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89B1 -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 Google Patents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89B1
KR860000089B1 KR1019830001928A KR830001928A KR860000089B1 KR 860000089 B1 KR860000089 B1 KR 860000089B1 KR 1019830001928 A KR1019830001928 A KR 1019830001928A KR 830001928 A KR830001928 A KR 830001928A KR 860000089 B1 KR860000089 B1 KR 86000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lop
flip
circuit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000A (ko
Inventor
겐지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11B27/3054Vertical Interval Time code [VIT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a recovery circuit for the referenc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2Regeneration of analogue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제1도는 종래회로의 한 예를 도시한 블럭선도.
제2도는 본 발명회로의 한 실시를 도시한 블럭선도.
제3(a)도, 제3(b)도는 각기 제2도의 동작설명용 타임챠트.
제4도는 본 발명회로를 본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수평주사기간 검출회로에 적용한 경우의 한 예를 도시한 블럭선도.
제5(a)도 내지 제5(f)도는 각기 제4도의 동작설명을 하기 위한 타임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복합동기신호입력단자 2, 3 : 단안정멀티바이브래이터(M. M)
4 : 위상비교기 6 : 전압제어발진기(VCO)
7 : 1/N분주기 8 : 위상고정루프(PLL)
9, 10 : 체배신호출력단자 11 : OR회로
12 : R-S형 플립플롭 13 : 제1의 카운터
14 : 제2의 카운터 15 : 계수치설정회로
17 : 수평주사주파수체배회로 21 : D형 플립플롭
24 : 수평주사기간검출신호출력단자
본 발명은 수평주사주파수 체배회로에 관한 것이며, 집적회로(IC)화 하기 쉬우며 입력복합동기신호 일부가 결함이 있다 하여도 안정하며 또한 입력복합동기신호중의 수평동기 신호에 위상동기중의 어느 한 수평주사 주파수 3배이상의 체배출력을 발생시킬수 있는 수평주사 주파수체배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랭의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의 한 예의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입력단자(1)로 들어온 복합동기신호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하 「M.M」라 기재한다)(2)에 인가되며, 여기서 수평동기 신호의 시작(또는 끝남)에서 약 3/4H(H는 수평주사 주기)의 펄스폭으로 반복하여 주파수가 수평주사 주파수와 같은 펄스열로 변환된 후 M.M(3)에 인가된다. 이로인하여 M.M(3)으로 부터는 입력복합동기신호중의 등화펄스나 수직동기 펄스에는 응답하지 않고, 수평동기신호만이 응답하는 수평주사 주파수(fH)의 펄스가 추출되고 위상비교기(4)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되며, 여기서 위상비교기(4)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1/N 분주기(7)부터의 신호와 위상비교된다.
위상 비교기(4)는 양 입력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한 위상오차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 위상오차전압을 저역필터(5)를 통하여 전압제어(VCO)(6)에 제어전압으로서 인가하여 그 출력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VOC(6)는 수평주사 주파수(fH)의 N배(N은 3이상의 정수)의 주파수에서 발진하며, 이 발진주파신호를 1/N 분주기(7)에 의해 1/N 분주되어서 수평주사 주파수(fH)로 된 후 위상비교기(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상기의 위상 비교기(4), 저역필터(5), VOC(6) 및 1/N 분주기(7)로 이루어지는 페루프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위상고정루프(PLL)(8)을 구성하고 있고 VOC(6)로부터 출력단자(9)로 입력복합동기 신호중 수평동기신호의 위상동기의 어느 한 수평주사 주파수(fH)의 N배의 주파수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는, 회로전체를 IC화 할려고 하면, M1M2,3이 있기 때문에 IC의 핀수가 증가하므로 IC화하기 어렵고 또한 조정이 필요하고 생산성도 나빠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입력복합동기 신호가 자기테이프 또는 비디오디스크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인 경우에는 드롭아웃등에 의해 입력복합동기신호가 단락하는 일이 있어, 그 경우에는 회로동작이 불안정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서, 제2도이하의 도면과 함께 그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이 되는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의 한 실시예의 블럭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 제1도와 동일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0)에 들어온 복합동기 신호는 2임력 OR회로(11)의 한쪽의 임력단자에 공급되어 이후 상세히 기술하는 계수치설정회로(15)의 출력신호와 논리적으로 가산된 후 R-S형 플립플롭(12)의 세트단자와 이후 기술하고자 하는 제2의 카운터(14)의 리세트단자에 개별적으로 인가된다. 플립플롭(12)은 임력복합동기신호중의 수평동기신호의 시작에서 세트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립플롭(12)의
Figure kpo00001
출력신호는 제1의 카운터(13)의 리세트단자에 인가되어, 논리고레벨기간중 (플립플롭(12)의 리세트상태시의 사이)에는 제1의 카운터(13)의 계수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제1의 카운터(13)의 계수치를 「0」으로 한다. 따라서 제1의 카운터(13)는 입력단자(10)에 수평동기신호가 들어온 시점에서 계수를 「0」부터 개시한다.
제1의 카운터(13)는 PLL(8)내의 VOC(6)에서 출력되는 수평주사 주파수(fH)의 N배의 주파수(N fH)의 신호를 계수하고, 그 계수시간이 T1(초) 경과한 시점에서 계수출력을 발생하여 플립플롭(12)을 리세트한다. 이로인하여 제1의 카운터(13)는 계수동작을 정지한다. 여기서 상수의 계수시간 T1은 본 실시예에서는 등화펄스나 수직동기신호를 없애기 위해, 112H<T1<H의 범위내의 시간에 선정하고 있기 때문에, CR회로(11)로부터 추출된 복합동기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의 파형(제3a도에 도시함으로 발생시켜 플립플롭(12)의 Q출력신호파형은 제3b도에 도시하는 것 같은 등화펄스나 수직동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관계없이 입력수평동기신호에 위상동기의 반복 주파수가 fH로 되면서, 또한 펄스폭(T1)의 펄스열로 된다.
이 펄스열은 위상비교기(4)의 한쪽의 입력단자 인가되고, 이 위상비교기(4)를 포함하는 PLL(8)에 의해 출력단자(16)에는, 입력복합동기신호의 수평동기신호에 위상동기시키는 동시에, 수평주사 주파수(fH)의 N배의 주파수의 신호가 체배출력신호로서 추출되게 한다.
한편, PLL(8)내의 VOC(6)에서 출력되는 상기 주파수 N.fH의 체배출력신호는, 제2의 카운터(14)의 입력단자에는 공급되어, 여기서 계수된다. 이 제2의 카운터914)의 계수치는 계수치 설정회로(15)에 공급된다. 계수치설정회로(15)는 제2의 카운터(14)의 리세트후의 계수시간이 H<T2<2H인 범위내에 선정된 계수시간 T2보다 긴시간에 걸쳐 계수된 때의 제2의 카운터(14)의 소정의 계수치가 공급된 때에(바꾸어 말하면 제2의 카운터(14)의 계수시간이 T2를 넘었을 때) 논리고 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고 그때까지는 논리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계수치설정회로(15)의 출력신호는 OR회로(11)에 공급된다.
따라서, 지금 입력단자(10)에 들어오는 복합동기신호가 자기테이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것으로 하면, 드롭아웃이 없는 통상의 경우는 OR회로(11)에서 입력단자(10)에 들어온 복합동기 신호가 그대로 추출되어, 제2의 카운터(14)를 수평주사주기 H마다 리세트하기 때문에, 제2의 카운터(14)의 계수시간이 T2를 넘는 일은 없고 이로인해 계수치설정회로(15)의 출력신호는 항시 논리저레벨에 유지된다. 그래서, 상기의 입력복합동기신호가 드롭아웃등에 의해 결락한 것으로 하면, 제2의 카운터(14)는 수평주사주기 H로 리세트되지 않고 그 계수시간이 T2를 넘기 때문에 계수치설정회로(15)의 출력신호가 그 시점에서 논리저레벨보다 논리고레벨에서 시작된다. 이 논리고레벨의 계수치설정회로(15)의 출력신호는 OR회로(11)를 통해 플립플롭(12)을 세트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2의 카운터(14)를 리세트 한다.
따라서, 예들들면 드롭아웃에 의해 제3a도에 (a1)로 도시되는 수평동기신호가 결탁한 때는 플립플롭(12)의 Q출력신호는 제3b도에 (b1)로 도시하는 시점에서 시작된다. PLL(8)은 이정도의 위상차에 의해서는 동기가 벗어나는 일은 없고 바라는 배가 주파수 N × fH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드롭아웃에 의해 입력복합동기신호의 일부 결락이 있어도, 체배회로 자신의 출력신호에 의해 일부 결학한 복합동기신호를 실질적으로 보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회로의 용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회로는, 기록매체의 재생출력영상신호에 젠록(gen-lock : 동기결합)하여 문자신호등을 삽입하는 경우나 상기의 재생출력 영상신호를 소경의 칼러텔레비젼 방식의 칼러영상신호에 인코우드 하는때에, 컬러 버스트신호등을 짓터가 있어도 소경위치에 삽입하는 경우등의 타이밍을 취하는 경우 기타 여러가지로 응용할 수 있으며, 한 예로서 본 출원인이 먼저 특원소 56-59434호로써 제한한 수평주사기간 검출회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상기의 수평주사기간 검출회로의 계통도이다. 제4도중, (17)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되는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로, 그 출력단자(16)에서 추출된 주파수 N×fH의 체배출력신호는, 분주기(20)에 의해 분주되어 주파수 M. fH(단 M은 2
Figure kpo00002
M<N인 자연수)의신호로 된후 직분회로(18) 및 지연회로(19)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직분회로(18)는 입력단자(10)의 입력복합동기신호(홀수필드의 수직귀선소거기간부근의 파형을 제5a도에 a로, 또한 짝수필드의 수직귀선소거기간부근의 파형을 제5d도에 a'로 표시한다.)중에서 수직동기 펄스를 분리추출하여 제5b도에 b 또는 제5e도에 b'로 표시하는 수직동기신호를 OR회로(25)의 한쪽의 입력단자를 경유하여 D형 플립플롭(21)의 데이터입력단자에서 출력한다. 플립플롭(21)의 Q출력은 그 데이터 입력단자의 OR회로(2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로 궤환된다. 제5b도는 복합동기신호(a)중의 수직동기 펄스를 검출하여 얻은 수직 동기신호(b)를 표시하고 제5e도는 복합동기신호(a')중의 수직동기 펄스를 검출하여 얻은 수직동기신호(b')를 표시한다. 또한 제5a도, 제5d중의 파형상부의 숫자는 주사선수 525개의 텔레비젼 신호의 주사선 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지연회로(19)는 복합동기신호(a), (a')중의 각 수평주사 주기의 시작부터 소경기간(T)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발생되는 반복주파수(fH)의 펄스열을 추출하여 플립플롭(21)의 클록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이로인하여, 플립플롭(21)의 Q출력단자에서는 제5c도c에 또는 제5f도에(c')로 표시하는 신호가 추출되어 이 신호(c), (c')는 AND회로(22)에 공급되고 여기서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17)로부터의 입력복합동기신호(a), (a')중의 수평동기신호에 위상동기의 어느 한 수평주사 주파수(fH)의 신호는 논리적(積)이된 후 카운터(23)에 공급되어 계수된다. 이 카운터(23)는 필드단위마다 계수를 하여, 입력신호(c), (c')가 논리 "1"이 된 시점부터 AND회로(22)로부터의 수평주사주기의 신호를 계수하고, 예를들면 계수치가 「13」이 된 시점에서 검출회로(26)가 그것을 검출하여 수평주사기간 검출신호를 출력단자(24)로 출력한다. 다시 카운터(23)의 계수치가, 예를들면 「18」이 된 시점에서 검출회로(27)가 그것을 검출하고, 플립플롭(21)을 리세트함과 동시에 카운터(23)도 리세트 한다. 제5c도, 제5f도에 동그라미로 둘러싼 숫자는 카운터(23)의 계수치를 표시하고,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어느것이든 동일의 계수치「13」로 발생되는 상기 수평주사기간 검출신호에 의해, 주사선 번호(17)과 (280), 즉 홀수, 짝수의 각 필드의 모든 수직동기펄스후의 등화필스 후, 8개째의 수형동기신호의 들어오는 시점에서 1수평 주사기간 (제5a도, 제5d도에 사선으로 표시한다)을 검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되는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17)를 사용하여, 현행의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내의 홀수, 짝수 필드 모두에 상응하는 소경의 수평주사기간(상기의 예에서는 주사선번호 17과 280의 기간)에 많이 겹쳐져 전송되는 음성신호, 문자신호, 경지화상, 기록매체의 위치 검색용신호 각종의 부가적 경보를 추출시키기 위한 수평주사기간 검출신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1의 카운터(13)의 계수기간 T1은 수직 동기펄스나 등화펄스, 혹은 수평동기 신호의 들어오지 않는 기간에 혼입하는 잡음등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1H기간의 값에 가깝게 선경하는 편이 좋으나, 입력복합 동기신호가 디스크 기타의 회전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신호중의 것일 경우에는, 짓터성분이 발생하므로, 이 짓터성분마저 감안하여 1/2H<T1<H인 범위내에 있어서 될 수 있는 한 1H기간의 값에 가까운 값으로 선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짓터성분에 의해 수평동기신호가 ±Δt만큼 변동하는 것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는, T1은 H-Δt보다 다소 작은 값에 선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각이, 본 발명의 되는 수형주사 체배회로는 플립플롭과 이 플립플롭의 세트상태시의 출력신호에 의해 위상고경루프로부터 출력되는 배가 출력신호에 의해 그 계수를 다음식의 부등식
1/2H<T1<H
(단, H는 수평주사기간 : 이하 같음)을 이루는 시간 T1만큼 행한 시점에서 플립플롭을 리세트하기 위한 계수출력을 발생하는 제1의 카운터와, 상기 체배출력신호를 계수하는 제2의 카운터와, 이 제2의 카운터의 계수치설정회로와 계수치설정회로의 소정레블의 출력신호가 상기 플립플롭이 세트되어서부터의 계수시간 T2를 다음식의 부등식
H<T2<2H
를 만족하는 T2를 넘은 때에 출력되도록하고, 계수치 설정회로의 소정레벨의 신호와 복합동기신호와의 논리합이 되게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플립플롭을 세트함과 제2의 카운터를 리세트하는 논리합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상고정루프내의 위상비교기에 공급하여 이 위상고정루프에서 수평주사 주파수의 체배출력 신호를 얻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M.M을 사용하지 않아도 입력복합동기 신호중의 수평동기신호에 위상동기의 어느 한 수편주사 주파수의 체배출력을 얻을 수가 있고, 또한 플립플롭, 제1 및 제2의 카운터 PLL논리합회로 및 계수치 설정회로 이루어지므로 IC화 하기 쉽고, 또한 무조정으로도 되며, 생산성도 종래의 M.M를 사용한 회로에 비해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합동기신호가 비디오 디스크나 자기테이프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가 있어 드롭아웃등에 의해 일부가 결락하였다 하드라도, 체배출력신호에 의해 복합동기신호를 실질적으로 보충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신호의 일부 결락에 의한 회로동작의 불안정을 제거할 수 있고, 안정하게 더구나 확실히 수평주사주파수의 체배출력신호를 발생할 수가 있는 등의 여러가지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합동기신호로부터 그 수평동기 신호에 위상동기되게 하는 동시에, 수평주사 주파수의 3배이상의 반복 주파수의 채배신호를 분주기가 있는 위상고정 루프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수평주사 주파수체배회로에 있어서, 플립플롭과 그 플립플롭의 세트상태시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위상고정루프로부터 출력되는 체배출력신호의 계수를 다음식의 부등식
    1/2H<T1<H
    (단, H는 수평주사 주기 : 이하 같음)을 채우는 시간 T1만을 행항 시점에서 그 플립플롭을 리세트하기 위한 계수출력을 발생하는 제1의 카운터와 상기 위상고정루프에 의한 체배출력 신호를 계수하는 제2의 카운터와 그 제2의 카운터의 계수치 설정회로와 그 계수치 설정회로의 소정레벨의 출력신호가 상기 플립플롭이 세트되어서부터의 계수시간 T2를 다음식의 부등식
    H<T2<2H
    을 만족하는 T2를 넘은 때에 출력되도록 하고 그 계수치 설정회로의 소정 레벨의출력신호와 상기 복합동기신호와의 논리합을 이루게 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해 플립플롭을 세트함과 함께 제2의 카운터를 리세트하는 논리화회로를 구비하고 이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상 고정루프내의 위상비교기에 공급하여 그 위상고정루프에서 수평주사 주파수의 체배 출력신호를 얻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KR1019830001928A 1982-05-06 1983-05-06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KR860000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75784 1982-05-06
JP57075784A JPS58191573A (ja) 1982-05-06 1982-05-06 水平走査周波数逓倍回路
JP75784 1982-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000A KR840005000A (ko) 1984-10-31
KR860000089B1 true KR860000089B1 (ko) 1986-02-18

Family

ID=1358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928A KR860000089B1 (ko) 1982-05-06 1983-05-06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20394A (ko)
JP (1) JPS58191573A (ko)
KR (1) KR860000089B1 (ko)
DE (1) DE3316192C2 (ko)
FR (1) FR2526619B1 (ko)
GB (1) GB2120479B (ko)
NL (1) NL83015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6903B1 (fr) * 1983-12-15 1986-04-11 Telediffusion Fse Procede et circuits de regeneration d'instants significatifs d'un signal periodique
JPH0644818B2 (ja) * 1984-04-13 1994-06-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装置
JPS60237778A (ja) * 1984-05-10 1985-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06995U (ko) * 1985-06-17 1986-12-27
JPS6229272A (ja) * 1985-07-29 1987-02-07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周波数引込回路
US4709268A (en) * 1985-07-29 1987-11-24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frequency pulling circuit
JPH0636562B2 (ja) * 1985-07-29 1994-05-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周波数引込回路
FR2608873B1 (fr) * 1986-12-23 1989-03-24 Radiotechnique Compelec Dispositif de reception de donnees numeriques comportant un circuit de reconnaissance de debut de paquet
DE3700507A1 (de) * 1987-01-09 1988-08-04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uebertragung eines signals
JPH0793709B2 (ja) * 1987-09-30 1995-10-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635667B2 (ja) * 1988-03-31 1997-07-30 株式会社東芝 自動周波数制御回路
US4905085A (en) * 1988-09-29 1990-0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nchronous sampling system
JPH02108480U (ko) * 1989-02-15 1990-08-29
US5329367A (en) * 1990-03-26 1994-07-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orizontal blanking
US5223931A (en) * 1990-03-26 1993-06-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nchronized scanning at horizontal frequency
JPH04183074A (ja) * 1990-11-16 1992-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平同期検出装置
JPH05207327A (ja) * 1992-01-27 1993-08-13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平同期回路
JPH0832833A (ja) * 1994-07-13 1996-02-02 Rohm Co Ltd ビデオシステムパルス生成回路
US6310922B1 (en) * 1995-12-12 2001-10-3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rate synchronization signals
US5815694A (en) * 1995-12-21 1998-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change a processor clock frequency
TW486909B (en) * 2000-11-06 2002-05-11 Benq Corp Signal conver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810A (en) * 1967-09-07 1970-10-06 Rca Corp Digital logic circuit for deriving synchronizing signals from a composite signal
CH566089A5 (ko) * 1973-12-20 1975-08-29 Hasler Ag
AU507872B2 (en) * 1977-05-16 1980-0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ircuitry for lira recognition ofa television signal
JPS5923496B2 (ja) * 1977-08-25 1984-06-02 富士通株式会社 タイミング抽出方式
JPS5577279A (en) * 1978-12-06 1980-06-10 Sony Corp Forming circuit for control signal
GB2064273B (en) * 1979-11-23 1983-10-19 Marconi Co Ltd Data transmission clock pulse recovery
JPS5935218B2 (ja) * 1979-12-29 1984-08-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Pll回路
JPS6051312B2 (ja) * 1981-03-20 1985-11-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水平走査周波数逓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312266D0 (en) 1983-06-08
KR840005000A (ko) 1984-10-31
GB2120479B (en) 1986-01-08
JPS58191573A (ja) 1983-11-08
FR2526619A1 (fr) 1983-11-10
JPS6337550B2 (ko) 1988-07-26
DE3316192C2 (de) 1985-04-11
NL8301573A (nl) 1983-12-01
FR2526619B1 (fr) 1989-01-13
DE3316192A1 (de) 1983-11-17
GB2120479A (en) 1983-11-30
US4520394A (en) 198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089B1 (ko) 수평주사 주파수 체배회로
US4847678A (en) Dual mode gen-lock system which automatically locks to color burst or to sync information
US5189515A (en) Television synchronization signal separator
JPS6051312B2 (ja) 水平走査周波数逓倍回路
EP0461897B1 (en)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separation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WO1991015081A1 (en) Display locked timing signals for video processing
EP0470827B1 (en) Synchronizing signal selection circuit
US4335403A (en) Horizontal countdown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JPH0644818B2 (ja) 表示装置
US4250525A (en) Television horizontal AFPC with phase detector driven at twice the horizontal frequency
EP0474498B1 (en) Synchronizing circuit
JP2579998B2 (ja) 同期信号再生回路
JPS648952B2 (ko)
JP2880187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0472326B1 (en)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separation circuit
JPS625550B2 (ko)
JPH05300399A (ja) Pll回路
JPH0724861Y2 (ja) カラーバーストpll回路
JPH0628382B2 (ja) 垂直同期信号作成回路
KR900009252Y1 (ko) 텔리텍스트 수평 동기신호의 지터 제거회로
JP2743428B2 (ja) バーストゲートパルス発生回路
JP2933221B2 (ja) 垂直同期再生回路
JP2696910B2 (ja) 水平同期回路
JPH0139020Y2 (ko)
JPH0644831B2 (ja) 映像信号カラ−フレ−ム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