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53B1 -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 Google Patents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53B1
KR850001453B1 KR8200656A KR820000656A KR850001453B1 KR 850001453 B1 KR850001453 B1 KR 850001453B1 KR 8200656 A KR8200656 A KR 8200656A KR 820000656 A KR820000656 A KR 820000656A KR 850001453 B1 KR850001453 B1 KR 850001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de
cam
loading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567A (ko
Inventor
스다겐이찌
가쯔노 다마기
와지 다지이지
고오 이찌로 아메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야나기세 노보루
택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야나기세 노보루, 택크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3000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 G11B15/6756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of the cassette with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one loading ring, i.e. "C-type"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제1도 내지 제25a도, 제25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비듸오테이프 레코오더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로오딩 모우드 전의 전체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로오딩 모우드 시의 전체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3a도는 카셋트 장진 장치의 측면도.
제3b도는 카셋트 장진장치와 로오딩 데스크의 일부를 표시한 평면도.
제4a도, 제5a도는, 제3a도와 상이한 상태를 나타낸 제3a도와 대응한 측면도.
제4b도, 제5b도는, 제3b도 도면과 상이한 상태를 표시한 제3b도와 대응한 평면도.
제6도는, 카셋트 검출부재와 제1의 디렉트 암과의 관계를 표시한 사시도.
제7a도는 제1의 디렉트 암과 카세트 스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평면도.
제7b도는 카셋트 검출부재와 제1의 디렉트 암과의 계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모우드 절환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9a도 내지 제9f도는 모우드 절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a도는 모우드 절환장치의 전체개요를 표시한 평면도.
제10b도는 동 모우드 절환장치를 표시한 단면도.
제11a도는, 장치의 개략적 전기 블록도.
제11b도는, 캠스윗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모우드 절환장치를 각각 상이한 모우드 설정위치로 표시한 평면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리일대 구동장치와 테이프 렌숀 제어 장치 등을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표시한 평면도.
제16도는, 브레이크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제17도는, 서프라이 리일대와 테이크엎 리일대와 구동기구와의 관계를 표시한 일분 절개정면도.
제18a도 내지 제18b도는, 서프라이 리일대를 각각 표시한 일부 절개정면도 및 단면도.
제19a도 내지 제19b도는, 리일대 구동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제20a도 내지 제20c도는, 리일대 구동장치를 표시하며,
제20a도는, 리일 드라이브 샤시와 전동 슬라이더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제20b도는, 리일 드라이브 샤시와 슬라이더와 브레이크 레버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제20c도는, 전동기어와 전동휠기어 등을 표시한 평면도.
제21a도 내지 제21c도는, 리일대 구동장치와 디렉트암과를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표시한 평면도.
제22a도 내지 제22b도는 로오딩 데스크와 디렉트암과의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3a도 내지 제23b도는 모우드 절환장치와 리일대 구동장치와의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4a도는, 로울러 크럿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5a도 내지 제25b도는 브레이크 장치의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발명은 로오딩 데스크(Loading Desk)의 회전에 의하여 로오딩과 언로오딩(Unloading) 등 기능을 수행하며, 서플라이 리일(supply Reel) 대 및 테이크 엎 리일(Take up Reel)과,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기록(Record), 재생(play), 권취(Rewind), 조송(F. F), 정지(Stop) 모우드를 설정하는 리일대 구동장치를 갖는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특히 소형, 경량화에 적합한 비듸오테이프 레코오더에 관한 것이다.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이하 VTR 라함)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의 튜너에서의 신호 및 텔레비젼 카메라에서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VTR은 텔레비젼 카메라와 같이 사용할 경우, 그 VTR은 특히 경량, 소형으로서 운반에 편리함이 요망되고 있고, 또 VTR는 튜너와 같이 사용될 경우, 혹은 카메라와 같이 사용할 경우, 모두는 조작성이 양호한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VTR의 조작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종래는, 다수의 플런저(Plunger)를 사용하여 이에 의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였었다. 예컨데, 서플라이리일대(Supply up Reel臺), 테이크 엎 리일대(Take up Reel臺)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기록, 재생, 권취, 조송, 정지 모우드를 설정하기 위하여는 최저 4개의 플런저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VTR의 중량의 증대를 초래할 뿐 아니라, 생산가도 한층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오딩 데스크(Loading Desk)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모우터의 힘을 동작 모우드의 절환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모우드 전환을 위한 플런저의 사용을 없이하여, 경량, 소형화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조직성이 우수한 비듸오테이프 레코오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모우터와 로오딩 데스크 및 리일대 구동장치와의 사이에 이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접촉 가능한 모으드 절환수단을 형설함에 따라, 로오딩 데스크를, 로오딩 또는 언 로오딩하기 위한 모우터의 회전력으로 리일대 구동장치의 동작 모우드 선정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동작 모오드 설정을 위한 플런저는 필요로 하지 않아 VTR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제 1 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비듸오테이프 레코오더의 기구를 전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로오딩 개시전 혹은 언 로오딩의 완료후의 상태, 제 2 도는 로오딩 완료 혹은 언 로오딩의 개시전의 상태이다. 11은 로오딩 데스크 A는 서플라이 리일대 장치, B는 테이크 엎 리일대 장치이다. 자기 테이프C(제 2 도에 표시)를 수용한 카셋트는 카셋트 장진장치(D)에 의하여 리일대장치(A), (B)에 관련된다. 리일대장치 A에는, 브레이크장치 E, 리일대장치 B에는 브레이크장치 F가 각각 작용한다. 또 테이크 엎 리일대장치 B의 회전은 카운터벨트 330, 중 계풀리 331, 카운터벨트 332를 개하여 카운터 N에 전달된다.
자기테이프 C는 VTR에 카셋트가 장진되었을 때, VTR의 로오딩에 의하여 카세트 케이스에서 인출된다. 자기테이프 C, 카셋트 케이스에서 인출될 때, 실린더 J의 주변 일부에 접하도록 안내된다. 실린더 J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하 일대의 실린더로 되며, 양 실린더 사이의 간극에는 회전 헷드가 위치한다. 이 회전 헷드는, 실린더 J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간극을 따라 회전된다. 회전 헷드가 회전됨에 따라 자기테이프 C는 그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로 스캔(scan) (즉 헤리칼스캔)(Helical scan)된다.
자기테이프 C의 주행로 도중에는 훌이레이즈 헷드(Full erase Head) 22, 오디오·콘트롤 헷드(Audio control Head) 23, 오디오·이레이즈 헷드 24가 배설되어 있다. 또 자기테이프 C의 주행로 중간에는 제 1 ∼ 제 4 의 가이드 폴(Guide pole) 25, 26, 27, 28이 VTR 샤시에 기립하여 배설되여져 있다.
로오딩 데스크 11은 VTR의 로오딩 혹은 언 로오딩 때, 도시 화살표 a 6방향 혹은 a 5방향으로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VTR의 로오딩 때에는, 제 1 도시 회전위치에서 제 2 도시 회전위치까지 도시 화살표 a 6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부품의 동작방향을 도시한 화살표는, 모아서 1개소로 표시한다. 또 VTR의 언 로오딩 일때는, 제 2 도시 회전위치에서 제 1 도시 회전위치까지 도시 화살표 a 5방향에 회전된다. 로오딩 데스크 11의 상부 회전면에는 핀치 로울러 12가 회전 자재인 지지암 13을 개하여 취부되여 있다. 이 핀치로울러 12는, 로오딩 완료후에는 제 2 도시 위치에 있다. 그리고 VTR의 재생 모우드 혹은 기록 모우드 일때는 핀치 로울러 12는 핀치 로울러 구동장치 G에 의하여 캡스탠(Gapstan) 31측에 압압된다. 핀치 로울러 12와 캡스탠 31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 G가 협지되어 캡스탠 31이 회전되었을 때, 자기 테이프 G는 주행할 수 있다.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G는 제13도 내지 제14도로서도 설명된다. 캡스탠 31은 후라이 휠 32에 동축적으로 형성되여, 후라이 휠 32는 캡스탠 모우터 34에 의하여 캡스탠 밸트 33을 개하여 일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로오딩 데스크 11의 상부 회전면에는, 선도폴 14, 제 1, 제 2, 제 3 의 리턴(Return)폴 15, 16, 17도 기립, 형성되여져 있다. 선도폴 14는, 로오딩 데스크 11은 제 1 도시 위치에서 제 2 도시 위치로 회전할 때에 자기 테이프 C를 회전시킨다. 제 1, 제 2, 제 3 의 리턴폴 15, 16, 17은 로오딩 데스크 11의 상부를 따라 테이프의 주행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로오딩 데스크 11의 외 주위에는 대체로 전주에 걸쳐 치차부 11a가 형성되여 있으며, 이 치차부 11a에 회전력이 부여됨으로서 이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시화살표 a5 혹은 a6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치차부 11a와 로우드 절환장치 M의 관계는 제 8 도 내지 제10도에서도 설정된다.
다시 로오딩 데스크 11에는 복수의 캠수단이 형성되여 있으며, 각 캠수단은, 로오딩 데스크 11가 회점함에 따라, 각각의 목적을 달성한다. 로오딩 데스크 11의 내주위 측에는 텐숀 암 210등으로 구성되는 테이프 텐숀 제어장치 H를 제어하기 위한 캠구조가 형성되여 있다. 이 캠구조는, 캠면 18, 캠부 19 등을 가지며, 테이프 텐숀 제어장치 H는 제13도 내지 제15도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 로오딩 데스크 11의 외 주위측에는, 카셋트 장진장치 D를 제어하기 위한 캠구조가 형성되여 있다. 이 캠구조는, 캠면 20, 21 등을 갖이며, 카셋트 장진 장치 D는, 제 3 도 내지 제 7 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또 로오딩 데스크 11의 외 주위측에는 리일대 구동장치 L를 제어하기 위한 가변각 캠기구 K가 형성되여 있다.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A, 테이크 엎 리일대장치 B의 사이에는 리일대 구동장치 L가 배설되여 있으며, 리일대 구동장치 L는, VTR의 각종 모우드에 맞추어 리일모우터 401의 회전력을 서플라이 리일대 301 혹은 테이크 엎 리일대 311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VTR의 로오딩 모우드 일때는, 이 구동장치 L의 전동 휠 기어(Idlee wheel Gear) 427, 전동기어 432는 리일대 301, 311의 중간위치, 즉 양 리일대와 계합하지 않는 위치에 보지된다.
VTR의 언 로오딩 모우드 일때는, 전동 휠 기어 427의 그 축을 중심으로 한 도시 화살표 a6방향의 회전력이 테이크 엎 리일대 311에 전달되어 이 리일대를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한다.
VTR의 F. F 모우드, 고속재생 모우드 일 때도, 전동 휠 기어 427의 도시 화살표 a6방향의 회전력이 테이크 엎 리일대 311에 전달된다. VTR의 Rewind 모우드, 역방향 고속재생 모우드일 때는, 전동 휠 기어 427의 도시 화살표 5방향의 회전력이 서플라이 리일대 301에 전달되여 이 서플라이 리일대를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VTR의 기록 혹은 재생 모우드일 때는, 전동기어 432의 그 축을 중심으로 한 도시 화살표 a6방향의 회전력이 테이크 엎 리일대 311에 전달된다. 다시 또 VTR의 역송 재생 모우드일 때는 전동기어 432의 도시 화살표 a5방향의 회전력이 서플라이 리일대 301에 전달된다. 리일대 구동장치 L는, 도면 제19a도 내지 제21도에 있어서 설명된다.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A, 테이크 엎 리일대장치 B에 대하여는 각각 브레이크장치 E, F 등이 작용한다. 서플라이 리일대 301은, VTR가 기록 또는 재생 모우드일 때, 밴드 브레이크 280에 의하여 그 회전부하를 제어 된다. 또 서플라이 리일대 301은 VTR이 언 로오딩 모우드일 때, 이 젝트(EJECT) 브레이크 레버 460에 의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도시 화살표 a5방향에 대하여는 제동되며 일정의 방향(도시 화살표 a6방향)에 대하여 회전을 허용한다. 이는 VTR의 언 로오딩 모우드에 있어서는 테이크 엎 리일대 311측에서 테이프 권취를 하게 되는데 그때 서플라이 리일대 301이 상기 테이크 엎 리일대 311의 테이프 권취동작에 부수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오딩과 언 로오딩 사이에서의 테이프 위치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테이크 엎 리일대 장치 B에 대하여는 브레이크장치 F가 작용한다. 이 브레이크장치 F는, 테이크 엎 리일대 311이 그 중심축을 중심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부하를 주지 않는다. 이 브레이크장치 F는 VTR가 역송 재상 모우드일 때, 테이크 엎 리일대 311에 브레이크를 걸어 테이프 주행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적정한 백 텐숀(Back tension)을 부여한다. 브레이크장치 F는, 제17도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모우드 절환장치 M는, 로오딩 모우더 101에 의하여 구동되며,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로오딩 데스크 11을 도면 제 1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 구동 할 수가 있다. 또 VTR의 언 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로오딩 데스크 11을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구동할 수가 있다. 다시 이 모우드 절환장치 M는 여러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VTR의 조작부에 있어서 기록 모우드, 재생 모우드, F, F모우드, Rewind모우드, 역 재생 모우드, 정지화 재생 모우드, 일시 정지 모우드의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을 경우, 이 모우드 절환장치 M는 VTR의 매카니즘(Machanism)을 그 조작된 모우드에 절환할 수가 있다. 모우드 절환장치 M는 제 8 도 내지 제12도에서 설명된다. 다음에 이 VTR는, 각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한다. 먼저, 카세트를 VTR의 소정 위치에 장진함과 동시에 이 소정위치에 장진된 카셋트를 VTR에서 취출하기 위한 카셋트 장진장치에 대하여 도면 제 3a 도, 제 3b 도 내지 제 5a 도, 제 5b 도 및 제 6 도, 제 7a 도, 제 7b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면 제 3a 도, 제 4a 도, 제 5a 도는 카셋트 장진장치 부근의 측면도, 도면 제 3b 도, 제 4b 도, 제 5b 도는 카셋트 장진기구 부근을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면 제 3a 도, 제 3b 도는 카셋트가 VTR의 소정위치에 장진되기 이전상태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중 50은 카셋트 홀더(Holder)로서, 예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도시않음)를 개하여 내부에 카셋트를 수납한다. 이 카셋트 홀더 50은, 예 VTR본체의 캐비넷에 형성된 개구부(도시 않음)를 개하여 VTR본체 내부에 수납 혹은 VTR 본체 외부에 이탈된다. 카셋트 홀더 50의 예 : 전술한 카셋트 삽입용 개구부에 직교하는 측면에는 리프터 51, 링크 52의 각 일단이 회동 자재로 축지되어 있다. 이 리프터 51, 링크 52는 서로 평행으로 연출 그의 타단은, 상술한 VTR 본체의 개구부를 개하여 이 VTR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보지부 53에 회동자재로 축지되여 있다. 그리고 리프터 51의 일단은 카셋트 엎 스프링 54에 의하여 인장되여 있으며, 리프터 51이 도면 제 3a 도 중 화살표 a9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편기되여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 51은 카셋트 홀더 50의 도시한 측면과 대향한 측면에도 서로 이들과 동기하여 회동하도록 대설되어 있다. 또 카셋트 엎 스프링 54는 어느쪽이건, 편측 혹은 양측에 형성한다. 또 링크 52도 어느 편측 혹은 양측에 형성된다. 다시, 로울러 59는 카셋트 홀더 50의 일부 58에 형성되여 있으나, 리프터 51에 형성하여도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VTR 본체 내부에는 록커 55가 이의 하부에 추지된 록커 포스트 56을 지점축으로서 도면 제 3a 도 중 화살표 a9 및 a10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배설되어 있다. 이 록커 55는 스프링 57에 의하여 상시 도시 화살표 a9방향으로 편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카셋트 홀더 50을 하방향, 즉 도시 화살표 a8방향으로 압압하면 리프터 51, 링크 52가 도시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하고 카셋트 홀더 5001 VTR 본체 내부로 인도케 된다. 이때 카셋트 홀더 50에서 도시 화살표 a8방향으로 연재된 설편 15에 형성된 로울러 59가 상기 록커 55의 경사상단면에 당접하고, 이것을 도시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로울러 59가 록커 55의 일단측에 형성된 요소(凹所) 또는 계합부 60까지 오면 록커 55는 스프링 57의 장력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9방향으로 회동되어 로울러 59가 계합부 60안에 계합된다.
이에따라, 카셋트는 VTR 본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진된 것으로 되며, 전술한 바와같은 로오딩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를 도면 제 4a 도 및 제 4b 도에 표시한다.
또 상기 동작에 의하여 카셋트가 VTR 본체 내부의 소정위치에 장진된 것을 검출하고 전술한 로오딩의 개시 타이밍을 얻기 위한 기구도 형성되어 있다. 즉, VTR 본체 내부에는 수직 포스트 61(도면 제 4b 도에서는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다)를 지점축으로서 제 1 의 디텍트암(Detect Arm) 62가 도면 제 4b 도 중 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동자재 배설되여 있다. 이 제 1 의 디텍트암 62의 일방유단부는 상기 록커 55의 근방까지 연출하여서 형성되며, 또 타방의 유단부는 상세히 후술하겠으나, 상기 로오딩 데스크 11의 상면상측까지 연출되여 있다. 또 VTR 본체 내부에는, 카셋트 검출부재 64가 도면 제 4a 도, 제 6 도 중 화살표 a7 및 a8방향으로 즉, 수직방향으로 접동자재로 샤시에 배설되여 있다. 이 카셋트 검출부재 64는, 제 6 도시와 같이 통상, 인장스프링 65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7방향에 부세되여 있다. 또 상기 제 1 의 디텍트 암 62의 하단면과, 하부 연출부가 계합함에 따라, 도시 화살표 a8방향에의 접동이 규제되여 있다. 또 VTR 본체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 조작부 63에 의하여 조작되는 카셋트인 스위치 66이 배설되여 있다. 디텍트 암 62가 검출부재 64와 계합하고 있을 때는 그 조작부 63은 스위치 66에서 도면 제 7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격리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이 록커 55가 로울러 59에 의하여 압압되여 도면 제 3a 도 중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디텍트 암 62가 록커 55에 의하여 압압되어 도면 제 3b 도 중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제 6 도에서 설명한 디텍트 암 62와 카셋트 검출부재 64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여, 카셋트 검출부재 64는 도시 화살표 a8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같이 카셋트의 수납된 카셋트 홀더 50가 VTR 본체 내부로 인도되여 오면, 예 : 카셋트 홀더 50의 하면에 형성된 투공(도시않음)을 개하여 상기 카셋트 검출부재 64가 카셋트의 하면에 의하여 압압되여 도면 제 7b 도에 1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도시 화살표 a8방향으로 접동시킨다. 그리고 도면 제 4a 도, 제 4b 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울러 59가 록커 55에 의하여 계합되여서 카셋트 홀더 50이 VTR 본체 내부에 보지되면, 디텍트 암 62는 록커 55에 의한 회동규제는 해제된다. 따라서 디텍트 암 62는 도면 제 7a 도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스프링 67의 장력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카셋트인 스위치 66이 스위치 조작부 63에 의하여 조작된다.
이와같이 카셋트인 스윗치 66이 조작되면 VTR는 로오딩을 개시하고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면 제 4b 도에 표시한 바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카셋트 검출부재 64는 디텍트 암 12가 도면 제 7a 도 중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 한 도면 제 7b 도 중 화살표 a8방향으로 접동할 수 없어, 진동,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하여 카셋트 검출부재 64가 화살표 a8방향으로 접동하여 디텍트 암 62가 스위치 66을 조작하는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면 제 3a 도, 제 3b 도 내지 제 5a 도, 제 5b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카셋트를 VTR의 소정위치에 장진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이젝트 조작시에 록커 55에 의한 로울러 59가 록크를 해제하기 위한 록크 해제력을 비축하여 두고 그 힘으로 이 젝트 조작시에 방출함에 따라 카셋트를 VTR 본체에서 취출하기 위한 기구도 부가되여 있다.
이하, 그 기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VTR 본체 내부에는 리프터 51의 조작부 68에 의하여 조작되는 이젝트암 69가 포스트 70을 지점축으로서 도면 제 4a 도 중 화살표 a9 및 a10방향으로 회동 자재하게 샤시에 축지되며, 통상은 스프링 71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10방향에 부세되여 있다. 또 상기 록커 포스트 56에는 록크 해제암 72이 도시 화살표 a9 및 a10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축지되여 있다. 이 록크 해제암 72와 상기 이젝트 암 69사이에는, 암 72를 화살표 a9방향으로, 또 암 69를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부세한 스프링 73이 장설되여 있다. 또 록크 해제암 72와 록커 55는 록크 해제암 72에 경사지게 형성된 장공 74와 록커 55에 형성되여 장공 74중에 유삽된 돌기 75에 의하여 양자는 장공 74의 길이범위로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여 있다. 또 상기 수직포스트 61에는 제 2 도의 디텍트암 76이 도면 제 4b 도 중, 화살표 a5 및 a6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축지되여 있다. 이 제 2 도의 디텍트 암 76은, 통상 스프링 77에 의하여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여 유단부는 상기 록크 해제암 72의 하방향, a8에 도면 제 3b 도와 같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여 있다(도면 제 4b 도에서는 암 76은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되고 있고, 그 유단부는 암 72의 하방위치에서 시프트하여 있다). 또 상기 포스트 61에는 상기 제 1, 제 2 의 디텍트 암 62, 76사이에 제 3 의 디텍트 암 78이 도면 제 4b 도 중 화살표 a5 및 a6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축지되여 있다. 이 디텍트 암 78은 통상, 스프링 79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6방향에 회동 부세되여 소정위치에서 샤시의 돌출부에 당접하여 보지되어 있다. 또 디텍트 암 78과 76은 디텍트암 78이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면 이에 수반하여 디텍트암 76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78에 하방에 돌설된 핀이 후자의 우단측에 당접 되여 있다. 상기 디텍트암 62의 상기 로오딩 데스크 11의 상면 상방에 연재한 유단부하면에는 로울러 80이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여 있다. 상기 디텍트암 78의 상기 로오딩 데스크 11의 측면 가까이 연재된 유단부 하면에는 로울러 크럿치 81가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여 있다. 또 로오딩 데스크 11에 형성된 상술한 2개의 캠 21, 20은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되여 있다. 즉, 로오딩 데스크 11가 로오딩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캠면 21, 20은 각각 대응한 로울러 80, 로울러크럿치 81위치 부근에서 시작하여 로오딩 데스크 1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여 있다(도면 제 3b 도). 그리고, 로오딩 데스크 11은 로오딩 완료위치에 있을 때, 캠면 20은 로울러크럿치 81부근에서 종단이 되다, 캠면 21은 로울러 80위치 부근보다 다시 연재하도록 형성되여 있다(도면 제 4b 도).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면 제 3a 도, 제 3b 도에 있어서 전술과 같이 카세트 홀더 50을 화살표 a8방향으로 밀면, 상기 이젝트 암 69은 조작부 68에 의하여 밀려 도시 화살표 a9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록크 해제암 72가 스프링 73을 개하여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디텍트암 76의 상면에 유단부가 당접하여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돌기 75는 장공 74의 내주면에 당접하지 않는다. 이후는 이젝트 암 69만이 스프링 71, 73의 장력에 저항되여 다시 회동시키게 된다. 또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울러 59는 록커 55에 의하여 록크되며 카셋트인 스윗치 66이 스윗치 조작부 63에 의하여 조작되며,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면 제 3b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하여 로오딩이 개시된다. 로오딩 데스크 11가 회전하면, 로울러 크럿치 81이 캠면 20을 타고 상승하여 디텍트암 78, 76을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상태를 도면 제 4a 도, 제 4b 도에 표시한다. 이때, 디텍트 암 76과 록크 해제 암 72와의 당접상태가 해제됨으로 록크 해제암 72는 도면 제 4a 도중 화살표 a10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장공 74의 내주면이 돌기 75에 당접할 때까지 회동하여 멈춘다. 이때 록커 55는 도시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하는 일은 없다. 이는 디텍트 암 62가 캠면 21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을 규제하여 이 암 62를 록커 55등이 당접하고 있음에 기인한 것이다.
이 경우 디텍트암 62가 록커 55를 록크할 타이밍은, 디텍트암 76이 록크 해제암 72에 대한 록크를 해제하는 타이밍 보다 약간 빠르다. 이 상태는, 로오딩이 완료하여도 암 62의 로울러 80가 캠면 21에서 이완되지 않음으로 보지된다. 한편, 로울러 크럿치 81은 로오딩이 완료되면 캠면 20에서 이완됨으로, 디텍트 암 76, 78은 각각 스프링 77, 79의 장력에 의하여 도면 제 4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케 된다. 다만 디텍트암 76은 도면 제 3a 도, 제 3b 도에 표시한 상태와는 상이하며 록크 해제 암 72에 대하여 화살표 a5방향으로 변위하여 있다. 이 상태는 상술한 록크 해제력이 비축되여 있는 상태이다. 한편, 로울러 크럿치 81이 로오딩 완료시에 캠면 20에서 완해되는 것은 디텍트 암 78가 후술하는 로오딩, 언 로오딩시의 리일대의 브레이크 해제를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이며, 본 기구만의 목적이하면, 로울러 크럿치 81은 캠면 20에서 이완될 필요는 없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 조작이 이루어지면,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면 제 5b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한다. 로울러 크럿치 81은 일단, 캠면 20에 당접하여 디텍트 암 78, 76을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동작시켜, 도면 제 5a 도, 제 5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언 로오딩이 완료하면, 로울러 크럿치 81은 재차 캠면 20에서 이완되어 디텍트 암 78, 76을 도면 제 5b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되돌리게 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디텍트 암 76은 록크 해제암 72에 당접하고, 도면 제 5b 도의 1점 쇄선위치까지 밖에 돌아 가지 않으며, 따라서 재차 록크 해제암 72의 도면 제 5a 도 중, 화살표 a10방향의 회동을 저지하게 되며, 시기를 약 같이하여 로울러 크럿치 81도 캠면 21에서 이완됨으로, 록커 55는 디텍트 암 612에 의한 록크는 해제하게 된다. 때문에 스프링 73에 비축되어 있는 록크 해제력에 의하여 록크 해제 암 72는 도면 제 5a 도 중,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하고, 록커 55도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하며 디텍트 암 62가 도면 제 5b 도 중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하여 록커 55에 의한 로울러 59의 록크는 해제 되며 카세트 홀더 50이 VTR 본체 내부에서 들려진다. 이에 의하여 이젝트 암 69는 화살표 a10방향으로 회동함으로 록크 해제 암 72, 록커 55도 각각 화살표 a9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디텍트 암 76도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하고 카세트 검출부재 64도 화살표 a7방향으로 습동하고 도면 제 3a 도, 제 3b 도에 표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같이 카세트 홀더 50을 VTR 본체 내부의 소정위치에 장진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록크 해제 암 72에 록크 해제력을 부여하여, 디텍트암 76, 78이나 캠면 20을 형성함에 따라, 로오딩 개시전의 모우드에서는 이 록크 해제력이 록커 5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디텍트암 62이나 캠면 21을 형성함에 따라, 로오딩 개시전 이외의 모우드에서는 록커 55를 록크함에 따라 록크 해제력을 비축하여 두고, 언 로오딩이 종료한 시점에서 록커 55의 록크를 해제함에 따라 록크 해제력을 방출하여 록커 55에 의한 카셋트 홀더 50의 록크를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하여, 종래는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사용, 이젝트 조작시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구동함에 따라 록커에 의한 카셋트 홀더의 록크를 해제하는 구성이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VTR의 회로는 복잡하거나, 소비전력이 커지거나, 중량이 커지거나, 형상이 대형화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사용치 않고, 이젝트시, 사용자가 록크 해제 레버를 직접 조작함에 따라 록크 해제를 할 방법도 있었으나, 이 방법에서는 이젝트 조작은 즉, 훼저(Featheor)텃치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필수요소는 아니나, 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젝트 조작을 훼저 텃치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으로서 수개암이나, 스프링을 부가하는 것으로 족함으로 VTR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더욱이 전혀 기계적으로 처리됨으로 VTR의 회로도 간단하다. 한편, 조작부 68로서는 카세트 홀더 50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카세트 홀더 50의 장진 동작을 이용하여 록크 해제 암 72에 록크 해제력을 부여하는 수단은 카세트 홀더 50을 VTR 본체의 소정위치에 옮기거나 여기서 이탈하는 지지수단의 구성에 맞추어 여러가지 종류 및 여러가지 형 등으로 실시 가능하다. 또 디텍트암 78을 사용치 않고 디텍트암 78, 76을 일체로 성형하고, 양 암 78, 76이 갖는 기능을 하나의 암에 갖게 하여 이를 로오딩 데스크 11에 형성되는, 예컨데 캠면 등의 위치 규제부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도면 제 3a 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텍트 암 69를 록크 해제 암 72의 일부를 지점(도시의 경우, 측면 형상 원형의 부분)으로서 이 록크 해제 암 72에 스프링 73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 원형의 부분을 지점으로서 스프링 73에 의하여 이텍트 암 69에 작용하여 회전 모멘트를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면 스프링 71은 생략하여도 좋다.
도면 제 8 도, 제 9a 도 내지 제 9f 도 및 제 10a 도, 제 10b 도를 사용하여 본발명의 장점인 모우드 절환장치 M의 구성을 설명한다. 101은 로오딩 모우터이며, 모우터 브라켓트102(도면 제 8 도, 제 10a 도)에 의하여 보지되여 있다. 이 모우터 브라켓트 102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며, 이 모우드 절환장치 M 전체를 지지하고 VTR의 샤시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판으로서도 공용된다. 로오딩 모우터 101의 회전력은, 이들 회전축과 웜 기어 104등에 걸쳐진 벨트 103을 개하여, 브라켓트 1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여 있는 윔 기어 104에 전달된다. 이 웜 기어 104는, 원 휠105와 치합되여 있다(도면 제 9a 도). 웜 휠 105는, 모우터 브라켓트 102에 도중부가 회전자재로 축지된 수직 샤프트 106의 하단부에 동심적으로 취부되여 있다(도면 제 9a 도, 제 10b 도). 웜 휠 105가 회전되면, 샤프트 106도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또 이 샤프트 106의 상단부에 동축적으로 배설되어 있는 썬 기어(Sun gear) 107도, 이 샤프트 106과 일체로 회전한다(도면 제 9b 도, 제 9c 도 제 10b 도) 다시 상기 모우터 브라켓트 102의 상면측과 썬기어 107사이의 샤프트 106의 부분에는 차동치차기구를 구성하는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이 샤프트 106에 대하여 회전자재로 형성되여 있다(도면 제 9b 도, 제 9e 도, 제 9e 도, 제 10b 도)이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은, 이의 하면에 형성되여, 모우드 캠치차 120에 치합할 소경의 치차부분 111을 갖는다(도면 제 9a 도, 제 10b 도), 다시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의 대경 부분의 외주에는 캠을 구성하는 제 1 돌기 112, 제 2 돌기 113가 서로 약 180°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이들 제 1 돌기 112, 제 2 돌기 113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시프트하여 있다(도면 제 9e 도, 제 9f 도, 제 10b 도). 다시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의 대경부분의 상면에는, 유성기어 114, 115를 회전자재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109, 110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도면 제 9b 도, 제 9c 도, 제 10b 도) 지지축 109, 110은 상호 샤프트 106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유성기어 지지 장치 108의 대경부분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되여 있다. 상기 지지축 109, 110에 각각 회전자재로 지지된 유성기어 114, 115는 지지장치 108의 상측에 형성된 내치 치차 130에 치합되여 있다(도면 제 9c 도, 제 10b 도)이 내치 치차 130은 브라켓트 102에 고정된 축수판 1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여 있다.
이 내치 치차 130과 유성기어 114, 115와,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과의 관계에 의하여 웜휠 105의 회전력은 로오딩 데스크 11에 전달되거나, 혹은 모우드 캠치차 120에 전달되거나 한다. 내치 치차 130은 축의 하단에 고정되며, 이 축의 상단에는 로오딩 기어 131이 동축적으로 고정되여 이 축의 도중부는 축수 판 135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여 있다(도면 제 8 도 제 10b 도). 또 내치 치차 130의 외 주위에는 톱날판의 치차부 132가 형성되여 있다. 상기 모우드 캠치차 120은 상기 모우터 브라켓트 102의 상면에 배설되여 그 축 140은 양단에서 이 모우터 브라켓트 102와 축수판 135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되여 있다. (도면 제 8 도, 제 10b 도) 지금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의 록크 암 154 혹은 라텍트 151에 의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설정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웜 휠 105가 회전되면, 썬 기어 107가 회전한다. 이 썬 기어 107의 회전력은 유성 기어 114, 115에 전달된다. 유성 기어 114, 115는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록크되여 있음으로 각각 현재의 위치에서 회전(자전)한다. 때문에 내치 치차 130은 회전하고 로오딩 기어 131은 로오딩 데스크 11의 기어 11a에 치합하고 있으며, 로오딩 데스크 11을 회전구동할 수가 있다. (도면 제 9d 도) VTR가 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웜 휘일 105는 축 10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9a 도 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때문에 썬 기어 107에 의하여 회전되는 유성기어 114, 115는 각기 지지축 109, 110을 지점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에 자전한다. 이 결과, 내치 치차 130, 로오딩 기어 131은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제 9d 도 중, 화살표 a5방향에 회전하고,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면제 9d 도중,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 경우에,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은 록크 암 154에 의하여 록크된다.
VTR가 언 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상기와는 역회전방향(화살표 a5방향)에 웜휠 105가 회전된다. 때문에 내치 치차 130, 로오딩 기어 131은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하고, 로오딩 데스크 11은 화살표 a5방향에 회전하게 된다.
VTR의 언로오딩 모우드일 경우는,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은 라쳇트 151에 의하여 화살표 a5방향에 회전하지 않도록 록크된다(도면 제 9e 도). VTR의 로오딩 모우드 및 로오딩 모우드일 때,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회전하지 않도록 록크하는 록크 수단의 하나이다. 라쳇트 151은 모우터 브라켓트 102의 일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여 있는 (도면 제 9e 도)라쳇트 151은, 그 지점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재이고, 유성기어 지지장치 108의 제 2 돌기 113에 계합할 수가 있도록 스프링 152에 의하여 부세되여 있다. 또 록크 암 154는 상기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축 140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여 있다. 그리고 이 록크 암 154의 일단부는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의 제 1 돌기112의 회전궤도중에 연재가능토록 되여 있다. 이 록크 암 154는, 통상 제 1 동기 112의 회전궤도에서 그 계지부가 이탈되도록 스프링 155에 의하여 부세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록크 암 154는 록크 해제 암 160, 록크 복원. 암 161, 162등에 의하여 그 회동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도면 제 9b 도, 제 9e 도, 제 9f 도) 즉, 록크 암 154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설부 156는 록크해제 106암의 스톱퍼부분에 충지(衝止)할 수가 있다. 록크해제 암 160, 록크 복원 암 161은, 모우터 브라켓트 102에 형성된 축 163에 회동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록크 해제 암 160, 록크 복원 암 161, 162는 로오딩 데스크 11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 11b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면 제 9e 도, 제 9f 도) 통상, 록크 암 154는 도면 제 9b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의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록크한다.
이것을 록크 해제 암 160이, 스프링 155에 의한 록크 암 154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VTR의 로오딩 모우드에 있어서, 로오딩 데스크 11이 돌아감으로서 도면 제 2 도 제 9e 도에 표시한 상태로 되었을 때는, 록크 해제 암 160은, 도면 제 9e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돌기 11b에 의하여 구동된다. 때문에 록크 해제 암 160은 그 축 163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록크 암 154는 스프링 155에 의하여 당겨져 제 1 돌기 112와의 계합을 풀게된다. 이때 VTR의 로오딩이 완료하도록 설정되여 있다.
VTR의 언 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로오딩 데스크 11은 도면 제 9f 도 중,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로오딩 데세크 11의 돌기 11b는 록크 복원암 162를 개하여 록크 복원 암 161을 도면 중 제 9f 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록크 복원 암 161의 회전에 의하여 이 록크 복원 암 161에 형성된 로울러 161a(이 로울러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는 록크 암 154를 스프링 155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구동한다. 이 결과 록크 암 154의 돌기부 156에 의하여 보지하여져 있는 록크 해제 암 160은 그 스프링 164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또 이때 록크 해제 암 160은 록크 암 154가 유성 기어지지장치 108을 록크한 상태에서 보지한다. (도면 제9b도) 록크 복원 암 161은 록크 암 154를 직접 구동할 암이고, 록크 복원 암 162는, 로오딩 데스크 11의 돌기 11b의 힘을 록크 복원 암 161에 전달하는 암이다. 록크 복원 암 162, 록크 복원 암 161과 같이 축 165에 동축적으로 회동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이 록크 복원 암 162는, 통상은 스프링 166에 의하여 도면 제 9b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여 있으며, 그 부세방향에 대하여는 록크 복원 암 161에 형성된 돌설부 167에 의하여 규제되여 있다. 따라서 로오딩 데스크 11의 돌기 11b가 도면 제 9f 도 중, 화살표 a6방향 이동중에 록크 복원 암 162에 계합했을 때는, 이 록크 복원 암 162는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 166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록크 복원 암 161에는 돌기 11b의 힘은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로오딩 데스크 11의 돌기 11b가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는, 돌기 11b의 힘은 록크 복원 암 162를 개하여 록크 복원 암 161에 전달된다. 이는 록크 복원 암 162의 회전이 돌설부 167에 의하여 규제되여 있기 때문이다. 다시, 록크 암 154의 상기 록크 복원 암 161의 로울러 161a와 대향하는 단면은 로울러 161a의 이동 즉, 록크 복원 암 16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회전궤도를 따라, 만곡부분 157이 형성되여 있다. 이에 의하여 록크 복원 암 162는 VTR의 언 로우딩 개시시에 돌기 11b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는다. 또 이러한 만곡부분 157을 형성함에 따라, 설계, 위치결정의 자유로도 확대된다.
VTR의 언 로오딩 모우드 일때는 로오딩 모우터 101은, 로오딩 모우드 일때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썬 기어 197은 도면 제 9g 도 중, 화살표 a5로 회전한다. 이 모우드일 때는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은 도면 제 9f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에 대하여 라쳇트 151에 의하여 록크된다(모우드 캠치치 120자신을 록크하여도 좋다. 또, 록크방법은 라쳇트에 한하지 않으며, 브레이크의 교입도 피할 수 있어 일방향 크럿치용 스프링의 권체방향, 이완방향을 이용하여도 좋다).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록크하면, 로오딩 기어 131은 도면 제 9d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로오딩 데스크 11은, 언 로오딩 상태가 된다.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 록크 암 154, 록크 복원 암 161, 162는 모우터의 회전력을 로오딩 기어 131 혹은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어느 것인가 일방의 부하의 가벼운 측에 전달하는 크럿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모우드 절환장치 M는, 상술한 바와같이,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록크되여 있으면, VTR의 로오딩, 언 로오딩 모우드를 설정할 수가 있다. 다음에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록크 암 154의 록크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 제 9c 도, 제 9e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은, VTR의 로오딩이 완료했을 때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자재가 된다.
VTR의 로오딩이 완료하면, 로오딩 데스크는 그 이상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로오딩 기어 131에 대하여 부하가 걸린다. 이 때문에 썬 기어 107은 도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유성 기어 114, 115는 각각 지지축 109, 110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제 9c 도 중 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또 내치 치차 130의 내주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유성기어 114, 115가 공전하는 것은,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이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의 소 치차부분 111은, 모우드 캠 치차 120과 치합하고 있다(도면 제 9a 도)이 때문에 VTR의 로오딩이 완료한 후에도 이어서 로오딩 모우터 101이 회전하면,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의 회전에 의하여 모우드 캠 치차 120은 그 지점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제 9a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은, 도면 제 12a 도 내지 제 12c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 암 180을 그 회전각 위치에 따라서 각종 위치에 설정할 수가 있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은, 회전체상면에 일체적으로 돌설되며, 캠 암 180의 자유단에 돌설된 트레이스 핀 18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분 170을 갖는다. 안내부분 170은,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하여 형성된 루우프(Loop)부와, 여기서 이간한 비 루우프부로되며, 예 : 간막이 벽과 같이 형성되여져 있다. 이 안내부분 170의 루우프부는, 스톱지령위치 171, 조송, 권환 지령위치 172, 기록, 재생 지령위치 173을 갖는다. 기록, 재생 지령위치 173은,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중심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 형성된다. 조송, 권환지령위치 172는,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중심에서 더욱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톱지령위치 171은, 비록, 재생지령위치 173과, 조송, 권환지령위치 172의 중간위치에 형성된다. 170의 비루후프부분 174는 캠 암 180의 트레이스핀 182가 모우드 캠 치차 120에서 직경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부분이다. 스톱 지령위치 171, 조송, 권환지령위치 172, 기록, 재생지령위치 173은 각각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상이한 회전각 위치에 형성되여 있다.
따라서 모우드 캠 치차 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캠 암 180은 도면 제 12a 도, 제 12b 도, 제 12c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회전각 위치 180A, 180B, 180C로 순차 취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캠 암 180은, 그 제 1 회동단부 183에 의하여 VTR의 리일대 구동장치 L를 제어할 수 있다. 캠 암 180이, 도면 제 12a 도에 표시한 회전각위치 180A에 있을 때는 스톱모우드임으로 리일대 구동장치 L는 어느쪽의 리일대장치 A, B에 대하여도 전동 휘일 기어 427 및 전동기어 4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은 없다. 캠 암 180이 도면 12B에 표시한 회전각위치 180B에 있을 때는 조송, 혹은 권환 모우드이다. 이 조송 혹은 권환모우드일 때는, 전동 휘일 기어 427이 리일대 휘일 306 혹은 316(제 18 도 참조)에 접촉하도록 리일대 구동장치 L는 캠 암 180에 의하여 절환된다. 캠 암 180이 도면 제 12c 도에서 표시된 회전각 위치 180C에 있을 때는 기록 혹은 재생모우드이다. 이 기록 혹은 재생모우드일 때는 기일대 구동장치 L는 캠 암 180에 의하여 전동기어 432는 리일기어 305 혹은 315(제 18 도 참조)에 접촉하도록 절환된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은, VTR의 기록, 재생모우드, 조송, 권환모우드 등을 설정함에 항상 일정방향(시계방향)에 회전하게 됨에 따라 설정된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은, 스톱 모우드의 위치에 있을 때, 역전방지 레버 190을, 도면 제 9c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모우드 캠 치차 120은, 역전방지 레버 19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분 175도 일체로 구·유한다. 역전방지 레버 190은, 스톱 모우드일 때를 제외하고 내치 치차 130의 외주에 형성되여 있는 치차부 132에 계합된다. 역전방지 레버 190은, 내치 치차 130을 록크하여 로오딩기어 131을 록크함에 따라 스톱 모우드 이외의 모우드에서는 로오딩 데스크 11이 역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작동을 한다. 다시 또 캠 암 180은, 그 회동위치에 맞추어, 핀치 로울러 구동장치 G(제 13 도, 제 14 도 참조)를 제어할 수가 있다. 캠 암 180이 회전위치 180C에 있을 때는,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G는 핀치 로울러 12를 캡스탠 31에 압접시킨다. 또 캠 암 180이 회전각 위치 180A 혹은 180B에 있을 때는, 핀치 로울러 구동장치 G는, 핀치로울러 12를 캡스탠 31에서 이간시킨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의 회전각 위치는, 도면 제 11a 도에 표시한 캠 스위치 200에 의하여 검출되며, 그 출력은 VTR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회로에 입력된다. 캠 스위치 200은, 모우터 브라켓트 102의 하부에 취부되여 있으며, 모우드 캠치차의 회전각 위치에 맞춘 출력이 얻어지도록 되여 있다. 캠 스위치 200의 표면에는 도박(導箔) 패턴 200a(도면중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가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되여 있다. 이 경우 캠 스위치 본체에 직접 도박 패턴 200a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도박패턴 200a의 형성된 인쇄기판을 캠 스위치 본체에 취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캠스윗치 200의 도박 패턴 200a는 통상, 즉 정전시 아외의 모우드 검출용으로서 사용되며, 회전각 위치검출용 단자 P1, P2, P3, COM이 적당한 위치에 배설되여 있다. 이 경우 단자 COM는 전원용단자로서 이를 개하여 도박 패턴 200a 위에 소망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캠 스위치 200의 회전(도시 화살표 X방향)에 따르지 않는다. 단자 P1, P2, P3은 도박패턴 200a에 접하거나(on), 이 도박패턴 200a에서 떨어지거나(off)하며, 단자 COM은 항상 도박패턴 200a에 접한 그대로이다. 따라서 도박패턴 200a이나 단자 P1, P2, P3의 배설위치를 적의 설정함에 따라, 단자 P1, P2, P3의 온, 오프의 조합으로 이론적으로는 8(23)의 모우드 작성이 가능하다. 도시 구성의 경우
(1) 스톱모우드 : M1에 대하여 P3만 ON
(2) 권환, 조송모우드 : M2에 대하여 P1, P3등이 ON
(3) 기록포오즈 모우드 : M3에 대하여 P2, P3등이 ON
(4) 기록, 생모우드 : M4에 대하여 P1, P2등이 P3ON
(5) 기타의 모우드 : M4에 대하여 P1, P2, P3모두 OFF의 모우드가 작성된다.
모우드 캠스위치 200의 출력은 도면 제 11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직회로 201에 입력된다. 이 로직회로 201은 조작부 202에서의 입력정보와 모우드 캠스위치 200에서의 출력정보를 보고 로오딩 모우터 101, 회전 헷드응 모우터 203, 캡스탠 모우터 204, 리일 모우터 205, 비디오 신호 처리회로 206에 각기 조작 모우드에 맞는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로직회로 201은 VTR의 로오딩 개시신호가 부여된 경우, 로오딩 모우터 101를 회전시키나, 로오딩완료의 신호로서는, 캠 스위치 200에서 스톱 모우드(로오딩, 언 로오딩 모우드를 겸용)신호에서 별도의 모우드 신호가 되여 재차 스톱 모우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즉 모우드 캠 치차가 1회전했을 때를 로오딩완료 신호라 판단하여 로오딩 모우터 101을 정지시킨다. 즉, 모우드 캠 치차 120은, 로오딩 데스크 11이 정지한 후, 곧 도면 제 12a 도 상태에서 도면 제 12b 도, 제 12c 도로 옮겨져, 다음에 처음의 제 12a 도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 사이 캠 스위치 200은, 캠 암 180이 회전각 위치 180A, 180B, 180C를 상기 자단를 개하여 경과한 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후는, 다음 조작신호가 입력하는데 준비한다.
이와같이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 때, 모우드 캠 치차 120을 1회전시켜서, 로오딩 모우드 완료를 얻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준다. 즉, 캠암 180은 도면 제 12a 도 내지 제 12c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 위치 180A, 180B, 180C를 경과할 때 텐숀 암 210을 구동할 수가 있다(도면 13내지 1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텐숀 암 210은 캠 암 180의 동작에 응동함에 따라, 로오딩이 완료했을 때, 자기 테이프 C를 일단 도시 화살표 a1방향으로 압압하고 그리고 정지 위치에 돌아간다. 이는 로오딩 도중에 있어서 인장된 테이프에 대하여 약간 완해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긴장된 테이프를 약간 밀어서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결과 로오딩 후의 테이프가 실린더에 접부하거나, VTR의 테이프 주행개시시에 급격한 힘이 테이프에 가하여져 테이프의 늘어남을 발생하거나 하지 않는다. 다시 또 상기 텐숀 암 210의 동작은 후술하는 암 시프트 레버 216의 납입위치를 확보할 수가 있다. 즉 텐숀암 210이 일단 도시화살표 a1방향으로 도피함으로, 암 시프트 레버 216은 소정위치까지 회동하여 수납할 수가 있다(도면 제 13 도, 제 14 도). 다시 큰 효과는 종래 로오딩 엔드를 로오딩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형성, 이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판별하여 왔으나, 상기 스위치를 캠 스위치 200에서 겸용하는 기구임으로 기구적, 희로적으로 크게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모우드 절환장치 M는 VTR의 로오딩 모우드, 언로오딩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이 모우드절환장치 M는 VTR의 기록, 재생모우드 VTR의 조송, 권환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모우드 절환장치 M는 여러가지 변형예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을 VTR의 모우드에 따라서 록크하거나, 록크를 해하거나 하는 수단으로서는 브레이크 기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록크 암 154를 제어하는데 록크 복원 암 161, 록크 해제암 160 등을 사용하나, 록크암 154를 직접로오딩 데스크 11의 돌기로 구동하여도 무방하다. 다시 또 라쳇트 151에 관하여도 같다. 예 : 압접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일방향에만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에 브레이크를 걸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시 또 유성 기어 지지장치 108은 그 회전력을 모우드 캠 치차 120에 전달하나, 그 전달 계통로를 생략하여 양자를 동축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다시 또 상술한 로오딩 일 때, 모우드 캠 치차 120에 부라를 부여, 모우터의 회전력을 로오딩 기어 131에 전달하도록 절환하는 수단으로 서는 여러가지 변형예로 실시할 수가 있다. 예 : 브레이크편을 압압하거나 이간하거나 하는 구성도 좋다. 이 경우는 브레이크 편이, 예, 로오딩 완료시에 로오딩 데스크의 돌기로 압압, 모우드 캠 치차 120에서 떨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나, 또 모우드 캠 치차 120은 일방향만 회전할 수 있도록 일방향 크럿치(예 라쳇트에 의한)를 맞이며, 언로오딩 모우드일 때는 과대한 부하가 걸리며,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우터의 회전력은 필연적으로 로오딩 기어에 전달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모우드 캠 치차 120의 안내부분 170은 도면 제 12a 도 내지 제 12c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조송, 권환모우드를 설정하기 위한 자령위치 172와, 기록, 재생모우드를 설정하기 위한 지령위재 173사이에 스톱지령위치 171과 같은 브레이크 지령부분 176을 갖는다. 이것은, 모우드 캠 치차 120이 조송 혹은 권환모우드에서 비록 혹은 재생모우드를 설정할 경우에 스톱 모우드와 같은 상태를 만들고 리일장치 A, B에 브레키를 거는데 이용된다. 즉, 모우드의 이동, 변경때 리일대에 브레이크를 걸어 테이프의 이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모우드 캠 치차 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일대 구동장치 L를 제어할 수가 있다. 모우드 캠치차 120은 캠 암 180을 개하여 리일대 구동장치 L에 입력정보를 부여할 수가 있다. 이 브레이크 지령부분 176은 조송, 권환 지령위치에서 급격하게 중심축을 향하여 변화한 부분을 안내부분 170에 형성 함에 따라 얻어진다. 이 부분 176은 모우드 캠 치차 120을 화살표 방향에 캠 암 180의 트레이스핀 182로 일시적으로 눌러 회전하는 효과가 있다. 즉 조송, 권환지령위치 172에서 다음의 모우드로 옮길 경우에 캠 암 180에 부여 되여 있는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트레이스핀 182는 모우드 캠 치차 120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증대해주게 된다. 이 속도 증가분이 상술차동기구를 통하여 로오딩 데스크를 로오딩 방향으로 압압하여 되돌리는 효과(로오딩 데스크위치 보지효과)가 있다.
다음에 모우드캠 치차 120의 안내부분 170에는, 기록, 재생모우드의 지령위치 173의 직전에 있어서는 퍼즈(Pause)지령위치 178이 설정된다. 즉, 조작부에서의 퍼즈 신호가 입력하면 모우드 캠 치차 120은 트레이스핀 182는 바로 스톱 지령위치와 같은 관계가 되는 퍼즈지령위치 178을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기록, 재생모우드의 지령위치 173의 가까이 퍼즈지령위치 178을 설정한 것이 응답성을 빨리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모우드 캠 치차 120은, 선상 안내부분 174에 트레이스핀 182를 구동하는 부하가 크게되는 부하부분 177이 형성되여 있다. 이 부하부분 177은, 기록, 지생지령위치 173에 트레이스핀 182가 안내되기전에 형성되여 있다. 이 177은 예컨데, 캠 암 180의 트레이스핀 182를 구동하는 안내부분 174에 압력각이 국부적으로 크게되는 트레이스면을 형성함에 따라 설정되여 있다. 캠암 180은 전술한 바와같이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G를 동작하는 힘, 테이프 텐숀제어장치 H를 동작하는 힘 및 각 모우드 작성을 위한 힘에 의하여 부하가 걸려 있으며, 트레이스핀 182가 부하부분 또는 트레이스면 177에 오면, 압력각이 커짐으로 모우드 캠 치차 120의 구동부하가 커진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주효한다. 먼저 본 기구는 모우터의 회전력을 로오딩 기어 131 혹은 모우드 캠 치차 120등 어느 일방의 부하의 가벼운쪽에 전달하는 크럿치수단 또는 스위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모우드 캠치차 120의 부하는 커짐에 따라 혹시 모오딩 데스크 11의 세트가 불완전한 경우는 로오딩 기어 131이 모우드 캠 치차 120에 비하여 구동부하는 적어짐으로 우선적으로 회전되여 로오딩 상태일 때와 같은 로오딩 데스크 11을 로오딩 방향으로 구동하고 로오딩 데스크 11이 로오딩 엔드가 되여 그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여 로오딩 기어 131은 회전할 수 없게 되여 비로소 모우터의 회전력은 100% 모우드 캠 치차 120에 전달되어 이것이 회전되여 트레이스핀 182를 기록 재생 지령위치 173에 안내한다. 이 동작에 따라 기록, 재생모우드에서는 로오딩 데스크 11은 반듯이 소정의 위치에 세트된다. 특히 로오딩 데스크 11에는 VTR의 권환, 조송 모우드일때에 테이프의 장력이 걸려, 로오딩 데스크 11은 언 로오딩 방향으로 미소하게 인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록, 재생을 하면 핀치로울러의(로오딩 데스크 11에 레버 13을 개하여 형성되여 있다) 압착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테이프 주행변화, 테이프 손상등 VTR성능상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되나, 본 기구에서는 로오딩 데스크 11은 불완전한 세트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부하부분 177에 의하여 반듯이 정규의 안정된 위치에 세트됨으로 하등 악 영향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모우드 절환장치 M와,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G, 테이프 텐숀 제어장치 H등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제 13 도는 VTR가 조송모우드 혹은 권환모우드에 설정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고 14는 VTR가 기억 혹은 재생모우드에 설정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캠 암 180은 이돌기가 캠링크 2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롯트 안에 유삽됨에 따라 연결되여 있으며, 이 캠 링크 250은 샤시에 접동 자재로 취부되여, 캠암 180의 회전각에 맞추어 도면 제 13 도 중 화살표 a4↔a2방향으로 접동된다. 이 캠 링크 250의 타단부 251에는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G의 핀치 록크 레버 260의 일단부가 계합되여 있다. 캠 링크 250은 양자 250, 260사이에 가설된 스프링 254에 의하여 핀치 록크 레버 260의 회동 단축을, 도면 제 13 도중 화살표 a2(a6)방향에 붙어져 있다. 핀치 록크 레버 260은, 타단부에 형성된 축 261에 의하여 핀치록크 고정판 262에 화살표 a5↔a6방향에 회동 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핀치 록크 레버 260은, 도시 화살표 a2방향에, 스프링 254를 개하여 캠링크 250에 의하여 걸렸을 때, 핀치 로울러 12의 외과체 부분을 a2방향으로 압압하는(도면 제 14 도)핀치 록크 레버에 260는 테이프의 휘임검출기구가 취부되여 있다. 테이프의 휘임을 검출하기 위한 슬랙레버 265는, 축 266에 의하여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슬랙레버 265의 선단에는, 테이프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핀 267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여 있다. 슬랙레버 265는, 스프링 268에 의하여 통상은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부세되여 있다. 이 스프링 268은 예 : 슬랙레버 265의 일부와 핀치 록크고정판 262사이에 걸쳐져 있다. 녹화, 재생모우드 이외에서는 핀치 록크 스프링 254와 캠링크 250등에 의하여, 핀치록크 레버 260은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되여 지점축 266은 화살표 a4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랙레버 265는 일단의 돌기부를 핀치 록크 고정판 262에 압압되여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녹화, 재생모우드에서는 캠암 180에 의하여 캠링크 250이 도시 방향 a2방향으로 인장되여 핀치 록크 스프링 254에 의하여 핀치 록크 레버 260은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되며, 지점축 266은 화살표 a2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랙레버 265는 돌기부가 핀치록크고정판 262에서 떨어짐으로, 스프링 268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고 핀 267이 테이프 C에 당접함에 따라 정지한다. 슬랙레버 265는, 테이프가 휘어져 있을 때는 다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한다. 슬랙레버 265와 일체로 마그네트 270도 화살표 a5방향에 회동할 수가 있다. 마그네트 270은, 슬랙레버 265와 일체로 형성된 마그네트 보지암에 보지되여 있다. 지금 슬랙레버 265가 도면제 14 도에서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 테이프의 휘어진 부분이 있으면 슬랙레버 265는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고, 마그네트 270은 핀치록크고정판 262에 취부된 리드 스위치 271위에 이동한다.
이결과 리드스위치 271이 ON하여 전기적으로 테이프의 휘어진 것이 검출된다. 이 경우는 테이프의 필요이상 휘이거나, 절단상태이며, VTR는 정지된다.
상기 캠 링크 250는 테이프 텐숀제어장치 H도 구동할 수가 있다. 테이프텐숀 제어장치 H는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때는, 로오딩 데스크 11의 캠면 18, 캠부 19, 캠링크 250등에 의하여 구동되며, 제 2 도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 14 도를 사용하여 테이프 텐숀제어장치 H를 설명한다. 이는 텐숀암에의하여 구동되는 암부 224와 텐숀암 210을 규제할 수가 있는 암부 225등을 갖이며, 텐숀 서브암 217과 암시프트 레버 216등은, 스프링 272에 의하여 상호 역 회전하는 방향에 부세되여 있다.
제 15 도는 로오딩의 도중이다. 제 1 도는 VTR의 로오딩 개시전이며, 제 2 도는 VTR의 로오딩 완료후이다.
VTR의 로오딩 도중에 있어서 텐숀 서브암 217은, 로오딩 데스크 11의 캠면 18에 의하여 축 230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문에 텐숀 서브암 217의 암부 218은, 텐숀 레버 212를 그 축 213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테이프 텐숀 제어장치 H가 캠링크 250에 의하여 제어된 상태는, 제 13 도, 제 14 도에 표시된다. 제 14 도는 기록 혹은 재생모우드의 상태이다. 이때, 캠링크 250은, 화살표 a2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캠링크 250은, 그 계지부 253에 의하여 텐숀 서브레버 217의 암부 221에 형성되여 있는 로울러 222를 인장한다. 이때문에, 텐숀 서브레버 217의 암부 218의 핀은, 텐숀 레버 212의 계합부 212a에서 떨어진다. 다시, 텐숀서브암 217의 암부 223은, 텐숀스프링 214를 당긴다. 이때문에 텐숀암 210은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하게 된다. 이때, 텐숀레버 212는 밴드 브레이크 280의 일단을 끌게 된다.
밴드 브레이크 280은, 리일대 301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즉, 텐숀레버 212는 도시 화살표 a5방향에 회동한 경우(테이프가 완해된 경우)는 밴드 브레이크 280은 리일대 301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테이프의 송출을 억제한다. 또 텐숀레버 212가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한 경우는 밴드 브레이크 280은 리일대 301의 브레이크를 완해한다. 따라서 텐숀레버 212, 텐숀암 210은 테이프 C의 텐숀과 텐숀 스프링 214의 인장력 등에 의하여 바랜스하고, 테이프의 완해를 검지하고 밴드 브레이크 280을 당기거나, 혹은 완해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 1 도 제 3 도는 조송 혹은 권환모우드의 상태이다. 이때는 캠링크 250은, 도시 화살표 a4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문에 텐숀 서브레버 217은 텐숀스프링 214에 의하여 축 230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5방향에 회전되며, 암부 219의 로울러 220은, 로오딩 데스크 11의 내주면에 충지하는 방향에 되돈다. 그리고 텐숀 서브레버 217의 암부 218은 그 핀에 의하여 텐숀레버 212를 그 축 213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다시 이때, 텐숀암 210의 절곡부 210a는 암시프트레버 216의 암부 225의 단부에 대향한다. 이 암 샤프트 레버 216의 암부 225는 그 L자형의 단부에서 텐숀 아암부 210이 도시 화살표 a6방향에 필요 이상에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와 같이 VTR의 조송, 혹은 권환 모우드일 때, 텐숀암 210은 그 회동위치가 규제된다.
이것은 VTR의 조송 혹은 권환 모우드일 때, 테이프의 주행부하를 가볍게 하기위해 실린더 J의 테이프 권부각을 적게할 필요가 있는 것과, 테이프가 고속으로 보낼때는 테이프가 텐숀포올 211에 주는 힘이 크기때문에 위치가 변화하여 테이프 주행로를 변화시키고 마나, 이에 의하여 저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테이프 주행로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테이프의 연부가 포올 등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혹은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속재생 모우드 시의 화상 안전성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다.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 때, 텐숀암 210은 제 1 도시 상태에서 제15도시 상태를 거쳐 제 2 도시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VTR의 로오딩 모우드일 때, 모우드 캠치차 120은, 1회전 하고 정지한다. 이는 로직회로의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즉, 텐숀암 210은 도면 제 1 도에 표시 상태에서 도면 제 2 도, 제 15 도에 표시 한 상태로 옮겨, 다시 도면 제 14 도에 표시한 상태를 거쳐 재차 도면 2에 표시한 상태로 돌아가 이 상태로 안정된다. 여기서 도면 제 2 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도면 제 14 도에 표시한 상태로 옮겼을 때에 암 시프트 레버 216은 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하고 암부 225가 텐숀암 210의 곡절부 210a의 위치규제를 할 준비를 한다.
다음에 재차 도면 제 2 도에 표시한 상태로 돌아갔을 때는 텐숀 암 210은 곡절부 210a를 암부 225에 의하여 규제되여 일정 위치로 보지된다. 이 위치는 도면 제 15 도에 표시된 상태에서 도면 제 2 도에 표시된 상태로 옮겨진 로오딩 엔드 직후의 위치에서 도면 제 14 도에 표시된 위치로 설정하여 있으며, 이에 의하여 부품의 설계 혹은 조립정도에 관계없이 일정위치가 보지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권환, 고속재생 모우드 시의 텐숀암 위치를 겸용하고 있음으로 VTR의 성능에 대단히 큰 효과적이다. 또 암시프트 레버 216의 암부 224는 캠부 19에 낙입(落
Figure kpo00001
)하도록 설정되여 있다(제 2 도, 제 13 도 참조). 이는 언 로오딩 개시시에 로오딩 데스크 11이 암시프트 레버 216을 급격히 구동하고 암부 225는 텐숀암 210에서 조급히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모우드 절환장치 M는, 캠링크 250을 개하여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A측의 브레이크 장치 E도 제어할 수가 있다. 이 브레이크장치 E는, 쇼프트(soft)브레키 레버 281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쇼프트 브레이크 레버 281은 L자형을 이루며, 축 282에 의하여 중앙부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여 있다. 이 쇼프트 브레키 레버 281의 일단부는, 상기 캠링크 250의 절결부 252에 계합할 수 있다. 모우드 캠 치차 120이 재생, 기록 모우드의 위치에 있을 때(제 14 도)는 캠링크 250은, 화살표 a2방향으로 끌리게 된다. 이 때문에 소프트 브레이크 레버 281은 스프링 283에 대향하여 그 축 282를 중심으로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결과 소프트 브레키 레버 281의 타단에 형성된 핀 283은 밴드 브레키 레버 281의 타단에 형성된 핀 283은 밴드 브레이크 28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것은 VTR의 기록, 재생모우드에 있어서는 리일대 3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브레이크 280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걸리게 됨을 의미한다. 모우드 캠치차 120이 조송 혹은 권환 모우드의 위치에 있을 때(제 13 도)는 캠링크 250은 화살표 a4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소프트 브레이크 레버 281은 스프링 283의 힘에 의하여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핀 283을 밴드 브레키 280위에 압압하게 된다.
VTR의 조송모우드, 권환모우드, 조송재생(픽처 서어치)모우드일 때는 텐숀암 210은 약간 원자리로 돌아간다. 이 때문에 밴드 브레이크 280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쇼프트 브레이크 레버 281을 서플라이 리일대 301에 작용시킴에 따라, 서플라이 리일대 301에 적절한 브레이크 토르크를 주는 것이다. 또 서플라이 리일대 301의 관성 모멘트에 의하여 테이프를 필요이상으로 해리되는 사례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소프트 브레이크 레버 281을 지지한 축 282에는 이젝트브레이크 레버 460(도면 1내지 2)도 회동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이 이젝트 브레이크 레버 460은 VTR의 언로오딩 모오드일때, 로오딩 데스크 11의 회전을 이용하여 서플라이 리일대 301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모우드 절환제어장치 M는, 레이크 엎 리일대장치 B측의 브레이크장치 F도 제어할 수 있다. 즉, 모우드 캠치차 120에 의하여 구동될 캠암 180에는 브레이크 링크 290의 일단이 취부되여 있다. 이 브레이크 링크 290의 타단은 리버어스 브레이크 레버 291에 취부된다. 따라서 캠암 180이 VTR의 조송 모우드 등이 권환모우드를 설정하는 위치(제 13 도 참조)에 왔을 때는 리버어스 브레이크 레버 291을 화살표 a6방향에 밀어주고 브레이크 장치 F가 테이크 엎 리일대 장치 B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캠암 180이 VTR의 기록이거나, 재생모우드를 설정하는 위치(제 14 도 참조)에 왔을 때는, 이 캠암 180은, 리버어스 브레이크 레버 290을 도시 화살표 a1방향으로 끌어 올리게 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 F는, 테이크 엎리일대 장치 B에 대한 작용이 가능하다. 브레이크장치 F는, 제 16 도시와 같이 기어 록크 레버 292를 갖는다.
기어 록크 레버 292는 리버어스 브레이크 레버 291에 돌설된 축 293에 회동 자재로 취부되여 있다. 기어 록 크레버 292는 리일대장치 B의 회전주연에 가볍게 접하는 접촉부분 294를 갖는다. 이 접촉부분 294는, 리일대장치 B의 회전주면에 접촉함에 따라, 리일대 311의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기어 록크 레버 292는 그 회동부분 295에 기어 록크부분 296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이 기어 록크 부분 296은 이 기어 록크 레버 295가 화살표 a5방향에 회동되었을 때, 리일대 장치 F의 리일 기어에 계합하고, 리일대 311에 대하여 부하를 줄 수가 있다. 리일대장치 A, B는 도면 제 17a 도 제 17b 도에 표시한다. 기어 록크 레버 292는, 리버어스 브레이크레버 291의 상면에서 적당한 회전각 범위로 회동할 수가 있다. 이것은 제 16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버어스 브레이크레버 295에 계지편 292a가 형성되여 기어 록크 레버 292의 자유단이 계지편 292a를 사이에 위치시킨 포크상으로 되여 있으며, 이리하여 레버 292의 회동범위는 규제되여 있기 때문이다. 상기 브레이크장치 F는, VTR가 역재생모우드 일때만 테이크 엎 리일 대장치 B에 대하여 부하를 줄 수 있다. 통상의 정방향 재생모우드 일때는 테이크 엎 리일대 311은 기억 록크레버 291는 리일기어에 계합하지 않도록 접촉부분 294를 개하여 이 기어 록크 레버 292를 구동하기 때문이다. 역재생모우드일 때는, 기어 록크 레버 292는, 리일기어에 계합하여 테이프 엎 리일대 311에 부하를 주게되나, 이것은 테이크 엎 리일대 311측에서의 테이프가 필요이상으로 방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VTR의 역재생 모우드일 때는 캡스탠 31은, 통상재생의 경우라 하면,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이 모우드 일때는, 테이크 엎리일대 311측을 전동기어 432가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모우드 절환제어장치 M는, 테이크 엎리일대장치 B측의 브레이크장치 F를 동작가능한 상태 혹은 동작불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가 있다. 제 17 도는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A, 테이크 엎 리일대장치 B를 표시하는 것으로, 서플라이 리일대 장치 A는, 리일대 포스트 300에 동축적으로 회전자재로 취부된 서플라이 리일대 301, 크럿치용 리버어스 스프링 302, 크럿치판 303, 펄프 304, 리일기어 305, 리일대 휠 306, 브레이크 휘일 307, 일방향 크럿치용의 리일크럿치 스프링 308등으로 구성된다. 이 리일대장치 A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밴드브레이크 280은, 브레이크 휠307의 평판외주면에 작용한다. 또 이 밴드 브레이크 280의 외주측에서 소프트 브레이크레버 281의 핀아작용하고 서플라이리일대 306의 백텐숀을 억제할 수가 있다(VTR의 조송모우드, 권환모우드, 픽처 서어치 모우드일때)브레이크 휠 307의 외주면에는 결(訣)부 307a도 형성되여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60(도면 제 1 도)이 VTR의 언로오딩 모우드일때 작용한다. 이 젝트브레이크 레버 460은 언로오딩 모우드일때 서플라이 리일대 301이 역전함을 방지하는 레버이다.
상기 서플라이 휠대장치 A는, 전동기어 432 또는 전동휠 기어 427에 의하여 회동구동된다. 전동기어 432는, 리일기어 305에 치합할 수 있도록 설정되여 있다. 또 전동 휠 기어 427은, 리일대 휠 306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정되여 있다. 이 서플라이 리일대 장치 A에 있어서, 리일 크럿치 스프링 308은, 브레이크 휠 307의 내축 307b의 외주면과, 리일대 휠 306외 축부분 306b의 외주면에 공통하게 권회되도록 취부되여 있다. 이 경우 리일크럿치 스프링 308은, 리일대 301이 시계방향(제 1 도, 제 2 도는 도시 화살표 a5방향)에 회전할 때, 조이는 방향으로 권회되여 있다. 따라서 리일대 휠 306 혹은 리일기어 30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었을 때는, 그 회전은 브레이크 휠 307에 전달된다. 따라서 예 : VTR의 재생모우드에 있어서는 리일대 301, 리일대 휠 306, 리일 기어 305, 브레이크휠 307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밴드브레이크 280의 브레이크 효과는 브레이크휠 12를 개하여 얻어진다. 그러나, 리일대 30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예 : VTR의 권환모우드의 경우 혹은 역방향 재생모우드의 경우는, 크럿치 스프링 308에 대하여는, 풀리는 방향에의 마찰이 리일대 휠 306에서 전달하게 된다. 이 때문에 크럿치 스프링 309은, 브레이크 휠 307에 리일대휠 306에서의 힘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역방향 재생모우드일 경우는, 브레이크 밴드 280이 브레이크휠 307측에 작동하여도 리일대 301의 회전(반시계방향)에 영향은 없다. 그러나, 이때 리일대 301에 백텐숀이 걸려시계 방향으로 회전코져할 경우는, 앞서와같이 그 백텐숀에 의한 회전은 브레이크휠 307에 전달됨으로 브레이크 효과는 발휘된다. 즉, 역방향 재생일 때는 밴드브레이크 힘은 무효가 되고 통상 재생모우드일때는 밴드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효과가 발휘되여 테이프 텐숀의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또 로오딩 모우드일때로 언로오딩 모우드 일때도 상술한 소프트 브레이크레버 281,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60에 의한 효과가 발휘된다.
테이크 엎 리일대장치 B는 리일대포스트 310에 동축적으로 회전자재하게 취부된 테이크 엎 리일대 311, 크럿치용 조작스프링 312, 크럿치판 313, 펠트 314, 리일기어 315, 리일대 휠 316, 리일대풀리 317등에 의하여 구성되여 있다. 리일대풀리 317의 회전은, 제 1 도시한 카운터 N에 전달된다. 제 16 도에서 설명한 브레이크장치 F는 리일 기어 315에 대하여 작용한다.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A에 있어서, 일방향 크럿치 수단으로서는 도면 제 18a 도 내지 제 18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이 경우는 일방향 크럿치 스프링대신에, 라쳇트 구조를 사용한 것이다. 즉, 리일대휘일 306에서 브레이크 휠 307에 회전력을 전달할 기구로서 라쳇트 320을 형성하는 한편, 브레이크 휠 307의 내축 307c의 외주에 결부 307d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앞서의 크럿치스프링 308과 같은 작동을 갖게할수가 있다. 이경우 라쳇트 320은 도면 제18b도에서와 같이 스프링 321에 의하여 결부 307d측에 부세되여 있다. 이에 의하여 VTR의 재생, 기록, 조송, 고속재생모우드 일때는, 리일대 302측의 회전력은 브레이크 휠 307에 전달된다. 그러나 VTR의 권환모우드, 역방향 재생모우드 일때는, 리일대 302측에서의 회전력은 브레이크 휠 307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특히역방향 재생모우드 일때는, 모우드 캠치차조작모우드의 위치에와 있고 텐숀암 210은, 통상재생모우드 일때와 같은 회동위치에 있다. 이경우, 브레이크 휠 307에 대하여는, 밴드브레이크 280이 작용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캡스탠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역방향 재생모우드가 된다. 이때의 밴드 브레이크 280은 브레이크휠 307에 작용하나, 상기일방향 크럿치 수단이 있기 때문에 밴드브레이크 280의 영향(반시계방향회전을 위한)을 없게 할수가 있다. 따라서 텐숀암 210은 항상 자기 테이프를 정규주행로를 배설시킨 상태로 보지시켜 놓을수가 있다. 이것은, 역방향 재생모우드, 통상재생모우드에 있어서도 테이프주행로를 항상일정위치로 보지 할수 있어 안정한 재생화를 얻는데 기여할 수가 있다.
다음에 리일대구동장치 L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제19a도는 리일대 구동장치 L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면 제19b도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 제19a도, 제19b도에 표시한 리일대구동장치 L의 구성을 도면 제20a도, 제20b도, 제20c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도면 제19a도, 제19b도, 제20a도 내지 제20c도에 있어서 동일부에는 동일부호를 붙임.
먼저, 도면 제20a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400은 리일드라이브샤시이다. 이 리일드라이브샤시 400의 하면에는 리일모우터 401이 배설되며, 이 리일모우터 401의 회전축 402는 리일드라이브샤시 400의 상측, 즉 그림 상측방향에 돌출되여 있다. 리일드라이브 샤시 400 의 상면에는 전동스라이드 홀더 403이 상기 회전축 402를 지점축으로서 도시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배설되여 있다. 이 전동스라이드 홀더 403의 상면에는 전동스라이더 404가 배설되며, 이전동 스라이더 404는, 전동홀더에 형성된 안내부와 계합시킴에 따라 도시화살표 a2↔a4방향으로 접동자재로 되여 있다.
그리고 통상은 스프링 406에 의하여도시화살표 a2방향에 부세되여 있다. 또 전동스라이더 404에는 도시상방향에 돌출한 포스트 407이 형성되여 있다. 또 상기회전축 402에는 압압비스 408에 의하여 리일모우터 풀리가 취부되여 있다.
다음에 도면 제20b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리일드라이브샤시 40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 402를 통하는 도시화살표 a2↔a4방향의 라인 ℓ에 대하여 좌우, 즉 도시 화살표 a1↔a3방향으로 대칭한 날개편 411, 412를 갖는 스라이더 410이 도시화살표 a2↔a4방향으로 접동자재로 배설되여 있다. 이 스라이더 410에는 포스트위치 안내부 413과 브레이크레버위치 안내절결부 417이 형성되여 있다. 이 표스트위치 안내부 413은 스라이더 4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투공 414와 이 투공 414로부터는 다시 라인 ℓ를 따라 연출된 절입부 415, 416으로 되었다. 또 브레이크레버위치 안내부 417은 각 날개편 411, 412의 외주단면의 일부를 만곡, 절결하여 형성되여 있다. 또 이 스라이더 410은 통상은 각 날개편 411, 412와의 사이에 형성된 인장스프링 18, 419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4방향으로 부세되여 있다.
상기 리일드라이브 샤시 400에는 다시 리일대의 주브레이크가 되는 L자상을 한 브레이크 레버 420, 421이 상기 라인 ℓ에 서로 대칭되게 또 각각 중심이 샤시 400에 추지되여 도시화살표 a5와 a6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배설되여 있다. 브레이크레버 420, 421의 일방편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재되여, 그 단부 하면에는 각각 고무타이어 422, 423이 고정되여 있다. 또 각 브레이크레버 420, 421의 타방편은 상기 스라이더 410의 상방에 있어 대체로 라인 l를 따르도록 연재되여 있으며, 그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브레이크레버 위치 안내부 417에 계합될 로우러 424, 425가 형성되여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레버 420, 421은 이들의 타방편과의 사이에 장설된 스프링 426에 의하여 통상 각각 도시 화살표 a5방향 a6방향으로 회동부세되여 있다.
다음에, 도면 제20c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며, 상기포스트 407에는 전동휠기어 427은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자재로축지 되여 있다. 이 전동휠기어 427의 상면에는 동축적으로 피니온 428이 형성되며, 외주측면에는 고무타이어 429가 취부되여 있다. 이 고무타이어 429는, 전동스라이더 404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 405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2방향으로 부세되게 됨으로서 리일모우터풀리 409에 압접되여 있다.
상기포스트 407에는 다시 전동홀더 430이 도시 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축지되여 있다. 이 전동홀더 430의 하면에는 포스트 435를 지점축으로 전동펠트 431을 개재시켜서 아이들 기어 432가 도시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전자재로 배설되여 있다. 이 아이들기어 432의 교상면 433은, 전동휠기어 427의 교상면 428에 교합되여 있다. 한편 아이들 기어 432는 스프링 434에 의하여 상기도시화살표 a7방향(도면 제19b도)에 부세되여 있으며, 펠트 431에 당접되여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스라이더 410을 도시화살표 a4방향으로 접동시키면, 포스트 407은 절입부 415안에 위치되며 포스트 435는 투공 414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리일모우터 401의 회전축 402의 회전방향을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설정하면, 포스트 407을 지점으로 하여 전동홀더 430은 전동휠기어 427을 개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되여 리일대 장치 B의 리일기어 315에 전동기어 432가 교합한다. 동시에 전동기어 432가 회전하여 테이크엎리일장치 B의 리일기어 315(제 18 도 참조)가 구동되여 기록, 재생모우드가 설정된다.
한편, 회전축 402의 회전방향을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설정하면, 전동홀더 430은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동기어 432에 의하여 서플라이리일대장치 A의 리일기어 305가 구동하여 역재생모우드가 설정된다.
또 스라이더 410을 도시화살표 a2방향으로 스프링 41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접동하면 포스트 407이 투공 414에 위치시켜 포스트 가 절입부 416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 경우 리일모우터풀리 409의 회전방향에 맞추어 전동스라이드 홀더 403 이 포스트 435를 지점으로 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 혹은, a6방향으로 회동하고 고무타이어 429를 테이크엎리일대 장치 B의 리일대휠 316 혹은 서플라이리일대장치 A의 리일대휠 316에 당접시켜 회전, 구동시켜 각기 조송모우드, 권환모우드를 설정한다.
또 스라이더 410을, 도면 제20b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시킴에 따라, 포스트 407, 435는 각각 절입부 415, 416안에 위치하고 절입부 416에 의하여 포스트 435의 구동이 규제되며, 테이크엎리일대장치 B, 서플라이리일대장치 A등 어느 것에나, 구동하지 않는 스톱모우드가 설정된다.
이와같이 전동휠 기어 427과 전동기어 432를 회전축(포스트 407, 435)이 독립으로 이동자재하게 배설하고 스라이더 410을 조작하여 전동휠 기어 427, 전동기어 432의 어느 일방의 회전축을 고정하고 타방의 회전축을 이동자재로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리일모우터 401의 회전방향에 맞추어 회전축이 이동자재로 설정된 전동휠기어 427(혹은 전동기어 432)을 테이크엎리일대장치 A 혹은 서플라이 리일대장치 B에 당접시켜서 이것을 구동하는 구성이다. 즉, 하나의 위치 결정부재로 VTR의 각종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수의 회전체를 복수의 위치결정부재로 구동하는 구성에 비하여 장치를 크게 간소화할 수가 있다.
또 구동계를 기록, 재생이라는 저속송 계통과, 조속, 권환이라는 고속송 계통의 2계통으로 하였음으로서 리일모우터 401의 회전수를 더욱 효율이 높은치로 설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도면 제20b도의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레버 420, 421의 타이어 422, 423은 각 대응한 리일대장치 A, B의 리일대휠 306, 316에 당접하고, 이 리일대장치 A, B의 회전을 규제한다. 또 이상태에서 스라이더 410은 다시 도시 화살표 a2방향 혹은 도시 화살표 a4방향으로 접동되면 브레이크 레버 420, 421은 각각 도시 화살표 a6, a7방향으로 회동되며, 고무타이어 422, 423이 각 대응한 리일대장치 A, B의 리일대휠 306, 316에서 떨어진다. 이와같이 스라이더 410에 메인브레이크의 조작부재로서의 기능을 부가하였음으로 메인브레이크 전용의 조작부재를 별도 필요로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재로서는, 스라이드방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 : 회전방식, 회동방식이어도 무방하며, 요는 위치결정부재를 회전 혹은 회동시킴에 따라 전동휠기어 427, 전동기어 435란 2개의 회전체의 어느 것이건간에 일방의 회전체의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며 타방의 회전체의 회전축이 이동자재가 되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제 1 도의 구성의 경우, 스라이더 410은 상기 디텍트암 78 및 캠암 180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도면 제21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오딩데스크 11이 로오딩개시 위치에4설정되여 있을때는 캠암 180은 180A의 회전각 위치에 있고, 스라이더 410은 캠암 180의 자유단에 일단이 당접합에 따라 위치규제 되여 있다. 이 경우, 포스트 407, 435는 절입부 415, 416에 계합되여 전동스라이드홀더 403, 전동홀더 430은 회동할 수 없도록 되여 있다. 또 브레이크레버 420, 421은 그 고무 타이어 422, 423이 각각 리일대장치 B, A의 리일대휠 306, 316에 압접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도면 제21b도는 로오딩데스크 11이 로오딩종료 위치에 설정되여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캠암 180은 회전각 위치 180A의 위치에 있고, 스라이더 410은 캠암 180에 의하여 도면 제21a도와 같은 위치에 설정된다.
도면 제21c도는 로오딩데스크 11이 로오딩동작 혹은 언로오딩동작을 하고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바, 이 경우 로울러크럿치 81이 캠면 20에 올러 앉아 디텍트암 78이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이 암78의 일단의 압압으로서스라이더 410은 도시화살표 a2방향으로 접동된다. 이에 의하여 포스트 407은 절입부 415안에서 해방되여 투공 414안에 들어가며, 포스트 435는 그대로 절입부 416에 위치결정된다. 이때문에, 전동스라이드홀더 403은 도시 화살표 a5↔a6방향으로 풀리 409를 중심으로 회동자재가 된다. 이 경우 로오딩시간은 리일대장치 A, B를 구동할 필요가 없음으로, 리일모우터 401은 회전하지 않고, 전동휠기어 427은 도시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한편, 언로우딩시는 테이크엎리일대장치 B를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리일모우터 401은 도시화살표 a5방향에 회전구동되며 전동휠기어 427은 리일모우터풀리 409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전동스라이드홀더 403도 전동휠기어 427가 테이크엎리일대장치 B의 리일대휠 316과 당접하도록 회동되여, 휠 316은 전동휠기어 427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에의하여 카세트에서 인출되여 있던 자기테이프는 테이크엎리일에 권취된다.
그래서 로오딩모우드에 있어서는 로오딩이 종료하기 직전까지 리일대장치 A, B의 메인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여두고, 로오딩이 완료한 순간에 이 메인브레이크가 완전히 작용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로오딩이 끝나기전에 메인브레이크가 작용하면, 테이프텐숀이 커지며, 자기테이프를 손상하고 말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로오딩이끝나고 메인브레이크가 완전히 작용할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면 테이프의 구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도의 VTR와 같이 캠면 20을 이용하여 리일대장치 A, B의 메인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구성에서는 로오딩끝나는 위치에서 로울러크럿치 81이 캠면 21에서 해리하도록 캠면 21의 도시화살표 a5방향 단부의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경우, 로오딩이 끝나는 시점에서 곧바로 메인브레이크가 완전히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캠면 20은 도시화살표 a5방향 단부를 급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캠면 20의 도시화살표 a5방향 단부를 급경사로 하면, 언로오딩개시시, 로오딩모우터의 부하가 커지는 결점이있다. 제 1 도시 VTR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되여 있다. 이를 도면 제 22a 도, 제 22b 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면 제 22a 도, 제 22b 도에서와 같이 캠면 20의 도시화살표 a5방향 단부는 도시 화살표 a5방향을 따라서 완만하게 경사한 경사면으로 되여 있다. 또 이 단부에는 도시 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전자재한 가변각 캠 440이 취부되여있으며, 이 가변각 캠 440의 유단부에는 "?"상부 441이 형성되여 있다.
먼저 도면 제 22a 도는 로오딩이 끝난상태를 표시한 도면으로, 이 경우, 가변각 캠 440은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선단부를 결착하는 라인 m가 로오딩데스크 11의 경방향을 따르는 위치에서 정지하여 있다. 거기서 이 가변각 캠 440의 위치를 설정하여 두면, 로오딩이 끝난 시점에서, 디텍트 암 78이 순시에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로오딩이 끝나면 순시에, 리일대장치 A, B에 메인브레이크가 작용하게 된다. 도면 제 22b 도는 언로오딩 개시시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는 로울러크럿치 81은 캠면 20의 경사면을 따라 캠면 20에 얹이도록 됨으로서 언로오딩 개시시에 로오딩 모우터에 큰부하가 걸리는 일은 없다. 이 경우 가변각 캠 440은 로울러 크럿치 81에 눌리어 도시 화살표 a6에 회동함으로, 로울러크럿치 81이 캠면 20에 얹히는데 하등장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도시화살표 a6방향에 회동된 가변각 캠 440을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도면제 22a 도에 표시한 상태를 설정하고, 로오딩동작에 구비하기 위하여는, 예 : 가변각 캠 440을 스프링 442혹은 토오숀스프링등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에 부세하여 두도록 하면된다. 또 이러한 부세수단을 사용치 않고, 로오딩데스크 11이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할때의 반동에 따라, 가변각캠 440이 도시 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된 가변각 캠 440은 스톱퍼 443에 당접하여 정지하고, 도면 제22a도에 표시한 상태로 위치결정된다.
한편, 가변각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같은 캠 440에 한정됨이 없이 예 : 판스프링을 사용한 즉 뜨거나 가라앉은 수단등이어도 좋다. 도면 제 23a 도는 기록, 재생 모우드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캠암 180이 회전각 위치 180C에 위치결정됨으로서 스라이더 410은 스프링 419, 418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2방향으로 습동시킨다. 이때, 도면 제21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디텍트암 78은 로울러크럿치 81이 캠면 20에서 해리됨에따라 스라이더 410에 당접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스라이더 410의 도시화살표 a4방향에의 접동에 하등 장해가 되지 아니한다.
이 상태에서는 포스트 435가 절입부 416에서 해방되여 투공 414에 위치하고 포스트 407은 그대로 절입부 415에 위치결정되여 있다. 따라서 전동홀더 430만이 도시화살표 a5↔a9방향으로 포스트 40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가 된다. 거기서 리일모우터를 도시화살표 a6방향에 회전시키면, 전동휠기어 427, 전동기어 432는 각기 도시화살표 a5, a6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전동홀더 430도 자동적으로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시켜져, 전동기어 430에 의하여 테이크엎리일대장치 B가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구동된다. 이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의 기록 혹은 재싱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고마(Coma)보냄 재생도 가능하다. 한편, 리일모우터를 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동기어 432는,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 구동되여 전동홀더 430은 자동적으로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하여 서플라이리일대장치 A는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구동되여 자기테이프의 역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 제 23b 도는 조송, 권환 모우드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 캠암 180은 회전각 위치 180B에 위치 결정지어지기 위한 스라이더 410은 도시화살표 a2방향으로 접동시킨다. 이에 따라, 포스트 407이 투공 414에 위치결정지어져, 포스트 435는 절입부 416에 위치결정됨으로, 전동슬라이더홀더 403만이 도시화살표 a5↔a6방향으로 회동자재가 된다. 이 경우리일 모우터를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동휠기어 427은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여 전동스라이드홀더 403은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됨으로 테이크엎리일대장치 B는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전구동되여, 자기테이프의 조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고속 재생도 가능하다. 한편, 리일모우터를 도시 화살표 a6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동휠기어 427에 의하여 서플라이리일대 장치 A는 도시화살표 a64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여 자기테이프의 권환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고속역재생도가 능하다.
한편, 스라이더 410과 캠암 180등을, 예 : 장공과 돌기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스라이더 410을 캠암 180에서 직접 동작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하면, 스라이더 410을 부세하기 위한 스프링 418, 419가 필요없고 또 적은 동작력으로 구동할 수가 있다.
그래서 VTR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로오딩 시에는 테이크엎리일대에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하여, 자기 테이프를 로오딩하고, 언로오딩시에는 테이크엎리일대에서 자기테이프를 권취함에 따라, 로오딩, 언로오딩에 의하여 자기테이프의 위치가 변화하고 카은터의 눈금이 이동하는 것을방지하고 있다. 단, 로오딩시에 테이크엎리일대의 테이프잔량이 0의 경우(바아진 테이프)는 서플라이리일대에서 공급하지 않으면 안됨으로 서플라이리일대에 소브트 브레이트 레버와 소프트 브레이크스프링에 의하여 미소한 부하를 주고, 테이크엎리일대의 테이프 잔량이 0가 되었을때에 이 미소부하로 극복하여 비로서 서플라이 리일대에서 자기 테이프가 공급되도록 되여있다.
이 소프트브레이크 레버와 소프트브레이크스프링에 의한 부하롭크가 지나치게 크면, 자기테이프에 안내포울이나 실린더 조정에 의하여 상처얻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극력낮게 설정하여져 있다, 즉, 로오딩 시에 테이크엎리일대가 우선적으로 회전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과는 반대로, 서플라이 리일대에서 자기테이프를 공급하고, 이서플라이 리일대에 권부한다는 방식도 가능하나, 이 방식에서는, 자기 테이프가 안내포올 및 실린더조정에 있어서 상처를 줄 가능성이 있으며, 또 자기 테이프를 붙인 경우의 언로오딩에서는 자기테이프를 권취할 수가 없어 자기테이프를 대폭 손상하는 사례가 있음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전자의 방식에서는 통상의 로오딩에서는 테이크엎리일대에서 공급된 자기테이프가 안내포올 및 실린더리이드에 권부할 뿐이고, 자기테이프를 손상하는 예는 없다. 또 테이프 첨부시의 언로오딩도 테이크엎리일대가 테이프를 뜯어 내면서 권취하게 됨으로 하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플라이 리일대의 부하토르크를 항상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곤난하고 언로오딩시에 테이크엎리일대의 권취토르크가 지나치게 클때에는 서플라이리일대의 부하토르크는 테이크엎리일대의 권취토르크에 눌려저 서플라이리일에서 테이크엎리일에 테이프가 권취되고 만다.
또 언로오딩시에 테이크엎리일대의 권취토르크는 자기테이프를 확실하게 권취하기 위하여 여유를 갖이고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서플라이리일대의 부하토르크는 상술이유로 극력 낮게함이 필요하다. 이들 상반한 2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테이크엎리일대의 권취토르크와 서플라이 리일대의 부하토르크의 허용범위는 극히 적게, 현실적으로는 부품의 분산등 요인도 있어 언로오딩시에 서플라이리일에, 서테이크엎리일에 로자기 테이프가 권취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로오딩, 언로오딩을 반복할때마다 테이프의 위치가 변하며, 또 카운터의 눈금도 변화하여 극히 상품성이 없었다.
한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언로딩시에 서플라이리일대이 브레이크를 거는 구성의 장치도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조경비가 상승하고, 또 중량도 무거워지며 소비전력도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제 1 도시 VTR에서는, 이상 설명한 점을 생각하여 로오딩시와 언로오딩시의 로데스크 회전방향의 상위(相違)를 이용하여 언로오딩에 의한 자기테이프 위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저렴가 로제조할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가 부가되어 있다. 이하, 이브레이크장치에 대하여, 제 24 도 및 제 25a 도, 제 25b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제 2 도는 이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디텍트암 78에 취부되는 로울러크럿치 81의 로오딩 데스크 11과 접촉할 로울러는 예 : 몰드성형된본체의 외주위에 고무타이어 450을 취착하여서 된다. 고무타이어 450의 상면에는 로울러펠트 452가 취부되여 있으며, 상기 본체는 L자상의 2본축 451을 구유하고 로울러펠트 452의 상면에 있어서 이 축 451에 크럿치암 453이 회동자재로 배설된다. 또 전술한 축 451에는 다시 크럿치암 453의 상면에 이어서, 압축스프링 454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로울러와 크럿치암 453과 압축스프링 454는 축 451의 양단에 취부되여 있는 좌금 455, 456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음엣 따라 로울러크럿치가 형성된다.
이 로울러크럿치는 디텍트암 78의 크럿치 수납부 457에, 압접스프링 454부분이 수납되도록, 또 이 수납부 457에 취착된 샤프트 458을 지점축으로 회전자재로 배설된다. 그리고 이 경우 크럿치암 453은 이들 2개의 다리 사이에서, 또 디텍트암 78의 하면에 형성된 스톱퍼 459에 의하여 다리가 각각당접하게 됨으로서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또 크럿치암 453에는 이젝트브레이크레버 460을 조작할 조작부 463이 일방의 다리에 돌설하여 형성된다. 이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60은 상술한 소프트브레이크 281이 축지될 지점축 282(제13도 참조)에 회동자재로 축지되며, 통상은 이젝트 브레이크 스프링 461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면 제25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로오딩데스크 11이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하여, 언로오딩이 이루어질때는 로울러크럿치 81의 크럿치토르크에 의하여 크럿치암 453이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도하고, 크럿치암 453의 조작부 463이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59를 밀어줌으로 이젝트브레이크레버 459는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따라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59의 유단부가 서플라이리일대장치 A에 형성된 갈구리부 307a에 계합하고, 서플라이리일대 301을 록크한다. 이 때문에, 서플라이리일대 301은 도시 화살표 a5방향에의 회전이 규제되어 서플라이리일대 301의 자기테이프는 테이크엎리일대에 권취되지 아니한다.
한편, 도면 제25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로오딩데스크 11이 도시화살표 a6방향으로 회동하여 로오딩이 이루어질때는 로울러크럿치 81의 크럿치토르크에 의하여 크럿치암 453은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케됨으로 이젝트 브레이크 레버 459는 이젝트 브레이크스프링 461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a5방향으로 회동되어, 갈구리부 307a에서 해리된다. 이에따라 서플라이 리일대 301의 록크는 해제된다. 따라서 테이크엎리일대의 테이프 잔량이 0가 되어도 서플라이 리일대 301에서 자기테이프가 공급됨으로 자기테이프를 손상하지는 않는다. 한편, 로울러크럿치 81의 크럿치토르크는 이젝트 브레이크 스프링 461의 장력에 충분히 저항할 만큼의 톨크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로울러 크럿치 81에 의하여 로오딩 데스크 11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로오딩시는 서플라이리일대 301의 록크를 해제하고, 언로오딩는 서플라이리일대 301을 록크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로오딩시에 자기 테이프를 손상하지는 않는다. 또 언로오딩시에는 테이크엎리일대의 권취토르크가 커도서플라이리일대의 자기테이프는 테이크엎리일대에 권취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오딩, 언로오딩을 반복하여도, 자기테이프는 일정위치를 보지한 채로 카운터의 눈금을 일정위치에 보지할 수가 있다. 또 소레노이드 플런저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임으로, 제조경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데다,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도 기할 수 있다.
또 로울러에 고무타이어 450을 취착하였음으로, 로울러와 로오딩데스크 11의 마찰계수가 크고, 로울러와 로오딩 데스크 11사이에 활주가 발생, 로울러가 회전하지 않아 로오딩데스크 11의 회전방향을 검출할 수 없다는 난조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러한 난조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로울러와 로오딩데스크 등을 기어 구조로 하여, 기어로구동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로울러크럿치 81은 고무타이어 450이 취부된 로울러본체와, 크럿치암 453과 압축스프링 454등을 좌금 455, 456에 의하여 일체로 하여 이를 샤프트 458에 회전자재로 취착할 구성이다. 이 때문에 압축스프링 454와 디텍트암 78 및 크럿치암 453과의 사이에 마찰손실이 발생, 로오딩데스크 11의 회전부하가 커지고 만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로오딩 데스크 11의 회전부하는, 이를 구동하는 모우터의 부하가되기 때문에, 극력적게할 필요가 있다. 즉, 로오딩데스크 11의 회전부하가 커도, 모우터의 구동토르크의 여유를 증대시키면 되나, 이 경우 모우터의 중량이 커지거나, 소비전력이 커지거나, 기기의 제조경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로울러 크럿치 81을 일체구조로 하여 샤프트 458에 취부함으로써, 압축 스프링 454와 디텍트암 및 크럿치암 453과의 사이의 마찰손실이 적어져 로오딩 데스크 11의 회전부하를 적게하는 것이다.
한편, 크럿치 암 453과 압축스프링 454도 크럿치펠트를 개하여 연결하여 더블크럿치구조로 하면, 로오딩 데스크 11의 회전부하를 다시 적게 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 상술한 브레이크 장치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 : 로오딩시에 크럿치암 453으로 이젝트브레이크 레버 460에 의한 서플라이리일대 301의 록크를 해제하고, 언로오딩시에 이젝트브레이크 스프링 461로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60을 서플라이리일대 301을 록크시키도록해도 무방하다. 또 크럿치암 453과 이젝트 브레이크 레버 460 등을 연결하고, 이젝트 브레이크스프링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또 브레이크수단으로서는 이젝트 브레이크레버 459와 갈구리부 307d에 의하지 않고, 예 : 습동브레이크란 주지의 브레이크수단이어도 무방하다.

Claims (9)

  1. 모우터 101과, 로오딩데스크( 11)과 서플라이리일대(301) 및 테이크엎리일대(311)와 서플. 이리일대(301) 및 테이크엎리일대와 선택적으로 연합하여 기록, 재생, 권환, 조송, 정지모우드를 설정하는 리일대구동장치(L)등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모우터(101)의 회전력을 상기 로오딩데스크와 리일대구동장치등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로오딩데스크에 전달할 때에는 로오딩데스크를 회전시켜, 리일대구동장치에 전달했을 때에는, 이 리일대구동장치를 선정모우드에 설정하는 모우드절환수단(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절환수단(M)은 로오딩데스크(11)와 리일대구동장치(L)와에, 회전부하가 적은쪽에 모우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크럿치기구를 갖는다.
  3.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절환수단(M)은 로오딩데스크(11)와 계합한 로오딩기어(131)와, 상기 리일대구동장치(L)와 연결된 캠암(180)과 회전되며, 그 회전각도 위치에 맞추어 캠암(180)을 이동하고 이것을 개하여 리일대구동장치(L)를 선정모우드를 설정하는 모우드캠(120)과 상기 로오딩(131)과 모우드캠(120)등은 상기 크럿치기구를 개하여 상기 모우터(101)에 접속되어 있다.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 기재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크럿치기구는 모우터(101)에 의하여 모우터와 구동시에 항상 회전하는 샤프트(106)와 이 샤프트(106)의 일단에 동축적으로 고착된 선기어(107)와 이 샤프트(106)에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유성기어 지지장치(108)와, 이 유성기어 지지장치(0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또 썬기어(107)와 치합할 적어도 한개의 유성기어(114, 115)와, 이 유성기어와1치합하고 상기 로오딩기어와 회전접속된 내치기어(130)등을 갖는다.
  5.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절환수단(M)는 상기 유성기어지지장치( 108)의 일방향의 회전을 지지 가능한 록크암(154)와, 이 록크암(154)의 동작을 제어하는 암제어기구(10, 161, 162)와 상기 로오딩 데스크(11)로 형성되어, 로오딩종료시에 상기 암제어기구를 구동하여 록크암(154)의 유성기어지지 장치(108)에 대한 회전지지를 해제하는 작동부(11b)등을 갖는다.
  6.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암제어기구는 록크암(154)의 회전지지를 보지하는 록크해제암(160)과, 록크암(154)와 직접 접속된 제 1 록크복원암(161)과, 상기 작동부(11b)와 직접 계합되어 상기 제 1 의 록크복원함(161)을 개하여 록크암(154)을 구동하는 제 2 의 록크복원암(162)등을 갖는다.
  7.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절단수단(M)은 언로오딩시에 상기 유성기어지지장치의 타방향의회전을 저지가능한 스톱수단을 갖는다.
  8. 특허청구의 범위 제 7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스톱수단은 유성기어지지장치(108)의 주면에 형성된 돌기(113)와 이돌기에 개합하고, 유성기어지지장치(108)의 일방향의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은 저지하는 라쳇트(151)등을 갖는다.
  9.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 기재의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캠(180)은 회전축에 편심하여 돌설되어 루우프상을 이루고 스톱지령위치(171)와 조송, 권환지령위치(172)와, 기록, 재생령위치(173)등을 갖는 안내부분(170)을 구유하며, 상기 캠암(180)은 모우드캠(180)의 회전재차위치에 맞추어 각기 안내부분(170)의 각 위치에 의하여 모우드가 설정됨을 특징으로하는 비디오 테이프레코오더.
KR8200656A 1981-02-16 1982-02-15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KR850001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21029 1981-02-16
JP21029 1981-02-16
JP56021029A JPS57135472A (en) 1981-02-16 1981-02-16 Video tape rec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567A KR830009567A (ko) 1983-12-22
KR850001453B1 true KR850001453B1 (ko) 1985-10-05

Family

ID=1204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656A KR850001453B1 (ko) 1981-02-16 1982-02-15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92994A (ko)
JP (1) JPS57135472A (ko)
KR (1) KR850001453B1 (ko)
DE (1) DE3205438C2 (ko)
GB (1) GB2094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8357B2 (en) * 1982-02-25 1984-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t.r. tape loading and mode changing
JPS58201213A (ja) * 1982-05-19 1983-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プレコ−ダ用パルススイツチ
JPS5963051A (ja) * 1982-10-01 1984-04-10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44369B2 (ja) * 1982-12-28 1994-06-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3133B1 (ko) * 1983-02-28 1990-05-08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테이프 자동 장전형 기록 재생 장치
JPS59171069A (ja) * 1983-03-18 1984-09-27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149251U (ja) * 1983-03-22 1984-10-0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自動装填型記録再生装置
US4652948A (en) * 1983-04-08 1987-03-2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175244A (ja) * 1984-02-21 1985-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装置
JPS618756A (ja) * 1984-06-20 1986-01-16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NL8403472A (nl) * 1984-11-14 1986-06-02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DE3519020A1 (de) * 1985-05-25 1986-11-27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Vorrichtung zum antrieb eines kassetteneinzugsmechanismus und eines bandfaedelmechanismus in einem videorecorder mit magnetbandkassette
NL8502056A (nl) * 1985-07-17 1987-02-16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met tenminste een een servowiel omvattende schakelinrichting voor het schakelen van een apparaatfunktie.
NL8502055A (nl) * 1985-07-17 1987-02-16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AT382978B (de) * 1985-08-06 1987-05-11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DE3542391A1 (de) * 1985-11-30 1987-06-04 Grundig Emv Video-magnetbandgeraet
KR900003245B1 (ko) * 1986-05-14 1990-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
DE3634086A1 (de) * 1986-10-07 1988-04-21 Thomson Brandt Gmbh Wickel- und bandantrieb fuer eine magnetbandkassette
DE3643210A1 (de) * 1986-12-18 1988-06-30 Thomson Brandt Gmbh Wickel- und bandantrieb
US4949203A (en) * 1987-03-11 1990-08-1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Tape recorder having an improved cassette mounting device
JP2531171B2 (ja) * 1987-03-26 1996-09-0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21335B2 (ja) * 1987-09-30 1996-08-07 三星電子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カセットロ―ディング空回転装置
DE3935150A1 (de) * 1989-04-13 1990-10-18 Thomson Brandt Gmbh Recorder mit einem wickel- und bandantrieb
DE3939521A1 (de) * 1989-11-30 1991-06-06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bandspannung
JP2650662B2 (ja) * 1991-11-29 1997-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テープ装置
RU2125301C1 (ru) * 1992-12-11 1999-01-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мощности магнитофона
JP3455983B2 (ja) * 1993-02-09 2003-10-1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方法
JPH10334542A (ja) * 1997-06-03 199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磁気テープ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9772A (en) * 1973-02-12 1976-09-07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2134414A (en) * 1976-05-04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AT345576B (de) * 1976-05-12 1978-09-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53140007A (en) * 1977-05-13 1978-12-0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cassette tape recorder
JPS6020815B2 (ja) * 1977-08-22 1985-05-2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モ−ド選択機構
JPS6021418B2 (ja) * 1977-11-19 1985-05-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S5927985B2 (ja) * 1980-02-08 1984-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テ−プ装置
DE3018312A1 (de) * 1980-05-13 1981-11-19 Efuti Giken Co., Ltd., Yokohama, Kanagawa Magnetband-anlegevorrichtung eines magnetband-videorecorders
GB2079514B (en) * 1980-06-20 1985-01-16 Tanashin Denki Co An auto-reverse device for a two-reel type tape recorder
US4491885A (en) * 1981-02-06 1985-0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playba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94542A (en) 1982-09-15
GB2094542B (en) 1985-01-23
KR830009567A (ko) 1983-12-22
US4492994A (en) 1985-01-08
DE3205438C2 (de) 1988-01-21
DE3205438A1 (de) 1982-12-16
JPS57135472A (en) 198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53B1 (ko) 비듸오 테이프 레코오더
US5999358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travel direction control arrangement which prevents tape slippage and slack generation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EP0944065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395299B1 (en) Drive mean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353101A (en) Video tape recorder
JPH039146Y2 (ko)
US5195697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ape sag during mode changing in a video recorder
US5668681A (en) Automatic-reverse tape player with a switchable rotational gear assembly
US20020053620A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734082B2 (ja) 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動力伝達機構
KR100287940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US6671122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797414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GB2077976A (en) A video tape recorder
JPS6316887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045325B1 (en) A video tape recorder comprising means for receiving a magnetic tape cassette
JPS631274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5195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tape loosening when the tape feeding direction is changed
JP3610848B2 (ja) テープ装置
GB2077980A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US20040201916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S6316005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98154A (ja) 位置規定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