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740B1 -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740B1
KR100277740B1 KR1019980053716A KR19980053716A KR100277740B1 KR 100277740 B1 KR100277740 B1 KR 100277740B1 KR 1019980053716 A KR1019980053716 A KR 1019980053716A KR 19980053716 A KR19980053716 A KR 19980053716A KR 100277740 B1 KR100277740 B1 KR 10027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le base
winding
transmission means
sid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651A (ko
Inventor
최도영
조영호
최형석
백충흠
김준영
이승우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740B1/ko
Priority to US09/456,420 priority patent/US6449118B1/en
Priority to JP34947299A priority patent/JP3432779B2/ja
Publication of KR2000003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베이스 상에서 단일 구동원의 구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과, 서브 샤시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하여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으로 연동되는 제 1 동력전달수단 및 제 2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타측단부에 헤드드럼의 권취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이동력을 제 1 동력전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 중계수단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주행 요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잡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폴 베이스의 구동이 좁은 공간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크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본 발명은 캡스턴 모터만으로 주행계 및 로딩계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에 있어서,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 주행 요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잡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폴 베이스의 구동이 좁은 공간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크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자기기록재생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여러 선진업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현대인들에 있어서는 하나의 생활 필수품처럼 느껴질 정도이다.
현재 가정용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기기록재생기는 대부분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채용한 ½ 인치 테이프 카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기록재생기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홀더와, 이 카세트 홀더를 기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들여 메인 데크 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들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에 수납된 자기 테이프를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된 회전 헤드드럼 측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기 위한 테이프 로딩/언로딩 장치와, 상기 자기 테이프가 일정 경로를 따라 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투입구로 테이프 카세트를 가볍게 밀어 넣으면, 그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홀더에 수납되는 동시에, 그 카세트 홀더는 메인 데크 상에 안착되며, 이 후, 테이프 로딩/언로딩 장치를 구성하는 공급 및 권취측 폴 베이스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이끌고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헤드드럼 측으로 로딩시켜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상기한 자기기록재생기를 응용하여 휴대가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테이프 레코더가 널리 알려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자기기록재생기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전체 크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의 하나가 데크 사이즈라고 알려지고 있고, 이 데크 사이즈를 얼마만큼 축소시키느냐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데크 사이즈의 축소 정도에 따라 그 기술 수준의 척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로 각 선진업체에서는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연구 개발되어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 개발의 결과로써,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93-5016호(명칭 ;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 모드 제어 방법)가 알려지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동작 완료시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 공간으로 회전 드럼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샤시 사이즈를 초소형화하며, 또한 단일 구동원에 의해 자기 테이프의 로딩 및 주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각 모드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여 구성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폴 베이스 구동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폴 베이스 구동장치는, 캡스턴 모터(10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02)와 치차 맞춤이 가능하도록 로워 샤시(103) 상에 제 1 기어(104)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기어(104)에는 다수의 작은 기어(105)...(109)들로 이루어진 기어열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기어열의 최종적으로는 로워 샤시(103)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기어(110)에 상기 캡스턴 모터(10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110)는 로워 샤시(103)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부재(11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가이드 부재(111)에 형성된 레일(112)에는 하나의 폴 베이스(113)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 폴 베이스(113)에는 폴(114)이 세워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ULS(Un Loading Stop) 모드에서 캡스턴 모터(101)의 모터 기어(1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모터 기어(115)의 회전력이 전달기어(102)를 통하여 제 1 기어(104)에 전달되며, 다시 그 제 1 기어(104)의 회전력이 다수의 작은 기어(105)...(109)를 통하여 가이드 부재(111)에 설치된 링기어(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링기어(11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부재(111)의 레일(112)에 장착된 폴 베이스(113)의 폴(114)가 자기 테이프를 이끌고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알려진 바와 같은 자기기록재생기의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링기어()를 이용하고, 다수개의 기어(102)(105)...(109)가 사용되는 구조로써, 각종 주행계의 테이프 주행 요소 위치를 좌,우측에서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할 수 없으며, 따라서 테이프 주행 요소의 위치 설정이 다소 부적절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이 양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기어(102)(105)...(109)가 겹쳐지는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그 데크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게 되며, 이는 데크의 소형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데크 메커니즘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동력 전달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을 보인 것으로,
도 3은 서브 샤시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서브 샤시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5는 ESP 모드의 평면도.
도 6은 EJECT 모드의 평면도.
도 7은 ULS 모드의 평면도.
도 8은 SL 모드의 평면도.
도 9는 STOP 모드의 평면도.
도 10은 PB 모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서브 샤시 72 ; 공급측 로딩 암
72c ; 안내장공 78 ; 캠공
81,82 ; 축핀 83 ; 연결 레버
83a,83b ; 걸림핀 84 ; 중간 레버
84a ; 걸림홈 85 ; 권취측 로딩 암
86,89 ; 연결핀 87,87' ; 가이드 레일
88 ; 권취측 폴 베이스 90 ; 슬랜트 포스트
91 ; 가이드 롤러 84b ; 걸림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샤시에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는 서브 샤시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일 동력원으로 주행계 및 로딩계에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로딩계의 구동으로 권취측 폴 베이스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기 테이프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상에서 단일 구동원의 구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서브 샤시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하여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으로 연동되는 제 1 동력전달수 및 제 2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타측단부에 헤드드럼의 권취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이동력을 제 1 동력전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 중계수단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동력중계수단은 서브 샤시의 일측에 회전 가능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공급측 폴 베이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측 로딩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의 소정 부위에 반경이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캠공이 형성되고, 그 캠공에 제 1 동력전달수단의 걸림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은 일측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시 제 1 동력전달수단의 타측단부에 구비된 걸림부에 의해 연동되며, 타측부에 별도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자기 테이프의 로딩시 슬라이드수단의 이동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따른 각 모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조적인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은 하나의 동력원, 즉 캡스턴 모터(M)의 동력을 이용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릴을 구동시키는 주행계와,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를 주행 경로로 이동시키는 로딩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로딩계는 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으로 보아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과, 그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에 연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 그리고 로딩계 동력 전달 조절수단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의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 베이스(1)의 상면에 서브 샤시(2)가 통상적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소정의 길이만큼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일측, 즉 서브 샤시(2)의 하측에는 캠기어(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캠기어(3)에 인접한 메인 베이스(1)의 상면 타측에는 캡스턴 모터(M)의 동력을 캠기어(3)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캠기어(3)와 동력전달수단의 상측에는 펑션 플레이트(4)가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서브 샤시(2)에는 앞에서 설명한 주행계와, 로딩계를 이루는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 및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공급릴 어셈블리(10) 및 권취릴 어셈블리(20)와, 상기 공급릴 어셈블리(10) 및 권취릴 어셈블리(2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공급 및 권취측 브레이크수단(11)(21)과, 테이프의 로딩시 테이프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포스트(5), 그 외에 핀치 롤러(6) 및 테이프 가이드(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션 포스트(5)는 축핀(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텐션 레버(9)에 세워져 있으며, 그 텐션 레버(9)는 메인 베이스(1)에 형성된 캠홈(1a)에 의해 서브 샤시(2)의 이동 동작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캡스턴 모터(M)의 모터 기어(31)와, 메인 베이스(1)의 상면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터 기어(31)와 항시 맞물리는 구동기어 풀리(32)와,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전방 중간부에 축핀(3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경이 각각 다른 상,하부 기어(34)(35)가 일체로 형성된 중심기어 풀리(36)와, 상기 구동기어 풀리(32) 및 중심기어 풀리(36)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37)와, 상기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을 캠기어(3)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gear train)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어열은 중심기어 풀리(36)의 하부 기어(35)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 1 동력전달기어(38)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38)에 항시 맞물리는 제 2 동력전달기어(39)와,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39) 및 캠기어(3)에 항시 맞물리는 제 3 동력전달기어(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39)의 회전 중심축(41)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작동레버(4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작동레버(42)의 일측단부에는 제 1 동력전달기어(38)가 축핀(4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작동레버(42)의 회동 동작에 따라서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이 제 1 동력전달기어(38)로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펑션 플레이트(4)는 통상적인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좌,우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소정 부위에 고정된 제 1 캠핀(4')이 캠기어(3)의 제 1 캠홈(3a)에 삽입되어 있어, 캠기어(3)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 부위에는 연동레버(51)가 축핀(5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연동레버(51)의 단부에는 걸림핀(53)이 고정되어 있어, 서브 샤시(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레버(51)의 소정 부위에는 제 2 캠핀(51')이 고정되어 있고, 그 제 2 캠핀(51')은 캠기어(3)의 제 2 캠홈(3b)에 삽입되어 있어, 캠기어(3)의 회전에 따라 연동레버(51)를 연동시킴으로써 서브 샤시(2)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행계는 중심기어 풀리(36)가 지지되고 서브 샤시(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축핀(3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아이들 플레이트(61)와, 상기 아이들 플레이트(61)에 축핀(6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공급릴 어셈블리(10) 또는 권취릴 어셈블리(20)의 릴기어(10a)(20a)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63)와, 특정 모드에서 상기 아이들 기어(63)의 회전력이 공급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로딩계의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은, 별도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사용하지 않는 회전 레버 방식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서브 샤시(2)의 상면 후방측 소정 부위에 축핀(71)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브 샤시(2)의 로딩 동작에 연동되는 공급측 로딩 암(72)과,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의 후방측 서브 샤시(2)의 상면에 축핀(7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급측 로딩 암(72)에 연동되며 일측에 공급측 폴(74)이 세워져 고정된 공급측 폴 베이스(7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 및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대향부위는 서로 기어식으로 맞물려 있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의 일측에는 안내장공(72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장공(72b)에는 상기 펑션 플레이트(4)의 상면에 고정된 걸림핀(76)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에는 비틀림 스프링(77)이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안내장공(72b)의 이동 경로 상을 지나도록 되어 있어, 펑션 플레이트(4)의 이동에 따라 걸림핀(76)이 안내장공(72b)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다가 비틀림 스프링(77)의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은 서브 샤시(2)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핀(81)(82)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서로 연동되는 연결 레버(83), 중간 레버(84) 및 그 중간 레버(84)에 연동되는 권취측 로딩 암(85)과, 상기 권취측 로딩 암(85)과 연결핀(86)으로 연결되며 서브 샤시(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87)을 따라 이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8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 레버(83)의 상면 일측단부에는 걸림핀(83a)이 고정되어 있어, 공급측 로딩 암(72)에 형성된 안내장공(72c)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 타측단부에도 걸림핀(83b)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간 레버(84)의 일측변부에는 연결 레버(83)의 타측 걸림핀(83b)이 삽입되는 걸림홈(84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 레버(84)의 타측단부는 권취측 로딩 암(86)과 연결핀(89)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측 로딩 암(86)과 연결핀(86)으로 연결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88)의 상면에는 슬랜트 포스트(90) 및 가이드 롤러(9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간 레버(84)는 하면의 소정 부위에 걸림핀(84b)이 형성되어 있고, 펑션 플레이트(4)에는 상기 걸림핀(84b)이 안내되는 캠공(78)이 형성되어 있어, 펑션 플레이트(4)의 이동에도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ESP 모드를 보인 것으로, 메인 베이스(1)로부터 서브 샤시(2)가 최대로 이젝트된 상태이며, 펑션 플레이트(4)는 메인 베이스(1) 상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세트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카세트 하우징의 안착 동작에 의해 캡스턴 모터(M)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 기어(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P 모드 → EJECT 모드 → ULS 모드 → SL 모드 → STOP 모드 → PB 모드의 순으로 진행하게 되는 바, 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모터 기어(3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 풀리(32) → 타이밍 벨트(37) → 중심기어 풀리(36)로 전달되어, 그 중심기어 풀리(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은 다시 하부 기어(35) → 제 1 동력전달기어(38) → 제 2 동력전달기어(39) → 제 3 동력전달기어(40) → 캠기어(3)로 전달되어, 그 캠기어(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에 의해 그 중심기어 풀리(36)에 형성된 상부 기어(34)에 맞물린 아이들 기어(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아이들 플레이트(61)는 회전 중심인 축핀(33)에 대하여 시계 방향의 회동력을 갖게 되므로, 아이들 기어(63)가 권취릴 어셈블리(20)의 릴기어(20a)에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권취릴 허브를 회전시켜 자기 테이프가 풀려지게 한다.
한편,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해 메인 베이스(1)와 서브 샤시(2)를 연결하고 있는 연동레버(51)의 회전 동작으로 서브 샤시(2)가 메인 베이스(1)의 내측을 향하여 직전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서브 샤시(2)의 이동에 의해 로딩계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에 공급측 로딩 암(7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한 ULS 모드에서 서브 샤시(2)가 메인 베이스(1)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브 샤시(2)에 조립된 공급측 로딩 암(72)이 축핀(7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공급측 로딩 암(72)과 기어 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공급측 폴 베이스(75)가 축핀(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텐션 레버(9)도 메인 베이스(1)에 형성된 캠홈을 따라 축핀(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과 일측 걸림핀(83a)으로 연결된 연결 레버(83)도 공급측 로딩 암(7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축핀(8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역시 그 연결 레버(83)와 타측 걸림핀(83b)으로 연결된 중간 레버(84)도 축핀(8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 레버(84)의 회전에 의해 그 중간 레버(84)에 연결된 권취측 로딩 암(85)의 회동력이 권취측 폴 베이스(88)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권취측 폴 베이스(88)가 서브 샤시(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87)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 로딩 암(72)의 공급측 폴(74)과, 텐션 레버(9)의 텐션 포스트(5), 그리고 권취측 폴 베이스(88)의 슬랜트 포스트(90) 및 가이드 롤러(91)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 헤드드럼의 양측으로 로딩된다.
이후,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3)가 시계 방향으로 약간 더 회전하게 되면, 펑션 플레이트(4)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이 공급측 로딩 암(72)의 안내장공(72b)을 따라 이동하여 그 이동 경로상에 놓여져 있는 탄성부재(77)를 밀게 되며, 이와 같이 탄성부재(77)를 미는 힘이 공급측 로딩 암(7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그 공급측 로딩 암(72)을 안정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펑션 플레이트(4)의 이동 동작에 의해 그 펑션 플레이트(4)에 형성된 캠공(78)의 연부가 중간 레버(84)의 걸림핀(84b)을 밀게 되므로, 중간 레버(84)가 축핀(8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하여 권취측 폴 베이스(88)가 메인 베이스(1)의 가이드 레일(87')을 따라 더 이동하게 됨으로써 로딩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0는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PB 모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PB 모드에서는 핀치 롤러(6) 및 테이프 가이드(7)도 완전하게 테이프 주행 안내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특히 핀치 롤러(6)는 소정의 압력으로 캡스턴 모터(M)의 샤프트(S)에 압착하여 테이프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PB 모드에서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 신호가 인가되면, 캡스턴 모터(M)의 모터 기어(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캠기어(3)로 전달되어 캠기어(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그 캠기어(3)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펑션 플레이트(4)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해 서브 샤시(2)가 전방을 향하여 직선 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에 지지되어 있는 공급측 로딩 암(72)이 서브 샤시(2)의 언로딩 동작에 의해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다시 공급측 폴 베이스(7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공급측 폴(74)에 지지된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공급측에서의 자기 테이프 언로딩 동작과 동시에, 펑션 플레이트(4)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 펑션 플레이트(4)애 형성된 캠공(78)의 위치도 우측으로 이동되며, 그 캠공(78)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중간 레버(84)의 걸림핀(84b)을 밀어 상기 중간 레버(84)를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게 된다.
이 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샤시(2)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공급측 로딩 암(7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바, 그 공급측 로딩 암(72)의 안내장공(72c)에 삽입된 연결레버(83)의 걸림핀(83a)이 안내장공(72c)의 반경이 점차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연결레버(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연결레버(83)의 타측연부에 고정된 걸림핀((83b)이 중간 레버(84)의 걸림홈(84a)에 걸리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레버(83)의 계속되는 회동 동작으로 중간 레버(84)가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중간 레버(84)에 연결된 권취측 로딩 암(85)의 권취측 폴 베이스(88)가 서브 샤시(2)의 가이드 레일(87)을 따라 전방측으로 언로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는, 메인 베이스 상에서 단일 구동원의 구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과, 서브 샤시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하여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으로 연동되는 제 1 동력전달수단 및 제 2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타측단부에 헤드드럼의 권취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이동력을 제 1 동력전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 중계수단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테이프 주행 요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잡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폴 베이스의 구동이 좁은 공간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크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인 샤시에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는 서브 샤시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일 동력원으로 주행계 및 로딩계에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로딩계의 구동으로 권취측 폴 베이스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기 테이프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상에서 단일 구동원의 구동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서브 샤시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하여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으로 연동되는 제 1 동력전달수단, 제 2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타측단부에 헤드드럼의 권취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이동력을 제 1 동력전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 중계수단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중계수단은 서브 샤시의 일측에 회전 가능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공급측 폴 베이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측 로딩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로딩 암의 소정 부위에 반경이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캠공이 형성되고, 그 캠공에 제 1 동력전달수단의 걸림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은 일측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시 제 1 동력전달수단의 타측단부에 구비된 걸림부에 의해 연동되며, 타측부에 별도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자기 테이프의 로딩시 슬라이드수단의 이동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KR1019980053716A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KR10027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16A KR100277740B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US09/456,420 US6449118B1 (en) 1998-12-08 1999-12-08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4947299A JP3432779B2 (ja) 1998-12-08 1999-12-08 磁気記録再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16A KR100277740B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51A KR20000038651A (ko) 2000-07-05
KR100277740B1 true KR100277740B1 (ko) 2001-01-15

Family

ID=195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16A KR100277740B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7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5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74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10027774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US5005094A (en)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KR10031272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드럼모터를이용한테이프가이드장치
KR20021079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US6702080B2 (en) Clutch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777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H0233312Y2 (ko)
KR2001001068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KR10027464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계 동력 전달장치
JP3984711B2 (ja) リール台装置
JPS6346913Y2 (ko)
US6095447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reel mount device for mounting tape reel thereon
JPH06309638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ヘッドドラム及びテープ駆動装置
JP307955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H031741B2 (ko)
JPH0422422Y2 (ko)
JPS6346912Y2 (ko)
KR10054538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 시스템
JPH0521713Y2 (ko)
JPH0725880Y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016231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