에 설치한 축(120)에 회전이 자유롭게 추지되어 있는 텐션 아암(119)은, 일단부를 폴베이스(48)에 걸리도록 이르게 함과 동시에, 기부(119a)에 상기 텐션 밴드(114)를 걸고 있는 아암 레버(113)를 회전이 자유롭게 추지하고 있다. 상기 텐션 아암(119)은 도시하지 않는 복귀 스프링등의 부가 수단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의, 제1도에 도시하는 정지 상태에서는 레스트 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공급측의 폴베이스(48)에 걸려서 복귀 스프링의 힘에 대향하여 정지하고 있다. 상기 폴베이스(48)의 정지 상대에 있어서는 텐션 밴드(114)는 회전체(112)에 대해서 이완 상태로 되어 있다.
임피던스 롤러(115)는 전폭 소거 헤드(116)와 상기 텐션 아암(119)과의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주행하는 자기테이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임피던스 롤러(115)를 지지하고 있는 축(122)에는, 전폭 소거 헤드(116)를 얹어 놓은 헤드 베이스(123)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베이스(123)의 일단의 걸림부(123a)가 텐션 아암(119)의 핀(124)을 걸림 가능하게 이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 로우딩시, 공급측의 폴베이스(48)가 수직 롤로폴(46)을 선도단으로서 공급측의 안내홈(44a)내를 로우딩 종료 위치로 향해서 이동할 때, 제1도의 상태에 있는 텐션 아암(119)은, 제19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베이스(48)가 평행부(44a1)에서 원호상부(44a2)에 이르는 이동 과정에 있어서 폴베이스(48)와 서서히 이반하기 때문에, 그 록크 상태가 해제되어서 복귀 스프링의 자기 복귀력에 의해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복귀가 허용된다. 그래서, 계속되는 폴베이스(48)의 이동에 의해 이것이 텐션 아암(119)과 이완되면 같은 타이밍으로, 상기 텐션 아암(119)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핀(124)이 제1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폭 소거 헤드(116)를 탑재한 헤드 베이스(123)의 일단의 걸림부(123a)를 걸어 헤드 베이스(123)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때, 회전체(112)에 대해서 텐션 밴드(114)는 계속 이완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텐션 아암(119)의 핀(124)에 의한 헤드 베이스(123)의 걸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의 폴베이스(48)가 계속 이동하므로서, 또다시 폴베이스(48)가 헤드 베이스(123)의 한쪽에 맞닿아서, 헤드 베이스(123)를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시킨다. 상기 헤드 베이스(123)의 회전에 의해, 텐션 아암(119)이 제1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텐션 밴드(114)는 계속 이완 상태로 된다. 그래서, 폴베이스(48)가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르면, 폴베이스(48)에 의해 제19b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전 변위되어 있던 헤드 베이스(123)는 그 맞닿는 상태가 해제되고, 1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부가력에 의해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 복귀하여 소기의 설정 위치로 세트된다. 이때, 텐션 아암(119)의 회전과 동시에, 아암 레버(113)가 제1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1방향으로 끌어당겨지므로서, 텐션 밴드(114)를 거쳐서 상기 회전체(112)에 제동력을 작용시켜서 긴장 상태로 한다.
또한, 테이프 언로우딩시에는 헤드 베이스(123) 및 텐션 아암(119)은, 상기 로우딩시와 역의 형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테이프 로우딩시 및 테이프 언로우딩시, 헤드 베이스(123)의 이동과 연동하여 텐션 아암(119)이 동작되므로서, 헤드 베이스(123)의 형상을 적당히 변경하여, 텐션 아암(119)의 동작 타이밍을 적의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텐션 밴드(114)의 이완 및 긴장이 간단한 구성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테이프 손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적은 부품수로, 또한 작은 공간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장치의 중량을 저감시하거나 조립등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구성을 이루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의 동작을 총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일련의 동작은 제1도에 도시하는 캠 기어(26)위에 설치된 모드 센서부(128)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정지 모드 상태에 있어서,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테이프 카셋트(1)를 기기의 상면에서 부상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는 카셋트 홀더내에 삽입하여 이것을 가압하면, 카셋트 홀더의 하부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팬터 그래프 기구의 작용에 의해 이것이 장치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여 테이프 로우딩의 준비가 완료한다.
제12도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10)의 테이프 로우딩에 계속하는 Rec 록 모드 상태에서의 평면도, 제13도는 테이프 로우딩 완료 상태에서의 로우딩 기구를 인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장치(10)가 제1도에 도시하는 정지 모드 상태에 있을 때에,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다음에 이젝트 스위치를 누르면, 로우딩 모터(19)가 역전하여 상기한 감는 기어(28)의 역전에 따라 핀(62c)이 이젝트 레버(65)를 걸어 이것을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13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이젝트 레버(65)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것에 걸려 있는 도시하지 않은 카셋트 홀더의 팬터 그래프 기구의 하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카셋트 홀더가 상승된다. 이 때, 공급측의 폴베이스(48) 및 감는쪽의 폴베이스(57)는, 로우딩시의 이동방향과는 역으로 안내홈(44a, 44b)의 평행부(44a1), 굴곡부(44b3)측으로 약간 후퇴한다. 상기 이젝트 모드를 모드 센서부(128)가 검출하므로서, 이젝트 레버(65) 및 각 폴베이스(48, 57)는 제1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각각 복귀한다. 그래서, 상승된 카셋트 홀더내에 제9도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셋트(1)를 삽입하여 상기 카셋트 홀더를 장치측으로 예를 들면 하강하므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에 설치된 걸림 수단이 장치에 설치된 고정핀과 결합하여 상기 카셋트 홀더는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테이프 카셋트(1)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1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로우딩 모터(19)가 정전 시동하여 이것과 연결하고 있는 워엄 기어(20), 워엄 휘일(21)등을 거쳐서 터미널 기어구체(23)를 감속 구동한다. 상기 터미널 기어구체(2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력은 이것에 설치한 중간 기어(27)를 거쳐서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의 감는 기어(28)에 전달되어, 이것을 제3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제1도에 도시하는 안내 드럼(11)의 주위를 회전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감는 기어(28)는 유휴 기어(29)를 거쳐서 이것과 맞물고 있는 기어구체(30)의 대기어(31), 소기어(32)등을 구동하므로서, 상기 구동력을 이것과 맞물고 있는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의 다른 공급 기어(33)에 전달하고, 감는 기어(28)와 동기하여 이것을 제3도중 시계방향으로, 더우기, 이보다 감속된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하는 안내 드럼(11)의 주위를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테이프 로우딩 기구(15)의 상측에 배치된 공급 기어(33)의 구동에 의해,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 롤러폴(46)과 경사 고정폴(47)을 갖는 공급측의 폴베이스(48)가 안내 레일(45)위를 제1도중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측의 폴베이스(48)의 이동에 수반하여, 폴베이스(48)에 걸려서 복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가되고 있는 텐션 아암(119)은 제19a도의 상태에서 제1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베이스(48)에 의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함과 동시에 핀(124)이 헤드 베이스(123)의 일단의 걸림부(123a)를 건다.
상기 텐션 아암(119)의 회전에 의한 공급측의 폴베이스(48)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이것과 맞닿은 상태에 있는 헤드 베이스(123)를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빠지는 방향이 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시킨다.
상기 헤드 베이스(123)의 회전에 의해 텐션 아암(119)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므로, 텐션 밴드(114)는 Y2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공급측 릴 페져(127)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12)는 이완 상태가 유지된다.
그래서 공급측의 폴베이스(48)가 제1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홈(44a')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여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르면, 헤드 베이스(123)의 맞닿은 상태를 해제하여, 그 때까지 회전 변위되어 있던 헤드 베이스(123)는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복귀하여 소기의 설정 위치에 셋트된다. 이때, 텐션 밴드(114)가 Y1방향으로 당겨져서 공급측 릴 페져(127)에 작용하므로, 자기테이프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로우프 로우딩 과정에 있어서 테이프 로우딩 기구의 하측의 감는 기어(28)의 구동에 의해 이것에 연결이 되어 있는 수직 롤러폴(58)과 경사 고정폴(59)을 갖는 감는측의 폴베이스(57)가 안내 레일(45)위를 제1도 중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이동하면, 상기 감는 기어(28)에 설치된 선행하는 핀(62b)이, 제1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72)에 지지되어 있는 핀치 롤러 캠(73)의 제1의 걸림홈(73)에 걸린다.
거기에서 핀치 롤러 캠(73)은, 이것에 설치한 스프링판(75)와 고정핀(76)과의 사이에 연장된 반전 스프링(74)의 힘에 대항하여 축(7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핀치 롤러 캠(73)의 회전에 의해 핀치 롤러(71)를 설치한 핀치 롤러 아암(78)이 연결핀(79)과 스프링핀(75)을 연결하는 링크(81)를 거쳐서 축(7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핀치 롤러(71)를 캡스턴(80)측으로 근접시킨다.
계속하여 감는 기어(2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제18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핀(62a)이 핀치 롤러 캠(73)의 제2의 걸림홈(73b)에 이르면, 이것은 또다시 반전 스프링(74)을 휘어가면서 핀치 롤러 캠(73)을 회전시키므로, 이번에는 링크(81)를 제3도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핀치 롤러 아암(78)을 축(7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캡스턴(80)에 근접시켜, 또다시 감는 기어(28)의 회전에 의해 다음의 핀(62a)이 이동하여, 링크(81)의 축선이 축(72)과 스프링 핀(75)과 연결핀(79)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라인을 넘어서 같은 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하여 로우딩 종료 위치에 이르면, 링크(81)는 핀(75)과의 사이에 연장된 스프링(82)의 힘에 대향하여 상기 핀(75)을 안내로 하여 D 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핀치 롤러(71)를 캡스턴(80)에 탄성적으로 압착한다.
상기 핀치 롤러(71)의 캡스턴(80)으로의 압착시, 상술한 바와 같이 핀치 롤러 캠(73)을 포함하는 상기 토글기구에 의해, 핀치 롤러(71) 압착력이 감는 기어(28)에 또다시 회전 방향으로의 힘을 부가하여, 폴베이스(57)의 확실한 위치 결정을 한다. 상기 폴베이스(57)의 위치 결정과 동시에 반전 스프링(74)의 부가력이 변환되므로서, 그 힘이 감는 기어(28)에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가하여 폴베이스(57)의 정지부(131)로의 압착을 지원한다. 즉 반전 스프링(74)은 제2의 토글 스프링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제13도의 Rec 일시정지 상태…캡스턴(80)이 정지한 상태).
상기 감는측의 폴베이스(57)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차원 평면에 있어서 위치 결정시, 그 선단의 설편(57a)의 윗면이 안내홈(44b)의 종단부에 설치한 정지부(131)내에 맞닿음과 동시에 경사폴(59)측의 후단부가 안내 레일(45)에 지지되므로서 끼워진 상태로 되어, 또한 그 수직 폴러폴(58)이 정지부(131)에 형성된 상부의 U자 凹부(129) 및 하부의 V자형 凹부(130)에서 상하가 지지된다. 따라서, 폴베이스(57)는 로우딩 종료 위치에 있어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회전 변위가 규제되므로, 그 위치 결정 정도가 상당히 향상한다. 또한, 공급측의 폴베이스(48)는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감는측의 폴베이스(57)의 위치 결정과 같이, 그 설편(48a)과 수직폴(46)이 정지부와 그 상하의 U. V자형 凹부에서 고정도로 위치 결정이 된다.
한편, 상기 각 폴베이스(48, 57)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 로우딩 모터(19)의 구동에 수반하는 터미널 기어 구체(23)의 구동에 의해, 이것과 연결되어 있는 캠 기어 기구(25)와 일체의 캠 기어(26)가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캠 기어(26)의 나선형 캠홈(26a)에 핀(35)이 걸려 있는 이암 기어(34)가, 캠홈(26a)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6a도의 상태보다 제16b도의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암 기어(34)의 회전에 의해, 타단에 형성한 부채꼴 기어(34a)가 미들폴(39)을 설치한 폴 아암(36)의 축기어(37)를 회전한다. 상기 폴 아암(36)은, 폴베이스(57)의 이동에 추종하는 바와 같이 추지축(38)을 중심으로 하여 안내 레일(45) 및 고정된 A/C 헤드 AH를 가로질러 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한다. 그래서, 폴베이스(57)가 안내 레일(45)의 3차원 경사면에 이르러 자기테이프(2)가 복귀되기 시작하면 동일한 타이밍으로, 록 아암(41)의 판스프링(42)이 캠(43)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동하여 미들폴(39)의 기부를 걸어 고정하므로서, 자기테이프(2)의 안내 드럼(11)에 대한 로우딩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미들폴(39)을 폴베이스(57)의 이동에 추종하도록 회전식으로 하므로서, 종래 채용되어 있는 기립식에 비해서 기구가 간단하며, 더욱이 미들폴(39)의 경사와 관리가 단조롭고 용이해짐과 함께 조립이 용이해져, 재차 테이프 로우딩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2)를 손상하는 그러한 일은 없다.
그래서, 공급릴 허브(6)로부터 송출된 자기테이프(2)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롤러(115), 전폭 소거 헤드(116)를 거쳐 공급측의 수직폴(46), 경사폴(47)로부터 안내 드럼(11)을 약 270도의 각도 범위의 미쳐서 첨첩하여 감은후, 감는측의 수직폴(58), 경사폴(59)을 첨첩하고, 또다시 회전 변위한 미들폴(39), 고정의 A/C 헤드 AH에 첨접한 후, 캡스턴(80)과 핀치 롤러(71)에 끼워져 감는릴 허브(7)에 이른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기록 스위치를 온하면, 캡스턴 모터(83)가 정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벨트(86)로 연결된 폴리(87)를 회전시킨다.
폴리(87)로부터의 시계 방향의 회전력은, 제도,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기어구체(85)의 입력 기어(89)의 도시하지 않은 마찰판(펠트)등을 거쳐서 전달되므로서, 상기 입력 기어(89)와 맞물리도록 플렌지(88)에 고정된 좌우 1쌍의 유성 기어(91, 92)중의 한쪽의 기어(92)와 맞물고 이것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감는측의 하측의 대경 기어(95)에 전달되어, 또다시 마찰판(96)을 거쳐서 감는측의 상측의 대경 기어(97)에 전달이 됨과 함께 상기 회전력은 소기어(99)로 전달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1)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기어(100)로 전달된 회전력은 카셋트 내의 감는릴 허브(7)의 외주면의 기어부(7a)에 전달되어 이것을 회전시킨다(제13도의 Rec 상태).
재차 기록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캡스턴 모터(83)가 시계 방향의 정전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의 역전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에 따라 이번에는 유성 기어(91)가 1방향 클러치 기구(109)의 입력 플랜지로 되는 공급측의 대경 기어(110)와 맞물고 캠스턴 모터(83)로 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마찰판(125), 코일 스프링(126)을 거쳐서 공급릴 페져(127)로 전달하여, 테이프 카셋트(1)내의 공급릴(6)을 회전시켜, 수 프레임 몫 감는측 릴에 감겨져 있던 테이프를 역으로 공급릴 허브(6)에 감는다(백 스페이스).
이 때 요동 기어구체(85)의 입력 기어(89)와 맞물고 있는 1쌍의 유성 기어(91, 92)의 존재에 의해, 입력 기어(89)의 회전 변위각을 최소로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자기테이프의 느슨해짐의 발생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고, 테이프 손상을 경감함과 함께, A/C 헤드 AH에 의해 제어 펄스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가 있다.
이때, 공급측 릴 페져(127)내의 1방향 클러치 기구(109)의 코로(111)가 잠식한 측으로 되기 때문에, 텐션 밴드(114)에 의한 백 텐션이 걸린 상태에서 감을 수가 있게 된다.
그렇게 한 후, 또다시 캡스턴 모터(83)를 정전 방향으로 백스페이스 보다도 적게 수 프레임 몫을 진행시킨 후, 캡스턴 모터(83)를 정지시킨다. 그래서, 재차 기록 스위치를 온하면, 캡스턴 모터(83)의 정전에 의해 캡스턴(80)이 정전 구동한다.
상기 Rec 또는 Rec 일시 정지 상태(제1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오프로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로우딩 모터(19)가 역회전함과 함께 이것과 연동하여 로우딩 링이 회전하여,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서 분리한다. 상기 상태를 모드 센서부(128)가 검출하여, 장치는 또다시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Rec 룩 상태로 들어간다.
그 후 연속 기록 이외는, 얼마간의 시간 경과 후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다.
또다시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로우딩 모터(19)가 정전하여,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c 일시 정지 상태로 되어, 그 후 기록 스위치를 온하면 기록 모드에 들어가 소정의 기록을 한다.
소정의 기록이 종료하여 도시하지 않는 이젝트 스위치를 온하면, 로우딩 모터(19)가 역전하여, 언로우딩 상태로 된다.
언로우딩 상태에서 감는측의 감는 기어(28)의 핀(62c)이 이젝트 레버(65)를 눌러 카셋트 하우징의 걸림 수단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카셋트 하우징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셋트(1)가 장치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모드 센서부(128)가 상기 이젝트 모드를 검출하면 로우딩 모터(19)가 정전하여, 각 요소는 제1도, 제3도등에 도시되는 정지 모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록만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나 재생도 동일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루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수직폭 및 경사폴을 갖는 공급측 로우딩 수단과 감는측 로우딩 수단등의 로우딩 수단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한 자기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안내 드럼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미쳐 감는 로우딩 종료시, 감는측 로우딩 수단의 동작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핀치 롤러캠을 포함하는 토글 기구에 의해, 핀치 롤러 캠을 적은 힘으로 구동하여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탄성적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의 부하를 경감시켜서 이것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핀치 롤러의 구동계의 부품 점수의 삭감에 수반하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핀치 롤러의 캡스턴에 대한 압착력을 각 로우딩 수단의 테이프 로우딩 방향으로 각각 부가되므로서, 폴베이스의 고정도에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핀치 롤러를 조작하는 종래의 피니언과 같은 기어 기구에 비해서 기어의 바랏슈 및 마모등이 없고, 핀치 롤러의 안정된 동작을 하므로서 안정된 테이프 주행이 행할 수 있고, 더욱이 기구부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회전하는 자기 헤드를 구비한 테이프 안내 드럼(11)과,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셋트(1)에서 자기테이프(2)를 인출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 드럼(11)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자기테이프(2)를 안내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자기테이프(2)를 상기 안내 드럼(11)에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서 첨접하기 위한 수직폴(46) 및 경사폴(58)을 갖는 공급측 로우딩 기구(33) 및 감는측 로우딩 기구(28)와, 캡스턴(80)과, 상기 캡스턴(80)에 맞닿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핀치 롤러(71)를 구비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및 감는측 로우딩 기구(33, 28)의 동작과 관련해서 회전 동작하는 핀치 롤러 캠(73)과 상기 핀치 롤러(71)를 구비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핀치 롤러 아암(78)과, 일단부를 상기 핀치 롤러 아암(78)에 지지되고, 타단부를 상기 핀치 롤러 캠(73)에 건 연결 부재(81)에 의해 구성된 토글 기구와, 상기 연결 부재(81)와 상기 핀치 롤러 캠(73)과의 사이에 걸친 탄성 부재(82)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우딩 종료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82)가 상기 핀치 롤러(71)를 상기 캡스턴(80)에 탄성적으로 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로우딩 기구(33, 28)를 각각의 로우딩 방향으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1019870003089A 1986-04-02 1987-04-01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900009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76336A JPS62232750A (ja) 1986-04-02 1986-04-02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76336 1986-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519A KR870010519A (ko) 1987-11-30
KR900009174B1 true KR900009174B1 (ko) 1990-12-24

Family

ID=136025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088A KR900009173B1 (ko) 1986-04-02 1987-04-01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870003089A KR900009174B1 (ko) 1986-04-02 1987-04-01 자기 기록 재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088A KR900009173B1 (ko) 1986-04-02 1987-04-01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4807064A (ko)
EP (2) EP0240008B1 (ko)
JP (1) JPS62232750A (ko)
KR (2) KR900009173B1 (ko)
DE (2) DE37824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693A (en) * 1987-02-09 1989-09-19 Yamaha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3211149A (ja) * 1987-02-27 1988-09-02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ロ−デイング機構
JPH0652607B2 (ja) * 1987-11-10 1994-07-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69122B2 (ja) * 1988-05-13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US5168399A (en) * 1988-05-13 1992-12-01 Hitachi, Ltd. Tape loading mechanism for a rotating drum and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715771B2 (ja) * 1988-08-30 1995-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の駆動機構
CA1308806C (en) * 1988-08-30 1992-10-13 Takefumi Tsuchida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having movable reel chassis
JP2567925B2 (ja) * 1988-09-30 1996-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US5113296A (en) * 1988-11-07 1992-05-12 Hitachi, Ltd. Mechanism for winding a tape from a tape cassette onto a rotatable cylinder of a VCR
JP2675600B2 (ja) * 1988-12-27 1997-11-12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56618B2 (ja) * 1989-06-14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US5204791A (en) * 1989-10-13 1993-04-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loading device of a video tape recorder having a linkage driven inclined auxiliary tape guide member
ATE193393T1 (de) * 1989-10-13 2000-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ndladevorrichtung von magnetaufzeichnungs- /wiedergabegerät
JPH0457240A (ja) * 1990-06-22 1992-02-25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4331U (ja) * 1991-07-02 1993-01-22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テープ引き出し装置
KR940001743B1 (ko) * 1991-10-16 1994-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캠코더 데크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40002095B1 (ko) * 1991-12-24 1994-03-17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 데크의 테이프 로딩장치
US5572381A (en) * 1993-06-07 1996-11-0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for a simplified video cassette recorder apparatus
KR0183710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메카니즘
KR0177243B1 (ko) * 1995-11-28 1999-04-1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 헤드
JP2975909B2 (ja) * 1997-05-21 1999-11-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ープ引出し機構
US9562560B1 (en) * 2013-11-04 2017-02-07 Sandia Corporation Robust tilt and lock mechanism for hopping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670A (en) * 1975-02-19 1978-0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auto-load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035743B2 (ja) * 1976-02-25 1985-08-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4056833A (en) * 1976-03-10 1977-11-01 Odetics, Inc. Turntable assembly for video cassette recorder/reproducer
JPS5534366A (en) * 1978-09-04 1980-03-10 Hitachi Ltd Pinch-roller driver of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JPS55129961A (en) * 1979-03-27 1980-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loading unit of magnetic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DE3127592A1 (de) * 1980-07-14 1982-04-01 Canon K.K., Tokyo Kassettengeraet fuer magnetische aufnahme und/oder wiedergabe
JPS57212649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212651A (en) * 1981-06-24 1982-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823348A (ja) * 1981-08-05 1983-02-12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モ−ド設定機構
JPS58121170A (ja) * 1982-01-13 1983-07-19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案内機構
US4616274A (en) * 1982-03-01 1986-10-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end detecting device for extractable tape type cassette
JPS58200467A (ja) * 1982-05-19 1983-11-22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テ−プ案内規定機構
JPS59113566A (ja) * 1982-12-20 1984-06-30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のガイド機構
KR900003133B1 (ko) * 1983-02-28 1990-05-08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테이프 자동 장전형 기록 재생 장치
JPS5935728A (ja) * 1983-07-21 1984-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S6056946U (ja) * 1983-09-24 1985-04-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自動装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085753U (ja) * 1983-11-18 1985-06-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プ記録再生装置
JPS60163538U (ja) * 1984-04-04 1985-10-30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プロ−デイング機構
AT379910B (de) * 1984-04-25 1986-03-10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611555U (ja) * 1984-06-07 1986-01-08 ホーシンプロダクト株式会社 建築・構築用支保杆の頂端部構造
JPS6187256A (ja) * 1984-09-27 1986-05-02 Seiko Epson Corp ピンチロ−ラ圧着機構
DE3517738A1 (de) * 1985-05-17 1986-11-20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Vorrichtung zur betaetigung einer bandandruckrolle in einem video-magnetbandgera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2445D1 (de) 1992-12-10
JPS62232750A (ja) 1987-10-13
EP0240008A3 (en) 1989-07-05
DE3782445T2 (de) 1993-03-18
EP0240925A2 (en) 1987-10-14
EP0240925A3 (en) 1989-06-28
EP0240925B1 (en) 1992-11-04
DE3781439T2 (de) 1993-01-07
US4807064A (en) 1989-02-21
EP0240008A2 (en) 1987-10-07
KR900009173B1 (ko) 1990-12-24
DE3781439D1 (de) 1992-10-08
EP0240008B1 (en) 1992-09-02
KR870010518A (ko) 1987-11-30
US4837645A (en) 1989-06-06
KR870010519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74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0146351B1 (ko) 릴 구동 장치
KR0161264B1 (ko)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테이프 처리 장치
EP094406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005094A (en)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KR100287935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US20020053620A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H0348585B2 (ko)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54538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 시스템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H0725880Y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671122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H0721903B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232756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27774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JPH07107762B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31272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드럼모터를이용한테이프가이드장치
KR860001126Y1 (ko) Vtr의 프리 로오딩장치
JP3155624B2 (ja) 回動体駆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32752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232747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1001068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H076453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