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96Y1 -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96Y1
KR200210796Y1 KR2019980024473U KR19980024473U KR200210796Y1 KR 200210796 Y1 KR200210796 Y1 KR 200210796Y1 KR 2019980024473 U KR2019980024473 U KR 2019980024473U KR 19980024473 U KR19980024473 U KR 19980024473U KR 200210796 Y1 KR200210796 Y1 KR 200210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ole base
seating
side po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80U (ko
Inventor
최도영
조영호
최형석
백충흠
김준영
이승우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4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96Y1/ko
Priority to US09/456,420 priority patent/US6449118B1/en
Priority to JP34947299A priority patent/JP3432779B2/ja
Publication of KR20000011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96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드럼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자기 테이프의 공급측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하부 안내수단 및 상부 안내수단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로딩 완료시점에서 상기 상부 안내수단에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정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로딩 완료 시점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안착되는 센터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의 사이드 안착수단과 가운데의 센터 안착수단의 안착 동작으로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를 3점 지지 방식으로 보다 안정하게 지지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본 고안은 캡스턴 모터만으로 주행계 및 로딩계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에 있어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를 3점 지지 방식으로 보다 안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자기기록재생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여러 선진업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현대인들에 있어서는 하나의 생활 필수품처럼 느껴질 정도이다.
현재 가정용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기기록재생기는 대부분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채용한 ½ 인치 테이프 카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기록재생기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홀더와, 이 카세트 홀더를 기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들여 메인 데크 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들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에 수납된 자기 테이프를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된 회전 헤드드럼 측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기 위한 테이프 로딩/언로딩 장치와, 상기 자기 테이프가 일정 경로를 따라 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투입구로 테이프 카세트를 가볍게 밀어 넣으면, 그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홀더에 수납되는 동시에, 그 카세트 홀더는 메인 데크 상에 안착되며, 이 후, 테이프 로딩/언로딩 장치를 구성하는 공급 및 권취측 폴 베이스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이끌고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헤드드럼 측으로 로딩시켜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상기한 자기기록재생기를 응용하여 휴대가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테이프 레코더가 널리 알려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자기기록재생기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전체 크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는 테이프 가이드 요소 부품, 예를 들어, 슬랜트 폴 또는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폴 베이스가 데크 메커니즘의 로딩 동작시 테이프 카세트 내부의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에 소정의 각도만큼 권취시키고 또한 PB 모드와 같은 특정 모드 또는 다기능 수행시 헤드드럼에 안내되는 자기 테이프의 자세 및 높이를 항상 일정하도록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테이프 가이드수단은 특히 헤드드럼의 입구측에서 폴 베이스의 유동을 방지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의 소정 부위에 V자 형상의 안착홈(101)이 형성된 스토퍼(100)가 고정되어 있고, 소정의 로딩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자기 테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공급측 폴(111)이 세워져 있으며, 상기 공급측 폴(111)의 하단부에는 스토퍼(100)의 안착홈(101)에 안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112)는 경우에 따라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하면에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의하면, 공급측 폴 베이스(110)가 통상적인 주행계의 동력으로 로딩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급측 폴(111)에 의해 자기 테이프의 로딩이 이루어지며,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공급측 폴(111)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112)가 스토퍼(100)의 안착홈(101)에 가이드됨으로써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안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알려진 바와 같은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는, 단순하게 공급측 폴 베이스(110)의 위치 결정부(112)가 스토퍼(100)의 안착홈(101)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써 공급측 폴 베이스(110)를 안정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를 3점 지지 방식으로 보다 안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측면도.
도 2는 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드럼모터를 이용한 테이프 가이드장치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을 보인 것으로,
도 3은 서브 샤시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는 서브 샤시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베이스 75 ; 공급측 폴 베이스
75a ; 안착홈 75b,75c ; 사이드 안착돌기
100 ; 가이드 브래키트 101 ; 하측 안내부
102 ; 상측 안내부 103 ; 원추형 안내돌기
104 ; 센터 안착돌기 105 ; 지지돌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딩계의 구동으로 공급측 폴 베이스가 헤드드럼의 공급측 로딩 최종 지점에서 안착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드럼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자기 테이프의 공급측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하부 안내수단 및 상부 안내수단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로딩 완료시점에서 상기 상부 안내수단에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정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로딩 완료 시점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안착되는 센터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3점 지지 방식으로 공급측 폴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안착수단은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안착수단의 하면에 접촉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위치 결정수단은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대략 V자형 안착홈이 안내되는 원추형 안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안착수단은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접촉 지지되는 센터 안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드럼모터를 이용한 테이프 가이드장치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가 적용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조적인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은 하나의 동력원, 즉 캡스턴 모터(M)의 동력을 이용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릴을 구동시키는 주행계와,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를 주행 경로로 이동시키는 로딩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로딩계는 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으로 보아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과, 그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에 연동되는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 그리고 로딩계 동력 전달수단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 메커니즘의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 베이스(1)의 상면에 서브 샤시(2)가 통상적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소정의 길이만큼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일측, 즉 서브 샤시(2)의 하측에는 캠기어(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캠기어(3)에 인접한 메인 베이스(1)의 상면 타측에는 캡스턴 모터(M)의 동력을 캠기어(3)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캠기어(3)와 동력전달수단의 상측에는 펑션 플레이트(4)가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서브 샤시(2)에는 앞에서 설명한 주행계와, 로딩계를 이루는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 및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공급릴 어셈블리(10) 및 권취릴 어셈블리(20)와, 상기 공급릴 어셈블리(10) 및 권취릴 어셈블리(2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공급 및 권취측 브레이크수단(11)(21)과, 테이프의 로딩시 테이프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포스트(5), 그 외에 핀치 롤러(6) 및 테이프 가이드(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션 포스트(5)는 축핀(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텐션 레버(9)에 세워져 있으며, 그 텐션 레버(9)는 메인 베이스(1)에 형성된 캠홈(1a)에 의해 서브 샤시(2)의 이동 동작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캡스턴 모터(M)의 모터 기어(31)와, 메인 베이스(1)의 상면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모터 기어(31)와 항시 맞물리는 구동기어 풀리(32)와,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전방 중간부에 축핀(3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경이 각각 다른 상,하부 기어(34)(35)가 일체로 형성된 중심기어 풀리(36)와, 상기 구동기어 풀리(32) 및 중심기어 풀리(36)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37)와, 상기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을 캠기어(3)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gear train)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어열은 중심기어 풀리(36)의 하부 기어(35)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 1 동력전달기어(38)와, 상기 제 1 동력전달기어(38)에 항시 맞물리는 제 2 동력전달기어(39)와,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39) 및 캠기어(3)에 항시 맞물리는 제 3 동력전달기어(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동력전달기어(39)의 회전 중심축(41)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작동레버(4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작동레버(42)의 일측단부에는 제 1 동력전달기어(38)가 축핀(4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작동레버(42)의 회동 동작에 따라서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이 제 1 동력전달기어(38)로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펑션 플레이트(4)는 통상적인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좌,우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소정 부위에 고정된 제 1 캠핀(4')이 캠기어(3)의 제 1 캠홈(3a)에 삽입되어 있어, 캠기어(3)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1)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 부위에는 연동레버(51)가 축핀(5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연동레버(51)의 단부에는 걸림핀(53)이 고정되어 있어, 서브 샤시(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레버(51)의 소정 부위에는 제 2 캠핀(51')이 고정되어 있고, 그 제 2 캠핀(51')은 캠기어(3)의 제 2 캠홈(3b)에 삽입되어 있어, 캠기어(3)의 회전에 따라 연동레버(51)를 연동시킴으로써 서브 샤시(2)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행계는 중심기어 풀리(36)가 지지되고 서브 샤시(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축핀(3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아이들 플레이트(61)와, 상기 아이들 플레이트(61)에 축핀(6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공급릴 어셈블리(10) 또는 권취릴 어셈블리(20)의 릴기어(10a)(20a)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63)와, 특정 모드에서 상기 아이들 기어(63)의 회전력이 공급릴 어셈블리(10)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로딩계의 공급측 폴 베이스 구동수단은, 별도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사용하지 않는 회전 레버 방식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서브 샤시(2)의 상면 후방측 소정 부위에 축핀(71)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브 샤시(2)의 로딩 동작에 연동되는 공급측 로딩 암(72)과,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의 후방측 서브 샤시(2)의 상면에 축핀(7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급측 로딩 암(72)에 연동되며 일측에 공급측 폴(74)이 세워져 고정된 공급측 폴 베이스(7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 및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대향부위는 서로 기어식으로 맞물려 있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의 일측에는 안내장공(72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장공(72b)에는 상기 펑션 플레이트(4)의 상면에 고정된 걸림핀(76)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안내장공(72b)의 내측에는 압착구간(72b')을 갖는다.
상기 공급측 로딩 암(72)에는 비틀림 스프링(77)이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안내장공(72b)의 이동 경로 상을 지나도록 되어 있어, 펑션 플레이트(4)의 이동에 따라 걸림핀(76)이 안내장공(72b)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다가 비틀림 스프링(77)의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공급측 폴 베이스(75)를 로딩 완료시점에서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일측변부에는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정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대략 V자 형태의 안착홈(75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홈(75a)의 양측 상면 선단부에는 사이드 안착돌기(75b)(7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이스(1)의 후방측는 공급측 폴 베이스(75) 및 권취측 폴 베이스(88)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브래키트(100)가 고정 나사 등의 통상적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바, 그 가이드 브래키트(100)의 공급측에는 하측 안내부(101) 및 상측 안내부(102)가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안내부(101)의 상면 후방측에는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안착홈(75a)이 안내되는 원추형 안내돌기(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측에는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하면 중간부가 안착되는 센터 안착돌기(1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안내부(102)는 공급측 폴 베이스(72)의 사이드 안착돌기(75b)(75c)가 접촉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75)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하면 소정 부위에는 하측 안내부(101)의 센터 안착돌기(104)에 안착되는 지지돌부(10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ESP 모드를 보인 것으로, 메인 베이스(1)로부터 서브 샤시(2)가 최대로 이젝트된 상태이며, 펑션 플레이트(4)는 메인 베이스(1) 상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세트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카세트 하우징의 안착 동작에 의해 캡스턴 모터(M)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 기어(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 기어(3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 풀리(32) → 타이밍 벨트(37) → 중심기어 풀리(36)로 전달되어, 그 중심기어 풀리(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력은 다시 하부 기어(35) → 제 1 동력전달기어(38) → 제 2 동력전달기어(39) → 제 3 동력전달기어(40) → 캠기어(3)로 전달되어, 그 캠기어(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중심기어 풀리(36)의 회전에 의해 그 중심기어 풀리(36)에 형성된 상부 기어(34)에 맞물린 아이들 기어(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아이들 플레이트(61)는 회전 중심인 축핀(33)에 대하여 시계 방향의 회동력을 갖게 되므로, 아이들 기어(63)가 권취릴 어셈블리(20)의 릴기어(20a)에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권취릴 허브를 회전시켜 자기 테이프가 풀려지게 한다.
한편,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해 메인 베이스(1)와 서브 샤시(2)를 연결하고 있는 연동레버(51)의 회전 동작으로 서브 샤시(2)가 메인 베이스(1)의 내측을 향하여 직전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서브 샤시(2)의 이동에 의해 로딩계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에 공급측 로딩 암(7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서브 샤시(2)가 메인 베이스(1)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브 샤시(2)에 조립된 공급측 로딩 암(72)이 축핀(7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공급측 로딩 암(72)과 기어 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공급측 폴 베이스(75)가 축핀(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텐션 레버(9)도 메인 베이스(1)에 형성된 캠홈(1a)을 따라 축핀(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는 공급측 로딩 암(72)의 공급측 폴(74)과, 텐션 레버(9)의 텐션 포스트(5)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헤드드럼의 양측으로 로딩된다.
이후,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캠기어(3)가 시계 방향으로 약간 더 회전하게 되면, 펑션 플레이트(4)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이 공급측 로딩 암(72)의 안내장공(72b)을 따라 이동하여 그 내측에 형성된 압착구간(72b')에 놓여져 있는 탄성부재(77)의 일측부를 밀게 되며, 이와 같이 탄성부재(77)를 미는 힘이 공급측 로딩 암(7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그 공급측 로딩 암(72)을 안정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도 5 및 도 6,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V자 형태 안착홈(75a)이 가이드 브래키트(100)의 원추형 안내돌기(103)를 타게 되므로 소정의 높이 만큼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급측 폴 베이스(75)가 정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상승 동작으로 그의 양측 사이드 안착돌기(75b)(75c)가 가이드 브래키트(100)의 상측 안내부(102) 하면 양측에 접촉 지지되는 동시에,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하면 중간부에 형성한 지지돌부(105)가 하측 안내부(101)의 센터 안착돌기(104)에 접촉 지지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75)를 3점 지지 방식으로 평면 자세를 보다 안정하게 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 신호가 인가되면, 캡스턴 모터(M)의 모터 기어(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캠기어(3)로 전달되어 캠기어(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그 캠기어(3)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펑션 플레이트(4)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이 공급측 로딩 암(72)의 압착구간(72b')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탄성부재(77)의 가압력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으며, 이와 동시에, 캠기어(3)의 회전에 의해 서브 샤시(2)가 전방을 향하여 직선 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펑션 플레이트(4)의 걸림핀(76)에 지지되어 있는 공급측 로딩 암(72)이 서브 샤시(2)의 언로딩 동작에 의해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공급측 로딩 암(72)의 회전 동작에 의해 공급측 폴 베이스(7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브래키트(100)의 하측 안내부(101) 및 상측 안내부(102)으로부터 벗어나 그 공급측 폴 베이스(75)의 공급측 폴(74)에 지지된 자기 테이프의 언로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급측 폴 베이스(75)가 회전 레버식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과 같은 링크 타입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는, 헤드드럼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자기 테이프의 공급측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하부 안내수단 및 상부 안내수단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로딩 완료시점에서 상기 상부 안내수단에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정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로딩 완료 시점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안착되는 센터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자기 테이프의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를 3점 지지 방식으로 보다 안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로딩계의 구동으로 공급측 폴 베이스가 헤드드럼의 공급측 로딩 최종 지점에서 안착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드럼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자기 테이프의 공급측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하부 안내수단 및 상부 안내수단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로딩 완료시점에서 상기 상부 안내수단에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정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로딩 완료 시점에서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안착되는 센터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3점 지지 방식으로 공급측 폴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안착수단은 공급측 폴 베이스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안착수단의 하면에 접촉 지지되는 사이드 안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결정수단은 하부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대략 V자형 안착홈이 안내되는 원추형 안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안착수단은 하부 안내수단의 타측에 구비되어 공급측 폴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가 접촉 지지되는 센터 안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KR2019980024473U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KR200210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473U KR200210796Y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US09/456,420 US6449118B1 (en) 1998-12-08 1999-12-08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4947299A JP3432779B2 (ja) 1998-12-08 1999-12-08 磁気記録再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473U KR200210796Y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80U KR20000011780U (ko) 2000-07-05
KR200210796Y1 true KR200210796Y1 (ko) 2001-03-02

Family

ID=6950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473U KR200210796Y1 (ko) 1998-12-08 1998-12-08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80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52129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равки носител информации в магнитофоне
US644911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21079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469225B1 (ko) 녹음및/또는재생장치
KR10027774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H0210502B2 (ko)
KR10031272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드럼모터를이용한테이프가이드장치
KR10054539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슬랜트 베이스구조
KR1002777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27464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계 동력 전달장치
KR2001001068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2667843B2 (ja) テープレコーダ
KR10054538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 시스템
KR970003489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ini disc player)의 바이어스 자계코일헤드 구동장치
JPS6341639Y2 (ko)
JPH0447777Y2 (ko)
KR013373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역회전 제동장치
KR900005639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42457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슬랜트베이스 가이드구조
KR10042456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기어 조립체
JPH0725880Y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3174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